KR100417250B1 -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250B1
KR100417250B1 KR10-2001-0051067A KR20010051067A KR100417250B1 KR 100417250 B1 KR100417250 B1 KR 100417250B1 KR 20010051067 A KR20010051067 A KR 20010051067A KR 100417250 B1 KR100417250 B1 KR 10041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video
video shield
image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979A (ko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2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01J2229/0023Pass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영상단에 구비되는 비디오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의 영상단기판에 고정된 소켓에 끼워지는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3)의 네크부(8)가 결합되는 영상단(7)의 일정영역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네크부(8)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결합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비디오쉴드(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의 가스켓폼(16)과; 상기 영상단(7)이 상기 네크부(8)에 안정되게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영상단(7)측에 결합되는 영상단 결합부(24,25,26,27)와, 상기 네크부(8)에 결합되는 네크결합부(18,28,29)로 구성된 고정플레이트(19)와; 상기 가스켓폼(16)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9)를 관통하여 상기 영상단(7)의 영상단기판(11)에 삽입고정되는 네크부(8)의 외주면으로 일단부가 일정길이로 감싸고, 타단부가 상기 가스켓폼(16)의 결합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도전체테이프(1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9)의 네크결합부(18,28,29)와 상기 네크부(8)를 체결하는 메탈링(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STRUCTURE FOR SETTING VIDEO SHIELD IN MONITOR}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영상단에 구비되는 실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의 영상단기판에 고정된 소켓에 끼워지는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니터는 대형화되고, 그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음극선관(CRT)의 전자파 발생량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파는 주변의 전자기기에 영향을 주어 오동작을 일으키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인체에 유해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자파는 국제적으로는 CISPR 규격에 의해 엄격히 제한되고 있고, 그 밖에 미국에서는 FCC 규격으로, 그리고 일본에서는 VCCI 규격으로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실드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한 예로, 종래 모니터(1)의 전자파 차폐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캐비닛(2)에 음극선관(3)을 고정하고, 회로기판(4)을 기판베이스(5)에 고정한 상태에서 비디오쉴드(6)에 의해 감싸진 영상단(7)을 음극선관(3)의 네크부(8)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비디오쉴드(6)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4)을 덮는 전체실드커버(9)가 상기 기판베이스(5)의 모서리 단부에 다수개의 나사로 고정되었다.
특히, 상기 음극선관(3)의 네크부(8)는 일부가 상기 영상단(7) 내의 회로기판(4)에 수직하게 고정된 소켓(10)에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종래에는, 전자파의 누설 시작부인 영상단의 전자파 차폐를 위해 일차로 음극선관의 영상단을 비디오쉴드로 감싸고, 이차로 내부 전체를 전체실드커버로 감싼 후, 다수개의 나사를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다른 한편, 음극선관의 내부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전체실드커버를 제조하는 데 따른 원가부담과, 작업자가 일일이 다수개의 나사를 체결하는 데 따른 소요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극선관의 전자파 누설원 가까이에 실드 구조체를 제공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드 구조체의 구조를 비교적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낮춤은 물론, 실드 구조체의 조립을 좀더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실드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가 음극선관의 비디오쉴드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비디오쉴드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니터 2: 프론트캐비닛
3: 음극선관 4: 회로기판
5: 기판베이스 6: 비디오쉴드
7: 영상단 8: 네크부
9: 전체실드커버 10: 소켓
11: 영상단기판 12, 12a: 결합구
13: 도전체테이프 14: 원통형단부
15: 플랜지부 16: 가스켓폼
17: 지지체 18: 원통형돌출부
19; 고정플레이트 20: 메탈링
21: 록킹부 22: 제1 관통구
23: 절단선 24: 후크부
25: 상향절곡부 26: 제2 관통구
27: 돌출단부 28: 컬럼부
29: 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극선관과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결합되며, 영상단기판과, 상기 영상단기판을 감싸는 비디오쉴드가 설치된 영상단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부가 결합되는 상기 영상단의 일정영역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네크부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비디오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의 가스켓폼과,
상기 영상단이 상기 네크부에 안정되게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영상단측에 결합되는 영상단 결합부와, 상기 네크부에 결합되는 네크결합부로 구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가스켓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영상단의 영상단기판에 삽입고정되는 네크부의 외주면으로 일단부가 일정길이로 감싸고, 타단부가 상기 가스켓폼의 결합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도전체테이프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네크결합부와 상기 네크부를 체결하는 메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비디오쉴드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측 양 코너부에 주변의 일부분이 일정간격을 두고 절취되어 형성되는 록킹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측 양 코너부에는 제1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켓폼의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로부터 절곡되는 원통형단부에는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간격으로 다수의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지지체는 상기 비디오쉴드의 록킹부에 상응하여 상측 양 코너부에 각각의 후크부가 절곡 형성되고, 하측 양 코너부에는 상기 비디오쉴드의 제1 관통구에 상응하여 일측에 상향절곡부가 형성된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돌출단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원통형돌출부는 일정간격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컬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컬럼부 중 적어도 두 곳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탈링은 상기 컬럼부의 돌기에 대응하여 테두리부에 적어도 두 개의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가 음극선관의 비디오쉴드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비디오쉴드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3)과 음극선관의 네크부(8)에 결합되며, 영상단기판(11)과, 상기 영상단기판을 감싸는 비디오쉴드(6)가 설치된 영상단(7)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3)의 네크부(8)가 결합되는 상기 영상단(7)의 일정영역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네크부(8)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결합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비디오쉴드(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의 가스켓폼(16)과,
상기 영상단(7)이 상기 네크부(8)에 안정되게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영상단(7)측에 결합되는 영상단 결합부(24,25,26,27)와, 상기 네크부(8)에 결합되는 네크결합부(18,28,29)로 구성된 고정플레이트(19)와,
상기 가스켓폼(16)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9)를 관통하여 상기 영상단(7)의 영상단기판(11)에 삽입고정되는 네크부(8)의 외주면으로 일단부가 일정길이로 감싸고, 타단부가 상기 가스켓폼(16)의 결합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도전체테이프(1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9)의 네크결합부(18,28,29)와 상기 네크부(8)를 체결하는 메탈링(2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디오쉴드(6)는 음극선관(3)의 네크부(8)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측 양 코너부에 주변의 일부분이 일정간격을 두고 절취되어 형성되는 록킹부(21)가 각각 형성되고, 하측 양 코너부에는 제1 관통구(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폼(16)의 플랜지부(15)와, 이 플랜지부(15)로부터 절곡되는 원통형단부(14)에는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간격으로 다수의 절단선(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폼(16)의 원통형단부(14)가 비디오쉴드(6)의 결합구(12)에 밀착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도전체테이프(13)와, 상기 가스켓폼(16)의 원통형단부(14)가 서로 밀착 접촉됨에 의해 영상단(7)으로부터의 전자파를 완벽하게 차폐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켓폼(16)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9)의 지지체(17)는 상기 비디오쉴드(6)의 록킹부(21)에 상응하여 상측 양 코너부에 각각의 후크부(24)가 절곡 형성되고, 하측 양 코너부에는 상기 비디오쉴드(6)의 제1 관통구(22)에 상응하여 일측에 상향절곡부(25)가 형성된 제2 관통구(26)를 구비하는 돌출단부(2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9)의 원통형돌출부(18)는 일정간격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컬럼부(28)로 이루어지고, 이 컬럼부(28) 중 적어도 두 곳에는 돌기(2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탈링(20)은 상기 컬럼부(28)의 돌기(29)에 대응하여 테두리부에 적어도 두 개의 결합구(1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탈링(2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19)의 원통형돌출부(18)와, 음극선관(3)의 네크부(8)측 도전체테이프(13)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음극선관(3)의 충격 또는 진동 시에도 상기 도전체테이프(13)와 원통형돌출부(18) 간의 밀착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쉴드(6)의 전측 결합구(12)의 중심축선에 가스켓폼(16)의 원통형단부(14)의 중심축선을 정렬시킨 후, 상기 가스켓폼(16)의 원통형단부(14)를 비디오쉴드(6)의 전측 결합구(12)에 밀어 넣어 밀착되게 끼운다.
그런 다음, 음극선관(3)의 네크부(8) 둘레에 도전체테이프(13)를 감싼 후, 이 도전체테이프(1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고정플레이트(19)의 원통형돌출부(18)를 정렬시켜 끼운다.
그런 다음, 이 원통형돌출부(18)의 컬럼부(28) 외주면에 형성된 양측 돌기(29)에 메탈링(20)의 결합구(12a)를 각각 끼운 후, 상기 메탈링(20)의 양 단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메탈링(20)의 조임작용에 의해 상기 음극선관(3)의 도전체테이프(13)와, 고정플레이트(19)의 원통형돌출부(18)는 서로 밀착되게 조여지게 된다.
그런 다음,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9)의 하측 코너부에 각각 구비된 돌출단부(27)의 제2 관통구(26)를 상기 비디오쉴드(6)의 하측 제1 관통구(22)에 정렬시킨 후, 상기 제2 관통구(26)의 상향절곡부(25)를 제1 관통구(22)에 각각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제2 관통구(26)의 상향절곡부(25)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관통구(22)의 일측 에지에 밀착되게 고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플레이트(19)의 상측 코너부에 형성된 각 후크부(24)를 상기 비디오쉴드(6)의 상측 각 록킹부(21)에 밀어 넣어 끼우면 된다. 이때, 음극선관(3)의 네크부(8)는 일부가 비디오쉴드(6) 내의 영상단기판(11)에 수직하게 구비된 소켓(10)에 일정깊이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음극선관(3)의 네크부(8)측 도전체테이프(13)와, 상기 비디오쉴드(6)의 결합구(12)에 끼워진 가스켓폼(16)의 원통형단부(14)가 서로 밀착되게 끼워짐으로써, 음극선관(3)의 영상단(7)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파 누설원 가까이에 실드 구조체를 제공하여, 전자파를 좀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실드 구조체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낮춤은 물론, 실드 구조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였다.

Claims (6)

  1. 음극선관과 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결합되며, 영상단기판과, 이 영상단기판을 감싸는 비디오쉴드가 설치된 영상단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부가 결합되는 상기 영상단의 일정영역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네크부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비디오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의 가스켓폼과,
    상기 영상단이 상기 네크부에 안정되게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영상단측에 결합되는 영상단 결합부와, 상기 네크부에 결합되는 네크결합부로 구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가스켓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영상단의 영상단기판에 삽입고정되는 네크부의 외주면으로 일단부가 일정길이로 감싸고, 타단부가 상기 가스켓폼의 결합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부착되는 도전체테이프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네크결합부와 상기 네크부를 체결하는 메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쉴드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측 양 코너부에 주변의 일부분이 일정간격을 두고 절취되어 형성되는 록킹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측 양 코너부에는 제1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폼의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로부터 절곡되는 원통형단부에는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간격으로 다수의 절단선이 형성되는 것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지지체는 상기 비디오쉴드의 록킹부에 상응하여 상측 양 코너부에 각각의 후크부가 절곡 형성되고, 하측 양 코너부에는 상기 비디오쉴드의 제1 관통구에 상응하여 일측에 상향절곡부가 형성된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돌출단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원통형돌출부는 일정간격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컬럼부로 이루어지고, 이 컬럼부 중 적어도 두 곳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링은 상기 컬럼부의 돌기에 대응하여 테두리부에 적어도 두 개의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인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KR10-2001-0051067A 2001-08-23 2001-08-23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KR10041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67A KR100417250B1 (ko) 2001-08-23 2001-08-23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67A KR100417250B1 (ko) 2001-08-23 2001-08-23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79A KR20030016979A (ko) 2003-03-03
KR100417250B1 true KR100417250B1 (ko) 2004-02-05

Family

ID=2772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067A KR100417250B1 (ko) 2001-08-23 2001-08-23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241U (ko) * 1995-12-26 1997-07-31 브라운관 넥 고정구
JPH09326238A (ja) * 1996-06-05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装置
KR20000001447U (ko) * 1998-06-25 2000-01-25 김영환 모니터의 브라운 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241U (ko) * 1995-12-26 1997-07-31 브라운관 넥 고정구
JPH09326238A (ja) * 1996-06-05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装置
KR20000001447U (ko) * 1998-06-25 2000-01-25 김영환 모니터의 브라운 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79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3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tuner mounted thereon
US5178562A (en) Contact member for miniature electrical circuit connector
AU2226395A (en) A cable connection and shielding device
KR100417250B1 (ko)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구조체
US7448910B2 (en) Displaying apparatus
US6147300A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 apparatus and method
US7614132B2 (en) Connector reveal
JP3362269B2 (ja) 電子機器の回路ユニット
JPH057822Y2 (ko)
US6313986B1 (en) Power and signal supplying apparatus for integration type personal computer
JP3303468B2 (ja) Crt基板シールドケース
JPH11317585A (ja) 電子機器および回路基板支持装置
JPH075722Y2 (ja) 高周波信号分岐分配器用取付け装置
JP2003060376A (ja) シールドケース
JP3597326B2 (ja) 高周波機器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321935B1 (ko) 모니터 쉴드 케이스의 접지장치
JPS6021906Y2 (ja) 電気コネクタ用遮蔽カバ−ケ−ス
JP2003008244A (ja) 電子機器の筐体
JPH021913Y2 (ko)
JPH05152035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ジヤツク装置
JPH04124763U (ja) 高周波機器のアース構造
JP2000232723A (ja) シグナルケーブルの接地装置
KR960003323Y1 (ko) 텔레비젼 안테나 소켓장치
KR19980067790U (ko) 비디오 피시비 장착용 가이드구조
JPH0742194U (ja) シールド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