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326B1 -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 Google Patents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326B1
KR100330326B1 KR1019990043695A KR19990043695A KR100330326B1 KR 100330326 B1 KR100330326 B1 KR 100330326B1 KR 1019990043695 A KR1019990043695 A KR 1019990043695A KR 19990043695 A KR19990043695 A KR 19990043695A KR 100330326 B1 KR100330326 B1 KR 10033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toring
bank
banknotes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8967A (en
Inventor
사사끼시게루
노미야마아끼라
가또리이찌
시바따신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2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2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6Flexible surface
    • B65H2404/561Bristles,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회전 구동되는 스택·피드 롤러(801), 픽업 롤러(811)와, 방출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 롤러(803)와 게이트 롤러(803)와 동일축 상에 있고 탄성 부재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브러시 롤러(804), 및 분리시와 스택시에 가동하는 분리·스택 가이드(805), 또한 수납 지폐의 상하 단부의 지폐 지지 부재, 수평 방향으로 구동되는 가압판에 의해 구성된다.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is invention is coaxial with the stack feed roller 801 and the pick-up roller 811 which are rotationally driven, and the gate roller 803 and the gate roller 803 which do not rotate in a discharge direction. A brush roller 804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radially disposed, and a separation / stack guide 805 which is movable at the time of separation and stacking, the banknote support member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ored bills, and the pressure plate driv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mposed by.

Description

지폐 입출금 장치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본 발명은 일반 이용자가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현금을 직접 입출금하는 지폐 입출금기(예를 들어,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AT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금 지폐를 출금 지폐로서 활용하는 환류형의 지폐 입출금기에 이용되는 지폐 수납 방출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teller machine (for example, an ATM used in financial institutions, etc.) in which a general user directly deposits and withdraws cash using a card or a bankbook. It relates to a banknote storage outlet used for.

종래, 예를 들어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환류형의 ATM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수직형의 지폐 수납 방출고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입금 지폐의 수납, 출금 지폐의 방출, 및 장치로부터의 지폐의 자동 회수, 장치로의 지폐의 자동 장전, 장치 내의 현금 재고를 확정하는 자동 정밀 조사 등에 제공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in banknote teller machines in a cash flow type ATM used in financial institutions or the like, vertical banknote storing and dispensing machines are generally employed to store deposit banknotes, discharge banknotes, and automatically collect banknotes from devices, It is provided for automatic loading of bills into the apparatus, automatic scrutiny to confirm the cash inventory in the apparatus, and the like.

한편, 장치 전체를 비교적 간소한 반송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설치 면적을 변경하지 않고 지폐 수납 방출고의 갯수를 증설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부터, 수평형의 지폐 수납 방출고를 복수단 적층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hole apparatus can be comprised with a comparatively simple conveyance system, and the number of banknote storage bins can be expanded without changing an installation area, the method of stacking multiple banknote storage bins of a horizontal type is laminated | stacked. Is also proposed.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188074호 공보 기재의 예에서는 지폐 수납부를 증설해도 장치 깊이 치수가 커지지 않는 수평형의 지폐 수납 방출고를 채용한 지폐 입출금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188074, the structure of the banknote dispenser which employ | adopted the horizontal banknote storing bank which the apparatus depth dimension does not become large even if an additional banknote accommodating part is expanded is disclosed.

ATM 등의 보급에 수반하여, 지폐 입출금기는 종래의 기능이나 성능을 확보하면서 보다 소형, 저비용, 사용 편리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편, 취급하는 지폐는 국내에서의 외국 지폐의 취급 증가나 국외에서의 지폐 입출금기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일본 엔화 지폐뿐만 아니라, 외국 지폐도 취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With the spread of ATMs and the like, banknote machines are increasingly demanding for smaller size, lower cost, and ease of use while securing conventional functions and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as the bills to be handled increase in the handling of foreign bills in the country and the necessity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s in the foreign countries is increased, a device capable of handling not only Japanese yen bills but also foreign bills is required.

그런데, 외국 지폐의 취급시에는 다음의 점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지폐 종류의 수가 일본 엔화 지폐의 경우보다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지폐 크기가 종류에 따라서 긴 변, 짧은 변 방향 모두 크게 다른 경우가 많다. 또한 지폐의 접힘이나 파손의 정도도 각국 지폐의 유통 사정에서 보면, 일본 엔화 지폐보다도 악조건이라 생각되어 장치의 지폐 반송로에서의 지폐 막힘의 저감이나 지폐 수납, 지폐 방출에 있어서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된다.By the way, the following points need to be fully considered when handling foreign paper money. That is, the number of banknote types increases not only in the case of Japanese Yen banknotes, but also the banknote size varies greatly in both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depending on the type. In addition, the degree of fold or damage of bills is also considered to be worse than Japanese yen bills, and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blockage of bills and secure the reliability of bill storage and bill ejection in the bill conveying path of the device. Becomes

그런데, 상기 종래예에서는 장치의 신뢰성, 특히 일본 엔화보다도 악조건인 외국 지폐의 연속 수납 동작시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By the way, in the said prior art example,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especially the reliability at the time of continuous storing operation | movement of foreign bank notes which are worse than Japanese yen is not considered.

따라서, 일본 엔화 지폐뿐만 아니라 넓게는 외국 지폐에도 적용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기, 특히 입금한 지폐를 출금을 위해 지폐를 수납한 후, 그 지폐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한 환류 형태의 지폐 입출금기에는, (1) 소형으로서 간소한 구성인 것, (2) 지폐 반송로에서의 지폐 막힘이 적은 고신뢰성의 장치인 것, (3) 지폐 수납 장수가 대용량으로서 안정된 연속 수납, 연속 분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의 각 조건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a banknote dispenser which can be applied not only to Japanese yen bills but also widely to foreign banknotes, especially banknotes in the form of a reflux, in which banknotes can be released after depositing banknotes for withdrawal, (1) Small size, simple structure, (2) High reliability device with few banknote clogging in banknote conveying path, (3) Banknote storing long-capacity, stable continuous storage, continuous separation opera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atisfy sufficiently.

본 발명은 일본 엔화 지폐보다도 악조건 지폐의 다수장 연속 수납의 환류 형태의 지폐 입출금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흐트러지기 쉬운 작은 크기의 지폐라도 안정된 수납, 방출 동작이 가능한 지폐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which can be applied to a banknote dispenser in the form of a reflux of a continuous storage of a plurality of adverse banknotes rather than a Japanese yen bill, and that enables stable stor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even for small bills which are easily disturbed. It is d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지폐를 수납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 장치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수납된 지폐를 일단 수납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고 출금을 위해 그 지폐를 방출하는 지폐 수납 방출고와, 입출금구, 지폐 판별 장치, 일시 보관고 및 지폐 수납 방출고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를 갖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지폐 반송로와 접속되어 지폐를 지폐 수납 방출고에 수납하고 또한 지폐 수납 방출고로부터 분리하는 스택·분리 기구와, 지폐의 집적 방향 또는 반집적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폐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하여 지폐를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상부·하부 지폐 지지 부재와, 지폐를 수직 상태로 지지하여 방출고 내의 수평 방향으로 구동되는 가압판을 갖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for storing or releasing bills, the banknote discrimination device for discriminating the bills, and the temporary storage for storing and storing the bills receiv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nce, A banknote depositing and retrieving device having a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for storing banknotes and discharging the banknotes for withdrawal, and a banknote conveying path for connecting the cashier, the 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the temporary storage, and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Is a stack / separation mechanism connected to a bill conveyance path and storing bills in a bill acceptor outlet and separating from the bill acceptor outlet, and rotating in the stacking or semi-collecting direction of the bills and touch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ill. Upper and lower banknote support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banks in a vertical state, and the banknotes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discharge bin by supporting the banknotes in a vertical state. To have a pressure plate which is driven.

상부·하부 지폐 지지 부재는 각각 가압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고, 각각이 지폐를 이송하는 속도는 가압판의 이동 속도보다도 빨라지도록 증속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banknote suppor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ure plate, and the speed is increased so that the speed at which each of the banknotes is transferred becomes fast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pressure plate.

또한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지폐 분리시에는 지폐를 스택·분리 기구로 유도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지폐 스택시에는 상기 상부 지폐 지지 부재와 상단부에서 혼입되어 구성되는 지폐 가이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tray in the banknote dispens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a position for guiding banknotes to a stack / separation mechanism at the time of banknote separation, and at the time of banknote stacking, the banknote guide is mixed with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end. It is preferable to have.

그리고,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스택·분리 기구로부터 송입된 지폐를 방사형으로 연장된 가요성 부재에 의해 지폐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지폐를 이송하는 브러시 롤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rack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ush roller for transferring banknotes to a space for storing banknotes by a flexible member radially extending the banknotes fed from the stack / separation mechanism. .

또한,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된 지폐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폐 지지부와, 브러시 롤러의 외주원과 지폐 지지부의 단부와의 교점 근방에 배치되고, 브러시 롤러의 상방에 소정 시간 이상의 지폐의 유무를 검출하는 지폐 검출 센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지폐 검출 센서에 의해 브러시 롤러의 상방에 지폐가 연속하여 잔류한 것을 검출하면 가압판을 스택·분리 기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banknote bottom part accommodat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rush roller, and the edge part of a banknote support part, and is predetermined above the brush roll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banknot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anknote of time or more, and, if the banknot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banknotes remain continuously above the brush roller,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pressure plate in the stacking / separating mechanism direction. Do.

그리고,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집적되는 지폐의 팽창 또는 기울기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고, 지폐 입출금 장치는 그 검출기가 소정의 팽창량 또는 소정의 경사각을 검출한 때 지폐의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수납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의 가압판을 반집적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수납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has a detector which detects the expansion or inclination of the banknote integ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vertical state, and the banknote depositing and withdrawing apparatus has a detector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inflation or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a control unit for suspending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ing outlet into the banknote when the detection is performed, and controlling the resumption of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ing outlet into the bank after driving the pressure plate of the banknote storing outlet into the semi-collective direction. It is preferable.

또한, 지폐 수납 방출고로부터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로 지폐를 이동할 때, 지폐 수납 방출고의 가압판의 이동량과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의 가압판의 이동량을 비교하여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에 수납된 지폐의 기울기를 판정하고, 기울기가 판정된 때에는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지폐의 수납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가압판을 반집적 방향으로 구동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수정한 후, 수납 동작을 재개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지폐 수납 방출고의 수납 동작 중의 가압판 이동량(Y) 및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지폐 공급원의 가압판 이동량(X)을 검출하여 각각을 비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moving a banknote from a banknote storing bank to another banknote storing bank, the inclination of the banknote accommodated in another banknote storing bank by compar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pressure plate of the banknote storing bank with the movement amount of the presser plate of another banknote storing bank,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trol unit which suspends the storing operation of banknotes to another banknote storing-exhaust store | difference, drives a pressure plate in the semi-collective direction, corrects the inclination of banknotes, and resumes a storing operation when the inclination was determined. Do.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detect the pressing plate moving amount Y during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in and the pressing plate moving amount X of the banknote supply source to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in and to compare them respectively.

그리고, 브러시 롤러는 주위 방향의 일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보스 노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에 지폐를 집적할 때에는 지폐를 집적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납 공간에 수납된 지폐를 분리할 때에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brush roller preferably has a boss exposed portion in which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not provided with the flexible member radially, and rotates in a direction of stacking banknotes when accumulating banknotes in a storage space for storing banknotes, It is more preferable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separating banknote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집적하는 지폐에 대해 강제적으로 변형을 일으키는 면외(面外) 변형 부여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out-of-plan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rovision member which forcibly produces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banknote to accumulate.

또한,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지폐를 집적할 때 집적하는 지폐의 전단부와 가요성 부재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도록 브러시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has a control part which controls rotation of a brush roller so that the front end part of a banknote which accumulates when a banknote and a flexible member become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

또한,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하는 지폐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위치가 조정 가능한 천정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storage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has a ceiling plate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which forms the said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nknote to accommodate.

그리고,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하는 지폐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위치가 조정 가능한 측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storage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has the side wall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which forms the said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nknote to accommodate.

또한,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 방출구부근의 수납 공간측에 가요성의 구획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storage discharge | emission heigh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flexible partition member in the storage space side near the storage discharge port.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특징을 갖는 지폐 수납 방출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지폐 입출금 기구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에 의해서도 실현된다.And this invention is also implement | achieved by the banknote dispenser which makes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provided with the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he banknote accommodation discharge | emission bank which has the said characteristic as one compon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양호한 그리고 대안 실시예들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할 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Still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and alternative embodiments.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bill accommodating release mechanis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스택·분리부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 separating part of the bill holding / release mechanism.

도3은 수납 동작시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스택·분리부의 측면도.Fig. 3 is a side view of the stack separating part of the bill holding / release mechanism in the storing operation.

도4는 분리 동작시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스택·분리부의 측면도.Fig. 4 is a side view of the stack separating part of the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in the separating operation.

도5는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수납 동작 도중의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during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ill storing / release mechanism.

도6은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수납 동작 완료 상태의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ing operation completion state of the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도7은 지폐의 긴 변 방향의 정렬성 불량과 그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for explaining the misalignment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anknote and its solution.

도8은 지폐 팽창량 과다의 결점을 설명하기 위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Fig. 8 is a side view of the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for explaining the disadvantage of excessive banknote expansion amount.

도9는 지폐 팽창량 과다의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Fig. 9 is a side view of a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for explaining correction of excessive banknote expansion amount.

도10은 지폐 팽창량 수정 후의 수납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Fig. 10 is a side view of the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for explaining the accommodating operation mode after the banknote inflation amount is corrected.

도11은 지폐 입출금 기구를 실제 장착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관 사시도.Fig. 11 is an overview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ash transa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도1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ash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도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 입출금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14는 지폐 입출금 기구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도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형의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Fig. 15 is a side view of a vertical banknote accommodating / release mechanis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입출금구2: entrance and exit

8 : 지폐 수납 방출고8: banknote storage discharge

101 : 하우징101: housing

102 :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Card and specification processing mechanism

103a : 통장 슬롯103a: passbook slot

105 : 고객 조작부105: customer control panel

106 : 본체 제어부106: main body control unit

106a : 버스106a: Bus

106b : 인터페이스부106b: interface unit

106c : 담당자 조작부106c: Personnel Control Panel

251a, 251b, 851a 내지 851e, 857a 내지 857e, 451 : 유닛 반송로251a, 251b, 851a to 851e, 857a to 857e, 451: unit transport path

252, 852a 내지 852e, 452 : 절환 게이트252, 852a to 852e, 452: switching gate

501 : 지폐 반송로501: bill transfer path

805 : 분리·스택 가이드805: separation stack guide

806 : 가압판806: pressure plate

본 발명을 제한할 목적이 아닌 단지 예시를 위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 및 대안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and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shown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orm of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utomatic cash transaction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장치의 본체 하우징(101)의 상부에는 하우징(101)의 상부 정면판(101b)에 설치된 카드 슬롯(102a)과 연통하여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표를 인쇄하여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와, 통장 슬롯(103a)과 연통하여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 처리 기구(103)를 구비하고 있다.A card and specification processing mechanism which communicates with the card slot 102a installed in the upper front plate 101b of the housing 101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ousing 101 of the device to process the user's card, and print and release the transaction specification sheet. And a passbook processing mechanism 103 for communicating with the passbook slot 103a to process the passbook of the user.

그리고, 본체 하우징(101)의 하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입출금 기구(1)를 구비하고 있으며, 중간부에는 거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 조작부(105)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6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전체의 제어를 취급하는 본체 제어부이다.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the banknote deposit / withdrawal mechanism 1 which processes banknotes, and the customer operation part 105 which displays and inputs a transaction content is provided in the middle part. Reference numeral 106 denotes a main body control unit that handles the control of the entire cash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도12는 본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1)에 수납된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지폐 입출금 기구(1) 및 고객 조작부(105)는 버스(106a)를 거쳐서 본체 제어부(106)와 접속되어 있으며, 본체 제어부(106)의 제어 하에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본체 제어부(106)는 상기 외에 인터페이스부(106b), 담당자 조작부(106c), 외부 기억 장치(106d) 모두와 버스(106a)로 접속되어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에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12에 도시한 도면 부호 101d는 상기 각 기구, 구성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card / specification tag processing mechanism 102, the bankbook processing mechanism 103,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and the customer operation unit 105 stored in the main body housing 101 are the main body control unit via the bus 106a. It is connected to the 106 and performs the necessary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6.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6 is connected to all of the interface unit 106b, the person in charge operation unit 106c, a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6d by the bus 106a in addition to the above, and transfers necessary data. Since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Reference numeral 101d shown in Fig. 12 denot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above mechanisms and components.

도13은 도11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중에서, 본 발명의 지폐 수납 방출고를 적용하는 지폐 입출금 기구(1)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to which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deposi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mong the cash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of FIG.

지폐 입출금 기구(1)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취출을 행하는 입출금구(2)와, 지폐의 판별을 행하는 지폐 판별부(3)와, 입금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사이에 일단 수납하는 일시 보관고(4)와, 입금시 거래가 성립된 지폐를 수납하는 하나의 입금고(6)와,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하나의 출금고(7)와, 입출금 겸용의 하나의 지폐 수납 방출고(8)와, 입금고에 수납하지 않은 입금 지폐나 출금고로부터 방출된 지폐 중 출금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방출고(9)(바꿔 말하면, 판별부에서 판별 가능한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지폐 수납 방출고(8)에 보충하는 지폐나 각 방출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11)와, 지폐 판별부(3)를 통과하여 입출금구(2), 일시 보관고(4), 입금고(6), 출금고(7), 지폐 수납 방출고(8), 방출고(9), 장전·회수고(11)에 대해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로(5)와, 제어부(10)로 구성된다. 제어부(10)는 장치의 본체 제어부(106)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상태 검출에 따라서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 제어부(106)로 보낸다.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temporarily stores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nings 2 through which the user inserts and withdraws banknotes,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3 with which the banknotes are discriminated, and the banknotes that have been deposited once until the transaction is established. A storage 4, a depository 6 for storing banknotes in which a transaction is established at the time of deposit, a cashier 7 for storing banknotes for withdrawal, and a banknote storing bank for both deposit and withdrawal (8) ), A banknote 9 (in other words, a bank that holds banknotes discernible by the discriminating unit) for storing banknotes that are not stored in a depository or banknotes discharged from a cashier, and banknotes that are not withdrawn, and a banknote Passing-and-receiving store 11 which stores banknotes supplemented to the storage discharge bank 8 and the banknotes collect | recovered from each discharge bank, and the bank teller 2, the temporary depository (4) through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3 , About the depository (6), the teller (7), the bill storing discharge cabinet (8), the discharge warehouse (9), the loading, the collection warehouse (11) It consists of the bank note transportation path for transporting the waste to 5, a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6 of the apparatus and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the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and further needs the state of the paper money withdrawal mechanism 1 to be necessary. Therefore, it is sent to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6.

또한, 지폐 반송로(5)는 지폐 판별부(3)를 통과하고, 입출금구(2)로의 분기점, 방출고(9), 입금고(6), 출금고(7), 지폐 수납 방출고(8), 장전·회수고(11)와의 합류/분기점, 일시 보관고(4)와의 분기/합류점을 차례대로 경유하여, 다시 지폐 판별부(3)로 복귀하는 도면 부호 501a 내지 501k(도13에서 굵은 실선 화살표로 도시함)로 이루어지는 단일 환형의 메인 지폐 반송로(501)와, 이 메인 지폐 반송로(501)와 각 유닛을 접속하는 유닛 반송로(251a, 251b, 851a 내지 851e, 857a 내지 857e, 451)로 구성된다. 방출고(9)의 상부에는 메인 지폐 반송로(501)의 일부를 형성하는 U턴 지폐 반송로(860)가 마련된다.Moreover, the banknote conveyance path 5 passes through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3, the branch point to the cash-in / out port 2, the bank 9, the bank 6, the bank 7, the banknote storage bank ( 8), reference numerals 501a to 501k (in bold in Fig. 13) returning to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3 in turn via the merging / junction with the loading / recovery 11 and the bifurcation / consolidation with the temporary storage 4 in order. A single annular main bill transport path 501 composed of a solid arrow) and unit transport paths 251a, 251b, 851a to 851e, 857a to 857e, which connect the main bill transport path 501 and each unit; 451). The U-turn banknote conveyance path 860 which forms a part of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 emission bin 9.

도면 부호 251a는 입출금구(2)로부터 방출된 지폐를 메인 지폐 반송로(501)에 반송 합류하는 입금 유닛 반송로이고, 도면 부호 251b는 메인 지폐 반송로(501)로부터 입출금구(2)로 분기 반송하는 출금 유닛 반송로이고, 도면 부호 851a 내지 851e는 메인 반송로(501)로부터 방출고(9), 입금고(6), 지폐 수납 방출고(8), 장전·회수고(11)의 각 카세트로 분기 반송하는 카세트 유닛 반송로이고, 도면 부호 857a 내지 857e는 출금고(7), 지폐 수납 방출고(8), 장전·회수고(11)로부터 방출된 지폐를 메인 지폐 반송로(501)에 반송 합류하는 카세트 유닛 반송로이고, 도면 부호 451은 메인 지폐 반송로(501)로부터는 일시 보관고(4)로 분기 반송하는 동시에,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방출된 지폐를 메인 지폐 반송로(501)에 반송 합류하는 일시 보관고 유닛 반송로이다. 또한, 메인 지폐 반송로(501)로부터 각 유닛 반송로(251a, 251b, 851a 내지 851e, 857a 내지 857e, 451)로의 분기점에는 절환 게이트(252, 852a 내지 852e, 452)를 설치하고, 지폐 판별부(3)로부터의 판별 결과를 근거로 제어부(10)에서 반송을 제어한다.Reference numeral 251a denotes a deposit unit conveyance path for conveying and joining the banknotes discharg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ning 2 into the main banknote conveying path 501, and reference numeral 251b branches from the main banknote conveying path 501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 2. It is a withdrawal unit conveyance path to convey, and 851a-851e are each of the discharge | emission 9, the depository 6,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8, and the loading / recovery 11 from the main conveyance path 501. It is a cassette unit conveyance path which carries out a branch to a cassette, and 857a-857e has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which carries out the banknotes discharged from the withdrawal bank 7,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8, and the loading / recovery warehouse 11 It is a cassette unit conveyance path which conveys and joins, The reference numeral 451 carries out branch conveyance from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to the temporary storage 4, and transfers the banknote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banknote 4 to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 Is a temporary storage unit conveying path. Further, switching gates 252, 852a to 852e and 452 are provided at branch points from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to the unit conveyance paths 251a, 251b, 851a to 851e, 857a to 857e and 451, and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result from (3), the control part 10 controls conveyance.

제어부(10)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본체 제어부(106)와 버스(106a)를 거쳐서 접속되고, 본체 제어부(106)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상태 검출에 따라서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 제어부(106)로 보낸다. 지폐 입출금 기구(1) 안에서는 각 유닛[입출금구(2), 지폐 판별부(3), 일시 보관고(4), 지폐 반송로(5), 입금고(6), 출금고(7), 지폐 수납 방출고(8), 방출고(9), 장전·회수고(11)]의 구동 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나 센서와 접속되고, 거래에 따라서 센서에 의해 상태를 감시하면서 작동기를 구동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via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6 and the bus 106a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14, an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from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6 and the state detection of the paper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Th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is controlled, and the state of the banknote and withdrawal mechanism 1 is sent to the main body controller 106 as necessary.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each unit (entrance and withdrawal opening 2,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3, temporary storage 4, banknote conveyance path 5, banknote 6, cash drawer 7, banknote storing) It is connected to a drive motor, an electronic solenoid, and a sensor of the discharge bin 8, discharge bin 9, loading / recovering bin 11, and drives the actuator while monitoring the state by the sensor in accordance with a transaction.

각 유닛[입출금구(2), 입금고(6), 출금고(7), 지폐 수납 방출고(8), 방출고(9), 장전·회수고(11)]의 수납부는 일본 엔화 지폐의 취급뿐만 아니라, 치수가 다른 외국 지폐를 폭 넓게 취급할 수 있도록 짧은 치수로서 약 100 ㎜, 긴 치수로서 약 200 ㎜를 확보하고, 반송부[지폐 판별부(3), 일시 보관고(4), 지폐 반송로(5)]의 폭은 약 220 ㎜를 확보하면 좋다.The storage section of each unit (cash inlet (2), cash inlet (6), cash drawer (7), banknote storage bank (8), bank (9), loading and recovery bank (11)) of the Japanese yen bill In addition to handling, secures about 100 mm as a short dimension and about 200 mm as a long dimension in order to handle a wide range of foreign bills with different dimensions, and the conveying part (banknote discrimination section 3, temporary storage box 4, banknote) The conveyance path 5] may secure about 220 mm in width.

또한, 취급하는 최소 지폐 크기를 짧은 변 치수 약 60 ㎜, 긴 변 치수 약 120 ㎜로 하여 입금고(6), 출금고(7) 등의 담당자나 이용자가 지폐를 세트하는 수납부는 취급하는 지폐의 크기에 따라서 긴 변 방향, 짧은 변 방향의 정렬성을 규제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조정 가능한 규제 가이드를 배치하면 좋다.The minimum bill size to be handled is about 60 mm on the short side and about 120 mm on the long side. An adjustable regulation guide (not shown) may be arranged to regulate the alignment of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지폐 입출금 기구(1)는 이상에 서술한 각 유닛(2 내지 11)을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고, 지폐 반송로(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지폐 반송로(501)와, 유닛 반송로(251a, 251b, 851a 내지 851e, 857a 내지 857e, 451)에서 각 유닛 사이를 접속함으로써, 입금 거래, 출금 거래 등의 각 동작을 성립시킨다.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arrange | positions each unit 2-11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11, and the banknote conveyance path 5 has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as mentioned above, By connecting each unit in the unit conveyance paths 251a, 251b, 851a-851e, 857a-857e, 451, each operation | movement, such as a deposit transaction and a withdrawal transaction, is established.

다음에, 지폐 입출금 기구(1)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is demonstrated easily.

입금 거래시에는 입출금구(2)에 투입된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되어 입출금구 유닛 반송로(251a)를 통해 메인 지폐 반송로(501)에 합류되어 지폐 판별부(3)에서 지폐의 종류와 진위가 판정되고, 메인 지폐 반송로(501b 내지 501h)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일시 보관고(4)에 일단 수납되지만,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할 수 없었던 지폐나, 기울기나 지폐끼리의 간격이 이상해진 입금 방출 지폐는 절환 게이트(252)가 절환되어 지폐 판별부(3)를 나오면 입출금구(2) 방향으로 분기되어 입출금구에 수납되고 이용자에게 되돌려 준다. 일시 보관고(4)에는 취입되지 않는다.At the time of the deposit transaction, the banknotes put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slot 2 are separated one by one and joined with the main banknote conveying path 501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conveying path 251a. It is judged and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s 501b to 501h and onc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4, but the banknote which cannot be discriminated by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3, and the inclination or the space | interval between banknotes became abnormal When the transfer gate 252 is switched and exits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3, the deposit release banknote is branched toward the deposit and withdrawal outlet 2 and stored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outlet and returned to the user. It is not blown into the temporary storage 4.

입금 거래의 거래 성립 후에는, 일시 보관고(4)로부터 지폐는 수납시와는 반대의 순서로 메인 지폐 반송로(501)로 내보내고, 도면 부호 501j, 501k로 반송되어 지폐 판별부(3)에서 다시 지폐의 종류와 진위를 판정하여 카세트 유닛 반송로(851b, 851d, 851a)의 절환 게이트(852b, 852d, 852a) 중 어느 하나를 절환하고, 입금고(6), 지폐 수납 방출고(8), 방출고(9)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다.After the transaction is completed, the banknotes are sent from the temporary storage 4 to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501 in the reverse order of storage, and are conveyed to 501j and 501k, and are returned from the banknote discriminating unit 3 again. The type and authenticity of the banknotes are determined, and any one of the switching gates 852b, 852d, and 852a of the cassette unit conveying paths 851b, 851d, and 851a is switched, and the depository bank 6,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8, It is stored in any one of the discharge bins 9.

출금시에는 출금고(7), 지폐 수납 방출고(8)의 지폐 종류마다의 금고로부터소정의 장수씩 방출하고, 메인 지폐 반송로(501)를 도면 부호 501f 내지 501k로 경유하여 지폐 판별부(3)에서 판별하고, 게이트(252)에서 분기시켜 입출금구(2)에 수납하여 이용자에게 지불된다. 출금 방출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지폐는 방출고(9)에 수납되어 부족한 지폐가 추가되어 방출된다.At the time of withdrawal,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are discharged from the safes for each banknote type in the withdrawal bank 7 and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8, and the banknote discrimination section 501f to 501k is used to pass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 3), branched from the gate 252, stored in the entry / exit 2, and paid to the user. When a withdrawal discharge occurs, the banknote is stored in the discharge bank 9, and the insufficient banknote is added and discharged.

이하, 지폐 입출금 기구(1)에 적용되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폐 수납 방출고(8)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of the banknote storing bank 8 to which this invention applied to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were applied are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지폐 수납 방출고(8)는 지폐 입출금 기구(1)에 복수개 실제 장착 가능하다. 본 실시의 일 형태에서는 지폐 입출금 기구(1)에 복수개 1군데 실제 장착하고 있으며, 도1에 구성을 도시한다.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store 8 can be actually mounted in plurality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one places are actually attached to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1, and th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이 지폐 수납 방출고(8)는 수납과 분리 방출할 수 있는 금고이며, 금고 밖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기어를 거쳐서 회전 구동되는 스택·피드 롤러(801), 픽업 롤러(811)와, 종동 회전하는 백업 롤러(802)와, 수납 방향으로 회전하고, 방출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 롤러(803)로 구성되는 스택·분리 기구와, 게이트 롤러(803)와 동일축 상에 있고 가요성의 압박 부재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브러시 롤러(804), 및 분리시와 스택시에 가동하는 분리·스택 가이드(805)(지폐 가이드)에 의해 지폐의 수납 방출구가 구성되어 있다.The banknote storage bin 8 is a safe that can be separately stored and discharged. The stack feed roller 801 and the pickup roller 811 which are driven to rotate through a gear from a drive source (not shown) outside the safe are driven and driven. The stacking / separation mechanism composed of the backup roller 802, the gate roller 803 rotating in the storage direction and not rotating in the discharge direction, and a flexible pressing member coaxial with the gate roller 803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port is comprised by the brush roller 804 arrange | positioned radially and the separation / stack guide 805 (paper bank guide) which operates at the time of separation and a stack | stack.

바닥판(808) 및 가압판(806)과, 바닥판(808)보다 상면에서 지폐 하면을 지지하도록 현가된 바닥면 평벨트(807)와, 분리·스택 가이드(805)로 둘러싸여진 수납 공간에 지폐는 수납된다.Banknotes in a storage space surrounded by a bottom plate 808 and a pressure plate 806, a bottom flat belt 807 suspended to support the bottom face of the banknot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808, and a separation / stack guide 805. Is housed.

지폐 수납 방출고(8)에 수납되는 지폐는 절환 게이트(852)가 도시한 도면 부호 852a와 같이 절환함으로써, 메인 지폐 반송로(화살표 501)로부터 화살표 854와 같이 분기되고, 회전하는 스택·피드 롤러(801)와 백업 롤러(802) 사이에, 또한 스택·피드 롤러(801)와 스택 방향으로 회전하는 게이트 롤러(803) 사이에 송입된다. 스택·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 사이에 송입된 지폐는 분리·스택 가이드(805)를 따라서 수납되고, 도1의 대략 3각 형상의 스택 공간(901)에 수납된다. 수납된 지폐의 하단부를 회전하는 브러시 롤러(804)가 집적 방향으로 쓸어냄으로써 후속 지폐와의 간섭을 방지한다.The banknote stored in the banknote storing-out bank 8 is switched as shown by arrow 854 from the main banknote conveyance path (arrow 501) by switching a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852a which the switching gate 852 shows, and rotates the stack feed roller which rotates. It is fed between the 801 and the backup roller 802 and between the stack feed roller 801 and the gate roller 803 rotating in the stack direction. Banknotes fed between the stack feed roller 801 and the gate roller 803 are stored along the separation and stack guide 805, and are stored in the stack space 901 having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in FIG. 1. The brush roller 804 rotating the lower end of the stored bill is swept in the stacking direc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subsequent bills.

또한, 수납부 상부의 분리·스택 가이드(805)의 근방에 분리·스택 가이드(805)의 상부와 혼입되도록 배치된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와, 수납부 하부의 게이트 롤러(803)의 근방에 배치된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에 의해 수납 완료 지폐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고, 가압판(806) 측으로 쓸어냄으로써, 연속하여 수납되는 지폐의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또,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는 표면에 시트를 방사형으로 배치한 시트 롤러나 지폐에 대해 반송력이 부여되는 요철 형상을 갖는 풀리 형상뿐만 아니라, 도3 및 도4에 도시한 벨트 형상이라도 좋다. 벨트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표면에 지폐의 반송력을 부여하는 요철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vicinity of the separation / stack guide 805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is arranged to be mix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on / stack guide 805, and in the vicinity of the gate roller 803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par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ored banknotes are supported by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 disposed in the upper banknotes, and sweeped toward the pressing plate 806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banknotes that are continuously stored.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 may be a belt roller as shown in Figs. 3 and 4, as well as a sheet roller having a sheet disposed radially on the surface and a pulley shape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to which a conveying force is applied to the banknote. . When it is set as a belt shape,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which has the uneven | corrugated shape which gives a conveyance force of a banknote to the surface.

분리 동작시에는 분리·스택 가이드(805)는 2점 쇄선(805a)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고, 가압판(806)과 바닥면 벨트(807)는 일체가 되어 수납 공간 내를 가동하고, 도시하지 않은 금고 밖의 구동원에 의해 방출 지폐가 픽업 롤러(811)에 소정의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수납 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 롤러(811)에 가압된 지폐는 회전하는 스택·피드 롤러(801)에 의해 송출되고, 내장된 1방향 클러치의 작용으로 방출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 롤러(803)로 2장 이송을 방지하면서 화살표 855의 방향으로 한 장씩 반송된다. 그 때, 절환 게이트(852)는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절환되어 화살표 855의 방향으로 방출되고, 유닛 반송로(857)를 통과하여 화살표 856 방향으로 반송된다.In the separating operation, the separating and stacking guide 805 moves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805a, and the pressure plate 806 and the bottom belt 807 are united to move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The bill is moved by the drive source outside the safe, so that the bill is released so that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pickup roller 811. Banknotes pressed by the pick-up roller 811 are sent out by the rotating stack feed roller 801 and are prevented from being conveyed by the gate roller 803 which does not rotate in the discharge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built-in one-way clutch. While conveying one by one in the direction of arrow 855. At that time, the switching gate 852 is switched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arrow 855, and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arrow 856 through the unit carrying path 857.

수납 동작시에는 분리·스택 가이드(805)는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고, 가압판(806)과 바닥면 벨트(807)는 일체가 되어 도시하지 않은 금고 밖의 구동원에 의해 수납 공간 내를 가동하고, 수납 지폐의 증가에 수반하여 화살표 854의 방향으로 반송된 진입 지폐와 수납 지폐 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수납 지폐를 분리·스택 가이드(8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제어한다. 수납 지폐 장수의 증가를 투과 센서(지폐 잔류 검출 센서)(888a, 888b)에 의해 감시하고, 소정 시간 이상의 연속 다크[소정 시간 투과 센서(888a, 888b)를 지폐가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이동 제어를 실행한다. 이 때,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는 좌측 주위로,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는 우측 주위로 회전하고, 수납 완료 지폐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여 가압판(806) 측에 압입되면서 지폐의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During the storing operation, the separation and stack guide 805 moves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pressure plate 806 and the bottom belt 807 are integrated to move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a drive source outside the safe, not shown. The storage banknote is moved and contro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paration and stack guide 805 so that the entrance banknote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854 and the storage banknote do not interfere with the increase in the storage banknote. Whe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ored bills is monitored by the transmission sensors (bank residue detection sensors) 888a and 888b, and a continuous dark (a state in which the bills are blocked by the predetermined time transmission sensors 888a and 888b)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s detected. The movement control is executed. At this time,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rotates around the left side,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 rotates around the right side, while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eived banknotes and press-fitted on the pressure plate 806 side, the vertical state of the banknotes Keep it.

또, 수직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는 수납 완료 지폐가 접혀진 자국 등에 의해 후속 진입 지폐와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지폐 수납 방출고(8)는 구획 부재(840)를 수납 방출구 부근의 수납 공간측에 구비하고 있으며, 그로써 수납 완료 지폐를 수직 자세로 유지시키고 있다. 구획 부재(840)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리 동작시에는 가압판(806) 또는 수납 지폐에 의해 밀어 넘어뜨림으로써, 분리시장해가 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banknote storing-outlet 8 is provided with the partition member 840 in the storage space side near a storage outlet so that the stored banknote stored in the vertical state may not collide with a subsequent entry banknote by the tread etc. As a result, the stored banknote is held in a vertical position. The partition member 840 is constituted by an elastic member, and is pushed down by the pressure plate 806 or the storage banknote during the separation operation,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840 is not damaged.

도2는 스택·분리 기구와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a)의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s of the stack separation mechanism,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and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a.

픽업 롤러(811)의 축(811a)은 스택·피드 롤러(801)의 구동축(801a)에 의해 동기 구동된다. 또한, 다른 피치로 배치되는 브러시 롤러(804)의 구동축(803a)은 1방향 클러치를 거쳐서 스택·피드 롤러(801)의 구동축(801a)으로 역전 구동하는 구성이며, 구동원의 공용화를 꾀하고 있다. 스택·피드 롤러(801)가 우회전하는 분리 동작시는 지폐의 분리를 저해하지 않도록 브러시 롤러(804)를 적정한 위상에서 정지하고 보유지지시킨다. 한편, 스택·피드 롤러(801)가 좌회전하는 수납 동작시는 브러시 롤러(804)는 우측 주위로 연속 회전함으로써 연속 수납되는 지폐끼리의 간섭을 방지한다.The shaft 811a of the pickup roller 811 is synchronously driven by the drive shaft 801a of the stack feed roller 801. Moreover, the drive shaft 803a of the brush roller 804 arrange | positioned with a different pitch is a structure which reversely drives to the drive shaft 801a of the stack feed roller 801 via a one-way clutch, and intends to share a drive source. During the separation operation in which the stack feed roller 801 rotates to the right, the brush roller 804 is stopped and held at an appropriate phase so as not to inhibit the separation of bills. On the other hand, in the storing operation in which the stack feed roller 801 rotates left, the brush roller 804 continuously rotates around the right sid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bills continuously stored.

또, 이 브러시 롤러(804)는 후술하는 분리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약 주위 절반 만큼 압박 부재가 없는 보스 노출부를 갖고 있다. 지폐가 지폐 수납 방출고(8)로 반송되고 있는 가운데, 수납 완료 지폐가 간섭하지 않도록 그 후단부를 확실히 브러시로 집적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브러시 롤러(804)는 지폐 1장 1장에 대응한 회전 위상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지폐 수납 방출고(8)에 반송되는 지폐의 선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 검지하고, 그 지폐가 스택·피드 롤러(801)와 백업 롤러(802)로 협지되기 전까지 브러시 롤러(804), 또한 그에 수반하는 스택·피드 롤러(801)의 회전 속도를 증감하여 위상을 일치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이송 제어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롤러(804)가 서정(書定) 위치에있는 순간에 스택·피드 롤러(801)와 백업 롤러(802)로 지폐를 협지하게 된다.Moreover, this brush roller 804 has the boss exposed part which does not have a pressing member by about half around in order to implement the separation operation mentioned later. While the banknotes are being conveyed to the banknote storage bin 8, the brush roller 804 controls the rotational phase corresponding to one sheet of banknotes so as to reliably press the rear end portion in the stacking direction with a brush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ored banknotes. Is being done.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banknote conveyed to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8 is detected by the sensor not shown, and the brush roller 804 until the banknote is clamped by the stack feed roller 801 and the backup roller 802, Moreover, it can implement | achieve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ack feed roller 801 accompanying it, and matching a phase. By performing such rotation feed control, the banknote is held by the stack feed roller 801 and the backup roller 802 at the moment when the brush roller 804 is in a lyric position.

지폐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는 지폐의 긴 변 방향으로 2군데, 마찬가지로 하부 지폐 지지 부재는 4군데 [중앙부(809a), 양 단부(809b)] 각각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가압판(806), 바닥면 벨트(807)와 연동하여 지폐의 집적 방향, 또는 반집적(분리) 방향으로 증속 구동된다. 또, 브러시 롤러(804)와 같은 형상의 양 단부의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b)는 도2 및 후술하는 도5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6, 도7 참조)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s 812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nknote are arranged in two directions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anknote, and similarly,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at four locations (center part 809a and both ends 809b), and are not shown. By the drive source which has not been driven, the drive plate 806 and the bottom belt 807 are driven to increase spe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or in the semi-collecting (separat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b of both ends of the same shape as the brush roller 804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2 and FIG. 5 mentioned later. (See Figs. 6 and 7)

바닥면 벨트(807)의 일단부가 현가된 풀리를 지지하는 연결축(807a)에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a, 809b)는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축(807a)과 일체로 회전한다.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s 809a and 809b are fixed to the coupling shaft 807a supporting one end of the bottom belt 807 with the suspended pulley, and rotate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shaft 807a.

가압판(806)과 일체로 바닥면 벨트(807)가 구동되면 연결축(807a)이 회전하고,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a, 809b)의 접선 방향 성분의 이동 속도(화살표 855a)는 바닥면 벨트(807)의 이동 속도(화살표 855)보다도 풀리의 반경비만큼 증속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의 이동 속도(화살표 855b)도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바닥면 벨트(807)보다도 증속 구동된다.When the bottom belt 807 is driven integrally with the pressure plate 806, the connecting shaft 807a rotates, and the moving speed (arrow 855a) of the tangential component of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s 809a and 809b is the bottom belt ( It is increased by the radius ratio of the pulley rather than the movement speed (arrow 855) of 807). Similarly, the moving speed (arrow 855b) of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is also accelerated than the bottom belt 807 by a mechanism (not shown).

지폐의 수납시에,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 및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를 바닥면 벨트(807), 즉 가압판(806)의 1.2 내지 1.3배 정도의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 지폐에 압축력이 작용하여 안정된 수직 상태에서의 연속 수납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압축 작용에 의해 집적 지폐의 여분의 팽창을 방지하여 지폐의 수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t the time of storing bills,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and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 are moved at a speed of about 1.2 to 1.3 times that of the bottom belt 807, that is, the pressure plate 806, thereby compressing the stored bills. This action allows continuous storage operation in a stable vertical state. In addition, by this compressing a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ra expansion of the integrated banknote, thereby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anknote.

1방향 클러치를 거쳐서 구동되는 브러시 롤러(804)의 구동축(803a)은 1방향클러치를 내장한 게이트 롤러(803) 및 공전, 요동 가능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90)를 2군데에서 지지하고 있다. 이 면외 변형 부여 부재(890)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3,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수납 동작시의 상태이며, 면외 변형 부여 부재(890)는 수납되는 지폐의 진입에 수반하여 우회전하고, 돌기부가 지폐 반송면(899)으로 돌출하는 위상의 도시하지 않은 상부 사점 위치에서 정지한다. 수납 동작 중인 지폐(830)에는 지폐 반송면(899)으로부터의 돌출량에 따른 파형 변형(830a)(후술하는 도5 참조)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4는 분리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구동축(803a)을 우회전으로 구동하고, 다른 피치의 브러시 롤러(804)의 위상을 도4의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 때, 면외 변형 부여 부재(890)는 편중심에 따른 모멘트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하부 사점 위치까지 좌회전하고, 돌기부가 지폐 반송면(899)으로부터 약간 돌출한 도4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연속하여 분리되는 지폐는 적정 위치에서 정지하는 다른 피치의 브러시 롤러(804) 및 면외 변형 부여 부재(890)로부터 방해되지 않고 원활한 분리 동작이 가능하다.The drive shaft 803a of the brush roller 804 driven through the one-way clutch supports the gate roller 803 incorporating the one-way clutch and the out-of-plane deformation-providing member 890 capable of swinging and swinging in two places. Effects of the out-of-plane strain imparting member 89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3 is a state at the time of storing operation, and the out-of-plane deformation-providing member 890 rotates right with the entry of bills stored therein, and stops at an upper dead center position (not shown) of the phase in which the projections project to the bill conveying surface 899. do. In the banknote 830 in the storing operation, waveform deformation 830a (see FIG. 5 to be described la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banknote conveying surface 899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 state in the separating operation, and the drive shaft 803a is driven in the right rotation, and the phases of the brush rollers 804 of different pitches are stopped at the position in Fig. 4. At this time, the out-of-plan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rovision member 890 turns left to the lower dead center position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by the moment along the eccentric center, and a projection part stops in the position of FIG. 4 which protrudes slightly from the banknote conveyance surface 899. Therefore, the banknotes which are continuously separated can be smoothly separated without being disturbed from the brush roller 804 and the out-of-plane deformation imparting member 890 of different pitches stopped at the proper positions.

도5에는 수납 도중의 지폐(830)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지폐(830)에는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890)에 의해 파형 변형(830a)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폐의 외관 강성이 증가한 상태에서 분리·스택 가이드(805)로 안내된다. 그 결과, 안정된 수납 동작이 얻어지게 된다.5 shows a state of the banknote 830 during storage. Waveform deformation 830a is generated in the banknote 830 by the out-of-plane deformation imparting member 890, and is guided to the separation / stack guide 805 in a state where the appearance stiffness of the banknote is increased. As a result, a stable storing operation is obtained.

수납 동작이 완료된 지폐(830)의 하단부는 연속 회전하는 브러시 롤러(804)의 작용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쓸어내어 집적된다. 그 상태의 설명도가도6이다. 또, 수납 장수가 증가하여 도1의 투과 센서(888a, 888b)에 의해 소정 시간(예를 들어 120 ㎳) 이상의 연속 다크를 검출하면, 전술한 이동 제어가 실행되어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 및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가 수납 지폐를 압축함으로써, 안정된 수직 상태에서의 연속 수납 동작이 가능해진다.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anknote 830 in which the storing operation is completed is integrated by sweeping horizontally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continuously rotating brush roller 804.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state.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stored articles increases and the continuous dark of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20 microseconds) or more is detected by the transmission sensors 888a and 888b of FIG. 1, the above-described movement control is executed to execute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and When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 compresses the stored banknote, the continuous storing operation in a stable vertical state is possible.

다음에, 작은 크기 지폐의 긴 변 방향의 정렬성과 수납 치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폐 수납 방출고(8)는 취급하는 최대 크기의 지폐에 따라서 설계하여 작은 크기의 각종 지폐 종류도 공용할 수 있으면 저비용의 지폐 수납 방출고(8)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외국 지폐는 지폐 크기가 종류에 따라서 긴 변, 짧은 변 방향 모두 크게 다르므로, 안정된 지폐의 연속 수납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폐 수납 방출고(8)에 이하의 기구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Next, the alignment and storage dimension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a small size banknote are demonstrated. The bill storage bank 8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banknote of the largest size to be handled, and can provide a bill bank 8 of low-cost bills if a variety of banknotes of a small size can be shar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banknotes vary greatly in both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direction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banknote. Therefore, the following mechanisms may be added to the banknote storing outlet 8 in order to ensure a stabl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There is a need.

제1 기구는 수납 지폐의 상단부, 즉 짧은 변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810)(천정판)이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종류(짧은 변 치수)에 따라서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와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2점 쇄선(810a)의 위치로 조정한다. 이로써, 짧은 변 방향의 흐트러짐을 해소할 수 있다.The first mechanism is a stopper 810 (ceiling plate) for regulating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tored banknote, that is, the position in the short side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according to the banknote type (short side dimension). ), And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can be adjusted to an up-down direction integrally, and it adjusts to the position of the dashed-dotted line 810a. Thereby, the disturbance of the short side direction can be eliminated.

한편, 지폐의 긴 변 방향의 장치 전체의 반송로 폭은 당연히 최대 크기의 지폐에 따른 치수이므로, 작은 크기 지폐는 긴 변 방향의 치수차만큼 좌우로 치우쳐 반송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치우쳐 반송된 지폐를 안정되게 수납하기 위해서는 지폐 수납 방출고(8)의 긴 변 방향의 수납 치수는 최대 크기의 지폐에 따른 치수로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지폐에 대응하는 지폐 수납방출고(8)에서는 수납 지폐의 정렬성이 짧은 변 방향은 상기 스톱퍼(810)로 규제할 수 있어도, 긴 변 방향은 보증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idth | variety of the conveyance path | route of the whole apparatus of the banknote of the long side direction is the dimension according to the banknote of the largest size, the probability that small banknotes are conveyed left and right by the dimension difference of a long side direction becomes high. In order to stably store banknotes conveyed in this manner, the storage dimension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in 8 is inevitably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banknote of the largest size. Therefore, in the banknote storing and receiving store 8 corresponding to the banknote of the small size, even if the side direction of alignment of the stored banknotes can be regulated by the stopper 810, the long side direction cannot be guaranteed.

긴 변 방향으로 흐트러져 수납된 지폐는 분리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분리시에 잼이라는 종이 막힘을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가압판(806) 및 가압판(806)에 연동하는 상부 지폐 지지 부재(812), 중앙부의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a)를 구동해도, 크게 긴 변 방향으로 치우친 지폐의 단부에 작용력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되게 지폐 반송면까지 이송할 수 없기 때문이다.Banknotes scatter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eparation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risk of jamming paper jams during separation. Even if it drives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812 and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a of the center part which cooperate with the pressure plate 806 and the pressure plate 806, the working force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edge part of the banknote which shift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and is stable.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nvey the bill conveyance surface.

이 위험성을 해소할 목적으로 부가한 제2 기구가 지폐의 긴 변 방향의 양 단부에 배치한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b)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긴 변 방향으로 치우친 결과로서 발생하는 2점 쇄선의 형상으로 변형된 지폐(830b)의 단부를 양 단부에 배치한 하부 지폐 지지 부재(809b)의 작용으로 지폐 반송면까지 확실히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된 연속 분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The 2nd mechanism added for the purpose of eliminating this danger is the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809b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nds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a banknote. As shown in Fig. 7, the bill is conveyed by the action of the lower bill support member 809b having the ends of the bill 830b deformed in the shape of a two-dot chain line generated as a result of being bias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at both ends. It becomes possible to convey to the surface reliably, and the stable continuous separation operation can be implement | achieved.

그리고, 수납 지폐의 긴 변 방향에 맞추어서 수납 공간의 측벽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그로써, 상기 긴 변 방향의 흐트러짐을 해소할 수 있다.And it is supposed that the side wall position of a storage spa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a storage banknote. Thereby, the disturbance of the said long side direction can be eliminated.

그런데, 수직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속 집적되는 지폐의 팽창 또는 기울기가 소정량 이상으로 커지면, 지폐의 쓰러짐이 발생하여 안정된 집적 동작이 곤란해진다. 또한, 분리 동작시에 지폐에 접힘이 발생하는 등으로,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속 집적되는 지폐의 팽창 또는 기울기를 검출하여 소정 이상의 팽창량 또는 경사각의 검출시는 지폐의 수납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가압판(806)을 반집적방향으로 구동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수정한 후, 수납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하고 있다.By the way, in the vertical state, when the expansion or inclination of the banknotes continuously accumul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banknotes collapse and a stable stacking operation become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cannot be secured due to the occurrence of folding of the bill in the separation opera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pansion or inclination of the banknotes continuously accumul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state is detected,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inflation or the inclination angle is detected,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s is temporarily suspended, and the pressure plate 806 is semi-integrated direction. After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nknote by driving, the control is resumed.

여기에서, 상기 지폐의 팽창 또는 기울기의 검출 방법과 지폐의 기울기 수정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수납 방출고(8)에 연속 수납되는 지폐는 공급원의 입출금구(2)로부터 분리된 입금 지폐 또는 공급원의 장전·회수고(11)로부터 분리된 장전 지폐 중 어느 하나이다.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된 지폐의 팽창량을 입출금구(2) 또는 장전·회수고(11)의 가압판의 이동량(X)으로서, 또한 지폐 수납 방출고(8)에 연속 수납된 지폐의 팽창량을 가압판(806)의 이동량(Y)으로서 각각 검출하고, 제어부(10)에서 비교 판정한다. 예를 들어 Y ≥ 1.2X인 경우는 연속 수납된 지폐의 팽창량이 과다하다고 판정하여 공급원의 분리 동작 및 지폐 수납 방출고(8)의 수납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일시 정지시의 지폐의 팽창량 과다 상태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그 후, 도9와 같이 분리 동작 모드로 절환하고, 가압판(806)을 분리 압박이 검출되기까지 전진 구동함으로써, 수납 지폐의 쓰러짐이나 팽창량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수납 동작 모드로 절환하고, 공급원의 분리 및 지폐 수납 방출고(8)의 수납 동작을 재개하면 상기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detecting the expansion or inclination of the banknote and the tilt cor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banknote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3, the banknotes continuously stored in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bank 8 are either the banknotes separated from the cashier 2 of the supply source or the loaded banknotes separated from the loading and retrieval 11 of the source. One.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banknote separated from the supply source is the amount of movement (X) of the pressurizing plate of the entry / exit opening 2 or the loading / recovery store 11, and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banknote continuously stored in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chamber 8 is used as the pressing plate ( 806 are respectively detected as the movement amount Y, and the control part 10 compares and determines. For example, when Y ≧ 1.2X,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ansion amount of the continuously stored banknotes is excessive, and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supply source and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age bin 8 are paused. An inflated amount of banknotes at the time of pause is shown in FIG. Thereafter, by switching to the separating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9 and driving the pressure plate 806 forward until the separating pressure is detected, the fall and inflation amount of the stored bill can be corrected. Further, as shown in Fig. 10, switching to the storing operation mode again and resuming the separation of the supply source and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bank 8 can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drawback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

이상에 서술한 지폐 수납 방출고(8)는 지폐를 수직 상태에서 수납하는 수평형이었는데,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를 수평 상태에서 수납하는 수직형의 지폐 수납 방출고(8a)라도 좋다. 그 때, 지폐 수납 방출고(8a)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특징 및 효과는 전술한 지폐 수납 방출고(8)를 구성하는 각부의 것과 대략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Although the banknote storing-outlet 8 mentioned above was a horizontal type | mold which accommodates a banknote in a vertical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banknote storage | outlet 8a of the vertical type which accommodates a banknote in a horizontal state may be sufficient. In that case, since the characteristic and effect of each member which comprises the banknote storing bank 8a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ach part which comprises the banknote storing bank 8 mentioned abov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또한, 본 발명의 기구가 취급하는 매체는 지폐 외에, 유가증권, 복권, 티켓, 수표, 카드 등의 종이류라도 좋다.The media handled by th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pers such as securities, lotteries, tickets, checks, and cards, in addition to bill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지폐 크기가 지폐 종류에 따라서 긴 변과 짧은 변 방향 모두 크게 다른 지폐 대응의 지폐 입출금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nknote entry and withdrawal mechanism corresponding to a banknote in which the banknote size varies greatly in both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according to the banknote type.

Claims (15)

지폐를 수납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 장치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수납된 지폐를 일단 수납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와,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고 출금을 위해 그 지폐를 방출하는 지폐 수납 방출고와, 상기 입출금구, 상기 지폐 판별 장치, 상기 일시 보관고 및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를 갖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A banknote receptacle for storing or releasing banknotes, a banknote discrimination device for discriminating banknotes, a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and storing banknotes received from the banknotes, and a banknote receptacle for storing and releasing the banknotes and depositing the banknotes for withdrawal;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which has a banknote delivery path which connects a bank, the said bank, said 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the said temporary storage, and the banknote storing bank,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상기 지폐 반송로에 접속되어 지폐를 지폐 수납 방출고에 수납함과 아울러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로부터 분리하는 스택·분리 기구와, 지폐를 수직 상태로 지지하면서 방출고 내의 집적 방향 또는 반집적 방향으로 구동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연동하여 상기 가압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어 지폐의 집적 방향 또는 반집적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폐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하여 지폐를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상부·하부 지폐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is connected to the banknote conveying path, and there is a stack / separation mechanism for storing banknotes in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and separating from the banknote storage discharge bank, and the stacking direction in the banknote while supporting the banknotes in a vertical state or A pressure plate driven in a semi-collecting direction, and an upper part which is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ure plate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plate to rotate in the stacking direction or semi-collective direction of the banknote, and contact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nknote to support the banknote in a vertical state.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having a lower banknote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부 지폐 지지 부재 각각이 지폐를 이송하는 속도가 상기 가압판의 이동 속도보다도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deposit /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eed at which the upper and lower banknote supporting members respectively convey banknotes is faster than a moving speed of the pressur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지폐 분리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택·분리 기구로 유도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지폐 스택시에는 상기 상부 지폐 지지 부재와 상단부에서 혼입되어 구성되는 지폐 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stor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knote receiving and discharging bank moves to a position for guiding banknotes to the stack / separation mechanism when the banknote is separated, and when the banknote is stacked, the banknote guide is mixed with the upper banknote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end.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상기 스택·분리 기구로부터 송입된 지폐를 방사형으로 연장한 가요성 부재에 의해 지폐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지폐를 이송하는 브러시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stor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knote storing outlet has a brush roller for transferring the banknote to a space for storing the banknote by a flexible member radially extending the banknote fed from the stack / separation mechanism.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된 지폐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폐 지지부와, 상기 브러시 롤러의 외주원과 지폐 지지부의 단부와의 교점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롤러의 상방에 소정 시간 이상의 지폐의 유무를 검출하는 지폐 검출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said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heigh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banknote lower end part accommodated,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brush roller, and the edge part of a banknote support part, and is predetermined time above the said brush roller. It has a banknot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bove banknote,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상기 지폐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브러시 롤러의 상방에 지폐가 연속하여 잔류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가압판을 상기 스택·분리 기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said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height | movement is moved to the said stacking / separation mechanism direction when the said banknote storing discharge | emission detects that banknotes remain continuously above the said brush roller by the said banknote detection sensor. Banknot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집적되는 지폐의 팽창 또는 기울기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고, 상기 지폐 입출금 장치는 상기 검출기가 소정의 팽창량 또는 소정의 경사각을 검출한 때에 지폐의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수납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지폐 수납 방출고의 상기 가압판을 반집적 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수납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2. The banknote s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knote storing bank has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expansion or inclination of banknotes accumul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vertical state, and the banknote depositing and withdrawing device dete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inflation or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a control unit for suspending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at one time, driving the pressing plate of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in the semi-collective direction, and then resuming the storing operation in the banknote storing discharge bank. Banknotes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지폐 수납 방출고로부터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로 지폐를 이동할 때,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의 가압판의 이동량과 상기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의 가압판의 이동량을 비교하여 상기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에 수납된 지폐의 기울기를 판정하고, 기울기가 판정된 때에는 상기 다른 지폐 수납 방출고로의 지폐의 수납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가압판을 반집적 방향으로 구동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수정한 후, 수납 동작을 재개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ill storage roo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bill is moved from a bill storage bank to another bill storage bank, the shift amount of the pressure plate of the bill storage bank is compared with the travel amount of the pressure plate of the other bank bill storage bank. After determining the inclination of the bills stored at the delivery, when the inclination is determined, the billing operation of the bills to the other bill storing and discharging bank is temporarily suspended, and the pressure plate is driven in the semi-collective direction to correct the inclination of the bills. And a control unit for resuming the oper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롤러는 주위 방향의 일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보스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5.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rush roller has a boss exposed portion in which the flexible member is not provided radially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롤러는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에 지폐를 집적할 때에는 지폐를 집적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지폐를 분리할 때에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rush roll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accumulate bills when accumulating the bills in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bills, and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separating the bill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Banknote withdrawal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집적하는 지폐에 대해 강제적으로변형을 일으키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10.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height is provided with an out-of-plane strain imparting member which forcibly deforms a banknote to accumulate. 제9항에 있어서, 지폐를 집적할 때, 집적하는 지폐의 전단부와 상기 가요성 부재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도록 상기 브러시 롤러의 회전이 제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otation of the brush roller is controlled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banknote to be stacked and the flexible member are in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when the banknote is accumul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하는 지폐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위치가 조정 가능한 천정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device has a ceiling plate whose position for forming the housing spa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nknote to be st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수납하는 지폐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위치가 조정 가능한 측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bank has a sidewall whose position for forming the housing space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nknote to be st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상기 수납 방출구 부근의 상기 수납 공간측에 가요성의 구획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 장치.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knote storing and discharging bank is provided with a flexible partition member on the storage space side near the storage outlet.
KR1019990043695A 1998-10-12 1999-10-11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KR1003303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906698 1998-10-12
JP98-289066 1998-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967A KR20000028967A (en) 2000-05-25
KR100330326B1 true KR100330326B1 (en) 2002-04-01

Family

ID=1773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695A KR100330326B1 (en) 1998-10-12 1999-10-11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94445B1 (en)
KR (1) KR100330326B1 (en)
CN (1) CN1129874C (en)
DE (1) DE69938327T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52B1 (en) 2008-11-25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edia pressurization forc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7982B2 (en) 2000-05-19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storage and release box and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JP3902402B2 (en) * 2000-12-25 2007-04-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Automatic cash transaction equipment
EP1244075A1 (en) * 2001-03-21 2002-09-25 Mars Incorporated Banknote store
JP4007799B2 (en) * 2001-11-22 2007-11-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Banknote deposit device
JP3880503B2 (en) * 2002-10-16 2007-02-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stacking and feeding device
EP1609054B1 (en) * 2002-12-31 2012-01-25 Diebold, Incorporated Atm currency cassette arrangement
US7413189B2 (en) * 2003-03-10 2008-08-1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TM currency dispenser with convex roller arrangement
JP4631391B2 (en) * 2004-10-27 2011-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KR101001690B1 (en) * 2004-12-30 2010-12-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Bill recycling machine
GB0507040D0 (en) * 2005-04-07 2005-05-11 Ncr Int Inc Media cassette
JP4768329B2 (en) * 2005-06-17 2011-09-07 株式会社東芝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JP2006350921A (en) 2005-06-20 2006-12-28 Toshiba Corp Paper sheet processor
KR100722876B1 (en) * 2005-08-23 2007-05-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Method of rejecting bills in apparatus for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JP2007062918A (en) 2005-08-31 2007-03-1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Paper sheet piling device
KR101123683B1 (en) * 2005-12-27 2012-03-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026917B1 (en) * 2006-06-30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stack roller rotation of ATM
JP4935216B2 (en) * 2006-07-18 2012-05-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a handling device
CN100524374C (en) * 2006-11-01 2009-08-05 杭州东信金融技术服务有限公司 Strobe device for outputting note of ATM
JP5292761B2 (en) * 2007-10-16 2013-09-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ill separation and accumulation mechanism
JP5326266B2 (en) * 2007-12-06 2013-10-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ill feeding mechanism
DE102008023900A1 (en) 2008-05-16 2009-11-19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Device for stacking banknotes, in particular banknotes
JP5223613B2 (en) * 2008-11-14 2013-06-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Impeller mechanism and medium handling device
JP5212090B2 (en) * 2008-12-25 2013-06-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JP2010231262A (en) * 2009-03-25 2010-10-14 Fujitsu Frontech Lt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DE102009015383A1 (en) 2009-03-27 2010-09-3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Device for entering notes of value in a container
JP5340030B2 (en) * 2009-05-21 2013-11-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JP5267345B2 (en) * 2009-06-17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a processing device
CN102063760B (en) 2010-12-10 2013-11-2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Switchable note-picking device
JP5732367B2 (en) * 2011-10-14 2015-06-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5814085B2 (en) * 2011-11-14 2015-11-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andling equipment
CN103136849B (en) * 2011-11-29 2015-06-10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Currency note pressing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currency note sending channel
US8777222B2 (en) * 2011-11-30 2014-07-15 Ncr Corporation Document stacking
JP5648648B2 (en) * 2012-03-26 2015-01-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Transport path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CN103708250B (en) 2013-12-24 2016-01-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eparation device of sheet kind medium and financial self-service equipment
CN103646465A (en) * 2013-12-24 2014-03-1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Banknote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and financial self-service equipment
CN103914910A (en) * 2014-03-31 2014-07-0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Paper money storing mechanism
CN103955995B (en) * 2014-05-04 2016-08-24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bill storage and bank note treatment device
CN105279843A (en) * 2014-05-29 2016-01-27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Banknote depositing, withdrawing and stacking device for finance self-service terminal
CN105139511A (en) * 2014-05-29 2015-12-09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Large-capacity bill storage device for financial self-service terminal
KR101671572B1 (en) * 2014-06-20 2016-11-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inancial device
KR102255885B1 (en) * 2014-12-31 2021-05-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Control apparatus for receiving bil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809806A (en) * 2015-05-15 2015-07-2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Rolling wheel assembly and paper money storage device
TWI709114B (en) * 2015-11-13 2020-11-01 日商富士電機股份有限公司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CN105825594B (en) * 2016-03-14 2018-10-1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TM pick-up portion, ATM and dynamic receive paper money control method
CN107424294A (en) * 2017-08-21 2017-12-01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Bank note treatment device
JP6792727B2 (en) * 2018-01-30 2020-11-2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Paper leaf accumul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aper leaf accumulation device
CN113284290B (en) * 2020-04-29 2023-03-3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motor control based on FPG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425B2 (en) * 1988-03-18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ill handling equipment
JP2685817B2 (en) * 1988-07-11 1997-12-03 株式会社東芝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52B1 (en) 2008-11-25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edia pressurization forc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4445B1 (en) 2008-03-12
DE69938327T2 (en) 2009-03-12
KR20000028967A (en) 2000-05-25
EP0994445A2 (en) 2000-04-19
CN1258896A (en) 2000-07-05
EP0994445A3 (en) 2001-04-18
DE69938327D1 (en) 2008-04-24
CN1129874C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326B1 (en) A Paper Money Paying-in and Paying-out Device
JP3977982B2 (en) Banknote storage and release box and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KR100323491B1 (en) Temporary custody unit of bills treatment apparatus
KR100351172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JP4292012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JP2007062918A (en) Paper sheet piling device
JP2003160271A (en) Bill receiving/paying device
JP2000099795A (en) Paper money receiving/dispensing device and paper sheets separating/delivering mechanism
JP3183288B2 (en) Bill receiving / dispensing device
JP2000020783A (en) Paper money receiving/dispensing machine
JP5732367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4325886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JP4366434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JP4423344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JP2002236961A (en) Bill teller machine
KR20200037685A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KR100516871B1 (en) Stacking apparatus for paper materials and handling apparatus for paper materials
WO2014061594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ith transport unit
KR20090054058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and the method thereof
CN111243162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banknote stacking device, and cash processing device
JP2979519B2 (en) Banknote deposit / withdrawal device
JP4110183B2 (en) Bill storage bin
JP2007041826A (en) Paper money receiving/paying machin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JP2007091436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bill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KR101781304B1 (en) Media storage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