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41B1 -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41B1
KR0185641B1 KR1019960000439A KR19960000439A KR0185641B1 KR 0185641 B1 KR0185641 B1 KR 0185641B1 KR 1019960000439 A KR1019960000439 A KR 1019960000439A KR 19960000439 A KR19960000439 A KR 19960000439A KR 0185641 B1 KR0185641 B1 KR 018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ignal
address
unit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800A (ko
Inventor
조택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641B1/ko
Publication of KR97006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무선전화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무선 전화기에서의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알링 수행 장치를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입력되는 메모리 번지 어드레스와 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모리 다이얼링 키 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저장된 메모리 번지 어드레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가청상태로 출력하는 음성가이드부와, 상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고주파회로부와, 상기 메모리, 표시부, 음성가이드부, 고주파회로부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고정장치와; 구비된 메모리 다이얼링 키 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 입력이 있는 경우, 소정 메모리 번호 확인 요구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며, 상기 송출된 메모리 번호 확인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고주파회로부와, 상기 고주파회로부의 제어를 이루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무선 전화기에서의 메모리 다이알링.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알링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럭도.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 구성을 가지는데, 최근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메모리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다이알링은 등록모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 10를 통해 제공한 등록번호 및 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내부의 메모리 영역에 미리 등록해 둔 후에 사용자가 누르는 메모리 키 및 대표 키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대응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단 등록한 전화번호의 대표키의 번호만 알고 있다가 통화시 해당 키를 디지트하는 것에 의해 통화를 시도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등록한 전화번호의 갯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사용자는 메모리 다이알링 조차 기억에 의존하기가 힘들어 메모지에 이를 별도로 적어두는 일이 종종 있다. 이러한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왜냐하면, 메모리 다이알링시마다 수첩이나 전화기의 주변에 부착된 메모리 다이알링 대표키를 찾아서 눌러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메모리 다이알링의 대표키를 통화시마다 상기하거나 적힌 곳을 찾아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중의 미조작으로 인하여 등록된 대표키가 변경된 경우에는 다이알링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무선 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기에 메모리 다이알링시 등록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거나 음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등폭된 전화번호를 휴대장치로 메모리 다이얼 수행시, 상기 휴대장치에서 메모리 다이얼링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메모리 번지 어드레스와 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모리 다이얼링 키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저장된 메모리 번지 어드레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로 가청상태로 출력하는 음성가이드부와, 상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고주파회로부와, 상기 메모리, 표시부, 음성가이드부, 고주파회로부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고정장치와; 구비된 메모리 다이얼링 키 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 입력이 있는 경우, 소정 메모리 번호 확인 요구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며, 상기 송출된 메모리 번호 확인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고주파회로부와, 상기 고주파회로부의 제어를 이루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그러한 방법에 대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자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항목들이 없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무선 전화기의 기본 소자에 대한 특징 및 공지의 회로구성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는, 국선에 연결된 훅크 스위치 14, 통화회로 13, 고주파 회로 15, 듀얼 톤을 발생하는 DTMF발생기 12, 스위치 23, 보이스 가이드 20, 디스플레이부 21, 스피커 앰프 22, 제어장치 및 메모리 11, 및 키 입력부 10를 포함하고 있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제2도의 고주파 회로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회로 13, 스피커 앰프 22, 디스플레이부 21, 제어장치 및 메모리 11, 키 입력부 10를 포함한다.
제2, 3도의 제어장치 및 메모리 11의 메모리 영역 내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전화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대표 번호가 복수로 저장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한 전화번호의 대표 번호(핫키, 단축키, 또는 쇼트키등으로도 불려짐)를 상기 하기가 힘들어 확인을 시도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키를 제2, 3도중 어느 하나의 키 입력부 10을 통해 디지트한다. 따라서, 제어장치 및 메모리 11은 메모리 다이알링 이전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표시장치상에 표시하기를 원하는 키 명령이 수신됨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전화기의 동작모드는 확인동작 모드로 천이된다. 이러한 확인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장치 및 메모리 11은 기 등록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부 21을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써 표시하거나, 스피커 앰프 22를 통해 합성된 음성으로 송출한다. 여기서, 합성된 음성은 보이스 가이드 20에 의해 전화번호 및 대표번호가 가청음성으로 들려지는 음성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번호 리스트 및 각기 그에 대응되는 대표번호를 디스플레이부 21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스피커 앰프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확인을 행한 후, 대표번호 즉, 선택번호를 키 입력부 10을 통해 디지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 및 메모리 11는 인가되는 메모리 선택번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다이알링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그럼에 의해 국선을 통하여 피호출자와 사용자간의 통화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2도나 제3도의 어느 키입력부 10를 통해서도 디지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어느 디스플레이부 21 또는 스피커 앰프 22를 통해서도 확인을 행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고유한 무선통화 기능에 의해서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전화기에서의 메모리 다이알링시 등록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기나 음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다이알링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편의를 도모케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알링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메모리 번지 어드레스와 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모리 다이얼링 키 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저장된 메모리 번지 어드레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가청상태로 출력하는 음성가이드부와, 상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고주파회로부와, 상기 메모리, 표시부, 음성가이드부, 고주파회로부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고정장치와; 구비된 메모리 다이얼링 키 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 입력이 있는 경우, 소정 메모리 번호 확인 요구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며, 상기 송출된 메모리 번호 확인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고주파회로부와, 상기 고주파회로부의 제어를 이루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KR1019960000439A 1996-01-11 1996-01-11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KR018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439A KR0185641B1 (ko) 1996-01-11 1996-01-11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439A KR0185641B1 (ko) 1996-01-11 1996-01-11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00A KR970060800A (ko) 1997-08-12
KR0185641B1 true KR0185641B1 (ko) 1999-05-15

Family

ID=1944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439A KR0185641B1 (ko) 1996-01-11 1996-01-11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91A (ko) * 2001-11-29 2003-06-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다이얼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휴대전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91A (ko) * 2001-11-29 2003-06-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다이얼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00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43529A (ja) 無線電話装置
KR1003534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JPH03226129A (ja) 無線通信装置
US5528681A (en) Automatic dialing device and auxiliary dialing device for a telephone
KR0185641B1 (ko)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JP3706520B2 (ja)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752994B2 (ja) 無線電話装置
JPH08228220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3081129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増設方法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JP3021898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JPH11196039A (ja) 発呼信号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発呼信号受信部付き電話機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JPH07327069A (ja) 無線通信試験装置
JPH06303298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JP2976827B2 (ja) 無線電話機
KR970031489A (ko) 무선 호출 수신기 겸용 휴대형 무선 전화기
KR19990049845A (ko)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방법
JPH0927846A (ja) 携帯電話装置
JPH11298585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