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362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362B1
KR100710362B1 KR1020050074193A KR20050074193A KR100710362B1 KR 100710362 B1 KR100710362 B1 KR 100710362B1 KR 1020050074193 A KR1020050074193 A KR 1020050074193A KR 20050074193 A KR20050074193 A KR 20050074193A KR 100710362 B1 KR100710362 B1 KR 10071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ey button
keypad
us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9332A (en
Inventor
이상혁
박연우
천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362B1/en
Priority to EP06016840.8A priority patent/EP1752860B1/en
Priority to US11/502,482 priority patent/US20070035527A1/en
Priority to JP2006221334A priority patent/JP4925767B2/en
Priority to CN2006101155772A priority patent/CN1921667B/en
Publication of KR2007001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362B1/en
Priority to US12/419,175 priority patent/US200901976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을 누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키버튼이 정확히 터치되어 입력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알림부, 및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스크린 상의 키버튼을 정확히 터치하면 이를 시감, 청감 및/또는 진동감으로 느낄 수가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키버튼 조작이 더 편안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type is displayed on the keypad for the terminal user inputs arbitrary information, the user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button of the keypad Provides a terminal including a key input notif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so that the key button is correctly tou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rminal user accurately touches the key button on the key screen of the terminal, the user can feel it with a sense of sight, hearing and / or vibra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in the terminal with the touch screen is more comfortable. have.

터치스크린, 단말기, 진동 Touch screen, terminal, vibration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이다.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 1 디스플레이부 150: 터치스크린 보호필름부100: first display unit 150: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unit

200: 제 2 디스플레이부 300: 제어부200: second display unit 300: control unit

400: 키입력알림부400: key input notification unit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 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데, 그와 같은 변화 중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저변확대에 따른 수요자들의 요구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일반적 음성통화 이외에도 동영상 촬영 및 재생, MP3 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Today,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undergoing a drastic change, and among these chang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ing used as many as a necessity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demand of consumer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and MP3 file playback are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general voice call.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많이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 타입이 아닌 푸시버튼(push-button) 타입의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키버튼을 누르면 키버튼이 단말기 내부 방향으로 살짝 눌러지는 감촉이 있어 단말기 사용자가 키버튼이 제대로 눌러졌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의 키버튼을 눌러도 종래의 눌러지는 감촉을 느낄 수가 없어서 제대로 눌러졌는지 쉽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man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ype display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ush-button type rather than the touch screen type, when the key button is pressed, the key button is lightly pr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press the key button. I could recognize it. However, the touch scree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terminal user does not feel the conventional pressing feeling even when the user presses a key button on the touch screen, and thu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it is properly pressed.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의 키버튼을 눌러도 제대로 눌러졌는지 쉽게 감촉으로 느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easily felt as a touch whether a terminal user is properly pressed even when a user presses a key button on a touch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사 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을 누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키버튼이 정확히 터치되어 입력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알림부, 및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in which a terminal for displaying arbitrary information on a terminal by a terminal user, and when the user presses a key button on the keypad, the user presses the key button. It provides a terminal including a key input notif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to recognize that the touch is correctly inpu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및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키버튼을 누르면 상기 키버튼의 형상이 변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user includes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keypad for inputting arbitrary information into th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the display unit When pressing any one key button of the keypad provides a terminal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key butt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보호필름부, 및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keypad for inputting arbitrary information to a terminal by a user, and a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unit and corresponding to a key button of the keypad. When the terminal user touches the key button provides 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portion is formed to provide a touch feeling to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PDA,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게임기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game machines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DAs,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will be describ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First 실시예Examp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1 and 2,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제 1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前面)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보호필름부(150), 및 디스플레이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 2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어부, 무선송수신부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나,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scree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first display unit 100 of the touch screen type.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that can be used only for the display is configured. 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etc.) other than the above components,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제 1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 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200)도 제 1 디스플레이(100)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상에는 상기 보호필름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필름부(150)는 투명한 재질의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display unit 100 displays a keypad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touch scree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serves to display information or a vide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display unit 2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like the first display 100.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is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is preferably formed of, but not limited to, rubber, silicone, plastic, and the lik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보호필름부(150)가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도 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is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상에서 키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도 1의 I-I선)을 단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상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보호필름부(150)에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키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소정의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굴곡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 사용자에게 키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소정의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또는 구성이 상기 보호필름부(150)에 형성되어도 상관없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I line of FIG. 1) in which a key butto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2,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has a bend to provide a predetermined touch feeling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 button. Formed. In FIG. 2, a curved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shape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FIG. 2, and any shape or shape can be provided when a user can provide a predetermined touch when the user touches a key button. A constitution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보호필름부(150)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단말기 사용자가 키버튼을 눌렀을 때 키버튼이 눌러지는 감촉을 느끼게 하여 키버튼이 정확히 눌러졌음을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otective film unit 150 not only serves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but also when the terminal user presses the key button, the key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key button is pressed correctly. Make it sensible.

제 2 2nd 실시예Exampl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후술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이다.3 and 4,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hird embodiment described below, and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제 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무선송수신부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나,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controller 300 of the touch screen ty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other than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제 1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 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200)도 제 1 디스플레이(100)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제어부(300)는 단말기 전체를 제어한다.The first display unit 100 displays a keypad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touch scree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serves to display information or a vide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display unit 2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like the first display 100.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entire terminal.

이러한 구성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상의 키패드 중 임의의 한 키버튼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이를 감지하여 제 1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키버튼의 형상을 일정시간(예를 들면, 1초)동안 변하게 하도록 제어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정확히 터치하였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상의 키패드 중 "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100)는 단말기 사용자가 "1"버튼을 터치하였음을 감지하고, 제 1 디스플레이(100) 상의 "1"버튼의 색깔을 변하게 하거나 "1"버튼의 모양이 커지거나 반전되도록 한다. 이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정확히 "1"버튼을 터치하였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erminal user touches any one key button of the keypad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controller 300 detects this and the first display unit 100 adjusts the shape of the key button. It is controlled to change for a time (for example, 1 second) to visually recognize that the terminal user has touched the key button correctly.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user presses the "1" button of the keypad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at the terminal user has touched the "1" button, and on the first display 100 Change the color of the "1" button or make the shape of the "1" button larger or inverted. This allows the terminal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at he or she has touched the "1" button correctly.

제 3 3rd 실시예Example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술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이다.3 and 5,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제 1 디스플레이부(100), 제 2 디스플레이부(200), 제어부(300), 및 키입력알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무선송수신부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나,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3 and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second display unit 200,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touch screen type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key input notification unit 400. 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other than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제 1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 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200)도 제 1 디스플레이(100)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제어부(300)는 단말기 전체를 제어한다. 그리고, 키입력알림부(400)는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상의 임의의 키버튼을 터치할 때 키버튼이 정확히 터치되어 입력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신호, 예를 들면 진동 및/또는 음향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display unit 100 displays a keypad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touch scree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serves to display information or a vide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display unit 2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like the first display 100.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entire terminal. In addition, 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400 may provide a notification signal, for example, a vibration and / or a sound signal, to allow the terminal user to recognize that the key button is correctly touched when the user touches any key button on the keypad. It plays a role.

먼저 키입력알림부(400)에서 음향 신호가 발생되는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키입력알림부(400)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 키버튼을 정확히 터치하였을 때 상기 스피커에서 사전설정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향은 임의의 기계음일 수도 있고, 사람의 음성일 수도 있다. 상기 음향은 키버튼에 따라 각각 다른 음향이 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음향이 사람의 음성일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가 "1", "2" 버튼 등을 누르면 스피 커에서 이에 해당되는 발음, 즉 "일", "이" 등의 음성이 각각 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사용자가 2개 이상의 버튼을 동시에 터치하거나 키버튼 영역 밖의 부분을 터치하는 등의 이유로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터치하려는 의도인지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입력 오류임을 나타내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 configuration in which a sound signal is generated by 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400 will be described. 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400 includes a speaker, and when the user correctly touches a key button on the touch screen, the speaker is preset in the speaker. The set sound is configured to be output. The sound may be any machine sound or human voice. The sound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different sounds come out according to key buttons. In particular, when the sound is a human voice, when the terminal user presses the "1", "2" button, etc., the speaker generates a corresponding voice, that is, "one", "yi", etc.,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300 cannot determine which button the terminal user intends to touch due to the fact that the terminal user touches two or more buttons simultaneously or touches a portion outside the key button area, a separate input is performe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output a warning sound indicating an error.

그리고, 키입력알림부(400)에서 진동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키입력알림부(400)는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 키버튼을 정확히 터치하였을 때 상기 진동모터가 사전설정된 진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시각장애자를 위해, 상기 진동의 타입(즉, 길이, 세기,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은 키버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사용자가 2개 이상의 버튼을 동시에 터치하거나 키버튼 영역 밖의 부분을 터치하는 등의 이유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터치하려는 의도인지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입력 오류임을 나타내는 타입의 진동이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400, 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400 includes a vibration motor, when the user correctly touches a key button on the touch screen. The mo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reset vibration. Particularly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type of vibration (ie, at least one of length, intensity, and number of times) may be configured to come o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key button.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user cannot determine which button the terminal user intends to touch due to the fact that the terminal user touches two or more buttons at the same time or touches a portion outside the key button area, the terminal user indicates a separate input error.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is configured to be outpu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들 중 복수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ind it very easy to us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스크린 상의 키버튼을 정확히 터치하면 이를 시감, 청감 및/또는 진동감으로 느낄 수가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키버튼 조작이 더 편안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rminal user accurately touches the key button on the key screen of the terminal, the user can feel it with a sense of sight, hearing and / or vibra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in the terminal with the touch screen is more comfortable. have.

Claims (18)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on which a keypad for inputting arbitrary information by the terminal user to the terminal is displayed;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을 누를 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키버튼이 정확히 터치되어 입력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알림부; 및A key input notif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user presses a key button of the keypa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key button is touched correctly; And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상기 키입력알림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키버튼을 누를 때 상기 진동모터가 진동 신호를 일으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comprises a vibration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mo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vibration signal when the user presses a key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알림부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키버튼을 누를 때 상기 스피커에서 사전설정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key input notification unit includes a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utput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from the speaker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butt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향은 기계음 또는 사람의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sound is a machine sound or a human vo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출력되는 음향은 사용자가 누르는 상기 키패드 상의 키버튼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output sound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key button on the keypad that the user pres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전용의 또다른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other display dedicated to the displa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동의 길이, 세기,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누르는 상기 키버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t least one of the length, intensity, and frequency of the vibr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key button that the user presses.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및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on which a keypad for inputting arbitrary information by the terminal user to the terminal is displayed; And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키버튼을 누르면 상기 키버튼의 형상이 변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The display unit is a terminal for displaying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key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any one of the keypa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키버튼를 누르면 상기 키버튼의 형상이 소정 시간동안 반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key button is inver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ser presses any one key button of the keypa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키버튼를 누르면 상기 키버튼의 형상이 소정 시간동안 확대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key button so that the shape of the key button is enlarg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ser presses any one key button of the keypa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키버튼를 누르면 상기 키버튼의 색깔이 소정 시간동안 변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color of the key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ser presses any one key button of the keypa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전용의 또다른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other display dedicated to the display.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임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on which a keypad for inputting arbitrary information by the terminal user to the terminal is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보호필름부; 및A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unit formed on the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provide a touch feeling to the user when the terminal user touches the key butto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f the keypad; And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보호필름부에서 상기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한 형상은,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shape for providing the touch feeling in the protective film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f the keypad.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전용의 또다른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other display dedicated to the display.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7,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74193A 2005-08-12 2005-08-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710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93A KR100710362B1 (en) 2005-08-12 2005-08-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EP06016840.8A EP1752860B1 (en) 2005-08-12 2006-08-11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corresponding method
US11/502,482 US20070035527A1 (en) 2005-08-12 2006-08-11 Touch screen assembly,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assembly, and key input method on the mobile terminal
JP2006221334A JP4925767B2 (en) 2005-08-12 2006-08-14 Touch screen assembly,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CN2006101155772A CN1921667B (en) 2005-08-12 2006-08-14 Touch screen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key input method
US12/419,175 US20090197648A1 (en) 2005-08-12 2009-04-06 Touch screen assembly,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assembly, and key input method on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93A KR100710362B1 (en) 2005-08-12 2005-08-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332A KR20070019332A (en) 2007-02-15
KR100710362B1 true KR100710362B1 (en) 2007-04-23

Family

ID=3777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93A KR100710362B1 (en) 2005-08-12 2005-08-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0362B1 (en)
CN (1) CN1921667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4880B2 (en) 2010-12-17 2014-1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ci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haptic information,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US9530399B2 (en) 2013-05-09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
US9977497B2 (en) 2013-01-15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497B1 (en) * 2006-06-26 2008-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31874B1 (en) * 2007-05-22 2008-05-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touch panel of mobile terminal
US8509854B2 (en) 2007-09-18 2013-08-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GB2462465B (en) 2008-08-08 2013-02-13 Hiwave Technologies Uk Ltd Touch sensitive device
KR101153553B1 (en) 2010-07-28 2012-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Vib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reof
KR101320176B1 (en) 2011-12-26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Haptic feedback device
CN103455263B (en) * 2012-05-31 2017-04-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input keyboard
US9513743B2 (en) * 2012-06-01 2016-12-06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JP5843371B2 (en) 2013-03-20 2016-01-1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Vibration generator
KR102138323B1 (en) 2013-12-30 2020-08-13 주식회사 엠플러스 Vibarator
CN109586512A (en) * 2018-11-02 2019-04-05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inear oscillator mould grou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449A (en)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Key data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35226A (en) * 2001-10-30 2003-05-09 미래통신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7867A (en) * 1998-05-29 1999-11-02 Nortel Networks Corporation Touch pad panel with tactile feedback
CA2278832A1 (en) * 1999-01-06 2000-07-06 Vtech Communications, Ltd.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CN2656031Y (en) * 2003-06-18 2004-11-17 湖南工程学院机械厂 Electromagnetic vib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449A (en)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Key data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35226A (en) * 2001-10-30 2003-05-09 미래통신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4880B2 (en) 2010-12-17 2014-1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ci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haptic information,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US9977497B2 (en) 2013-01-15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530399B2 (en) 2013-05-09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332A (en) 2007-02-15
CN1921667B (en) 2011-09-28
CN1921667A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36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9692881B2 (e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463821B1 (en) Portable terminal
US7966084B2 (en)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a tap determination circuit
KR101265914B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1145921B1 (en)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Same
US20090009480A1 (en) Keypad with tactile touch glass
JP2007052785A (en) Touch screen assembly,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erminal
KR20090005160A (en) Operational mode swit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9675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792307A (en) Wireless headset and earphone adjusting method
JP5421631B2 (en) Electronics
US20080094258A1 (en) Electronic system with user-operable keys and capability of prompting keys being touched
CN106961518A (en) The chang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audio-frequency play mode
JP4925628B2 (en) Mobile 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device
KR102364324B1 (en) Electronic device
JP2013229062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3191231A (en) Electronic device
JP5748799B2 (en) Electronics
KR100520528B1 (e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for vehicle
KR100925424B1 (en) Mobile phone having function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and vibration volume
JP2008187569A (en) Mobile phone
JP2007066169A (en) Cellular 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ular phone device
JP2014045382A (en) Portable telephone
CN113079446A (en)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