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163B1 - 래크에 설치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 Google Patents

래크에 설치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163B1
KR100267163B1 KR1019920018568A KR920018568A KR100267163B1 KR 100267163 B1 KR100267163 B1 KR 100267163B1 KR 1019920018568 A KR1019920018568 A KR 1019920018568A KR 920018568 A KR920018568 A KR 920018568A KR 100267163 B1 KR100267163 B1 KR 10026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enclosure
chassis
pane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427A (ko
Inventor
제임스 반센트 글렌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 엠. 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 엠. 킹 filed Critical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Publication of KR93001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1Draw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1/00Sheets, panel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proportions; Constructions comprising assemblies of such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Abstract

적어도 일방향의 치수가 같은 방향의 인클로우져 지지래크의 입구 구멍보다 크고, 섀시가 래크에 설치된 후 수용된 장치가 이동될 수 있는 부가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는 래크에 수용되는 공간의 전면 경제부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래크에 설치될 수 있는 강성 판넬로부터 형성되고, 전면 판넬뒤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마주하는 인클로우져 판넬 부재를 가지며, 탄성 판넬 부재의 최외곽의 마주하는 표면 사이의 최대 크기는 인클로우져가 래크내에 위치하기 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나란한 래크 인클로우져부의 입구 구멍 너비를 초과하며, 인클로우져가 래크 내로 들어갈 때 래크의 관련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탄성벽 부재가 내부로 굴곡되고, 관련 래크부와 벽 부재 사이의 접촉이 제거될을 때 상기 벽 부재가 정상 위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크에 설치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쌍의 탄성 측면 판넬을 사용하는 섀시 인클로우져(chassis enclosure)의 사시도.
제1(a)도는 제1도의 화살표 1a-1a의 위치에서 섀시 측면 판넬을 취한 부분 단면도.
제1(b)도는 섀시 측면 판넬의 강성부의 평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섀시의 각각이 초기에 완전히 지지 래크(rack)구조 내로 들어가 있게 될 때 하나의 섀시 인클로우져 측면 판넬과 지지 래크의 일부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섀시 인클로우져 11a:전면 판넬
11b:후면 판넬 11c:상부 부재
11d:바닥 부재 12:핸들 수단
18:래크 수단 20′:래크 홀
본 발명은 래크-판넬형 설비 인클로우져, 특히 래크에 설치 가능하고 탄성 측면 판넬을 갖는 새로운 설비 인클로우져에 관한 것이다.
패키지(packaging)설계 분야에 있어서, 어떤 인클로우져의 형성 요소들은 종종 장치가 인클로우져 내에서 편안하게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없게 만들고 재설계가 가능할지라도 상기 설비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서야 요구되는 인클로우져내에 놓일 수 있다. 다른 상태에서는, 예를들면, 2입방피트를 필요로 하는 설비를 1입방 피트 콘테이너 내에 넣어야 하는 종래의 문제는 해결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서 결코 해결되지 않을 것처럼 보일지라도, 본인은 일정한 동적인 조작 장치라는 것을 이용하여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했는데 즉, 충격과 진동 자극하에서 래크에 설치가능한 형식의 섀시 인클로우져 내에서 설비의 운동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래크의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는 적어도 일방향의 치수가 같은 방향의 인클로우져 지지 래크의 입구 구멍보다 크며, 상기 섀시 래크에 설치된후 수용된 장치가 이동될 수 있는 빈공간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섀시 인클로우져는 래크의 수용 공간의 전면 경계부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래크에 설치되도록 된 강성 판넬과 전면 판넬뒤로 수직적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한쌍의 마주하는 인클로우져 판넬 부재를 포함하고, 탄성 판넬 부재의 최외곽의 마주하는 표면들 사이의 최대 치수는 인클로우져가 래크내에 위치하기 위해 통과해야하는 나란한 래크 인클로우져부의 입구 구멍 너비를 초과하며, 래크내에 인클로우져가 들어가는 동안, 래크의 관련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탄성 벽부재가 내부로 굴곡되고, 관련 래크부와 벽 부재 사이의 접촉이 제거되자 마자 원래의 위치로 벽부재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적으로 배열된 측면 판넬만이 탄성 부재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전면 판넬 평면에 대해 수직적이고 래크 판넬 구멍을 통과하는 전체 표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예: 하나 또는 양측면 및/또는 상부/하부 판넬)이 탄성 판넬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은 관련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된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더 잘 이해 될 것이다.
제1도, 제1(a)도 및 제1(b)도를 보면, 섀시 인클로우져(chassis enclosure)(10)는 상기 섀시가 설치될 특정한 래크(rack)에 의해 정해진 너비(W)를 갖는 강성 전면 판넬(11a)과 상기 전면 판넬과 이격되어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래크의 진입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작은 너비(W′<W)를 갖는 강성 후면 판넬(11b) 및 양호한 실시예로서, 각각 전면 및 후면 판넬(11a,11b) 사이에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및 바닥 부재(11c,11d)로 구성된다.ㅜ 벽(11a∼11d)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섀시 내부 공간의 폐쇄는 제1 및 제2측벽 판넬(11e,11f)에 의해 완성된다. 전면 판넬(11a)은 통상적으로 섀시를 운반하고 래크 수단(18)내로의 진입 구멍을 형성하는 측면 라이저(riger) 사이의 위치 내로 섀시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 수단(12)을 포함하며 또한 판넬은 래크 홀(20′)과 중심점이 맞춰져 이 홀을 통해 섀시를 래크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몇 개의 홀(20)을 포함한다. 공지된 래크와 판넬의 기계적 구조에서, 표준 판넬 너비(W)는 19인치(48.26cm)이고 표준 외부 섀시 치수(W′)는 17¼인치(43.82cm)와 거의 비슷하게 되어 EIA 표준 래크 수단(18)의 내부로 향하는 라이저 엣지 사이의 상기 간격 W′=17½인치(44.45cm)내에 공간을 허용하도록 한다. 측면 판넬 부재(11e/11f)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해, 약 17인치(43.18cm)의 내부 섀시 인클로우져가 제공된다.
내부 섀시의 최대 너브(예, 17인치(43.18cm)) 보다 작지만 근접한 크기의, 광학 디스크의 레코더와 같은 장치를 수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생각해 보자. 만약 상기 수용된 장치가 예를 들면 14인치(35.56cm)의 직경을 갖는다면, 상기 장치를 표준 래크 인클로우져 내에 끼워맞추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만약 전체 장치가 섀시 인클로우져의 최대 너비에 근접하는 치수 세트를 갖으면, 수분의 1인치만이 정적인 장치 및 가까운 내부 측벽 표면 사이에 남는다(예를 들면, 약 16¼인치(약 41.28cm)의 최대 너비를 갖는 장치는 수용된 장치의 각 측면과 수용 섀시의 가까운 측면 판넬 사이에 1/2인치(1.27cm)보다 적게 남긴다). 일반적으로 견고한 섀시 외막내에 요구되는 장치를 정적으로 위치시키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상기 수용된 장치가 큰 충격에 노출되고 진동 환경 조건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작동되야 한다면, 상기 수용된 장치는 섀시로부터 상기 장치 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줄이기 위해 섀시 외막 내의 분리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 섀시 내의 상기 장치 주위에 얼마간의 부가적 공간을 갖는 것이 요구되어 기계적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장치는 진동 차단 장치 상에서 부가적 측면 공간 내로 흔들릴 수 있다. 상기 장치 요동의 중요성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견고한 섀시 인클로우져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큰 공간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표준 섀시 인클로우져 내에 포함된 상기 장치는 요구된 최대 충격치를 경험할 때 상기 내부의 단단한 섀시벽과 접촉하며 이것은 적당한 조건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출원인은 섀시 인클로우져를 래크(rack)수단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킨후, 수용된 장치가 이동할 수 있는 부가적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했다. 각각의 측면 판넬(11e,11f)은 중앙 차단부(11h)(제16도)를 갖는 프레임 부재(11m)로 형성되며, 탄성 섀시 측면 부재(12)는 측면 프레임 부재 구멍(11h) 주위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구멍보다 약간 큰 크기 및 같은 형태를 갖는 주변부(12a)를 갖는다. 상기 부재의 탄성 측면부(12b)는 강성 부재 구멍(11h)과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이격되어 유지되고, 측벽부(12c)(제1(a)도)에 의해 구멍과 본질적으로 평행하다. 유지 프레임 부재(14)는 실질적으로 같은(직사각형의)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 측벽부재(11m)와 실질적으로 같은 내부 주변의 중앙 구멍(14h)을 갖는다. 상기 탄성 측면부재(12)의 주변부(12a)는 강성 프레임 부재(14)와 강성 측면부재(11m)사이에 샌드위치된 채로 다양한 고정 수단(너트와 볼트, 리벳과 같은)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 측면부재(12)는 성형 고무와 같은 것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적절한 공정(아교접착 및 죔쇠에 의한 조임같은)에 의해 상기 섀시 측면부재에 적절하게 고정된다.
탄성 측벽부재(12)는 섀시가 래크로 들어가 래크 측벽 라이저(18a)를 통과할때(제2(a)도), 접촉하는 래크 라이저로부터 내향압력을 받아 구부러진다. 탄성 측면 부재 재료는 래크 내에서 단번에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 상기 측면이 라이저(18a)뒤와 래크 측면(18b)내에 포함된 래크 공간 내로 효과적으로 튀어 인클로우져 내부에서 장치를 동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부가적 공간을 제공하도록 되며, 그때 래크 내로 들어가고 나오는 동안 부가적 공간내에 정지 장치는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최대 측면 판넬 외부벽의 분리 너비(W12)는 래크 라이저 분리 너비(W″)보다 크다(그리고 만약 특별한 장착 래크가 허용된다면, 래크 판넬 너비(W)보다 클 수도 있다).
탄성 측면 판넬을 갖고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의 양호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본 발명의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에 의해서가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0)

  1. 일방향의 치수가 같은 방향의 인클로우져 지지 래크의 입구 구멍보다 크고, 섀시가 래크에 설치된 후 수용된 장치가 이동될 수 있는 부가적인 빈공간이 제공되며,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에 있어서, 래크에 수용된 공간의 전면 경계부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래크에 설치되도록 된 강성 판넬과, 전면 판넬뒤로 연장되고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판넬을 포함하며, 탄성 판넬 부재의 최외곽의 마주하는 표면 사이의 최대치수와 전면 판넬 표면의 최대 치수는 상기 인클로우져가 래크내에 위치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나란한 래크 인클로우져부의 입구 구멍 너비를 초과하고, 상기 인클로우져가 래크 내로 들어가는 동안 래크의 관련부로부터의 압력으로 인하여 각각의 탄성 벽부재가 내부로 굴곡되며, 래크 관련부와 벽부재 사이의 접촉이 제거됐을 때 각각의 벽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2. 제1항에 있어서, 정상 상태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판넬은 탄성 부재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3. 제2항에 있어서, 양쪽의 마주하는 각각의 측면 판넬은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4. 제3항에 있어서, 측면판넬의 탄성 부재는 관련 섀시 측면으로부터 같은 크기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5. 제1항에 있어서, 전면 판넬 평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래크판넬 구멍을 통과하는 다수의 섀시 벽 전체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6. 제5항에 있어서, 섀시의 상·하 판넬중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7. 제6항에 있어서, 섀시의 하나 이상의 측면 판넬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8. 제7항에 있어서, 양쪽 섀시 측면 판넬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9. 제8항에 있어서, 양측면 판넬의 탄성 부재는 관련 섀시 측면으로부터 같은 크기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부재는 강성 측벽부와 강성 유지 프레임 부재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에 설치 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KR1019920018568A 1991-11-15 1992-10-09 래크에 설치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KR100267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2,637 1977-05-02
US79263791A 1991-11-15 1991-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27A KR930010427A (ko) 1993-06-22
KR100267163B1 true KR100267163B1 (ko) 2001-04-02

Family

ID=2515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568A KR100267163B1 (ko) 1991-11-15 1992-10-09 래크에 설치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98821A (ko)
EP (1) EP0542504B1 (ko)
JP (1) JP3295465B2 (ko)
KR (1) KR100267163B1 (ko)
DE (1) DE692084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8375B1 (en) * 1997-03-28 2005-11-22 Health Hero Network, Inc. Networked system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remote monitoring of individuals
US6015196A (en) * 1998-03-26 2000-01-18 Pacific Micro Data, Inc. Module mounting system
US6360900B1 (en) * 2000-09-26 2002-03-26 Nstor Corporation Data storage chassis with adjustable rack mounting
EP1549434A1 (en) 2002-05-13 2005-07-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otease inhibitor sample collection system
US7014051B2 (en) * 2002-05-20 2006-03-21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component in a rack
US20030231570A1 (en) * 2002-06-14 2003-12-18 Fuji Photo Film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EP1804045B1 (de) 2005-12-30 2014-03-12 QIAGEN GmbH Ein Verfahren und ein Kit zur Behandlung einer biologischen Probe
US20080035588A1 (en) * 2006-08-09 2008-02-14 Super Micro Computer, Inc. Device for loading comput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1843A (en) * 1945-11-23 1951-05-08 Lyon Metal Products Inc Drawer aligning means for cabinets
GB943977A (en) * 1961-08-31 1963-12-11 Alastair George Murison Small Improvements in air heaters
BE622491A (ko) * 1961-09-15 1900-01-01
DE1490469B1 (de) * 1963-09-28 1971-02-04 Siemens Ag Einschubgeruest
US4285560A (en) * 1979-09-24 1981-08-25 Schwab Safe Co., Inc. Anti-racking device
JPS6013352A (ja) * 1983-06-15 1985-01-23 エヌ・ベ−・フイリツプス・フル−イランペンフアブリケン デイスクプレ−ヤ
EP0145052B1 (en) * 1983-11-08 1988-02-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isc-record player with a loading device for loading a disc into the record player
NL8403582A (nl) * 1984-11-26 1986-06-16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centreren, richten en vastklemmen van een optische plaat.
US4949328A (en) * 1987-02-18 1990-08-1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k player for playing both sides of a disk or multiple disks without ejection thereof and a disk player with a disk being played that overlaps disks stored in a storage receptor
US4845700A (en) * 1987-05-27 1989-07-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Front loading disc player
US4937806A (en) * 1988-02-12 1990-06-26 Mdb Systems, Inc. Shock-isolated portable mass data storage device
JPH02130783A (ja) * 1988-11-11 1990-05-18 Nippon I B M Kk 防振構造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4979909A (en) * 1989-12-18 1990-12-25 Hewlett-Packard Company Release apparatus for computer mass storag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95465B2 (ja) 2002-06-24
DE69208426T2 (de) 1996-09-26
EP0542504B1 (en) 1996-02-21
EP0542504A1 (en) 1993-05-19
US5398821A (en) 1995-03-21
KR930010427A (ko) 1993-06-22
DE69208426D1 (de) 1996-03-28
JPH05243766A (ja)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2336B1 (en) Computer housing
US7227761B2 (en) Apparatus for resiliently mounting a circuit board within a device housing
US5214572A (en) One-piece electronic cage
US6094342A (en) Disk drive jacket
US5209356A (en) Acoustic rack
US5398833A (en) Device for contact between a case bottom and cover of a closed housing
KR100267163B1 (ko) 래크에 설치가능한 섀시 인클로우져
US20090056458A1 (en) Vibration test device
US5033802A (en) Television enclosure
KR100296027B1 (ko) 랙도어의힌지장치
US8602701B2 (en) Container data center
US8567881B2 (en) Container data center
JP7345967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CN109388202B (zh) 固定架组件
JPH05100215A (ja) 液晶表示装置の構造
US6618262B1 (en) Circuit board retaining brackets
JP2568579Y2 (ja) 振動機器の取付構造
JP2004071652A (ja) 電子機器の緩衝装置
JPH07154081A (ja) 電子機器の搭載構造
JPH08222881A (ja) プリント基板の実装方法
JPH0412719Y2 (ko)
KR900008252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진동 방지장치
US3018151A (en) Housing structure for instrument mechanisms or the like
US20040218350A1 (en) Containment system for computer equipment
KR200162249Y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떨림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