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260B1 -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260B1
KR0179260B1 KR1019960005975A KR19960005975A KR0179260B1 KR 0179260 B1 KR0179260 B1 KR 0179260B1 KR 1019960005975 A KR1019960005975 A KR 1019960005975A KR 19960005975 A KR19960005975 A KR 19960005975A KR 0179260 B1 KR0179260 B1 KR 017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medium
video signal
composite video
broadca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172A (ko
Inventor
장경근
심대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260B1/ko
Priority to DE19626066A priority patent/DE19626066B4/de
Publication of KR97006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텍스트에 기본을 둔 KBPS에 관한 것으로서, 녹화시 녹화 테이프에 ID를 부여하고,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 데이타를 부여된 테이프 ID의 메모리방에 각 프로그램에 할당된 프로그램 ID별로 저장하였다가 재생시 테이프내에 녹화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 또는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녹화 정보에 대한 혼돈의 소지를 없애고, 또한 녹화 정보를 수작업으로 기록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며, 셋트 적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바로 K시스템(KBPS)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4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저장부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204,212 : 스위치부 202 : 동기 분리부
203 : 테이프 ID 엔코딩부 205 : 데이타 분리부
206 : 마이콤 207 : 메인 처리부
208 : 제1저장부 209 : 제2저장부
210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 211 : 비데오 스위칭부
본 발명은 텔레텍스트(Teletext)를 이용한 바로 K시스템(Korean Broadcasting Program System ; KBP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녹화시 녹화 테이프에 고유번호(Identification Data : 이하, ID라 칭함.)를 부여하고,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 데이타를 부여된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에 각 프로그램에 할당된 프로그램 ID별로 저장하였다가 재생시 테이프내에 녹화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 또는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로 K 시스템(Korean Broadcasting Program System ; KBPS)은 텔레텍스트에 기본을 두고 있다. 즉, 방송국에서는 복합 비데오 신호중 수직 동기 귀선 시간으로부터 눈에 보이는 라인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라인(Unused Scan Line)의 'n'번째(예컨대, 16번째)라인에 1H(H: 수평구간)당 2바이트(Byte)의 데이타를 실어 보낸다.
이 데이타에는 클럭 데이타, 방송국명(예컨대, 채널 데이타), 각 채널에 대한 일주일치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등이 실려있다.
제1도는 이러한 데이타를 수신하여 분리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종래의 바로 K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도를 보면, 안테나(ANT)를 통해 복합 비데오 신호가 수신되면 복합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 수직 동기 신호(H,V)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분리부(101),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중 데이타가 실려있는 1H 라인에서 503KHz의 클럭 런 인(Clock Run In ; CRI) 부분 및 동기등을 제외한 순수 데이타만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분리부(Data Slicer)(102), 마이콤(103)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타 분리부(102)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저장부(105)에 저장하는 메인 처리부(104), 상기 마이콤(103)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저장부(105)에 저장된 데이타를 메인 처리부(104)를 통해 읽어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이하, OSD라 칭함.) 처리하는 OSD부(106), 스위칭에 의해 상기 OSD부(10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OSD 형태로 텔레비젼에 디스플레이하는 비데오 스위칭부(107), 및 마이콤(103)의 제어(a)에 의해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 또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비데오 스위칭부(107)를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데오 스위칭부(107)는 스위칭에 의해 메인 처리부(104)에서 출력되는 슈퍼 임포즈용 데이타, OSD부(106), 스위칭부(108)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출력한다.
그리고, 동기 분리부(101)에서 출력되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H,V)는 메인 처리부(104)에서 제어 및 펄스 발생의 기준 신호로 사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1도에서 동기 분리부(101)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복합 비데오 신호에서 수평, 수직 동기 신호(H,V)를 분리한 후 제어 신호 및 펄스 발생의 기준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메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중 바로 K 시스템 관련 데이타가 실려있는 'n'번째(예컨대, 16번째) 1H 라인은 데이타 분리부(102)에서 순수한 데이타만 분리된다.
즉, 상기 데이타 분리부(102)는 상기 1H 라인에 포함된 503KHz의 CRI 부분 및 동기등은 제외하고 순수한 데이타 부분만을 메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타에는 방송국명(예컨대, 채널 데이타), 각 채널에 대한 일주일치 분량의 방송 순서(예컨대, 방송 프로그램 데이타) 및 안내 데이타, 현재시간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 처리부(104)는 마이콤(103)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05)에 상기 데이타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05)에는 소트(Sort) 기능이 있어 저장된 데이타를 페이지별, 날짜별,프로그램 성격별로 분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마이콤(103)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면, 마이콤(103)의 제어에 의해 메인 처리부(104)는 상기 저장부(105)로부터 해당 데이타를 읽어와 OSD부(106)로 출력하고, OSD부(106)는 비데오 스위칭부(107)가 OSD부(106)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으면 비데오 스위칭부(107)를 통해 OSD문자로 상기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된 각 방송 프로그램에는 고유 ID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예약 녹화시, 녹화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놓으면 메인 처리부(104)는 계속적인 채널 스캐닝으로 각 채널로부터 보내지는 각 프로그램의 ID와 녹화 설정된 프로그램의 ID를 비교한다. 이때, 두 ID가 일치하면 그 시점부터 예약 녹화를 수행한다.
이때, 방송국으로부터 보내지는 ID는 프로그램이 종료될때까지 계속 보내지게 되므로 마이콤(103)에서는 이 ID가 소멸되는 시점에서 상기 메인 처리부(104)를 제어하여 녹화를 종료한다.
즉, 바로 K 시스템에서는 예약 녹화가 시간 개념이 아닌 ID 비교 및 일치 과정에 의해 수행되므로 녹화대상 프로그램이 예정 시간보다 지연되거나 앞당겨진다해도 예약 녹화에는 문제가 없게된다.
또한, 방송국으로부터 보내지는 데이타에는 '안내 데이타'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특히 영화나 드라마, 다큐멘타리등의 주연, 제작년도, 제작사, 줄거리등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이해를 돕게하는 데이타로서,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05)에는 소트 기능이 있으므로 상기 안내 데이타를 뉴스, 드라마, 영화등 각 프로그램 성격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타를 OSD 문자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된 제1도와 같은 종래의 바로 K시스템 또는 예약 녹화 시스템은 녹화된 프로그램의 재생시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Guide)가 없다.
즉, 이미 녹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시청할때 테이프내에 어떤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지, 각 프로그램이 언제 녹화되었던 것인지, 어떤 채널인지, 소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등을 알 수 없다. 이것은 녹화된 후 시간이 오래 지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더욱 심하다.
따라서, 녹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테이프에 녹화 정보를 기록한 라벨을 붙이거나 수작업으로 정보를 기록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화시 녹화 테이프에 ID를 부여하고,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 데이타를 부여된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에 각 프로그램에 할당된 프로그램 ID별로 저장하였다가 재생시 테이프내에 녹화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 또는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녹화 정보에 대한 혼돈의 소지를 없애면서 녹화 정보를 수작업으로 기록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의 특징은,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분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회로에 있어서, 녹화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기록 매체별로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ID 엔코딩 수단과, 녹화 및 일반 방송 수신시에는 수신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재생시에는 재생 프로그램의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서 선택 출력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텔레텍스트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수단과, 상기 ID 엔코딩수단에서 엔코딩된 기록매체 ID 정보 및 데이타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텔레텍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매체별로 프로그램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의 다른 특징은,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분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회로에 있어서, 녹화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기록 매체별로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ID 엔코딩 수단과, 녹화 및 일반 방송 수신시에는 수신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재생시에는 재생 프로그램의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서 선택 출력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텔레텍스트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 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엔코딩 수단에서 엔코딩되는 기록 매체 ID 별로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과, 상기 엔코딩 수단의 기록매체 ID 엔코딩, 데이타 분리수단의 데이타 분리, 및 상기 제1, 제2저장 수단의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1 또는 제2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특징은,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제1스텝과,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기록 매체별로 ID를 부여하는 제2스텝과,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록 매체 ID 별로 저장하는 제3스텝과, 일정 주기로 기록 매체 ID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4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다른 특징은,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를 기기에 삽입하는 제1스텝과, 제1스텝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기록 매체 ID를 검출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기록 매체 ID가 검출되면 검출된 기록 매체 ID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정보를 읽어와 디스플레이하는 제3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를 보면, 제어 신호(a)에 의해 재생시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녹화 및 일반 방송 수신시에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제1스위칭부(201), 상기 제1스윙치부(201)에서 선택 출력되는 튜너 또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분리부(202), 녹화시 테이프에 녹화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중 수직 동기 귀선 시간으로부터 눈에 보이는 라인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m'번째 라인(Unused Scan Line)에 테이프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데이타 즉, ID를 싣는 테이프 ID 엔코딩부(203), 제어 신호(a)에 의해 재생시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녹화 및 일반 방송 수신시에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204), 마이콤(206)에서 출력하는 라인 선택 데이타(LSD)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칭부(204)를 통해 출력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에서 503KHz의 CRI부분 및 동기등을 제외한 순수 데이타 또는 테이프 ID 또는 프로그램 ID만을 분리 출력하는 데이타 분리부(205),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콤(206), 상기 마이콤(20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타 분리부(205)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저장 및 저장된 데이타의 읽기를 제어하는 메인 처리부(207), 메인 처리부(207)의 제어에 의해 일주일치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 데이타, 안내 데이타, 현재 시간, 방송국명등을 채널별, 페이지별, 날짜별, 프로그램 성격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1저장부(208), 녹화와 동시에 테이프 ID가 부여되면 상기 마이콤(206) 및 메인 처리부(207)의 제어에 의해 테이프 ID별로 메모리 방을 만들고 해당 테이프 ID방에 해당 프로그램의 정보를 상기 제1저장부(208)에서 불러와 프로그램의 ID별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209), 재생 초기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제1, 제2저장부(208)(209)에 저장된 데이타를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읽어와 OSD 처리하는 OSD부(210), 스위칭에 의해 상기 OSD부(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OSD 형태로 텔레비젼에 디스플레이하는 비데오 스위칭부(211), 마이콤(206)의 제어(b)에 의해 테이프 ID엔코딩부(203)에서 테이프 ID가 부여된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 또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비데오 스위칭부(211)를 통해 출력하는 제3스위칭부(2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데오 스위칭부(211)는 스위칭에 의해 메인 처리부(207)에서 출력되는 슈퍼 임포즈용 데이타, OSD부(210), 제3스위칭부(212)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출력하고, 상기 테이프 ID 엔코딩부(203)를 통한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가 제3스위칭부(212) 및 비데오 스위칭부(211)를 통해 테이프에 녹화된다.
그리고, 동기 분리부(202)에서 출력되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H,V)는 메인 처리부(207)에서 제어 및 펄스 발생의 기준 신호로 사용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데이타의 저장 및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합 비데오 신호와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테이프 ID의 기록 및 재생장치로서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 VCR)를 실시예로 하고 따라서, 복합 비데오 신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테이프로 가정하며, 사용자는 마이콤(206)을 통해 녹화 또는 예약 녹화, 방송 시청, 테이프의 재생등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은 마이콤(206)의 제어(a)에 의해 제1스위칭부(201)는 녹화 및 일반 방송 시청시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재생시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동기 분리부(202)는 상기 제1스위칭부(201)를 통해 출력되는 튜너 또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에서 수평, 수직 동기 신호(H,V)를 분리한 후 제어 및 펄스 발생의 기준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메인 처리부(207)로 출력한다.
이때, 바로 K 시스템 관련 데이타는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중 수직 동기 귀선 시간으로부터 눈에 보이는 라인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n'번째(예컨대, 16번째) 라인에 1H당 2바이트로 실려 있다.
이 데이타에는 클럭 데이타, 방송국명(예컨대, 채널 데이타), 각 채널에 대한 일주일치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 현재 시간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마이콤(206)의 제어(a)에 의해 제2스위칭부(204)는 녹화 및 일반 방송 시청시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재생시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2스위칭부(204)가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면 데이타 분리부(205)는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중 바로 K 시스템 관련 데이타가 실려있는 'n'번째 1H 라인에서 순수한 데이타만 분리한다. 즉, 상기 1H 라인에 포함된 503KHz의 CRI 부분 및 동기등은 제외하고 순수한 데이타 부분만을 메인 처리부(207)로 출력한다(스텝 301).
그러므로, 상기 데이타에는 방송국명(예컨대, 채널 데이타), 각 채널에 대한 일주일치 분량의 방송 순서(예컨대, 방송 프로그램 데이타) 및 안내 데이타, 현재시간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처리부(207)는 마이콤(206)의 제어에 의해 제1저장부(208)에 상기 데이타를 채널별로 재분류하여 저장한다(스텝 302).
여기서, 상기 제1저장부(208)에는 소트 기능이 있으므로 저장된 데이타를 페이지별, 날짜별, 프로그램 성격별로 분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마이콤(206)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면, 마이콤(206)의 제어에 의해 메인 처리부(207)는 상기 제1저장부(208)로부터 해당 데이타를 읽어와 OSD부(210)로 출력하여 OSD 처리하고, OSD부(210)는 비데오 스위칭부(211)가 OSD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으면 비데오 스위칭부(211)를 통해 OSD 형태로 상기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한다(스텝 304).
한편, 상기 마이콤(206)을 통해 사용자가 예약 녹화를 설정하면(스텝 304), 마이콤(206)의 제어에 의해 메인 처리부(207)는 계속적인 채널 순차 스캐닝을 수행하여, 각 채널로 부터 보내지는 각 프로그램의 ID와 녹화 설정된 프로그램의 ID를 비교한다(스템 305,306).
이때, 채널 스캐닝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ID와 녹화 설정된 프로그램의 ID가 일치하면 일정 시간 테이프를 재생한다(스텝 307).
여기서, 테이프를 일정시간 재생하는 것은 이미 테이프 ID가 엔코딩된 테이프의 ID 엔코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테이프를 일정시간 재생하면서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중 테이프 ID가 실리는 'm'번째 라인 데이타를 수신하여(스텝 308), 테이프 ID를 검출한다(스텝 309).
즉, 'm'번째 라인 데이타란 마이콤(206)이 인식가능하도록 엔코딩된 테이프 ID 데이타로서, 이미 엔코딩된 테이프의 엔코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코딩전에 데이타를 검출하여 테이프 ID가 부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스텝 309에서 테이프 ID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테이프에 녹화를 시작하면서(스텝 310), 녹화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의 'm'번째 라인에 일정시간마다 테이프 ID를 엔코딩한다(스텝 311).
이와같이 재생시에 마이콤(206)이 테이프를 인식하기 위해서 녹화시에 각 테이프별로 ID를 부여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복합 비데오 신호중 수직 동기 귀선 시간으로 부터 눈에 보이는 라인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라인 즉, 수직 블랭킹기간(Vertical Blanking Interval ; VBI) 라인상에서의 엔코딩이 필요하다.
상기 엔코딩은 복잡한 데이타가 아니고 마이콤(206)이 각 테이프를 구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텝(310)에서 녹화가 시작되면 녹화 설정된 프로그램 ID와 일치하는 튜너 복합 비데오 신호가 테이프 ID 엔코딩부(203)로 입력된다.
상기 테이프 ID 엔코딩부(203)는 상기 마이콤(206)에서 제공하는 라인 선택 데이타(LSD), 예컨대, 복합 비데오 신호중 사용하고 있지 않은 'm'번째 라인(Unused Scan Line)을 선택하여 테이프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데이타 즉, ID 데이타를 싣는다.
만일, 테이프 ID 엔코딩부(203)가 503KHz 엔코딩 방식을 사용한다면 1H당 214개의 인식 데이타를 구별할 수 있다.
이때, 1H당 16비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최하위 2비트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하므로 14비트의 데이타가 된다.
따라서, 1초당 1필드로 엔코딩 예컨대, 30프레임당 1번의 엔코딩만 하더라도 디코딩할 때 1초당 1번의 디코딩으로 214개의 ID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상기 테이프 ID는 단순히 마이콤(206)이 테이프를 인식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식 ID 코드는 순차적으로 부여하면 된다.
상기 스텝 311에서 녹화와 동시에 테이프 ID가 부여되면 마이콤(206)은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제2저장부(209) 내부에 상기 스텝 311에서 부여된 신규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을 설정한다(스텝 312).
이때, 상기 제2저장부(209)는 제4도 (a)에서와 같이 메모리 방이 테이프 ID별로 구분되고, 각 테이프 ID에는 프로그램 ID별로 저장된다(스텝 314).
즉, 상기 스텝 312에서 신규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이 설정되면 마이콤(206)은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테이프 ID 별로 나누어진 제2저장부(209)의 신규 테이프 ID의 방에 현재 시간을 포함한 현재 녹화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데이타(예컨대, 방송국명,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안내 데이타등)를 제1저장부(208)로부터 요구하여 프로그램 ID별로 순차 저장한다.
이때, 녹화 형태, 즉, 녹화 속도, 녹화 주기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저장부(208)에서 받은 데이타를 제2저장부(209)에 저장할때 녹화시작 시간과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각 프로그램의 ID는 프로그램 고유의 것이므로 서로 중복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텝 309에서 테이프 ID가 검출되었다고 판별되면 이미 테이프에는 테이프 ID가 엔코딩되어 있고 제2저장부(209)에는 해당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시 테이프 ID를 엔코딩하지 않고 녹화를 시작한다(스텝 313).
즉, 녹화가 시작되면 마이콤(206)은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테이프 ID 별로 나누어진 제2저장부(209)의 해당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에 현재 시간을 포함한 현재 녹화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데이타(예컨대, 방송국명,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안내 데이타 등)를 제1저장부(208)로부터 요구하여 프로그램 ID별로 순차 저장한다(스텝 314).
이때, 녹화 형태, 즉, 녹화 속도, 녹화 주기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저장부(208)에서 받은 데이타를 제2저장부(209)에 저장할때 녹화시작 시간과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방송국으로부터 보내지는 ID는 프로그램이 종료될때까지 계속 보내지게 되므로 마이콤(206)에서는 이 ID가 소멸되는 시점에서 상기 메인 처리부(207)를 제어하여 녹화를 종료하고(스텝 315), 녹화 종료와 동시에 녹화 종료 시간 및 소요 시간을 다시 상기 제2저장부(209)에 저장한다(스텝 316).
따라서, 제2저장부(209)에는 제4도 (b)에서와 같이 테이프 ID로 구분된 방에 프로그램 ID 별로 저장되며, 프로그램 ID 밑에는 각종 데이타 즉, 프로그램 제목, 방송국명, 녹화시간, 종료시간, 소요시간, 녹화속도, 녹화주기, 분류(뉴스, 드라마,‥‥), 안내(주연, 줄거리,‥‥) 데이타가 포함된다.
이 테이프에 또다른 프로그램을 녹화할때는 동일한 테이프 ID 방에 프로그램 ID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때, 제2저장부(209)는 동일한 테이프 ID 방에 저장된 데이타를 프로그램 ID별로 재배열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이 끝난 후 마이콤(400)을 통해 사용자가 재생을 선택하면(스텝 317), 마이콤(206)의 제어에 의해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는 제1스위칭부(201)를 통해 동기 분리부(202)로 입력되어 수평, 수직 동기 신호(H,V)가 분리되고, 제2스위칭부(204)를 통해 데이타 분리부(205)로 입력되어 테이프 ID가 검출된 후 메인 처리부(207)로 출력된다.
즉, 재생이 선택되면 마이콤(206)은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중 테이프 ID가 실려있는 'm'번째 텔레텍스트 라인을 선택하도록 상기 데이타 분리부(204)로 라인 선택 데이타(LSD)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분리부(204)는 상기 마이콤(206)의 제어에 의해 'm'번째 라인, 예컨대, 테이프 ID가 실려있는 라인을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에서 검출하여(스텝 318) 테이프 ID를 검출한다(스텝 319).
이때, 상기 스텝 319에서 테이프 ID가 검출되면 메인 처리부(207)는 마이콤(206)으로 검출된 테이프 ID를 알리고, 마이콤(206)은 다시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제2저장부(209)에 저장된 해당 테이프 ID 방에 있는 데이타를 요구한다(스텝 320).
상기 스텝 320에서 요구된 데이타는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소트되어 8비트 데이타로서 OSD부(210)로 출력되고, 비데오 스위칭부(211)가 OSD부(210)에 접속되어 있다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스텝 321).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화면에는 이 테이프내에 녹화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가 보여진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원하면(스텝 322), 마이콤(206)은 데이타 분리부(205)로 출력되는 라인 선택 데이타를 프로그램 정보가 실리는 'n'번째 라인 선택 데이타로 변경하고, 데이타 분리부(205)는 'n'번째 라인을 검출하여(스텝 323), 프로그램 ID를 검출한다(스텝 324).
여기서, 상기 마이콤(206)은 프로그램 정보 검출, 테이프 ID 엔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라인 선택 데이타(LSD)를 데이타 분리부(205)로 출력하는데, 녹화시에는 프로그램 정보가 실리는 'n'번째 라인 선택 데이타를 데이타 분리부(205)로 출력하고, 재생시에는 테이프내의 전체 정보를 원하면 테이프 ID가 실리는 'm'번째 라인 선택 데이타를,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원하면 프로그램 정보가 실리는 'n'번째 라인 선택 데이타를 데이타 분리부(205)로 출력하며, 또한 녹화시에는 테이프 ID가 실리는 'm'번째 라인 선택 데이타를 테이프 ID 엔코딩부(203)로 출력한다.
상기 스텝 324에서 프로그램 ID가 검출되면 메인 처리부(207)는 마이콤(206)으로 검출된 프로그램 ID를 알리고, 마이콤(206)은 다시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제2저장부(209)에 저장된 재생 테이프의 ID에 해당하는 메모리 방에서 일치하는 프로그램 ID의 데이타를 요구한다(스텝 325).
상기 스텝 325에서 요구된 데이타는 메인 처리부(207)를 통해 소트되어 8비트 데이타로서 OSD부(210)로 출력되고, 비데오 스위칭부(211)가 OSD부(210)에 접속되어 있다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스텝 326).
즉,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녹화할 당시에 이미 프로그램 ID별로 제2저장부(209)에 저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재생시에는 재생 복합 비데오 신호중 사용되지 않는 라인(Unused scan line) 텔레텍스트 데이타에서 프로그램 ID만을 검출하여 이 프로그램 ID 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제2저장부(209)에서 읽어오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화면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상세정보, 예컨대 프로그램 제목, 녹화시간, 종료시간, 소요시간, 방송국명, 녹화속도, 녹화주기, 분류 및 안내(주연, 줄거리, 제작사등등) 데이타가 보여진다.
보통 사용자가 예약 녹화하는 프로그램은 영화, 드라마등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므로 녹화된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 주연, 제작년도, 제작사, 줄거리등이 포함된 안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면 사용자로 하여금 색다른 감동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에 의하면, 녹화시 녹화 테이프에 ID를 부여하고, 녹화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 데이타를 부여된 테이프 ID의 메모리 방에 각 프로그램에 할당된 프로그램 ID별로 저장하였다가 재생시 테이프내에 녹화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 또는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녹화 정보에 대한 혼돈의 소지를 없애고, 또한 녹화 정보를 수작업으로 기록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며, 셋트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분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회로에 있어서, 녹화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기록 매체별로 고유 번호(ID)를 부여하는 엔코딩 수단과; 녹화 및 일반 방송 수신시에는 수신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재생시에는 재생 프로그램의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서 선택 출력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텔레텍스트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수단과; 상기 엔코딩수단에서 엔코딩된 기록매체 ID 정보 및 데이타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텔레텍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 매체별로 프로그램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딩 수단은 복합 비데오 신호에 이미 기록 매체 ID가 엔코딩되어 있으면 엔코딩을 스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수단은 녹화시에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방송 프로그램 정보만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수단은 재생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를 원하면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기록매체의 ID 데이터만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수단은 재생시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원하면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방송 프로그램 ID 데이타만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8.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분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회로에 있어서, 녹화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기록 매체별로 고유 번호(ID)를 부여하는 엔코딩 수단과; 녹화 및 일반 방송 수신시에는 수신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고, 재생시에는 재생 프로그램의 복합 비데오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서 선택 출력되는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텔레텍스트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 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제1저장 수단에서 읽어와 기록 매체 ID별로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과; 상기 엔코딩 수단의 기록매체 ID 엔코딩, 데이타 분리수단의 데이타 분리, 및 상기 제1, 제2저장 수단의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1 또는 제2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딩 수단은 복합 비데오 신호에 이미 기록 매체 ID가 엔코딩되어 있으면 엔코딩을 스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수단은 녹화시에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방송 프로그램 정보만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수단은 재생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를 원하면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기록매체의 ID 데이타만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수단은 재생시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원하면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방송 프로그램 ID 데이타만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 수단은, 소트 기능에 의해 저장된 데이타를 채널별, 페이지별, 날짜별, 프로그램 성격별로 분류 저장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 수단은 상기 엔코딩 수단에서 기록 매체 ID가 새로 부여될 때마다 부여되는 기록 매체 ID의 메모리 방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 수단은 기록 매체 ID별로 구분된 메모리 방에 프로그램 ID별로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순차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 수단은, 녹화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녹화 속도, 녹화 주기를 포함한 녹화 형태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 수단은,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녹화 종료 시간 및 소요 시간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 수단이 저장하는 데이타는 상기 제1저장수단의 데이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21.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제1스텝과; 상기 복합 비데오 신호에 기록 매체별로 ID를 부여하는 제2스텝과;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록 매체 ID 별로 저장하는 제3스텝과; 일정 주기로 기록 매체 ID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4스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텝은, 복합 비데오 신호에 이미 기록 매체 ID가 부여되어 있으면 기록 매체 ID의 엔코딩을 스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텝은 기록 매체 ID별로 구분된 메모리 방에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ID를 기준으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4. 방송국에서 복합 비데오 신호의 소정번째 라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 데이타를 실어서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를 기기에 삽입하는 제1스텝과; 제1스텝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복합 비데오 신호에 실린 기록 매체 ID를 검출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기록 매체 ID가 검출되면 검출된 기록 매체 ID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정보를 읽어와 디스플레이하는 제3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제3스텝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모든 프로그램의 전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텝은 현재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960005975A 1995-06-30 1996-03-07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KR017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975A KR0179260B1 (ko) 1996-03-07 1996-03-07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DE19626066A DE19626066B4 (de) 1995-06-30 1996-06-28 Schaltung und Verfahren zum Darstellen von Rundfunk- bzw. Fernsehprogramminformation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975A KR0179260B1 (ko) 1996-03-07 1996-03-07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172A KR970067172A (ko) 1997-10-13
KR0179260B1 true KR0179260B1 (ko) 1999-04-15

Family

ID=1945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975A KR0179260B1 (ko) 1995-06-30 1996-03-07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721A (ko) * 1996-12-16 1998-09-15 구자홍 브이씨알(vcr)의 녹화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탈방송 수신기
KR19990065848A (ko) * 1998-01-17 1999-08-05 구자홍 비디오 신호 복사장치 및 방법
DE60141471D1 (de) * 2000-09-13 2010-04-15 Stratosaudio Inc System und verfahren zum bestellen und zur verfügung stellen von medieninhalten, mit verwendung von zusatzdaten die in einem rundfunksignal mitübertragen wer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172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1195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television on-screen guide
US5541738A (en) Electronic program guide
US7269333B2 (en) Recording arrangement having key word detection means
KR100188659B1 (ko) 방송에약녹화 시스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장치및그방법
US8195029B2 (en) Content viewing support apparatus and content viewing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6400408B1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device having a data block address memory for autonously determining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US200301476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program broadcast signal as digital information
JP3772449B2 (ja) テレビジョン番組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0179260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방법
US6473128B1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d indicating the beginning of television program of interest to the user
EP0393556A2 (en) Improvements in applications for information transmitted in the vertical retrace interval of a television signal
US200200109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television on-screen guide
JPH09247598A (ja) 映像検索装置
KR100198544B1 (ko) 녹화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및 잔량시간 산출방법
JPH0721748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000354225A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H0652654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
JP4168395B2 (ja) 録画番組一覧用サムネイル画像の作成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KR960007952B1 (ko) 방송 프로그램 식별 기호 부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JP200229086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203632B1 (ko) 케이.비.피.에스 정보 표시 장치
KR0176764B1 (ko) 브이씨알의 자막정보 엔코딩/디코딩 처리 방법 및 장치
JPH11250525A (ja) 番組自動録画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受信端末装置
JP2000123440A (ja) 受信装置
JP3148280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番組予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