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607B1 - Video phone device - Google Patents

Video phon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607B1
KR100309607B1 KR1020000001715A KR20000001715A KR100309607B1 KR 100309607 B1 KR100309607 B1 KR 100309607B1 KR 1020000001715 A KR1020000001715 A KR 1020000001715A KR 20000001715 A KR20000001715 A KR 20000001715A KR 100309607 B1 KR100309607 B1 KR 10030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amera
camera
opening
video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73367A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대표이사 서승모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표이사 서승모,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대표이사 서승모
Priority to KR102000000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607B1/en
Publication of KR2001007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6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카메라 외에 송수화기에 부가적으로 보조 카메라를 설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in which an auxiliary camera is provided in addition to a main body camera to easily capture a desired scene with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본체 카메라, 키패드,후크 스위치, 스피커 폰, 송수화기선, 송수화기를 가지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화기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보조 카메라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카메라 개폐부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영상 단말 장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촬영하여, 상대방 측에 전송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a main body camera, a keypad, a hook switch, a speaker phone, a handset line, and a handset, which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andset and which can easily capture an image desired by a user. And an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auxiliary camera, and an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amera, thereby allowing simple operation of a scene desired by a user without moving the video terminal device. Can be easily taken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Description

영상 전화 단말 장치{Video phone device}Video phone device

본 발명은 영상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카메라 외에 송수화기에 부가적으로 보조 카메라를 설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in which an auxiliary camera is provided in addition to a main body camera to easily capture a desired scene with a simple operation.

영상전화기란 일반 전화기와 같이 음성을 상호교환할수 있는 기능에 자신의 전화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도 함꼐 전달할 수 있는 전화기로써, 현재까지 개발된 영상 전화기는 일반 전화선에 연결해 사용하는 PSTN 영상 전화기와 디지탈종합통신망(ISDN)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ISDN 영상 전화기가 있다. PSTN 영상 전화기는 좁은 대역의 일반 전화선을 상용하므로 전송된 영상은 화질이 다소 떨어지는 반면, ISDN 화상 전화기는 거의 TV 수준과 가까운 동영상으로 통화할 수 있다.A video phone is a phone that can deliver a video of a person's call with a function that can exchange voice like a regular phone. The video phone developed so far is a PSTN video phone and a digital integrated phone connected to a regular phone line. There is an ISDN videophone that connects to an ISDN. PSTN video phones use narrow-band, conventional telephone lines, so the transmitted video is of poor quality, while ISDN video phones can make video calls near TV.

또한, 현재 영상 전화기는 LCD를 사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VGA급 카메라를 채용해 고화질을 구현하며, 사용자가 전화 통화중에 상대방의 영상을 보는 것은 물론, 사용자 자신의 얼굴도 직접 보며 통화를 할 수 있는 이중화면 기능을채용하고 있다.In addition, video phones display video using LCD, and adopt VGA class camera to realize high quality, and users can not only watch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while talking on the phone, but also see the user's face directly. It adopts dual screen function.

또한,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원치 않을 경우, 준비된 이미지 화면만을 보낼 수 있는 사생활 보호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want a video call, it includes a privacy protection function that can send only the prepared image screen.

도 1은 종래의 영상 전화기에 사용되는 송수화기선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set ship used in a conventional video telephone.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영상 전화기의 송수화기선은 총 4 개의 전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째 두개의 전선(1)은 마이크 입력선 및 아날로그 접지선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두 번째 두개의 전선(2)은 스피커 출력선 및 아날로그 접지선으로 사용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handset line of the conventional video telephone i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wires, the first two wires (1) are used as a microphone input line and an analog ground line, the second two wires (2 ) Is used as speaker output line and analog ground line.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영상 전화기는 카메라가 상기 영상 전화 단말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서,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촬영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telephone has a problem in that the camera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so that the user needs to move the main body in order to capture a desired image and transmit it to the counterpart.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면에서 사용자에게 부담이 아닐 수 없다.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use an additional external device in order to easily capture a scene desired by the user, it is a burden on the user in terms of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 카메라 외에 송수화기에 부가적으로 보조 카메라를 설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that can easily capture a desired scene with a simple operation by installing an auxiliary camera in addition to the handset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camera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존재하여, 사용자가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본체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 하우징과,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드와, 전화통화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후크 스위치와, 송수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폰과, 상기 키패드, 후크 스위치 및 스피커 폰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 전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영상 단말기 본체와 송수화기 사이의 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송수화기선과, 상대 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는 송수화기와, 상기 송수화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보조 카메라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카메라 개폐부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명이 제시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main body camera which is located above the display unit to allow a user to capture a desired image, and the display unit. A display unit housing including a main body camera, a keypad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 hook switch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telephone call, a speaker phone for making a call without using a handset, and the keypad And a video telephone terminal body including a hook switch and a speaker phone, a handset line which transmits a signal between the video terminal body and the handset, and listens to the voice of the other room, and sends a user's own voice to the other party. Can be attached to the handset, the back of the handset, An auxiliary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auxiliary camera, and an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amera are presented.

도 1은 종래의 영상 전화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송수화기선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set base line used in a conventional video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전화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카메라 보호를 위한 개폐수단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3 is a layout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protecting the auxiliary camera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시예에 대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of a temporary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개폐부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가 온/오프 절환되었을 경우, 보조 카메라 및 본체 카메라의 동작과 개폐수단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auxiliary camera and the main body camera 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is switched on / off.

도 7은 본 발명의 영상 전화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송수화기선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set base line used in a video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디스플레이부 20 : 본체 카메라10: display unit 20: main body camera

30 : 디스플레이부 하우징 40 : 키패드30: display housing 40: keypad

50 : 후크 스우치 60 : 스피커 폰50: Hook Souch 60: Speakerphone

70 : 영상 전화 단말 본체 80 : 송수화기선70: video telephone terminal body 80: handset ship

90 : 송수화기 100 : 보조 카메라90: handset 100: secondary camera

110 : 보조 카메라 개폐부 120 :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110: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120: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전화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전화 단말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 상부에 존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카메라(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와 본체 카메라(20)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 하우징(30)과,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드(40)와, 전화통화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후크 스위치(50)와, 송수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폰(60)과, 상기키패드(40), 후크 스위치(50) 및 스피커 폰(60)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 전화 단말기 본체(70)와, 상기 영상 단말기 본체(70)와 송수화기(90) 사이의 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송수화기선(80)과, 상대 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는 송수화기(90)와, 상기 송수화기(90)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보조 카메라(100)와, 상기 보조 카메라(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카메라 개폐부(110)와, 상기 보조 카메라(1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120)로 구성되어 진다.As shown in FIG. 2, 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main body camera located above the display unit 10 to allow a user to capture a desired image. 20, a display unit housing 3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0 and the main body camera 20, a keypad 40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a hook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telephone call A video telephone terminal body including a switch 50, a speaker phone 60 for enabling a call without using a handset, and the keypad 40, a hook switch 50, and a speaker phone 60. 70, a handset line 80 which transmits a signal between the video terminal main body 70 and the handset 90, and can listen to the voice of the other room and send a user's own voice to the other party. Handset (90) Auxiliary camera 100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andset 90, which can take a user's image,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auxiliary camera 100, and the auxiliary camera ( It consists of an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1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10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 부분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par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외부로 부터 전화가 걸려와서, 사용자가 송수화기(90)를 들어올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상대방의 전송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송수화기(9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user lifts the handset 90, the image transmitted by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and the handset 90 can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

또한, 사용자 측의 영상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 본체 카메라(20) 혹은 보조 카메라(100)를 이용하는데, 상기 본체 카메라(20)는 사용자가 송수화기(90)를 들어올리는 순간, 후크 스위치(50)에 의해 작동이 수행되지만, 상기 보조 카메라(100)는 상기 후크 스위치(50)에 의해 작동이 되지 않고, 상기 송수화기(90) 측면에 부착된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130)를 온 위치로 절환하는 순간에 작동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camera 20 or the auxiliary camera 100 is used to transmit the image of the user side to the other party, the main body camera 20, when the user lifts the handset 90, the hook switch 50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but the auxiliary camera 100 is not operated by the hook switch 50, and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130 attached to the side of the handset 90 is switched to the on positio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moment.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130)가 온 절환되면, 상기 보조 카메라(100)의 손상을 막기 위한 상기 보조 카메라 개폐부에 존재하는 개폐수단이개방되고, 상기 보조 카메라(100)가 노출되면서 작동이 개시되어 촬상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130) 절환시에 개폐가 수행되는 개폐수단은 사용자가 온/오프 절환 스위치(130)를 손의 힘으로 절환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온/오프 버튼 등을 이용할 경우, 상기 버튼이 온 되면 모터가 동작됨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이 개폐될 수도 있다.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130 is switched on, opening and closing means existing in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auxiliary camera 100 is opene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auxiliary camera 100 is exposed. It starts and performs imaging.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13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user by switching the on / off switching switch 130 with the power of the hand.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when using an on / off butt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the motor when the button is turned on.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면, 보조 카메라(100)가 노출되는데, 사용자는 노출된 카메라를 전방으로 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촬영할 수가 있다. 이 때, 상기 보조 카메라(100)는 송수화기(9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보조 카메라(100)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아주 쉽게 촬영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100)가 작동이 되는 순간에는 본체(70)에 부착되어 있는 본체 카메라(20)는 잠시 촬상을 중단하고, 대기한다. 그 후,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130)가 오프되면, 본체 카메라(20)는 재차 촬상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the auxiliary camera 100 is exposed, and the user can capture the scene desired by the user with the exposed camera in front.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camera 100 is attached to the handset 90, the auxiliary camera 100 can be easily mov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a desired image.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camera 100 is operated, the main body camera 20 attached to the main body 70 stops the imaging for a while and waits. After that, 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130 is turned off, the main body camera 20 performs the imaging operation again.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100)가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송수화기(90)는 활용할 수 없지만, 영상 전화 단말 장치 본체(70)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 폰(60)을 활용함으로써, 상대방과 통화를 계속 수행하면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상기 보조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set 90 cannot be utilized while the auxiliary camera 100 is being operated, but by using the speaker phone 60 provided in 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70, the call is continued with the other party. While performing, the user can take a desired image by using the auxiliary camera (100).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카메라 보호를 위한 개폐수단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3 is a layout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protecting the auxiliary camera in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절환하면, 상기 개폐수단(240)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 카메라(230)를 개방 혹은 폐쇄를 시킨다. 이 때, 상기개폐수단(240)은 최상단부(250)가 돌출되어 있어서,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개폐수단(240)이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user switches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moves up and down to open or close the auxiliary camera 230.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is protruding from the top end 250, when fully opened, to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to go down further.

또한, 상기 개폐수단(240)을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송수화기 케이스(200) 및 카메라 브라켓 지지부(210)가 상기 개폐수단(240)에 근접해 있고, 상기 보조 카메라(230)를 고정시키는 카메라 브라켓(220)이 상기 카메라 브라켓 지지부(21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 브라켓 지지부(210)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220)을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handset case 200 and the camera bracket support portion 210 to perform the role of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is clos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the camera bracket for fixing the auxiliary camera 230 ( 220 is connected to the camera bracket support 210. In this case, the camera bracket support unit 210 performs the role of supporting the camera bracket 220.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230)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 지지부(210)의 양단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amera 23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end surfaces of the camera bracket support portion 210 to take an image.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시예에 대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of a temporary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인과 같이, 상기 개폐수단(240)의 배면에는 랙기어(300) 및 피니언(310)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온 절환하면, 피니언(310)과 랙기어(300)가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개폐수단(240)을 아래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 절환되면, 상기 랙기어(300) 및 피니언(310)이 상기 개폐수단(240)을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As shown in FIG. 4, the rack gear 300 and the pinion 310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40. When the user switches on and of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the pinion 310 and the rack are provided. The gear 300 performs an operation to lowe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camera on / off switch is switched off, the rack gear 300 and the pinion 310 rai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upward.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개폐부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카메라 개폐부는 보조 카메라 보호 커버로 사용되는 개폐수단(240)과, 상기 개폐수단(240)의 배면에 존재하는랙기어(300)와, 상기 랙기어(300)에 맞물려 상기 개폐수단(240)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310)과, 상기 피니언(310)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400)와, 상기 감속기(40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2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수단 구동원(410)으로 구성되어 진다.As shown in FIG. 5,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used as an auxiliary camera protective cover, a rack gear 300 existing on a rea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and the rack gear 300. And a pinion 310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up and down, a reducer 400 connected to the pinion 310 to reduce a rotation speed, and connected to the reducer 400, It consists of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e source 410 for moving the 240 up and dow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조 카메라 개폐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한 다음과 같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por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온 절환하면,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410)은 회전을 수행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switches on and of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ing source 410 is rotated.

이 때,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410)은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고, 상기 구동원(410) 내부의 모터가 회전함으로써, 회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e source 410 may be rotated by the force of the user's hand, it may be rotated by the motor in the drive source 410 is rotated.

또한, 상기 감속기(400)는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4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개폐수단(240)이 적절한 속도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ducer 400 decelerat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ing source 410 to allow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to move up and down at an appropriate speed.

또한, 상기 피니언(310)은 상기 감속기(400)의 회전속도로 회전을 수행하여, 상기 개폐수단(240)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랙기어(300)를 구동시킨다.In addition, the pinion 310 rotates 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peed reducer 400 to drive the rack gear 300 provided on the rear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40.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가 온/오프 절환되었을 경우, 보조 카메라 및 본체 카메라의 동작과 개폐수단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auxiliary camera and the main body camera 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is switched on / off.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시키고, 보조 카메라 및 본체 카메라 동작 여부를 명령하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500)와,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500)의 명령어를 인가받아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수단 구동원(510)과,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5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520)와, 상기 감속기(5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수단을 상하 이동시키는 기어부(530)와,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500)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보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보조 카메라 구동부(540)와, 상기 보조 카메라 구동부(540)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촬영할 수 있는 보조 카메라(550)와, 본체에 부착되어 촬상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 카메라(560)와, 상기 보조 카메라(550) 및 상기 본체 카메라(560)에 연결되어 보조 카메라(550)의 영상신호 혹은 본체 카메라(560)의 영상신호 중 어느 신호를 입력받을 것인지 판단하는 카메라 입력 선택부(570)와, 상기 카메라 입력 선택부(570)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촬상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부(580)로 구성되어 진다.As shown in FIG. 6, a command o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500 and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50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o command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amera and the main body camera. Receiving means drive source 510 for receiving and providing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reducer 520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e source 51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educer 520 A gear unit 530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up and down, an auxiliary camera driver 540 for driving an auxiliary camera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500, and the auxiliary camera driver A sub-camera 550 capable of capturing a desired scene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540, a main body camera 560 attached to a main body, and performing an imaging operation; A camera input selector 570 connected to the camera 550 and the main body camera 560 to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an image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550 or a video signal of the main body camera 560, and The image output unit 58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signal from the camera input selector 570 and output the captur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500)가 온 절환되면,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510)은 이를 인식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510)의 동력이 감속기(520)에 전달되면, 상기 감속기(520)에 전달된 회전력은 감속되어 기어부(530)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기어부(530)는 랙기어와,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감속기(520)의 회전력은 상기 피니언에 전달되어 지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은 상기 랙기어에 전달되면서 보조 카메라(550)의 손상을 방지하는 개폐수단이 상하 이동시킨다.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500 is switch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ing source 510 recognizes this and provides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n, when the pow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e source 510 is transmitted to the reducer 520,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reducer 520 is decel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ear unit 530. At this time, the gear unit 530 is composed of a rack gear and a pin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educer 520 is transmitted to the pin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nion is transmitted to the rack gear while the auxiliary camera 55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moves up and down.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 구동부(540)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500)가 온 절환되었을 경우, 이를 인식하여, 보조 카메라(550)가 촬상 동작을 수행할 수있도록 명령을 내린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amera driver 540 recognizes 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500 is switched on, and commands the auxiliary camera 550 to perform an imaging operation.

또한, 상기 카메라 입력 선택부(570)는 상기 보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출력을 수행하는 영상출력부(580)에 신호를 인가한다.In addition, the camera input selector 570 receives an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auxiliary camera and applies a signal to the image output unit 580 that performs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500)가 재차 오프 절환되면, 상기 카메라 입력 선택부(570)는 상기 보조 카메라(55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중단하고, 본체 카메라(56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출력부(580)에 인가한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500 is switched off again, the camera input selector 570 stops receiving the image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550 and the image of the main body camera 560. The signal is input and applied to the image output unit 580.

도 7은 본 발명의 영상 전화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송수화기선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set base line used in a video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선(600)과,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선(610)과, 상기 보조 카메라의 촬상신호를 입력받는 비디오 입력선(620)과,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접지를 위한 영상 아날로그 접지선(630)과,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대한 접지를 위한 음성 아날로그 접지선(640)과, 디지탈 신호에 대한 디지탈 접지선(650)과, 상기 보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카메라 전원선(660)과,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입력 선택선(670)으로 구성되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 7, a microphone input line 600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a speaker output line 610 for outputt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and a video input line 620 for receiving an image pickup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 A video analog ground line 630 for grounding an analog video signal, an audio analog ground line 640 for grounding an analog audio signal, a digital ground line 650 for a digital signal, and the auxiliary camera. A camera power line 660 for supplying power, and a video input selection line 670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상기 음성 아날로그 접지선은 도 1의 종래의 송수화기선이 2개의 아날로그 접지선을 가지는 것에 반해 하나의 전선으로서, 마이크 입력선(600) 및 스피커 출력선(610)에 대한 공통 접지를 수행하고 있다.The voice analog ground line is a wire, whereas the conventional handset line of FIG. 1 has two analog ground lines, and performs common grounding for the microphone input line 600 and the speaker output line 610.

또한, 상기 비디오 입력 선택선(670)은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가 온 절환 혹은 오프 절환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카메라 선택 입력부에 전송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video input selection line 670 is provided so tha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is on or off can be transmitted to the camera selection input unit.

또한, 상기 비디오 입력선(620)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본체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에 전송된 영상신호는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혹은 상대방에게 전송된다.In addition, the video input line 620 is fo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to the main body.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body through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ss or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또한, 상기 카메라 전원선(660)은 상기 보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본체는 상기 카메라 전원선(660)을 통하여 상기 보조 카메라에 5V의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camera power line 660 is a wire for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auxiliary camera, the main body supplies 5V power to the auxiliary camera through the camera power line 6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존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본체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 하우징과,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드와, 전화통화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후크 스위치와, 송수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폰과, 상기 키패드, 후크 스위치 및 스피커 폰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 전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영상 단말기 본체와 송수화기 사이의 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송수화기선과, 상대 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는 송수화기와, 상기 송수화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보조 카메라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카메라 개폐부와, 상기 보조 카메라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main body camera located above the display unit to allow a user to capture a desired image, and a display unit including the display unit and the main body camera. A housing, a keypad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 hook switch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telephone call, a speaker phone for making a call without using a handset, the keypad, a hook switch and a speaker phone A video telephone terminal body, a handset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video terminal body and the handset, a handset capable of listening to a voice of the other room and sending a user's own voice to the other party; Auxiliary car attached to the back and taking a picture of the user By prov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second camera, a second camera on / 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camera to prevent la and damage of the second camera,

상기 영상 단말 장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촬영하여, 상대방 측에 전송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Without moving the video terminal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capture a scene desired by the user with a simple oper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unterpart.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using an additional external device in order to easily capture the scene desired by the user.

Claims (8)

디스플레이부, 본체 카메라, 스피커 폰, 송수화기, 송수화기선을 포함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In 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 main body camera, a speaker phone, a handset, a handset line, 상기 송수화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보조 카메라와,An auxiliary camera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andset and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a user; 상기 보조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카메라 개폐부와,An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auxiliary camera; 상기 보조 카메라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And an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amer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개폐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상기 보조 카메라 보호 커버로 사용되는 개폐수단과,Opening and closing means used as the auxiliary camera protective cover, 상기 개폐수단의 배면에 존재하는 랙기어와,A rack gear existing on a rea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상기 개폐수단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과,A pinion which meshes with the rack gear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up and down;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A reducer connected to the pinion to reduce a rotation speed;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수단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And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ing source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up and dow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 구동원은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존할 수도 있고, 모터에 의존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driving source may be dependent on the power of the user's hand or may be dependent on a mo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송수화기의 측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is attached to a side of the handset so that a user can easily operate the device with a thum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보조 카메라 개폐부와 보조 카메라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The video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simultaneously controls operations of the auxiliary camera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auxiliary camer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는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 절환에 의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amera is by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보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보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고,Controlled by the auxiliary camera driver for driving the auxiliary camera, 상기 보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 신호는 본체 카메라 촬상신호 혹은 보조 카메라 촬상신호 중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카메라 입력 선택부로 인가되어 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And a video signal picked up by the auxiliary camera is applied to a camera input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a main body camera signal and an auxiliary camera image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수화기선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set ship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선과,A microphone input line to receive the user's voice,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선과,A speaker output line for outputt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상기 보조 카메라의 촬상신호를 입력받는 비디오 입력선과,A video input line receiving the image pickup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영상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접지를 위한 영상 아날로그 접지선과,A video analog ground wire for grounding a video analog signal, 음성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접지를 위한 음성 아날로그 접지선과,A negative analog ground wire for grounding the negative analog signal, 디지탈 신호에 대한 디지탈 접지선과,A digital ground line for the digital signal, 상기 보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카메라 전원선과,A camer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auxiliary camera; 상기 보조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입력 선택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And a video input selec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auxiliary camera on / off switch.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아날로그 접지선은 상기 마이크 입력선과 상기 스피커 출력선에 대한 공통 접지선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단말 장치.The video telephon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udio analog ground line is used as a common ground line for the microphone input line and the speaker output line.
KR1020000001715A 2000-01-14 2000-01-14 Video phone device KR100309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715A KR100309607B1 (en) 2000-01-14 2000-01-14 Video phon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715A KR100309607B1 (en) 2000-01-14 2000-01-14 Video phon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367A KR20010073367A (en) 2001-08-01
KR100309607B1 true KR100309607B1 (en) 2001-11-03

Family

ID=1963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715A KR100309607B1 (en) 2000-01-14 2000-01-14 Video phon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60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367A (en)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2954B1 (en) Mobile communications
EP1608151B1 (en) Camera-equipped portable device
JP3255995B2 (en) Videophone equipment
EP0773686B1 (en) Equipment for a teleconference
JP38892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168568A (en) Interphone set
KR100309607B1 (en) Video phone device
JP2000092360A (en)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JPH02113656A (en) Visual telephone
JP4509315B2 (en) Display device and video phone
KR100460089B1 (en) A mobile phone
JP200217132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57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age communication
JPH10234024A (en) Electronic equipment
JPH09102942A (en) Video telephone system
KR200270417Y1 (en) An image control apparatus of a camera for a picture-communication
JP2780218B2 (en) Videophone
WO1999034600A1 (en) Portable, stand-alone video telephone system
JPH06334778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6007329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KR20070070553A (en) Auto folder type mobile phone
JPH0746555A (en) Visitor reception counter
JP200626250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06195284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0270064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elephon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