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728B1 -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728B1
KR100316728B1 KR1019990015282A KR19990015282A KR100316728B1 KR 100316728 B1 KR100316728 B1 KR 100316728B1 KR 1019990015282 A KR1019990015282 A KR 1019990015282A KR 19990015282 A KR19990015282 A KR 19990015282A KR 100316728 B1 KR100316728 B1 KR 10031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alance
prepaid
unique number
prepaid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225A (ko
Inventor
안재신
Original Assignee
김석범
기프트피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범, 기프트피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석범
Priority to KR101999001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728B1/ko
Priority to PCT/KR2000/000406 priority patent/WO2000067214A1/en
Publication of KR2000005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상품 판매자들이 전용 승인 단말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취급할 수 있는 선불카드와, 카드의 위조나 변조에 따른 카드 소지자나 발행업체의 예측치 못한 손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불카드의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각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는 해당 선불카드에는 기록되지 않고 카드 발행 업체 또는 관리 업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선불카드를 발행함에 있어서는 먼저 (a) 카드 매체를 마련한 후, (b) 카드 사용 인증을 난수를 발생한다. 그 다음, (c) 상기 난수를 토대로 정해지는 카드 번호를 카드 매체에 기록하게 된다. 카드 매체는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카드 번호는 상기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있어서, 카드 번호는 소정의 카드 발행업체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구매 시에 카드 번호는 신용카드 승인에 사용되는 단말기에 의해 독출되어 상품 구매 금액과 함께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전송된다. 호스트 컴퓨터는 수신된 카드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 경우 승인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잔액을 상품 구매 금액만큼 차감한다.

Description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Issuing Pre-paid Card, and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the Pre-paid Card and Supervising Balance thereof}
본 발명은 상거래를 위한 결제 수단 및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거래를 행하기 이전에 경제적 가치를 지불하고 구입하는 선불카드와, 이와 같은 선불카드의 사용을 인증하고 잔액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불카드는 일종의 상품권으로서, 일정한 발행 금액이 기록된 상태로 고객에게 선매된 후 고객이 상기 발행 금액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는 카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선불카드는 통상 플라스틱이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용카드와 같이 약 85 밀리미터(mm)의 길이에 54 mm의 폭을 가지는 정방형으로서 모서리가 라운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카드의 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어느 한 변과 평행하게 자기 스트립이 도포되어 있는데, 상품권으로써 자유롭게 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자기 스트립에는 카드의 고유 번호 및 잔액이 암호화되어 기록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불카드는 통상 백화점이나 통신 서비스 업체 또는 다점포형 직영 체인점 등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행되어 유통된다.
그런데, 종래의 선불카드는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결제를 위한 단말기와는 별도의 전용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1996년 1월 26일 출원공개된 공개특허 제1996-2048호(발명의 명칭: 선불카드의 리더/라이터 보안 처리 방법)는 이와 같은 전용 단말기에서의 보안 처리를 위한 선불카드 읽기 및 쓰기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의 신용카드 승인 단말기와 별도로 고가의 선불카드 전용 단말기가 필요하게 됨으로 말미암아, 선불카드를 취급하는 점포는 단말기 구입의 경제적 부담을 안게 된다. 구매자 입장에서도, 카드사용이 가능한 곳이 전용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 예컨대 해당 선불카드 발행 업체나 그 대리점 또는 이와 제휴한 점포로 제한되어 있음으로 말미암아, 자신이 선매하거나 또는 타인에게서 선물받은 선불카드를 유용하게 사용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사용 장소의 제한은 선불카드의 대량 보급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자기 스트립에 저장된 정보는 쉽게 독출될 수 있고 재기록될 수 있어서 기록된 정보의 위조 또는 변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종래의 선불카드는 보안성이 크게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선불카드 특히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발행하는 선불카드의 경우에는, 카드의 고유 번호 등을 자기 스트립에 기록하는 대신에, 카드 구매 시에 구매자에게 고유 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별도로 알려주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카드는 사용 시에 사용자가 카드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키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위조 및 변조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선불카드를 IC카드 형태로 제작하거나 선불카드에 신용카드처럼 홀로그램을 새기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카드 제작 원가가 크게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두세 번 이내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선불카드에 대해서는 적합하지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불카드 가맹점들이 전용 승인 단말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취급할 수 있는 선불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선불카드 가맹점들의 설비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카드의 위조나 변조에 따른 카드 소지자나 발행업체의 예측치 못한 손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불카드의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의 표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의 이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에 있어서 자기 스트립에 기록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선불카드의 인증 및 잔액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카드 승인 단말기(CAT)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인증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가 해당 선불카드에는 기록되지 않고 카드 발행 업체 또는 관리 업체의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된다. 또한, 선불카드에는 그 표면에양각되어 있는 일련 번호와는 별개로 난수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난수 또는 이러한 난수가 암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난수 또는 암호화된 난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도 저장되어 있다. 상품 구매 시에 선불카드에 저장된 난수 또는 암호화된 난수는 종래의 신용카드 승인 단말기에 의해 독출되어 상품 구매 금액과 함께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전송된다. 호스트 컴퓨터는 신용카드 승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난수 또는 암호화된 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승인 메시지를 신용카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잔액을 상기 상품 구매 금액만큼 차감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의 형태를 보여준다. 선불카드(10)는 플라스틱이나 PET 재질로 되어 있으며, 약 85 밀리미터(mm)의 길이에 54 mm의 폭을 가지는 정방형으로서 모서리가 라운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카드의 표면에는 발행업체의 로고를 포함한 디자인이 인쇄되어 있으며, 카드의 일련 번호가 양각되어 있다. 카드의 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변과 평행하게 적어도 한 라인의 자기 스트립(12)이 도포되어 있는데, 상기 자기 스트립에는 상기 일련 번호와는 별개의 카드 고유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선불카드의 자기 스트립이 신용카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카드 고유 번호는 자기 스트립의 트랙1 내지 트랙3 중 신용카드에 대한정보가 통상 저장되는 트랙2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자기 스트립에 기록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기록되는 데이터는 카드 발행업체 식별번호(ID), 카드 고유 번호 및 체크 비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발행업체 식별번호(ID)는 8 바이트로 되어 있으며, 선불카드를 발행한 업체의 고유 코드를 나타낸다. 카드 고유 번호는 10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카드 발행 시에 난수발생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난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 표면에 표기된 일련 번호가 연이어진 카드들간에도 카드 고유 번호는 완전히 상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조의 목적을 가지고 어느 한 카드의 고유 번호를 판독했다 해도 그 카드와 일련 번호가 연이어진 카드의 고유 번호를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10 바이트의 카드 고유 번호에 있어서 각 바이트가 10진수 한자리를 표시하는 경우에, 어느 한 카드의 고유 번호를 임의로 예측할 때의 적중율은 1/10,000,000,000이 된다. 한편, 체크 비트는 2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기록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그밖에도, 카드 발행 업체나 인증 데이터를 중계 전송하는 VAN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선불카드의 인증 및 잔액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준다. 인증 및 잔액 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카드 승인 단말기(20), 카드 VAN 시스템의 호스트(30) 및 선불카드 주컴퓨터 부시스템(40)을 포함한다.
카드 승인 단말기(20)로는 신용카드 가맹점들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카드승인 단말기(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CAT)가 사용된다. 특히,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불카드의 자기 스트립이 신용카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고 카드 고유 번호가 신용카드에 있어서와 같이 트랙2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카드 승인 단말기(20)에 있어서 선불카드를 위한 별도의 헤드가 필요없게 되며 운용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변경하는 것만으로 족하게 된다.
도 4는 이러한 CAT의 일 예를 보여준다. CAT의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일 측에는 카드를 스와이핑(Swiping)하여 카드의 자기 스트립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슬롯(22)이 형성되어 있다. CAT의 상부면 내측에는 가맹점 주가 서비스 종류나 상품 판매 대금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CAT의 상부면 외측에는 다량의 매출 전표 양식이 적재되어 있으며, 카드 승인 결과에 따라 매출 전표(26)가 발행된다. 상품 거래와 관련하여 특정 선불카드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 가맹점 주는 키패드(24) 상의 '선불카드' 키를 누른 후 카드를 슬롯(22)에 삽입하여 스와이핑하게 된다. 그리고, 키패드(24)의 숫자 키를 사용하여 판매 대금을 입력하고 키패드(24) 상의 '전송'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카드 고유 번호 및 상품 대금 데이터를 포함한 인증 요청 메시지가 카드 VAN 호스트(30)로 전송된다.
카드 VAN 호스트(30)는 카드 VAN 사업자의 장비로서, 신용카드 및 선불카드에 대한 승인 요청 및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중계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선불카드의 인증 및 잔액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신용카드 승인 시스템의 하부 구조를 토대로 구축되기 때문에, 카드 VAN 호스트(30)는 다수의신용카드사 호스트(10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카드 VAN 호스트(30)는 전용회선을 통해 또는 회선 교환망을 통해 선불카드 주컴퓨터 부시스템(40)에도 접속된다.
선불카드 주컴퓨터 부시스템(40)은 주컴퓨터(42), 데이터베이스(44) 및 자동응답 부시스템(ARS: 46)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44)는 해당 선불카드 발행업체에 의해 발행되는 모든 선불카드에 대한 일련 번호, 고유 번호, 액면가, 잔액 및 거래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CAT(20)로부터 카드 VAN 호스트(30)를 통해 카드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주컴퓨터(42)는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번호 및 상품 대금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고유 번호 및 잔액과 각각 비교한 후, 카드 VAN 호스트(30)를 경유하여 CAT(20)에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것과 동일하고 해당 카드의 잔액이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판매 대금 액수보다 많아서 해당 카드의 사용을 승인한 경우, 주컴퓨터(42)는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잔액에서 판매 대금 액수를 차감하고 차감된 금액을 수정된 잔액으로서 다시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한다. 이때, 거래내역이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자동응답 부시스템(46)은 주컴퓨터(42)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화를 통해 선불카드 소지자가 자신의 카드의 잔액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인증 절차를 보여준다. 구매자가 상품 대금을 선불카드로 결제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가맹점주는 CAT(20)에 의해 선불카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판매 대금 액수를 입력한 후 '전송'키를 누르게 된다(제70단계). 이에 따라, 카드 발행 업체 ID, 카드 고유 번호 및 사용 금액을포함한 인증 요청 메시지가 VAN 호스트(30)로 전송된다(제72단계). VAN 호스트(30)는 해당 메시지가 선불카드에 대한 것임을 인식하고 메시지의 내용을 선불카드 주컴퓨터(42)로 전송한다(제74단계). 선불카드 주컴퓨터(42)는 수신된 메시지를 디코딩한 후 데이터베이스(44)에 해당 카드의 고유 번호 및 잔액을 조회한다(제76단계).
주컴퓨터(42)는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데이터베이스(44)에서 독출된 것과 동일한 것인지 비교하고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 금액이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잔액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주컴퓨터(42)는 VAN 호스트(30)를 경유하여 CAT(20)에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제78단계, 제80단계). 만약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것과 동일하고 해당 카드의 잔액이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 금액보다 많다면, 인증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 승인 정보와 함께 잔액 정보가 포함된다. 만약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것과 동일하지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잔액이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 금액보다 적다면, 인증 응답 메시지에는 잔액 부족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잔액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것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카드가 불법 카드라는 정보와 카드 회수 및 신고 요구만이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다. 또한, 이처럼 잔액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상품 대금의 일부만을 예컨대 잔액만큼만을 선불카드로 지불하고 부족분은 현금이나 신용카드로 납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을 승인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CAT(20)는 영수증을 발급하고 카드 잔액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해준다(제82단계). 영수증 발급이 완료된 후, CAT(20)는 VAN 호스트(30)를 경유하여 거래 결과를 선불카드 주컴퓨터(42)에 전송한다(제84, 제86 단계). 이에 따라, 선불카드 주컴퓨터(42)는 거래 결과를 반영하여 잔액 데이터를 수정하고 거래내역을 추기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44)를 갱신하게 된다(제88단계). 한편, 각 가맹점별 선불카드 수납내역이 정기적으로 VAN 사업자 및/또는 각 가맹점에 전송되며(제90단계). 각 가맹점별 선불카드 수납액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가맹점 주에게 입금된다(제92단계). 수납액 입금은 선불카드 발행업체에 의해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VAN 사업자나 기타 카드 관리 업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선불카드의 매체로 자기 스트립 카드 대신에 IC카드나 그 밖의 카드 매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유 번호 즉 난수를 발생함에 있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난수 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랜덤하게 숫자를 발생하는 여타의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 스트립에 기록된 카드 고유 번호는 난수발생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난수를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카드 제작 시에 난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암호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난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카드 제작 시에 1차 암호화하고, 다시 발행 주관사에서 카드를 판매하기에 앞서 2차 암호화할 수도 있다. 아울러, 선불카드 주컴퓨터 부시스템(40)은 선불카드 발행회사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지만, 카드 관리 대행업체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다.
또한, 고액 상품권의 경우, 각 선불카드에 위에서 기술한 일련 번호 및 고유 번호이외에 별도의 비밀번호를 서면으로 알려주고, 카드 소지자가 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카드 승인 단말기에 부착된 핀패드(PIN Pad)를 통해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비밀번호는 카드 소지자가 자동응답 부시스템(46)에 잔액을 조회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밀번호를 카드의 표면에 인쇄하고 이처럼 비밀번호가 인쇄된 부분에 즉석식 복권과 같은 피막을 입힐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밀번호는 카드 소지자가 자동응답 부시스템(46)에 잔액을 조회할 때 사용될 수 있는데, 이처럼 ARS 시스템을 통한 잔액 조회 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경우 제3자가 임의로 타인의 잔액 정보를 조회하지 못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드 승인 단말기로 신용카드용 CAT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불카드 데이터 독출을 위한 다른 종류의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백화점 등에서는 카드 승인 단말기가 카드 VAN 호스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선불카드 주컴퓨터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카드 승인 단말기 운영자는 카드 VAN 호스트에 대한 접속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표면에 표기된 일련 번호와 별도로 난수를 사용한 고유 번호를 운용하기 때문에, 어느 한 카드의 고유 번호를 판독했다 해도 그 카드와 일련 번호가 연이어진 카드의 고유 번호를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선불카드는 일반적으로 액면가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한 카드가 어렵사리 위조 또는 변조되었다 해도 카드 발행 업체가 입는 피해는 크지 않고 또한 그 피해는 일회성에 그치게 된다. 특히, 선불카드가 일종의 무기명 채권인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피해는 진정한 카드 소유주에게 전가될 수도 있다. 더욱이, 단말기에서 독립적으로 카드 사용을 승인하고 잔액을 기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위조된 동일 고유 번호의 선불카드를 동시에 여러 곳에서 사용할 때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렵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고 유지하고 잔액 한도에서만 카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위조 카드를 동시에 여러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위조 및 변조에 따른 피해 가능성은 더욱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불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전용 단말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기존의 신용카드 승인 단말기를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선불카드가 특정 단말기 또는 특정 단말기 그룹들간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소규모 슈퍼마켓, 대여점, 음식점, 주유소 등 신용카드 승인 단말기가 설치된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지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선불카드 가맹점들의 설비비 추가 부담이 거의 없어지며, 구매자의 입장에서 선불카드의 효용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불카드의 매체로써 자기 스트립이 증착된 플라스틱 또는 PET 카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카드는 제작 및 관리비용이 다른 매체에 비해 크게 낮다는 장점도 가진다. 즉, IC카드나 신용카드의 경우 각각 집적회로 칩이 내장되거나 홀로그램이 새겨짐으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비용이 카드 제작에 소요되지만, 이에 비해 플라스틱 또는 PET 카드로 단순하게 제작된 선불카드는 카드 제작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특히 IC 카드를 사용하는 것에 비교해 볼 때, 이와 같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 비용이 감소된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는 종이 상품권에 비해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구겨짐이나 물기 또는 습기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지폐와 같은 종류의 위조 방지 수단을 가지는 종이 상품권과 비교할 때, 인쇄비용 및 포장비가 감소하게 된다. 더욱이, 종이 상품권의 경우 구매자가 사용한 상품권을 회수하여 광학카드판독기(OCR)로 판독을 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선불카드는 전액 사용이 된 후 회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회수 비용이 들지 않게 되고 가맹점에서의 사후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인증 시스템에 의한 인증 및 잔액 관리를 토대로 상거래의 대금결제에 사용될 수 있는 선불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으로서,
    (a) 배면에 자기 스트립이 도포된 비-IC카드형 카드 매체를 마련하는 단계;
    (b) 소정의 난수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대금결제에 대한 인증에 사용하기 위한 난수를 발생하고, 상기 난수를 사용하여 카드 번호를 정하는 단계; 및
    (c) 소정의 카드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카드 번호를 상기 카드 매체의 상기 자기 스트립에 기록하되,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가 신용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카드 번호를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용카드의 데이터 저장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불카드 발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난수를 토대로 카드 고유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카드 발행업체 식별번호와 상기 카드 고유 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카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불카드 발행 방법.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를 변형시키지 않고 있는 그대로 포함시켜 상기 카드 고유 번호를 생성하는 선불카드 발행 방법.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를 포함하는 숫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카드 고유 번호를 생성하는 선불카드 발행 방법.
  5. 소정의 난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난수를 토대로 결정되는 고유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고유 번호가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에 의해 신용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비-IC카드형 자기 스트립 방식 선불카드를 사용하여 상품 결제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유 번호를 독출한 상기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 번호를 받아들여 상기 선불카드를 인증하고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고유 번호와 동일할 것이 요구되는 발행 고유 번호와 상기 잔액 데이터를 저장하는 호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구매자가 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 번호 및 결제대금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상기 고유 번호 및 상기 결제대금 데이터를 각각 상기 발행 고유 번호 및 상기 잔액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고유 번호 및 상기 발행 고유 번호가 서로 동일하고 잔액이 0이 아닌 경우 승인액 만큼의 상기 거래를 승인하되, 상기 잔액이 상기 결제대금보다 많은 때에는 상기 승인액은 상기 결재대금이고 상기 잔액이 상기 결제대금보다 적은 때에는 상기 승인액은 상기 잔액인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선불카드에 의한 거래를 승인한 경우, 상기 잔액에서 상기 승인액을 차감하여 차감된 잔액을 수정된 잔액으로서 다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6. 소정의 난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난수를 토대로 결정되는 카드 고유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카드 고유 번호가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에 의해 신용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비-IC카드형 자기 스트립 방식 선불카드를 사용하여 상품 결제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드 고유 번호를 독출한 상기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드 고유 번호 및 상품 대금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여 상기 선불카드에 대한 대금 결제를 인증하고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드 고유 번호와 동일할 것이 요구되는 발행 고유 번호와 상기 선불카드의 상기 잔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 및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상기 카드 고유 번호 및 상기 발행 고유 번호가 서로 동일하고 잔액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신용카드 결제용 단말기에 승인액만큼의 상기 선불카드의 사용을 승인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선불카드의 사용을 승인한 경우 상기 잔액에서 상기 상품 대금을 차감하고 차감된 금액을 수정된 잔액으로서 다시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상품 대금보다 상기 잔액이 많은 경우 상기 승인액은 상기 상품 대금이고, 상기 상품 대금보다 상기 잔액이 적은 경우 상기 승인액은 상기 잔액이 되는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신용카드 인증 처리를 중개하는 카드 밴 호스트를 통해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상기 카드 밴 호스트를 통해 상기 인증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의 소지자에게 상기 잔액을 안내하기 위한 자동응답 부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9990015282A 1999-04-28 1999-04-28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31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282A KR100316728B1 (ko) 1999-04-28 1999-04-28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0/000406 WO2000067214A1 (en) 1999-04-28 2000-04-28 Method of issuing pre-paid card and method of authorizing pre-paid card and supervising balan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282A KR100316728B1 (ko) 1999-04-28 1999-04-28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225A KR20000058225A (ko) 2000-10-05
KR100316728B1 true KR100316728B1 (ko) 2001-12-28

Family

ID=195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282A KR100316728B1 (ko) 1999-04-28 1999-04-28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29B1 (ko) * 2000-06-01 2003-11-20 (주)이프 컴 콘텐츠가 내장된 광학적 저장매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69A (ko) * 2000-03-15 2000-06-05 신창균 판매 관리 시스템의 판매 대금 지불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2594A (ko) * 2000-05-01 2001-11-16 박순우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업무 처리방법
KR20000050226A (ko) * 2000-05-29 2000-08-05 홍성구 선불카드 발행 및 인식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
JP3494971B2 (ja) * 2000-10-10 2004-02-09 株式会社ウェブマネー 電子取引システム、販売サーバ、決済サーバ、販売方法、決済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KR20010035346A (ko) * 2001-02-06 2001-05-07 이상욱 온라인 사용권 거래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7793A (ko) * 2001-05-16 2002-11-23 (주)씨큐텍 디지탈 상품권의 관리시스템
KR20020074105A (ko) * 2002-08-17 2002-09-28 삼성카드 주식회사 신용카드 시스템 기반의 선불카드 운용 방법
US8434791B2 (en) * 2009-01-21 2013-05-07 Kenneth E. Irwin, Jr. Lottery transaction mechanis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29B1 (ko) * 2000-06-01 2003-11-20 (주)이프 컴 콘텐츠가 내장된 광학적 저장매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225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7150B2 (ja) 通貨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RE38255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urrency
JPS61216095A (ja) 自動販売機
JP2002109210A (ja) 金券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0304527B1 (ko) 현금카드를 통한 실시간 현금 결제 처리 방법
KR100316728B1 (ko)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62971B1 (ko) 생체 정보를 저장한 휴대용 기록매체를 이용한 판매시점실시간 자금이체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2109237A (ja) カード取引用icカード
JP2002207970A (ja) 情報カード発行システム
KR100330093B1 (ko) 선불카드 발행 방법과, 선불카드 인증 및 잔액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WI772119B (zh) 自動販賣機系統
KR20000030727A (ko) 전자화폐기능을 갖는 금융거래용 카드와 이를 이용한전자결제방법
JP3328937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取引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で用いられる端末装置
JPS6235892A (ja) 買物カ−ド
WO2000067214A1 (en) Method of issuing pre-paid card and method of authorizing pre-paid card and supervising balance thereof
JPH10188091A (ja) Icカードを用いた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JP4915039B2 (ja) キャッシュアウト機能と連動した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4119965B2 (ja) カードシステム
JPH0785376A (ja) レジスタシステム
KR20020004330A (ko) 선불카드 발행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카드 승인 중개 방법
KR100407839B1 (ko) 잔액 처리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기록 매체
JPS6133573A (ja) カード取引システム
JPS61234466A (ja) クレジツトカ−ド取引処理装置
JP2003030593A (ja) カード信用照会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変換装置
KR20040011844A (ko)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금융결제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