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502B1 -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 Google Patents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502B1
KR100373502B1 KR10-2000-0035827A KR20000035827A KR100373502B1 KR 100373502 B1 KR100373502 B1 KR 100373502B1 KR 20000035827 A KR20000035827 A KR 20000035827A KR 100373502 B1 KR100373502 B1 KR 10037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54831A (en
Inventor
이창석
이은선
Original Assignee
이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석 filed Critical 이창석
Priority to KR10-2000-003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502B1/en
Publication of KR2000005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5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통화를 하고자 하는 제1단말기가 직접 기지국과 통화하지 않고도 제2의 다른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1 단말기가 기지국과 송수신해야 할 신호를 제2 단말기가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량이 낮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erein a first terminal to make a call transmits and receives a necessary signal to or from a second base station by wire or wirelessly without a call with a base station. Provides a means for allowing a second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ase station so that a call can be made even when the battery charge of the first terminal is low.

Description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충전량이 낮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단말기간 직접 통신을 하는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terminal that communicates directly between terminals so that a call can be made even when a battery charge is low.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무선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와 통화가 가능하다. 이때 기지국과의 전파상황이 나쁘면 단말기에서 높은 출력전력으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해야 하므로 배터리의 전력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량이 낮을 경우에는 통화를 못하게 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make a call with another user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quired signal with a base st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provided in itself. At this time, if the radio wave condi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bad, the terminal need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a high output power, and thu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increases, and when the battery charge of the terminal is low, the call cannot be made.

통화시간을 늘이기 위해서 배터리의 용량을 늘이면 무게와 부피가 커져 휴대하기 불편해 지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본체와 휴대기로 분리하여 휴대기에는 마이크, 스피커, 키 패드, 표시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만을 구비하도록 하여 무게 및 크기를 줄이고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담당하는 본체는 허리띠에 차거나 가방에 넣어두어 휴대하기 간편하면서도 통화시간을 늘일 수 있는 방법(등록번호 20-0143321, 출원번호 20-1997-0033992, 출원번호10-1997-0074150)이 출원 또는 등록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의 무선통신부를 추가하고 별도의 휴대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부를 두는 방법(출원번호10-1997-0058423)도 출원되어 있고, 기존 단말기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기존 단말기에 추가의 무선장치를 연결하고 별도의 휴대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추가무선장치와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부를 두는 방법(출원번호10-1998-0014316)도 출원되어 있다.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n order to increase the talk time, the weight and volume becomes inconvenient to carry, s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sepa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the main body and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phone has a microphone, speaker, keypa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only a user interface part such as a display unit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and the main body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is easy to carry while being put on a waistband or in a bag, and can increase the talk time (registration number 20-0143321, Application No. 20-1997-0033992 and Application No. 10-1997-0074150 are filed or registered. As another method, an ad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added to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lacing a wireless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user interface and a terminal on a separate portable device is also applied for (application number 10-1997-0058423). It also applies a method of connecting an additional wireless device to an existing terminal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terminal, and having a wireless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a user interface and an additional wireless device on a separate portable device (application number 10-1998-0014316). It is.

상기의 종래 방법들은 배터리의 충전량이 낮을 경우에는 통화를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s do not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talk when the battery is low in charge.

또한, 배터리의 충전량이 낮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는 중계장치를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열악한 전파환경에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낮은 전력소모로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지하상가 등 전파가 약한 곳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이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려면 높은 전력이 필요하지만 근접한 거리에 있는 중계기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어서 낮은 전력으로 통화가 가능하다. 이 방법은 같은 주파수의 신호를 중계해 주는 방법이므로 외부와 차단된 지하철, 지하상가 등에서 사용하는 것은 유리하나 개방된 환경에서는 상호간섭에 의해 사용이 곤란하다.In addition, a repeater may be used as a method for enabling a call even when the battery is low in charge. Although this method aims to make a call in a poor radio wave environment, it can also be used as a way to make a call with low power consumption. That is,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need high power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 directly in the place where the electric wave is weak such as underground shopping mall, but it is possible to call with low power because it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in close proximity. Since this method is a method of relaying signals of the same frequency, it is advantageous to use in subways and underground shopping malls that are blocked from the outside, but it is difficult to use due to mutual interference in an open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제1 단말기가 직접 기지국과 통화하지 않고도 제2의 다른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1 단말기가 기지국과 송수신해야 할 신호를 제2 단말기가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량이 낮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at the first terminal to make a call does not need to talk directly with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necessary signal with a second other terminal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so that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with the base station. By allowing the second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ase station, even when the battery charge of the first terminal is low, the call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 구조1 is a terminal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cal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제1단말기 220 : 제2단말기210: first terminal 220: second terminal

211, 221 : 제1무선 통신부 212, 222 : 제2통신부211, 221: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222: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223 : 신호처리 및 제어부 235, 245 : 인터페이스부213, 223: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235, 245: interface unit

233, 243 : 커넥터 231, 232, 241, 242 : 안테나233, 243: connectors 231, 232, 241, 242: antenn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는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무선통신부와, 단말기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와, 통신의 제어 및 사용자와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 및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유선통신을 위한 커넥터로 구성된 제1 및 제2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제1 및 제2단말기의 제2통신부를 통해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2단말기의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erminals,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for control and interface processing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nd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nector for wired communicati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configured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통화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 구조이다.1 is a terminal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cal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제1단말기(110)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제1무선통신부(111), 단말기 상호간에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112), 통신의 제어 및 사용자와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 및 제어부(113),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131, 132)와 유선통신을 위한 커넥터(133) 및 마이크, 카메라, 스피커, 키 패드, 표시부 등을 구비한 인터페이스부(13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는 진동을 위한 모터 및 음량조절 스위치 등 사용자와 단말 장치간의 의사소통 수단을 모두 칭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기술에서도 사용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terminal 110 for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base station, the terminal using a wired or wireless signal between each other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1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113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nd interface processing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ntennas 131 and 132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nector 133 for wired communication; The interface unit 135 includes a microphone, a camera, a speaker, a keypad, a display unit, and the like. Here, the interface unit refers to all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device, such as a motor and a volume control switch for vibration. This configuration is also used in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제2의 단말기를 통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2 shows a structure of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terminal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210)의 배터리 충전량의 부족 등의 사정으로 기지국과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기 어려운 경우,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제1단말기(210)의 제2통신부(212)와 제2단말기(220)의 제2통신부(222) 사이에 통신로를 개설하고 제1단말기(210)가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제1무선통신부(211)를 통해 기지국과 송수신해야 할 신호를 제2단말기(220)의 제1무선통신부(221)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단말기(210)의 전력소모는 인터페이스부(235), 신호처리 제어부(213)의 일부 및 제2통신부(212)에서만 일어나고 가장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제1무선통신부(211)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배터리 충전량이 적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다. 제1단말기(210)와 제2단말기(220)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제2안테나(232, 242)가 사용되며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커넥터(233, 243)가 사용된다. 제1단말기(210)는 직접 기지국과 통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제1단말기(210)의 제1안테나(231)는 사용되지 않으며 제2단말기(220)의 제1안테나(241)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된다. 제1단말기(21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2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 동작만 수행하며 제2단말기(22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223)는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2단말기(220)의 인터페이스부(245)는 제1단말기(210)의 통화를 중계만 할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으나 제1단말기(210)의 통화를 중계하면서 제2단말기(220)도 동시에 통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when it is difficult to directly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to a base station due to a lack of battery charge of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terminal 210 is configured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A communication path must be establish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1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2 of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1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210 itself. The communication method i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 of the second terminal 220. In this way,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terminal 210 occurs only in the interface unit 235, a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2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2, and the power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1 which consumes the most power. Since the supply is cut off, the call can be made even when the battery charge is low.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is wirelessly connected, the second antennas 232 and 242 are used, and when the wires are connected, the connectors 233 and 243 are used. Since the first terminal 210 does not directly talk to the base station, the first antenna 231 of the first terminal 210 is not used and is connected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antenna 241 of the second terminal 220. do.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213 of the first terminal 210 performs only basic operations for the user interface, and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223 of the second terminal 220 performs all operations necessary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do.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45 of the second terminal 220 is not used when only relaying the call of the first terminal 210, but also the second terminal 220 while relaying the call of the first terminal 210.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talk at the same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중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structure of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base station using a relay terminal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말기(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 않고 제2단말기(320)의 제1 무선통신부(321)를 이용하여 외부 제1단말기(310)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중계만 해주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계전용 제2단말기(320)는 백화점, 극장 등 공공장소나 버스나 비행기 등에서 다른 단말기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여 사용자 제1단말기(310)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며 지하상가나 지하철 등에서 사용하는 일반 중계기와의 차이점으로는 사용자 제1단말기(310)와 중계용 제2단말기(320)간의 통신과 기지국과 제2단말기(320)간의 통신이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제1단말기(310)는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제2단말기(320)의 제2통신부(322)와 제1단말기(310)의 제2통신부(312) 사이에 통신로를 개설하고 제2단말기(320)가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제1무선통신부(321)를 통해 기지국과 송수신해야 할 신호를 중계전용 제2단말기(320)의 제1무선통신부(321)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단말기(310)의 전력소모는 인터페이스부(335), 신호처리 제어부(313)의 일부 및 제2통신부(312)에서만 일어나고 가장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제1무선통신부(311)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배터리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다. 제1단말기(310)와 제2단말기(320)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제2안테나(332, 342)가 사용되며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커넥터(333, 343)가 사용된다. 제1단말기(310)는 직접 기지국과 통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제1단말기(310)의 제1안테나(331)는 사용되지 않으며 제2단말기(320)의 제1안테나(341)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된다. 제1단말기(31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3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 동작만 수행한다. 또한, 중계전용 제2단말기(320)는 다수의 제1단말기(310)와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since the second terminal 320 does not have a user interface, direct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and the external first terminal 310 is formed us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1 of the second terminal 320. ) Is configured to only relay relaying signals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relay-only second terminal 320 functions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user's first terminal 310 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other terminals in public places such as department stores, theaters, buses, airplanes, and the like. The difference from the general repeater used is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first terminal 310 and the second relay terminal 320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32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use different frequencies. Is not. The first terminal 310 open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2 of the second terminal 3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12 of the first terminal 310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1 of a second terminal 320 dedicated to relay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ase station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1 which is provided by the second terminal 320 itself;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way,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terminal 310 occurs only in the interface unit 335, a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3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12, and the power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1 which consumes the most power. The supply is cut off,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310 and the second terminal 320 is wirelessly connected, the second antennas 332 and 342 are used, and when the wires are connected by wires, the connectors 333 and 343 are used. Since the first terminal 310 does not directly talk to the base station, the first antenna 331 of the first terminal 310 is not used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antenna 341 of the second terminal 320. do.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313 of the first terminal 310 performs only basic operations for the user interface. In addition, the relay-only second terminal 32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310 at the same time.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통화하지 않고 제2단말기의 도움으로 통화하는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FIG. 4 shows a structure of a terminal in which a call is made with the aid of a second terminal without a call with a base station by itself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41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제1무선통신부를 구비하지 않고 제2통신부만(412)을 구비하고 있어 직접 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하며 제2단말기(420)의 제2통신부(422)를 통해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고 이 신호를 제2단말기(420)의 제1무선통신부(421)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제1단말기(410)는 제1무선통신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2단말기(420)와 한 쌍으로 휴대할 경우 제2단말기(420)는 가방 등에 보관하고 소형화 된 제1단말기(410)는 호주머니 등에 휴대할 수 있다. 제1단말기(410)는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제1단말기(410)의 제2통신부(412)와 제2단말기(420)의 제2통신부(422) 사이에 통신로를 개설하고 제2단말기(420)의 제1무선통신부(421)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방식이다. 제1단말기(410)와 제2단말기(420)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제2안테나(432, 442)가 사용되며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커넥터(433, 443)가 사용된다. 제2단말기(420)는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제1안테나(441)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된다. 제1단말기(41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4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 동작만 수행하면 충분하므로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제2단말기(42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423)는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2단말기(420)의 인터페이스부(445)는 제1단말기(410)의 통화를 중계만 할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제1단말기(410)의 통화를 중계하면서 제2단말기(420)도 동시에 통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terminal 410 is not provided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on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12 is provided so that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A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22 of 420, and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1 of the second terminal 420. Since the first terminal 410 does not hav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can be miniaturized. When carrying a pair with the second terminal 420, the second terminal 420 is stored in a bag and the first terminal 410 is miniaturized. Can be carried in a pocket or the like. The first terminal 410 open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12 of the first terminal 4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22 of the second terminal 420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1 of the second terminal 420.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0 and the second terminal 420 is wirelessly connected, the second antennas 432 and 442 are used, and when the wires are connected by wires, the connectors 433 and 443 are used. The second terminal 42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antenna 441 provided by itself. Since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413 of the first terminal 410 only needs to perform basic operations for the user interfac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and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423 of the second terminal 42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Perform all necessary operations for sending and receiving.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445 of the second terminal 420 is not used when only the call of the first terminal 410 is relayed, and the second terminal 420 also relays the call of the first terminal 410.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talk at the same time.

기존의 분리형 단말기 또는 사용되고 있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전화번호 등 사용자 식별 코드를 본체에 부여하여 휴대기는 단순히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만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본 발명의 제1단말기(410)는 자체적으로 전화번호 등 식별코드를 가지고 있고 여러 대의 제1단말기(410)가 하나의 제2단말기(420)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할 수 있는 제2단말기(420)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existing detachable terminal or the wireless hands-free device being used gives a user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phone number to the main body, whereas the mobile device has only a user interface unit, whereas the first terminal 4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self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phone number. Differences in that multiple first terminals 410 can use one second terminal 420 and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without needing to use a second terminal 420. There is.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단말기와 단말기간 통화를 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n example of making a call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a base station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510)는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제1단말기(510)의 제2통신부(512)와 제2단말기(520)의 제2통신부(522) 사이에 통신로를 개설하여 제1단말기(510)의 인터페이스부(535)와 제2단말기(520)의 인터페이스부(545)를 이용하여 직접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단말기(510) 및 제2단말기(520)의 전력소모는 인터페이스부(535, 545), 신호처리 제어부(513,523)의 일부 및 제2통신부(512, 522)에서만 일어나고 가장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제1무선통신부(511, 521)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제1단말기(510)와 제2단말기(520)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제2안테나(532, 542)가 사용되며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커넥터(533, 543)가 사용된다. 제1단말기(210) 및 제2단말기(520)는 직접 기지국과 통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각 단말기의 제1안테나(531,541)는 사용되지 않는다. 각 단말기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513, 52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 동작만 수행하며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동작은 수행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의 도움이 없이도 단말기간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산악, 계곡 등에서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terminal 510 i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512 of the first terminal 5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522 of the second terminal 520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A communication path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 direct terminals using the interface unit 535 of the first terminal 510 and the interface unit 545 of the second terminal 520. At this tim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terminal 510 and the second terminal 520 occurs only in the interface unit 535, 545,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ler 513, 5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512, 522, and consumes the most power.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1, 521 is cut off.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510 and the second terminal 520, the second antennas 532 and 542 are used when connected wirelessly, and the connectors 533 and 543 are used when the connection is made by wire. Since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520 do not directly talk to the base station, the first antennas 531 and 541 of each terminal are not used.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s 513 and 523 of each terminal only perform basic operations for the user interface and do not need to perform operations necessary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alled in the mountains, valleys, etc. because the call between the terminals can be made without the help of the base st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일반 유선 전화선에 접속된 단말기를 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FIG. 6 shows a structure of a terminal capable of making a call through a terminal connected to a general wireline a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 일반 유선 전화선의 사용이 가능한 환경에서 제1단말기(610)는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제1단말기(610)의 제2통신부(612)와 유선 전화선과 커넥터(644)를 통해 연결된 제2단말기(620)의 제2통신부(622) 사이에 통신로를 개설하고 제2단말기(62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645)에 있는 유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국과 연결하는 통신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단말기(610)의 인터페이스부(635), 신호처리 제어부(613)의 일부 및 제2통신부(612)에만 동작하고 제1무선통신부(611)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제2단말기(620)의 제1무선통신부(621)와 인터페이스부(645)는 사용되지 않는다. 제1단말기(610)와 제2단말기(620)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제2안테나(632, 642)가 사용되며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각 단말기의 커넥터(633, 643)가 사용된다. 제1단말기(610)와 제2단말기(620)는 직접 기지국과 통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제1안테나(631, 641)는 사용되지 않는다. 제1단말기(61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6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 동작만 수행하며 제2단말기(620)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623)는 유선통신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6,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general wired telephone line such as a home or an office is available, the first terminal 6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612 of the first terminal 610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Open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wired telephone li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622 of the second terminal 62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644 and performs the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645 of the second terminal 620.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connects with a telephone company. By doing so, the interface unit 635 of the first terminal 610, a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6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612 only operate, and the power supply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1 is cut of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1 and the interface unit 645 of the second terminal 620 are not us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610 and the second terminal 620, the second antennas 632 and 642 are used when connected wirelessly, and the connectors 633 and 643 of each terminal are used when connected by wire. . Since the first terminal 610 and the second terminal 620 does not directly talk to the base station, the first antennas 631 and 641 are not used.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613 of the first terminal 610 performs only basic operations for the user interface, and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623 of the second terminal 620 performs operations necessary for wired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단말기는 바테리의 충전량이 모자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으며 공공장소 등에 공용 단말기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사용시간을 늘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산속이나 계곡 등 기지국과 통신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기지국의 도움 없이 각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제2통신부를 이용하여 단말기 간에 직접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전화선에 연결하는 기능 및 커넥터을 추가하면 가정과 사무실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전화기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to make a call even when the battery is low on charge, and by installing a comm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ncrease the use time as well as in the mountains. In an environment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is difficult, such as a valley, there is an advantage that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made by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provided by each terminal without assistance of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by adding a connector and a function to connect to a regular telephone line, it can be used as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in homes and offices.

Claims (6)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무선통신부와, 단말기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와, 통신의 제어 및 사용자와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 및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유선통신을 위한 커넥터로 구성된 제1 및 제2 단말기에 있어서,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erminals, a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nd interface processing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comprising an antenna and a connector for wired communication, 미리 정해진 인증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단말기의 제2통신부를 통해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2단말기의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necessary sig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roug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 않고,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제1단말기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상기 제2단말기의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중계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Since the second terminal does not have a user interface unit, direct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and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단말기는 제1무선통신부를 구비하지 않아 제1무선통신부와 제2통신부를 구비한 상기 제2단말기의 도움으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The first terminal does not inclu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with the help of the second terminal hav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3, 기지국의 도움 없이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의 제2통신부를 통해 서로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erein the termina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without the help of a base station.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2단말기의 신호처리 및 제어부에 커넥터를 사용하여 일반 유선전화망에 연결하여 통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is connected to a general wired telephone network using a connector to the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unit of the second termi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단말기의 제1무선통신부가 연결할 수 있는 기지국의 통신 방식과 상기 제2단말기의 제1무선통신부가 연결할 수 있는 기지국의 통신 방식이 서로 달라서 다중모드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erminal can connect is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can connect, so that multi-mode calls can be mad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on.
KR10-2000-0035827A 2000-06-28 2000-06-28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KR100373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827A KR100373502B1 (en) 2000-06-28 2000-06-28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827A KR100373502B1 (en) 2000-06-28 2000-06-28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831A KR20000054831A (en) 2000-09-05
KR100373502B1 true KR100373502B1 (en) 2003-02-25

Family

ID=1967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827A KR100373502B1 (en) 2000-06-28 2000-06-28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5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831A (en)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675B1 (en) Radio telephone using cell type
US7072675B1 (en) Wireles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le handset cordless telephone system
EP1550362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configuring same when connected to a vehicle
US20020115455A1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EP138462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built-in vehicle-use mirror device
JPH04127728A (en) Portable telephone set
US7142885B2 (en) Cellular phone cordless home base unit
KR100373502B1 (en) A Cellular Phone Which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ellular Phones
JPH0983423A (en)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JPH0263352A (en) Cordless home telephone system
JPH07143051A (en) Cellular telephone set incorporating radio function
EP1408708B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a mobile phone with a wire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JPH11150762A (en) Hand-free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4252A (en) Transfer system for short range mobile communication
DE50003894D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322451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short range radio fun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JP2841993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JPH02274017A (en) Antenna connector for portable telephone
KR20040110714A (en) Wireless receive-send system using bluetooth
KR200188087Y1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ring Sets of Portable Telephone
KR200187431Y1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ring Sets of Portable Telephone
KR200186082Y1 (en) The plug type telephone using wireless circuits.
KR100495003B1 (en) Fix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104614B2 (en) Simple repeater with PHS
KR200215251Y1 (en) Modul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Radio used in an Integrated Relay Station for Wireless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