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836B1 -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836B1
KR100261836B1 KR1019970081409A KR19970081409A KR100261836B1 KR 100261836 B1 KR100261836 B1 KR 100261836B1 KR 1019970081409 A KR1019970081409 A KR 1019970081409A KR 19970081409 A KR19970081409 A KR 19970081409A KR 100261836 B1 KR100261836 B1 KR 10026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partial
a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154A (ko
Inventor
안광환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8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8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할당된 호출번호의 일부분을 부분단축정보로서 교환기시스템내에 등록하고서 부분단축기능에 의해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의 일부분에 대한 부분단축기능에 의한 등록을 운용자를 매개하여 CCS(60)의 기억매체에 등록하고, 그 CCS(60)의 기억매체(63)에 등록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에 대한 부분단축정보를 ASS(2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23)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며, 상기 호출측 가입자단말(10)로부터의 디지트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운로드된 부분단축정보인지를 판단하여 부분단축정보인 경우 번호번역결과에 의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과의 통화로 설정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부분단축정보는 최소한 지역번호와 국번이 포함된 것이다.

Description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전자교환기에 접속되는 특정한 가입자에게 할당되는 호출번호(국가번호 + 망번호 + 지역번호 + 국번 및 가입자번호)를 부분적으로 단축처리해서 가입자의 호출처리가 효율화되도록 하기 위한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출측 가입자의 요구에 응답해서 피호출측 가입자를 호출하여 가입자 상호간에 통화로의 설정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된 전전자식 교환기시스템의 대표적인 TDX-10교환시스템은 기본적으로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과,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및,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그중, ASS는 타임스위치,신호스위치, 녹음안내장치, SS NO.7신호장치, 패킷처리장치 등이 실장되어 가입자 및 중계선정합과 호발신 및 착신 등의 호처리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한 ASS는 적용범위에 따라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을 위한 ASS-S(Subscriber), ISDN(종합정보통신망)가입자 정합을 위한 ASS-T(Trunk), 중계선 정합을 위한 ASS-S/T(Subscriber/Trunk), SS NO.7 신호처리를 위한 ASS-7(SS NO.7), 패킷호 처리를 위한 ASS-P(Packet)로 형상화되어 해당하는 전전자교환기시스템(즉, 대표적으로 TDX-10)에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채용되게 된다.
또, INS는 해당하는 교환기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여 ASS상호간의 연결 혹은 ASS와 CCS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번호번역기능, 루트제어기능, 스페이스 스위치 연결기능 등을 집중처리하게 된다.
그러한 INS는 각 ASS를 지점 대 지점(Point-to-point)으로 연결시켜주는 데이터링크가 갖추어져서 그 데이터링크를 통해서만 각 ASS간의 통신(즉, 가입자 상호간에 교환하는 정보의 통신 및/또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달되는 정보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ASS와 INS간의 데이터링크는 광케이블 링크(Fiber optic link)가 채용된다. 또한, TDX-10교환시스템에 채용되는 스위치는 각 ASS에 위치하는 타임스위치와 INS에 위치하는 스페이스 스위치에 의한 T-S-T(Time-Space-Time)스위치 구조이다.
CCS는 해당하는 교환기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및 운용관리(M&A;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그 CCS는 시스템 차원의 유지보수, 시험 및 측정, 통제 기능 뿐만 아니라 보조기억장치(Magnetic tape, disk)제어관리, 운용자와의 각종 입력/출력문 제어기능, 타 시스템과의 데이터채널 연결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그 CCS와 INS간에는 단지 통신제어기(Control interworking)를 위한 링크만 존재하게 된다.
그러한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전전자교환기시스템으로서의 TDX-10교환기는 가입자 및/또는 중계선으로부터 호요구가 발생되면 ASS는 그 호요구의 발생을 감지하여 호발신처리기능을 개시하게 되고, INS에 가입자 및/또는 중계선으로부터 수신한 번호정보에 대해 번호번역을 요구하게 된다. INS는 번호번역을 완료하고나서 통화로 탐색 및 접속을 통해 호출측 가입자가 수용된 ASS와 피호출측 가입자가 수용된 ASS의 사이에서 내부적인 통화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그에 따라 호출측 가입자와 피호출측 가입자가 통화로를 매개하여 통화가 개시된다.
호출측 가입자와 피호출측 가입자간의 통화가 완료되는 경우, ASS는 통화완료를 감지하여 내부의 통화로 연결을 해제시키게 되고, 통화가 이루어진 호에 대한 과금자료를 CCS에게 통보하게 된다.
한편, ASS 또는 INS에서 발생되는 고장상태는 CCS에 통보되어 그 CCS에 의해 시스템 차원의 유지보수 기능이 집중적으로 처리되고, 과금, 통계, 운용자 정합 등의 운용관리 기능도 그 CCS에서 집중적으로 처리된다.
여기서, TDX-10교환기시스템을 비롯하여 전체의 전전자교환기시스템에 수용되는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서는 통화로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로서 호출번호가 고유하게 할당된다. 그러한 호출번호에 따르면 특정한 지역내에서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국번 및 가입자번호가 포함되고, 중계선 정합에 관련해서 타지역에 수용된 가입자 단말과의 통화로 설정을 위해 적용되는 지역번호, 교환서비스를 제공하는 망(網)의 식별을 위한 망번호, 타국(他國)에 위치하는 가입자와의 통화로 연결을 위해 국가의 지정을 위한 국가번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ASS에 수용된 호출측 가입자단말이 동일한 지역내에 위치하는 피호출측 가입자 단말과 통화로 연결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국번과 가입자번호의 입력조작이 필요하게 되고, 타지역에 수용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을 호출하려는 경우에는 최소한 지역번호와 국번 및 가입자번호의 입력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한편, 특정한 망을 지정하여 호출하려는 경우에는 망번호와 지역번호, 국번 및 가입자번호의 입력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타국에 위치하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국가번호와 지역번호(필요한 경우 망번호 포함), 국번 및 가입자번호의 입력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호출측 가입자가 피호출측의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입력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해서, 현재에는 가입자단말(즉, 전화기)에 단축키 기능을 부여해서 가입자가 피호출측의 호출번호에 대응적으로 할당된 단축키를 조작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 피호출측의 호출번호에 대한 다이얼신호가 발생되어 피호출측에 대한 호출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도 제안되어 가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호출측 가입자단말에서 피호출측의 가입자 단말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국번과 가입자번호의 조작입력이 필요하게 되고, 특정한 망을 선택하여 타지역의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을 호출하려는 경우에는 망번호와 지역번호의 추가적인 조작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즉, 호출측 가입자단말이 특정한 망번호와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피호출측 가입자단말과 주로 통화가 필요한 경우에도 통화시 마다 그 피호출측 가입자단말들의 망번호와 지역번호, 국번 및 가입자번호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불리하게 된다.
더욱이, 가입자단말에 부가된 단축키 기능에 의해 그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최소한 지역번호와 국번 및 가입자번호의 조작입력과 필요한 경우 망번호의 추가적인 입력 등이 필요하게 되어 그 단축키 기능의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단축키 기능은 단지 가입자단말에 하드웨어적으로 설정될 뿐이어서 극히 제한적인 수량의 단축키 할당만이 가능하다는 제약이 수반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할당된 호출번호의 일부분(예컨대, 지역번호와 국번)을 교환기시스템내에 단축키로서 등록하고서 호출측 가입자가 호출하려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할당된 단축키와 그 피호출측 가입자번호만의 조작에 의해 피호출측 가입자의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각기 고유의 호출번호가 할당된 다수의 가입자단말이 수용되는 ASS와, 그 ASS를 매개하여 발생되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대한 호출번호의 번호번역과 통화로의 설정을 위한 INS 및, 상기 ASS와 INS에 의한 통화로의 설정에 관한 유지/보수를 담당하면서 최소한 하나의 기억매체를 갖춘 CCS가 구비되어 호출측 가입자단말에서의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의 조작입력에 응답하여 통화로를 설정하도록 된 교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의 일부분에 대한 부분단축기능에 의한 등록을 운용자를 매개하여 상기 CCS의 기억매체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CCS의 기억매체에 등록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에 대한 부분단축정보를 상기 ASS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출측 가입자단말로부터의 디지트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운로드된 부분단축정보인지를 판단하여 부분단축정보인 경우 번호번역결과에 의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과의 통화로 설정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부분단축정보는 최소한 지역번호와 국번이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에 의하면, 임의의 가입자가 교환기시스템내에 특정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할당된 호출번호의 일부분(예컨대, 지역번호와 국번)을 부분단축기능에 의해 등록하도록 해서 피호출측 가입자의 호출시에는 그 호출대상의 가입자단말에 대한 부분단축키와 가입자번호만의 조작에 의해 호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을 실행하는 대표적인 교환기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입자단말, 20: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30: 광케이블 링크, 50: 데이터링크,
40: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60: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을 실행하는 대표적인 교환기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해당하는 교환기시스템에 수용되는 대표적인 가입자단말을 나타내고, 20은 그 가입자단말(10)로부터의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가입자 및 중계선정합과 호의 발신 및 착신 등의 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ASS를 나타내며, 30은 그 ASS(20)와 번호번역 등의 기능을 위한 INS(40)의 사이에 개재되는 광케이블 링크를 나타내고, 50은 그 INS(40)와 총괄적인 M&A의 기능을 위한 CCS(60)를 연결하는 데이터링크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ASS(20)는 예컨대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Analog Subscriber Interface; ASI), T1(1.544 Mbps) 디지탈 중계선 정합장치(T1 Digital Trunk Interface; DTI), CEPT(2.048 Mbps) 디지탈 중계선 정합장치(CEPT Digital Trunk Interface; DCI), 2선식 아날로그 중계선 정합장치(Analog Trunk Interface; ATI)를 제어하는 LTAP(Line and Trunk Access Processor)가 포함된 PP(Peripheral Processor; 21)와, 해당하는 ASS(20)에서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을 총괄하면서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호출번호의 부분단축처리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 22), 그 ASP(22)에 의한 호출번호의 부분단축처리기능을 위한 데이터라던지 가입자 및/또는 중계선 정합에 관련된 데이터가 격납되어 상기 ASP(22)에 의한 데이터억세스가 행해지는 데이터베이스(23), 상기 PP(21)와 ASP(22)를 포함하는 각 프로세서 간의 메시지 전달기능을 위한 메시지통신네트워크로서 제공되는 CI(Control Interworking; 24) 및,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특정한 가입자의 호출번호에 대한 부분단축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입자단말(10)로부터의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번호번역요구메시지의 교환 등을 위한 데이터링크정합장치로서의 LDL(Local Data Link; 25)을 갖추게 된다.
또, 상기 INS(40)는 상기 광케이블 링크(30)를 매개하여 상기 ASS(20)의 LDL(25)에 접속되어 상기 ASS(20)와 그 INS(40)간의 통화경로와 프로세서간 통신경로상의 데이터링크 정합장치로서의 CDL(Central Data Link; 41)와, 프로세서간의 메시지 전달기능을 갖는 일종의 메시지 프로세서 메시지 통신 네트워크인 CI(Control Interworking; 42), 상기 ASS(20)에서 요구되는 번호번역을 실행하는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와 스페이스 스위치 전체의 통화로 검색 및 관리를 수행하는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를 포함하는 메인프로세서(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CCS(60)는 상기 INS(40)의 CI(42)와 데이터링크(50)를 매개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CI(61)와, 시스템내의 일련의 운용과 유지보수관련기능을 총괄하는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62), 그 OMP(62)에 의해 제어되면서 과금, 통계, 유지보수, 운용관리정보,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호출번호의 부분단축 데이터 등이 등록되는 보조기억장치로서의 마그네틱 테이프(MT; 63), 상기 OMP(62)에 의해 제어되면서 제네릭 프로그램(Generic program)과 데이터 등이 수록되는 디스크(D/D; 64), 운용자와 시스템간 또는 운용센터와 시스템간의 대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MMP(Man Machine Processor; 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도면에서 참조부호 70은 운용자와 시스템간의 대화를 위한 VDU(Visual Display Unit)를 나타내는 바, 그 VDU(70)에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입력장치를 통해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호출번호의 부분단축기능의 설정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단계 80에서 호출측 가입자단말을 위해 가설된 가입자 단말(10)에 의해 VDU(70)의 운용자와 통화로를 설정하고나서 그 운용자에게 호출번호 부분단축기능의 등록을 요구하여 그 가입자 단말(10)에 관한 호출번호의 부분단축번호가 전달되면 그 VDU(70)의 운용자는 상기 CCS(60)의 MMP(65)에게 호출번호 부분단축기능의 수용을 지시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에 대한 부분단축기능에 의하면, 예컨대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을 위해 호출측 가입자단말(10)이 조작해야하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가 지역번호(예컨대, 052)와 국번(예컨대 550) 및 가입자번호(xxxx)인 경우, 부분단축기능에 의해서는 지역번호인 '052'와 국번인 '550'을 특정한 부분단축키(예컨대 '01')로 지정하고서 실제적인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시에는 그 부분단축키 '01'과 가입자번호 'xxxx'만을 조작하면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호출측 가입자단말(10)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VDU(70)의 운용자가 특정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대한 부분단축기능에 의한 등록의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MMP(65)는 OMP(62)의 제어하에 상기 가입자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VDU(70)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의 부분단축정보가 OMP(62)의 제어하에 예컨대 보조기억장치로서의 마그네틱 테이프(MT; 63)의 소정위치에 기록되도록 하게 된다(단계 82).
그 상태에서, 상기 OMP(62)는 호출번호 부분단축데이터를 CI(61)에 전달하여 데이터링크(50)를 매개해서 INS(40)의 CI(42)측으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고, 그 INS(40)의 CI(42)측으로 전달된 호출번호의 부분단축 데이터가 CDL(41)에 전달되어 광케이블 링크(30)를 매개해서 ASS(20)의 LDL(25)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ASS(20)의 LDL(25)측에 전달된 호출번호의 부분단축 데이터는 CI(24)를 매개하여 ASP(22)에 전달되고 그 ASP(20)의 제어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3)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된다(단계 84).
그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10)이 후크-오프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ASS(20)의 PP(21)를 이루는 LTAP가 가입자 단말(10)의 호발신 요구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된 상기 가입자 단말(10)의 호발신 요구는 CI(24)를 통해 상기 ASP(22)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ASP(22)는 그 가입자단말(10)의 등급을 조사하여 발신이 허용된 가입자이면 그 가입자단말(10)측에 발신음이 송출되도록 하게 된다.
이어, 다이얼 톤을 수신한 상기 가입자단말(10)이 특정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을 위한 호출번호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단계 86), 제 1의 디지트가 수신되면 예컨대 DTMF(도시 생략)에 의한 해석이 이루어지고서 그 해석된 디지트정보가 상기 CI(24)를 매개하여 상기 ASP(22)에 인가되고, 그 제 1디지트의 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면 다이얼 톤의 절체가 제어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기 호출측 가입자단말(10)로부터 소정 수의 디지트가 수신되면 상기 ASP(22)는 데이터베이스(23)에 다운로드된 부분단축정보로부터 상기 소정 수의 디지트가 부분단축정보로서 등록된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되고(단계 86), 그 판단결과 부분단축정보로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이면(즉, 단계 90), 상기 ASP(22)는 단계 92에서의 통상적인 호출과정의 실행으로 이행하게 되는 바, 그 ASP(22)는 상기 수신된 디지트정보를 CI(24)와 LDL(25)측에 인가하여 데이터링크(30)를 경유해서 상기 INS(40)의 CDL(41)와 CI(42)측에 전달되고나서 상기 MP(43)에 해당하는 NTP(43)에 번호번역을 요구하게 된다.
그 번호번역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NTP(43)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이 속하는 ASS에 착신의 요구를 행하게 되고, 그 착신요구에 대해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이 속하는 ASS의 응답이 반송되어지게 되면 통상적인 가입자단말(10)과 피호출측 가입자단말과의 사이에서 통화로의 설정이 행해지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한 단계 9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디지트정보가 상기한 단계 82와 단계 84에서 등록된 부분단축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ASP(22)는 그 부분단축정보의 번호번역된 호출번호에 의해 통상적인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대한 통화로의 설정을 행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단축기능에 의해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에서 지역번호와 국번이 부분단축정보로서 처리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적용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필요한 경우 국가번호라던지 망번호도 추가적으로 부분단축정보로서 등록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중 대체로 공통적인 부분을 부분단축정보로서 교환기시스템내에 등록하고서 그 등록시에 할당되는 부분단축키와 가입자번호만의 조작에 의해 특정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에 대한 통화로의 설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피호출측 가입자단말과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번거로운 입력작업이 대폭적으로 감소될 뿐만 아니라, 부분단축기능에 의해 등록가능한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수도 상당히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전체 호출번호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단축키 기능에 의한 호출기능도 확보될 수 있게 되며, 교환기 망 사업자의 증가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각기 고유의 호출번호가 할당된 다수의 가입자단말이 수용되는 ASS(20)와, 그 ASS(20)를 매개하여 발생되는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에 대한 번호번역과 통화로의 설정을 위한 INS(40) 및, 상기 ASS(20)와 INS(40)에 의한 통화로의 설정에 관한 유지/보수를 담당하면서 최소한 하나의 기억매체(63)를 갖춘 CCS(60)가 구비되어 호출측 가입자단말(10)에서의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의 조작입력에 응답하여 통화로를 설정하도록 된 교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의 일부분에 대한 부분단축기능에 의한 등록을 운용자를 매개하여 상기 CCS(60)의 기억매체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CCS(60)의 기억매체(63)에 등록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호출번호에 대한 부분단축정보를 상기 ASS(2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23)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출측 가입자단말(10)로부터의 디지트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운로드된 부분단축정보인지를 판단하여 부분단축정보인 경우 번호번역결과에 의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과의 통화로 설정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단말의 부분단축정보는 최소한 지역번호와 국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KR1019970081409A 1997-12-31 1997-12-31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KR10026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09A KR100261836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09A KR100261836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154A KR19990061154A (ko) 1999-07-26
KR100261836B1 true KR100261836B1 (ko) 2000-07-15

Family

ID=1953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409A KR100261836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869B1 (ko) * 2001-12-12 200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일 디지트 열을 가지는 국번호 데이터베이스 및 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국번 번역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154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836B1 (ko) 교환기시스템에서의 호출번호 부분단축처리방법
KR100216074B1 (ko) 통신망에서 단일번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
KR100261837B1 (ko) 교환기시스템에서의 부분단축 호출번호의 등록확인방법
KR100278739B1 (ko) 가입자단말기에서의과금확인방법
KR100247712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외부호 허용 서비스 방법
KR10023982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가입자에 의한 발신번 제한 서비스방법
KR100285730B1 (ko) 전전자교환기의망식별코드사전등록에의한호처리방법
KR10025869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변경방법
KR19990005359A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외부호 제한 서비스 방법
JP3024842B2 (ja) 構内交換機の交換制御方法
KR100247426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23748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 안내대 정보 출력방법
KR10025869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등록방법
WO2000070845A1 (en) Telephone book number conversion
KR970002744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RU2134028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ызовом для идентичного входного номера станции в системе атс
KR0146642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편집형 착신거부 안내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CA2050376C (en) Automation of telephone operator assistance calls
KR19990047708A (ko) 사설 교환기의 시외 국번 코드 허용 방법
KR19990047709A (ko) 사설 교환기의 시외 국번 코드 제한/허용 제어 방법
KR19980035209A (ko) 전자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상태 안내방법
JPH05327908A (ja) 短縮ダイヤルプラスダイヤリング方法及び交換装置
JPH02179060A (ja) 自動交換機の内線相互割込方式
KR19990002745A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타국번 코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