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143B1 -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143B1
KR100414143B1 KR10-2001-0067202A KR20010067202A KR100414143B1 KR 100414143 B1 KR100414143 B1 KR 100414143B1 KR 20010067202 A KR20010067202 A KR 20010067202A KR 100414143 B1 KR100414143 B1 KR 10041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touch
touch pa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5226A (en
Inventor
천명철
Original Assignee
미래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143B1/en
Publication of KR2003003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14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및 필기체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unit for a number input mode, a contract letter input mode, and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and a touch unit for number, contract letter, an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 touch pad 11 including; 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the selection of the numeric input mode,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handwriting input mode through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the touch pad 11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with the information of the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ode to decode the input information,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20); And a display unit 12 for outputting the scree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In this configuration, unlike the general touch screen in which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overlap each other in one area,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can be used as an area for text input.

Description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Mobile terminal using touchpad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 활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고, 또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의 동작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문자 입력모드에서, 비분할 입력모드 또는 분할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환경에 따른 적절하게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and in particular, by separating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widen the range of use of the input area of the touch pad, and also to select numbers, contract letters, and handwritten characters to select the input mode. The inpu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put environ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mouse mode can be utilized in each of the input modes. In particular,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non-segmented input mode or the divided input mode can be selected so as to be appropriate to the input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that enables input of information in a small touch pad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향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IMT-2000 휴대전화 단말기는 그 기능이 더욱 고 사양화 됨에 따라서 보다 더 큰 화면 및 PC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기존 컴퓨터에서 그 유용성이 증명된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사용될 것이 확실해 보인다.In general, the IMT-2000 mobile phone terminal, which is expected to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will have a larger screen and a similar interface to a PC as its functions become more sophisticated. It seems certain that the Graphic User Interface will be used.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과 같이 비교적 큰 화면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는 화면 자체가 터치패드로서 펜이나 손가락의 접촉에 따른 정보입력이 가능하지만, 화면에 손때가 묻거나 커서의 정밀한 조종이 힘들며, 대형 컬러 화면을 유지함에 따라 전력소모가 커져 배터리 충전까지의 사용시간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large screen such as a smartphone can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ouch of a pen or a finger as the screen itself is a touch pad, but it is difficult to get a finger on the screen or to precisely control a cursor, and to display a large color screen.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which shortens the use time until the battery is charged.

그러므로, 3세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한 지나치게 크지 않은 화면, 소비자의 요구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컬러 화면, 그리고, 개인정보, 인터넷, 게임 등을 다룰 수 있는 고성능화의 방향으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질 전망이다.Therefore, the 3rd generation terminal i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high performance that can handle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net, games, etc., which is not too large a screen considering the portability, a color screen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and the provision of multimedia services. This is expected to come true.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는 기구 자체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각 키의 개수가 제한된 키패드가 있을 뿐이어서, PC와 유사한 환경에 쉽게 적응케 하는 정보 입력장치 및 적절한 방법이 없는 관계로, 정보 입력 자체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only has a keypad with a limited number of keys due to the size limitation of the mechanism itself, so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an appropriate method for easily adapting to a PC-like environment. Since it i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 활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pad that can greatly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touchpad by separating the touchpad from the display unit.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해당 입력 모드선택에 따라 입력 처리할 수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apable of inputting numbers, contract letters, and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selection of a corresponding input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동작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고, 특히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mouse mode in each operation mode, and in particular to be able to process the input by dividing the non-dividing mode for finger input and the split mode for pen type input during character inpu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for easily inputting information in a small touch pad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비분할모드 예시도이고, 도 4b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분할모드 예시도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n-dividing mode of a touch unit in a text input mode,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lit mode of a touch unit in a text input mode.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드별 해당 메모리영역의 구성도이다.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figuration of a corresponding memory area for each inpu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입력 전체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tire process of information inpu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모바일 단말기 11 : 터치패드10: mobile terminal 11: touch pad

11a : 버튼부 11b : 터치부11a: button portion 11b: touch portion

12 : 디스플레이부 20 : 제어부12: display unit 20: control unit

21 : 터치패드 구동/입력부 22 : 중앙처리장치21: touch pad drive / input unit 22: central processing unit

23 : 타이머 24 : 메모리23: timer 24: memory

25 : 숫자 인식부 26 : 약정문자 인식부25: number recognition unit 26: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7 : 필기체 문자 인식부27: cursive character recognition uni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및 필기체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널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terminal, a button unit for the number input mod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numbers, contract character and A touch pad including a touch unit for inputting handwritten characters; 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the selection of the numeric input mode,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handwriting input mode through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nel,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and touches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A control unit which compares the input with information of the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ode, decodes the input information,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correspond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ler. In this configuration, unlike the general touch screen in which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overlap each other in one area, the touch pad By separating the display unit from each other,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may be used as an area for text input.

이는 본 발명의 첫 번째 기술적인 특징으로서, 여기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형의 터치패드를 통해 문자의 입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시켜서, 이 터치패드의 전체 터치영역을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시킨 모바일 단말기를 개발한 것이다.This is the first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n the mobile terminal,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put of characters through the small touch pad.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developed to use the entire touch area as an area for text inpu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the button unit for the numeric input mod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A touch pad including a touch unit for touch input of numbers, contract letters, handwritten characters, and a mouse; 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the input mode selection through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and compar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ode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To decode the input information, perform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switch to the mouse input mode when the mouse mode is selected in each input mode. Output is controlled, and in this mouse input mode, one touch is recognized as one click during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and two touches are recognized as double clicks.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input is not during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the mouse mode is releas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return to a previous input mode; And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는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인 특징으로서, 여기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통해 마우스 입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터치패드를 통해 약정 문자 및 필기체 문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터치패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및 선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시킨 모바일 단말기를 개발한 것이다.This is a second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bile terminal enables a mouse input to be processed through a touch pad to facilitate input, and also handles input of contract letters and handwritten characters through a touch pad. In addition, by distinguishing the non-dividing mode for finger input and the split mode for pen type input when inputting characters, the input and selection through the touch pad can be easily performed. Developed a mobi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ouch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기존의 터치스크린과는 달리,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unlike the conventional touch screen,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can be used as an area for text inpu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와,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로 구성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umeric input mode, a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a handwritten object. A touch pad 11 including a button unit for a text input mode, a touch unit for touch input of numbers, contract letters, handwritten characters, and a mouse, and controlling each unit, and controlling each unit through a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Recognizing the selection of the numeric input mode,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cursive input mode, the controller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and input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11 in the input mode in the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ode. And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the center of the control unit 20. The display unit 12 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2. In this configuration, unlike the general touch screen in which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overlap each other in one area, By separating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from each other,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can be used as an area for text input.

상기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식 터치패드 또는 정전식 터치패드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터치패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1)는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는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하고, 이 인쇄된 숫자와 해당 좌표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 저전력 타입의 터치패드로 구현하는 것이 적용 단말기의 소형화 및 저전력화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touch pad 11 may be embodied as a conventionally known touch pad such as a pressure type touch pad or a capacitive touch pad used in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touch pad 11 prints the numbers "0" to "9", "*" and "#" on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and allows the controller to recognize the printed numbers and corresponding coordinates. Numeric input can be easily performed in the numeric input mod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a touch pad of a small size and low power type because the miniaturization and low power of an applied terminal can be achieved.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과,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른 입력정보 해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모드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메모리영역에 포함하는 메모리(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20 drives the touch pad 11 to select an input mode through a button unit, a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for detecting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and controls each unit, and controls the touch pad. Recognizes the numeric mode, contract character mode, and handwriting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nput mode through the drive / input unit 2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nput mode, A control unit performing decoding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an input mode for inpu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ecoding inpu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he memory 24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memory areas to be stored separately and operated in the numeric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2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input matche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area. And a numeric recognition unit 25 for providing the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numb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operating in the contracted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which determines whether a character input matches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memory area, recognizes an input number, and provides a code of a recognized input contract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he CPU 22 operates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apparatus 22 to determine whether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recognizes an input number, and outputs a standard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handwritten character. It includes 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nit 27 provided to 22).

상기 메모리(24)는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과, 약정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과, 필기체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은 각 숫자코드별로 좌표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약정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은 약정 한글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한글 약정모드 영역과, 약정 영문자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영문 약정모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체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은 필기체 한글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필기체 한글모드 영역과, 필기체 영문자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필기체 약정모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좌표 패턴은 예를 들어 "가"로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좌표의 모임을 포함하고 있다.The memory 24 is divided into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input mode,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ract letter input mode, and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Coordinates are stored corresponding to each numeric code, and the memor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includes a Korean contract mode region corresponding to a coordinate pattern for each contracted Korean code, and an English coordinate pattern corresponding to a contract alphabet code. It includes a contract mode area. The memor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sive character input mode includes a cursive Korean mode region in which a coordinate pattern corresponds to each handwritten Korean code, and a cursive contract mode region in which a coordinate pattern corresponds to a cursive English character code. Here, the coordinate pattern includes, for example,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coordinates that can be recognized as "ga".

상기 제어부(20)의 숫자 인식부(25)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숫자를 판별하여 이 숫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The number recognition unit 25 of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with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determines the closest matching number to the code of the number. And converts the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상기 제어부(20)의 약정문자 인식부(26)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약정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약정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약정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The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of the controller 20 converts the contrac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ttern on the touch pad into the code of the contract character that most closely matches the contract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It is configured to provid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상기 제어부(20)의 필기체 인식부(27)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필기체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필기체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The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27 of the controller 20 compares the handwritten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tterns on the touch pad with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s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to standard codes of the closest matching characters. It is configured to provid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와,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와,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로 구성한다.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umeric input mode, a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a handwritten object. A touch pad 11 including a button unit for a text input mode, a touch unit for touch input of numbers, contract letters, handwritten characters, and a mouse, and controlling each unit, and controlling each unit through a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Recognizing the selection of the input mode, and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in the input mode,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11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area of the mode to decode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decoding At the same time, the screen output of the decrypted input information is controlled, and when the mouse mode is selected in each input mode, the mouse input mode is switch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mouse pointer. In this mouse input mode, the mouse input mode recognizes one touch as one click and two touches as a double click during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while the mouse mode is canceled if the touch input is not during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And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o return to the previous input mode, and a display unit 12 for outputting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상기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터치패드(11)는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는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하고, 이 인쇄된 숫자와 해당 좌표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을 쉽게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touch pad 11 may be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touch pad used in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and the touch pad 11 may have numbers "0" to "9", "*" and "" on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 &Quot;, and the printed number and corresponding coordinates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so that the numeric input can be easily processed in the numeric input mode.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과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른 입력정보 해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모드별로 저장하는 메모리(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약정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필기체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20 drives the touch pad 11 to control an input mode selection through a button unit and a touch input through a touch unit, and controls each unit, and controls the touch pad. Recognizes the number mode, contract character mode, and handwriting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nput mode through the input unit 2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nput mode, and inputs from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unit in operation. Performing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coding the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controlling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for each input mode. An input number recognized by recognizing an input number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number input coincides with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memory area by operating in the memory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memory 24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25 for providing a code of the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operating in the contracted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so as to input the contracted character input with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A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which determines whether a match is made and recognizes a contract character and provides a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contract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a handwritten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ich operates in the mode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ing character input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recognizes the input handwriting character, and provide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with a standard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handwriting character. And (27).

상기 제어부(20)의 메모리(24), 숫자 인식부(25), 약정문자 인식부(26) 및 필기체 인식부(27)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memory 24, the number recognition unit 25, the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and the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27 of the control unit 20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는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b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 선택시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는 엔트버튼(문자입력완료버튼)(b7), 분할모드 선택버튼(b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 모드에서 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마우스의 왼쪽버튼에 해당하는 선택버튼(클릭버튼)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에 해당하는 메뉴버튼 및 스크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11a of the touch pad 11 further includes a mouse mode selection button b5 (ⓜ),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of the controller 20 selects a mouse when the mouse mode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Configure to enter mode. 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11a of the touch pad 11 may further include an enter button (character input completion button) b7 and a split mode selection button b6, in order to provide ease of operation in the mouse mode. It may include a selection button (click button) corresponding to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a menu button and a scroll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button of the mouse.

이러한 버튼 선택방식과 달리,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는 내부의 타이머(23)로부터의 시간정보에 기초해서, 연속되는 터치입력이 마우스입력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서, 마우스 입력 설정시간은 문자 입력시에 연속적인 터치시간을 고려해서 문자 입력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시간과 구별되는 시간으로 설정한다.Unlike the button selection metho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of the control unit 20 uses the mouse mode when the continuous touch input elapses from the mouse input setting tim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internal timer 23. In this case, the mouse input setting time is set to a time distinguished from the continuous touch time by the character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continuous touch time during the character input.

도 4a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비분할모드 예시도이고, 도 4b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분할모드 예시도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11b)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전체 영역을 터치영역을 설정하는 비분할 모드에서의 1문자 입력완료는 버튼부를 통한 버튼선택방식과 터치부를 통한 특정영역 터치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n-dividing mode of a touch unit in a text input mode,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lit mode of a touch unit in a text input mode. Referring to FIG. 4A,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the touch pad 11. In the non-dividing mode in which the entire touch area 11b of the touch unit 11b is set as a touch area for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and the entire area is set as a touch area, a button selection method and a touch unit are used. It may be made by a specific area touch method.

상기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완료버튼의 선택으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도록 구성한다.The CPU 22 sets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11 as a touch area for inputting one character, and recognizes one character input by selecting an input complete button of the button part. Configure.

도 4b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는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적어도 2개이상의 터치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분할버튼 선택에 따라 터치부를 사전에 설정된 터치영역, 예를 들어, 전체 터치영역을 2개 또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영역별로 구분하여 터치입력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4B,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may include a split button for dividing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into at least two touch area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the touch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ivision button of the pad 11, the touch unit is configured to divide the touch area, for example, the entire touch area into two or four areas, and divide the respective touch areas into the divided areas to control the touch input proces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드별 해당 메모리영역의 구성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이고, 도 5b는 한글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이며, 도 5c는 영문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입력 전체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rresponding memory area for each inpu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FIG. 5A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 numeric input mode, and FIG. 5B is a memory corresponding to a Korean input mode. 5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memory region corresponding to an English input mod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tire information input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Opera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에 포함된 버튼, 예를 들어, 숫자 입력모드(b1), 약정문자 입력모드(b2,b3)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b4)에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한후,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11b)를 통해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한다.1, 2 and 6,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included in the button portion 11a of the touch pad 11, for example, a numeric input mode ( b1),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ontract letter input mode (b2, b3) and a cursive character input mode (b4) is selected, and then a number, a contract character, and a cursive character through the touch unit 11b of the touch pad 11. Enter.

그러면,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각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터치패드(11)를 통한 입력을 계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즉 숫자 입력모드(b1), 약정문자 입력모드(b2,b3) 및 필기체 입력모드(b4)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Then, the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tinuously monitoring the input through the touch pad 11, while controlling each part, the input mode through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that is, the numeric input mode (b1) Recognizes the selection of the contract letter input mode (b2, b3) and the cursive input mode (b4),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and inputs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11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The input information is decoded in comparison with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area,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is controll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 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기본의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패드의 활용영역을 확대시키고, 이를 통한 터치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nlike the general touch screen in which the basic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overlap each other in one area. In this configuration,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can be used as an area for text input, thereby expanding the utilization area of the touch pad and easily performing touch input.

상기한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 인쇄된 숫자를 터치하여 이 터치영역을 사전에 설정된 해당 숫자로 인식하도록 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의 숫자 입력을 간편화 하였다.The touch pad 11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pressure-sensitive touch pad used in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and also prints the numbers "0" to "9", "*" and "#" on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In the numeric input mode, the printed area is touched to recognize the touch area as a preset number, simplifying the numeric input in the numeric input mode.

상기 제어부(20)에 대한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20)의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과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화면 출력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 in more detail, first, the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of the control unit 20 drives the touch pad 11 to select an input mode through the button unit and the touch unit. It detect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provid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In addition, the CPU 22 controls the respective units, and recognizes the numeric mode, the contract character mode, and the handwritte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nput mode through the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ode,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unit in operation, and decodes it, and outputs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2.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각 입력모드별 입력 및 처리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put and processing of each input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상기 숫자 인식부(2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First, the number recognition unit 25 operates in the numb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number input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and recognizes the input number to input the recognized number. The code of the number is provided to the CPU 22, which compare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with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s the code into the code of the most matching number. It is provided to the processing apparatus 22.

다음, 상기 약정문자 인식부(26)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 약정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약정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약정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근접하는 약정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Next, the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operates in the contract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atches th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to recognize the input contract character. And inputs the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contract character to the CPU 22, which compares the contrac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ttern on the touch pad with the contract charac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to obtain the closest match. The code is converted into a code of a contract character and provided to the CPU 22.

그리고, 상기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 필기체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필기체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필기체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필기체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Th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nit 27 operates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2 to determine whether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atches th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to recognize the input handwritten character. And a standard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handwritten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which compares the handwritten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ttern on the touch pad with the handwritten character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 standard code of matching handwritten characters is converted and provided to the CPU 22.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공통점을 설명하면,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한 것과, 입력모드별로 서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입력 문자를 해당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문자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서, 즉 모든 문자와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문자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서,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on point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gener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overlap each other in one area. Unlike the touch screen,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put character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input mode are compared with characters stored in a corresponding memory area, that is, all characters. By comparing with a predetermined character, rather than comparing wi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and to distinguish between a non-dividing mode for finger input and a split mode for pen type input when inputting characters. In order to easily input information in a small touch pad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On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PC와 같이, 사용상의 간편화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when explaining the difference from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mouse mode in each input mode, such as to improve the ease of use further, like a general PC,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s follows.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패드(11)에 있어서, 이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를 통해 입력모드, 즉,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마우스 모드를 선택하여 터치부를 통한 마우스 입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우스 모드의 진입에 대해서는후술한다.1, 3 and 6, in the touch pad 11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ode, through the button portion 11a of the touch pad 11, That i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numeric input mode,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can be selected, and the mouse mode is selected to perform the mouse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Here, the entry of the mouse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면,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각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에서는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Then, the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trolling each part, recognizes the input mode selection through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the touch pad 11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Compar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with the information of the memory area of the mode to decode the input information,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When mouse mode is selected in the mouse mode, the mouse input mode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mouse pointer.In this mouse input mode, one touch is recognized as one click and two times as double clicks during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If the touch input is not within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the mouse mode is released and the control returns to the previous input mode. The display unit 12 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of the control unit 20.

한편, 상기 마우스 모드의 진입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는 버튼선택방식과 터치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첫 번째. 버튼방식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버튼부는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 선택시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두 번째, 터치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는 내부의 타이머(23)로부터의 시간정보에 기초해서, 연속되는 터치입력이 마우스입력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ry of the mouse mode is described, this can be performed by a button selection method and a touch method, first. In the button method,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further comprises a mouse mode selection butt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unit enters the mouse mode when the mouse mode selection button selection. Secondly, in the touch metho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of the control unit 20 is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internal timer 23, when the continuous touch input passes the mouse input setting time. To enter mouse mode.

이와 같이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면, 일련의 연속적인 터치에 따라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고,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에 표시된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entering the mouse mode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cursor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series of continuous touches,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a fun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다른 한편,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 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input processing by dividing the non-dividing mode for finger input and the dividing mode for pen type input at the time of character input will be described.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터치부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특정영역의 터치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완료버튼의 선택으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한다.Referring to FIG. 4A,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ts the entire touch unit area of the touch pad 11 as a touch area for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and because of the touch of a specific area located at an edge of the touch unit 11. Recognize character input.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ts the entire touch unit area of the touch pad 11 as a touch area for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and recognizes one character input due to selection of the input completed button of the button unit.

다음,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는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적어도 2개이상의 터치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분할버튼 선택에 따라 터치부를 사전에 설정된 터치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영역별로 구분하여 터치입력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Next, referring to FIG. 4B,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includes a split button for dividing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into at least two touch area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ler 20 includes the touch.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ivision button of the pad 11, the touch unit is divided into preset touch regions, and the touch unit is controlled to process the touch input by dividing the touch units by the division region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 활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고, 또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의 동작을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parating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greatly widen the range of use of the input area of the touch pad, and also to process the input of numbers, contract letters and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nput mode. And, the operation of the mouse mode can be utilized in each input mode.

특히 문자 입력모드에서, 비분할 입력모드 또는 분할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환경에 따른 적절하게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하므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PC와 유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고, 문자정보 입력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이성을 추구하는데 있다.In particular,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user can select a non-divided input mode or a split input mode so that character input can be perform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input environment, and thus information can be easily input from a small touch pad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That has a special effect. That is,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like usage environment more similar to a PC, and to facilitate the input of character information for ease of use.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3세대 이상의 휴대전화 단말기는 기존의 PC와 많이 닮아갈 것으로 보이며, GUI에서 마우스(화면에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역할은 무척 큰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된 입력방법만 제공하는 키패드 대신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터치패드(숫자패드 기 인쇄)를 사용하여 기존의 키패드 역할을 대신하는 한편,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제공하여 GUI환경에 적합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3rd generation or more mobile phone terminals are expected to resemble the existing PCs, and the role of the mouse (the mouse pointer on the screen) in the GUI is very larg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existing keypad function by using a touch pad (printing number pad) used in a notebook computer instead of a keypad providing only a limited input method, and provides a mouse pointer on the screen to provide a GUI suitable for a GUI environment. To provide.

또한, 알파벳을 쓰는 서양어권과 달리 동양어권은 대체적으로 한 문자당 획수가 많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 문자를 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문자당 함축된 의미도 서양어권에 비해 많다. 이런 연유로 동양어권에서는 서양어권보다 필기체 입력이 더 중요하며 더 간편하게 많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인데, 터치패드에서 손가락으로 쓰는 문자나, 기 내장된(또는 볼펜 등)펜을 사용하여 문자입력을 가능케 하면, 기존 키패드로 사용하는 문자입력보다 훨씬 간편하게 입력 가능하며, 키패드 문자입력이 어려운 기성 세대들도 단문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필기체 문자 인식을 동양어권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며 동양어권에 더 효율적일 뿐이다.In addition, unlike the Western-language using the alphabet, the Oriental-language has a large number of strokes per character. Therefore, it takes a lot of time to write a letter, and there are more implications per letter than in Western languages. For this reason, handwriting input is more important in Asian languages than Western languages, and it is a more convenient way to enter many characters.You can enter characters using your finger on the touchpad or using a built-in pen (or ballpoint pen). When enabled, it is much easier to input than the character input using the existing keypad, and the older generation difficult to enter keypad characters will be able to easily use short-term services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to Asian languages, but is only more efficient for Asian language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description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configuration are possible from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laims (19)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10)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10 using the touch pad,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A touch pad 11 including a button unit for a numeric input mode, a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and a touch unit for touch input of numbers, contract characters, handwritten characters, and a mouse;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 및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the selection of the numeric input mode, the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handwriting input mode through 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the touch pad 11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with the information of the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ode to decode the input information,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20); And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하며,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2 for outputting the scree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of the control unit 20,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Unlike the general touch screen in which the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overlap each other in one area,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is inputted with characters.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pad, characterized in that to be used as an area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uch pad 11 is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sensitive touch pad used in notebook comput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uch pad 11 is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0" to "9", "*" and "#"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20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A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for driving the touch pad 11 to select an input mode through a button unit and detecting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The controller 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a numeric mode, a contract character mode, and a handwriting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n input mode through the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nput mode. A central processing unit (22) for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from a corresponding recognition unit in operation and controlling a screen output of the decrypted input information;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A memory 24 for storing information and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CPU 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A number recognizing unit 25 operating in the numb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o recognize the numeric input and provide the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numb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A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operating in the contract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recognizing a contract character input to provide a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contract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nit 27 operating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o recognize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nd provide a standard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handwritten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pad comprising 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숫자 인식부는The number recognition unit of claim 4, wherein the number recogni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The number or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r let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ed into a code of the most matching number or letter and provided to the CPU. Mobile terminal using the pa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약정문자 인식부는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of the controller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The number or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r let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ed into a code of the most matching number or letter and provided to the CPU. Mobile terminal using the pa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필기체 인식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touch pad,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 number or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with the number or let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ing the number or letter into a standard code of the most matching letter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CPU. Mobile terminal using.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10)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10 using the touch pad,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A touch pad 11 including a button unit for a numeric input mode, a contract character input mode, and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ode, and a touch unit for touch input of numbers, contract characters, handwritten characters, and a mouse;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 및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an input mode selection through a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enters the selected input mode, and inputs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11 in the corresponding input mode. Compare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area to decode the input information,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screen output of the decoded input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screen output of the mouse pointer, in this mouse input mode, one touch is recognized as one click and two times as double clicks during the click input setting time. A control unit 20 for releasing the mouse mode and returning to the previous input mode; And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unit 12 for outputting the scree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of the control unit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ouch pad 11 is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sensitive touch pad used in notebook comput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ouch pad 11 is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0" to "9", "*" and "#"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20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A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for driving the touch pad 11 to select an input mode through a button unit and detecting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unit;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The controller controls each unit, recognizes a numeric mode, a contract character mode, and a handwriting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n input mode through the touch pad driving / input unit 21,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nput mode. A central processing unit (22) for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from a corresponding recognition unit in operation and controlling a screen output of the decrypted input information;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A memory 24 for storing information and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CPU 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A number recognizing unit 25 operating in the numb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o recognize the numeric input and provide the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numb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A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26 operating in the contract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recognizing a contract character input to provide a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contract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nit 27 operating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o recognize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nd provide a standard code of the recognized input handwritten character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pad comprising a.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숫자 인식부는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number recogni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The number or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r let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ed into a code of the most matching number or letter and provided to the CPU. Mobile terminal using the pa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약정문자 인식부는The contract character recognition unit of claim 11, wherein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The number or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r let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ed into a code of the most matching number or letter and provided to the CPU. Mobile terminal using the pa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필기체 인식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touch pad,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 number or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ordinates on the touch pad with the number or letter of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f the memory and converting the number or letter into a standard code of the most matching letter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CPU. Mobile terminal u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claim 11, wherein 내부의 타이머(23)로부터의 시간정보에 기초해서, 연속되는 터치입력이 마우스입력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se mode is entered when a continuous touch input passes a mouse input setting time based on time information from an internal timer (23).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터치패드의 버튼부는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further includes a mouse mode selection button,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unit 상기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 선택시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wherein the mouse mode is entered when the mouse mode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터치부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특정영역의 터치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touch,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11 as a touch area for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and recognizing one letter input due to the touch of a specific area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touch part. Mobile terminal using the pa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완료버튼의 선택으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Using the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11 is set as a touch area for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and one character input is recognized due to selection of an input complete button of the button part. Mobile terminal. 제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는The button unit of the touch pad 11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적어도 2개 이상의 터치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버튼을 포함하고,A division button for dividing the touch unit of the touch pad into at least two touch regions,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는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unit 20 상기 터치패드(11)의 분할버튼 선택에 따라 터치부를 사전에 설정된 터치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영역별로 구분하여 터치입력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unit is divided into preset touch area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ivision button of the touch pad 11 to control the touch input by dividing the touch parts into preset touch areas.
KR10-2001-0067202A 2001-10-30 2001-10-30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KR100414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02A KR100414143B1 (en) 2001-10-30 2001-10-30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02A KR100414143B1 (en) 2001-10-30 2001-10-30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26A KR20030035226A (en) 2003-05-09
KR100414143B1 true KR100414143B1 (en) 2004-01-13

Family

ID=2956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202A KR100414143B1 (en) 2001-10-30 2001-10-30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1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45B1 (en) * 2002-10-10 2004-10-0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One hand keyboard
KR101085448B1 (en) * 2003-10-20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gnition of pattern,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050048758A (en) * 2003-11-20 2005-05-25 지현진 Inputting method and appartus of character using virtual button on touch screen or touch pad
FI20045149A (en) * 2004-04-23 2005-10-24 Nokia Corp User interface
KR100623061B1 (en) * 2004-07-27 2006-09-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KR100656779B1 (en) * 2005-03-05 2006-12-19 송우찬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100837739B1 (en) * 2006-02-13 2008-06-13 주식회사 애트랩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and a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KR100710362B1 (en) * 2005-08-12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747580B1 (en) * 2005-09-15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put screen change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56203B1 (en) 2006-06-2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inger mark recognition sensor
KR100910577B1 (en) 2006-09-11 2009-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00275B1 (en) * 2006-10-17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mode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927439B1 (en) * 2007-08-24 2009-11-19 (주)에이트리 Electronic device and letter in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1632880B1 (en) * 2009-04-24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tion type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817A (en) * 1994-05-16 1995-11-28 Sharp Corp Handwritten character input/display device
JPH10124253A (en) * 1996-10-24 1998-05-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ouse with touch panel
KR19990032065A (en) * 1997-10-16 1999-05-06 윤종용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08163A (en)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touch pad
KR20000050087A (en) * 2000-05-15 2000-08-05 전영삼 A lecture system using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817A (en) * 1994-05-16 1995-11-28 Sharp Corp Handwritten character input/display device
JPH10124253A (en) * 1996-10-24 1998-05-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ouse with touch panel
KR19990032065A (en) * 1997-10-16 1999-05-06 윤종용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08163A (en)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touch pad
KR20000050087A (en) * 2000-05-15 2000-08-05 전영삼 A lecture system using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26A (en)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428B2 (e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JP4242270B2 (en) Pen input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s
US7592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US9104306B2 (en) Translation of directional input to gesture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20060119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sing a touchpad
US200502833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0414143B1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JP20042132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WO2000072300A1 (en) Data entry device recording input in two dimensions
JP5888423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KR100380600B1 (en) Method for inputing a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0800709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US200402396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KR20070100097A (en) Dual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keyboard function
WO2012001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functions and data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said system and method
KR20080097563A (en) Keyboar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614505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JP2003005902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controlling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060097300A (en)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20000024489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oftware keyboard for note-recognition and note-recognition method by pen input
WO2001045034A1 (en) Ideographic character input using legitimate characters as components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20030030563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pointing device
KR20090042425A (en)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