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580B1 - 에러 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에러 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580B1
KR100363580B1 KR1020007000544A KR20007000544A KR100363580B1 KR 100363580 B1 KR100363580 B1 KR 100363580B1 KR 1020007000544 A KR1020007000544 A KR 1020007000544A KR 20007000544 A KR20007000544 A KR 20007000544A KR 100363580 B1 KR100363580 B1 KR 10036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ass
frame configuration
frame
error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979A (ko
Inventor
가와하라도시로
미키도시오
호타니사나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1002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0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the interleaver involving at least two direc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6Interleaving address generation
    • H03M13/2764Circuits therefo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5Unequal or adaptive error protection, e.g. by providing a different level of protection according to significance of source information or by adapting the cod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ansmission channe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8Unequal err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오디오 신호를 압축부호화하여 송신할 때의 조건인 부호화율, 에러검출부호의 비트수, 인터리브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적용될 에러보호의 방법에 의해 클래스로 분류하여, 적절한 에러보호를 실시한다.

Description

에러 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Error protecting method and error protective device}
종래부터, 음성이나 화상 등의 데이터의 전송에서는 신호에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데이터에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에러보호방법에는 예를 들면 PDC 하프 레이트나, Twin-VQ 등 다양한 것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에러보호방법은 프레임마다 비트수가 동일한 고정길이 프레임 혹은 수 종류의 비트 길이의 프레임만이 출현하는 반고정 프레임 길이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이 종래의 에러보호방법에서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파라미터(비트를 포함함)마다 에러 감도를 미리 조사하고, 감도가 높은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시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에러보호(예를 들면 에러검출부호의 부가 또는 에러정정부호화)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파라미터의 에러감도로는 그 파라미터의 전송과정에서 1비트의 에러가 생긴 경우에 수신측에서 얻어지는 복호결과의 열화의 정도를 말한다.
종래의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예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에서, 클래스 분류기(401)는 에러보호의 대상으로 되는 프레임을 수취하고, 그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파라미터를 각각의 에러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각 클래스로 분류한다.
이 에러보호장치에서는 각 클래스마다, 소정의 부호화율로의 에러정정부호화 또는 소정의 에러검출부호의 부가라고 하는 에러보호방법이 정해져 있다.
클래스 데이터 에러 보호 처리부(403)는 각 클래스마다, 그 클래스에 분류된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그 클래스에 대응하여 정해진 에러보호방법에 따라, 에러정정 부호화 또는 에러정정 검출부호의 부가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에러정정 부호화를 위한 콘볼루션을 행하기도 하였으며, 에러검출부호를 얻기 위한 순회용장 부호화 등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출력기(404)는 에러정정 부호화 또는 에러검출부호가 부가된 데이터에 인터리브 등을 행하여, 상대방으로 송신한다.
그런데, 종래의 에러정정장치에서는 각 클래스마다, 미리 고정된 에러보호를 행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에러보호장치는 그 보호의 방식에서 유연성이 없어, 범용성이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에러 보호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길이 프레임 혹은 반고정 길이 프레임만을 보호할 수 있었기 때문에 프레임 구성 비트수가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가변길이프레임을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 발명의 개시 >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로는 다양한 에러정정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하고, 프레임이 가변 프레임 길이일 때도 적용가능한 에러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관계된 에러보호방법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종류의 파라미터를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의 구성에 관계하는 데이터 및 상기 각 파라미터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방법이 각 클래스마다 정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소정의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마다 정해진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의 에러보호가 실시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 및 상기 각 클래스마다 에러보호가 실시된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파라미터를 클래스로 분류하고, 각 클래스마다 수행될 에러보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와,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에 대응한 에러보호를 행하는 장치로 별도로 나누어 구성되므로, 각 클래스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내용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래스에 대하여 어떤 유형의 에러보호가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측 장치에서는 이 프레임 구성정보로부터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에러보호의 내용을 고정할 필요는 없고, 송신측 장치와 수신측 장치간에 임기응변으로 에러보호의 내용을 절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는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수신측장치에서는 에러보호가 실시된가변길이 프레임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과정에서 신호에러로부터 보호하는 에러보호장치 및 에러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2c는 동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동실시예에서 수신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동 에러보호장치의 합성기에 설치되는 인터리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동 인터리브 장치의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동 인터리브 장치의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동 실시예에서 인터리브할 때에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의 각 기억영역에 기입하는 순서 및 디인터리브할 때에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의 각 기억영역으로부터 독출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동 실시예에서 인터리브할 때에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의 각 기억영역으로부터 독출하는 순서 및 디인터리브할 때에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의 각 기억 영역에 기입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동 실시예에서 인터리브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예에서 수신측 장치에 설치되는 디인터리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제1 실시예
(1) 에러보호장치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에러보호장치는 음성신호의 압축부호화를 수행하는 부호기의 후단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부호화기에서는 전송할 음성신호의 샘플 열이 수시로 발생한다. 그리고, 이 부호화기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프레임 주기를 처리단위로 하여, 각 프레임 주기에 속하는 음성신호의 샘플열의 압축부호화가 행해져서, 복수종류의 파라미터가 생성된다. 여기서, 형성되는 파라미터 군의 데이터량은 각 프레임 주기마다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는 이들 파라미터 군에 대하여, 각 파라미터 마다 적절한 에러 보호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와,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2)와, 클래스 정보 에러보호 처리부(103)와, 합성부(103)를 갖고 있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는 주로 다음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a. 파라미터 군의 클래스 분류
부호기에 의해 생성되는 각 파라미터에는 에러감도가 강한 것이 있으면 에러감도가 약한 것도 있다. 여기서, 에러감도가 강한 파라미터는 허용 잔류 에러율이 낮으므로, 부호화율이 큰 에러정정부호에 의해 부호화를 행하여 수신측에서의 잔류 에러율을 작게 해야 한다. 한편, 에러감도가 약한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큰 부호화율에서의 에러정정부호화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파라미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에러정정 부호화를 하기보다는 간단히 에러검출부호를 부가하기만 해도 좋은 것도 있다. 더욱이, 이들의 파라미터 중에서는 인터리브를 실시해야할 것도 있고, 그렇지 않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파라미터의 종류에 의해, 각각에 적합한 에러보호 방법이 다른 경우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기에 의해 생성되는 각 파라미터를, 각 경우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방법에 의해 클래스 분류를 행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에러보호장치에서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가 클래스 분류를 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클래스 1부터 n까지의 n개의 클래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각 클랙스에 속하는 파라미터에 적용되는 에러보호 유형은 송신측 장치에서 미리 결정된다. 또한 각 클래스에는 어떠한 종류의 파라미터가 속하는가 하는 것도 미리 결정된다. 또한, 송신측 장치에서는 각 클래스에 적용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임의로 변경도 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는 이와 같은 송신측 장치에서 결정사항에 따라, 부호화기에 의해 생성되는 각 파라미터가 속하는 클래스를 각 파라미터의 종류에 의해 판단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편의상, 분류에 의해 각 클랙스에 속하는 것으로 된 파라미터를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라고 부른다.
b.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생성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는 1프레임 주기 내에서 부호화기에 의해 생성된 파라미터의 전 비트수를 구하고, 각 클래스 1-n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Cb1-Cbn을 출력한다.
또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는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Cb1-Cbn외에,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에 적용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CC1-CCn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 데이터 CC1-CCn은 에러정정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알고리즘, 인터리브가 수행되었는지 여부, 및 수행된 경우 인터리빙 유형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는 각 클래스 1-n의 클래스 데이터의 에러정정 부호화를 행할 때의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데이터 ECR1-ECRn을 출력한다. 이들의 데이터 ECR1-ECRn은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의 잔류 에러율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는 각 클래스 1-n의 클래스 정보에 에러검출부호(예를 들면, 순회 용장부호의 비트)를 부가하는 경우의 에러검출부호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EDB1-EDBn를 출력한다. 이들의 비트수는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의 에러감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면, 어떤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의 에러감도가 낮아, 비트 에러가 발생하여도 수신측이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는 그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 검출부호의 비트수는 제로로 된다. 한편,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 에러가 생긴 경우에 수신측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그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검출부호의 비트수는 보호대상으로 되는 비트수(즉, 그 클래스의 비트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클래스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Cb1-Cbn, CC1-CCn, ECR1-ECRn, 및 EDB1-EDBn어느 것이든 프레임을 구성하는 클래스에 관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프레임 구성 데이터라 총칭된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2)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해 출력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에러정정, 즉, 상대방과 미리 결정된 방식의 에러정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2)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에러정정 부호화를 행할 수 있거나, 단순히 에러검출부호를 부가할 수 있다.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3)에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해 클래스 분류된 각 클래스 1-n의 클래스 데이터가 공급된다. 도 2c는 이들의 클래스 데이터를 예시하고 있다.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3)는 각 클래스의 수신된 클래스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지정된 유형의 에러정정 부호화를 수행하거나 각 클래스 1-n의 클래스 데이터에 에러검출부호의 부가를 행한다.
즉, 어떤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CCk에 의해 지정된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에러정정부호화를 행해야 하는 경우,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3)는 그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그 클래스 데이터의 에러정정부호화를, 그 클래스 k에 대응한 데이터 ECRk에 의해 지정된 부호화율로 실행한다. 또한, 어떤 클래스 k에 대응한 데이터 EDBk가 0이 아닌 경우,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3)는 그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EDBk에 의해 지정되는 비트수의 에러검출부호를 생성하고, 이를 클래스 데이터에 부가한다.
합성기(104)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2)에 의해 에러보호가 실시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클래스 데이터 에러 보호처리부(103)에 의해 에러정정이 실시된 각 클래스 정보를 모아 합성하여, 전송로를 거쳐 수신측 장치로 송신한다.
클래스 1-n 중에는 인터리브를 행할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클래스가 있다. 이들의 클래스에 대한 인터리브는 이 합성기(104)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의 인터리브의 방법에는 다음의 2종류가 있다.
a. 인터리브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된 각 클래스 내에서 비트의 배치를 행한다.
b. 인터리브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된 클래스에 속하는 각 비트를 다른 클래스의 비트열 중에 분산배치시킨다.
어떤 유형의 인터리브를 행할지는 그 클래스 k에 대응한 데이터 CCk에 의해 지정된다. 또한, 방법 b에 의한 인터리브를 행하는 클래스 k에 대해서는 그 클래스 k를 구성하는 각 비트의 분산배치를 행하는 다른 클래스(예를 들면 클래스 j)가, 데이터 CCk에 의해 지정된다.
또한, 방법 b의 인터리브를 행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에러보호가 실시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는 헤더로서 각 클래스에 부가되고, 헤더와 파라미터로 구성된 가변길이 프레임이 전송로를 거쳐 수신측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는 헤더로서 전송되는 대신에,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로부터 구성된 프레임과 다른 통신채널을 거쳐 수신장치에 전송하도록 되어도 좋다.
(2) 수신측 장치
수신측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105)와, 프레임 구성데이터 에러 보호처리부(106)와, 디인터리브 장치(107)와,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8)로 구성되는 장치이며 복호기의 전단에 위치한다.
분리기(105)는 송신측의 합성기(104)에 의해 출력된 프레임을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클래스 데이터로 분리한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6)는 분리기(105)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에러정정 복호 또는 에러검출을 행한다.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6)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는 송신측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2)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즉, 송신측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 처리부(102)가 소정의 에러정정부호에 의해 프레임 데이터 정보의 부호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6)는 그 에러정정 부호에 대응하는 에러 복호를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한다. 또한, 송신측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2)가 소정의 비트수의 에러 검출부호를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부가하는 경우에는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6)은 그 에러 검출부호를 사용하여 프레임 구성 데이터 내의 에러검출을 행한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6)는 에러 정정부호 또는 에러 검출을 마친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인터리브장치(107)는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데이터 CC1-CCn을 참조하여, 인터리브가 실시된 클래스 데이터에 관하여 디인터리브를 실행한다.
즉, 클래스 k내에 비트의 배치를 행하는 유형의 인터리브가 행해져 있는 상기 클래스 k에 대응한 데이터 CCk로부터 판명한 경우, 디인터리브 장치(107)는 그 비트 배치에 역이 되는 조작을 행하여, 비트 배치전의 원래의 상태로 클래스 데이터를 복원한다.
또한, 클래스 k를 구성하는 각 비트가 다른 클래스 j의 비트열 내에 분산배치한 유형의 인터리브가 행해져 있는 상기 클래스 k에 대응한 데이터 CCk로부터 판명한 경우, 디인터리브 장치(107)는 클래스 j의 비트열로부터 클래스 k에 대응한 각 비트를 옮겨, 인터리브 전의 상태로 클래스 k 및 m의 각 클래스 데이터를 복원한다.
후자의 디인터리브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인터리브 장치(107)는 디인터리브 후의 각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를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8)로 공급한다.
이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8)에는 각 클래스의 비트수나, 각 클래스의 부호화율, 각 클래스의 에러 검출부호의 비트수, 각 클래스의 부호화 알고리즘 등 클래스 데이터의 에러정정 복호 또는 에러검출을 행하는 것에 필요한 정보가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6)로부터 공급된다.
클래스 데이터 에러 보호 처리부(108)는 이들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 데이터의 에러정정 복호 또는 에러 검출을 행하여, 이 처리를 거친 클래스 데이터를 복호기로 보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에 의하면, 파라미터의 분류를 행하여 얻어진,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와,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에 대응한 에러보호를 행하는 장치를 별도로 분할하여 구성하므로, 각 클래스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내용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가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 장치로 송신되므로, 수신측 장치에서는 그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나타난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판단하므로, 클래스 정보의 에러 정정복호, 에러검출 또는 디인터리브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하는 각 파라미터에 적용하는 에러보호의 내용을 고정할 필요는 없고, 송신측 장치와 수신측 장치와의 사이에서 임기대응으로 에러보호의 내용을 절환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비트수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가변 프레임 길이이어도,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의해 그 구성이 수신측장치에 알려지므로, 수신측 장치에서는 각 클래스의 클래스 정보의 에러정정 복호, 에러검출 또는 디인터리브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3) 인터리브 장치 및 디인터리브 장치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송신측의 합성기(104)에 설치되는 인터리브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인터리브 장치는 어떤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다른 클래스 j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 내에 분산배치시키는 인터리브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을 D1, 클래스 j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을 D0이라 한 경우, 비트열 D1및 D0을 구성하는 각 비트가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이 인터리브 장치로 공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터리브 장치는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와, 작업 메모리(520)와,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를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작업 메모리(520)는 인터리브의 대상인 비트열 D1및 D0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작업 메모리(520)의 전 기억영역 중 어드레스의 연속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사용하여, 각 기억 영역에 각 비트를 각각 격납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클래스 k의 비트열 D1은 p비트로 구성되고, 비트열 D0는 m x p비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인터리브는 작업 메모리(520)에 대하여 비트열 D1및 D0의 각 비트를 순차기입하는 처리와, 이 작업 메모리(520)로부터 기입할 때와는 다른 순서로 각 비트를 독출하는 처리로 구성된다.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는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520)에 기입할 때, 소정의 어드레스 발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비트열 D1을 구성하는 각 비트의 기입대상을 특정하는 기입 어드레스(WADh)와, 비트열 D0을 구성하는 각 비트의 기입 대상을 특정하는 기입 어드레스(WADd)를, 각각 시간클럭(CLK)에 동기하여 생성하고, 작업 메모리(52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520)에 기입하는데 필요한 전 기입 어드레스의 생성을 마치면, 이것을 나타내는 신호 END를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에 공급한다.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은 신호 END를 받으면, 소정의 어드레스 발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작업 메모리(520)에 기억된 각 비트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 어드레스(RAD)를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발생하고, 작업 메모리(52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5는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에 의해 실행되는 어드레스 발생 알고리즘을 하드웨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에 따른 어드레스 발생 알고리즘은 p진 카운터(510A)와, p진 카운터(510B)와, m진 카운터(510C)와, AND 게이트(510D)와, 가산기(510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진 카운터(510A)는 비트 클럭 CLK를 카운트한다. 비트열 D1을 구성하는 각 비트의 기입 어드레스(WADh)는 이 p진 카운터(510A)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로 하고, '0'을 상위 어드레스로 하는 것이다.
p진 카운터(510A)는 카운트값이 p회 변화하여 카운트 오버로 될 때, 비트 클럭 CLK의 카운트를 정지한다.
AND 게이트(510D)는 p진 카운터(510A)가 카운트 오버로 된 후에 비트 클럭 CLK을 m진 카운터(510C)에 공급한다.
m진 카운터(510C)는 이 AND 게이트(510D)를 거쳐 공급되는 비트 클럭 CLK의 카운트를 행한다. m진 카운터(510C)는 그 카운트값이 m회 변화할 때 카운트 오버하나, 비트클럭(CLK)가 공급되는 한, 다시 초기치 '0'부터 카운트를 반복한다. p진 카운터(510B)는 m진 카운터(510C)가 카운트 오버로 될 때마다 '1'씩 카운트값을 증가한다. 가산기(510E)는 m진 카운터(510C)의 카운트값에 '1'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비트열 D0를 구성하는 각 비트의 기입 대상을 특정하는 기입 어드레스(WADd)는 p진 카운터(510B)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로 하고, 가산기(510E)의 출력 데이터를 상위 어드레스로 하는 것이다.
도 6은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는 p진 카운터(530A)와, m+1진 카운터(530B)로 구성되어 있다. m+1진 카운터(530B)는 비트 클럭(CLK)의 카운트를 행한다. p진 카운터(530A)는 m+1진 카운터(530B)의 카운트값이 m+1회 변화하여, 초기치 '0'으로 될 때마다 '1'씩 카운트값을 증가시킨다.
독출 어드레스(RAD)는 이 p진 카운터(530A)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로 하고, m+1진 카운터(530B)의 카운트값을 상위 어드레스로 하는 것이다.
이상이 인터리브장치의 구성의 상세이다.
다음에, 이 인터리브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디인터리브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인터리브 장치에서는 작업 메모리(520)에서 (m+1) x p개의 연속한 기억영역을 이용하여 인터리브를 행한다.
도 7 및 도 8에는 이 인터리브용의 기억 영역을 2차원적으로 표현한 메모리 공간을 도시하고 있다. 이 메모리 공간에서 각 기억영역에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가 대응하고 있다. 어드레스는 p 조합값을 취하는 하위 어드레스와, m+1 조합값을 취하는 하위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상위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하는 각 기억영역이 하위 어드레 순으로 좌부터 우로 나란하게 되어 있고, 하위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하는 각 기억영역이 상위 어드레스 순으로 위부터 아래로 나란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하는 일련의 기억영역을 행, 하위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하는 일련의 기억 영역을 열이라 한다.
인터리브를 행할 때마다, 먼저, 그 대상으로 되는 비트열이 1비트씩 m x n의 기억영역 각각에 순차 기입된다. 이 기입을 행할 때의 기입 어드레스는 이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에 의해 발생된다.
비트열 D1을 구성하는 p비트가 비트 클럭 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520)에 공급되는 동안,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에서는 p진 카운터(510A)에 의한 비트 클럭(CLK)의 카운트가 행해진다. 그리고, p진 카운터(510A)의 카운트값을 하위어드레스, '0'을 상위 어드레스로서 포함하는 기입 어드레스(WADh)가 생성되어,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520)에 공급된다.
이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열 D1을 구성하는 p개의 비트가, 작업 메모리(520)의 인터리브용의 기억영역 중 최초의 행에 기입된다.
다음에, 비트열 D1에 계속하여, 비트열 D0을 구성하는 m x p개의 비트가 비트클럭 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520)에 공급된다.
이 동안,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에서는 m진 카운터(510)에 의해 비트 클럭 CLK의 카운트가 행해짐과 아울러, m진 카운터(510C)가 카운트 오버로 될 때마다 p진 카운터(510B)의 카운트값의 증분이 행해진다. 그리고, p진 카운터(510B)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 m진 카운터(510C)의 카운트값에 '1'을 더한 것을 상위 어드레스로서 포함하는 기입 어드레스(WADd)가 생성되어, 비트클럭(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510)에 공급된다.
이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열 D0을 구성하는 m x p개의 비트 중 최초의 m비트가 작업 메모리(520)에, 제1 열의 제2 행부터 제m+1 행에 대응한 각 기억 영역에 기입되고, 다음 m 비트가 제2열의 제2행부터 제m+1행에 대응한 각 기억영역에 기입되고, 이하 계속하여, 최후(즉, p번째 비트)의 m비트는 제p 열의 제2행부터 제m+1행에 대응한 각 기억영역에 기입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작업 메모리(520)에 기입된 각 비트가, 기입할 때와는 다른 순서로 독출된다.
이 독출동작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로부터 독출 어드레스가 발생된다.
즉, m+1진 카운터(530B)에 의해 비트 클럭(CLK)의 카운트가 행해짐과 아울러, 이 m+1진 카운터(530B)가 카운트 오버로 될 때마다 p진 카운터(530A)의 카운트값이 '1'만큼 증분된다. 그리고, p진 카운터(530A)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 m+1진 카운터(530B)의 카운트값을 상위 어드레스로 하는 독출 어드레스가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520)로 공급된다.
이 결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작업 메모리(520)에서 제1 열의 각 기억 영역에 기억된 m+1비트가 독출되고, 다음으로 제2열의 각 기억 영역에 기억된 m+1비트가 독출되고, 이하 계속하여, 최후로 제p열의 각 기억영역에 기억된 m+1비트가 독출된다.
이상 설명한 인터리브에 의해,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열 D1을 구성하는 p개의 비트가 비트열 D0중에 등간격으로 분산배치된다.
이상이 인터리브장치의 상세이다.
다음에 수신측 장치에 설치된 디인터리브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이 디인터리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디인터리브장치는 송신측 장치에서, 어떤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다른 클래스 j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 내에 분산배치시키는 인터리브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클래스 j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 중에서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의 각 비트를 옮겨, 인터리브 전의 각 클래스의 클래스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다.
이 디인터리브 장치에 클래스 k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 D1및 클래스 j의 클래스 정보의 비트열 D0을 구성하는 (m+1) x p개의 비트가, 비트클럭(CLK)에 동기하여 공급된다.
이 디인터리브장치는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610)와, 작업 메모리(620)와,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6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 메모리(620)는 인터리브 장치(1)에서 작업 메모리(520)와 동일한 기억장치이다.
디인터리브는 공급되는 각 비트를 작업 메모리(620)에 기입하는 처리와, 이들의 각 비트를 기입할 때와 다른 순서로 작업 메모리(620)로부터 독출하는 처리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트가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620)에 공급되는 동안,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610)는 소정의 어드레스 발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입 어드레스(WAD)를 생성하고,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620)에 공급한다.
이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610)는 인터리브 장치에서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530)(도 6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610)에서는 m+1진 카운터에 의해 비트 클럭의 카운트가 행해짐과 동시에, 이 m+1진 카운터가 카운트 오버할때마다 p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1"만큼 증분한다. 그리고, p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 m+1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상위 어드레스로 하는 기입 어드레스(WAD)가 비트 클럭에 동기하여 작업 메모리(620)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 결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m+1 비트가 작업 메모리(620)에서 제1 열의 각 기억 영역에 기입되며, 다음 m+1 비트가 제2 열의 각 기억영역에 기입되며, 이하 계속하여, 최후(즉, p번째 비트) 의 m+1 비트가 제p 열의 각 기억영역에 기입된다.
이 때 작업 메모리(620)에서 각 비트의 배치는 그들의 각 비트가 송신측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것에 앞서 인터리브 장치의 작업 메모리(620)에 기입될 때의 배치와 일치하고 있다.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비트를 작업 메모리(620)에 기입하는 처리가 종료되면, 이와 같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END)가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610)로부터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630)에 공급된다.
이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630)는 인터리브 장치에서 기입 어드레스 공급부(510)(도 5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630)에서는 p진 카운터에 의해 비트 클럭(CLK)의 카운트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p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 '0'을 상위 어드레스로서 포함하는 독출 어드레스(RADh)가 생성되고, 비트클럭에 동기하여 작업메모리(620)에 공급된다.
이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열 D1을 구성하는 p개의 비트가, 작업 메모리(620)에서 최초의 행에 대응한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독출된다.
다음에, 독출 어드레스 공급부(630)에서는 m진 카운터에 의해 비트 클럭(CLK)의 카운트가 행하여짐과 아울러, m진 카운터가 카운트 오버할 때마다 p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의 증분이 행해진다. 그리고, p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하위 어드레스, m진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1'을 더한 것을 상위 어드레스로서 포함하는 독출 어드레스(RADd)가 생성되어 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작업메모리(620)에 공급된다.
이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메모리(620)에서 제1열의 제2행부터 제m+1행에 대응한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비트열 D0를 구성하는 m x p 개의 비트 중 최초의 m개의 비트가 독출된다. 그리고, 작업 메모리(620)에서 제2열의 제2행부터 제m+1행에 대응한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다음 m비트가 독출되고, 제3열의 제2행부터 제m+1행에 대응한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그 다음 m비트가 독출되고, 이하 계속하여, 제p열의 제2행부터 제m+1행에 대응한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최후(즉, p번째 비트)의 m비트가 독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인터리브장치에서는 인터리브 장치에서 수행된 인터리브와 완전히 역이 되는 조작이 행해져, 인터리브 전의 원래의 프레임이 복원된다.
이상의 예에서는 클래스 k의 비트 열 D1이 p비트로 구성되고, 클래스 j의 비트열 D0가 m x p비트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비트열 D0의 비트수가 p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비트열 D0에 더미 비트를 추가하여 비트길이의 정수배의 비트길이로 하고, 인터리브 종료후에 더미 비트를 제거한다고 하는 방법으로 대처해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인터리브 및 디인터리브를 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본 실시예에 필요한 인터리브 및 디인터리브를 실시할 수 있는 장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터리브는 이상 설명한 기본적인 형태 외에,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어느 것이든, 이상 설명한 인터리브 장치를 복수회 사용함으로써 대응 가능하다. 각 인터리브를 실시한 경우에 필요한 디인터리브도 동일하다.
① 예를 들면 클래스 1-3이 인터리브를 실시할 클래스이고, 클래스 4-6이 인터리브를 실시하지 않을 클래스인 경우에, 클래스 1의 클래스 데이터의 각 비트를 클래스 4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 중에 분산배치시키고, 클래스 2의 클래스 데이터의 각 비트를 클래스 5의 클래스 정보의 비트열 중에 분산배치시키고, 클래스6의 클래스 정보의 각 비트를 클래스 6의 클래스 정보의 비트열 중에 분산배치시킨다.
② 예를 들면 클래스 1-3이 인터리브를 실시할 클래스이고, 클래스 4-6이 인터리브를 실시하지 않을 클래스인 경우에, 클래스 4의 클래스 데이터의 비트열 중에 클래스 1의 클래스 데이터의 각 비트를 분산배치시키고, 이 결과 얻어지는 비트열 중에 클래스 2의 클래스 데이터의 각 비트를 분산배치시키고, 그들에 이 결과 얻어지는 비트열 중에 클래스 3의 클래스 데이터의 각 비트를 분산배치시킨다.
B.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프레임을 전송로에 순차 송신하는 경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에는 각 프레임에 걸쳐 동일하게 되는 것이 존재하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각 클래스를 구성하는 비트수는 각 프레임에서 많은 범주에 속하나, 각 클래스의 부호화율 및 각 클래스의 에러 검출 비트수는 각 클래스에서 고정적으로 된다. 이와 같이 고정적으로 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실시예에와 같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로서 프레임 마다 송신할 때 합성기(104)로부터 전송로로 송출되는 비트수가 매우 증가하여, 낭비될 것이다.
그래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에서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고정적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는 전송의 최초만 송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11은 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고정 데이터 연산부(201)은 프레임 구성 비트 중 각 프레임에서 공통적인 고정 데이터를 연산 등에 의해 구하고, 이 고정 데이터를, 전송의 최초에 수신측 장치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 고정 데이터의 전송은 프레임과는 다른 통신채널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정보는 구체적으로는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정정부호의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데이터 ECR1-ECRn및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검출부호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EDB1-EDBn이다. 또한 고정정보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자동재송요구)등을 사용하여 상대방이 확실하게 수신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고정 데이터 기억부(202)는 고정 데이터 연산부(201)로부터 출력된 고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2')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해 출력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로부터 고정 데이터 기억부(202)에 기억된 고정 데이터를 제거하고, 남은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소정의 에러보호(에러정정 부호화, 에러검출 부호의 부가 또는 이들 모두)을 실시하는 것이다. 즉,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2')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해 출력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데이터 CB1-CBn및 CC1-CCn만에 대하여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것이다.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3')는 각 클래스 1-n의 클래스 데이터에 대하여, 고정 데이터 기억부(202)에 기억된 고정 데이터인 데이터 ECR1-ECRn에 의해 지정된 부호화율에 의해 에러정정 부호화 또는 데이터 EDB1-EDBn에 의해 지정된 비트수의 에러검출부호의 부가를 행하는 것이다.
합성기(104)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2')에 의해 에러보호가 실시된 고정 데이터 이외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3')에 의해 에러보호가 실시된 각 클래스 데이터를 모아 합성하고, 전송로를 거쳐 상대방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이 합성기(104)에서 클래스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인터리브가 행해지는 것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고정 데이터(데이터 ECR1-ECRn, EDB1-EDBn)이, 전송의 최초만 송출되는 한편, 전송하는 중에서는 고정 데이터 이외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데이터 CB1-CBn, CC1-CCn)이 프레임마다 송출되는 것이다.
수신측 장치에서는 전송의 최초에 고정정보를 수신하고, 그 후, 합성기(104)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최초에 수신한 고정 데이터와, 그 이후에 수신한 고정 데이터 이외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의해서, 수신한 데이터의 프레임의 구성을 판명한다. 즉, 고정 데이터에 의해서, 각 클래스의 부호화율, 및 각 클래스의 에러검출 비트수를 판명하고, 더욱이, 고정 데이터 이외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의해, 각 클래스의 비트수나, 각 클래스의 부호화 알고리즘, 인터리브의 유무 혹은 형식 등을 판명한다. 따라서, 이들의 정보에 따라서, 수신한 데이터 중 프레임 구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즉,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103')에 의한 에러정정이 실시된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로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프레임에 공통인 고정 데이터는 프레임 마다는 아니고, 전송의 최초에만 송신되므로, 합성기(104)부터 전송로로 송출되는 비트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데이터에 대해서, 각 클래스의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데이터 ECR1-ECRn, 및 각 클래스 에러검출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EDB1-EDBn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클래스를 구성하는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CB1-CBn도 고정 데이터이면, 이들도 포함하여 고정 데이터로 해도 되며, 또한 각 클래스의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데이터 ECR1, ECRn, 또는 각 클래스의 에러검출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EDB1-EDBn의 하나만이 고정적이면, 이들 데이터만으로 해도 된다.
C.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일부의 내용을 몇가지 종류로 한정되었다. 예를 들면, 어떤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에러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이 몇 종류 밖에 없는 경우나, 어떤 클래스의 클래스 데이터에 대하여 부가하는 에러 검출부호의 비트수가 몇 종류 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일부의 내용이 몇 종류로 한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같이, 각종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 그것을 프레임 마다 송출하는 구성에서는 전송로로 송출하는 비트수가 낭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에서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사용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종류가 한정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송방법에 의해 전송한다.
a. 종류가 한정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들의 각 종류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각각 할당한 식별자와 함께 전송의 최초에 송출한다.
b. 전송하는 중에는 에러보호가 실시된 각 클래스의 클래스 정보를 각각에 대응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지정하는 식별자 및 추가 데이터와 함께 송출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고정 데이터 전송부(301)은 에러보호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를 입력함과 동시에, 사용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으로 한정되는 종류의 프레임 데이터 구성 데이터와 그들 개개에 할당된 식별자를, 각각 전송의 최초에 프레임과는 다른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측장치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각 클래스의 부호화율이 2종류로 한정되는 것이면 그 내용을 나타내는 2종류의 데이터 ECR과 그들을 식별하기 위한 2개의 식별자가 송출되고, 또한, 각 클래스의 에러검출 비트수가 2종류로 한정되는 것이면 그 내용을 나타내는 2종류의 데이터 EDBR과 그들을 식별하기 위한 2개의 식별자가 송출된다. 또한, 이들의 정보에 대해서도, ARQ 등을 사용하여 상대방이 확실하게 수신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단, 그 프레임의 클래스 구성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기에 걸치는 일없이 한정적인 것으로 되기 때문에,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일부에 대해서도 한정적으로 된다.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302)는 고정 데이터 전송부(301)의 송출내용인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그들 각각에 할당된 식별자를 기억함으로써, 다음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즉,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302)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전송의 최초에 송출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그들에 대응하는 식별자로 치환하는 한편, 전송의 최초에 송출된 것에 대해서는 추가정보로서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다. 즉,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사용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서 전송의 최초에 송출된 것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그대로는 아니고, 그에 대응하는 식별자로 치환되는 한편, 그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그대로 추가정보로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식별자 및 추가정보에러 보호처리부(303)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302)에 의한 식별자 및 추가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에러정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때, 에러검출부호를 부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한편, 클래스 데이터 에러 보호처리부(103)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에 의해 분리된 각 클래스 1-n에 대한 에러검출부호 및 에러정정 부호를 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합성기(104)는 에러정정이 실시된 식별자 및 추가정보와, 에러정정이 실시된 각 클래스를 일괄하여 합성하고, 전송로를 거쳐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한정되는 종류의 분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그들 개개에 할당된 식별자가, 전송의 최초만 송출되는 한편, 전송하는 중에는 에러정정이 실시된 각 클래스의 데이터가, 그 구성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 추가 데이터와 함께 송출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상대방에서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사용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종류가 한정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종류의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그들 개개에 할당된 식별자가 전송의 최초에 수신되기 때문에, 그 후, 각 클래스 1-n의 데이터를 식별자 및 추가 데이터와 함께 수신할 때, 그 식별자가 의미하는 클래스 구성을 알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대방에서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최초에 전송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추가정보로서 수신된다. 이 때문에, 상대방에서는 각 클래스 1-n을 원래의 데이터로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류가 한정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없이, 그에 할당된 식별자가 송출되는 것이므로, 합성기(104)로부터 전송로로 송출되는 비트수를 대폭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2')를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302)와 식별자 및 추가정보 에러보호처리부(303)로 치환하였으나, 상기 제1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102)를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302)와 식별자 및 추가정보 에러보호 처리부(303)로 치환해도 좋다. 이 경우, 고정 데이터의 송출은 행해지지 않으므로,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302)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101)로부터 각 프레임마다 출력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최초로 식별자와 함께 송신한 정보 어느 것과 일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정보에 대응한 식별자로 변환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추가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 장치에 대해서는 도시된 하드웨어적인 구성 외에,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도 실현가능하다.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에 의해 실현하는 것에는 상술한 동작과 동등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러보호 장치에서는 각 파라미터의 에러감도에 따라 프레임을 클래스 분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원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이 클래스, 즉 슬롯 등으로 분할된 블록에 대하여 넓게 적용가능하다.
더욱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에, 클래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각 클래스의 비트수 외에, 각 클래스의 배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해도 좋다.

Claims (12)

  1.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종류의 파라미터를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각 파라미터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방법이 각 클래스마다 정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소정의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된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의해 각 클래스마다 정정된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에러보호가 실시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 및 상기 각 클래스마다 정해진 에러보호가 실시된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는 각 클래스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비트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방법.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라미터에 적용할 에러보호 방법을 각 클래스마다 정한 상기 데이터는, 각 클래스에 속하는 파라미터에 적용할 에러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에러검출 부호의 비트수, 및 인터리브의 실시에 관한 데이터를 임의로 조합한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방법.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파라미터를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각 파라미터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방법이 각 클래스마다 정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레임 구성 데이터 내 어떤 것들이 복수의 프레임에 공통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것들을 고정 데이터로서, 최초의 송신에서, 송신하는 단계;
    파라미터들의 각 클래스에 대한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서 상기 고정 데이터를 제거하고,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관하여 소정의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된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기 고정 데이터 혹은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마다 명시한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명시된 에러보호가 행해진 상기 고정 데이터 이외의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와 함께, 상기 각 클래스마다 정해진 상기 에러 보호가 행해진 파라미터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방법.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데이터는 각 클래스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비트수,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정정부호의 부호화율 및 각 클래스에 적용되는 에러검출부호의 비트수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일부가 복수의 데이터로 한정되며,
    a. 전송개시할 때에, 그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일부에 관한, 한정된 복수 종류의 데이터와 각각에 할당된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b. 이후는 각 프레임마다 생성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상기 식별자와 함께 송신한 각각의 데이터와 일치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에 대응한 식별자를 송신하고, 그 이외의 데이터는 추가정보로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방법.
  7.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종류의 파라미터를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상기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파라미터에 적용할 에러보호의 방법을 각 클래스마다 정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와,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소정의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된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마다 정한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와,
    상기 소정의 에러보호가 실시된 프레임 구성 데이터 및 상기 각 클래스마다 정한 에러보호를 실시한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합성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장치.
  8.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각 프레임에 공통인 고정 데이터를 구하여, 전송의 최초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는 각 프레임마다,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고정정보를 제외한 것에 에러보호를 실시하고,
    상기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는 상기 고정 데이터 또는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에 속하는 파라미터에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일부가 복수종류의 데이터 중 어느 것으로 한정되는 경우에, 전송개시할 때에, 그 프레임 구성 데이터의 일부에 대해서, 한정되는 복수종류의 데이터와 각각에 대응한 식별자를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로부터 각 프레임마다 출력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상기 식별자와 함께 송신한 데이터 어느 것과 일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에 대응한 식별자로 변환하고, 그 이외의 정보는 추가정보로서 출력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와,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 대신에,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또는 추가 데이터에 소정의 에러보호를 실시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각 프레임에 공통인 고정 데이터를 구하여, 전송의 최초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변환기는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에 의해 각 프레임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구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고정 데이터를 제외시키고, 남은 프레임 구성 데이터 중 상기 식별자와 함께 송신한 데이터의 어느 것과 일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에 대응한 식별자로 변환하고, 그 이외의 데이터는 추가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데이터 에러보호 처리부에 의해 에러보호가 실시된 각 클래스의 파라미터의 인터리브를 행하는 인터리브 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 연산부는 각 클래스에 적용할 인터리브의 내용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 구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리브 장치는 이 프레임 구성 데이터에 따라 각 클래스의 파라미터의 인터리브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브 장치는 어떤 클래스의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다른 클래스의 파라미터의 비트열 내에 분산배치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보호장치.
KR1020007000544A 1998-05-27 1999-05-27 에러 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 KR10036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46192 1998-05-27
JP98-146191 1998-05-27
JP14619298 1998-05-27
JP14619198 1998-05-27
JP34601698 1998-12-04
JP98-346016 1998-12-04
PCT/JP1999/002800 WO1999062181A1 (fr) 1998-05-27 1999-05-27 Procede et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erre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979A KR20010021979A (ko) 2001-03-15
KR100363580B1 true KR100363580B1 (ko) 2002-12-05

Family

ID=2731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544A KR100363580B1 (ko) 1998-05-27 1999-05-27 에러 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34718B1 (ko)
EP (2) EP1345333B1 (ko)
JP (1) JP3457335B2 (ko)
KR (1) KR100363580B1 (ko)
CN (1) CN1147051C (ko)
AU (1) AU756985B2 (ko)
CA (1) CA2297775C (ko)
DE (2) DE69910965T2 (ko)
WO (1) WO1999062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1077B1 (en) * 1998-05-27 2010-07-1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Interleaving device and method with error protection
EP1035682A1 (en) * 1999-03-06 2000-09-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bus interface employing a memory in an integrated circuit for linking a bus with an application device
US20010041981A1 (en) * 2000-02-22 2001-11-15 Erik Ekudden Partial redundancy encoding of speech
US7159164B1 (en) * 2000-06-05 2007-0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particular bits of a frame
US6839007B2 (en) * 2001-11-01 2005-01-04 Qualcomm Incorporated Inner coding of higher priority data within a digital message
JP3922979B2 (ja) * 2002-07-10 2007-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伝送路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7350131B2 (en) * 2005-01-22 2008-03-25 Cisco Technology, Inc. Error protecting groups of data words
US8719670B1 (en) * 2008-05-07 2014-05-06 Sk Hynix Memory Solutions Inc. Coding architecture for multi-level NAND flash memory with stuck cells
CN106301672B (zh) * 2015-05-19 2019-03-22 红阳科技股份有限公司 提升数据正确性的音频传输系统及其数据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7423A (ja) * 1985-11-18 1987-05-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声符号化方式
JP2841460B2 (ja) * 1989-04-20 1998-12-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伝送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JP3120523B2 (ja) * 1992-01-14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音声通信方法
JP3171973B2 (ja) 1993-01-07 2001-06-04 株式会社東芝 音声符号化の誤り制御方法
US6330644B1 (en) * 1994-10-27 2001-12-11 Canon Kabushiki Kaisha Signal processor with a plurality of kinds of processors and a shared memory accessed through a versatile control means
DE19605418B4 (de) 1996-02-14 2014-11-20 Ipcom Gmbh & Co. Kg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Daten, insbesondere für die Übertragung mit veränderlicher Kanalbitrate
US6170073B1 (en) * 1996-03-29 2001-01-02 Nokia Mobile Phones (Uk)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detection in digital communications
US6167060A (en) * 1997-08-08 2000-12-26 Clarent Corporation Dynamic forward error correction algorithm for internet telephone
US6356545B1 (en) * 1997-08-08 2002-03-12 Clarent Corporation Internet telephone system with dynamically varying codec
US6345126B1 (en) * 1998-01-29 2002-02-05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n embedded bit stream produced in a hierarchical table-lookup vector quantizer
SG71832A1 (en) * 1998-08-24 2000-04-18 Inst Of Micro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determination of scalable channel coding scheme parameters
US6292917B1 (en) * 1998-09-30 2001-09-18 Agere Systems Guardian Corp.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digital broadcasting using channel classification
US6223324B1 (en) * 1999-01-05 2001-04-24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ultiple program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and other applications
US6430401B1 (en) * 1999-03-29 2002-08-06 Lucent Technologies Inc. Technique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multiple digital representations of a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57335B2 (ja) 2003-10-14
DE69910965T2 (de) 2004-07-22
CA2297775A1 (en) 1999-12-02
CN1272251A (zh) 2000-11-01
CA2297775C (en) 2006-07-18
DE69910965D1 (de) 2003-10-09
AU4531399A (en) 1999-12-13
EP1018807B1 (en) 2003-09-03
EP1345333A1 (en) 2003-09-17
EP1018807A1 (en) 2000-07-12
EP1018807A4 (en) 2001-07-11
WO1999062181A1 (fr) 1999-12-02
DE69920779T2 (de) 2005-05-25
KR20010021979A (ko) 2001-03-15
AU756985B2 (en) 2003-01-30
CN1147051C (zh) 2004-04-21
DE69920779D1 (de) 2004-11-04
EP1345333B1 (en) 2004-09-29
US6434718B1 (en)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2206B1 (en) Error protection for lookup operations in content-addressable memory entries
US20070165673A1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lost packets using a binary parity check
US5010553A (en) High speed, error-free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6910169B2 (en) ECC code mechanism to detect wire stuck-at faults
US8266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et membership testing using combinatorial bloom filters
KR100508613B1 (ko) 복호화 장치, 복호화 방법, 이동국 장치 및 기지국 장치
US200700890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management
CN110224793B (zh) 一种基于媒体内容的自适应fec方法
EP1841077B1 (en) Interleaving device and method with error protection
KR100363580B1 (ko) 에러 보호방법 및 에러보호장치
CN1240187C (zh) 用于恢复接收帧的特定位的方法和设备
KR20040091208A (ko) 동영상 전송 시스템의 에러 검출 방법
US2005024297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coding or decoding a sequence of digital data
KR102383892B1 (ko)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자가 적응 시스템 코드 fec의 코딩 및 디코딩 방법, 장치, 시스템 및 매체
US9337959B2 (en) Defect propagation of multiple signals of various rates when mapped into a combined signal
US20060251176A1 (en) Media-encoded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EP0659314A1 (en) Encoding data
CN116015310A (zh) 一种数据无损压缩方法和装置
UA139760U (uk) Спосіб декодування факторіального коду з відновленням вибірок мовного сигналу реального часу методом лінійної інтерполяції
Voukalis Further remarks for the matrix type-B codes
Jianhu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eliable broadcast scheme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JP2004214743A (ja) パケット同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