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544B1 -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544B1
KR100315544B1 KR1020000003508A KR20000003508A KR100315544B1 KR 100315544 B1 KR100315544 B1 KR 100315544B1 KR 1020000003508 A KR1020000003508 A KR 1020000003508A KR 20000003508 A KR20000003508 A KR 20000003508A KR 100315544 B1 KR100315544 B1 KR 10031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isplay unit
mode
driving contro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088A (ko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0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5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제2 표시부 드라이버와 제1,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통화모드이면 제1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1 표시부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영상모드이면 제2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2 표시부에 해당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METHOD FOR DISPLAYING PART DRIVING CONTROL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은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휴대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휴대폰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화상 송수신 등의 기능을 하는 영상모드와 음성 송수신 기능을 하는 통화모드가 함께 구현되는 복합 휴대폰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표시부의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어 흑백 표시부와 칼라 표시부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도 개발되고 있다. 흑백 표시부와 칼라 표시부를 사용하는 휴대폰에서는 전원 온 상태에 따라 두 개의 표시부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각각의 표시부에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표시부 드라이버의 구동은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백라이트를 통해 표시부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종래의 휴대폰은 폰 기능만을 사용하는 통화모드 상태에서도 칼라 표시부 구동부가 구동되므로써 전류소모가 증대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모드와 영상모드를 사용하는 휴대폰에서 영상모드시에만 칼라 표시부 드라이버를 구동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제2 표시부 드라이버와 제1,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통화모드이면 제1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1 표시부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영상모드이면 제2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2 표시부에 해당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흑백 표시부와 칼라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동작모드를 검출하는 동작모드 검출센서(14)와, 동작모드 검출센서(14)로부터 출력되는 휴대폰의 동작모드 상태 검출신호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와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제어부(16)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 표시부 드라이버(18, 22) 구동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검출센서(14)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휴대폰의 통화모드에서 사용중이던 제1 표시부(20)의 창을 뒤로 젖히면, 제1 표시부(20)의 밑에 있는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영상모드로 진입한다. 동작모드 검출센서(14)는 제1 표시부(20)의 창이 뒤로 젖혀져 모드가 변환되는 것을 감지하여 평상시에는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 표시부(20)의 창이뒤로 젖혀질 때에는 영상모드로 진입하면서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에 전원을 공급한다. 키 입력부(12)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 키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 키를 구비한다.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는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 구동제어신호를 받아 휴대폰의 통화모드 동작상태를 제1 표시부(20)에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는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 구동제어신호를 받아 휴대폰의 영상모드 동작상태를 제2 표시부(24)에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RF처리부(10)는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표시부(20)는 휴대폰의 통화모드에서 동작하는 흑백 표시부를 말하며, 제2 표시부(24)는 휴대폰의 영상모드에서 동작하는 칼라 표시부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제어부(16)는 동작모드 검출센서(14)의 검출신호에 따라 휴대폰의 모드상태가 통화모드라고 판단되면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제어부(16)는 동작모드 검출센서(14)의 검출신호에 따라 휴대폰의 모드상태가 영상모드라고 판단되면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6)는 (102)단계에서 동작모드 검출센서(14)를 통해 휴대폰의 모드를 검사한다. (102)단계에서 휴대폰의 모드가 통화모드 상태이면 제어부(16)는 (104)단계로 진행하여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후 제어부(16)는 (106)단계로 진행하여 제1 표시부(20)에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108)단계에서 동작모드 검출센서(14)를 통해 휴대폰의 모드가 영상모드 상태이면 제어부(16)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로 공급되는 구동제어신호를 차단한다. 이후 제어부(16)는 (112)단계로 진행하여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고, (114)단계로 진행하여 제2 표시부(24)에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6)는 (116)단계에서 동작모드 검출센서(14)를 통해 휴대폰의 영상모드가 종료되면, (118)단계로 진행하여 제2 표시부 드라이버(22)로 공급되는 구동제어신호를 차단하고, (120)단계로 진행하여 제1 표시부 드라이버(18)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통화모드에서는 제1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영상모드에서는 제2 표시부(24)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종래의 휴대폰에서와 같이 통화기능만을 사용할 시에는 제1 표시부(20)를 사용하고, 통화기능 이외의 영상관련 기능을 사용할 때는 제2 표시부(24)를 사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므로써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은 칼라 표시부의 사용을 제한하여 배터리 전류소모를 감소시켜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1, 제2 표시부 드라이버와 제1,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통화모드이면 제1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1 표시부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영상모드이면 제2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제2 표시부에 해당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동작모드가 영상모드이면 제1 표시부 드라이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부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영상모드가 종료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영상모드가 종료되면 제2 표시부 드라이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제1 표시부 드라이버로 구동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과정을 더 부가하여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KR1020000003508A 2000-01-25 2000-01-25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KR10031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508A KR100315544B1 (ko) 2000-01-25 2000-01-25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508A KR100315544B1 (ko) 2000-01-25 2000-01-25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088A KR20010076088A (ko) 2001-08-11
KR100315544B1 true KR100315544B1 (ko) 2001-11-29

Family

ID=1964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508A KR100315544B1 (ko) 2000-01-25 2000-01-25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088A (ko)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624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137354B2 (en)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6731958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saving function
JP2001004978A (ja) 情報端末機器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式
JP2002330200A (ja) 携帯無線装置
KR100498941B1 (ko) 외부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휴대단말장치 및 그 방법
US6943806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JP3496589B2 (ja) 情報処理装置
JPH09321853A (ja) 携帯電話装置
KR100315544B1 (ko) 휴대폰의 표시부 구동 제어방법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KR1011477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통화 제공 방법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140848A (ja) 携帯電子機器
KR1003658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KR1008102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1071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 최소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79844Y1 (ko) 휴대 전화 기능이 부가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1008875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00075259A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방법
JP2000134146A (ja) 携帯電話機
KR10137935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19174A (ko) 터치스크린 엘씨디를 구비한 단말기의 엘씨디 전원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단말기
KR100584402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