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617B1 - 콘크리트 폼 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폼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617B1
KR100384617B1 KR10-1999-0036040A KR19990036040A KR100384617B1 KR 100384617 B1 KR100384617 B1 KR 100384617B1 KR 19990036040 A KR19990036040 A KR 19990036040A KR 100384617 B1 KR100384617 B1 KR 10038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am
foam panel
concrete
ribs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775A (ko
Inventor
최운선
Original Assignee
대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6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using gas or stea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이용되는 콘크리트 폼 패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수직 리브와 수평 리브, 테두리가 구비된 수지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에 있어서,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와, 상기 테두리(14)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14',15')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14',15') 내부에 가스 홀(18)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자중이 크게 감소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낮아지면서 작업이 편리하게 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폼 패널{Concrete form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이용되는 콘크리트 폼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자중이 크게 감소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낮아지면서 작업이 편리하게 되도록 된 콘크리트 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폼 패널(흔히 거푸집)을 조립하여 임의의 공간을 구획하고, 이 구획된 임의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채워넣고 양생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이 만들어지는데, 종래에는 목재의 콘크리트 폼 패널이 주로 이용되었지만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으로 인해서 근래에는 수지 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수지 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은 주로 GMT(Glassfiber Metreinforced Thermoplastic)형 콘크리트 폼 패널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바닥이나 천장 등의 콘크리트 타설시 이용되는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을 도시하고 있는 바, (A)는 전면을, (B)는 후면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바닥이나 천장용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100)은 일반 수지류를 재질로 하여 GMT 사출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며, 전면(110)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어 있고, 후면(120)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120b) 및 수평 리브(120c)와, 테두리(120a)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벽면이나 기둥 등의 콘크리트 타설시 이용되는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을 도시하고 있는 바, (A)는 전면을, (B)는 후면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벽면이나 기둥용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200)은 일반 수지류를 재질로 하여 GMT 사출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며, 전면(210)은 미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어 있고, 후면(220)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220b) 및 수평 리브(220c)와, 테두리(220a)가 후방으로 돌출되되, 테두리(220a)의 둘레를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凹형 홈(210a)이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221a)과 테두리 프레임(221b)으로 구성된 보강 프레임(221)이 후면(220)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100)은 수평으로 설치된 철근이나 목재 등의 골조에 수평상태로 얹혀지므로 각각의 콘크리트 폼 패널(100)들을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지만, 도 8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200)은 수직상태로 세워지므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콘크리트 폼 패널(200)들을 맞댄 후 별도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들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인 바, 이를 참고로 하여 콘크리트 폼 패널(200)들간의 연결작업을 설명하면, 우선 각각의 콘크리트 폼 패널들(200)을 상호 맞댄 후, 맞대어져 밀폐된 홈(210a)에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용 플레이트(310)를 끼워 넣어서 콘크리트 폼 패널(200)의 테두리(220a)와 테두리 프레임(221a)에 연통되게 형성된 관통홀과, 체결용 플레이트(310)의 관통홀을 연통되도록 배치하고, 제1핀부재(320)의 끼움부(322)를 연통된 관통홀에 끼워 넣어서 한쪽의 콘크리트 폼 패널(200)의 테두리 프레임(221a)에 제1핀부재(320)의 헤드부(321)를 밀착시키고, 제1핀부재(320)의 체결홀(323)과 수평 프레임(221b)의 관통홀에 제1핀부재(320)와 동일한 형태의 제2핀부재(330)를 끼워 넣어서 콘크리트 폼 패널들(200)간의 연결을 완성한다.
이러한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100,200)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상기 연결부재(310,320,330)를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목재 콘크리트 폼 패널에 비해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100,200)은 자체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하여 그 두께를 두껍게 할 수밖에 없고,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면이나 기둥용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200)은 보다 큰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강 프레임(221)이 구비되므로, 수지류를 재질로 함에도 불구하고 자체 중량이 무거워서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폼 패널의 재질을 강도가 보강된 수지류로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폼 패널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지만 종래 콘크리트 폼 패널의 구조로는 자체 변형이 크게 발생되어 제품화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웠다.
또한, 상기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폼 패널(200)들을 상호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310,320,330)가 다수 필요하게 되어,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자중이 크게 감소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낮아지면서 작업이 편리하게 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X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4의 Y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들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들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10 ; 콘크리트 폼 패널, 11 ; 상부,
11a ; 상부 전면, 11b ; 상부 후면,
12 ; 하부, 12a ; 하부 전면,
12b ; 하부 후면, 13 ; 연결부,
13a ; 연결부 전면, 13b ; 연결부 후면,
14 ; 테두리, 14a ; 체결홀,
14' ; 보강부,
15a,15b,15c,15d,15e,15f ; 수직 리브,
15' ; 보강부, 16a,16b,16c ; 수평 리브,
17 ; 메인 가스공급라인, 17a ; 가스 주입부,
18 ; 가스 홀, 19a,19b ; 보강 리브,
20 ; 연결부재, 20a ; 끼움부,
20b ; 클립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前面)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고, 후면(後面)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 및 수평 리브와,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진 수지류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에 있어서, 상기 수직 리브 및 후면의 경계부와, 상기 테두리 및 후면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 내부에 가스 홀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10)은 전체 형상이 계단형태로 굴곡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ㅡ"형의 콘크리트 폼 패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10)은, 전체 형상이 계단형태로 굴곡되어 상부(11)와 하부(12) 및 연결부(13)로 구분되고, 이들 상·하부(11,12) 및 연결부(13)의 전면(11a,12a,13a)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며, 후면(11b,12b,13b)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 및 수평 리브(16a,16b,16c)와, 테두리(14)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양측 수직 리브(15a,15f)와 테두리(14) 사이에는 수평 리브(16c)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들 사이에는 수평 리브(16a,16b)가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수직리브(15a,15b,15c,15d, 15e,15f)들 사이에 선택적으로 보강 리브(19a,19b)가 배치된다. 또한,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이 수평 리브(16a,16b,16c)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의 가스 주입부(17a)는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5a는 도 4의 X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4의 Y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따르면, 상기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와, 상기 테두리(14)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14',15')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14',15') 내부에 가스 홀(18)이 형성되며, 이러한 보강부(14',15')의 가스 홀(18)들은 상기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 홀(18)과 상호 연통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10)은 가스주입 사출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금형 내에 융해된 수지류를 사출하고, 가스 인젝터로부터 상기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의 가스 주입부(17a)로 가스를 주입하되, 가스가 연속적으로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을 통해 보강부(14',15')로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실시예와 같은 콘크리트 폼 패널(10)이 제조되는데, 상기 수지류는 첨가물이 배합되어 강도를 향상시킨 것을 이용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수직 리브(15a,15b,15c,15d,15e, 15f)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와, 상기 테두리(14)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14',15')를 형성하되, 이 보강부(14',15') 내부에 가스 홀(18)을 형성하지 않으면, 사출성형 후에 냉각과정에서 변형이 크게 발생되어 제품화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콘크리트 폼 패널의 자중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은 상기에서 이미 간략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ㅡ"자형 콘크리트 폼 패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강도가 충분하게 부여되면서 성형성이 향상되어 상기 실시예와 같은 계단형태의 콘크리트 폼 패널(10)로 쉽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자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와 수평 리브(16a,16b,16C)의 배치는 임의적으로 변형할 수 있고, 그 높이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강 리브(19a,19b)를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들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홀(18)은 성형과정에서 다수개의 가스 인젝터를 각각의 보강부(14',15') 위치에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가스 주입부(17a)가 구비된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을 보강하여 가스 인젝터를 통해 주입되는 가스가 가스 주입부(17a) → 메인 가스공급라인(17) → 각각의 보강부(14',15')로 유입되도록 하면, 콘크리트 폼 패널(10)을 성형하기 위한 주변 장치가 단순화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이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이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의 가스 주입부(17a)가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가스 인젝터에 의한 가스 주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폼 패널들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14)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홀(14a)이 형성되어, 끼움부(20a)와 클립부(20b)로 구성된 연결부재(2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조립작업을 개략적으로 설명해 보면, 우선 콘크리트 폼 패널(10)을 맞대어 이들 각각의 콘크리트 폼 패널(10)에 형성된 체결홀(14a)을 연통되게 한 후, 연결부재(20)의 끼움부(20a)를 이 연통된 체결홀(14a)에 끼워 넣고, 클립부(20b)를 회전시키면, 클립부(20b)가 탄발적으로 벌어지면서 이 클립부(20b) 안으로 맞대어진 테두리(14)가 밀려들어가서 압착되므로 콘크리트 폼 패널(10)이 상호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테두리(14)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홀(14a)을 형성하고, 끼움부(20a)와 클립부(20b)로 구성된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폼 패널(10)들을 상호 연결하면, 조립작업이 단순하고 편리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리브 및 후면의 경계부와, 테두리 및 후면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 내부에 가스 홀이 형성되어, 강도가 충분히 유지되면서 자체 중량이 크게 감소되고, 단일 수지류로 일체 성형되므로 성형성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테두리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홀을 형성하면, 끼움부와 클립부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매개로 콘크리트 폼 패널들을 조립할 수 있게되어 연결부재의 수가 절감되고, 연결작업이 단순하고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면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 및 수평 리브와,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진 수지류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에 있어서,
    상기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와, 상기 테두리(14)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14',15')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14',15') 내부에 가스 홀(18)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수평 리브(16a,16b,16c)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가스 주입부(17a)가 구비되고 내부에 가스 홀(18)이 형성된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이 구비되되, 이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의 가스 홀(18)과 상기 보강부(14',15')의 가스 홀(18)이 상호 연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은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 배치되면서, 이 메인 가스공급라인(17)의 가스 주입부(17a)는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4)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홀(14a)이 형성되어, 끼움부(20a)와 클립부(20b)로 구성된 연결부재(2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수직 리브(15a,15f)와 테두리(14) 사이에는 수평 리브(16c)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수직 리브(15a,15b,15c,15d,15e, 15f)들 사이에는 수평 리브(16a,16b)가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전체 형상이 계단형태로 굴곡되어 상부(11)와 하부(12) 및 연결부(13)로 구분되되, 수직 리브(15a,15b,15c,15d,15e,15f)들 사이에 선택적으로 보강 리브(19a,19b)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KR10-1999-0036040A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KR10038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40A KR100384617B1 (ko)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40A KR100384617B1 (ko)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981U Division KR200169443Y1 (ko) 1998-09-21 1999-08-27 콘크리트 폼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75A KR20000022775A (ko) 2000-04-25
KR100384617B1 true KR100384617B1 (ko) 2003-05-22

Family

ID=1960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040A KR100384617B1 (ko)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0788B8 (en) 2008-04-08 2015-07-1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ears of corn
CN102165320A (zh) 2008-08-22 2011-08-24 先锋国际良种公司 用于去除特定的种子组织或结构进行种子分析的方法
CN102131591B (zh) 2008-08-22 2015-01-28 先锋国际良种公司 用于涂覆玉米穗的高吞吐量自动装置、方法及系统
US8313053B2 (en) 2009-03-20 2012-11-2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High throughput, seed sampling and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8523092B2 (en) 2009-09-14 2013-09-03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test sample from individual seeds or tissue structures
BR112012016285A2 (pt) 2009-12-31 2016-10-04 Pioneer Hi Bred Int aparelho, método e sistema de amostragem de sementes automatizada
US8833565B2 (en) 2010-06-08 2014-09-16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ed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75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6151B2 (ja) コンクリート作業用堰板のための型枠パネル
KR101533426B1 (ko) 건축용 pc벽체구조물
KR100384617B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100978578B1 (ko) 건축용 조립식 격자형 구조틀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축 구체 시공방법
KR102316529B1 (ko)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KR200169443Y1 (ko) 콘크리트 폼 패널
JPH08333891A (ja) 型枠用中空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システム
KR102082481B1 (ko) 연속 시공형 pc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05195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1302466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273640B1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보강구
JP2002526695A (ja) コンクリートフォームパネル
KR102189925B1 (ko)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0639158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2010629B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KR200321404Y1 (ko) 복수의 보강테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건축용 거푸집
KR20050105768A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0006549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200169444Y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100356265B1 (ko) 콘크리트 폼 패널
CN214575066U (zh) 带钢塑一体连接件的eps空腔模块
JPH11323955A (ja) 型枠用セパレ―タ及びこのセパレ―タを用いたコンクリ―ト打設用型枠
JP3078862U (ja) コンクリートフォーム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