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411B1 -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411B1
KR100298411B1 KR1019990013377A KR19990013377A KR100298411B1 KR 100298411 B1 KR100298411 B1 KR 100298411B1 KR 1019990013377 A KR1019990013377 A KR 1019990013377A KR 19990013377 A KR19990013377 A KR 19990013377A KR 100298411 B1 KR100298411 B1 KR 10029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crt
panel
shadow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352A (ko
Inventor
윤태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411B1/ko
Priority to US09/549,522 priority patent/US6472807B1/en
Priority to CNB001088882A priority patent/CN1146945C/zh
Publication of KR2000006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부분 즉, 프레임의 단변측, 장변측, 모서리측 높이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각 구성부분간의 연관관계를 제시하여 도밍, 하울링, 지자계의 영향으로부터 안정적인 브라운관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그 설계가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자빔(5)의 색선별 역할을 하도록 슬릿(9a)이 무수히 형성됨과 함께 그 외곽을 따라 스커트부(9b)가 절곡 형성된 섀도우마스크(9)와,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패널(1)의 내부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스터드핀(3)에 끼워진 상태로써 장변측(81)과 단변측(82) 및 모서리측(83)으로 이루어진 직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80)을 구비한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80)의 장변측(81) 높이( { H}_{1 } )를 (0.8∼0.9)×(스터드핀(3)의 중앙에서부터 패널(1)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 { h}_{p } ))의 범위대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82) 및 모서리측(83) 높이( { H}_{2 } )( { H}_{3 } )를 (0.7∼0.85)×(프레임(80)의 장변측(81) 높이( { H}_{1 } ))의 범위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structure for frame in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운관의 패널에 장착되는 섀도우마스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기에 사용되는 칼라브라운관은 영상신호에 의해 적(Red), 녹(Green), 청색(Blue)의 형광체를 발광시켜 칼라화면을 재현시키는 것으로써 그 기본적인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에 패널(Panel)(1)에 펀넬(Funnel)(2)이 융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1)의 내면에는 스터드핀(Stud Pin)(3)이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적, 녹, 청의 스트라이프(Strip) 또는 도트(Dot)형상의 형광체층이 형성된 형광면(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펀넬(2)의 외측면에는 전자빔(5)의 편향을 위하여 편향요크(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펀넬(2) 내부에는 진공상태에서 가열원인 히터에 의해 음극을 가열하여 전자를 방사시키는 전자총(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널(1)의 내부에는 섀도우마스크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는 장방형틀로 이루어진 프레임(8)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써 패널(1)과 일정 간격이 유지됨과 함께 전자빔(5)의 색선별 역할을 하도록 슬릿(slit)(9a)이 무수히 형성된 섀도우마스크(9)와, 그 일측이 상기 프레임(8)의 외측면 각 모서리에 고정됨과 함께 다른 일측은 패널(1)의 내면에 장착된 스터드핀(3)과 결합된 상태로써 프레임(8)을 패널(1)의 내측에 지지하는 스프링(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그 내측으로 절곡된 비드(8a)가 형성되어 섀도우마스크(9)의 스커트부(9b)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 각 모서리에는 평면으로 된 평탄부(8b)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스프링(10)과의 결합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후측면에는 외부 지자계나 누설자계에 의해 전자빔(5)의 경로가 도중에 변형되지 않도록 인너실드(11)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펀넬(2)의 네크부(12)에 봉입되어 있는 전자총(7)으로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총의 캐소드(도시는 생략함)로부터 전자빔(5)이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빔은 전자총의 각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제어, 가속, 집속된 다음 편향요크(6)의 정자계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궤도가 수정된 상태로 섀도우마스크(9)를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를 발광시키므로써 화상이 재현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브라운관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섀도우마스크 조립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 특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첫째, 브라운관 동작시 전자빔(5) 충격에 의한 섀도우마스크 조립체의 온도상승에 의해 각 구성부품의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섀도우마스크에 충돌하는 전자빔(5)에 의해 섀도우마스크(9)가 열팽창됨을 감안한다면 상기와 같은 열팽창에 의해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위치가 변형됨으로써 결국, 스크린에 이상을 유발시키는 도밍 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열팽창율을 낮추어야 한다.
둘째, 장방형의 프레임(8)이 패널(1)의 내측에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충격 또는 브라운관의 동작시 스피커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섀도우마스크(9)가 떨리게 되는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하울링에 의해 섀도우마스크(9)의 색선별 기능이 저하되어 화면에 어두운 줄무늬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8)이 패널(1)의 내측 적정위치에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브라운관이 동작되는 방향에 따른 지자계에 의한 랜딩의 변화가 작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총(7)의 캐소드(도시는 생략함)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5)은 최초 조정된 방출각도를 정확히 유지한 상태로써 섀도우마스크(9)의 각 슬릿(9a)을 통과하여야 하나 외부 자계의 영향을 받게 되면 상기 전자빔의 경로가 변화되어 정확한 위치에 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화면상태가 깨끗이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랜딩의 변화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 자계의 차폐를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브라운관의 각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섀도우마스크(9)와 프레임(8)의 재질, 스프링(10)의 재질 및 형상, 인너실드(11)의 재질 및 형상등을 적절히 변형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섀도우마스크(9)의 열팽창에 따른 도밍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재질을 인바합금으로써 사용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바합금의 열팽창계수가 극히 낮은 약인36Ni-Fe합금으로 구성함으로써 열팽창에 따른 섀도우마스크(9)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임(8)의 재질이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철로된 금속임을 감안한다면 열에 의한 섀도우마스크(9)의 변형이 극히 적게 이루어지더라도 프레임(8)의 변형이 심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재질 역시 인바합금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기 인바합금의 원가가 상당히 상승하게 되므로써 종래에는 단지, 패널(1) 내부에 프레임(8)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10)의 구조(혹은 형상)를 변경하여 부정합현상을 감소시키고 있다.
즉, 상기 스프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8)의 지지역할 뿐만 아니라 섀도우마스크(9)의 부정합현상까지도 고려된 상태로 제작되어야 함으로 그 설계상의 곤란함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프레임(8)의 후측에서부터 패널(1)의 내측을 따라 인너실드(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너실드 내의 중앙측 자속밀도와 외측의 자속밀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외부 자계의 차폐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종래 프레임(8)은 그 크기가 패널(1)에 비해 대체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 즉, 전자빔(5)이 통과하는 측이 좁아 상기 전자빔의 통과시 프레임(8)의 중앙부분에서 이루어지는 자계밀도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외곽측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자계밀도가 서로 비슷하게 되어 자기차폐의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8)의 낮은 높이에 의해 자속이 인너실드(11)의 장, 단변부 및 코너부로 밀집되지 못하게 되어 패널(1)의 내부 중앙측과 외측과의 자속밀도가 거의 유사되고, 상기와 같이 자속밀도의 차이가 거의 없음에 따라 외부 자계에 의한 경로변화가 감소되지 못하여 결국, 외부 자계의 차폐효과가 급격히 저하되어 전자빔의 랜딩변화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 및 현재 브라운관이 점차적으로 평면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한다면 섀도우마스크, 스프링, 인너실드의 재질 혹은 그 형상의 변화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브라운관의 각 특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게 된다.
즉, 기존의 프레임은 그 체적이 적음에 따라 전자빔에 의한 온도 상승폭이 커지게 되었고, 그 높이의 낮음에 의해 패널의 평면화에 대응하는 섀도우마스크의 외곽을 충분히 감싸지 못하기 때문에 제조상 또는 브라운관의 동작시 섀도우마스크의 변형정도가 커지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의 낮은 높이는 ??널과 섀도우마스크 사이의 공간에서 그 차폐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랜딩 변화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볼 때 브라운관이 평면화됨에 따라 패널 내면의 곡률이 기존의 패널 곡률에 비하여 커짐에 따라 방향회전시 지자계에 의한 변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높이가 높을수록 특성 향상을 이룰 수 있으나, 단순히 전체적인 프레임의 높이를 패널의 증가와 함께 높이게 된다면 이는 도밍과 하울링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다시 유발시키게 됨에 따라 결국은 전체적인 변형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형상이 브라운관의 각 특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최적화 함으로써 도밍, 하울링, 지자계의 영향으로부터 안정적인 브라운관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와 같은 프레임의 구성을 원활히 설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각 부분 관계를 명확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도 2 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는 도 4의 Ⅰ-Ⅰ선 확대단면도
도 5b 는 도 4의 Ⅱ-Ⅱ선 확대단면도
도 5c 는 도 4의 Ⅲ-Ⅲ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80. 프레임 81. 장변측
82. 단변측 83. 모서리측
84. 비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자빔의 색선별 역할을 하도록 슬릿이 무수히 형성됨과 함께 그 외곽을 따라 스커트부가 절곡 형성된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패널의 내부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스터드 핀에 끼워진 상태로써 장변측과 단변측으로 이루어진 직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을 구비한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측 높이를 (0.8∼0.9)×(스터드핀의 중앙에서부터 패널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의 범위대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 및 모서리측 높이를 (0.7∼0.85)×(프레임의 장변측 높이)의 범위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로 하여 더욱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는 도 4의 Ⅰ-Ⅰ선 확대단면도이며, 도 5b 는 도 4의 Ⅱ-Ⅱ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5c 는 도 4의 Ⅲ-Ⅲ선 확대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중 일부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프레임이 가져야 하는 각 특성을 고려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
즉, 기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운관의 동작시 전자빔(5) 충격에 의한 프레임(80)의 온도 상승에 의해 열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전자빔(5)의 투과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하고, 외부 충격 혹은 스피커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한 섀도우마스크(9)의 떨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체적인 위치가 패널(1)의 내측에 항상 정해진 위치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브라운관이 동작되는 지역과 방향에 따른 지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랜딩 변화가 적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프레임(80)의 용적을 크게 하고, 또한 이와 같은 프레임(80)의 크기 변화로 인한 보강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비드(84) 역시 개선하였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각 부분 크기에 대한 설계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즉, 실제의 측정을 통해 검증한 결과로써 상기와 같은 최적설계가 이루어질수 있게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레임(80)의 장변측(81) 높이( { H}_{1 } )를 (0.8∼0.9)×(스터드핀(3)의 중앙에서부터 패널(1)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 { h}_{p } ))의 범위대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82) 및 모서리측(83) 높이( { H}_{2 } )( { H}_{3 } )를 (0.7∼0.85)×(프레임(80)의 장변측(81) 높이( { H}_{1 } ))의 범위대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82) 높이( { H}_{2 } )는 (0.6∼0.7)×(스터드핀(3)의 중앙에서부터 패널(1)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 { h}_{p } ))의 범위대로 형성함으로써 개별적인 높이의 적용이 가능하고, 프레임(80)의 모서리측(83) 높이( { H}_{3 } )는 (0.55∼0.7)×(스터드핀(3)의 중앙에서부터 패널(1)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 { h}_{p } ))의 범위대로 형성함으로써 개별적인 높이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80)의 장변측(81) 내측에 그 높이( { H}_{4 } )가 (0.3∼0.5)×(프레임(80)의 장변측(83) 높이)의 범위대를 이룸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82) 내측에 그 높이( { H}_{5 } )가 (0.2∼0.4)×(프레임(80)의 단변측(82) 높이)의 범위대를 이루는 비드(84)를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프레임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졌음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구성하는 각 부분 즉, 장변측(81), 단변측(82), 모서리측(83)의 높이가 각각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상의 차이는 아래와 같은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1.
항목 본 발명 종래
모서리측 높이(㎜) 50 40.10
장변측 높이(㎜) 70.5 66.74
단변측 높이(㎜) 57 42.87
표 2.
항 목 본 발명 종래
비드의 장변측 중앙부분 높이(㎜) 25 20
폭(㎜) 15 12
길이(㎜) 65 62
비드의 단변측 중앙 부분 높이(㎜) 15 10
폭(㎜) 14 9
길이(㎜) 65 60
상기에서 표 1은 프레임의 형상중 각 부분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비드의 형상중 각 부분의 높이와 폭 및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개선된 프레임의 특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프레임(80)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열량에 비하여 상승하는 온도는 낮게 된다.
이 결과, 프레임(80)의 열팽창량이 적어짐에 따라 랜딩변화량이 감소된다.
즉, 프레임(80)의 열팽창량 감소로 인해 섀도우마스크(9)가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받는 팽창량 역시 적어지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랜딩변화량 즉, 전자빔(5)의 선택 투과 위치의 변화량이 감소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도밍시 랜딩 변화량을 나타낸 표 3에 의해 확연히 알 수 있다.
표 3.
위치 본 발명 종래 기술
최대 안정화 최대 안정화
도밍부 12㎛ 0㎛ 22㎛ -9㎛
장축 끝단 7㎛ 3㎛ 17㎛ -2㎛
모서리부 7㎛ 6㎛ 16㎛ -6㎛
즉, 전술한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80)의 형상을 최적화시킴에 따라 랜딩의 변화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전술한 바와 같이 개선된 프레임(80)의 비드(84) 역시 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섀도우마스크(9)의 떨림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이나 브라운관의 동작시 스피커를 통해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섀도우마스크가 떨리게 되며, 이는 더욱 보완된 구조를 갖는 비드(84)에 의해 그 현상(섀도우마스크의 떨림현상)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섀도우마스크(9)의 스커트부(9b)와 접촉하는 비드(84)의 접촉면적을 더욱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전제적인 지지가 더욱 안전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프레임(8)의 전체 크기가 커질 경우 비드(8a) 역시 상기 프레임에 비례하여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80)의 특성이 저하된 만큼 그 크기를 변형하여 전체적인 특성을 보완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드(84)의 크기는 동일한 조건일 때의 종래 일반적으로형성하였던 비드(8a)의 크기보다 크다는 것을 표 2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정치에 따라 섀도우마스크(9)와 프레임(80)간의 접촉범위가 클수록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하울링 현상이 더욱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프레임(80)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높이( { H}_{1 } )( { H}_{2 } )( { H}_{3 } )가 증가됨에 따라 지자계에 의한 랜딩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의해 프레임의 각 부분 높이( { H}_{1 } )( { H}_{2 } )( { H}_{3 } )를 높일 수 있게 됨에 따라 패널(1)과 프레임(80) 사이의 전체적인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분은 넓어지게 되어 상기 프레임(80)의 중앙부분에서는 자기밀도가 감소됨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내부 외곽 부분에서는 자기밀도가 집중될 수 있게 됨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지자계에 의한 랜딩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자기차폐는 인너실드(11)에 의해 변화되지만 본 발명과 같은 구성에서는 프레임(80)의 위치만 변화시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자기차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표 4에 나타낸 결과치를 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표 4.
본 발명 종래 기술
소자시 빔의 이동량(MAX) 동→서 : 25㎛ 동→서 : 42㎛
상기 표 4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을 소자시 전자빔의 최대 변형량으로 비교한 것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였을 경우 17㎛정도 그 변형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빔의 변형량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에 의해 지자계를 차폐하는 효과를 증대시킴에 따라 상기 전자빔의 랜딩 변화를 감소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어 결국, 화면의 떨림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프레임은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분의 형상 및 높이가 제시한 바와 같은 각 범위대의 높이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단순히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드의 형상(높이) 혹은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변과 모서리측의 높이만을 본 발명에서 제시한 관계식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체적인 크기 증가시 브라운관의 각 특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높이를 최적의 상태로 설계함에 따라 도밍, 하울링, 지자계의 영향으로부터 안정적인 브라운관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프레임의 설계치를 브라운관을 구성하는 타 부분과의 연관관계를 고려한 일정 범위로 지정함으로써 그 설계가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 역시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전자빔의 색선별 역할을 하도록 슬릿이 무수히 형성됨과 함께 그 외곽을 따라 스커트부가 절곡 형성된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패널의 내부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스터드 핀에 끼워진 상태로써 장변측과 단변측으로 이루어진 직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을 구비한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측 높이를 (0.8∼0.9)×(스터드핀의 중앙에서부터 패널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의 범위대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 및 모서리측 높이를 (0.7∼0.85)×(프레임의 장변측 높이)의 범위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단변측 높이는 (0.6∼0.7)×(스터드핀의 중앙에서부터 패널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의 범위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모서리측 높이는 (0.55∼0.7)×(스터드핀의 중앙에서부터 패널의 내면 중앙점까지의 높이)의 범위대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장변측 내측에 그 높이가 (0.3∼0.5)×(장변측 프레임의 높이)의 범위대를 이룸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 내측에 그 높이가 (0.2∼0.4)×(단변측 프레임의 높이)의 범위대를 이루는 비드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KR1019990013377A 1999-04-15 1999-04-15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KR10029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377A KR100298411B1 (ko) 1999-04-15 1999-04-15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US09/549,522 US6472807B1 (en) 1999-04-15 2000-04-14 Braun tube frame having long and short sides of a specified height
CNB001088882A CN1146945C (zh) 1999-04-15 2000-04-15 布老恩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377A KR100298411B1 (ko) 1999-04-15 1999-04-15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352A KR20000066352A (ko) 2000-11-15
KR100298411B1 true KR100298411B1 (ko) 2002-03-02

Family

ID=1958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377A KR100298411B1 (ko) 1999-04-15 1999-04-15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72807B1 (ko)
KR (1) KR100298411B1 (ko)
CN (1) CN114694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364B1 (ko) * 2000-05-17 2002-06-03 구자홍 인장 마스크 어셈블리
KR100460779B1 (ko) * 2002-03-05 2004-12-0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평면형 음극선관
US6879094B2 (en) 2002-05-29 2005-04-12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Mask frame for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490A (en) * 1985-02-28 1986-11-11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with an internal magnetic shield
JPH06187918A (ja) * 1992-12-16 1994-07-08 Sony Corp 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
US5554909A (en) * 1994-05-06 1996-09-1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One dimensional tension mask-frame assembly for CRT
JPH08124493A (ja) * 1994-10-25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用色選別電極構体
US5742116A (en) * 1994-10-28 1998-04-21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Shadow mask frame structure with long-sides having higher mechanical strength
JP3536960B2 (ja) * 1997-03-11 2004-06-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KR100428968B1 (ko) * 1997-07-04 2004-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046535A (en) * 1997-07-30 2000-04-04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Shadow mask frame assembly for a cathode ray tube
KR100244233B1 (en) * 1997-12-03 2000-02-01 Lg Electronics Inc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00123752A (ja) * 1998-10-20 2000-04-28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72807B1 (en) 2002-10-29
CN1273431A (zh) 2000-11-15
KR20000066352A (ko) 2000-11-15
CN1146945C (zh)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411B1 (ko)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US4886997A (en) Color picture tube with shadow mask support assembly
JPH07226167A (ja) シャドウマスク形カラー陰極線管
US6288480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19085B1 (ko) 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의훅스프링및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US6020680A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22925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KR20030071842A (ko) 컴플라이언트 장력 마스크 어셈블리
KR20060034296A (ko) 음극선관용 프레임/마스크 조립체
US6211609B1 (en) Corner spring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596231B1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프링
US4524298A (en) Color cathode ray tube incorporating improved thermal compensation type aperture mask supporting means
JP2003346677A (ja) 陰極線管用マスクフレーム
US7187113B2 (en) Color cathode ray tube correcting beam landing errors
US7105995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930009359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EP1306875A2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JPH0721932A (ja) カラー陰極線管
US7199512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40043791A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192440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524861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KR200258238Y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US6885141B2 (en) Shadow mask having slotted skirt portion
US20050057141A1 (en) Color cathode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