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419B1 -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 Google Patents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419B1
KR100217419B1 KR1019960060892A KR19960060892A KR100217419B1 KR 100217419 B1 KR100217419 B1 KR 100217419B1 KR 1019960060892 A KR1019960060892 A KR 1019960060892A KR 19960060892 A KR19960060892 A KR 19960060892A KR 100217419 B1 KR100217419 B1 KR 10021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wireless terminal
jack
inpu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41588A (en
Inventor
성상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6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419B1/en
Publication of KR1998004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4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무선 단말기와 모뎀을 접속하여 컴퓨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enabling computer communication by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and a modem.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 유선으로 컴퓨터와 국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되고 모뎀의 사용범위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의 모뎀 연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dem connection of a wireless terminal that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 computer and a trunk line by wire to use a modem, and does not limit the range of use of the modem.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컴퓨터에 접속된 내장형 혹은 외장형 모뎀과 무선 단말기- 무선 전화기, 휴대용 전화기, 주파수공용통신(TRS) 단말기, 발신전용전화(CT-2), 개인휴대통신(PCS) 단말기 등-를 RJ-11 잭(jack)으로 접속하고, 컴퓨터로부터 모뎀과 RJ-11 잭을 통해 무선 단말기로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있을 때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유선 연결의 번거로움과 사용 범위의 제한을 벗어나 자유로운 통신을 할 수 있다.Built-in or external modems and wireless terminals connected to a computer, such as wireless telephones, portable telephones, TRS terminals, outgoing-only telephones (CT-2), personal cellular communications (PCS) terminals, etc. jack), and when there is a telephone number input from the computer to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modem and the RJ-11 jack, the wireless terminal dials the telephone number to enable computer communication. This allows users to communicate freely without the hassle of wired connec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ir use.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무선 단말기를 모뎀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 사용한다.It is used for data communication by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modem.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모뎀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RJ-11 잭을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를 모뎀에 접속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with a modem in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to a modem using an RJ-11 jack.

아날로그 전송로인 전화망은 사람의 음성신호인 300∼3400Hz 주파수 범위의 아날로그 신호만 전송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회선종단장치인 모뎀(modem)이 필요하다. 상기 모뎀은 변복조, 다이얼링(dialing), 자동응답 및 자동속도 조절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변복조기능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다이얼링 기능은 일반 전화와 같이 상대방 단말번호를 호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자동응답기능은 수신측 모뎀이 내부 회로를 동작시켜 상대방과 연결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자동속도 조절기능은 송신측의 통신속도와 수신측의 통신속도가 다를 경우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말한다.The telephone network, which is an analog transmission path, is designed to transmit only an analog signal in a frequency range of 300 to 3400 Hz, which is a human voice signal. Therefore, a modem, which is a line termination device, is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The modem performs modulation and demodulation, dialing, automatic answering, and automatic speed adjusting.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The dialing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calling a counterpart terminal number like a normal telephone. The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ceiving a modem by a receiving modem by operating an internal circuit. The automatic speed adjusting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peed when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receiving side are different.

도 1은 컴퓨터와 모뎀 및 일반 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mputer, a modem, and a general telephone are connected to a trunk line.

도시한 바에 따르면, 외장형 모뎀을 사용한 경우에 해당되나 컴퓨터의 보드형태로 슬롯에 꽂히는 내장형 모뎀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외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에는 국선(C.O)에 연결된 전화선(T1)을 모뎀(200)에 연결하고, 상기 모뎀(200)에서 컴퓨터(100)로 케이블(Ca)을 연결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전화선(T2)으로 상기 모뎀(200)과 전화기(300)를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한 상태에서 모뎀(200)을 동작시키고 상기 컴퓨터(100)에서 전화를 걸어서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모뎀(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전화기(300)는 일반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반면에 내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에는 국선에 연결된 전화선을 모뎀카드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전화선으로 상기 모뎀카드와 전화기를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모뎀카드를 동작시키고 컴퓨터에서 전화를 걸어서 컴퓨터통신을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모뎀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전화기는 전화기 고유의 기능인 음성통화에 이용된다.As shown, this is the case when an external modem is us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internal modem that is inserted into a slot in the form of a computer board. When using an external modem, the telephone line T1 connected to the trunk line C.O is connected to the modem 200, and the cable Ca is connected from the modem 200 to the computer 100. Then, the modem 200 and the telephone 300 are connected to another telephone line T2. In this state, the modem 200 is operated and the computer 100 makes a phone call to communicate or exchange data. When the modem 200 is not used, the telephone 300 operates like a normal telephon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built-in modem, the telephone line connected to the trunk line is connected to the modem card, and the modem card and the telephone are connected to the other telephone line. In this state of connection, the modem card is operated and a computer makes a phone call to communicate with or exchange data. When not using a modem card, the phone is used for a voice call, a function unique to the phone.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선으로 컴퓨터와 국선이 연결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모뎀의 사용범위는 상기 국선이 있는 근처의 일정한 거리로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모뎀을 쓰기 위해서는 컴퓨터 또는 모뎀 근처에 국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벽면이나 근처에 국선이 연결된 커넥터(connector)가 없으면 별도의 확장 케이블로 국선을 컴퓨터 또는 모뎀 근처까지 연결해와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모뎀을 이용할 수 있는 범위는 국선이 있는 커넥터 근처의 가까운 거리 이내로 제한된다. 또한 건물 밖이나 야외 또는 이동중일 때는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 교신을 할 수 없었다.In order to use a modem, a computer and a trunk line must be connected by wire, and the range of use of the modem is limited to a constant distance near the trunk line. In other words, in order to use a modem, a CO line should be connected near the computer or modem. In addition, if there is no connector connected to the trunk line on or near the wall, it is troublesome because the trunk line should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or modem with a separate extension cable. In addition, the range in which the modem is available is limited to a short distance near the connector with the trunk line. In addition, when outside the building, outdoors, or on the move, modems could not communicate 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 유선으로 컴퓨터와 국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되고 모뎀의 사용 범위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dem connection of a wireless terminal, which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 computer and a trunk line by wire to use a modem and does not limit the range of use of the modem.

도 1은 컴퓨터와 외장형 모뎀 및 일반 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mputer, an external modem, and a general telephone are connected to a trunk lin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m access control process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are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a specific circuit,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J-11 잭(430)은 상기 무선 단말기를 전화선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선연결감지부(440)는 상기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선연결감지부(440)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온(on) 혹은 오프(off)의 신호를 주거나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기적인 스위치를 써서 하이(high) 혹은 로우(low) 상태의 신호를 주도록 구성한다. 입력감지부(450)는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에서의 감지결과, 즉 전화선의 연결 여부에 따라 온 혹은 오프 되며 항상 온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화선으로부터 전화번호, 즉 이중음다중주파수(DTMF)신호 또는 다이얼 펄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선연결감지부(440)는 상기 입력감지부(450)와의 관계에서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 즉 상기 선연결감지부(440)가 없을 경우 상기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면 항상 모뎀 사용 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원하지 않는 동작을 할 수도 있고 불필요하게 회로를 온 시켜서 전류를 소비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이얼부(46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한다. 제어부(42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선연결감지부(440) 및 입력감지부(450)에서 각각 감지한 결과, 즉 전화선 연결 여부 및 전화번호 혹은 데이터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다이얼부(46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지 않았을 때와 선이 연결되어도 그 선으로부터 입력이 없을 때에는 무선 단말기를 원래의 기능인 음성 통화에 이용할 수 있게 제어한다. 반면에 상기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고, 그 전화선으로부터 전화번호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그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를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의 감지결과를 입력하여 분석한 결과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감지부(450)를 온시키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오프시켜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송수신부(410)는 상기 제어부(420) 또는 상기 다이얼부(460)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때 고정장치 또는 기지국(무선 전화기는 무선 전화기 고정장치, 휴대용 전화기,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화로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와 상기 입력감지부(450)는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RJ-11 jack 430 serves to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to a telephone line. The lin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detects whether a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The wir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may be configured to give an on or off signal using a mechanical switch or to give a high or low signal using an electrical switch such as a transistor. Configure. The input detection unit 450 may be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440, that is, whether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or not. It detects whether a telephone number, ie, a DTMF signal or dial pulse, is input from the telephone line. The wir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has a meaning of its existence in relation to the input detecting unit 450. That is, when the lin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is not present, when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the modem may always operate in a state of using a modem. This is because the current is consumed. The dial unit 460 dials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The controller 420 collective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is, the control unit 420 controls the dial unit 460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cting each of the lin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and the input detecting unit 450, that is, whether a telephone line is connected and whether a telephone number or data is input. do. Specifically, when the telephone line is not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and there is no input from the line even when the line is connected, the wireless terminal is controlled to be used for a voice call which is an original function. On the other hand, a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and when a telephone number is input from the telephone line, the telephone line is dialed to control the wireless terminal to be used f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the control unit 420 turns on the input detection unit 4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440 is connected. When off, control to reduce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10 is a fixed device or a base station when the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420 or the dial unit 460 (wireless telephone is a fixed device, a portable telephone, a frequency public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with the base station so that the user can communicate. Meanwhile, the lin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and the input detecting unit 450 may be configured as one in some case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도 2의 구성에서 선연결감지부(440)와 입력감지부(450)가 없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RJ-11 잭(430)이 상기 제어부(420)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모뎀(200)을 사용하려면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후에 상기 모뎀(200)의 전환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르거나 상기 모뎀(200)을 켜서 컴퓨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와 입력감지부(450)의 역할을 수동으로 대신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선을 연결하고, 전화를 걸고, 모뎀의 전환스위치를 누르거나 모뎀을 켜는 등 모든 동작을 직접 해야 한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ir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and the input detecting unit 450 are not includ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J-11 jack 4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20 so that the user can dial the desired telephone number to use the modem 200, the switch of the modem 200 ( (Not shown.) Or turn on the modem 200 to perform computer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role of the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440 and the input detection unit 450 is manually substituted. In this case, you should do all the work, such as connecting the line, making a phone call, pressing the modem's changeover switch or turning on the modem when you wan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전화선 연결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lephone line connection control process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단계에서 제어부(420)는 선연결감지부(44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명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4b단계에서 입력감지부(450)를 온 한다. 그리고 4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입력감지부(45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RJ-11 잭(430)을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4d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다이얼부(46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4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모뎀사용모드로 전환하여 이후로부터는 모뎀 사용 상태로 동작한다. 4f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모뎀(200)의 사용 여부, 예를 들면 상기 모뎀(200)에서 데이터 입력이 계속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데이터 입력이 끝난 것을 감지하면 상기 4a단계로 되돌아간다.In step 4a, the control unit 420 analyzes the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line connection detecting unit 440 to check whether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the controller 420 turns on the input sensing unit 450 in step 4b. In step 4c, the controller 420 checks whether a telephone number is input through the RJ-11 jack 430 by analyz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sensing unit 45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lephone number is input, the controller 420 controls the dialing unit 460 to dial the input telephone number in step 4d. In step 4e, the control unit 420 switches to the modem use mode and thereafter operates in the modem use state. In step 4f, the controller 420 checks whether the modem 200 is used, for example, whether data input continues in the modem 200. If the check result is detected that the data input is finish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4a.

상기 4a단계에서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4h단계에서 입력감지부(450)를 오프 한다. 그리고 4i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4c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RJ-11 잭(430)을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4g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입력감지부(450)를 온하고 상기 4i단계에서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한다. 즉, 상기 RJ-11 잭(430)에 선이 연결되지 않거나 선이 연결되었어도 전화번호 입력이 없을 때는 무선 단말기 본래의 기능인 음성 통화에 이용하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a that the telephone line is not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the control unit 420 turns off the input sensing unit 450 in step 4h. In step 4i, the controller 420 switches to the wireless terminal mode. In addition, when the check result in step 4c, the telephone number is not input through the RJ-11 jack 430, the control unit 420 turns on the input detection unit 450 in step 4g and the wireless terminal mode in step 4i. Switch to That is, even when no wire is connected to the RJ-11 jack 430 or no wire number is input, the RJ-11 jack 430 is used for a voice call which is an original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모뎀과 국선을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국선이 없어도 무선 단말기만 있으면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범위의 제한에서 벗어나서 무선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언제든지 모뎀을 사용할 수 있다.You can save the trouble of having to connect the modem and the trunk line by wire.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trunk line, a wireless terminal can be used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a modem. In addition, the modem can be used at any time in the region where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limitation of the use range.

Claims (7)

소정의 잭을 통해 컴퓨터의 내장 혹은 외장형 모뎀과 연결되어 상기 모뎀을 전화선에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In a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al or external modem of the computer through a predetermined jack to wirelessly connect the modem to the telephone line, 상기 잭을 통해 상기 모뎀과 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연결감지부와,A wire connec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whether a line is connected to the modem through the jack; 상기 잭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부터 제공되는 전화번호 혹은 데이터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와,An input sensing unit for sensing a telephone number or data input provided from the modem through the jack; 상기 선연결감지부에 의해 선 연결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감지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입력감지부에 의해 전화번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모뎀사용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뎀사용모드에서 상기 모뎀의 비사용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감지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When the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detects a line connection, the input detection unit is driven, and when the phone number input is detected by the input detection unit, the phone number is dialed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is set to a modem use mode.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tection unit an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a wireless terminal mode when the modem is not used in the modem use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The modem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wireless terminal is a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2. The modem access control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said wireless terminal is a portable tele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2. The modem access control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said wireless terminal is a common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연결감지부가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The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wire connection detecting unit is a transistor. 소정의 잭을 통해 컴퓨터의 내장 혹은 외장형 모뎀과 연결되어 상기 모뎀을 전화선에 무선으로 연결시키며, 고정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휴대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or external modem of the computer through a predetermined jack to wirelessly connect the modem to the telephone line,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xed device, 상기 잭을 통해 상기 모뎀과 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연결감지부와,A wire connec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whether a line is connected to the modem through the jack; 상기 잭을 통해 모뎀으로부터 제공되는 전화번호 혹은 데이터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와,An input sensing unit for sensing a telephone number or data input provided from a modem through the jack; 상기 선연결감지부에 의해 선 연결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감지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입력감지부에 의해 전화번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고정장치로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얼링을 요구하는 신호를 무선 송출하며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모뎀사용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뎀사용모드에서 상기 모뎀의 비사용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감지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When the line connection is detected by the line connection detection unit, the input detection unit is driven, and when the phone number input is detected by the input detection unit, the fixed device is wirelessly sent a signal for requesting dialing along with the phone numbe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n operation mode to a modem use mode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nsing unit and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a wireless terminal mode when the modem use mode is detected in the modem use mode. Modem access controller. 무선 단말기가 소정의 잭을 통해 컴퓨터의 내장 혹은 외장형 모뎀과 연결되어 상기 모뎀을 전화선에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a modem to a telephone line by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to a built-in or external modem of a computer through a predetermined jack, 상기 잭을 통해 모뎀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a connection with a modem is made through the jack; 상기 모뎀과 연결되었으면 상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telephone number input through the jack if the modem is connected;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모뎀사용모드로 동작하는 제3과정과,Dialing the input telephone number and operating in a modem use mode; 상기 모뎀사용모드에서 상기 모뎀의 비사용 상태를 감지하면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방법.And detecting a non-use state of the modem in the modem use mode.
KR1019960060892A 1996-11-30 1996-11-30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KR100217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892A KR100217419B1 (en) 1996-11-30 1996-11-30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892A KR100217419B1 (en) 1996-11-30 1996-11-30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588A KR19980041588A (en) 1998-08-17
KR100217419B1 true KR100217419B1 (en) 1999-09-01

Family

ID=1948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892A KR100217419B1 (en) 1996-11-30 1996-11-30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4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094A (en) * 1998-10-17 2000-05-06 전주범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analog mobile phone
KR20010047699A (en) * 1999-11-23 2001-06-15 임채용 Cordless telephone with data communic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588A (en)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505B2 (en)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US6073031A (en) Desktop docking station for use with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US5722087A (en) Method for interpreting dialled digits of a dialling sequence transmitted by a dialling means to a radio transceiver
EP0660628A2 (en) A radio telephone adaptor
KR20020046772A (en) Bluetooth access point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KR100217419B1 (en) Modem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wireless terminal aquipment
JPH08186624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198069Y1 (en) An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ata and voice
US5857010A (en) Power-failure resistant communication system
KR100996084B1 (en)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having bluetooth module and bluetooth access point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JPH089948Y2 (en) Cordless phone interface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KR100576022B1 (en) Mobile terminal device with mobility in private exchange
JP2599310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KR100495003B1 (en) Fix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104614B2 (en) Simple repeater with PHS
KR100373502B1 (en)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JPH0583343A (en) Cordless telephone set
KR19990001680A (en) Cordless telephone device that is provided in the form of main body and handset separated like wired telephone
JPH0921975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JPH0779478A (en) Cordless telephone set
KR20030089135A (en) Handsfree system for being capable of changing setting time of redialing
JP2000059521A (en) Cordless telephone set with modular terminal
JP200119756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0521546U (en) Cordless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