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247B1 -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247B1
KR100236247B1 KR1019960053419A KR19960053419A KR100236247B1 KR 100236247 B1 KR100236247 B1 KR 100236247B1 KR 1019960053419 A KR1019960053419 A KR 1019960053419A KR 19960053419 A KR19960053419 A KR 19960053419A KR 100236247 B1 KR100236247 B1 KR 10023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oke
recognition
standard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9977A (en
Inventor
다께노리 가와마따
이사무 오가와
유이찌 오까노
다이조 가메시로
도루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5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9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2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필기 문자의 필순 변동, 획수 변동 및 국소적인 필기 문자의 문자의 변형에 좌우되기 어려운 고정밀도의 문자 인식을 고속으로 행할 수 없었다.It was not possible to perform high-precision character recognition at high speed, which is hardly influenced by fluctuations in the handwriting of the handwritten characters, variations in the number of strokes, and deformation of the characters of the local handwritten characters.

문자의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필기 문자의 대국적인 형상 특징을 기초로 문자 형태 사서에서 저장된 표준 문자로부터 유사도가 높은 후보 문자를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과, 상기 필기 문자의 각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 의해 선출된 후보 문자에 대하여 필순을 고려한 대응 인식을 행하는 필순 대응 인식수단과, 상기 필기 문자의 각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 의해서 선출된 후보 문자에 대하여 획수를 고려한 대응 인식을 행하는 획수 대응 인식 수단과, 상기 필수 대응 인식 수단 또는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다.Input means for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of characters,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candidate characters with high similarity from standard characters stored in a character form librarian, based on the glob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and each strok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 handwrit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for perform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handwriting order for candidate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based on a feature, and a candidate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based on each stroke featur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a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for perform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for the characters,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essential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or the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Description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 및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본 발명은 수기 문자를 고정밀도로 인식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recognizing handwritten characters.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는 필순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와 획수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가 있다. 이하, 각각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한다.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es include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s by absorbing fluctuations of the order and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s by absorbing variations in stroke numbers. Hereinafter, each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종래예 1][Prior Example 1]

필순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는, 사서 중의 표준 패턴의 모든 스트로크와 입력 패턴의 모든 스트로크의 사이에서, 스트로크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거리를 구하고, 표준 패턴의 각 스트로크에 거리가 최소인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킴으로써, 입력 패턴 필순의 변동에 대처하는 것(특원소 54-061146)이나, 미리 표준 패턴 중에 필순 변경의 방법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그 내용에 기초하여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제한하여, 대응시키는 것의 처리량을 경감한 경우(특개소 57-178579)가 있다.In a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characters by absorbing fluctuations in the order of order, a distance is obtained for each combination of strokes between all the strokes of the standard pattern in the librarian and all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and is applied to each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By correlating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with the smallest distanc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fluctuations in the input pattern order (Special Element 54-061146), or to store information such as the method of changing the order of the order in the standard pattern in advance. There is a case wher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s restricted and the throughput of the correspondence is reduced (particularly 57-178579).

예를 들면 도 26은 특개소 57-178579에 개시된 필순 변동을 흡수하는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For example, FIG. 2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that absorbs the necessary order fluctuation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7-178579.

도26에서, 참조 번호(1)는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와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패턴 매칭 장치, 참조 번호(2)는 미리 각 문자가 표준적인 패턴의 스트로크열을 저장한 표준 패턴 기억 장치, (3)은 필순의 조합 방법 등을 기억한 필순 조합 기억 장치, 참조 번호(4)는 필순 조합 기억 장치(3)의 정보에 기초하여 표준 패턴 기억 장치(2) 후에 기억된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순서를 변경하는 표준패턴 재구성 장치, (5)는 패턴 매칭 장치(1)로부터 출력된 거리를 기초로 인식 결과를 결정하는 식별 장치이다.In Fig. 26,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pattern matching device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troke of an input pattern and a stroke of a standard pattern, and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standard pattern in which each character stores a stroke string of a standard pattern in advance. The memory device 3 denotes a combination order memory device which stores the combination order method and the like, and the reference numeral 4 indicates the standard pattern stored after the standard pattern storage device 2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essential order combination memory device 3. The standard pattern reconstruction apparatus 5 for changing the order of the strokes of the apparatuses 5 is an identification apparatus that determines the recognition result based on the distance output from the pattern matching apparatus 1.

이하, 도 26을 이용하여 종래예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6.

우선, 패턴 매칭 장치(1)에는, 입력 패턴 정보(X)가 입력된다. 입력 패턴 정보(X)는, n획의 문자인 경우는 n개의 스트로크로 이루어져 있고, 스트로크 각각을 필순으로 X1, X2, ……, Xn이라고 하면,First, input pattern information X is input to the pattern matching apparatus 1.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X) consists of n strokes in the case of n stroke characters, and the strokes are in order of X1, X2,... … , Xn,

X = (X1, X2, ……, Xn)X = (X1, X2, ……, Xn)

이 되는 다차원 벡터 공간으로 표시된다.Is represented by a multidimensional vector space.

또한, 표준 패턴 기억 장치(2)에 기억된 n획으로 구성되는 표준 패턴을 Sk(k는 표준 패턴의 카테고리명을 나타냄)로 하고, Sk의 각 스트로크를 스트로크 순으로 Sk1, Sk2, ……, Skn이라고 하면, 표준 패턴Sk는,Further, a standard pattern composed of n strokes stored in the standard pattern storage device 2 is Sk (k represents a category name of the standard pattern), and each stroke of Sk is Sk1, Sk2,... … , Skn, the standard pattern Sk,

Sk = (Sk1, Sk2, ……, Skn)Sk = (Sk1, Sk2, ……, Skn)

이 되는 다차원 벡터 공간으로 표시된다.Is represented by a multidimensional vector space.

다음에 패턴 매칭 장치(1)는, 입력 패턴 X와 표준 패턴 Sk와의 거리를 계산하지만, 입력 패턴 X가 반드시 올바린 필순으로 기입되어 있다고는 한정지을 수 없기 때문에, 단순히 입력 패턴 X의 각 요소와 표준 패턴의 각 요소를 순서대로 대응시키는 것만으로는, 표준 패턴의 필순과 다른 필순으로 기입된 문자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없다.Next, the pattern matching device 1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pattern X and the standard pattern Sk. However, the pattern matching device 1 cannot be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input pattern X is written in the correct order. By simply matching each element of the standard pattern in order, it is not possible to correctly recognize a character written in a different order from that of the standard pattern.

그래서, 표준 패턴 재구성 장치(4)는 필순 조합 기억 수단(3)에 기억된 필순의 조합 정보에 기초하여 필순을 바꿀 표준 패턴 Skm(m = 1, 2, ……, P)을 구성하여 패턴 매칭 장치(1)에 차례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P는 표준 패턴의 필순 변동 조합의 총수이다.Thus, the standard pattern reconstruction device 4 constructs a standard pattern Skm (m = 1, 2, ..., P) to change the order of writing based on the combination information of the writing order stored in the writing order combination storage means 3, and pattern matching. Transmit to device 1 in turn. Here, P is the total number of necessary fluctuation combinations of the standard pattern.

다음에 패턴 매칭 장치(1)는 표준 패턴 재구성 장치(4)로부터 차례로 보내지는 표준 패턴에 대하여 입력 패턴 X와의 거리 Pxkm을 이하의 식으로 구한다.Next, the pattern matching apparatus 1 obtains the distance Pxkm with respect to the input pattern X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pattern sequentially sent from the standard pattern reconstruction apparatus 4 by the following formula | equation.

Pxkm = |X1-Skm1| + |X2-Skm2| + …… + |Xn-Skmn|Pxkm = | X1-Skm1 | + | X2-Skm2 | +… … + | Xn-Skmn |

다음에 식별 장치(5)는 패턴 매칭 장치(1)로부터 보내지는 P개의 거리 중 최소 거리를 식별하고, 그 최소 거리를 입력 패턴 X와 표준 패턴 Sk와의 거리 Pxk로 한다. 이상의 처리를 표준 패턴 기억 장치에 저장된 모든 카테고리 중 n 획의 표준패턴을 갖는 것에 대하여 행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작은 거리가 되는 카테고리를 인식 결과로서 출력한다.Next, the identification device 5 identifies the minimum distance among the P distances sent from the pattern matching device 1, and sets the minimum distance as the distance Pxk between the input pattern X and the standard pattern Sk.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for having n standard patterns of all the categories stored in the standard pattern storage device, and finally, the category which becomes the smallest distance is output as a recognition result.

[종래예 2][Conventional Example 2]

획수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로는 입력 패턴 스트로크의 복수의 특징점과 표준 패턴 스트로크의 특징점에서 DP 매칭을 행하여, 가장 거리가 작아지도록 특징점을 대응시킨 것(특공소 62-62394)이나, 획수 변동 패턴의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준 패턴 중에 스트로크의 접속 방법을 기술한 것(특개소 60-79485, 특개소 60-126783) 등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which recognizes a character by absorbing stroke number variation, DP matching is performed at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of an input pattern stroke and a feature point of a standard pattern stroke, and the feature points are matched so as to have the smallest distance. In order to improve the recognition accuracy of the stroke variation pattern, there is described a method of connecting strokes in standard pattern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0-79485,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0-126783).

예를 들면, 도28은 특공소 62-62394에 개시된 획수 변동을 흡수하는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7은, 획수 변동을 흡수하는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인식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or example, Fig. 2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that absorbs the stroke number fluctuations disclosed in the special office 62-62394.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cognition procedure of the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that absorbs stroke number variation.

도27a는 표준 패턴을 도시하고, 도 27b는 입력 패턴을 도시한다. 도 27c, d는 표준 패턴의 각 스트로크와 입력 패턴의 각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7A shows a standard pattern, and Fig. 27B shows an input pattern. 27C and 27D show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spective strokes of the standard pattern and the respectiv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도27에서, 참조 번호(30) 내지 참조 번호(39)는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참조번호(10) 내지 참조 번호(21)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나타낸다.In Fig. 27, reference numerals 30 to 39 denot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and reference numerals 10 to 21 denote strokes of the standard pattern.

또한 도 28에서, 참조 번호(40)는 문자 획수 검출부, 참조 번호(41)는 사서 어드레스 발생부, 참조 번호(42)는 사서, 참조 번호(43)는 특징 추출부, 참조 번호(44)는 DP 매칭부, 참조 번호(46)는 판정부, 참조 번호(47)는 범위 지정부이다.In Fig. 28,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character stroke detection unit, reference numeral 41 denotes a librarian address generator, reference numeral 42 denotes a librarian, reference numeral 43 denotes a feature extractor, and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The DP matching section, reference numeral 46 is a determining section, and reference numeral 47 is a range designating section.

다음에, 획수 변동을 흡수하는 종래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동작을 도 27,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that absorbs stroke number vari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우선, 입력 패턴은 문자 획수 검출부(40) 및 특징 추출부(43)에 입력되어, 획수 및 각 스트로크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문자 획수 검출부(40)에서는 입력 패턴의 문자 획수 n에 대하여 조합해야 할 문자 획수 범위 (n +α) 내지 (n - β)를 사서(13)로 출력한다. 제27b에 도시한 「絲」라는 문자일 때는 n=5가 되기 때문에, α=2, β=1로 하면 문자 획수 범위는 7획 내지 4획이 된다.First, the input pattern is input to the character stroke number detection unit 40 and the feature extraction unit 43 to extract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feature points of each stroke. The character stroke count detection unit 40 outputs to the librarian 13 the range of character strokes (n + α) to (n-β) to be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n of the input pattern. In the case of the letter " 도시 "

도 27b와 같이 입력 패턴은 5획이기 때문에 특징점은 10개가 되고, 표준 패턴은 6획이기 때문에, 특징점은 12개가 된다. 따라서, 단순히 선두로부터 대응시키면, 도 27c와 같이 대응되지 않는 특징점이 남아서 스트로크에 대응을 올바르게 행하지 않으므로 거리는 큰 값이 되어 버린다.As shown in Fig. 27B, since the input pattern has five strokes, there are ten feature points, and since the standard pattern has six strokes, there are 12 feature points. Therefore, if the correspondence is simply taken from the beginning, the non-corresponding feature points remain as shown in Fig. 27C, so that the stroke is not correctly performed, and the distance becomes a large value.

그래서, 종래예에서는 DP(Dynamic Programming) 매칭을 이용하여 획수가 다른 것과의 대응을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행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DP 매칭은 이하와 같이 행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example, correspondence with different stroke numbers is performed by using DP (Dynamic Programming) matching to minimize the distance. Here, specifically, DP matching is performed as follows.

입력 패턴의 각 특징점을 이하와 같이 나타낸다.Each characteristic point of an input pattern is shown as follows.

A = a1, a2, ……, ai, ……, aIA = a1, a2,... … , ai,… … , aI

그리고, 사서의 표준 패턴의 특징점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And the feature point of the librarian's standard pattern is expressed as follows.

B = b1, b2, ……, bj, ……, bJB = b1, b2,... … , bj,… … , bJ

이때, ai, bj의 거리 d(i, j)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tance d (i, j) of ai, bj can be obtained as follows.

[식1][Equation 1]

d(i, j) = |ai-bj|로 하면,d (i, j) = | ai-bj |

(1) i=1, j=1인 경우(1) If i = 1, j = 1

g(1,1) = d(1,1)g (1,1) = d (1,1)

(2) i=1, j≠1인 경우(2) When i = 1, j ≠ 1

g(1, j) = g(1, j-1) +d(1, j)g (1, j) = g (1, j-1) + d (1, j)

(3) i≠1, j=1인 경우(3) When i ≠ 1, j = 1

g(i,1) = g(i-1,1) + d(i,1)g (i, 1) = g (i-1,1) + d (i, 1)

(4) 기타(4) other

상기와 같은 점화(漸化)식에 의해, g(I, J)(초기 조건)를 구하고, A의 특징점열과 B의 특징점열의 거리 S(A, B)를 하기의 식으로 구한다. 그리고, 이 거리가 최소인 것을 식별 결과로 한다.G (I, J) (initial condition)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above ignition formula, and distance S (A, B) of the feature point sequence of A and the feature point sequence of B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And it is set as the identification result that this distance is minimum.

S(A, B) = 1/(I+J)*g(I, J)S (A, B) = 1 / (I + J) * g (I, J)

DP 매칭부(44)는, 상기 문자 획수 영역의 표준 패턴의 특징점을 차례로 사서(13)로부터 판독하여, 입력 패턴의 특징점과 표준 패턴의 특징점과의 거리를 상기 DP 매칭에 의해 구하고 판정부(46)로 출력한다. 판정부(46)에서는 상기 거리 중 가장 거리가 작은 것의 문자를 인식 결과로서 출력한다.The DP matching section 44 sequentially reads feature points of the standard pattern of the character stroke number area from the librarian 13, obtains the distance between the feature points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standard pattern by the DP matching, and determines the judging section 46. ) The determination unit 46 outputs the character of the smallest distance among the distances as a recognition result.

본 예에서는, 도 27b와 같은 입력 패턴만으로도 도 27d와 같이 특징점의 대응이 올바르게 행해지고, 도 27c의 대응에 비해 거리가 작아진다.In this example, even with only the input pattern as shown in FIG. 27B, the feature points are correctly matched as shown in FIG. 27D, and the distance is smaller than that in FIG. 27C.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 패턴과 입력 패턴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필순 변동을 흡수하는 종래예 1과 같은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서는 모든 조합에 대하여 거리를 계산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커져서 실시간으로 인식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such as the conventional example 1 which calculates the distance for all combinations of the standard pattern and the input pattern and absorbs the change in the order of order, since the distance is calculated for all the combinations, the computational amount is increased to recognize the recognition in real time.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또한, 표준 패턴 중에 필순에 대응시키는 방법을 기술한 종래예 1과 같은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서는, 미리 표준 패턴 중에 준비된 필순의 변동 밖에 대처할 수 없어서, 대응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많은 필순에 대응하고자 하면 사서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 which describes a method of matching the order of the mandatory patterns in the standard pattern, only the fluctuation of the hand order prepared in the standard pattern can be dealt with beforeh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s increased.

또한, 종래예1의 필순 변동에 대응하는 장치에서는 필순 변동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획수 변동에는 대응할 수 없어서, 연속 문자 등의 인식 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necessary order variation of the prior art example 1,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necessary order vari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accuracy of continuous characters or the like is lowered because it cannot cope with the variation in stroke count.

또한, DP 매칭에 의해 획수가 다른 것에 대응시키는 종래예2와 같은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서는 1개의 표준 패턴 n획과 입력 패턴 m획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n×m의 거리 계산을 행할 필요가 있고, 이 계산을 (m+α)~(n-β)의 획수 범위에 있는 모든 표준 패턴에 대해서 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입력 패턴으로서 11획의 문자가 입력된 경우를 생각하면, m=11이 되고, 예와 같이 α=2, β=1로 하면 10획 내지 13획의 표준 패턴에 대해서 거리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JIS 제1수준문자에 한정한 경우에도, 10획은 289 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289×10×11 = 31,790회, 11획은 300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300×11×11 = 36,300회, 12획은 297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297×12×11 = 39,204회, 13획은 242 문자 존재하기 때문에 242×13×11 = 34,606회의 거리 계산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합계 141,900회의 거리계산이 필요하게 되어, 계산량이 매우 많아져서 실시간에서의 인식은 곤란하다.In addition, i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like the conventional example 2 which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strokes by DP matching, it is necessary to perform n × m distance calculation in order to find the distance between one standard pattern n stroke and the input pattern m stroke, This calculation needs to be performed for all standard patterns in the range of strokes from (m + α) to (n-β). Considering the case where 11 characters are input as the input pattern, m = 11, and as shown in the example, when α = 2 and β = 1,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a distance with respect to 10 to 13 standard patterns. There is. Even in the case of the first level of JIS, 10 strokes have 289 characters, so 289 × 10 × 11 = 31,790 times, and 11 strokes have 300 characters, so 300 × 11 × 11 = 36,300 times, 12 strokes. Since 297 characters exist, 297 × 12 × 11 = 39,204 times, and 13 strokes have 242 characters, so 242 × 13 × 11 = 34,606 distance calculations are required. Therefore, a total of 141,900 distance calculations are required, and the calculation amount becomes very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in real time.

또한, 사서 중에 결합 방법 등의 정보를 갖는 종래예2와 같은 온라인 문자인식 장치에서는, 각 문자의 스트로크마다 접속 방법의 정보를 가질 필요가 있어서, 사서 작성이 곤란하고, 사서 용량도 매우 커진다. 또한, 미리 준비되지 않는 연속 문자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인식 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like the conventional example 2 having information such as a joining method in a librarian, it is necessary to have information of a connection method for each stroke of each character, making it difficult to prepare a librarian, and the librarian capacity becomes very larg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accuracy is lowered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continuous characters not prepared in advance.

또한, 종래예2의 획수 변동에 대응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는 획수 변동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필순 변동에는 대응할 수 없어서, 필순이 다른 문자의 인식 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f strok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2 has a problem in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variation in the stroke number, but not to the variations in the stroke ord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recognition accuracy of characters having different stroke orders.

또한 상기 종래예 1, 2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서는 문자의 스트로크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의 전체적인 형상은 깨끗한데도 불구하고, 일부가 연속으로 기입된 문자나 필순이 다른 문자를 고정밀도로 독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es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1 and 2 actively recognize and use the information on the stroke of the character, although the overall shape of the character is clean, it is possible to select a character in which a part is continuously written or a character in a different order. It was difficult to read with high precision.

또한, 문자의 품질에 관계없이 인식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비교적 정중하게 필기한 경우에도 더럽게 필기한 문자와 동일한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고,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처리를 복잡하게 하면 모든 문자에 대해서 인식 시간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ecognition process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characters, it requires the same processing time as the dirty handwritten characters even when relatively carefully handwritten, and all the characters are recognized if the processing is complicat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accuracy. There was a problem that time was reduc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밀도의 인식을 실현함과 동시에 고속으로 인식 가능한 온란인 문자 인식 방법 및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obtain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that can realize high-precision recognition and can recognize them at high speed.

구체적으로는, 필순 대응 인식의 계산량을 저감함으로써 고속이며 고정밀도의 인식을 행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first object is to perform high-speed and high-precision recognition by reducing the calculation amount of necessary order recognition recognition.

또한, 획수 대응 인식의 계산량을 저감함으로써 고속이며 고정밀도의 인식을 행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second object is to perform high speed and high precision recognition by reducing the calculation amount of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또한, 고속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필순 변동 및 획수 변동에 대처할 수 있고 더욱 고정밀도의 인식을 행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object is to recognize at a high speed, to cope with fluctuations in the order of maneuver and to change in the number of strokes, and to perform recognition with higher precision.

또한, 필기한 문자의 필순이 표준 문자의 필순과 다른 경우에도 인식을 정밀도 좋게 행하는 것을 제4목적으로 한다.Further, even if the writing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s differs from the writing order of the standard characters, the fourth object is to accurately perform recognition.

또한, 정답 가능성이 높은 문자에 대해서는 보다 유연하게 필순 변동에 대응하고, 정답 가능성이 낮은 문자에 대해서는 필순의 변경을 너무 행하지 않도록 하여 고속이고 고정밀도의 인식을 행하는 것을 제5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igh-speed recognition with high flexibility in responding to the fluctuation in the required order for characters with a high likelihood of correct answers, and to not change the required order for the characters with a low likelihood of correct answers.

또한, 문자 형태 인식의 인식 결과가 좋은 경우에는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출력하는 것을 제6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is good, the sixth object is to output the recognition result at high speed.

또, 실제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을 시킴으로써 인식율이 나빠지는 것을 제7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venth object is that the recognition rate is deteriorated by making a correspondence which is not possible in actual writing.

도1은 실시 형태 1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2는 실시 형태 1의 제어수단(59)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59 of the first embodiment.

도3은 실시 형태 1의 입력 수단(50)에 필기한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면.Fig. 3 shows an input pattern written in the input means 50 of the first embodiment.

도4는 실시 형태 1의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동작을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5는 실시 형태의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할당 방향 코드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types of assignment direction codes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of the embodiment.

도6은 실시 형태 1의 방향 코드를 할당하는 처리를 행한 후의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pattern after performing a process of assigning a direction cod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도7은 실시 형태 1의 방향 코드를 영역 분할하여, 각 영역마다 방향 코드를 카운트한 도면.Fig. 7 is a view in which the direction code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ivided into areas, and direction codes are counted for each area.

도8은 실시 형태 1의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ecessary sequence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of the first embodiment.

도9는 실시 형태 1의 필수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스트로크의 방향,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을 할당하는 경우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in the case of assigning the direction of a stroke and the direction of a virtual stroke in the essential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of the first embodiment.

도10은 실시 형태 1의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입력 패턴의 제1스트로크의 스트로크 특징을 도시한 도면.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strok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troke of the input pattern in the necessary order recognition means 54 of the first embodiment.

도11은 실시 형태 1의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스트로크의 대응을 행하기 위한 룰을 도시한 도면.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rule for correspondence of strokes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of the first embodiment.

도12는 실시 형태 1의 스트로크 특징 사서 중의 문자 「亞」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열을 도시한 도면.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roke string of the standard pattern of the letter “亞” in the stroke feature librarian of Embodiment 1;

도13은 실시 형태 1의 문자 「亞」를 다른 필순으로 기입한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면.Fig. 13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pattern in which the letter “亞” of Embodiment 1 is written in different order of times;

도14는 실시 형태 1의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의 입력 패턴의 필순 변경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dure of changing the order of input patterns in the order of note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of the first embodiment; FIG.

도15는 실시 형태 1의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연속 문자의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면.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pattern of continuous character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57 of the first embodiment.

도16는 실시 형태 1의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에서의 표준 패턴과 연속 문자의 대응 결과를 도시한 도면.Fig. 16 shows the result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andard pattern and the continuous character in the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7 of the first embodiment.

도17은 실시 형태 2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8은 실시 형태 2의 제어 수단(59)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18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59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9는 실시 형태 3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1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도20은 실시 형태 3의 제어수단 (59)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20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59 of the third embodiment.

도21은 실시 형태 4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도22는 실시 형태 4의 제어수단(59)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Fig. 22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59 of the fourth embodiment.

도23은 실시 형태 4의 DP 매칭 수단(130)에서의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DP 매칭 결과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FIG. 23 is a diagram showing a path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DP matching result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n the DP matching means 1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minimized; FIG.

도24는 실시 형태 4의 DP 매칭 수단(130)에서의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실제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을 행한 경우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path in the case where correspondence that cannot be achieved in the actual writing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n the DP matching means 13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shown.

도25는 실시 형태 4의 안정 스트로크 검정 수단(132)에서 검출한 안정 스트로크의 대응을 도시한 도면.Fig. 25 shows the correspondence of the stable strokes detected by the stable stroke verification means 132 of the fourth embodiment.

도26은 종래예 1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of the conventional example 1.

도27은 종래예 2의 입력, 패턴, 표준 패턴 및 그 대응 결과를 도시한 도면.FIG. 27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a pattern, a standard pattern, and corresponding results of the conventional example 2. FIG.

도28은 종래예 2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xample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패턴 매칭 장치 2 : 표준 패턴 기억 장치1: pattern matching device 2: standard pattern storage device

3 : 필순 조합 기억 장치 4 : 표준 패턴 재구성 장치3: essential order combination memory device 4: standard pattern reconstruction device

5 : 식별 장치 10~17 : 표준 패턴의 특징점5: identification device 10-17: characteristic point of standard pattern

30~39 : 입력 패턴의 특징점 40 : 문자 획수 검출부30 ~ 39: Characteristic point of input pattern 40: Character stroke count detection unit

41 : 사서 어드레스 발생부 42 : 사서41: librarian address generator 42: librarian

43 : 특징 추출부 44 : DP 매칭부43: feature extraction section 44: DP matching section

46 : 판정부 47 : 범위 지정46: determination unit 47: range designation

50 : 입력 수단 51 : 문자 형태 사서50: input means 51: character form librarian

52 : 문자 형태 인식 수단 53 : 스트로크 특징 사서52: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3: stroke feature librarian

54 : 필순 대응 인식 수단 55 : 필순 우선 출력 수단54: necessary order recognition means 55: required priority output means

57 : 획수 대응 인식 수단 59 : 제어 수단57: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59: control means

60~66 :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70 : 수직 방향 코드(V)60 to 66: Stroke of input pattern 70: Vertical direction code (V)

71 : 수평 방향 코드(H) 72 : 우측 상방 방향 코드(R)71: horizontal direction code (H) 72: right upward direction code (R)

73 : 좌측 상방 방향 코드(L) 80~86 :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73: Left upward direction code (L) 80 to 86: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90~96 : 필순이 다른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90 ~ 96: Stroke of input pattern with different order

100~105 : 연속 문자의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100 to 105: Stroke of the input pattern of consecutive characters

110 :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 120 : 가중 필순 대응 인식 수단110: character type priority output means 120: weighted mandato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130 : DP 매칭 수단 131 : 스트로크 대응 검정 수단130: DP matching means 131: stroke response test means

132 : 안정 스트로크 검정 수단132: stable stroke test mean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제1발명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은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스텝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낸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 문자에 유사한 표준 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스텝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낸 제1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1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을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필순 대응 인식 스텝과,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스텝을 갖는 것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includes a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handwriting operation of a character, extracting a feature representing an entire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entire shape. A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s from a librarian based on the displayed characteristics, and extracting a first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feature of a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 plurality of standards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taking into account the stroke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trok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based on the one stroke characteristic; A necessary order recognition step of calculating a similarity degree of the written character of the character, And a first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여기에서, 필기 정보 입력 스텝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타블렛 등에 문자를 기입하는 스텝(도 2에서의 S1)에 상당한다. 또한, 제1스트로크 특징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으로의 방향, 스트로크의 외접구형(外接 矩形)의 폭, 높이 등에 상당한다.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준 문자와 필기한 문자와의 거리 등에 상당한다.Here, the writing information input step corresponds to a step (S1 in FIG. 2) of writing a character in a tablet or the like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1st stroke characteristic is corresponded to the direction from the time of a stroke to an end point in the below-mentioned embodiment, the width | variety, the height of an external spherical shape of a stroke, etc. In FIG. The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andard character and the handwritten character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2발명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은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스텝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와 유사한 표준 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스텝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획수를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획수 대응 인식 스텝과,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2출력 스텝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the second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handwriting operation of a character, extracting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overall shape. A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on the basis of a feature representing a second character, and a second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feature of a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ok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based on the second stroke feature, and is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 stroke number for calculating a similarity degree to the written character of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And a second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and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여기에서, 제2스트로크 특징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스트로크의 폭, 높이 등에 상당한다.Here, the second stroke features correspond to the width, the height, and the like of the stroke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3발명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은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스텝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와 유사한 표준 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스텝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1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을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필순 대응 인식 스텝과,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판별 스텝과, 상기 제1판별 스텝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스텝과, 상기 제1판별 스텝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획수를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획수 대응 인식 스텝과,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2출력 스텝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handwriting operation of a character, extracting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overall shape. A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the first character, and a first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characteristic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 plurality of items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taking into account the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trokes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based on the first stroke feature; Calculation of the similarity of the written characters of the standard characters o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iscrimination step and the first discrimination step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andard character is output by comparing the recognition step with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and a predetermined value. A first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and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output in the first discrimination step. Extracting a second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written character, and matching the stroke of the written character with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based on the second stroke characteristic; I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is 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A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step of calculating a similarity degree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with respect to the written character, and a second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To have.

여기에서, 제1판별 스텝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에 의한 출력 유무의 판정(도 2의 S4)에 상당한다.Here, the 1st determination step is corresponded to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utput by the order of priority output means 55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S4 of FIG. 2).

제4발명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와 유사한 표준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1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1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 의해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을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 의해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필순 대응 인식 수단과,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수단을 갖는 것이다.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handwriting operation of a character, and extracts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reby extracting the overall shap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to be indicated; and extracting a first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Matching the strok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with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on the basis of the first stroke characteristic in consideration of the order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Calculating a similarity degree to the written character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order recogni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stroke orders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to have a first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chosen in the character-recognition means.

여기에서, 필기 정보 입력 수단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입력 수단(50)에 상당한다. 또한, 제1출력 수단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수단(58)에 상당한다.Her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means corresponds to the input means 50 in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In addition, 1st output means is corresponded to the display means 58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또한, 제5발명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와 유사한 표준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와 획수를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획수 대응 인식 수단과,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2출력 수단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handwriting operation of a character, and extracts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based on the feature representing the shape, and a second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associating the stroke of the written character with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based on the second stroke fe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number of strokes, and 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y of the written characters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response recognition means and the recognition means strokes corresponding to have a seco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chosen in the character-recognition means.

여기에서, 제2출력 수단을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수단(58)에 상당한다.Here, it corresponds to the display means 58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of a 2nd output means.

또한, 제6발명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와 유사한 표준 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과,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1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1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을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필순 대응 인식 수단과,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판별 수단과, 상기 제1판별 수단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수단과, 상기 제1판별 수단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획수를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획수 대응 인식 수단과,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2출력 수단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sixth invention extracts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operation of the character, and the entirety.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based on the feature representing the shape, and a first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characteristic of a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matching the strok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with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on the basis of the first stroke fe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order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To calculate similarity for the written characters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A first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standard character is output by comparing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with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means and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iscriminating means is output. The first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means, and th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haracter is not output by the first discriminating means. Extracts a second stroke characteristic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corresponds to the strok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based on the second stroke characteristic;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written character, A second output for outputting a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for calculating a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written characters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outputted, and the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It has a mean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 형태 인식에 의해 후보 문자를 추출하고, 그 후보 문자에 대해서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고, 또한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는 것으로, 이하 도1 내지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extracts candidate characters by character form recognition, performs necessary order recognition recognition on the candidate characters, and also performs stroke number recogn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

도1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도1에서, 참조 번호(50)는 타블렛 등의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참조 번호(51)는 미리 각 문자에 대하여 획수, 필순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의 대국적인 형상 특징을 저장한 문자 형태 사서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handwriting information such as a tablet, and reference numeral 51 denotes a character form in which an international shape characteristic of a character that does not depend on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handwriting order for each character is previously stored. I'm a librarian.

참조 번호(52)는 상기 입력 수단(50)으로부터 얻어진 필기 정보로부터 획수, 필순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의 대국적인 형상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문자 형태 사서(51)와 대조함으로써 인식하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이다. 획수, 필순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의 대국적인 형상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Reference numeral 52 is a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by extracting a large shape feature of a character that does not depend on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order of writing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put means 50 and comparing it with the character form librarian 51. . The general shape features of the characters that do not depend on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order of stroke are described later.

참조 번호(53)는 미리 각 문자에 대하여 획수, 필순, 및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마다의 스트로크 특징을 저장한 스트로크 특징 사서이다.Reference numeral 53 is a stroke feature librarian which stores, in advance, the number of strokes, the stroke order, and the stroke characteristics for each stroke constituting the character for each character.

이 명세서에서 스트로크는 어떤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획은 말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troke refers to each character stroke constituting any one character.

참조 번호(54)는 상기 입력 수단(50)으로부터 얻어진 필기 정보로부터 입력의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서(53)에 저장된 각 문자의 특징을 필순을 고려하여 대응시킴으로써 인식하는 필순 대응 인식 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54 extracts the stroke feature of the input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put means 50, and recognizes the order of correspondence recognized by matching the features of each character stored in the stroke feature librarian 53 in consideration of the order of handwriting. Means.

참조 번호(55)는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얻어진 인식 결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 결과를 최종적인 인식 결과로서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필순 우선 출력 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55 is a priority order output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recognition result as the final recognition resul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ognition result obtain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참조 번호(57)는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과 상기 스트로크 특징 사서(53) 중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획수를 고려하여 대응시키는 것을 인식하는 획수 대응 인식 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57 denotes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at the stroke feature of the input pattern corresponds to the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in the stroke feature librarian 53 in consideration of the stroke count.

참조 번호(58)는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의 인식 결과 혹은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의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58 denote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recognition by the necessary order recognition means 54 or the result of recognition by the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57.

참조 번호(59)는 문자 인식 장치 내의 각 수단(50)~수단(57)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 각 수단(50)~수단(57)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59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peration of each of the means 50 to 57 in th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eans 50 to 57. FIG.

다음에,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제어 수단(59)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means 59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이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으로서 문자 「亞」를 입력한 경우의 문자 인식 순서를 설명한다.As the description in this embodiment,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dure when the character "문자" is input will be described.

우선, S1에서 제어 수단(59)은 입력 수단(50)에 지시하고 입력 패턴을 입수한다. 입력 패턴은 입력 수단(50)으로의 기입 동작에 따른 입력 경과를 포함한 정보이다. 이 정보를 필기 정보로 한다.First, in S1, the control means 59 instructs the input means 50 and obtains an input pattern. The input pattern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gress of the input resulting from the write operation to the input means 50. This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handwriting information.

도 3은 입력 수단(50)에 필기된 입력 패턴 「亞」를 도시한 도면이고, 참조 번호(60)~(66)는 시간 순서대로 입력된 스트로크열이다. 참조 번호(60)~(66)의 순서는 기입하는 스트로크의 입력순 즉 필순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7획으로 필기하였기 때문에 7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되어 있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pattern "Y" written in the input means 50, and reference numerals 60 to 66 are stroke strings input in chronological order. The order of reference numeral 60-66 shows the order of input of the stroke to write, ie, the order of writing. In this example, since seven strokes were written, it consists of seven strokes.

따라서, S1에서는 필기 정보로서 7개의 스트로크(60)~(66)를 입수한다.Therefore, in S1, seven strokes 60 to 66 are obtained as handwriting information.

다음에 S2로 진행하여, 제어 수단(59)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으로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열을 보내서, 문자 형태 인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Proceeding to S2, the control means 59 sends the stroke string of the input pattern to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and instructs it to perform character shape recognition.

이 예에서는 도3의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60)~(66)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 보내지고,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은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60)~(66)로 부터 획수, 필순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의 대국적 형상 특징을 추출하여 인식을 행한다.In this example, the strokes 60 to 66 of the input pattern of Fig. 3 are sent to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and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is from the strokes 60 to 66 of the input pattern. Recognition is performed by extracting international shape features of characters that do not depend on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order of stroke.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인식 처리인 S2의 흐름을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flow of S2 which is the recognition process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i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FIG.

도4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by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As shown in FIG.

우선, 도4의 S11에서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은 입력 패턴의 각 스트로크에 대하여 복수 샘플링된 각 점에 4종류의 방향 코드를 할당한다.First, in S11 of FIG. 4,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assigns four types of direction code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d points for each stroke of the input pattern.

4종류의 방향 코드는 도5에 도시한 4종류의 방향 코드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직(V:70), 수평(H:71), 우측상방(R:72), 좌측 상방(73)의 방향 코드가 존재한다.The four types of direction codes are four types of direction codes shown in Fig. 5, specifically, vertical (V: 70), horizontal (H: 71), upper right (R: 72), and upper left 73 directions. The code exists.

각 방향 모두 화살표 방향을 중심으로 점선까지의 범위를 동일 방향으로 한다.In each direction, the range from the arrow direction to the dotted line is the same direction.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복수의 점이 샘플링되고, 각각의 점에 대하여 상기 4종류의 방향 코드에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A plurality of points are sampled for one stroke, and either one is assigned to the four kinds of direction codes for each point.

그러나, 통상 샘플링된 점은 필기 스피드의 변동이나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일정 간격이 아니며, 또한 반드시 점이 빽빽하게 나열되지는 않는다.However, normally, the sampled points are not at regular intervals due to fluctuations in the writing speed or the sampling rate, and the points are not necessarily closely arranged.

따라서, 이 상태 그대로 각 점에 방향 코드를 할당하면, 동일 분자 형태의 문자라도 필기 스피드에 의해 방향 코드수에 변동이 생긴다. 또한, 문자 크기에 의해서도 점수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적당한 크기로 정규화 및 점 사이를 보간함으로써 점수를 정규화 한다.Therefore, if the direc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point as it is in this state, even if the characters of the same molecular form, the number of direction codes changes depending on the writing speed. In addition, since the score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 size, the score is normalized by normalizing to an appropriate size and interpolating between points.

정규화된 각 점에 대하여 현재 점에서 다음 점으로의 방향을 구하여, 그 방향이 도5의 방향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함으로써 각 점에 방향 코드를 할당한다. 여기에서, 스트로크의 종점은 다음 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의 점과 동일한 방향을 할당한다. 입력 패턴의 각 스트로크(60)~(66)에 크기의 정규화, 보간 처리를 행하고, 각 점에 방향 코드를 할당한 결과를 도6에 도시한다.A direc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point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the current point to the next point for each normalized point, and determining which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shown in FIG. Here, the end point of the stroke is assigned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vious point because the next point does not exist. Fig. 6 shows the results of normalizing the magnitudes and interpolating the strokes 60 to 66 of the input pattern and assigning direction codes to the points.

도6a는 수평 방향 코드(H)를 할당한 결과이고, 도 6b는 수직 방향 코드(V)를 할당한 결과이다. 이 예의 패턴에서는, 우측 상방 R, 좌측 상방 L의 방향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방향은 생략하고 있다.FIG. 6A shows the result of assigning the horizontal direction code H, and FIG. 6B shows the result of assigning the vertical direction code V. FIG. In the pattern of this example, since the direction of upper right R and left upper L does not exist, the direction is abbreviate | omitted.

다음에, 도4의 S12로 진행하여 문자 전체를 4×4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마다 방향 코드수를 카운트 한다.Next, the flow advances to S12 in Fig. 4, where the whole character is divided into 4x4 areas, and the number of direction codes is counted for each area.

도7은, 문자 전체를 4×4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 내의 방향 코드수를 카운트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n which the entire character is divided into 4x4 areas, and the number of direction codes in each area is counted.

도7c는 도6a의 수평 방향의 코드를 카운트한 결과이고, 도7d는 도6b의 수직방향의 코드를 카운트한 결과이다.FIG. 7C is a result of counting the co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FIG. 6A, and FIG. 7D is a result of counting the co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6B.

이에 따라, 입력 패턴으로부터 추출된 4방향의 방향 코드 특징 F는, 각 방향에 대하여 4×4의 16차원의 벡터로서 표현된다.As a result, the four-way direction code feature F extracted from the input pattern is expressed as a four-dimensional 16-dimensional vector in each direction.

F = (FH, FV, FR, FL)F = (FH, FV, FR, FL)

FH = FH1, FH2, …, FH16FH = FH1, FH2,... , FH16

FV = FV1, FV2, …, FV16FV = FV1, FV2,... , FV16

FR = FR1, FR2, …, FR16FR = FR1, FR2,... , FR16

FL = FL1, FL2, …, FL16FL = FL1, FL2,... , FL16

FH1, FH2, …, FH16는, 4×4의 영역 내에서의 수평 방향 코드의 카운트수를 나타낸다. FV, FR, FL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FH1, FH2,... , FH16 represents the number of count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code in the 4x4 area. The same applies to FV, FR, and FL.

다음에 도4의 S3의 진행하여, 미리 각 문자의 표준 패턴의 방향 코드 분포 특징을 저장한 문자 형태 사서와 입력 패턴의 특징과의 거리 D를 구한다.Subsequently, the process proceeds to S3 in Fig. 4, where the distance D between the character form libraria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input pattern which stores the direction cod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standard pattern of each character is calculated.

표준 패턴의 방향 코드의 분포 특징 S를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S of the direction code of a standard pattern can be expressed as follows.

S = (SH, SV, SR, SL)S = (SH, SV, SR, SL)

SH = SH1, SH2, …, SH16SH = SH1, SH2,... , SH16

SV = SV1, SV2, …, SV16SV = SV1, SV2,... , SV16

SR = SR1, SR2, …, SR16SR = SR1, SR2,... , SR16

SL = SL1, SL2, …, SL16SL = SL1, SL2,... , SL16

이 때,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과의 거리 D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tance D between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may be expressed as follows.

D = (DH, DV, DR, DL)D = (DH, DV, DR, DL)

DH = |FH1-SH1| + |FH2-SH2| + …+ |FH16-SH16|DH = | FH1-SH1 | + | FH2-SH2 | +… + | FH16-SH16 |

DV = |FV1-SV1| + |FV2-SV2| + …+ |FV16-SV16|DV = | FV1-SV1 | + | FV2-SV2 | +… + | FV16-SV16 |

DR =|FR1-SR1| + |FR2-SR2| + …+ |FR16-SR16|DR = | FR1-SR1 | + | FR2-SR2 | +… + | FR16-SR16 |

DL =|FL1-SL1| + |FL2-SL2| + …+ |FL16-SL16|DL = | FL1-SL1 | + | FL2-SL2 | +… + | FL16-SL16 |

상기 식에 의해 문자 형태 사서 중의 표준 패턴과 입력 패턴의 거리를 구하고 거리가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50개를 인식 결과의 후보 문자로서 출력한다.The above formula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andard pattern and the input pattern in the character form librarian, and outputs 50 candidate letters in the order of recognition result from the smallest distance.

이상, 도4에서의 S11내지 S13까지의 처리가 획수, 필순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의 대국적인 형상 특징에 의한 인식 처리이다.In the above, the processing from S11 to S13 in Fig. 4 is the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global shape feature of the characters that do not depend on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order of the strokes.

50개의 후보 문자를 선출 후 도2에서의 S3으로 이동한다.After fifty candidate characters are selected, they are moved to S3 in FIG.

다음에 도2의 S3으로 진행하여 제어 수단(59)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50개의 후부 문자를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으로 보내어,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Subsequently, the flow advances to S3 in FIG. 2, and the control means 59 sends the 50 rear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to the handwrit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and instructs to perform handwrit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의 동작을 도8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necessity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5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8은,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4.

우선,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은, 도8의 S20으로 진행하여 입력 패턴으로부터 각 스트로크의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한다.First, the necessary sequence recognition means 54 proceeds to S20 in FIG. 8 to extract the stroke feature of each stroke from the input pattern.

스트로크 특징으로서는 각 스트로크마다의 스트로크의 형상 특징, 스트로크의 시점에서 종점으로 방향, 스트로크의 외접 구형(矩形)의 폭, 스트로크의 외접 구형의 높이,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 가상 스트로크의 외접 구형의 폭, 가상 스트로크의 외접 구형의 높이의 7종류를 추출한다.The stroke features include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for each stroke, the direction from the start of the stroke to the end point, the width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stroke, the height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stroke, the direction of the imaginary stroke, the width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virtual stroke, Seven kinds of heights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virtual stroke are extracted.

스트로크의 외접 구형은 스트로크에 대해 외접하는 구형을 말한다.The circumscribed sphere of the stroke refers to a sphere circumscribed with respect to the stroke.

가상 스트로크란 현재 스트로크의 종점과 다음 스트로크의 시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말한다. 최종 스트로크의 경우에는 다음 스트로크를 최초의 스트로크로 한다. 가상 스트로크의 외접 구형이란 가상 스트로크를 대각선으로 하는 구형을 말한다.The virtual stroke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nd point of the current stroke and the start point of the next stroke. In the case of the final stroke, the next stroke is the first stroke. The circumscribed spherical shape of the virtual stroke is a spherical shape that makes the virtual stroke diagonal.

또한, 각 스트로크의 방형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8 방향으로 양자화한다. 또한 폭, 높이에 대해서는, 문자 전체의 외접 구형의 폭, 높이를 각각 100으로서 정규화한 값이다. 도10에 입력 패턴의 1획째의 스트로크(60)에 대하여 7가지 종류의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한 예를 도시한다.Further, the square of each stroke is quantized in e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The width and height are values obtained by normalizing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entire character as 100, respectively.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seven types of stroke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from the stroke 60 of the first stroke of the input pattern.

다음에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50개의 후보 문자의 스트로크 특징 사서 중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와의 조합을 행하지만,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는 필순의 대응만을 행하기 때문에, 입력 패턴의 획수와 표준 패턴의 획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대응시킬 수 없다.Next, the combination of the stroke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n the stroke feature librarian of the 50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is performed. I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pattern and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standard pattern do not match, it cannot be matched.

여기에서,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는 획수의 정보는 이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후보 문자 중에는 여러가지 획수의 문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우선 S21에서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획수의 조합을 행한다. 획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S21에서 「NO」가 되기 때문에 현재의 후보 문자의 표준 패턴과의 대응은 행하지 않고, 다음 문자와의 대응으로 진행한다. S21에서 일치한 경우는 「YES」가 되어 S22로 진행한다.Here, since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does not use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trokes, the characters of the various strokes are contained in the candidate characters. Therefore, first in S21,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s performed. If the number of strokes does not coincide, it becomes "NO" in S21, so that the correspondence with the standard pattern of the current candidate character is not performed, and the correspondence with the next character is performed. If it matches in S21, it becomes "YES" and advances to S22.

S22에서는 스트로크 특징 사서(53)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과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을 이용한 대응을 행한다. 여기에서, 표준 패턴은 도12와 같이 올바른 필순 혹은 많은 사람이 필기하는 필순으로 스트로크 특징이 나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트로크까리 대응하는지의 여부 판정은 후술하는 대응 룰을 참조하여 대응의 검정을 행한다.In S22, correspondence using the stroke feature of the standard pattern of the stroke feature librarian 53 and the stroke feature of the input pattern is performed. Here, as shown in Fig. 12, it is assumed that the stroke features are arranged in the correct order of writing or the order of writing by many people.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strokes correspond to each other is performed by referring to the corresponding rule described later.

도11에 대응하는 룰의 예를 도시한다. 예에서는 스트로크의 형상마다 검정하는 특징이 기술되어 있고 그 특징에 대하여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검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가로줄끼리의 대응 검정에서는 가로줄 스트로크의 중요한 특징인 스트로크의 폭에 대하여만 검정을 행한다.An example of a rule corresponding to FIG. 11 is shown. In the example, the characteristic to test for each shape of a stroke is described, and the input pattern and a standard pattern are test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 For example, in the corresponding test of the horizontal lines, the test is performed only for the width of the stroke, which is an important feature of the horizontal line strokes.

여기에서, 방향에 관한 검정은 방향의 차가 ±2 이상인 경우는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Here, the test regarding the direction determines that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the direction is ± 2 or more does not correspond,

문자 전체의 외접 구형의 폭, 높이 각각 100에 대하여 폭, 높이의 차가 70 이상인 경우는 폭, 길이에 대하여 검정은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단, 동일한 기준이 아니고 짧은 스트로크끼리에 대응하는 경우는 긴 스트로크의 경우에 대응하는 경우보다 방향이 안정적이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허용 범위를 넓게 한다.If the difference in width and height is 70 or more for each of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entire charac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test is not compatible with the width and length.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trokes correspond to the short strokes rather than the same standard, the direction is not more stable than that in the case of the long stroke, so that the corresponding allowable range is widened.

또한,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 폭, 높이에 대해서는 스트로크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기 때문에 스트로크의 형상에 관계없이 검정을 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대응하는 것은 대응이 성공하고 있는 사이에 행하는 것으로 하고, 대응이 실패한 경우 혹은 모든 스트로크가 대응을 행한 경우는 S23으로 진행한다.In addition, the direction,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virtual stroke are used as a measure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s. Therefore, the test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troke. Here, the above correspondence is performed while the correspondence is successful, and when the correspondence fails or all the strokes correspond, the flow advances to S23.

다음에 S23에서는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중 모든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전부 대응된 경우는 S26으로 진행하고, 도중에서 대응하는 것에 실패한 경우는 S24로 진행한다. 이 예에서는 입력 패턴은 올바른 필순으로 기입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스트로크가 대응하여 S26으로 진행한다.Next, in S23, it is checked whether all the strokes of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have succeeded. If all correspondences are made, the process proceeds to S26, and if it fails in the middle, the process proceeds to S24. In this example, since the input patterns are written in the correct order, all strokes correspond to S26 in correspondence.

다음에 S26에서는, 모든 스트로크에 대하여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 특징의 거리를 계산하여 특징마다 정규화한 후, 각 특징의 거리를 가중시켜 최종적인 현재의 표준 패턴과의 거리를 구한다. 가중은 인식율을 높게 하도록 미리 설정되지만, 획수 등에 의해서 가중치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Next, in S26, the distance between the stroke feature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roke feature of the standard pattern is normalized for each feature for every stroke, and then the distance of each feature is weighted to find the final distance from the current standard pattern. The weight is set in advance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but the weight may be changed by the number of strokes or the like.

단, 스트로크 형상에 대해서는 거리 계산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However, the stroke shape is not used for distance calculation.

여기에서, 스트로크 방향의 정규화 후의 거리 Dd, 스트로크폭의 정규화 후의 거리 Dw, 스트로크 높이의 정규화 후의 거리 Dh, 가상 스트로크폭의 정규화 후의 거리 Dvw, 가상 스트로크 높이의 정규화 후의 거리 Dvh, 가상 스트로크 방향의 정규화 후의 거리 Dvd로부터, 표준 패턴과의 거리 D는Here, the distance Dd after normalization of the stroke direction, the distance Dw after normalization of the stroke width, the distance Dh after normalization of the stroke height, the distance Dvw after normalization of the virtual stroke width, the distance Dvh after normalization of the virtual stroke height, and the normalization of the virtual stroke direction. From later distance Dvd, distance D with standard pattern

D = (Wd×Dd+Ww×Dw1+Wh×Dh+Wvw×Dvw+Wvh×Dvh+Wvd×Dvd)으로 구해진다. 여기에서, Wd는 스트로크 방향의 무게, Ww는 스트로크폭의 무게, Wh는 스트로크 높이의 무게, Wvw는 가상 스트로크폭의 무게, Wvh는 가상 스트로크 높이의 무게, Wvd는 가상 스트로크 방향의 무게를 나타낸다. 이들 가중치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D = (Wd × Dd + Ww × Dw1 + Wh × Dh + Wvw × Dvw + Wvh × Dvh + Wvd × Dvd). Here, Wd represents the weight in the stroke direction, Ww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stroke width, Wh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stroke height, Wvw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virtual stroke width, Wvh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virtual stroke height, and Wvd represents the weight in the virtual stroke direction. These relationships can be obtained as follows.

Wd+Ww+Wh+Wvw+Wvh+Wvd = 1Wd + Ww + Wh + Wvw + Wvh + Wvd = 1

이 무게는 인식율을 높게 하도록 미리 설정해 놓는다. 또한, 이 무게는 인식할 문자의 획수에 따라서 설정을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This weight is set in advance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The weight ma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characters to be recognized.

다음에 S23에서 대응시키는 것을 실패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과 같이 문자 「亞」를 표준 패턴과 다른 필순으로 기입하였다고 한다. 이 경우는, 입력 패턴의 2획째 91과 표준 패턴의 2획째 81은 동일한 세로 막대이지만, 스트로크 높이의 검정에서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2획째까지의 대응을 종료한 단계에서 S24로 진행한다.Next, the operation in the case of failing to correspond in S23 will be described. It is assumed that the letter "문자" is written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tandard patter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lthough the second stroke 91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econd stroke 81 of the standard pattern are the same vertical bars,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height test does not correspond. Therefore, the process proceeds to S24 at the end of the correspondence to the second stroke.

다음에 S24에서는 입력 패턴의 필순이 다르다고 판단하고, 대응에 실패한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차례로 아직 대응에 사용하지 않은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현재 표준 패턴의 k획째와 대응을 행하고 있다고 하면, 표준 패턴의 k-1획째까지의 대응에 사용한 입력 스트로크 이외의 스트로크 중, k획째의 대응을 행하고 있지 않는 것)와 교체함으로써, 필순의 재배열을 행한다.Next, in S24, it is determined that the order of the input patterns is different, and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s which have failed to be corresponded to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s which have not yet been used for correspondence (assum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kth stroke of the current standard pattern) Of the strokes other than the input strokes used for the k-th stroke up to the k-th stroke) are not replaced by the k-th stroke).

단, 최종 스트로크만이 대응되지 않은 경우나, 현재 대응을 행하고 있는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미사용 스트로크가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는, 그때까지의 대응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고, 하나 전의 스트로크에 대응을 대응시키지 않은 것으로 하여, 미사용 입력 스트로크를 대응시킨다.However, if only the last stroke does not correspond, or if the unused stroke does not exist with respect to the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currently being applied,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orrespondence up to that time, and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stroke. Unused input strokes are made to be corresponded.

이 예에서는, 도14a와 같이 대응되지 않은 스트로크(91)를 다음 스트로크(92)와 교체한다.In this example, the non-corresponding stroke 91 is replaced with the next stroke 92 as shown in Fig. 14A.

다음에, S25으로 진행하여 현재까지의 입력 스트로크의 재시도 회수(필순 교체회수)를, 미리 결정한 재시도의 상한 회수와, 비교하고, 그것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NO」가 되어 S22으로 복귀하고, 대응되지 않았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부터 대응을 재개한다.Subsequently, the procedure proceeds to S25 and the number of retry attempts (mandatory replacement frequency) of the input strokes up to now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upper limit number of retry attempts, and when it does not exceed, it returns to NO and returns to S22. The correspondence resumes from the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which did not correspond.

S22에서는 재배열된 입력 스트로크(92)가 표준 패턴의 2획째 스트로크(81)와는 대응하지 않고,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표준 패턴의 2획째 스트로크의 대응은 실패하여 S24로 진행한다.In S22, the rearranged input stroke 92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stroke 81 of the standard pattern, 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fails to proceed to S24.

S24에서는 다음의 미사용 입력 스트로크(93)를 2획째에 갖고 오지만, 표준 패턴의 2획째의 대응에 실패한 입력 스트로크(91)(92)는 원래의 입력 패턴의 필순으로 복귀한다.In S24, the next unused input stroke 93 is brought to the second stroke, but the input strokes 91 and 92 which fail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return in the order of the original input pattern.

이동 후의 입력 스트로크열을 도시한 것이 도14b이다.Fig. 14B shows the input stroke string after the movement.

상기 처리를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스트로크에 대응할 때까지의 필순 교체 과정을 도14c 내지 도14f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6번의 재시도로 대응이 성공하여, 올바른 필순으로 필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S26으로 진행하고, 표준 패턴과의 거리가 계산된다. 또, 상기 필순의 교체에 따라 필순이 변경된 입력 스트로크에서는 스트로크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가상 스트로크의 방향, 폭, 높이는 재계산된다.14C to 14F show the necessary replacement procedure until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o finally correspond to all strokes. In this example, the response succeeds with six retries, and the procedure proceeds to S26 as in the case of writing in the correct order, and the distance to the standard pattern is calculated. In the input stroke whose handwriting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eplacement of the handwriting, the directions, widths, and heights of the virtual strokes indica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s are recalculated.

상기 대응하는 것을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모든 인식 후보 문자에 대하여 종료한 경우는 도2의 S4로 진행된다.When the corresponding is finished for all the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the process proceeds to S4 of FIG.

S4에서는 제어 수단(59)은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대응이 성공한 문자 중에서 최소 거리가 된 문자의 거리를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으로 보낸다.In S4, the control means 59 sends the distance of the character which became the minimum distance among the characters with which the correspondence succeeded by the correspondence order recognition means 54 to 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As shown in FIG.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에서는 대응에 성공한 문자의 거리를 미리 결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거리가 임계치보다 짧은 경우에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거리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compares the distance of the character which succeeded in correspondenc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determines that the result is output when the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threshold, and does not output the result when the distanc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Determine.

제어 수단(59)은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이 출력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은 문자 인식 수단(52)에서 선출된 50개의 문자 중,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산출한 거리가 짧은 문자부터 차례로 소정 개수를 표시 수단(58)으로 보내고, 표시 수단(58)에서는 문자를 표시한다.When the control means 59 determines that 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outputs, among the 50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52, the characters of the short distance calculated by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means 54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predetermined number is sent to the display means 58, and the display means 58 displays characters.

도3의 입력 패턴 및 도 13의 입력 패턴의 경우는 동시에 필순의 대응이 성공하기 때문에 결과의 거리도 임계치보다 충분히 작아져서,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은 출력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의 인식 결과가 최종 결과적으로 출력된다.In the case of the input pattern of Fig. 3 and the input pattern of Fig. 13, since the correspondence of the necessary order is successful at the same time, the result distance is also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determines that the output is necessary, and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The recognition result at 54 is finally output.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이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는 도 2의 S5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means 55 does not output first, the flow advances to S5 of FIG.

다음에 도2의 S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15와 같이 문자 「亞」를 6획으로 필기한 패턴인 경우의 처리를 생각한다.Next,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S5 in FIG. 2, the processing in the case of the pattern in which the letter "亞" is written in six strokes as shown in FIG. 15 is considered.

도15의 입력 패턴은 6획으로 필기되어 있고, 스트로크 특징 사서(53) 중에는 「亞」의 7획의 표준 패턴 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는 도15의 입력 패턴과의 대응은 불가능하다.The input pattern of FIG. 15 is written in six strokes, and since the stroke feature librarian 53 has only seven standard patterns of "k", the necessary order recognition means 54 compares with the input pattern of FIG. Response is impossible.

따라서, 가령 다른 6획 문자와의 대응이 성공하였다고 해도, 다른 문자와 대응되기 때문에 입력 패턴과의 거리는 대단히 커지며,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에서는 임계치보다 작은 값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도2의 S4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S5로 진행한다.Therefore, even if the six-stroke characters succeed,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input pattern becomes very large because they correspond to the other characters, and the output means 55 does not become a value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no output is made,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5.

S5에서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은 문자 인식 수단(52)에서 선출된 50개의 문자에 대하여 종래예2와 같은 DP 매칭에 의해 획수가 다른 것의 대응을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행한다.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를 이하와 같이 나타내고,In S5, the stroke count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7 performs matching of the strokes having different stroke numbers to the minimum of 50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52 by DP matching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2. The stroke of the input pattern is shown as follows.

A = a1, a2, …, ai, …, aI(I는 입력 패턴의 획수)A = a1, a2,... , ai,… , aI (I is the number of strokes in the input pattern)

사서의 표준 패턴 스트로크를 이하와 같이 표시한다.The standard pattern stroke of the librarian is indicated as follows.

B = b1, b2, …, bj, …, bJ(J는 표준 패턴의 획수)B = b1, b2,... , bj,… , bJ (J is the number of strokes in the standard pattern)

ai, bj의 거리 d(i, j)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The distance d (i, j) of ai, bj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d(i, j) = |Wai-Wbj| + |Hai-Hbj|d (i, j) = | Wai-Wbj | + | Hai-Hbj |

여기에서, W는 스트로크의 폭, H는 스트로크의 높이를 나타낸다.Here, W represents the width of the stroke and H represents the height of the stroke.

식 2Equation 2

d(i, j) = |a1-bj|로 하면,If d (i, j) = | a1-bj |

(1) i=1, j=1인 경우(1) If i = 1, j = 1

g(1,1) = d(1,1)g (1,1) = d (1,1)

(2) i=1, j≠1인 경우(2) When i = 1, j ≠ 1

g(1, j) = g(1, j-1) +d(1, j)g (1, j) = g (1, j-1) + d (1, j)

(3) i=1, j=1인 경우(3) i = 1, j = 1

g(i,1) = g(i-1,1) + d(i,1)g (i, 1) = g (i-1,1) + d (i, 1)

(4) 기타(4) other

에 도시한 점화식에 의해, g(I, J)(초기 조건)를 구하고, A의 스트로크열과 B의 스트로크열의 거리 S(A, B)를 하기의 식으로 구한다.G (I, J) (initial condition)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ignition formula shown in the following, and distance S (A, B) of the stroke row of A and the stroke row of B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S(A, B) = 1/(I+J)*g(I, J)S (A, B) = 1 / (I + J) * g (I, J)

상기 DP 매칭을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50개의 인식 결과의 후보 문자에 대하여 행하고, 거리 S(A, B)가 최소의 것부터 차례로 인식 결과로서 표시 수단(58)에 대해 출력한다.The DP matching is performed on the candidate characters of the fifty recognition results obtained by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and the distances S (A, B) are output to the display means 58 as the recognition results in order from the least.

표시 수단(58)에서는 DP 매칭에 의해서 산출된 거리가 작은 문자부터 차례로 문자를 표시한다.In the display means 58, characters are displayed in order starting from the character whose distance calculated by DP matching is small.

이 예에서는 DP 매칭에 의해, 도15의 입력 패턴은 도12의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열과 도16과 같이 대응시켜져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by DP matching, the input pattern of FIG. 15 is matched with the stroke sequence of the standard pattern of FIG. 12 as in FIG.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현태 인식 수단(52)의 특징으로서 방향 코드 특징을 사용하였지만, 문자의 외접 구형으로부터 문자의 스트로크에 마주칠 때까지의 면적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분포 특징이나 스트로크의 선밀도 등 문자의 전체적인 문자 형태를 반영하는 특징이면 좋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code feature is used as the feature of the character presence recognition means 52. However, the peripheral distribution feature, the line density of the stroke, etc.,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area from the circumscribed rectangle of the character to the stroke of the character. It may be a feature that reflects the overall character form of the character.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 코드 특징으로서 4×4로 영역 분할하였지만, 사서 용량, 식별 능력에 따라서 영역 분할수를 변경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area | region division was divided into 4x4 as a direction code characteristic, you may change the area division number according to a librarian capacity and identification capabilit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으로부터 출력하는 후보 문자수로서 50개를 고정으로 하였지만,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식별 능력에 따라서 이 값을 변경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50 is fixed as the number of candidate characters output from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but this value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dentification capability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순 변동에 대응 인식 수단(54)과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에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으로부터 같은 수의 후보 문자를 출력하였지만, 각각의 인식 수단의 식별 능력에 따라서 출력하는 후보 문자수를 바꾸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umber of candidate characters are output from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to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54 and the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7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order of the necessary order. The number of candidate characters to be output may be changed.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진술한다.The effect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is sta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문자에 대국적 특징에 의해 인식한 결과의 후보 문자에 대하여만 필순에 대응함에 따른 인식, 획수에 대응함에 따른 인식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문자 형태가 유사하지 않는 문자의 상세한 특징을 이용한 대응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이고 또한 고정밀도의 인식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ndidate characters of the result recognized by the character of the international character ar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order of handwriting and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Since no correspondence using the detailed features is performed, high-speed and high-precision recognition can be realized.

구체적으로는, 수기 문자를 문자 인식할 때는 JIS 제2 수준의 일부 문자까지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약 4000종류의 문자를 고속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지만, 처음부터 약 4문자에 대하여 필순에의 대응이나 획수에 대응을 행하면, 실용적 처리 시간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 의한 문자 인식을 첫번째 처리로 하는 것으로 하여, 문자의 대략적인 대범한 특징을 이용하여 다음 단계에서 행하는 필순 대응 인식 및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는 문자를 고속으로 압축시키고도록 하고 있다.Specifically, when handwriting characters are recognized by characters, up to some characters of the second level of J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bout 4000 kinds of characters at high speed. If it responds to the number of strokes, it is difficult to make practical processing tim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haracter recognition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is the first process, and the character which performs the essential order recognition and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performed in the next step using the approximate broad feature of a character is made into high speed. To compress.

또한, 인식 후보 문자로서 문자 형태가 유사한 문자가 출력되기 때문에, 오인식시에 사용자에게 주는 인상도 향상되고 또한 인식 후보 문자에 정답 문자가 포함되는 비율도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characters similar in character form are output as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s, the impression given to the user at the time of misrecognition is improved, and the ratio of correct answer characters in the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s is also improved.

또한,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스트로크의 대응을 복수의 특징으로 엄밀하게 행하기 때문에, 획수에 맞춰서 필기된 문자를 고정밀도로 인식할 수 있고, 연속 문자 등 표준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획수 변동이 생긴 입력 패턴을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으로 정확하게 보내는 것이 가능해져, 연속 문자도 고정밀도로 인식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rrespondence order recognition means 54 precisely performs stroke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feature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characters writt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number of strokes in which a standard pattern such as a continuous character does not exist is changed. This generated input pattern can be sent accurately to the stroke counterpart recognition means 57, so that continuous characters can also be recognized with high accuracy.

이 실시 형태에서의 문자 표시로서는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에서의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와 획수 대응 인식 수단(57)에서의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As the character display 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recognition result by 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is displayed, and the recognition result by the stroke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57 may be displayed.

따라서, 표시 수단(58)으로의 출력이 2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에서 출력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빠른 단계에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식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utput to the display means 58 is comprised in two steps.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output from 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is determined, the display time can be displayed at an early stage, so that the recognition time can be increased.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첫번째에 문자 형태 인식을 행하고, 두번째에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고, 세번째에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연속 문자보다도 필순을 중시하는 경우, 필순보다도 연속 문자를 중시하는 경우 등 상황에 따라서 두번째 이후의 인식 순서를 바꾸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character type recognition is performed first, mandato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is performed second, and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is performed third. However, if the priority ord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ntinuation character, the continuation charact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essential order. For example, the recognition order after the seco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따라서, 문자 인식 순서로서는, 다음과 같은 패턴을 생각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pattern can be considered as a character recognition order.

A : 문자 형태 인식 → 획수 대응 인식 → 필순 대응 인식A: Recognition of character form → stroke recognition → stroke order recognition

B : 문자 형태 인식 → 필순 대응 인식B: character type recognition → mandato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C : 문자 형태 인식 → 획수 대응 인식C: character type recognition → stroke number recognition

실시 형태 2Embodiment 2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 형태 인식에 의해 추출된 후보 문자를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 필순 대응 인식,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는 것이고, 이하 도17, 도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output candidate characters extracted by character shape recognition, and performs necessary order recognition and stroke number recogn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s not output. 17 and FIG. 18 will be described.

도17에서 참조 번호 (50)~(59)는 실시 형태1과 동일한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Fig. 17, reference numerals 50 to 59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참조 번호(110)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지는 인식 후보 문자의 정보를 토대로 하여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인식 후보 문자를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110 is character type priority output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 of the character type recognition means 52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 obtain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다음에,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도18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제어 수단(59)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Fig. 18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means 59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S2까지의 처리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cessing up to S2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1, S2의 처리를 행하여, 제어 수단(59)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50개의 인식 후보 문자 중 최소 거리의 문자를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110)으로 보낸다.By performing the processing of S1 and S2, the control means 59 sends the character of the minimum distance among the 50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to the character form priority output means 110. FIG.

다음에 도18의 S30으로 진행하여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110)이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 의해 보내진 최소 거리의 문자에 대하여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유사도(예를 들면 정규화 거리)를 구하고, 그 유사도가 미리 각 문자마다 준비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작은 경우는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Next, the flow advances to S30 in FIG. 18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acter type priority output means 110 outputs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haracter type recognition means 52. The determination finds the similarity (eg, normalization distance) between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of the minimum distance sent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and returns the result if the similarity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prepared for each character in advance. It is determined to output, and when it is small, it is determined not to output the result.

입력 패턴의 벡터를 f로 하고, 표준 패턴의 벡터를 g로 하면 유사도 s(f, g)는 이하의 식으로 구한다.If the vector of the input pattern is f and the vector of the standard pattern is g, the similarity s (f, g)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f, g) = (f,g)/∥f∥-∥g∥s (f, g) = (f, g) / ∥ f∥-∥ g∥

여기에서 문자 A의 임계치는 문자 A의 문자 형태 사서(51) 중의 표준 패턴과 인식 대상의 모든 문자 패턴이 포함된 필기 패턴 중의 문자 A 이외의 필기 패턴과의 방향 코드 특징에 의한 유사도를 구하여, 가장 큰 유사도(문자 A의 표준 패턴에 가장 가까운 문자 A 이외의 패턴의 유사도)를 세트한다. 이에 따라, 문자 형태가 유사한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문자 A의 임계치는 작은 값으로 되어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결과가 그대로 출력되는 비율이 커진다.Here, the threshold value of the letter A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similarity by the direction code feature between the standard pattern in the letter form librarian 51 of the letter A and the handwriting pattern other than the letter A in the handwriting pattern including all the character patterns to be recognized. A large similarity (the similarity of the pattern other than the letter A closest to the standard pattern of the letter A) is set. As a result, the threshold value of the letter A in which there are no letters having similar letter shapes becomes a small value, and the ratio at which the result of the let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is output as it is is increased.

또한, 문자 형태가 유사한 문자가 존재하는 문자는 임계치가 커지기 때문에, 출력되는 비율이 작아져서, 상세한 스트로크 특징에 의한 인식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characters having characters of similar character forms exist, the threshold value is increased, so that the output ratio is small, and the recognition by detailed stroke characteristics can be performed.

S30에서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110)이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 의해 얻어진 50개의 인식 후보 문자를 S2에서 산출한 거리가 작은 것부터 차례로 표시한다.When it is determined in S30 that the character type priority output means 110 does not output the result, the 50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type recognition means 52 are displayed in order from the smallest distance calculated in S2.

S30에서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110)이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 의해 얻어진 50개의 인식 후보 문자에 대하여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S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in S30 that the character type priority output means 110 does not output the result, the process after S3 is per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on the fifty recognition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형태 우선 출력 수단(110)에서의 출력 판정에는 유사도로서 정규화 거리를 사용하였지만, 유클리드 거리나 마하라노비스 거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normalization distance was used as the similarity degree for the output determination by the character-form priority output means 110, you may use a Euclidean distance, a Mahalanobis distance, etc.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effect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 형태가 유사한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문자인 경우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의 인식 결과가 출력되는 비율이 커지고, 필순 변동, 획수 변동 및 문자의 국소적인 변형에 좌우되지 않고 고정밀도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인식 결과가 출력되는 경우는 매우 고속으로 인식이 가능해진다.I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 the case of a character in which characters having similar character shapes do not exist, the rate at which the recognition result is output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is increased, and the order of change, stroke number variation, and locality of the characters are increased. It can be recognized with high precision without being influenced by general deformation. Further, when the recognition result is output from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th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at a very high speed.

또한,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중하게 필기한 문자에 대해서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으로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고,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지 않고 고속으로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통상 인간이 인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중한 문자는 일찍이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주는 인상이 향상한다.Furth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igh precision can be obtain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with respect to the carefully handwritten characters, and since they are displayed at high speed without the necessa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recognition, the case of normal human recognition Similarly, polite characters can be recognized early, improving the user's impression.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에서는 첫번째에 행하는 문자 형태 인식의 결과의 신뢰성이 높은 경우에는 이 단계에서 인식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정중하게 필기한 문자에 대해서는 고속으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result of the first character type recognition is highly reliable, the recognition result is displayed at this stage. Therefore, a character with respectfully handwritten characters can be recognized at high speed. Done.

실시 형태 3Embodiment 3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문자 형태 인식에 의해서 추출한 후보 문자 중 정답 문자 가능성이 높은 문자에 대해서는 필순 대응 인식의 재시도 회수를 많이 설정하는 것으로, 이하 도 19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sets a large number of retries of necessa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for a character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correct answer character among candidate characters extracted by character shape recogn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0. do.

도19에서, 참조 번호(50)~(59), (110)는 앞에서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 번호(120)는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대응을 행하는 대응하고, 가중 필순 대응 인식 수단이다.In Fig. 19, reference numerals 50 to 59 and 110 are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Reference numeral 120 denotes a corresponding, weighted mandato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for performing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oke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동작을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20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제어 수단(59)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20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means 59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도20에서 S30까지의 처리는 실시 형태2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processing from Fig. 20 to S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1, S2 S30의 처리를 행하고 S40으로 진행한다. S40에서는 제어 수단(59)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0에서 얻어진 50개의 후보 문자를 가중 필순 대응 인식 수단(12)으로 보내고, 가중 필순 대응 인식 수단(120)은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를 대응시켜 인식한다.The process of S1, S2 S30 is performed, and it progresses to S40. In S40, the control means 59 sends the 50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0 to the weighted handwrit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12,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weighted handwriting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120 receives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The strokes of the patterns are matched and recognized.

상세한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동작은 도8의 실시 형태 1의 동작과 동일하지만, S25에서의 필순의 재배열 회수(재시도 회수)가 실시 형태 1에서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후보 문자에 대하여 전부 동일한데 비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후보 문자의 순위(거리가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늘어진 순위)에 의해 변경한다.The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stroke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8, bu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reordering times (retry times) of the necessary order is obtained for the candidate characters obtain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in the first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andidate character of the character type recognition means 52 is changed by the rank (the rank which descended in order from small distance).

구체적으로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인식 결과의 후보 문자 중 순위가 높은 문자, 즉 정답 문자일 가능성이 높은 문자일수록 리트라이 회수의 임계치를 크게 하고, 순위가 낮은 문자 즉 정답 문자일 가능성이 낮은 문자일수록 재시도 회수의 임계치를 작게 한다.Specifically, the higher the number of letters among the candidate letters i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that is, the letters that are more likely to be correct letters, increases the threshold of the number of retries, and the lower the number of letters, that is, the more correct letters. The lower the letter, the smaller the threshold number of retries.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답의 가능성이 낮은 문자에 대해서는 필순의 재배열 수를 줄여, 필요 이상의 대응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정답의 가능성이 낮은 문자의 필요 이상의 필순의 재배열에 따른 오인식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number of necessary order rearrangements is reduced for the characters with a low probability of correct answer and no correspondence is necessar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m at a high speed, and the required order of characters with a lower probability of correct answer can be recognized. Misunderstanding due to rearrangement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4]Embodiment 4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는 획수 대응 인식일 때에,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이 1 대 1로 대응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안정점에 대하여 각 스트로크의 대응을 행하는 것으로, 이하 도21 내지 도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When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recognizes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extracts a stable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performs each stroke to the stable poin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FIG.

도21에서 참조 번호(50)~(59)는 실시 형태1과, 참조 번호(110)는 실시 형태 2와, 참조 번호(120)는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Fig. 21, reference numerals 50 to 59 are the firs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 110 is the second embodiment, and reference numeral 120 is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참조 번호(130)는 DP 매칭 수단, 참조 번호(131)는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검정 수단, 참조 번호(132)는 안정 스트로크 대응 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 DP matching means, reference numeral 131 denotes a verification means corresponding to a stroke, and reference numeral 132 denotes a stable stroke corresponding means.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2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22.

도22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제어 수단(59)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Fig. 22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means 59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도22에서 S4까지의 동작은 앞에서의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S50 이후의 동작을 설명한다.Operations from Fig. 22 to S4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o explanation is omitted and the operation after S50 will be described.

우선, S4에서 필순 우선 출력 수단(55)이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제어수단(59)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인식 결과의 후보 문자 50개 전부를 DP 매칭 수단(130)으로 보낸다.First, when it is determined in S4 that the priority order output means 55 does not output, the control means 59 outputs all 50 candidate characters of the recognition result obtain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to the DP matching means 130. Send to.

그리고, S50에서는 제어수단(59)이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에서 얻어진 인식 결과의 후보 문자 50개에 대하여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대응을 행하도록 DP 매칭 수단(130)에 대해서 지시한다.In S50, the control means 59 instructs the DP matching means 130 to perform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with respect to 50 candidate characters of the recognition result obtain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52.

여기에서,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검정 수단(131)은 DP 매칭 수단(130)에 의해서 대응된 경로를 검정하고, 있을 수 없는 대응에 대해 페널티를 주어 그 경로의 선택을 방지한다.Here, the test means 131 corresponding to the stroke tests the path corresponding by the DP matching means 130, and penalizes for the non-existent correspondence to prevent the selection of that path.

DP 매칭 수단(130)에 의한 대응 경로에 대하여 도15의 입력 패턴과 도12의 표준 패턴과의 대응을 예로 설명한다. 도15의 입력 패턴은 도12의 표준 패턴으로 도16과 같이 대응시켰지만, 그 대응 경로를 2차원으로 표현한 것이 도 23이다.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put pattern of FIG. 15 and the standard pattern of FIG. 1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corresponding path by the DP matching means 130. FIG. The input pattern of FIG. 15 corresponds to the standard pattern of FIG. 12 as shown in FIG. 16, but FIG. 23 shows the corresponding path in two dimensions.

도23에서 횡축이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열, 종축이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열이다. 도면 중 굵은 선으로 도시한 선이 DP 매칭의 대응 경로이다.In Fig. 23,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stroke sequence of the standard patter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stroke sequence of the input pattern. The thick line in the figure is the corresponding path for DP matching.

도24와 같이 정확하게 대응하는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24와 같이 대응하는 경우도 있다.Although it does not have a problem when it responds correctly like FIG. 24, in some cases, it responds like FIG.

도24는 DP 매칭 수단(130)에서의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실제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을 행한 경우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path in the case where correspondence that cannot be achieved in the actual writing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in the DP matching means 130 is performed.

도24의 대응하는 경우, 입력 패턴의 3획째의 스트로크가 표준 패턴의 3, 4, 5획째와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응 상태를 스트로크의 결합이라고 하며, 원래 2획으로 기재될 스트로크가 1획으로 연속해서 기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In the case of Fig. 24, the third stroke of the input pattern corresponds to the third, fourth, and fifth strokes of the standard pattern. Such a corresponding state is called a combination of strokes,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rokes to be originally described in two strokes are continuously described in one stroke.

그리고, 표준 패턴의 5획째가 입력 패턴의 3획째 및 4획째에 대응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스트로크의 분리라고 하며 원래 1획으로 기재해야 할 스트로크가 2획으로 나누어 기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fifth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corresponds to the third and fourth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Such a state is called separation of strokes, and a state in which a stroke originally to be described in one stroke is divided into two strokes is described.

즉, 표준 패턴 5획째의 스트로크는 스트로크의 결합과 분리가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통상의 문자의 필기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있을 수 없는 대응을 스트로크 대응 검정 수단(131)에 의해 방지한다.In other words, the stroke of the fifth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occurs at the same time as the strokes are combined and separated. Since such a phenomenon does not occur in the writing of ordinary characters, such an inconsistent correspondence is prevented by the stroke correspondence verification means 131.

즉, 스트로크 대응 검정 수단(131)은 DP 매칭 수단(130)이 DP 매칭을 행할 때에, 횡에서 종으로 진행하는 경로 및 종에서 횡으로 진행하는 경로 등 통상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에 대하여, 그 경로를 선택한 경우의 거리값에 충분히 큰 페널티를 부가함으로서 그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stroke correspondence test means 131 performs the DP matching means 130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ence which cannot be achieved in normal writing, such as a path that goes from side to side and a path that goes from side to side when the DP matching is performed. Adding a sufficiently large penalty to the distance value when the route is selected prevents the route from being selected.

다음에, S51로 진행하여, 제어 수단(59)은 안정 스트로크 검정 수단(132)으로 DP 매칭 수단(130)에서 얻어진 경로 정보를 보낸다. 경로 정보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스트로크에 대응을 선으로 표현한 정보이다.Next, the flow advances to S51, and the control means 59 sends the rout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P matching means 130 to the stable stroke verification means 132. The rou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expressed by lin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rokes shown in FIGS. 23 to 25.

안정 스트로크 검정 수단(132)에서는 경로상의 각 점에서 전후 경로가 경사 방향 경로인 경우에 그 점을 안정점으로 추출한다. 단, 경로의 시점에서는 직후 경로가 경사인 경우 경로 종점에서는 직전 경로가 경사인 경로의 경우에 안정점으로 한다.The stable stroke verification means 132 extracts the point as a stable point when the front and rear paths are the slope paths at each point on the path. However, at the start of the path, if the path is inclined immediately, the path end point is set as a stable point in the case of the path where the previous path is inclined.

도25는 안정 스트로크 검정 수단(132)에서 추출한 안정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ble point extracted by the stable stroke verification means 132;

도25에 도15의 입력 패턴과 도12의 표준 패턴에 대응한 결과의 경로에서 안정 스트로크 추출 수단(132)이 추출한 안정점을 ○로 표시한다. 이 예에서는 5개의 안정점이 추출된다.In Fig. 25, the stable point extracted by the stable stroke extracting means 132 in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ttern of Fig. 15 and the standard pattern of Fig. 12 is indicated by ○. In this example, five stable points are extracted.

다음에, 안정 스트로크 검정 수단(132)은 추출된 안정점에 대해서 입력 패턴과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의 대응이 1 대 1로 행해졌다고 해서, 필순 대응 인식 수단(54)에서 사용한 7개의 특징을 이용하여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것을 검정한다.Next, the stable stroke verification means 132 assumes that the stroke of the input pattern and the standard pattern has been perform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stable point. Test against the stroke.

이 대응으로 안정점의 스트로크 중에서 하나라도 대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DP 매칭에서의 대응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후보 문자의 대응으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strokes of the stable point does not correspond to this corresponde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ence in the DP matching has fail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rrespondence of the candidate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도25의 예에서는, 입력 패턴의 스트로크 중 결합한 스트로크(102) 이외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표준 패턴의 스트로크와의 대응의 검정이 행해지지만, 올바르게 대응되어 있으므로 대응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In the example of Fig. 25, the verification of the correspondence with the stroke of the standard pattern is performed for the strokes other than the combined stroke 102 among the strokes of the input pattern.

이상의 처리를 문자 형태 인식 수단(52)의 후보 문자 50개 전부에 대하여 행하고, 대응에 성공한 문자 중 거리가 가장 작은 문자부터 차례로 소정 개수를 최종적인 인식 결과로서 출력한다.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for all 50 candidat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52, and a predetermined number is output as the final recognition result in order from the character with the smallest distance among the characters which have successfully corresponded.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진술한다.The effect of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is stated.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DP 매칭시의 대응에 대하여 실제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로를 제어하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인식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path is controlled so that the correspondence at the time of DP matching does not occur in actual writing, high-precision recognition can be realized.

또한,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DP 매칭의 결과 1 대 1로 대응된 스트로크에 대해서는 복수의 특징으로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검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잘못된 대응을 방지할 수 있어서 고정밀도의 인식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one-to-one correspondence as a result of DP matching are tested to match the strokes with a plurality of features, so that incorrect correspondence can be prevented and high precision recognition can be realized.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도시한 효과를 발휘한다.Since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t shows the effect shown below.

제1발명은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한 표준 문자에 대하여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기 때문에,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는 표준 문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고속이고 고정밀도의 인식이 가능하다.Since the first invention performs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on the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the number of standard characters that perform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can be reduced, so that high speed and high accuracy can be recognized.

제2발명은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한 표준 문자에 대하여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기 때문에,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는 표준 문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고속이고 고정밀도의 인식이 가능하다.In the second invention, stroke number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so that the number of standard characters for stroke number recognition can be reduced, so that high-speed and high precision recognition is possible.

제3발명은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표준 문자를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판별 스텝과, 상기 제1판별 스텝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스텝을 갖기 때문에,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의 인식 결과가 좋은 경우에는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third invention compares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mandato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with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output a standard character, and outputs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ince it has a first output step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if the recognition result in the essential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is good, the recognition result is output at high speed. can do.

제4발명은,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으로 행하여, 상기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스트로크의 순서를 변경하여 다시 대응을 행하기 때문에,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이 표준 문자의 필순과 다른 경우라도 인식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Since the fourth invention makes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okes of the written characters and the strokes of the standard characters in the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s, and if the correspondence is not possible, the fourth stroke changes the order of the corresponding strokes so that the correspondence is performed again. Even if the writing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s differs from the writing order of the standard characters, th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제5발명은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의 스트로크의 순서를 변경한 대응을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산출한 유사도에 따른 회수를 행하기 때문에, 정답의 가능성이 높은 문자에 대해서는 보다 유연하게 필순 변동에 대응하여, 정답의 가능성이 낮은 문자에 대해서는 필순의 변경을 많이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고속이고 고정밀도의 인식이 가능하다.Since the fifth invention performs the number of correspondences in which the order of strokes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required order fluctuation for the characters with high probability of correct answers. For a character with a low probability of correct answer, it is possible to avoid changing the order of the mandatory, so that high-speed and high-precision recognition is possible.

제6발명은, 문자 형태 인식 스텝 후,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유사도와 기정치(旣定値)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2 판별 스텝과,The sixth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standard character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and the predetermined value after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 second discrimination step,

상기 제2판별 스텝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3출력 스텝을 갖기 때문에, 문자 형태 인식 스텝의 인식 결과가 좋은 경우에는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performed in the second discrimination step, since the third output step outputs the standard character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is good. The recognition result can be output at high speed.

제7발명은 DP 매칭 스텝에서 대응된 스트로크로부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가 1 대 1로 대응되는 안정 스트로크를 추출하고, 상기 안정 스트로크에 대하여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상기 표준 문자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안정 스트로크 검출 스텝을 갖기 때문에, 실제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이 존재함으로써 인식율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venth invention extracts a stable stroke in which a stroke of a written character and a stroke of a standard character correspond one-to-one from a corresponding stroke in a DP matching step, and extracts the stabl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with respect to the written character for the stable stroke. Since it has a stable stroke detec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degre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ognition rate from deteriorating because there is a correspondence that cannot be found in actual writing.

제8발명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한 표준 문자에 대하여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기 때문에, 필순 대응 인식을 행하는 표준 문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고속이고 고정밀도의 인식이 가능하다.In the eighth invention, since the necessa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the number of standard characters that perform the necessa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can be reduced, so that high-speed and high-precision recognition is possible.

제9발명은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한 표준 문자에 대하여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기 때문에, 획수 대응 인식을 행하는 표준 문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고속이고 고정밀도의 인식이 가능하다.In the ninth invention, stroke number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so that the number of standard characters for stroke number recognition can be reduced, so that high-speed and high precision recognition is possible.

제10발명은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판별 수단과, 상기 제1판별 수단에서 출력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수단을 갖기 때문에,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의 인식 결과가 좋은 경우에는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tenth invention compares the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mandatory correspondence means with a predetermined value, whereby the first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o output standard characters and the first discriminating means for outputting is determined, Since it has a first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the recognition result is output at high speed when the recognition result in the essential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is good. can do.

제11발명은 DP 매칭 수단에서 대응되는 스트로크로부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가 1 대 1로 대응되는 안정 스트로크를 추출하여, 상기 안정 스트로크에 대하여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상기 표준 문자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안정 스트로크 검출 수단을 갖기 때문에, 실제의 필기에서는 있을 수 없는 대응이 존재함으로써 인식율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venth invention extracts a stable stroke in which a stroke of a written character and a stroke of a standard character correspond one-to-one from a stroke corresponding to a DP matching means, and the standard character for the written character with respect to the stable stroke is extracted. Since it has a stable stroke detection means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y o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ognition rate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ence which is not possible in actual writing.

제12발명은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문자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유사도와 기정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2판별 수단과,The twelfth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iscri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standard character by comparing the similarity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means with respect to the written character and a preset value;

상기 제2판별 수단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3출력 수단을 갖기 때문에,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가 좋은 경우에는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made by the second discriminating means, since the third output means outputs the standard character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is good. The recognition result can be output at high speed.

Claims (6)

(정정)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서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스텝 ;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에 유사한 표준 문자를 사서(辭書)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스텝 ;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1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을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필순 대응 인식 스텝 ;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 판별 스텝 ; 상기 제1 판별 스텝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스텝 ; 상기 제1 판별 스텝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획수를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획수 대응 인식 스텝 ; 및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2 출력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Correction) a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 writing operation of the character; A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of extracting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based on the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Extracting a first stroke feature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stroke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based on the first stroke feature; A correspondence order recognition step of matching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handwriting order of the handwritten characters, and calculating a similarity degree to the handwritten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 first judging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standard character by comparing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sequence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with a predetermined value; A first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in accordance with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made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not perform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a second stroke feature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written character is extracted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written character is based on the second stroke featur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okes of the let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the similarity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with respect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A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step of calculating a value; And a second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in accordance with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문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서 그 필기 정보를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수단 ;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에 유사한 표준 문자를 사서로부터 복수 선출하는 문자 형태 인식 수단 ;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1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필순을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필순 대응 인식 수단 ;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 판별 수단 ; 상기 제1 판별 수단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1출력 수단 ; 상기 제1 판별 수단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상기 필기한 문자의 획수를 고려하여 행하고,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복수의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획수 대응 인식 수단 ; 및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2 출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writing operation of a character;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for extracting a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imilar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a librarian based on the feature representing the overall shape; Extracting a first stroke feature represen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stroke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based on the first stroke feature; Matching order of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handwriting order of the written characters, and calculating the similarity order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to the similarity of the written characters; First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standard character by comparing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means with a predetermined value; First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said character form recogni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said similarity calculated by said necessary order correspondence mea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made by said first discrimination means;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iscriminating means does not output, a second stroke feature indicating a feature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written character is extracted from the writing information, and the written character is based on the second stroke featur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okes of the let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elected by the letter shape recognition means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the similarity of the plurality of standard letters elected by the letter shape recognition means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Stroke number corresponding recognition means for calculating a; And seco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said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said similarity calculated by said stroke correspondence recognition means. (신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은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상기 선출된 표준 문자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은 상기 스트로크의 순서를 변경한 대응을 상기 문자 형식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표준 문자의 유사도에 따른 회수만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Newly formed)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calculates a similarity degree of the selected standard character with respect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mandato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changes the order of the strokes into the character form.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the standard character calculated in the recognition step. (신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 이후에,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표준 문자와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2판별 스텝 ; 및 상기 제2 판별 스텝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3출력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별 스텝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New)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fter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standard character by comparing the similarity and a predetermined value with the standard character calculated in the character form recognition step for the written character. A second discri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d a third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made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no output is made in the judging step, the necessary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is executed. (신설)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수 대응 인식 스텝은 DP 매칭 스텝 및 유사도 산출 스텝으로 구성되고, 상기 DP 매칭 스텝은 상기 필기 정보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제2 스트로크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스트로크 특징을 기초로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를 대응시키는 것을 DP 매칭에 의해 행하고, 상기 유사도 산출 스텝은 상기 DP 매칭 스텝에서, 대응되어진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필기한 문자의 스트로크와 상기 표준 문자의 스트로크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안정 스트로크를 추출하여, 상기 안정 스트로크에 대하여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의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출력 스텝은 상기 유사도 산출 스텝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스텝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New) The second strok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oke number correspondence recognition step is composed of a DP matching step and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wherein the DP matching step is a second stroke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constitut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Extracting a feature and matching the stroke of the written character with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based on the second stroke feature is performed by DP matching, and the similarity calculating step is performed by the DP matching. In the step, a stable stroke in which the stroke of the written character and the stroke of the standard character correspond one-to-one is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stroke, and the written character of the selected standard character is selected in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step with respect to the stable stroke. Calculate a similarity with respect to a character, and the second output step is similar to the similarity The dependence on the degree of similarity, the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 chosen in the character-recognition step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한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표준 문자의 유사도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표준 문자를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2판별 수단 ; 및 상기 제2 판별 수단에서 출력한다고 판별한 경우에,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문자 형태 인식 수단에서 선출된 표준 문자를 출력하는 제3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순 대응 인식 수단은 상기 제2 판별 수단에서 출력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 처리를 실행하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second discrimination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standard character by comparing a similarity of the standard character calcula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with respect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a predetermined value; And thir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standard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similarity calculated by the character shape recognition means when the output is determined by the second discrimination means. And the recognizing means carries out the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criminating means does not output.
KR1019960053419A 1996-01-16 1996-11-12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2362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04760 1996-01-16
JP00476096A JP3360513B2 (en) 1996-01-16 1996-01-16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77A KR970059977A (en) 1997-08-12
KR100236247B1 true KR100236247B1 (en) 1999-12-15

Family

ID=1159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419A KR100236247B1 (en) 1996-01-16 1996-11-12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60513B2 (en)
KR (1) KR100236247B1 (en)
CN (1) CN1093965C (en)
TW (1) TW315446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1495B2 (en) 2009-11-10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8233T2 (en) 1996-11-15 2008-07-31 Toho Business Management Center BUSINESS MANAGEMENT SYSTEM
KR20010002230A (en) * 1999-06-12 2001-01-15 김항준 Construction of Hidden Markov Model for On-line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JP4817297B2 (en) * 2006-02-10 2011-11-16 富士通株式会社 Character search device
CN100382098C (en) * 2006-09-08 2008-04-16 华南理工大学 First-end stroke online extraction method for written Chinese character
KR101457456B1 (en) * 2008-01-28 2014-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personal font generation
CN102375994B (en) * 2010-08-10 2013-05-29 广东因豪信息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d reducing correctness of order of strokes of written Chinese charac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579A (en) * 1981-04-27 1982-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nline recognition system for handwritten character
JPS61198385A (en) * 1985-02-27 1986-09-02 Oki Electric Ind Co Ltd Character recogniz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579A (en) * 1981-04-27 1982-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nline recognition system for handwritten character
JPS61198385A (en) * 1985-02-27 1986-09-02 Oki Electric Ind Co Ltd Character recogniz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1495B2 (en) 2009-11-10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129A (en) 1997-07-23
CN1093965C (en) 2002-11-06
KR970059977A (en) 1997-08-12
TW315446B (en) 1997-09-11
JPH09198466A (en) 1997-07-31
JP3360513B2 (en) 200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043B2 (en) On-line handwriting recognizer
US4481665A (en) Character segmentation method
KR100248917B1 (en) Pattern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US5005205A (en) Handwriting recognition employing pairwise discriminant measures
EP0539739A2 (en) Improving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prototype confusability dialogue
CN101661745A (en) Method for converting musical notation image into sound file
KR100236247B1 (e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58898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recognition of handwritten symbols from stroke-parameter data
US4975974A (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US6947596B2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H0714011A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recognition
KR100299725B1 (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JPH06162266A (en) Method for recognizing on-line handwritten character and device therefor
JP2671984B2 (e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JP2001243425A (en) On-lin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JPH04138583A (en)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JP2519782B2 (en) Character separation method
JPH07107698B2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JP3138665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851865B2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JPH10247221A (en) On-line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JPH02105983A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JP3481850B2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JPS61163472A (en)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JPS62271191A (en) Pattern recogni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