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665B1 -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665B1
KR100414665B1 KR10-2001-0066594A KR20010066594A KR100414665B1 KR 100414665 B1 KR100414665 B1 KR 100414665B1 KR 20010066594 A KR20010066594 A KR 20010066594A KR 100414665 B1 KR100414665 B1 KR 10041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ressure
wireless terminal
alarm signal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834A (ko
Inventor
정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6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에 밴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에서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와 접촉하는 밴드를 감거나 푸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 상의 밴드를 감는 방향 또는 푸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압력 발생용 모터와, 착신 신호 또는 알람 등이 발생하면 상기 압력 발생용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핀들 상의 밴드를 감거나 풀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인체 상의 밴드가 조이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A PRESS ALARM INDICATION SIGNAL}
본 발명은 피부 접촉형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접촉형 무선단말기에서 압력 형태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의 각종 무선단말기는 착신 신호, 알람 등과 같은 다수의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경보 신호를 벨 소리로 할 때, 신호 벨 소리는 타인에게 방해를 줄 수 있고, 여러 사람이 모인 장소에서 자신의 벨 소리를 구별하기 힘들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시각 경보 신호는 사용자의 시야 내에 무선단말기가 존재할 때에만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진동에 의한 경보 신호는 진동을 이용하므로 진동에 의해 단말기 자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장갑형 입력 장치를 구비하거나 밴드를 이용해 손목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피부 접촉형 무선단말기에서는 무선단말기가 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경보 신호에 의한 진동시 단말기 본체 뿐만 아니라 인체가 함께 진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미세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해 인체에 불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에서 모터를 이용하여 압력을 발생시켜 경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에 밴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에서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와 접촉하는 밴드를 감거나 푸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 상의 밴드를 감는 방향 또는 푸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압력 발생용 모터와, 착신 신호 또는 알람 등이 발생하면 상기 압력 발생용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핀들 상의 밴드를 감거나 풀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인체 상의 밴드가 조이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경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부 접촉형 무선단말기중 와치 타입 무선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와치 타입 무선단말기는 본체(100)와 및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400)를 포함한다. 이 와치 타입 무선단말기는 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 무선단말기는 소정 제어를 통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 1에서 화살표의 양방향으로 밴드(40)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하여 피부에 압력을 줄 수 있도록 하고 경보 신호의 발생시 모터를 구동하여 밴드(40)를 당김으로써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11)는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경보부(116)에게 적절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메모리(115)는 무선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5)는 본 발명에 따라 경보 신호 설정 영역을 구비하며 이 경보 신호 설정 영역에는 무선단말기에서 발생시킬 경보 신호 즉, 소리 경보 신호,시각 경보 신호, 압력 경보 신호중 하나가 설정되어 저장된다.
입력부(117)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경보부(116)는 부저, 진동 모터, 압력 발생용 모터와 스핀들 등을 구비하고 제어부(111)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보신호 타입에 따라 경보 신호 발생 요구가 있을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음성처리부(119)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송신부(114)는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13)로 전달한다. 듀플렉서(113)는 송신부(114)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12)로 전달한다. 수신부(112)는 듀플렉서(11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1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경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리 경보 발생부(2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소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빛 경보 발생부(2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빛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광 다이오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압력 경보 발생부(217)는 타이머(216), 압력 발생용 모터(215) 및 스핀들(214)로 구성된다. 압력 발생용 모터(215)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전원의 극성 변화에 따라 작동 방향이 변경되어 스핀들(214) 상에서 밴드를 감는 방향으로 작동하거나 푸는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압력 발생용 모터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압력 발생용 모터(215)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스핀들(214) 상에서 밴드(40)를 감는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메모리(115)의 경보 신호 설정 영역을 참조하여 해당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1)는 착신 신호 또는 알람 등이 발생하면 경보 신호 설정 영역을 참조하고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압력 발생용 모터(215)를 구동시킨다. 압력 발생용 모터(215)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밴드(40)를 감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손목 등에 압력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압력 발생용 모터(215)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밴드(40)를 푸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사용자가 손목 상의 밴드(40)가 느슨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경보 발생부(217)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11)는 메모리(115)에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압력 발생용 모터(215)를 구동시켜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타이머(216)는 압력 발생용 모터(215)의 작동 시간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압력 발생용 모터(215)가 작동하도록 하여 인체에 과다한 압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타이머(216)를 이용하여 작동 시간을 측정한 후 일정 시간동안 일정 압력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거나 모터의 동작 방향을 밴드(40)를 감는 방향과 푸는 방향으로 반복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압력 경보 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압력 발생 모터(215)의 동작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에서 기존의 경보 신호 발생에 있어서의 단점, 예컨대 빛 경보 신호인 경우에는 시야를 벗어 났을 때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 소리 경보 신호인 경우에는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여 시야에 구애 받지 않고 소음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의 인체에 밴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에서 압력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형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와 접촉하는 밴드를 감거나 푸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 상의 밴드를 감는 방향 또는 푸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압력 발생용 모터와,
    착신 신호 또는 알람 등이 발생하면 상기 압력 발생용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핀들 상의 밴드를 감거나 풀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인체 상의 밴드가 조이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발생용 모터의 작동 시간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압력 발생용 모터가 작동하도록 하여 인체에 과다한 압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KR10-2001-0066594A 2001-10-27 2001-10-27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KR10041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594A KR100414665B1 (ko) 2001-10-27 2001-10-27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594A KR100414665B1 (ko) 2001-10-27 2001-10-27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34A KR20030034834A (ko) 2003-05-09
KR100414665B1 true KR100414665B1 (ko) 2004-01-13

Family

ID=2956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594A KR100414665B1 (ko) 2001-10-27 2001-10-27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6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419U (ko) * 1995-07-29 199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KR19990019666U (ko) * 1997-11-20 1999-06-15 김진웅 손목시계에 내장된 휴대전화기 수신장치
JPH11183657A (ja) * 1997-12-17 1999-07-09 Woody:Kk 着信報知機能付腕時計
JPH11262065A (ja) * 1998-03-11 1999-09-24 Sony Corp 携帯機器監視用腕時計
KR20000065793A (ko) * 1999-04-09 2000-11-15 박성구 휴대폰(피시에스, 이동전화, 셀룰러 등)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시계에서도 걸려오는 전화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 시계
KR200229972Y1 (ko) * 2001-02-09 2001-07-19 서경배 휴대용 무선전화기 착신신호 인식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419U (ko) * 1995-07-29 199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KR19990019666U (ko) * 1997-11-20 1999-06-15 김진웅 손목시계에 내장된 휴대전화기 수신장치
JPH11183657A (ja) * 1997-12-17 1999-07-09 Woody:Kk 着信報知機能付腕時計
JPH11262065A (ja) * 1998-03-11 1999-09-24 Sony Corp 携帯機器監視用腕時計
KR20000065793A (ko) * 1999-04-09 2000-11-15 박성구 휴대폰(피시에스, 이동전화, 셀룰러 등)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시계에서도 걸려오는 전화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 시계
KR200229972Y1 (ko) * 2001-02-09 2001-07-19 서경배 휴대용 무선전화기 착신신호 인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34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979A (en) Method for signaling an incoming telephone call without an audible signal
JPH06510646A (ja) 無音および可聴警報を有する無線機
KR20050021317A (ko)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수신기 모듈
US6798879B1 (en) Remote telephone call notification system
JP2003218989A (ja) 着信装置
KR20050021316A (ko) 차량 백업 경보 시스템, 차량, 송신기 모듈 및 방법
JPH0897892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414665B1 (ko)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JPH1051527A (ja) 携帯電話装置
JPH0865745A (ja) ページャーシステム及びそのページャー装置
JP2000124970A (ja) 移動電話端末および報知信号の制御方法
JPH11262065A (ja) 携帯機器監視用腕時計
JP3280336B2 (ja) 聴覚補助装置
GB2367210A (en) Watch with built-in call annunciation and phone locating features
JPH08307301A (ja) 携帯用無線装置
JPH09224074A (ja) 着信指示装置
KR20010037116A (ko) 유아 용변 자동 감지장치
JPH11331327A (ja) 携帯端末
JPH0276422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005204896A (ja) 無呼吸警報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323771Y1 (ko) 이동통신 휴대폰의 무선 착신 장치
JPH11136318A (ja) バイブレータ付き携帯電話機
KR200163323Y1 (ko) 착신전달용신체부착형무선진동체를갖는휴대용무선통신기기
JP3024463U (ja) 携帯電話機の着信告知装置
JPH09139761A (ja) アラ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