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912B1 -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912B1
KR101267912B1 KR1020050117202A KR20050117202A KR101267912B1 KR 101267912 B1 KR101267912 B1 KR 101267912B1 KR 1020050117202 A KR1020050117202 A KR 1020050117202A KR 20050117202 A KR20050117202 A KR 20050117202A KR 101267912 B1 KR101267912 B1 KR 10126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internet resource
joi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578A (ko
Inventor
임혁진
김영선
유지현
장미정
이원우
안정미
조상현
곽영선
김경수
이춘희
한원식
최도성
신지훈
이지은
박자영
유효정
안인성
이용일
육형민
최정남
조원준
배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912B1/ko
Priority to PCT/KR2006/005158 priority patent/WO2007064174A1/en
Publication of KR2007005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인터넷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복수의 웹사이트 서버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 리소스를 제공받고,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생성을 요청하며,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대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태그를 열람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 입력을 위한 도구로서 이음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이음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50117202
인터넷 리소스, 태그, 콘텐츠, 이음, 웹사이트

Description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ARED INFORMATION BY CONNECTING A TAG TO THE INTERNET RESOUR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도 1은 종래의 북마크의 개념과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의 개념을 비교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음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 리소스에 부가하는 태그의 세부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부가된 태그 정보를 확인 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툴바를 이용한 이음 페이지 생성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XM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음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태그의 세부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태그에서 이어진 페이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테고리 101 : 키워드
102, 110 : 웹페이지 111, 500, 561, 562, 563 : 태그
200, 300 : 웹사이트 210 : 네트워크
220, 330 : 사용자 단말 230, 360 : 이음 서비스 서버
240 :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 310 : 사업자 단말
320 : 인터넷 340 : 웹서버
350 : 네트워크 서버 370 : 데이터베이스 서버
410 : 회원 관리 모듈 420 : 이음 입출력 모듈
430 : XML 표준 인터페이스 모듈 440 : 템플릿 모듈
510 : 주제 영역 520 : 키워드 영역
530 : 의견 영역 540 : 관련 링크 영역
550 : 사용자 560, 570, 580 : 웹페이지
본 발명은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를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부가된 태그에 의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필수적인 도구로 등장하였고, 이에 따른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자들은 정보화에 따른 편리함에 상반되는 정보화의 각종 폐해와 역기능 등으로부터 자기보호는 물론 급속한 환경 변화에 따른 발 빠른 적응과 계속적인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라는 의미보다는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 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해 주는 뉴미디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인터넷상에서 확인한 각종 콘텐츠들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확인한 각종 콘텐츠(예컨대, 웹페이지 등)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북마크와 같이 해당 콘텐츠의 주소 정보를 자 신의 사용자 단말에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해당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북마크(또는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인터넷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했던 웹사이트 중에서 다시 방문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디렉토리(익스플로러의 경우) 또는 파일(네비게이터의 경우)의 형태로 로컬 메모리 영역에 보관하였다가 이후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를 다시 방문하고자 할 때 상기 저장된 URL 주소를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이 저장되어 있는 북마크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해당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북마크 기능은 단순히 자신이 찾아본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만을 저장할 뿐 더이상 정보의 확산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북마크에 등록시키는 웹페이지가 늘어날수록 사용자가 스스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분류하지 않으면 제대로 활용하기가 용이하지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북마크의 기능은 단순히 웹페이지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각 웹페이지들 간의 연관성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신이 찾아본 정보만을 다시 찾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정보 획득에 대한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켜주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태그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태그 정보에 상기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정보 공간을 확산시키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태그 정보에 상기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다른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정보 공간을 확산시키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인터넷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복수의 웹사이트 서버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 리소스를 제공받고,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생성을 요청하며,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대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태그를 열람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 입력을 위한 도구로서 이음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이음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각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 생성을 위한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태그가 부가된 인터넷 리소스에 접속할 때,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태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서의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 입력을 위한 도구로서 이음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해당 인터넷 콘텐츠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서의 태그 정보 요청시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웹사이트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웹사이트 서버로부터 인터넷 리소스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음 서비스 서버로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별도의 태그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입력된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태그를 설정한 인터넷 리소스의 주소와 함께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북마크(또는 즐겨찾기) 등과 같이 인터넷 웹페이지를 키워드에 의해 분류하여 사용자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웹상에서 별도 사업자의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리소스(예컨대, 웹페이지, 음악, 동영상, 서비스 등)에 하나 이상의 태그(tag)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태그마다 상기 해당 리소스와 관련된 활동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북마크의 개념과 본 발명의 개념을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리소스마다 붙이게 되는 하나 이상의 공간을 '태그'라고 하며, 상기 태그는 각 리소스마다 붙이게 되므로 '꼬리표'의 의미를 가지고는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태그의 의미는 일반적인 의미의 태그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태그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음' 서비스라고 칭하며, 상기 각 인터넷 리소스에 생성하는 태그를 통해 형성된 공간을 '태그 공간' 또는 '이음 페이지'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북마크의 개념과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의 개념을 비교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북마크(또는 즐겨찾기(favorite))는 하나 이상의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는 카테고리(100)로 키워드(101)를 분류하고, 상기 각 키워드(101) 내에 해당 웹페이지(102)들이 포함된다. 즉, 사용자가 특정 웹페이지에서 해당 웹페이지를 북마크 하려고 할 경우, 웹브라우저 등에서 제공하는 북마크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가 지정하는 카테고리(100) 또는 키워드(101)에 상기 해당 웹페이지의 주소(URL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제목(title)이 사용자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북마크된 특정 웹페이지를 방문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신의 웹브라우저의 북마크 메뉴에서 기저장된 웹페이지의 제목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음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태그(111)는 각 웹페이지(110)에 종속되며, 해당 웹페이지(110)에 태그(111)가 생성될 경우 상 기 태그(111)를 생성시킨 사용자와 상관없이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태그(111)의 내용을 보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태그(111)는 특정 웹페이지(110)에서 복수개 생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태그(111)는 웹페이지와 매핑된다는 점에서 상기 북마크의 키워드(101)와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용도 및 개념적 측면에서 큰 차이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북마크에서는 해당 북마크의 내용이 각 개인별로 설정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그 정보가 공유될 수 없으며, 각 개인별 북마크의 내용들이 사용자들 간에 공유된다고 하더라도 키워드 중심의 분류 정도까지밖에 활용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에 의한 태그(1110)는 웹페이지에 종속되어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태그에는 해당 웹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확장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태그 간의 링크를 통해 인터넷 리소스(예컨대, 웹페이지)들 간의 관계들이 형성됨으로써 정보의 확장 및 각종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의 개념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웹사이트(200), 네트워크(210), 사용 자 단말(220), 이음 서비스 서버(230) 및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220)이 네트워크(210)를 통해 특정 웹사이트(200)를 접속하여 상기 웹사이트(200)로부터 소정의 웹페이지를 제공받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해당 웹페이지에 태그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이음 서비스 서버(230)에 태그 생성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태그 생성 요청은 사용자 단말(220)에 별도 설치되는 툴바 또는 'ActiveX'와 같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으며, 기타 어떠한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23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220)의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 입력을 위한 도구로서 이음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20)은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230)는 상기 입력된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태그를 설정한 리소스의 주소(예컨대, 웹페이지의 주소(URL 또는 URI) 등)와 함께 링크시켜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는 동일한 인터넷 리소스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여러 개 생성될 수 있으며,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접속한 어떠한 사용자라도 새로운 태그를 생성하거나, 기생성된 하나 이상의 태그들을 열람할 수 있으며, 또한 생성된 태그에 각종 정보들을 추가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웹사이트(200)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 단말(220)이 상기 웹사이트(200)의 특정 웹페이지 내에서 생성된 태그를 열람하거나 편집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230)로 생성된 태그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23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를 검색하여 상기 해당 웹페이지에 생성된 태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웹페이지에 생성된 태그가 하나 이상 존재할 경우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태그의 정보들을 상기 요청한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20)은 상기 제공받은 각 태그의 정보들을 열람하거나 수정 또는 정보의 추가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와 관련된 다른 태그 또는 다른 인터넷 리소스와의 링크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태그 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리소스(즉, 웹페이지)에 대한 각종 다양한 사용자들의 정보들이 취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 리소스들 간의 관계 형성을 통해 정보의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조 및 세부 기능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 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음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웹사이트(300), 사업자 단말(310), 인터넷(320), 사용자 단말(330), 웹서버(340), 네트워크 서버(350), 이음 서비스 서버(36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3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330)은 인터넷(320)을 통해 웹사이트(300)에 접속하고, 상기 웹사이트(300)를 통해 각종 웹페이지 등의 인터넷 리소스들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이음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상기 이음 서비스를 위하여 웹서버(340), 네트워크 서버(350), 이음 서비스 서버(36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370) 등을 구축하게 된다. 상기 웹서버(340)는 상기 이음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가 사업자에게 접속할 때 각종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거나, 각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인터넷(320)을 통한 웹서비스를 제공해주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350)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 단말(330)에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330)의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각 웹사이트(300)의 각 서비스 사업자들과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각종 태그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태그를 관리하고, 저장된 태그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70)로부터 검색하여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70)는 각 사용자들이 생성한 태그 정보 및 태그와 관련된 각종 부가 정 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음 서비스 서버(36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본 발명에 따라 태그와 관련된 각종 이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실행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회원 관리 모듈(410), 이음 입출력 모듈(420),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 인터페이스 모듈(430) 및 템플릿(template) 모듈(4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원 관리 모듈(410)은 상기 이음 서비스를 회원제 형태로 운영할 경우, 해당 회원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태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원 관리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원 관리 모듈(410)은 회원 가입 처리부(411), 회원 인증 처리부(412), 회원 정보 관리부(413) 및 우수/불량 회원 관리부(41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 입출력 모듈(420)은 각 사용자들에 의한 태그 생성 및 태그 정보 요청시 제공되는 이음 페이지에 포함되는 각 항목들에 대한 입출력 정보들을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음 입출력 모듈(420)은 이음 관리부(421), 키워드 관리부(422), 이어진 페이지 관리부(423) 및 코멘트 관리부(42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XML 표준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사용자 단말(330)과 이음 서비스 서버(36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XML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할 경우 상호 간의 XML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XML 표 준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XML 스킴 정의부(431), 서버측 XML 변환부(432), 클라이언트측 XML 변환부(433) 및 XML 데이터 입출력 처리부(4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템플릿 모듈(440)은 각 사용자들에 태그 생성, 태그 정보 열람 및 추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제공되는 템플릿을 생성 또는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템플릿 모듈(440)은 이음 타입 관리부(441), 템플릿 타입 관리부(442), 스킨 관리부(443) 및 템플릿 생성부(44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 리소스에 부가하는 태그의 세부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종 인터넷 리소스에 부가되는 태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태그 정보들을 포함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확장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인터넷 리소스, 예컨대 웹페이지에 태그를 생성할 경우, 상기 태그 생성에 따른 별도의 태그 공간(이음 페이지)(5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각 사용자들은 상기 각 인터넷 리소스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태그 공간을 통해 각종 정보 획득 및 정보 제공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태그 공간(500)에는 상기 태그가 연결된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주제(510), 키워드(520), 의견(530) 및 관련 링크(540) 등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제(510)는 해당 인터넷 리소스 또는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해당 태 그의 주제를 나타내며, 상기 키워드(520)는 상기 태그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제(510) 또는 키워드(520) 영역은 태그를 생성하는 사용자가 태그 생성시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견(530) 영역은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접속하여 태그 정보를 확인한 각 사용자(550)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게재되는 공간이다. 상기 의견(530)의 공간을 통해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들(550)의 각종 정보들이 취합될 수 있으며, 회원 또는 비회원에 대해 어떠한 사용자도 열람 및 기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관련 링크(540) 영역은 상기 태그와 관련된 다른 태그 또는 다른 인터넷 리소스 등을 연결시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관련 링크(540) 영역을 통해 각종 다른 인터넷 리소스들(560, 570, 58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다른 인터넷 리소스들(560, 570, 580)에도 각각 하나 이상의 태그들(561, 562, 563)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련 링크(540) 영역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링크 정보들은 뉴스, 상거래, 콘텐츠 등의 어떠한 인터넷 리소스들이라도 가능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음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330)에서 웹사이트 서버(300)에 접속(S601)하게 되면, 상기 웹사이트 서버(300)로부터 웹페이지 정보 등과 같은 인터넷 리소스를 제공받게 된다(S602).
한편,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330)이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33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생성을 요청(S603)하게 된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상기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별도의 태그 공간, 즉 이음 페이지를 생성(S604)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이음 페이지를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330)에게 제공(S605)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330)은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부터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이음 페이지를 제공받고, 상기 이음 페이지의 각 정보 입력 영역에 상기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정보(예컨대, 주제, 키워드, 의견, 관련 링크 등)를 입력하여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전송(S606)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단말(330)이 입력한 태그 관련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607)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태그 정보들은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링크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 생성은 동일한 인터넷 리소스에 대해 복수 개의 생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서 생성된 태그를 열람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태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리소스에 부가된 태그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절차에 의해 생성된 각 태그들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동일 사용자 또는 다른 사 용자들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330)에서 웹사이트 서버(300)에 접속(S701)하게 되면, 상기 웹사이트 서버(300)로부터 웹페이지 정보 등과 같은 인터넷 리소스를 제공받게 된다(S702). 한편,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330)이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생성된 태그를 열람하고자 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33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해 기생성된 태그를 요청(S703)하게 된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태그가 있는지를 확인(S704)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태그가 존재할 경우, 상기 해당 태그 정보들 상기 요청한 사용자 단말(330)에게 제공(S705)하게 된다. 한편,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된 태그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태그 정보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330)에서는 상기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여 이음 페이지 창이 생성(S706)되며, 태그 정보가 각 영역별로 포함된 상기 이음 페이지 창을 통해 정보를 열람하거나, 각 영역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이음 페이지 창을 통해 새롭게 추가된 태그에 대한 각종 정보들은 다시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전송(S707)되며, 상기 태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상기 추가된 태그 정보를 해당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저장(S708)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 및 도 7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생성 및 태그 열람은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330)에 상기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툴바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태그를 생성 또는 열람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특정 웹페이지에서 상기 툴바의 태그 생성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태그 생성 정보가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전송되고, 자동으로 태그가 생성되며 이음 페이지 창을 생성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툴바를 이용한 이음 페이지 생성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 입출력부를 통해 특정 포스트 또는 블로그(또는 인터넷 카페)와 같은 인터넷 리소스에서 툴바를 통해 태그 생성을 클릭(S801)하게 되면, 태그 생성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툴바 기능부에서는 현재 페이지의 주소 정보(예컨대, URL 또는 URI)를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전송(S802)하게 된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에서는 상기 현재 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임시 태그 아이디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803)하게 되며, 해당 태그에 입력해야할 각종 정보로서 삽입할 정보에 대한 스크립트(script) 문자열(예컨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주소 식별 변수, 글 제목 식별 변수) 등의 정보를 상기 툴바 기능부로 전송(S804)하게 된다.
상기 툴바 기능부에서는 수신된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로 제공(S805)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에서는 표시된 스크립트를 확인하고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등록을 시도(S806)하고 등록 완료를 확인(S807)하게 된다. 한편, 상기 툴바 기능부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에 의한 포스트 완료가 검출(S808)되면, 블로거 ID 등과 같은 RSS 주소 식별값 및 글 제목 값 등의 정보를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전송(S809)하게 된다.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에서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RSS 문서를 파싱(parsing)(S810)하게 된다. 즉, 가장 최근 포스트의 제목(title), 링크(link), 설명(description)을 추출하고, 제목을 일치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는 이음 생성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로 전송(S811)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음 생성 페이지에는 상기에서 추출한 주제, URL(또는, URI), URL 설명 등의 정보를 디폴트(default)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에서는 상기 이음 생성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음 생성 팝업창을 확인(S812)한 후, 이음 생성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이음 생성 시도에 따라 이음 생성 요청 정보가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로 전송(S813)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360)에서는 상기 생성 요청에 따라 이음 정보를 생성(S814)하고, 이음 생성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로 제공(S815)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입출력부에서는 상기 이음 생성 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XM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음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음 페이지 생성 및 정보 교환을 위해 XML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즉, 공개 API 등과 같은 XML 공통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Common Interface Library)를 사용함으로써 RSS 2.0을 지원하고, 이음 서비스에 의한 태그를 지원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30)에서 입력된 정보는 클라이언트측 라이브러리(910)의 XML 전송부(911)를 통해 서버측 라이브러리(920)의 XML 파서(921)로 전송되고, 상기 XML 파서(921)에서 해석된 XML 문서는 이음 서비스 서버(360)의 데이터 입력 처리부(9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라 태그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330)이 기저장된 태그 정보를 열람하고자 할 경우, 상기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정보는 이음 서비스 서버(360)의 데이터 출력 처리부(940)를 통해 출력 처리되어 서버측 라이브러리(920)의 XML 전송부(922)로 제공된다. 상기 서버측 라이브러리(920)의 XML 전송부(922)에서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XML 문서로 구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처리부(910)의 XML 파서(912)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측 라이브러리(910)의 XML 파서(912)는 수신된 XML 문서의 구문을 해석하여 사용자 단말(330)로 출력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태그의 세부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각 인터넷 콘텐츠에 생성되는 태그 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태그 관련 정보의 종류에 따라 주제, 키워드, 의견, 관련 링크 등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태그 공간의 상단에 '김삼순 드라마 다시보기'와 같은 제목이 표시되며, 하단에는 '올리버스톤', '여리인터네셔널' 등과 같은 관련 키워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영역 하단에는 '이음말'과 같은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콘텐츠에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이 포스팅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음말 영역 하단에는 이어진 페이지 등을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해당 인터넷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태그 또는 다른 인터넷 콘텐츠들을 용이하게 찾아볼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어진 페이지 기능을 통해 정보의 무한대한 확산이 가능해지며, 웹사이트를 통한 콘텐츠 제공자에 의한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서 각 사용자들의 정보들과 해당 정보와 연관된 다른 정보들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가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태그에서 이어진 페이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동일한 주제와 연관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각각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태그들을 이어진 페이지로 연결시킴으로써 정보의 분류, 확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당 웹페이지를 방문한 다른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정보들을 용이하게 찾아가거나 보다 많은 양의 관련 정보들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월드컵에서의 붉은 악마의 응원'과 관련된 기사에 태그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검색 수가 높은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각 기사에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각 태그에 관련 기사 또는 관련 기사에 생성된 태그를 링크시킴으로써 관련 정보의 관리 및 분류 또는 확산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인터넷 리소스에 하나 이상의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 공간을 통해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콘텐츠에 접속하는 사용자들 간의 다양한 정보 공유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태그에 해당 웹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확장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태그 간의 링크를 통해 인터넷 리소스(예컨데, 웹페이지)들 간의 관계들이 형성됨으로써 정보의 확장 및 각종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인터넷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복수의 웹사이트 서버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 리소스를 제공받고,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생성을 요청하며,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대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태그를 열람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 입력을 위한 도구로서 이음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링크시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태그 정보 요청시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음 서비스를 회원제 형태로 운영할 경우, 해당 회원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태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원 관리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는 회원 관리 모듈;
    각 사용자들에 의한 태그 생성 및 태그 정보 요청시 제공되는 이음 페이지에 포함되는 각 항목들에 대한 입출력 정보들을 관리하는 이음 입출력 모듈;
    사용자 단말과 이음 서비스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XML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할 경우 상호 간의 XML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XML 표준 인터페이스 모듈; 및
    각 사용자들에 태그 생성, 태그 정보 열람 및 추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제공되는 템플릿을 생성 또는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템플릿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태그를 설정한 인터넷 리소스의 주소 정보와 함께 링크시켜 저장하는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리소스의 주소 정보는 URI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리소스는,
    웹페이지, 기사, 블로그, 클럽, 음악, 동영상, 서비스 및 사용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주제, 키워드, 의견 및 관련 링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사용자 단말에게 태그 생성을 위한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하 고, 상기 각 웹사이트 서버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 생성을 위한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태그가 부가된 인터넷 리소스에 접속할 때,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태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사용자 단말의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서의 태그 생성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 입력을 위한 도구로서 이음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제공된 이음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해당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해당 인터넷 콘텐츠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서의 태그 정보 요청시 해당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음 서비스를 회원제 형태로 운영할 경우, 해당 회원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태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원 관리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는 회원 관리 모듈;
    각 사용자들에 의한 태그 생성 및 태그 정보 요청시 제공되는 이음 페이지에 포함되는 각 항목들에 대한 입출력 정보들을 관리하는 이음 입출력 모듈;
    사용자 단말과 이음 서비스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XML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할 경우 상호 간의 XML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XML 표준 인터페이스 모듈; 및
    각 사용자들에 태그 생성, 태그 정보 열람 및 추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제공되는 템플릿을 생성 또는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템플릿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력된 태그와 관련된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태그를 설정한 인터넷 리소스의 주소 정보와 함께 링크시켜 저장하는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리소스의 주소 정보는 URI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리소스는,
    웹페이지, 기사, 블로그, 클럽, 음악, 동영상, 서비스 및 사용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해당 인터넷 리소스와 관련된 주제, 키워드, 의견 및 관련 링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각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 생성을 위한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태그가 부가된 인터넷 리소스에 접속할 때, 상기 인터넷 리소스에 링크된 태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이음 서비스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50117202A 2005-12-02 2005-12-02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26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02A KR101267912B1 (ko) 2005-12-02 2005-12-02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CT/KR2006/005158 WO2007064174A1 (en) 2005-12-02 2006-12-01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ared information by connecting a tag to the internet resour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02A KR101267912B1 (ko) 2005-12-02 2005-12-02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78A KR20070057578A (ko) 2007-06-07
KR101267912B1 true KR101267912B1 (ko) 2013-05-27

Family

ID=3809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202A KR101267912B1 (ko) 2005-12-02 2005-12-02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7912B1 (ko)
WO (1) WO2007064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9272B2 (en) * 2007-01-22 2014-05-06 Jook, Inc. Sharing of audio files and selected information including tagging information
US8397168B2 (en) 2008-04-05 2013-03-12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Interfacing with a spatial virtual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1340463B (zh) * 2008-08-22 2012-04-25 深圳市迅雷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网络资源类型的方法和装置
CN101504649B (zh) * 2008-11-14 2011-11-3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页面资源的处理方法及装置
US10356136B2 (en) 2012-10-19 2019-07-16 Sococo, Inc. Bridging physical and virtual spaces
US9065874B2 (en) 2009-01-15 2015-06-23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Persistent network resource and virtual area associations for realtime collaboration
CN102567932A (zh) * 2010-12-30 2012-07-11 北京亿阳信通软件研究院有限公司 综合资源管理方法、装置和系统
CN102789494B (zh) * 2012-07-11 2015-08-05 深圳市宜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互联网资源去重的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522B1 (en) * 1998-05-15 2001-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rching and conditionally serving bookmark sets based on keywords
US6976210B1 (en) * 1999-08-31 2005-12-1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eb-site-independent personalization from multiple sites having user-determined extraction functionality
KR100373690B1 (ko) * 2000-05-25 2003-02-26 김광철 인터넷을 이용한 북마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210145A1 (en) * 2000-07-24 2005-09-22 Vivcom, Inc. Delivering and processing multimedia bookmark
KR20060001554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북마크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78A (ko) 2007-06-07
WO2007064174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853B2 (en) Personalized network searching
US7289983B2 (en) Personalized indexing and searching for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system
US7865494B2 (en) Personalized indexing and searching for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system
US91914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or maintaining a personalized trusted social network
US84787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based on publisher-selected labels
US87450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guided search navigation
US83121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bulk web domain generation and management
KR1011687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아이피 기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 지능형 심볼, 아이콘 인터넷 정보 검색시스템
KR101267912B1 (ko) 인터넷 리소스에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0701624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earchable user-created blog content
US11386169B1 (en) Navigation through a collection of electronic documents
US20070162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obile device to create and access searchable user-created content
US20080040389A1 (en) Landing page identification, tagging and host matching for a mobile application
US20090019037A1 (en) Highlighting results in the results page based on levels of trust
JP2010508579A (ja) マクロを使用する個別化検索
JP200723385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54869B2 (en) Providing an interface to browse links or redirects to a particular webpage
JP2010257453A (ja) サーチクエリデータを用いて文書にタグ付けするシステム
US20090070689A1 (en) Method for alarming the update of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KR101267918B1 (ko) 인터넷 리소스에 연결된 태그 정보에 관한 검색 결과를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060116992A1 (en) Internet search environment number system
US8131752B2 (en) Breaking documents
KR101267915B1 (ko) 인터넷 리소스에 연결된 태그 정보에 관한 개인 로그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7207202A (ja) ウェブログを利用した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90095939A (ko) 검색결과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