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729B1 - 평면형음극선관 - Google Patents

평면형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729B1
KR100268729B1 KR1019970068877A KR19970068877A KR100268729B1 KR 100268729 B1 KR100268729 B1 KR 100268729B1 KR 1019970068877 A KR1019970068877 A KR 1019970068877A KR 19970068877 A KR19970068877 A KR 19970068877A KR 100268729 B1 KR100268729 B1 KR 10026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panel
fla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872A (ko
Inventor
허태원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7006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7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01J29/862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of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26Fram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평면형 음극선관을 개시한다. 이 평면형 음극선관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스크린면을 가지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스터드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스터드핀과 결합되는 훅부재에 의해 패널의 내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스크린면측 단부에 설치되는 평면상의 텐션마스크를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을 포함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텐션 마스크의 장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평면형 음극선관{Flat CRT}
본 발명은 평면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섀도우마스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평면형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형광막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하여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 형광막을 여기시켜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은 스크린면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이 평향요오크에 의해 편향시 전자빔의 편향궤적을 감안하여 소정의 곡율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섀도우마스크 스크린면의 곡율과 대응되는 곡율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은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 즉, 열전자에 의해 섀도우마스크가 가열되어 패널측으로 부푸러 오르는 도밍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도밍현상은 전자빔이 형광막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는 원인이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면에 소정의 곡율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시야각이 좁아지고 스크면의 가장자리에서 화상이 왜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면을 평면상으로 형성한 평면형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을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섀도우마스크에 소정의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로 패널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패널은 전자총과 편향요오크가 장착된 펀넬과 고정된다.
도 1에는 이러한 평판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평판형 패널에 섀도우마스크가 장착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패널에 대한 텐션 마스크(tension mask)의 지지구조는 미국특허 4,900,977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11a)가 형성된 패널(11)에 서포트 밴드(12)가 장착되고, 이 서포트의 단부에는 텐션 마스크(13)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11)에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는 것은 패널(11)의 가장자리에 단차진 실링부(11a)를 형성하여야 하며 패널(11)에 대한 서포트 밴드의 장착상태에 따라 섀도우마스크와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 사이의 간격(이하 Q치라 약칭함)의 변화가 심하다. 또한 섀도우마스크가 소정의 장력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섀도우마스크의 열팽창에 따른 Q치의 변화를 완전히 흡수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평판 섀도우마스크의 장착이 용이하고 평판 섀도우마스크의 열팽창에 따른 Q치의 조정이 용이한 평판형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가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면형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1; 패널 30;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32; 프레임 33; 텐션 마스크
40; 펀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평면형 음극선관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스크린면을 가지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스터드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스터드핀과 결합되는 훅부재에 의해 패널의 내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의 스크린면측 단부에 설치되는 평판상의 텐션마스크를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평면형 음극선관의 다른 특징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스크린면을 가지는 평판패널과; 상기 평판패널과 봉착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스터드 핀이 설치되는 펀넬과; 상기 스터드핀과 결합되는 훅부재에 의해 펀널의 내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의 스크린면측 단부에 설치되는 평판상의 텐션마스크를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음극선관은 스크린면과, 이 스크린면에 형성된 형광막에 전자빔을 정확하게 랜딩될 수 있도록하는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즉, 텐션 마스크가 평면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형광막(21b)이 형성된 평판상의 스크린면(21a)을 가지는 패널(21)과, 이 패널(21)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스터드 핀(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21)의 내면에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가 상기 형광막(21b)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는 외주면에 상기 스터드 핀(22)과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31)이 장착된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텐션 마스크(33)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 마스크(33)는 평판상의 포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2)의 형광막측 단부에는 프렌지부(32a)가 형성되어 텐션 마스크(33)의 가장자리가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부(32a)에 대한 텐션 마스크(33)의 고정시 프레임에 장착된 텐션마스크(33)에 인장력이 가하여 지도록 한다.
상기 텐션 마스크의 인장력은 텐션 마스크(33)를 프레임에 장착시 음극선관의 작동으로 텐션 마스크에 가하여지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열팽창시킨 후 프레임(32)를 플랜지부(32a)고정하고, 이를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텐션 마스크(33)의 인장력은 프레임(32)을 이 프레임(32)의 탄성변형 영역내에서 내측방향으로 압축변형 한 후 텐션 마스크(33)의 프레임에 고정하고 원위치로 복원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마스크(33)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플랜지부(32a)에 대한 텐션 마스크(33)의 고정은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텐션 마스크(33)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경우 텐션 마스크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에 시임 용접(seam welding) 또는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스터드핀(22)과 프레임은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바이메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널은 펀넬(40)과 봉착되는데, 상기 펀넬(40)의 네크부(41) 내부에는 전자총(도시되지 않음)이 봉입되고 상기 펀넬(40)의 콘부에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형광막의 주사위치로 주사시키기 위한 편향요오크(43)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51)이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51)과 결합되는 펀넬(52)의 내면에 스터드 핀(53)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의 스프링(31)이 상기 스터드 핀(53)과 결합됨으로써 펀넬(52)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음극선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은 펀넬에 설치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요오크에 의해 편향되어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 형광막을 여기시켜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은 텐션 마스크(33)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33a)을 모두 통과하지 못하고 15 내지 30% 정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빔 통과공(33b)을 통과하지 못한 전자빔 즉, 열전자는 텐션 마스크(33)를 가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마스크(33)는 열전자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열팽창되는데, 이 열팽창량은 텐션 마스크가 인장된 상태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열팽창량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 마스크(33)의 열팽창량이 상대적으로커 흡수하지 못하는 량은 상기 프레임이 열팽창되면서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텐션 마스크와 프레임에 의한 텐션마스크의 열팽창량을 흡수함으로써 텐션 마스크와 형광막 사이의 간격인 Q치의 변화는 없으나 프레임의 과팽창에 의한 Q치의 변화는 상기 스터드 핀과 결합되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를 지지하는 스프링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은 바이메탈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이 열팽창됨에 따라 열전됨으로써 변형되어 바이메탈로 구성된 스프링의 설치상태에 따라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이동시켜 Q치를 보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마스크 프레임 조리체에 있어서 텐션 마스크를 프레임에 장착하여 패널의 내면 또는 펀넬의 내면에 고정하게 되므로 텐션 마스크의 장착에 따른 구조 및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둘째; 텐션 마스크을 프레임의 플랜지부에 고정하게 되므로 장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종래 음극선관의 구조를 크게 설계변경하지 않고 평면형 음극선관의 제작이 가능하다.
넷째;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다섯째;Q치의 조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드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평면상으로 형성된 스크린면을 가지는 평판패널과;
    상기 평판패널과 봉착되며 내측면에 복수개의 스터드 핀이 설치되는 펀넬과;
    상기 스터드핀과 결합되는 훅부재에 의해 펀의 내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의 스크린면측 단부에 설치되는 평판상의 텐션마스크를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형광막측 단부에 텐션 마스크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텐션마스크가 소정의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
KR1019970068877A 1997-12-15 1997-12-15 평면형음극선관 KR10026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877A KR100268729B1 (ko) 1997-12-15 1997-12-15 평면형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877A KR100268729B1 (ko) 1997-12-15 1997-12-15 평면형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872A KR19990049872A (ko) 1999-07-05
KR100268729B1 true KR100268729B1 (ko) 2000-10-16

Family

ID=1952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877A KR100268729B1 (ko) 1997-12-15 1997-12-15 평면형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75B1 (ko) * 2000-12-27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872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7307A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H0463501B2 (ko)
KR100268729B1 (ko) 평면형음극선관
US473921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hadow mask mounted under compressive stress in a support frame
KR100268730B1 (ko) 평면형음극선관
JP2820885B2 (ja) 陰極線管用ゲッタの固定装置
KR100319085B1 (ko) 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의훅스프링및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KR100206268B1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열변형보상방법 및 이에 따른 새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JP4037364B2 (ja) ディテンショニングマスク支持フレームを有する陰極線管
KR9500035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98411B1 (ko)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KR100472516B1 (ko) 음극선관
JPH0729505A (ja) カラー陰極線管のシャドウマスク
KR100226162B1 (ko) 칼라브라운관의마스크프레임및그제조방법
KR20000054916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KR10041803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KR10018657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코너스프링
KR10074105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2206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207595Y1 (ko) 칼라수상관의 그릴/섀도우마스크 프레임장치
KR930006845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JPS62229732A (ja) カラ−受像管の製造方法
JPS5934046Y2 (ja) シヤドウマスク支持構体
US20050057140A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2001118525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