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474B1 - 고속화상 재생에 적합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용 데이타 코딩기술 - Google Patents

고속화상 재생에 적합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용 데이타 코딩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474B1
KR0176474B1 KR1019930025552A KR930025552A KR0176474B1 KR 0176474 B1 KR0176474 B1 KR 0176474B1 KR 1019930025552 A KR1019930025552 A KR 1019930025552A KR 930025552 A KR930025552 A KR 930025552A KR 0176474 B1 KR0176474 B1 KR 017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signal
input image
sync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170A (ko
Inventor
휴 스트롤 크리스토퍼
토드 자페 스티븐
리우 타안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ublication of KR94001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연속되는 입력이미지들을 기록캐리어상에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복수의 동기블록들로 압축인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는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의해 각 입력이미지들을 디지탈 처리하여 각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 버젼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이미지들 또한 상기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과 다른 제2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의해 디지탈처리되어 각 입력이미지들의 보다 높은 고해상도 버젼을 나타내는 제2디지탈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1디지탈 신호 및 제2디지탈 신호 모두의 연속부분들은 합성되어 기록캐리어상에 기록되는 순차동기블록들로 된다.

Description

고속화상 재생에 적합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용 데이타 코딩기술
제1도는 종래기술의 헬리컬 스캔 평행 트랙킹포맷 및 트릭플레이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VTR에 사용되는 압축부호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서브밴드 디콤포지션(decomposition) 및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동기블록(sync block)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자기테이프상의 동기블록들의 배치 및 복원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제2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된 데이타를 복원하는 복호기(decoder)를 구비하는 디지털VTR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0, 600 : 자기테이프 20, 600 : VTR
24, 618 : 신호처리회로 26 : 자기헤드
38 : 동기블록형성부 40 : 부호기
44 : 역벡터양자화기 46 : 서브밴드복원모듈
48 : 감산회로 302 : 입력이미지필드
304, 308 : 분리필터 602 : 복호기
604 : 자기 픽업헤드 608 : 복원회로
610 : 디멀티플렉서 612 : 역VQ모듈
614 : MPEG데이타복호기 616 : 합성기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테이프 레코더(VTR) 및 기록캐리어(record carri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캐리어가 기록속도와 다른 속도로 VTR재생헤드들을 경유해서 이동되는 화상서치(소위, 고속서치 또는 트릭플레이(trick play))모드중에 비디오 이미지를 형성/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VTR 및 기록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VTR에 있어서, 자기 픽업/ 기록헤드들은 원통형 드럼상에 장착되고, 기록캐리어(예를들어, 자기테이프)는 나선형으로 상기 드럼주위에 반바퀴정도 감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또는 재생중에 드럼(미도시)은 회전하고 테이프(10)는 일정속도로 상기 드럼을 지나서 화살표(12)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평행경사(나선형) 트랙들(14)에 비디오정보 신호들을 기록하거나 픽업한다. 상기 트랙들(14)에 대한 상기 헤드들의 움직임의 일예가 화살표(16)로 표시되어 있다.
고속재생(소위, 트릭플레이)중에 테이프는 기록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드럼을 지나면서 구동된다. 이에 의해 자기헤드들은 제1도의 점선화살표에 의해 보여진 바와 같이 테이프를 가로지르는 각 스캔마다 다중 경사트랙들을 가로질러 휩쓸고 지나면서, 각 기록된 트랙으로부터 비디오정보신호의 일부만을 픽업한다.
고속재생모드를 제공하는 디지털 VTR은 몇가지 해결하기 어려운 조건들을 요구한다. 이는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압축코딩 기법에 있어 이미지의 복잡도에 따라 이미지를 부호화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가변수의 비트들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VTR이 고속재생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부호화된 데이타의 연속적인 복원이 불가능하여, 기록된 이미지중의 일부분들만이 복원된다. 부호화된 데이타의 전부를 완전하게 복원하지 못한다면, 이미지 복원은 심하게 열화될 것이다.
디지탈 VTR에서 고속서치모드의 적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두가지 요건들이 있다. 첫째, 복원된 고속데이타의 테이프상에서의 위치와 이 데이타가 제공하는 복원된 이미지의 위치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존재해야만 한다. 둘째로, 기록된 데이타의 비트율이 어떤 시퀀스(sequence)의 기록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고정됨으로써, 테이프상에서의 직선전진들이 이미지연속의 등가전진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들은 가변길이부호화 방법들을 디지탈 VTR에 적용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현재의 많은 저비트율 이미지 압축부호화 알고리즘들(low bit rate image compression coding algorithms)은(예를 들면, 프레임간 모션보상을 포함) 가변 비트길이 코딩방법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탈 VTR들에는 잘 적용될 수 없었다.
하이카와(Haikawa)등의 1992년 8월 4일자 발행된 미국특허 제 5,136,394호에는 동작의 화상서치모드를 제공하는 이미지부호화방법(image coding scheme)을 채용한 디지탈 VTR이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 이미지는 세 종류의 픽셀들, 즉 a, b, c로 각각 분할되는데, 이때 각 이미지 라인당 a, b타입의 픽셀들보다 두배의 c타입의 픽셀들이 존재한다. 각 이미지당 a, b, c타입의 픽셀들은 서로 그룹지어져 테이프상에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더욱이, 각 그룹들은 각 픽셀을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터의 상위 m비트들과 하위 n비트들에 대응하여, 두 개의 서브그룹들로 다시 분할된다. 화상서치모드동안에는 예컨대 a타입의 픽셀들의 상위비트들만이 테이프로부터 복원되어 사용가능한 거친(rough) 이미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테이프상에 앞서 기록된 a타입의 픽셀들의 스캐닝 및 복원이 반드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서는 화상서치의 자유가 크게 제한받게 된다.
엠. 미나미(M. Minami)에게 1992년 8월 4일자로 발행된 미국특허 제5,136,391호는 입력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서브샘플링되어 저해상도성분들(low resolution components)을 가진 메인 이미지(main image)및 보다 고해상도의 이미지성분들을 갖는 두 개의 계층적 서브이미지들(hirerchical subimages)로 분할되는 디지탈 VTR을 개시한다. 상기 메인이미지는 고정 비트길이 부호화(fixed bit-length coded)되고 각 자기테이프 트랙의 중앙부분을 따라 기록되며, 서브이미지들은 (예컨대, 적응 PCT 기법들(adaptive DCT technique)을 이용하여) 가변비트길이 부호화되어 상기 메인이미지가 기록된 상기 자기테이프 트랙위의 양 측면들에 대칭적으로 기록된다. 이 기법은 각각의 앞서 기록된 트랙의 중앙부분이 사용가능한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해 복원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트릭플레이 동작 및 장치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들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기법이 하이그네마스(Heignemas)에게 1989년 2월21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 4,807,05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바에 의하면, 기록된 영상데이타의 전부가 복원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지 복원이 불량하게 되고, 상기 데이타의 전부가 회복되면 이미지의 복원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첫째, 입력이미지는, 제1변환부호화기법(first transform cod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서브이미지 블록들로 분할된다. 이어서, 연속되는 서브이미지들은 움직임(motion)에 대해 분석되고, 상기 서브이미지들의 움직임간의 차이의 정도에 따라 모션코드(motion code)를 부여받게 된다. 만약, 다음의 서브이미지가 그 모션코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앞서의 서브이미지와 움직임에 있어 차이가 없다면, 제2변환부호화기법(second transform coding technique)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의 서브이미지와 결합하면 입력 서브이미지의 보다 정확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모션코드가 연속되는 서브이미지들간의 움직임의 양이 소정의 최소치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에는, 이어서 제1부호화기법이 다시 사용된다. 따라서, 모든 서브이미지들이 정상적인 플레이중에 순서대로 복원될 때에는 모션코드들의 사용은 유사한 모션코드들을 가진 서브이미지들을 (앞서의 프레임들 또는 필드들로부터, 따라서 인터프레임코딩타입의 처리(interframe coding type of processing)와 등가인 것도)서로 결합하게 하는데, 이는 유익한 이미지압축기법이다. 그러나, 서브이미지 데이타가 전부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면 유사한 모션코드들 및 특정의 변환코드들을 구비한 서브이미지들만이 결합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복원되는 서브이미지들이 보다 고정확도의 서브이미지를 발생하기 위한 서브이미지들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모션코드 및 변환코드들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이미지들은 결합되지 않고, 대신 앞에서 복원된 서브이미지가 원래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반복된다. 이 기법은 복원신호중에 농담불균형(blockiness)들을 형성하고, 더욱이 상기 데이타 압축이 기타의 종래타입의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들처럼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유리하지는 않다.
기록캐리어로부터 그 기록속도와 다른 속도로 데이타를 복원할 때 고유의 샘플 스킵핑(sample skipping)을 고려하는 비디오 이미지 압축을 위한 또 다른 기법이 비디오 기술용 회로들 및 시스템들에 대한 IEEE 보고서 1991년 3월호 제1호의 제1권에 발표된 Rate-Constrained Optimal Block-Adaptive Coding for Digital Type Recoding of HDTV제목의 논문에서 우(Wu)등에 의해 개시되었다. 이 기법에서, 비디오의 각 프레임(또는 필드)은 작은 개수의 서브이미지들로 분할된다. 각 서브이미지는 논-오버랩핑(non-overlapping)블록들로 분할되고 각 블록은 한 범위의 비트율들을 커버하는 사전 설계된(predesigned)유한세트의 블록양자화기들(block quantizers )중의 하나에 의해 부호화되어, 이에 의해 각 서브이미지는 일정수의 비트만큼씩 독립적으로 부호화된다. 라그랑제 승산법(Lagrange Multiplier method)에 기초한 최적화에 가까운 양자화기 할당 알고리즘(quantizer allocation algorithm)은 각 블록당 특정 양자화기를 선택하는데 쓰인다. 이 목적은 각 서브이미지에 대해 일정수의 전체 비트수를 제한한 상태에서 전체 서브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레이트-컨스트레인드 블록-적응 기법(rate-constrained block-adaptive technique)은 벡터 양자화에 후속되는 디스크리트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을 구비하는 다단계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상기 기법이 프릭플레이중의 데이타 복원을 가능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다단계 압축부호화 기법은 트릭플레이동안에 복원된 이미지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농담불균형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상기 블록-적응 기법은 최적 데이타 압축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릭플레이 모드 동작시 디지탈 VTR에 기록된 이미지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VTR에서 디지탈비디오정보는 2개의 데이타스크림들, 즉 트릭플레이 데이타스트림(trickplay data streme;TDS)과 노말플레이 데이타스트림(NPDS)으로 분리된다. 양 데이타스트림들은 동일한 이미지들을 나타내고 있으나, TDS는 NPDS보다 소정 이미지당 적은 비트수를 사용하고, 그러므로 TDS는 NPDS에 비해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양 데이타스트림들의 연속부분들은 연속된 동기블록들(sync blocks)을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그룹으로 묶여지며, 그 다음 평행한 경사트랙들내의 기록캐리어상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트릭플레이복원중에, 상기 동기워드들의 복원된 TDS부분만이 그 이미지를 복원하는 데 사용되고, 노말플레이백중에는 그 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하여 NPDS부분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TDS부분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TDS부분은 고정비트길이 부호화되어 자기테이프가 다중 트랙들을 비스듬이 스캔할 때 복원된 동기블록들(또는 워드들)중의 각각의 TDS부분이 이미지를 복원하는 데 사용된다. 고정비트길이 코딩은 저해상도 TDS부분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노말플레이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조건들을 갖는 NPDS는 훨씬 높은 데이타속도를 가지고, 그러므로 유리하게는 가변비트길이 코딩알고리즘을 채용한 코딩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의하면 TDS부분은 더 작은 이미지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원래의 이미지의 서브밴드 디콤포지션에 의해 형셩되고, 그다음 벡터양자화기술을 사용하여 부호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TDS와 NPDS는 계층적인 형태의 관계를 가지므로, 각 동기워드의 TDS와 NPDS는 노말플레이중에 복원된 이미지를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이미지압축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종래의 평행 경사트랙 기록기술이 사용되면서, 고속재생중에 이미지복원을 가능하게 한다는데 있다. 이러한 장점은 연속적으로 기록된 동기블록들내에 고정 비트길이 부호화된 TDS의 연속적인 부분들을 포함함으로써 얻어진다. 그것이 고정 비트길이 부호화되기 때문에 테이프로부터 복원될 수 없는 동기블록들의 다른것들을 언급함이 없이 복호화될 수 있고, 다중 트랙들이 고속서치모드중에 스캔될 때, TDS부분들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놓친 동기블록들의 비복원된 TDS부분들은 복원된 다른 동기블록들로부터 유사하게 위치하는 이미지부분들을 나타내는 TDS데이타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과 장점 및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여 구성된 디지탈 VTR(20)의 기록부가 도시되어 있다. VTR(20)은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해 구성된 영상신호 압축인코딩부(video signal compression encoding portion: 22)와 종래의 신호처리부(24) 및 자기테이프(10)상에 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기록헤드(26)를 포함한다. 간단히, 단지 하나의 인코딩부(22)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인코딩부(22)는 가령 CCIR규정 601에 의하여 부호화된 디지탈신호원으로부터 휘도신호(Y)를 받는다. 부가적인 인코딩회로들(28, 30)이 색신호성분들, 즉 U, V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될 것이다.
입력프레임기(32)는 소스디지탈영상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그것을 더 작은 이미지프레임들로 만들기 위해 데시메이트되는(decimated) 서브밴드 디콤포지션모듈(34)에 공급한다. 예를들면, 각 입력프레임의 휘도성분을 위하여, 프레임크기는 수평으로 720화소들, 수직으로 480라인들(화소들)일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디콤포지션 및 데시메이션은 수평으로 180화소들, 수직으로 120라인들을 갖는 휘도필드들을 만든다. 상기 과정은 제5도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2회의 로우패스필터링 및 데시메이션을 함으로써 수행된다. 다음 이들 더 작은 이미지들은 트릭플레이 데이타스트림(TDS)을 형성하기 위하여 벡터양자화(VQ) 모듈(36)에 의해 종래의 양자화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타압축용으로 부호화된다. 벡터양자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들 더 작은 이미지들은 고정사이즈벡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이한 벡터사이즈들, 즉 수평으로 16개의 소화소들과 수직으로 하나의 화소(16×1)와 수평으로 8개의 소화소들과 수직으로 2개의 화소들(8×2)중의 하나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 이들 벡터들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TDS코드워드들을 발생하기 위한 고정사이즈 코드북을 사용하여 양자화된다. 그 다음, 이들 VQ코드워드들은 TDS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DS는 동기블록형성기(38)의 제1입력으로 인가되며, 이 동기블록형성기(38)는 동기블록들의 연속적인 것들안에서 후에 기술될 노말플레이 영상신호를 나타내는 코드워드들과 상기 TDS코드워드들을 결합한다.
TDS의 형성과 동시에, 노말플레이데이타부호화기(40)는 몇가지 공지된 고화질의 이미지압축코딩기술들중의 하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가변비트길이 코딩기술을 채용하여 입력된 이미지프레임을 처리한다. 여기에 적용되는 기술은 MPEG스탠다드코미티에 의해 제안되고 가령 Test Model 1라는 명칭의 1992년 5월의 문서 (ISO-IEC/JTC1/SC29/WG11)와 문서(#AVC260) 및 노말플레이데이타스트림(NPDS)이라 불리는 노말플레이이미지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코드워드들을 개발하기 위한 MPEG 92/160에 기술되어 있다. 물론, 입력시퀀스의 원하는 수의 프레임들, 예를 들면 소망의 편집경계와 압축비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로서 4개의 프레임들에 걸쳐서 코딩을 고정시키도록 억제하기 위하여는, 적절한 수정이 종래의 MPEG기술에 가해질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그 다음, NPDS는 동기블록형성기(38)의 제2입력으로 인가된다.
딜레이모듈(delay module:42)은 부호화기(40)에 공급되는 입력프레임들을 지연시키므로, 동기블록형성기(38)가 TDS와 NPDS의 부분들을 단일 동기블록 또는 워드로 그루핑하고, 각 그루핑된 데이타스트림이 나타내는 입력프레임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TDS는 고정비트길이 부호화되므로, 동기블록들내의 연속적인 것들의 연속적인 TDS부분들은 동기블록의 테이프상의 위치와 그 동기블록내 TDS로 나타내어지는 기록된 이미지의 위치 사이에 소정의 그리고 공지된 상관관계를 만든다. 다른 방법으로 기술하면, TDS와 NPDS는 입력이미지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부분들을 단지 나타낸다. 그 이유는 TDS의 연속적인 부분들이 입력된 프레임의 근접한 부분들을 나타내고 연속적인 동기블록들의 연속적인 것들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NPDS의 연속적인 부분들은 가변비트길이 코딩방법에 기인하여 TDS의 입력이미지와 공간적으로 동일한 관계를 더 이상 지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다음, 순차적인 동기블록들은 종래의 VTR신호처리회로(24)를 사용하여 처리되고, 자기테이프(10)상의 복수의 평행 경사트랙들내에 순차적으로 동기블록들을 기록하기 위하여 자기헤드(26)에 인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계층적인 방법이 NPDS를 코딩하는데 사용되며, 이 방법은 TDS를 복원하고 그 다음 NPDS를 형성하기 전에 입력된 이미지로부터 그 복원된 TDS를 감산함으로써 달성된다. NPDS로부터 TDS를 제거하는 것은 TDS정보가 이미 분리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코딩방법을 이룬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TDS는 입력이미지의 데시메이트된 버젼(version)을 재창출하는 역벡터양자화기(inverse vector quantizer:44)와 필수적으로 원래의 이미지프레임을 복원하면서 데시메이트된 이미지들의 화소들상에 동작하는 인터폴레이션회로를 포함하는 서브밴드복원모듈(subband reconstruction module:46)에 의해 처리된다. 감산회로(48)는 노말플레이코딩모듈(40)에 감소된 비트밀도입력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입력 프레임으로부터 복원된 TDS를 감산한다.
제3도는 블록도의 형태로 서브밴드디콤포지션을 나타내고 있다. 입력이미지필드(302)는 h x v (Y성분에 대해서 720화소들 x 480라인들)의 초기크기를 갖는다. 분리가능필터들(304, 308)은 모듈(306)을 통하여 2개의 로우들을, 모듈(310)을 통하여 2개의 컬럼들에 의해 데시메이트되기 전에 입력이미지의 로우들 및 컬럼들의 각각을 로우패스필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필터들은 데시메이션후의 앨리어징(aliasing)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드른 분리될 필요가 없다. 제3도의 처리를 통하여 이미지필드의 각 패스는 폭(h)과 높이(v)의 절반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Y, U, V성분들은 수평으로 2번, 수직으로 1번 데시메이트되어, 180 x 120화소들의 휘도필드들(luminance fields)와 90 x 120화소들의 색도필드들(chrominance fields)을 생성한다.
제4도는 테이프상의 TDS와 NPDS코드워드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동기블록 또는 워드(400)는 블록(400)의 길이의 약 10%를 차지하는 제1부분(402)을 포함하고, 그 안에 기록된 고정비트길이 부호화된 TDS의 부분을 포함한다. 나중에 기술될 것이지만, 각 부분은 23 코드워드들 (8 x 2벡터양자화에 대해), 또는 6 코드워드들 (16 x 1벡터양자화에 대해)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 (400)의 제2부분(404)은 그 안에 기록된 가변길이 부호화된 NPDS의 부분을 포함한다. 간략하면, 디지탈화된 데이타시스템에 통상적으로 포함된 데이타의 동기워드들, 에러정정, 가령 패리티 및 다른 하위레벨 관리적인 형태의 확인에 관계하는 데이타와 같은 종래의 형상동기워드들의 부가적인 부분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테이프상의 데이타의 위치는 트릭플레이중에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타는 입력이미지의 각 필드를 위하여 한 트랙을 사용하여 기록된다. 각 트랙은 원래의 이미지필드내의 각 라인당 한 동기워드의 평균을 가지고, 고정길이를 갖는 240개의 동기워드들로 분할된다.
예를들면, NPDS에서 비트속도가 4개의 프레임위로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이들 4개의 프레임들에 대한 NPDS는 8개의 평행 트랙들(즉 4프레임)위로 모든 동기워드들을 놓이게 한다. 따라서, NPDS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복호기는 8개의 트랙순서의 초기에 시작하여 이들 8트랙들상의 연속적인 동기워드들로부터 모든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상적으로는 단지 하나의 동기워드가 원래 이미지의 하나의 라인을 생성하기 위해 복원될 필요가 있도록, TDS는 동기블록들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트릭플레이중에, 복호기는 테이프상의 데이타복원이 어디에서 시작하건 간에 복원된 동기워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폭과 비트밀도에 대한 현재의 기술제한 때문에, 4동기워드들은 TDS코드워드들의 4라인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평균적으로 이미지라인당 1 동기워드를 가지며, 수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4개 라인들을 나타내는 TDS코드워드들을 얻기 위한 방법은 데시메이티드된 이미지의 VQ를 수행할 때 8 x 2 화소블록들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고, 이는 차후 복호회로를 기술할 때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5도는 트릭플레이이미지의 형성중에, 기록된 동기워드들이 어떻게 복원되는가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트릭플레이중에 형성된 이미지들은 트릭플레이중에 종래의 아날로그VTR에 의해 형성된 것들과 유사하다. 즉, 트릭플레이이미지는 자기헤드들이 테이프를 가로질러 비스듬이 지나갈 때 복원되는 입력이미지순서의 연속라인들의 스트립들(strips) 로 구성될 것이다. 테이프(500)는 평행경사트랙들의 각각에 기록된 각 필드를 나타내는 240개의 동기워드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인접한 트랙들은 예를들면 주어진 프레임의 필드 1과 필드 2를 나타낸다. VTR이 예를들면 2배의 노말플레이속도에서 동작될 때, 동기워드데이타는 제5도에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한 스트립들안에서 복원될 것이다. 즉, 제5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것처럼, 각 트릭플레이 이미지는 제1프레임(TF11)의 제1필드의 상부 120라인들로부터 유도된 상부절반과, 제1프레임의 제2필드(BF12)의 마지막 120라인들로부터 유도된 하부절반을 가질 것이다. 이 예는 화상서치속도의 추가된 배속에서 또한 데이타복원을 도시하도록 올라갈 수 있다.
노말플레이중에, 모든 데이타(TDS와 NPDS)는 복원되고, 노말플레이 화상들은 연속적으로 기록된 동기블록들로부터 생성된다. 트릭플레이중에, 예를들면 2배의 노말속도에서, 영상의 한 프레임은 원래의 입력시퀀스(original input sequence)의 매 2프레임마다 생성된다. 이것은 헤드가 화살표들(402, 404, 406)로 도시된 것처럼 경사진 트랙을 스캔할 때 제5도에 도시된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스트립들을 픽업함으로써 나타내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릭플레이를 위하여 이미지의 부분들이 이미지시퀀스의 어느 다른 부분을 참조함이 없이 복호가능하다라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구속은 모션보상의 사용을 매우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트릭플레이중에 NPDS를 무시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들을 피한다. 트릭플레이중 원래의 화상의 동일한 수의 라인들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동기워드들의 최소수(현재는 4개 그러나 이상적으로는 하나)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들 동기워드들의 TDS내의 데이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영상의 원래 필드의 2개 또는 4개라인들을 복원할 수 있다.
제3도를 다시 참조하면, 이러한 처리는 서브밴드 디콤포지션 및 데시메이션 (SDD)에 의해 입력이미지(필드 또는 프레임)의 저해상도 버젼을 만든다. 이 SDD이미지는 그 다음 벡터양자화(VQ)를 사용하여 기록하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부호화된다. 이 VQ에 대한 벡터크기는 예를들면 8 x 2 또는 16 x 1일 수 있다. 8 x 2 벡터크기는 각 벡터가 SDD이미지의 수평으로 8개의 화소들과 수직으로 2개의 화소들을 의미한다. SDD이미지의 수직방향내 각 화소가 입력이미지의 2개의 수평라인들의 위에 있는 화소들을 나타내므로 SDD의 2개의 수평라인들의 화소들을 나타내는 각 부호화된 벡터는 입력이미지의 4개의 수평라인들의 화소들을 나타내는 각 부호화된 벡터는 입력이미지의 4개의 수평라인들의 위에 있는 이미지정보를 나타낸다는 것을 주목한다. 만일 16 x 1 벡터크기가 사용되면, 8 x 2벡터크기에 대한 상기 기술한 것과 동일한 분석을 적용할 때 각 VQ코드워드(부호화된 벡터)가 2개의 라인들에 걸쳐있는 정보를 나타낼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인폭이 720화소들이기 때문에, 4배의 인터폴레이션 방법은 180화소들의 복원이 720화소영상이미지를 충분히 복원하도록 한다. 실제로, 초과 12 화소들(또는 총 192화소들)은 화소 런오프(run-off)에 기인하여 요구된다. 그 다음, 24VQ코드워드들의 복원은 입력이미지의 전체폭을 복원하기에 충분하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24개의 VQ코드워드들의 각각이 8개의 수평화소들(8 x 2벡터크기를 사용할 때)을 나타내고 24 x 8은 192화소들과 같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평균 1이미지라인은 동기워드당 기록되기 때문에, 그리고 4개의 이미지라인들로부터의 화소들은 각 VQ코드워드에 의해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각 동기워드가 6개의 VQ코드워드들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4개의 동기워드들을 복원하면, 입력이미지의 4개의 전체폭라인들을 나타내는 24코드워드들을 산출한다. 따라서, 소망의 동기워드당 평균 1 전체수평라인이 설정된다.
벡터크기가 16 x 1 인 실시예에 의하여, 단지 13개의 (실제로는 12.5개)코드워드들이 입력이미지의 전체폭을 복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192화소들을 얻기 위하여 복원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동기워드당 평균 6개의 코드워드들을 사용하면, 단지 2개의 동기워드들만이 전체폭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해 복원될 필요가 있다. 각 코드워드는 입력이미지의 2개의 인접라인들로부터의 화소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평균 동기워드당 1라인이 여전히 유지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발명자들이 느끼는 동기워드당 평균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라인은 입력이미지의 더 명확한 복원을 이룬다.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VTR(600)은 복호기(602)를 포함한다. 종래의 자기픽업헤드(604)는 종래설계된 복원회로(608)와 결합하여 테이프(606)로부터 동기워드들을 복원한다. 디멀티플렉서(610)는 TDS와 NPDS데이타를 분리하고, TDS데이타를 역VQ모듈(612)로, NPDS데이타를 제2도의 인코딩프로세스에 사용되는 MPEG코딩에 보충하여 종래의 MPEG데이타복호화기(614)로 공급한다. 역VQ모듈(612)과 인터폴레이션모듈(615)은 작은 이미지들을 제2도의 모듈(44, 4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복원한다. NPDS는 계층적으로 부호화되기 때문에, 복원된 TDS는 원래의 NPDS를 복원하기 위하여 복원된 NPDS와 같이 합성기(616)에서 결합된다. 신호처리회로(618)(D/A변환기를 포함)는 노말플레이중에 NPDS를 처리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고속서치중에 종래의 아날로그영상출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TDS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코딩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를 고려할 때 많은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들면, 계층적인 코딩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즉 TDS를 NPDS로부터 감산하는 것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치 않다. 더욱이, 트릭플레이 또는 노말플레이중에, 제2도의 부호기 또는 제6도의 복호기의 비사용부분은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많은 변경 및 수정예가 다음의 청구범위에 제한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안에 있다고 고려된다.

Claims (26)

  1. 연속적인 입력 이미지들을 기록캐리어상에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복수의 동기블록들로 압출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을 디지탈 처리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과 다른 제2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의 보다 고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제2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기록캐리어상에 소정 길이의 평행트랙내에 순차적으로 기록되게 제공되는, 상기 발생된 양 제1 및 제2디지탈신호들의 연속부분들을 순차동기블록들이 상기 평행트랙들의 각각의 길이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도록 제공되어, 그 길이의 복수개의 각 서브인터벌의 각각에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이미지들을 압축인코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기블록은 고정 비트수의 상기 제1디지탈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디지탈신호는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로부터의 임의의 이미지부호화된 신호를 참조함이 없이 복호가능하며; 상기 각 동기블록은 가변 비트수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의 상기 제2디지탈 신호 부분들에 관계없이 복호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은 디지탈 로우패스 필터링과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데시메이션을 수행하여 각각의 저해상도 데시메이티드 이미지를 발생하고; 벡터양자화기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 저해상도 데시메이티드 이미지의 픽셀블록들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코딩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2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을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그 초기부단계로서 제1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 버젼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신호를 제공하며, 추가로 복원된 버젼이 상기 입력이미지의 화소들에 공간적인 위치로 대응하는 화소들을 가지는, 상기 제1 디지탈신호로부터의 상기 입력이미지의 저해상도 버젼을 복원하는 부단계; 상기 복원된 버젼의 대응하는 화소를 상기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로부터 감산하여 수정된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를 발생하는 부단계; 상기 수정된 입력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과 상이한 제2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더 높은 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상기 제2디지탈신호의 발생을 완료하는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자기 테이프와 비디오신호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순차이미지들을 처리하며 복수의 평행한 경사 트랙들의 각 길이들을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순차동기블록들을 구비하는 디지탈신호들을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는 실질적으로 상기 동기블록들의 전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경사트랙들의 각각으로부터 복원되어 노말 프리젠테이션 속도로 노말 해상도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노말 플레이모드; 및 실질적으로 소정 트랙상의 동기블록들 전부보다 적은 블록들이 상기 복수의 경사트랙들의 각각으로부터 복원되어 상기 노말속도보다 빠른 속도로써 공급되는 저하된 해상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트릭플레이모드를 갖는 경우,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은, 상기 비디오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연속된 디지탈입력 이미지들을 발생하는 단계;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입력이미지들의 각각을 디지탈처리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 인코딩방법과 다른 제2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을 디지탈처리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의 고해상도 버젼을 나타내는 제2디지탈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디지탈신호 및 상기 제2디지탈신호 모두의 연속부분들을 상기 각각의 순차동기블록내에서 합성하는 단계; 및 기록캐리어상에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상기 순차동기블록들을 제공하여 상기 각각의 복수의 순차동기블록들이 상기 복수의 평행경사트랙들의 각각의 길이를 따라서 기록됨으로써 그 길이의 서브인터벌들의 각각에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기블록은 고정 비트수의 상기 제1디지탈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디지탈신호는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로부터의 임의의 이미지부호화된 신호를 참조함이 없이 복호가능하며; 상기 각 동기블록은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 부분들에 관계없이 복호불가능한 가변 비트수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은 디지탈 로우패스 필터링과 상기 입력이미지의 데시메이션을 수행하여 저해상도 데시메이티드 이미지를 발생하며; 벡터양자화기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데시메이티드 이미지의 픽셀블록들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제2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들을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그 초기부단계로서 제1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저해상도 버젼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신호를 제공하며, 추가로 복원된 버젼이 상기 입력이미지의 화소들에 공간적인 위치로 대응하는 화소들을 가지는, 상기 제1 디지탈신호로부터 상기 입력이미지의 저해상도 버젼을 복원하는 부단계; 상기 복원된 버젼의 대응하는 화소를 상기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로부터 감산하여 수정된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를 발생하는 부단계; 및 상기 수정된 입력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이미지압축 인코딩기법과 상이한 제2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더 높은 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상기 제2디지탈신호의 발생을 완료하는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그 안에 형성된 복수개의 평행 경사트랙들을 포함하는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에 있어서, 각 트랙은 각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의 복수개의 각 서브인터벌의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속적으로 기록된 동기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동기블록은 입력이미지와 거의 동일한 부분을 상이한 해상도로 동시에 나타내는 그 안에 기록된 제1 및 제2 시호들의 부분들을 가지고, 상기 동기블록들의 연속적인 블록들을 상기 입력이미지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부분들에 대응하는 부분을 갖는 상기 제1 신호의 연속적인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기블록은 고정 비트수의 상기 제1디지탈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디지탈신호는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로부터의 임의의 이미지부호화된 신호를 참조함이 없이 복호가능하며; 상기 각 동기블록은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 부분들에 관계없이 복호불가능한 가변 비트수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기블록의 제1디지탈신호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이미지의 1수평라인의 평균값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
  12. 자기 테이프와 비디오신호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순차이미지들을 처리하며 복수의 평행한 경사 트랙들의 각 길이들을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순차동기블록들을 구비하는 디지탈신호들을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인 입력이미지의 화소들을 나타내는 연속적인 디지탈샘플들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수단; 제1이미지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입력이미지들의 각각을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저해상도 버젼을 나타내는 제1 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제1 인코딩수단; 상기 제1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과 상이한 제2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입력이미지의 각각을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더 높은 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제2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제2 인코딩수단; 상기 제1 및 제2 디지탈신호의 연속부분들을 순차동기블록들로 결합하는 결합수단; 및 기록캐리어상에 순차적으로 기록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순차동기블록들을 상기 자기테이프에 제공하여, 상기 각 복수개의 순차동기블록들이 상기 복수개의 평행 경사트랙들의 각각의 길이를 따라 기록됨으로써, 그 길이의 각 서브인터벌의 각각에 배치되는 인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상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코딩수단은 디지탈 로우패스 필터링과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데시메이션을 수행하여 각각의 저해상도 데시메이티드 이미지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 및 벡터양자화기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 저해상도 데시메이티드 이미지의 픽셀블록들을 부호화하여 상기 제1디지탈 신호를 발생하는 벡터양자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코딩수단이 상기 제1 인코딩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디지탈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이미지의 화소들의 공간적인 위치에 해당하는 화소들을 갖는 복원 이미지를 발생하는 복원수단; 상기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로부터 상기 복원이미지의 해당 화소를 감산하여 수정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수정입력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과 상이한 제2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의 보다 높은 고해상도버젼을 나타내는 상기 제2디지탈신호의 발생을 완료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자기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복수의 평행경사트랙들로부터 복원되는 비디오신호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다지탈신호들의 순차동기블록들을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처리회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경사트랙들의 각각은 그 각 길이를 따라서 기록된 최소한 두 개의 소정갯수의 상기 동기블록들을 가지며 그 길이의 복수의 서브인터벌들의 각 서브인터벌들에 배치되며, 상기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는 실질적으로 상기 동기블록들의 전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경사트랙들의 각각으로부터 복원되어 노말 프리젠테이션 속도로 노말 해상도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노멀 플레이모드; 및 실질적으로 소정 트랙상의 동기블록들 전부보다 적은 블록들이 상기 복수의 경사트랙들의 각각으로부터 복원되어 상기 노말속도보다 빠른 속도로써 공급되는 저하된 해상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트릭플레이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비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릭플레이모드동안에는 상기 테이프의 각 트랙으로부터 상기 동기블록들중의 최소한 하나의 동기블록을 복원하고, 상기 노말플레이모드동안에는 상기 테이프의 각 트랙으로부터 상기 동기블록들중의 좀더 많은 동기블록들을 복원하는 복원수단; 상기 복원수단에 의해 복원된 동기블록들에 응답하여 각 동기블록으로부터, 상기 저하된 해상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각 동기블록으로부터의 제1디지탈신호들 및 상기 노말해상도 이미지를 나타내는 둘 이상의 동기블록들로부터의 제2디지탈신호들을 분리하는 신호분리수단; 각 복원동기블록으로부터의 일정수의 비트들을 사용하는 제1디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동기블록의 제1디지탈신호들을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저하된 해상도이미지를 나타내는 제1비디오신호를 제공하는 제1디코딩수단; 상기 제1디코딩기법과 상이한 제2디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동기블록들중의 둘 이상의 동기블록들로부터의 제2디지탈신호들을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노말해상도 이미지를 나타내는 제2비디오신호를 제공하는 제2디코딩수단; 및 플레이어의 상기 트릭플레이모드동작중에는 상기 제1비디오신호를 제공하며, 플레이어의 상기 노말플레이모드동작중에는 상기 제2비디오신호를 제공하는 비디오신호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 프리젠테이션속도보다 빠른 상기 속도는 상기 노말프리젠테이션속도의 작은 배수로 제한되지 않으며, 평균적으로 상기 몇 개의 동기블록들중의 제1디지탈신호의 세그먼트들이 상기 비디오신호중의 거의 동일한 수의 수평라인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동기블록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속적인 입력이미지들의 좌측 및 우측가장자리사이의 전체거리에 걸쳐 연장되며 그 상부 및 하부가장자리사이의 거리의 일부만에 걸쳐 연장되는 상기 연속적인 입력이미지들의 하나의 각 스트립을 나타내는 상기 제1디지탈신호의 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랙의 각 길이의 각 서브인터벌중의 각 서브인터벌들에 배치되는 상기 동기블록들은 상기 제1신호의 연속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부분들중의 각 부분은 실질적으로 상기 입력이미지의 좌측 및 우측가장자리사이의 전체거리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입력이미지의 상부 및 하부가장자리의 전체길이의 일부만에 걸쳐 연장되는 상기 입력이미지의 각 스트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
  19. 복수의 입력이미지들을 균등한 비트길이의 다수의 연속적인 동기블록들로 압축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정길이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연속적인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 버젼들의 연속적으로 간주되는, 실질적으로 상기 입력이미지의 좌측 및 우측가장자리 사이의 전체거리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입력이미지의 상부 및 하부가장자리사이의 전체거리의 일부만에 걸쳐 연장되는, 스트립들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디지탈신호로부터 상기 각 연속적인 입력이미지의 저해상도 버젼을 복원하고, 상기 각 복원이미지는 상기 입력이미지들의 화소들의 공간적인 위치에 해당하는 화소들을 갖는 단계; 상기 각 연속적인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로부터 상기 복원이미지들중의 하나의 해당 복원이미지의 해당화소를 감산하여 수정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를 발생하는 단계; 가변길이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수정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제2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동기블록들중의 각 연속동기블록의 제1소정부분안에, 상기 연속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버젼들의 상기 연속적으로 간주되는 스트립들중의 각 스트립을 나타내는 상기 제1디지탈신호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블록들중의 각 연속동기블록의 제2소정부분안에, 상기 제2디지탈신호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코딩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고정길이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 입력이미지를 서브밴드 디콤포지션 및 데시메이션하여 상대적으로 긴밀한 샘플들을 개별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듬성듬성한 샘플들로 간주되는 화소들로 변환하는 부단계; 및 상기 제1디지탈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소정의 일정크기의 코드들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듬성듬성한 샘플들을 벡터양자화하는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축인코딩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의 폭을 가로지르는 유사한 길이의 복수의 평행트랙들을 구비한 자기테이프를 소정의 경사각도로 헬리컬기록하는 방법은 상기 각 평행트랙의 길이를 따라서 상기 복수의 순차동기블록들의 각각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코딩 방법.
  22. 자기 테이프와 비디오신호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순차이미지들을 처리하며 복수의 평행한 경사 트랙들의 각 길이들을 따라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순차동기블록들을 구비하는 디지탈신호들을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인 입력이미지의 화소들을 나타내는 연속적인 디지탈샘플들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는 디지타이징 수단; 고정길이 이미지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서 상기 각 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연속적인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버젼들의 연속적으로 간주되는, 각각이 실질적으로 상기 입력이미지의 좌측 및 우측가장자리사이의 전체거리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입력이미지의 상부 및 하부가장자리사이의 전체거리의 일부만에 걸쳐 연장되는, 스트립들을 나타내는 제1디지탈신호를 제공하는 제1인코딩수단; 상기 제1디지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이미지의 화소들에 대해 공간적인 위치에서 해당하는 화소들을 갖는 복원이미지를 발생하는 복원수단; 상기 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로부터 복원이미지의 해당화소를 감산하여 수정입력이미지의 각 화소들을 발생하는 수단; 가변길이 압축인코딩기법에 따라 상기 각 수정입력이미지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제2디지탈신호를 발생하는 제2인코딩수단; 및 균일한 지속기간을 가지고 각각 상기 각 평행경사트랙의 길이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복수의 동기블록들을 발생하며, 상기 각 동기블록의 제1소정부분안에 상기 연속적인 입력이미지들의 저해상도 버젼들의 상기 연속적으로 간주되는 스트립들중의 각 스트립을 나타내는 상기 제1디지탈신호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동기블록의 제2소정부분안에 상기 제2디지탈신호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동기블록형성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상기 몇 개의 동기블록들중의 상기 제1디지탈신호의 세그먼트들은 상기 비디오신호의 거의 동일한 수의 수평라인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상에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서브인터벌들안의 하나의 연속동기블록들을 상기 이미지저장 기록캐리어상에 복수의 평행경사트랙들의 각각의 길이를 따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연속 동기블록들안에 제1신호의, 입력이미지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부분들에 해당하는, 각 연속부분들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블록들안에, 상기 입력이미지의 거의 동일한 부분을 상이한 해상도들로써 나타내는 상기 각 동기블록안에 포함된 제2신호의 각 부분들 및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각 부분들을 포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로부터의 임의의 이미지부호화된 신호를 참조함이 없이 복호가능한 상기 각 동기블록들내에 일정비트수의 상기 제1디지탈신호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동기블록들중의 다른 동기블록들내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의 부분들에 관계없이 복호불가능한 상기 각 동기블록들내에 가변비트수의 상기 제2디지탈신호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블록들의 연속동기블록들안에 제1신호의 각 연속부분들을 포함하는 상기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상기 각 동기블록의 제1디지탈신호에 의해 나타내지는 입력이미지의 하나의 수평라인의 평균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KR1019930025552A 1992-12-01 1993-11-27 고속화상 재생에 적합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용 데이타 코딩기술 KR0176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374892A 1992-12-01 1992-12-01
US7/983,748 1992-12-01
US07/983.748 1992-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70A KR940016170A (ko) 1994-07-22
KR0176474B1 true KR0176474B1 (ko) 1999-04-15

Family

ID=2553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552A KR0176474B1 (ko) 1992-12-01 1993-11-27 고속화상 재생에 적합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용 데이타 코딩기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26131A (ko)
JP (1) JP2941624B2 (ko)
KR (1) KR0176474B1 (ko)
CN (1) CN105142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87738B (zh) * 1994-09-26 2010-05-12 三菱电机株式会社 数字视频信号的记录和重放设备及其记录和重放的方法
US6009236A (en) 1994-09-26 1999-12-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video signal record and playback device and method for giving priority to a center of an I frame
WO1996034495A2 (en) * 1995-04-25 1996-10-31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coding video pictures
US5949948A (en) * 1995-11-20 1999-09-07 Ime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layback features for compressed video data
US5959690A (en) * 1996-02-20 1999-09-28 Sas Institu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itions and other special effects in digital motion video
KR100240770B1 (ko) * 1997-07-11 2000-01-15 이형도 에너지보상/역보상기능을개선한스케러블부호화기및그방법
US6829301B1 (en) * 1998-01-16 2004-12-07 Sarnoff Corporation Enhanced MPEG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US6560285B1 (en) * 1998-03-30 2003-05-06 Sarnoff Corporation Region-based information compaction as for digital images
DE19914645A1 (de) * 1999-03-31 2000-10-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Codierung/Decodierung
US7298959B1 (en) * 1999-12-16 2007-1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PEG-2 transport streams using a conventional digital video recorder
US7170936B2 (en) * 2002-03-28 2007-01-30 Intel Corporation Transco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U2003251896A1 (en) * 2003-07-15 2005-03-07 Joseph Caldarola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media data
JP4552677B2 (ja) * 2005-02-04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442500B2 (ja) * 2005-04-15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素材記録装置および素材記録方法
JP5141633B2 (ja) * 2009-04-24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情報符号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601447A (nl) * 1986-06-05 1988-01-04 Philip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nemen en/of weergeven van videoinformatie in respektievelijk van een registratiedrager, en een registratiedrager verkregen volgens de werkwijze.
JP2522261B2 (ja) * 1986-10-09 1996-08-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2644797B2 (ja) * 1988-01-25 1997-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2198274A (ja) * 1988-10-14 1990-08-0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圧縮記録装置
US5136391A (en) * 1988-11-02 1992-08-0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video tape recorder capable of accurate image reproduction during high speed tape motion
JP2797404B2 (ja) * 1989-04-20 1998-09-17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の記録方式
JPH0322687A (ja) * 1989-06-19 1991-01-31 Sharp Corp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FR2660139B1 (fr) * 1990-03-23 1995-08-25 France Etat Procede de codage et de transmission a au moins deux niveaux de qualite d'images numeriques appartenant a une sequence d'images, et dispositifs correspondants.
US5282049A (en) * 1991-02-08 1994-01-25 Olympus Optical Co., Ltd. Moving-picture data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KR0135873B1 (ko) * 1992-03-14 1998-05-15 강진구 디지탈 자기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41624B2 (ja) 1999-08-25
JPH06303573A (ja) 1994-10-28
KR940016170A (ko) 1994-07-22
CN1051425C (zh) 2000-04-12
US5526131A (en) 1996-06-11
CN1091883A (zh) 1994-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5279A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coding and decoding picture signals and related picture-signal records
KR0176474B1 (ko) 고속화상 재생에 적합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용 데이타 코딩기술
EP0613297B1 (en) Digital high definition television video recorder with trick-play features
US6009230A (en) Variable length code recording playback apparatus
KR100285175B1 (ko) 예측엔코딩을 위해 기준프레임으로 기능을 하는 프레임을 점진적으로 주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선택된 필드를 변환함으로써엔코딩의 고효율을 제공하는 비월 비디오신호 엔코딩 및 디코딩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엔코딩장치 및 디코딩장치
KR100297538B1 (ko) 디지탈고선명텔레비젼수상기
US6058141A (en) Varied frame rate video
CN1086069A (zh) 图象信号编码与解码方法以及图象信号编码与解码装置
GB2238203A (en) Video compression using interframe and intraframe coding for each frame
CN1090871C (zh) 记录装置和方法、重放装置和方法、记录/重放方法
KR0165284B1 (ko) 고속화상재생에 적합한 디지탈비디오테이프레코더용 테이프상의 데이타배치기술
JP3107493B2 (ja) トリックプレイモードで高精細度表示を有するデジタル高精細度ビデオレコーダ
US5550643A (en) Trick-play VCR for digitally coded video
KR100267474B1 (ko)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CN100375541C (zh) 运动图像专家组编码信号的特技播放再现
KR100630245B1 (ko)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호 기록 재생 장치
JP3176012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McLaren et al. Multiresolution high-definition television compression algorithm for digital video tape recording
JPH0646395A (ja) データ圧縮装置
JPH05328396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5276484A (ja) 可変長符号の記録再生装置
MXPA97002867A (en) Digital vcr with hart truck reproduction current derivation
JPH04332283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8195937A (ja) 特殊再生データ作成装置
JPH0646370A (ja) ディジタル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