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775B1 -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775B1
KR100273775B1 KR1019980047534A KR19980047534A KR100273775B1 KR 100273775 B1 KR100273775 B1 KR 100273775B1 KR 1019980047534 A KR1019980047534 A KR 1019980047534A KR 19980047534 A KR19980047534 A KR 19980047534A KR 100273775 B1 KR100273775 B1 KR 10027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keyword
service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480A (ko
Inventor
류형근
이봉영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4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7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8Details of hyperlinks; Management of linked anno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미디어 정보 즉 비디오, 오디오, 문자, 그래픽등으로 구성된 뉴스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웹(WWW)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하이퍼 링크를 따라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다양한 미디어 정보 즉 비디오, 오디오, 문자, 그래픽등으로 구성된 뉴스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웹(WWW)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하이퍼 링크를 따라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 통신의 발달로 통신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들이 뉴스를 보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뉴스 및 관계되는 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 사이트 및 PC 통신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얻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직접 얻고 싶은 정보를 항상 검색하야 하는 방법은 인터넷 사용자 및 PC 통신 사용자가 폭주하였을 경우 접속이 늦어져 많이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제목을 보고 사이트에 접속하였으나 필요한 정보가 없어 다른 사이트를 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항상 필요로 하는 뉴스 및 정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사이트 및 키워드에 따라 자동으로 뉴스 또는 정보를 검색하여 수집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뉴스 서비스 제공장치를 구현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뉴스 서비스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뉴스 서버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뉴스 입력시 자동 입력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뉴스 입력시 인증을 거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뉴스 저장시의 뉴스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정보 입력시 인증을 거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정보 저장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프로파일 입력시 인증을 거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프로파일 입력시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테이블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뉴스 서비스시 인증을 거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뉴스속보 서비스시 인증을 거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 단말 11 : 웹브라우저
20 : 뉴스 서버 21 : 뉴스 저장부
211 : 뉴스 수신부 212 : 키워드 검출부
22 : 뉴스 서비스부 221 : 사용자 관리 기능
222 : 섹션별 뉴스 기능 223 : 뉴스 검색 기능
224 : 개인 서비스 기능 225 : 속보 기능
23 : 인터넷 데몬부 30 : 뉴스 데이터베이스
31 : 기사 저장 테이블 32 : 키워드저장 테이블
33 : 키워드용어 저장 테이블
40 :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41 : 프로파일 테이블
50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51 : 사용자 관리 테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웹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 장치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검색 및 분류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 수단과;
상기 정보제공 수단에서 검색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에 대해 정보제공 수단에서 부여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보제공 수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단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 장치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에 수집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수집한 정보를 각 정보 별로 분류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별로 제공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뉴스 서비스 장치(본 발명에서는 정보의 일종으로 뉴스를 예를 들었으며 이하에서는 정보 대신 뉴스라 기재함)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뉴스 서비스 장치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 저장 및 재생을 지원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정보는 비디오(Vodeo), 오디오(Audio), 문자(Text), 이미지(Image) 및 이들의 복합체를 총칭하며, 이러한 다양한 매체의 저장을 지원한다.
또한, 뉴스 서비스 장치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망은 대용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뉴스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특성에 맞는 여러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여러분야의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수준, 관심, 용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뉴스 서비스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바, 뉴스는 체계적으로 저장되고, 뉴스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질의(query) 기능을 제공하므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뉴스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뉴스 서비스 장치는 개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뉴스를 우선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뉴스 서비스 장치는 개인 프로파일(profile) 관리 및 인증기능을 제공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뉴스 서비스 장치는 ATM 망을 하부구조로 가지며, 웹상에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로 개발한다. 서버는 웹서버로 구성되며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browser)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원하는 뉴스를 받아 볼 수 있는 주문형 서비스 모델로 이루어진다.
또한, 뉴스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방대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팀을 사용한다.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통합을 위하여 서버기능의 확장용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인 네스케이프 서버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Netscape Server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이하 NSAPI라 칭한다)를 한다. 서버와 제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해 자바(JAVA)를 사용한다. 서버의 제공서비스로는 뉴스 검색 서비스, 개인 뉴스 서비스, 속보기능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웹 브라우저(11)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예 : PC)(10)과;
웹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뉴스를 제공하는 뉴스 서버(20)와;
뉴스 정보를 저장하는 뉴스 데이터베이스(30)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40)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 및
뉴스를 제공하는 뉴스 제공자 단말(60)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뉴스 서버(20)와 각 데이터베이스(30, 40, 50)들 간의 연결은 NSAPI로 구현하며, 뉴스 서버(20)와 사용자 단말(10) 내의 웹 브라우저(11) 사이의 상호 작용은 자바 애플릿(Java Applet)으로 구현하고, 사용자 단말(10) 및 뉴스 제공자 단말(60)들은 ATM 망을 통해 상기 뉴스 서버(20)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들은 뉴스서버(20)의 하드 내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보조기억장치로 하드 외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각 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도 2는 뉴스 서버(20)의 상세 블록도로, 뉴스 수신부(211)와 키워드 검출부(212)로 이루어져, 뉴스를 모아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뉴스 처리부(21)와;
사용자에게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부(22)와;
웹서버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홈 페이지 생성 관련 프로그램 및 사용자 단말(10)과, 뉴스 제공자 단말(60)의 접속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인터넷 데몬(Daemon)부(2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뉴스 처리부(21) 내의 뉴스 수신부(211)는 인터넷을 통하여 뉴스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뉴스 제공자(60)는 어디서든지 인터넷을 통하여 뉴스 서비스 장치에 뉴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뉴스서버(20)에서 뉴스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뉴스 수집 방법으로는 두가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뉴스서버상의 뉴스수집 프로그램이 인터넷상의 뉴스 서버(20)에 접속해서 뉴스를 가져오는 자동방법이고, 두번째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뉴스를 직접 입력하는 수동방법이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먼저 뉴스수집 프로그램에 뉴스가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알려주면 뉴스수집 프로그램이 매일 상기 사이트에 접속해서 뉴스를 가져온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여러사이트에서 다양한 종류의 뉴스기사를 모을 수 있고, 뉴스 수집 프로그램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CP/IP)상에서 소켓(socket)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상기 뉴스수집 프로그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뉴스수집 프로그램은 TCP/IP 소켓 기반의 자동화된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로부터 기사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일을 한다.
뉴스수집 프로그램은 뉴스 제공자의 홈 사이트에서 인덱스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 이하 HTML이라 칭한다) 파일을 읽어들일 수 있고, 능동적으로 목적화일을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뉴스수집 프로그램은 범용자원위치자(Universal Resource Locator : 이하 URL이라 칭한다) 주소와 키워드를 조사하므로써 뉴스목록에 새로운 뉴스 기사의 목록을 만들고 자신의 로컬 장치에 그 기사들을 저장한다.
뉴스 수집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모듈(이하 NET라 칭한다), 주소변환모듈(이하 URL이라 칭한다), 뉴스정보처리 모듈(이하 LEX라 칭한다), 키워드처리 모듈(이하 INDEXER라 칭한다)의 4개 모듈로 구성되며,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상기 NET 모듈은 뉴스 제공자와 뉴스수집 프로그램이 상주하는 뉴스 서비스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소켓을 만드는 일을 한다. 파일 핸들러를 이용하여 데이터는 뉴스 제공자에게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된다.
상기 URL 모듈은 NET 모듈이 뉴스 제공자와의 소켓을 성공적으로 만들어낸 후, 그 시스팀이 HTTP 서버인지 FTP 서버인지 조사 한다. 또한 포트번호를 조사하고 사전에 서비스 장치에서 설정된 포트번호로 할당한다. 그리고 모든 상대(relative) URL 주소를 절대(absolute) URL주소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LEX 모듈은 뉴스 수집프로그램의 핵심으로써, 뉴스기사, 키워드, 기사의 ID, 각 기사별 타이틀, 기사의 날짜 및 시간정보등을 분석하고 복원하는 일을 한다.
또 각 뉴스 제공자별 기사를 분석하고 색인을 부여하며, 이들 기사들을 로컬 시스팀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LEX는 뉴스수집 프로그램이 정보를 수집하고자하는 각 뉴스 제공자의 HTML 형식을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야 함이 요구된다.
상기 INDEXER 모듈은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키워드와 복원된 기사를 연계시키는 일을 한다.
이와 같은 각 모듈을 가지는 뉴스수집 프로그램은 뉴스를 수집하거나 입력받기 위해 뉴스제공자 서버 사이트로 접속한다. 각 사이트는 클라이언트에게 뉴스기사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고, 또한 각 사이트는 서로 다른 HTML 포맷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뉴스수집 프로그램이 접속한 뉴스 제공자 사이트 별로 서로 다른 접근 방법을 선택하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함이 요구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뉴스수집 프로그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로, 뉴스수집 프로그램은 뉴스 제공자의 URL 정보를 입력받으므로써 시작된다(제 1단계(S1)).
상기 URL 주소가 입력되면, 이 주소를 복원한 후 네트워크에서 자신이 뉴스를 수집해야 할 특정한 시간인지 판별하여, 특정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시간이 될 때까지 기다리다 재 반복한다(제 2단계(S2)).
상기 판별결과 현재 시간이 예정된 시간의 범위라면 절대 URL 주소를 이용해 URL을 재구성하는 바, URL 재구성 과정은 상기에서 언급한 URL 모듈에서 수행된다(제 3단계(S3)).
이어 각 뉴스 제공자의 홈페이지에 연결을 설정하고, 뉴스 제공자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바, 이 작업은 NET 모듈에서 수행된다(제 4단계(S4)).
그 다음 LEX 모듈에서 키워드 복원, 기사 ID등을 통하여 뉴스 기사들을 분석하고, 로컬 장치에 이러한 기사들을 저장한 후, INDEXER 모듈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각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과정을 통해 뉴스 기사들을 분류한다(제 5단계(S5)).
상기 각 단계를 완료한 다음 만일 뉴스를 수동으로 입력하겠다라는 수동 요구가 없으면 무한 루프를 생성해서 계속적으로 뉴스를 갱신하고, 수동동작 요구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동작을 중지한다(제 6단계(S6)).
상기와 같은 뉴스 수집프로그램은 어떤 뉴스 제공자를 제어할 것인지, 어떤 목록을 가져오게 할것인지를 HTML 페이지와 CGI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뉴스수집 프로그램의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뉴스 수집 프로그램이 접속하는 뉴스 제공자와 가져올 데이터를 위한 뉴스 목록, 데이터 형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뉴스수집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집되도록 제공되고 프로그램되어 있는 목록들은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 사회, 국제, 과학섹션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질의가 수용되면 데이터베이스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두번째 방법은 NSAPI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사용자 및 뉴스 제공자가 직접 입력한다.
사용자 및 뉴스 제공자는 ID 인증과정을 거친후 뉴스기사를 작성할 수 있으며, 뉴스를 작성하는 방법은 HTML 문서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다.
이를 도면을 통해 간략히 설명하면 도 4는 사용자 및 뉴스 제공자가 뉴스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NSAPI 함수의 구조로, 사용자 단말(10) 또는 뉴스 제공자 단말(60)에서 각 식별번호(ID)를 입력(a)하면, 이 ID는 뉴스서버(20)에 전송(b)되어 인증을 거친다음, 인증이 수락되면(c) 웹 브라우저(11)를 통해 수동으로 뉴스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d)한다.
한편, 상기 뉴스 처리부(21) 내의 키워드 검출부(212)는 상기 뉴스 수신부(211)로 입력되는 각 뉴스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각 데이터베이스(30, 40 , 5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각 뉴스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뉴스 데이터베이스(30)에 세개의 테이블을 구성하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기사정보가 저장되는 테이블로, 뉴스 식별번호(뉴스 ID)필드, 날짜(Date)필드, 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클래스(Class)필드, 뉴스의 제목(Title)필드, 저장시 파일이름(File)필드를 구비하는 기사(Article) 저장 테이블(31)과;
각 뉴스의 키워드가 저장되는 테이블로, 뉴스 식별번호필드, 키워드(Keyword) 필드, 단어가 사용된 횟수를 나타내는 단어빈도필드를 구비하는 키워드저장 테이블(32)과;
키워드가 될 수 있는 용어들이 저장되는 테이블로, 키워드 필드, 문헌이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문헌빈도필드를 구비하는 키워드용어저장 테이블(33)이다.
여기서 상기 키 워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면, 각 뉴스 기사들은 문단 단위로 구분되는 바, 각 문장은 다시 단어로 구분하여 각 단어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검출한다.
한 문단에서 검출된 키워드는 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든 후 다시 분석하여 키워드를 검출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문단중에 있는 복합명사도 키워드로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키워드가 검출되면 키워드용어저장 테이블(33)에 있는 문헌빈도(dfj)를 하나 증가시킨다. 같은 뉴스 문서에서 같은 키워드가 다시 검출되면 문헌빈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하나의 뉴스 문서를 끝까지 분석하고 난 후 키워드저장테이블(80)에 있는 단어빈도(tfij)를 구한다.
여기서 단어빈도 tfj는 문서 i에 키워드 j가 몇번 발생하는지를 나타내고, 문헌빈도 dfj는 N개의 문서에서 키워드 j가 발생한 뉴스기사의 갯수를 나타낸다. 이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문과 뉴스기사 사이의 유사도를 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뉴스 서비스부(22)는 웹브라우저(11)를 가진 사용자에게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구현한 부분으로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기능들을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 관리기능(221)을 제공하는 바, 사용자가 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맨 처음 서비스를 받고자 하면 새로운 윈도우가 표시되어 ID와 패스워드를 요구하고, 뉴스서버 관리자는 사용자가 처음 입력한 ID와 패스워드로 사용자의 계급을 결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이러한 기능은 NSAPI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각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는 뉴스서버 관리자에 의하여 부여되며 ID필드가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사용자들은 권한에 따라 몇 개의 레벨로 분류되고 그 레벨에 따라 서비스의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의 NSAPI 함수의 구조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사용자 관리 테이블(51)을 도 6a,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를 보면, 사용자가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a), 이는 뉴스서버(20)에 전송(b)되어 인증을 거친 다음, 인증이 수락되면(c) 사용자 관리 테이블(51)의 사용자 ID필드와, 패스워드 필드 및 사용자 레벨필드에 저장(d)한다.
사용자 관리 테이블(5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필드와, 패스워드 필드와, 사용자가 뉴스를 검색할 수 있는 한도를 정의한 사용자 레벨 필드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의 ID가 없는 경우에는 "게스트(guest)"를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는 정식으로 뉴스서버 관리자로부터 계정을 받지 못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ID이다.
이러한 많은 사용자들을 레벨을 할당하여 관리하는데, 사용자 레벨은 뉴스서버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세가지 레벨로 구분하여 사용자를 관리하며 레벨 1은 사용자 계정관리 및 데이터 관리를 하는 뉴스서비스 장치 관리자 레벨이다.
레벨 2는 일반 사용자로서 뉴스서버(2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레벨 3은 상기 게스트로 지정된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 이 게스트는 패스워드 없이 시스팀에 접속가능하지만 제한된 서비스만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섹션별 뉴스 기능(222)을 제공하는 바, 섹션뉴스는 사용자가 가장 단순히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것은 단순히 뉴스서버(20)에서 각 뉴스들을 섹션별로 구분하여 정리해두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섹션을 선택하여 그곳에 저장된 뉴스를 검색해 보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뉴스를 본다는 것 외에는 기존의 뉴스와 같다.
셋째, 뉴스 검색 기능(223)을 제공하는 바, 사용자는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뉴스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뉴스는 주제별로 분류되며 각 뉴스들은 발생한 시간과 뉴스 내용을 나타낼 수 있는 키워드들을 속성값으로 가진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질의문을 작성한다. 질의문은 뉴스에 대한 시간정보와 내용분류 및 키워드와 각 키워드에 대한 가중치를 가진다.
사용자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구한 유사도 순으로 뉴스를 검색할 수 있고 단순히 시간 순으로 뉴스를 검색할 수 있으며, 가중치는 두가지를 사용한다.
하나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가중치이고 다른 하나는 뉴스서버(20)에서 계산되는 가중치이다.
뉴스서버(20)에서 계산되는 가중치는 단어빈도에 비례하고 문헌빈도에 반비례하게 주어진다. 단어빈도가 많다는 것은 뉴스기사에서 그 키워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문헌빈도가 크다는 것은 전체 기사에서 그 키워드를 가진 문서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사의 변별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식 1과 같이 가중치를 줄 수 있다.
식 1)
여기서 dij는 기사 i에 있는 키워드 j의 가중치이고, tfij는 기사 i에 있는 키워드 j가 몇번 나타났는지를 나타내고, N은 전체 뉴스 기사의 수를 나타내고, dfj는 키워드 j가 있는 기사의 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가중치는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최종적으로 다음 식 2와 같이 계산된다.
식 2)
여기서 tfmax는 단어빈도의 최대값이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가중치도 0과 1사이의 값으로 정규화시킨다. 사용자가 입력한 가중치가 W 일 때 다음 식 3과 같이 정규화된 W벡터를 얻을 수 있다.
식 3)
W' = ( w'1, w'2, , w'N)
W = ( w1, w2, , wN)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대한 두가지의 가중치 벡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i= ( di1, di2, , diN)
W = ( w1, w2, , wN)
여기서 Di는 기사 i에 대한 뉴스서버(20)에서 계산한 가중치 벡터이고, W는 사용자가 입력한 가중치 벡터이다. 이 두 벡터를 이용하여 다음의 벡터를 만들 수 있다.
Si= ( si1, si2, , siN)
Sij= dijx wj
이 벡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문과 뉴스 기사의 유사도를 계산 할 수 있으며, 벡터 모델에서 기사 i는 N-벡터공간에 Si벡터를 나타내는 한점으로 표현되며, 유사도는 W벡터와 Si벡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큰 값을 가진다.
기사 i의 유사도는 다음 식 4와 같이 계산된다.
식 4)
Sim(Sj, W) =
이 방법은 가중치가 큰 단어가 몇 개 있는 것보다는 가중치가 작아도 여러 개의 단어가 골고루 있는 것에 더 큰 유사도를 주는 방법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문에 기초하여 찾은 뉴스를 유사도 순으로 출력한다.
넷째, 개인 서비스 기능(224)을 제공하는 바, 뉴스서버(20)에서는 개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프로파일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는 인증과정을 거친 후 새로운 프로파일을 입력할 수 있고 또 변경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은 질의문 형태를 가지는 바, 사용자는 각 키워드를 가중치와 함께 입력하고, 각 키워드의 가중치는 서버가 각 뉴스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도 7a, b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a는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NSAPI 함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내의 프로파일 테이블(41)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ID를 입력하면(a), 이는 뉴스서버(20)에 전송(b)되어 인증을 거친 다음, 인증이 수락되면(c) 웹 브라우저(11)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프로파일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d)한다.
사용자가 프로파일을 입력할 경우에는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클래스(Class)와, 상기 클래스에서 검색할 키워드와, 클래스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프로파일 입력 동작은 사용자가 프로파일을 처음 입력할 때와 자신의 프로파일을 변경하고자 할 때 NSAPI 함수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뉴스의 섹션 정보와 키워드 및 가중치를 입력하면 된다. 뉴스서버(20)는 이것을 데이터베이스상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프로파일을 입력한 후 자신의 개인 뉴스를 보고자 하면 뉴스서버(20)에서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가장 유사한 뉴스를 모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8에 개인 뉴스를 위한 NSAPI 함수의 구조를 도시하였는 바, 사용자가 자신의 ID를 입력(a)하면, 이는 뉴스서버(20)에 전송(b)되어 인증을 거치게 되고, 뉴스서버(20)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레벨을 검사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섹션마다 사용자의 프로파일과 뉴스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해 유사도가 특정값을 넘는 뉴스들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뉴스 데이터베이스(30)로 입력(c)한다.
뉴스 데이터베이스(30)에서는 저장된 자료를 검출하여(d) 사용자 단말(10)의 웹 브라우저(11)로 전송(e)해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속보기능(225)을 제공하는 바, 이는 도 9에 도시된 속보기능을 위한 NSAPI 함수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애플릿(applet)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두가지 결과를 출력한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ID를 입력(a)하면, 이는 뉴스서버(20)에 입력(b)되고, 뉴스서버(20)에서는 이ID에 대한 서비스 제공 레벨을 판단하여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뉴스 데이터베이스(30)로 출력(c)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여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프로파일과 가장 유사한 뉴스의 제목을 출력하게 하므로써 사용자가 언제든지 자신을 위한 새로운 뉴스가 들어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한가지는 뉴스 데이터베이스(30)를 접근하여 가장 최근에 들어온 뉴스의 제목을 출력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는 언제든지 새로운 뉴스가 들어온 사실을 알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뉴스 데이터베이스(30)에서 검출(d)된 데이터들은 사용자 단말(10)의 웹 브라우저(11)를 통해 전송(e)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미디어 정보 즉 비디오, 오디오, 문자, 그래픽등으로 구성된 뉴스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웹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하이퍼 링크를 따라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3)

  1.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웹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 장치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검색 및 분류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 수단과;
    상기 정보제공 수단에서 검색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에 대해 정보제공 수단에서 부여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보제공 수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단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수단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로 부터 입력되는 각 정보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검출해 저장하는 키워드 검출부를 구비하여, 정보를 수집해 상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처리부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부와;
    인터넷 상에서의 웹서버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서비스 프로그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은 각 사용자 식별번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별 서비스 이용한도레벨을 부여하여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기능과;
    저장된 정보들을 섹션별로 제공하는 섹션별 정보제공 기능과;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해 계산된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 기능과;
    사용자가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우선권을 부여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서비스 기능과;
    수집한 각종 정보 중 상기 개인 서비스 기능에서 우선권이 부여된 정보와 유사한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사용자에게 알리는 정보 속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 및 정보 제공자가 정보 제공시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단어빈도와, 검색 대상의 키워드가 존재하는 문헌이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문헌빈도를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장치에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는 검색할 키워드와 관계되는 각각의 문헌 중 유사 키워드가 제일 많이 존재하는 문헌에 가장 높은 유사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실제 기사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테이블과;
    상기 정보저장 테이블 내에 저장된 각 정보에 대한 검색 키워드가 저장되는 키워드 저장 테이블과;
    상기 키워드 저장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키워드가 될 수 있는 용어들이 저장되는 키워드용어 저장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테이블은 저장되는 각 정보를 구분하는 정보 식별번호필드와;
    정보가 저장되는 날짜를 체킹하는 날짜필드와;
    정보가 속하는 종류를 나타내는 클래스필드와;
    정보의 제목필드; 및
    정보 저장시 저장 파일의 이름을 나타내는 파일이름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저장 테이블은 각 정보를 구분하는 정보 식별번호필드와;
    검색 단어를 저장하는 키워드 필드; 및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가 사용된 횟수를 나타내는 단어빈도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용어저장 테이블은 검색단어를 저장하는 키워드 필드와;
    사용자가 검색하는 대상의 문헌이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문헌빈도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는 클래스 필드와, 상기 클래스에서 검색할 키워드 필드와, 상기 각 클래스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가중치 필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검색할 정보에 대한 검색자료를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사용자 식별번호 필드와, 각 사용자에게 주어진 패스워드 필드와,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한도레벨을 정의한 사용자 레벨 필드를 구비하여,
    사용자 관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3. 제 3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한도레벨은 사용자 계정 관리 및 데이터 관리를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의 관리자에게 부여하는 제 1 레벨과;
    정보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제 2 레벨과;
    정보 서비스 장치에 접속은 가능하나 패스워드가 없어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받는 비 가입자에게 부여하는 제 3 레벨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입력시와, 사용자 정보 입력시 및 정보 제공자에 의한 정보 제공시, 정보제공 수단에 의한 인증을 통해 인증 수락을 거친 후 각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서비스 기능 및 정보 속보 기능 제공시, 정보제공 수단에 의한 인증을 통해 인증 수락을 거친 후, 정보제공 수단에서 제공한 사용자 레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
  16.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 장치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에 수집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수집한 정보를 각 정보 별로 분류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별로 제공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시, 정보 제공자의 주소변환모듈(URL)의 주소가 입력되면, 이 주소를 복원한 후 네트워크에서 자신이 정보를 수집해야 할 해당 시간인지 판별하여, 해당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수집시간이 될 때까지 체크를 반복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현재 시간이 해당 시간의 범위라면 절대 URL 주소로 URL을 재구성 하는 제 2 단계와;
    URL 구성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자의 홈페이지에 연결을 설정하고, 정보 제공자에게 정보 전송을 요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정보가 전송되면, 정보를 분류하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정보와 연계시킨 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여, 정보를 자동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실제 기사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 테이블과;
    상기 정보저장 테이블 내에 저장된 각 정보에 대한 검색 키워드가 저장되는 키워드 저장 테이블과;
    상기 키워드 저장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키워드가 될 수 있는 용어들이 저장되는 키워드용어 저장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테이블은 저장되는 각 정보를 구분하는 정보 식별번호필드와;
    정보가 저장되는 날짜를 체킹하는 날짜필드와;
    정보가 속하는 종류를 나타내는 클래스필드와;
    정보의 제목필드; 및
    정보 저장시 저장 파일의 이름을 나타내는 파일이름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저장 테이블은 각 정보를 구분하는 정보 식별번호필드와;
    검색 단어를 저장하는 키워드 필드; 및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가 사용된 횟수를 나타내는 단어빈도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용어저장 테이블은 검색단어를 저장하는 키워드 필드와;
    사용자가 검색하는 대상의 문헌이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문헌빈도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과정에서 정보 수집 중 정보의 수동입력 요구가 있으면, 정보의 자동 수집 동작을 중지하는 제 5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시, 사용자 또는 정보 제공자 단말에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 자신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와;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식별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인증 수행에서 인증이 수락되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 단말과 인터페이스를 형성한 후, 입력되는 정보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하여, 정보를 수동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정보가 사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정보일 경우, 사용자 식별번호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식별번호 및 패스워드의 인증을 거친 후, 인증이 수락되면 정보 서비스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한도레벨을 부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이용한도레벨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사용자 식별번호 필드와, 각 사용자에게 주어진 패스워드 필드와,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한도레벨을 정의한 사용자 레벨 필드를 구비하여,
    사용자 관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정보가 사용자 프로파일에 해당되는 정보일 경우,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식별번호의 인증을 거친 후, 인증이 수락되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는 클래스 필드와, 상기 클래스에서 검색할 키워드 필드와, 상기 각 클래스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가중치 필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검색할 정보에 대한 검색자료를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 및 정보 제공자가 정보 제공시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단어빈도와, 검색 대상의 키워드가 존재하는 문헌이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는 문헌빈도를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장치에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각 사용자 식별번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별 서비스 이용한도레벨을 부여하여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기능과;
    저장된 정보들을 섹션별로 제공하는 섹션별 정보제공 기능과;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해 계산된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 기능과;
    사용자가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우선권을 부여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서비스 기능과;
    수집한 각종 정보 중 상기 개인 서비스 기능에서 우선권이 부여된 정보와 유사한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사용자에게 알리는 정보 속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31. 제 24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한도레벨은 사용자 계정 관리 및 데이터 관리를 하는 정보 서비스 장치의 관리자에게 부여하는 제 1 레벨과;
    정보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제 2 레벨과;
    정보 서비스 장치에 접속은 가능하나 패스워드가 없어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받는 비 가입자에게 부여하는 제 3 레벨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는 검색할 키워드와 관계되는 각각의 문헌 중 유사 키워드가 제일 많이 존재하는 문헌에 가장 높은 유사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서비스 기능 및 정보 속보 기능 제공시, 정보제공 수단에 의한 인증을 통해 인증 수락을 거친 후, 정보제공 수단에서 제공한 사용자 레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서비스 방법.
KR1019980047534A 1998-11-06 1998-11-06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27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34A KR100273775B1 (ko) 1998-11-06 1998-11-06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34A KR100273775B1 (ko) 1998-11-06 1998-11-06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480A KR20000031480A (ko) 2000-06-05
KR100273775B1 true KR100273775B1 (ko) 2000-12-15

Family

ID=1955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534A KR100273775B1 (ko) 1998-11-06 1998-11-06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53A (ko) * 2019-09-03 2021-03-11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문가를 위한 뉴스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400B1 (ko) * 1999-09-22 200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피드백 변화를 반영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특징소 정보 생성방법 및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특징소 가중치 결정방법
KR100616216B1 (ko) * 1999-12-17 2006-08-25 주식회사 케이티 온라인 맞춤 정보의 검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16366A (ja) * 2000-01-31 2001-08-10 Toyota Motor Corp 書籍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装置並びに方法
KR20000049383A (ko) * 2000-02-03 2000-08-05 김명기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뉴스 서비스 방법
KR100374251B1 (ko) * 2000-05-18 2003-03-04 주식회사 스마일미디어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449497B1 (ko) * 2000-12-21 2004-09-21 주식회사 매직아이 실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20010069940A (ko) * 2001-05-21 2001-07-25 주형순 인터넷을 이용한 홍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96428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케이티 웹 상에서 사용자 행위정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0472342B1 (ko) * 2002-01-24 2005-03-08 (주)베인스 양방향 통신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853A (ko) * 2019-09-03 2021-03-11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문가를 위한 뉴스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5942B1 (ko) * 2019-09-03 2021-04-2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문가를 위한 뉴스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480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6693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KR100645608B1 (ko) 사용자 방문 유알엘 로그를 이용한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US20020078045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ranking search results using user category weighting
JP4350744B2 (ja) 地域情報検索結果の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460613B1 (ko) 로컬 네트워크내의 장치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122001B2 (en) Method of retrieving an appropriate search engine
US6718365B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ordering search results using an importance weighting
US8676830B2 (en) Keyword recommendation for internet search engines
US9300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reliability
US85721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search trails across one or more search engin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059133A1 (en) Hyperlink generation device, hyperlink generation method, and hyperlink generation program
JPH09311869A (ja) インターネット検索サーバ
KR20030047890A (ko)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모니터링 시스템
JP2000187666A (ja) 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嗜好類似度評価システム、情報紹介システム、関心情報取得方法、嗜好類似度評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896614B1 (ko) 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4851299B2 (ja) ブックマーク管理装置,ブックマーク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ブックマーク管理方法
KR100273775B1 (ko)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7912B1 (ko)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00054312A (ko) 맞춤 웹정보 구축 제공 방법
WO2001055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ookmark management and analysis
JP4963619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装置、検索結果画面情報生成方法及び検索結果画面情報生成処理プログラム
KR20090112256A (ko) 검색 히스토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67918B1 (ko) 인터넷 리소스에 연결된 태그 정보에 관한 검색 결과를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5173876A (ja) キャッシュサーバ
KR20050063886A (ko)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컨텐츠 공급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