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401B1 -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 Google Patents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401B1
KR0174401B1 KR1019950053997A KR19950053997A KR0174401B1 KR 0174401 B1 KR0174401 B1 KR 0174401B1 KR 1019950053997 A KR1019950053997 A KR 1019950053997A KR 19950053997 A KR19950053997 A KR 19950053997A KR 0174401 B1 KR0174401 B1 KR 017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ignal
output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5425A (en
Inventor
최성혁
진성언
엄두섭
고제수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5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401B1/en
Publication of KR97005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4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 포트 비동기 램(RAM)과 먹스(MUX)를 이용한 티유(TU)12 단위의 공간 스위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8M 클럭과 2K 프레임 클럭을 입력받아 19M, 72K, 18K, 고정더미 위치, 선택 제어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생성 수단(10); 연결 행렬 메모리인 3포트 비동기 메모리를 사용하여 쓰기, 읽기 포트는 외부 CPU 포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읽기 포트는 타이밍 생성 수단(10)에서 38M 단위로 읽기 어드레스 연결되어 특정 버스의 TU12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CPU 접속 수단(20); 외부의 38M 시스템 클럭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타이밍 수단(10)의 제어에 의해 앞단에서의 전송 에러를 검증하기 위하여 2K 한 프레임 동안의 BIP 계산과 추출, 비교검사, 누적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다수개의 전단 스위칭 수단(30); 다수개의 상기 전단 스위칭 수단(30)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CPU 접속수단(20)의 선택 신호에 의해 공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다중화 수단(40); 및 다수대의 상기 다중화수단(40)의 메모리 출력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38M급으로 리타이밍하여 안정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타이밍 생성 수단(10)의 다음단 ASIC에서 전송 에러를 검출할 수 있도록 2K 한 프레임 동안의 BIP를 계산하여 삽입하여 출력하는 후단 스위칭 수단(50)을 구비하여 L 버스(BUS)(38M)를 사용하는 TU12 단위 공간 스위치에 있어서 L 버스(BUS) 단위의 전송 에러 검출과 3포트 메모리와 단순 먹스만을 이용하여 구성이 간단한 공간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연결행렬 메모리의 이중 구조를 준비하여 스위칭의 변경시에도 스위칭 데이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를 사용하여 가능한 네트를 줄여 레이 아웃(Layout)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switching device of TU12 unit using 3 port asynchronous RAM (RAM) and MUX, 19M, 72K, 18K, fixed pile position, Timing generating means (10) for outputting a timing signal such as a selection control signal; Write and read ports are connected to external CPU ports using 3-port asynchronous memory, which is a connection matrix memory, and the remaining read ports are connected to read addresses in 38M units by the timing generating means 10 to output TU12 data of a specific bus. CPU connection means 20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By receiving external 38M system clock and data and performing the functions such as BIP calculation, extraction, comparison test, accumulation, etc. for 2K frames for verifying transmission error at the front end by the control of the timing means 10, the output is performed. A plurality of shear switching means 30; A plurality of multiplexing means (40) for receiving data from the plurality of front end switching means (30) and performing a spatial switching function by a selection signal of the CPU connection means (20) to output data; And 2K retiming the data output from the memory output units of the multiplexing means 40 to 38M class to receive stable data and detect a transmission error in the next stage ASIC of the timing generating means 10. In the TU12 unit space switch using the L bus (38M) having a rear end switching means 50 for calculating, inserting, and outputting the BIP during the frame, transmission error detection and three ports in the L bus unit are performed. By using only memory and simple mux,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switch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by preparing a double structure of a connection matrix memory,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loss of switching data when switching is changed, but also to reduce the available network using the memor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layout.

Description

비동기 램과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공간 스위칭 장치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간 스위치 망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ace switch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입출력 신호에 대한 특성도.2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an input / output sig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램과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공간 스위칭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n asynchronous RAM and a multi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타이밍신호 발생부 21 내지 32 : 공간 스위치10: timing signal generator 21 to 32: space switch

33 : 입력 스위칭부 35 : 출력 스위칭부33: input switching unit 35: output switching unit

40 : 접속부 34, 43 : 멀티플렉서40: connection part 34, 43: multiplexer

41, 42 : 비동기 램41, 42: Asynchronous RAM

본 발명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기반의 TU(Tributary Unit)12 단위의 광대역 디지탈 교차 스위치 시스템에서의 공간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입력포트와 두 개의 출력포트를 갖는 비동기 램(RAM : Random Access Memory)과 멀티플렉서(MUX : Multiplexer)를 이용한 공간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switching device in a wideband digital cross-switch system of TU (Tributary Unit) 12 units based on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ynchronous RAM having one input port and two output por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 random access memory (MUX) and a multiplexer (MUX).

통신망에서 스위칭 기능은 교환기 뿐만 아니라 전송 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기능이다. 이러한 스위칭 기능을 하기 위하여 과거 아날로그 방식의 릴레이 등을 이용하는 것이 현재에 와서는 디지탈 메모리를 이용하여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In a network, switching is a widely used function in transmission devices as well as exchanges. In order to perform such a switching function, the use of an analog relay in the past has now been performed using a digital memory to perform the switching function.

최근에는 집적회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대용량의 스위치를 고집적 회로인 ASIC화 하고 있다. 일반적인 스위치는 데이터의 위치를 시간적으로 바꾸어주는 시간 스위치와 공간적인 위치 이동을 수행하는 공간 스위치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스위치망의 대부분은 이들을 함께 적용하는 시간/공간/시간의 3단 구조를 가진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grated circuits, large-capacity switches are becoming ASICs, which are highly integrated circuits. A general switch is divided into a time switch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data in time and a spatial switch that performs spatial position movement. In general, most of the switch networks have a three-stage structure of time / space / time for applying them together.

본 발명이 적용되는 TU12 단위의 스위치 망에서도 회선 폭주시 기 서비스 중인 스위칭 경로의 재배열 없이 스위칭 가능한 완전한 블록킹이 없는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In the TU12 unit switch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 that there is no complete blocking that can be switched without rearranging the switching paths in service during line congestion.

이러한 특성을 가진 종래의 공간 스위치에서는 래치 또는 플립플롭 등을 이용하여 설계되어 대규모/집적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TU12 단위 공간 스위치 처럼해당 채널이 1500여개 이상씩 존재하는 것이라면 현재 ASIC 설계/제조 수준으로는 그 구현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메모리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1포트 메모리인 경우 외부의 CPU(Center Processor Unit)와 멀티플렉서로의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In the conventional space switch having such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at it is designed to use a latch or a flip-flop, and thus it is difficult to make a large scale / integr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more than 1500 corresponding channels like the TU12 unit space switc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f not, the current ASIC design / manufacturing level would not be possible, and even if the memory was used, it would not be easy to simultaneously implement an external CPU (center processor unit) and a multiplexer at the same time.

이로 인하여, 일정 로직을 이용하여 설계할 경우 많은 양의 네트가 생성되므로써, 배치와 레이 아웃(Layout)시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었고, 연결 행렬 메모리 자체도 이중화되기 힘들기 때문에 스위칭시 많은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nets are generated when designing with a certain logic, which places a lot of constraints on layout and layout, and because the connection matrix memory itself is difficult to be duplicated, many obstacles occur during switching.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SDH 기반의 TU12 단위의 광대역 디지탈 교차 스위치 시스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스위칭 타이밍을 조절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들을 일시 저장한 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스위칭 변경을 조절하므로써, 스위칭 경로 변경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공간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SDH-based TU12 wideband digital cross-switch system, by using a clock input from the outside to control the switching timing, switching control input from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atial switch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loss of data when switching paths are changed by temporarily storing and selectively using signals to adjust switching chang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신호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공간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클럭과 프레임 클럭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스위칭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신호 발생수단; 상기 타이밍신호와 외부로부터 전달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경로를 선택하여 선택한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스위칭수단;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공간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접속수단은 각각, 하나의 입력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여 제 1 및 제 2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및 제2 비동기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제 1 및 제 2 비동기 램의 제 1 출력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t least one input signal to a desired signal path. Timing signal generating means for providing a timing signal for adjustment; At least one spatial switching means for selecting a signal path to which the input signal is to be transmitted and switching to a selected path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patial swit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signal, wherein each of the connection means receiv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one input port and temporarily stor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First and second asynchronous RAMs (RAM: Random Access Memory) for output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nd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s of the first and second asynchronous RAMs to the spatial switching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간 스위치 망의 전체 구성도로서, 시간 스위치와 공간 스위치를 이용하여 TU12 단위 5044 X 5044의 블록킹 확률이 없는 스위치 망을 나타낸다.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atial switch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switching network without a blocking probability of TU12 unit 5044 × 5044 using a time switch and a spatial switch.

입력 시간 스위치(1)에서는 TU12 단위 신호 252개 채널을 입력하여 블록킹 확률이 없도록 공간 확장하여 TU12 단위 신호 504개의 일대일로 사상되어 출력된다. 그러므로 공간 스위치(2)에서는 상기 입력시간 스위치(1)로부터 L 버스(BUS)를 출력선별로 모아 스위칭한다. 출력 시간 스위치(3)에서는 입력 시간 스위치(1)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하나의 출력 시간 스위치(3)는 4개의 L 버스(BUS)를 입력받아 TU12 단위 504 X 252의 스위치을 수행한다.The input time switch 1 inputs 252 channels of TU12 unit signals, spatially expands them so that there is no blocking probability, and maps them to 504 TU12 unit signals one-to-one. Therefore, in the space switch 2, the L bus BUS is collected for each output line from the input time switch 1 and switched. The output time switch 3 performs the reverse process of the input time switch 1. One output time switch 3 receives four L buses and performs a switch of TU12 unit 504 X 252.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신호인 L BUS에 해당하는 입출력 신호 구성도를 나타낸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input /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L BUS which is a conn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 버스(BUS)는 155Mbps STM-1 신호를 단순 4분주한 38Mbps급 신호와 8부주한 19Mbps급 신호가 있다. 38Mbps급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STM-1 신호인 155Mbps급 신호를 단순 분주하여 생성한 클럭과 동기되어 있으며, 이 L 버스(BUS)(즉, 38Mbps급 용임)인에는 12개의 고정 더미(Dummy) 바이트(F)와 6개의 의사 더미 바이트(D)가 존재한다. 126개의 TU12 채널과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12개의 고정더미와 132개의 TU12 채널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The L bus has a 38 Mbps signal with a simple four-division of 155 Mbps STM-1 signal and a 19 Mbps signal with eight caress. Based on the 38 Mbps class, it is synchronized with the clock generated by simply dividing the 155 Mbps class STM-1 signal, and there are 12 fixed dummy bytes in this L bus (ie, 38 Mbps class). (F) and six pseudo dummy bytes (D) exist. In combination with 126 TU12 channels, it appears that there are 12 fixed piles and 132 TU12 channels.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램과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공간 스위칭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n asynchronous RAM and a multi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스위칭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클럭(38Mbps CLOCK)과 프레임 클럭(2K)을 입력받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위칭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신호 발생부(10)와, 타이밍신호 발생부(10)로부터 전달된 타이밍신호와 외부의 CPU로부터 전달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하는신호경로를 선택하여 선택한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공간 스위치(21 내지 32)와, 상기 CPU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다수의 공간 스위치(21 내지 32)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spatial swi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ystem clock (38 Mbps CLOCK) and a frame clock (2K) input from the outside and adjusts a timing for adjusting switching timing of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 path selected by selecting a signal path to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timing signal generator 10 for providing a signal, a ti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iming signal generator 10,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CPU And a plurality of space switches 21 to 32 for switching to the plurality of space switches, and a connection portion 40 for connec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s input from the CPU to the plurality of space switches 21 to 32.

다수의 공간 스위치(21 내지 32)는 각각, 타이밍신호 발생부(10)로부터 전달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12개의 데이터로 분기하여 스위칭하는 입력 스위칭부(33)와, 접속부(40)로부터 전달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스위칭부(33)의 출력 데이터들중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4)와, 타이밍신호 발생부(10)로부터 전달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34)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출력 스위칭부(35)를 구비한다.The plurality of space switches 21 to 32 each include an input switching unit 33 for branching and switching data input from the outside into twelve data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iming signal generator 10, and a connection unit. The multiplexer 34 selects and outputs one of the output data of the input switching unit 33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40, and the ti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iming signal generator 10. Accordingly, an output switching unit 35 for switch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ultiplexer 34 to the outside is provided.

접속부(40)는, 상기 CPU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하나의 입력포트, 멀티플렉서(43)에 연결된 제 1 출력포트 및 외부로 연결된 제 2 출력포트를 갖으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일시 저장하여 제 1 및 제 2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132x4 비동기 램(41,42)들과, 비동기 램(41,42)들의 제 1 출력포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다수의 공간 스위치(21 내지 32)의 멀티플렉서(34)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43)를 구비한다.The connection part 40 has one input port for receiv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PU, a first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multiplexer 43 and a second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switching control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The 132x4 asynchronous RAMs 41 and 42 that are temporarily stored and out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nd the switching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s of the asynchronous RAMs 41 and 42 are stored in a plurality of spaces. A multiplexer 43 is provided for selectively delivering to the multiplexer 34 of the switches 21 to 32.

연결행렬 메모리를 3포트 메모리로 설계하고 이를 이중구조화하여 연결행렬의 값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다른 메모리를 선택하고 그 값을 변경한 후, 실제 스위칭을 시키고자 할 때 변경된 연결행렬 값을 반영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적당한 타이밍에 그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If you want to change the value of the connection matrix by designing the connection matrix memory as a 3-port memory and double-structuring it, select another memory, change the value, and then reflect the changed connection matrix value when you want to actually switch. Lowering has the function to change the value at the proper timing.

따라서, 연결행렬 메모리를 제외하고는 입력 데이터의 공간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단순 멀티플렉서(34)만 입력 버스의 개수 만큼 존재하면 되는 것이다. 이중 구조화 되어 있는 연결행렬 메모리의 출력이 멀티플렉서(34)의 선택 단자로 연결되어 있고 TU12 단위 데이터가 실려있는 L 버스(BUS)가 38M 단위로 움직이므로 연결행렬 메모리에서 38M 단위마다 카운팅하여 해당 어드레스 값을 추출해 오면 그 공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refore, except for the connection matrix memory, only the simple multiplexer 34 for performing the spatial movement of the input data needs to exist as many as the number of input buses. Since the output of the dual structured connection matrix memory is connected to the selection terminal of the multiplexer 34 and the L bus containing TU12 unit data moves in 38M units, the corresponding address value is counted every 38M units in the connection matrix memory. After extracting, we perform the spatial switching function.

입력신호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공간 스위치에는 38M용 L 버스(BUS)에 해당하는 입력 데이터가 접속되며, 그 접속 신호 L 버스(38M용)내에는 132개(여기서, 126개는 TU12이고, 6개는 의사더미임)의 TU12신호와 12개의 고정더미 신호가 있다. 스위치 ASIC의 입력 스위칭부(33)에는 해당 버스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BIP(Bit Interleaved Parity) 추출/검사기능을 수행하며, BIP 처리가 끝난 입력 데이터를 고정더미를 포함하여 132개의 TU12 채널 단위로 멀티플렉서(34)에 전달된다.Looking at the input signal processing process,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38M L bus (BUS) is connected to the space switch, and 132 (here, 126 are TU12) and 6 are connected in the connection signal L bus (for 38M). TU12 signal and 12 fixed pile signals. The input switching unit 33 of the switch ASIC performs a bit interleaved parity (BIP) extraction / checking function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corresponding bus, and the input data after the BIP processing is processed in units of 132 TU12 channels including a fixed pile. It is passed to the multiplexer 34.

다수의 공간 스위치(21 내지 32)의 멀티플렉서(34)는 12개 입력 L 버스의 TU12 채널을 공간 스위칭한다. 그리고, 다수의 공간 다수의 공간 스위치(21 내지 32)의 출력 스위칭부(35)에서는 다음단의 ASIC 입력부에서 전송로상의 문제를 검사할 수 있도록 BIP 생성/삽입 과정을 수행한다.Multiplexer 34 of multiple spatial switches 21-32 spatially switches the TU12 channels of twelve input L buses. In addition, the output switching unit 35 of the plurality of space multiple space switches 21 to 32 performs a BIP generation / insertion process so that the ASIC input unit of the next stage can check the transmission path problem.

연결행렬 메모리에 관련된 사항은 입력신호의 TU12 신호와 동수인 L 버스당 12개의 연결행렬 메모리가 필요하고, 12:1 멀티플렉서(34)의 입력에 전달되므로 메모리의 크기는 4비트로 132워드가 존재하면 된다. 이 연결행렬 메모리는 이중 버퍼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연결행렬 값의 변경시에도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이 비동기 메모리는 3포트를 가지고 있어 상기 CPU의 읽기 과정에 연결된 포트, 쓰기 과정에 연결된 포트, 멀티플렉서(34)의 선택단자에 연결된 포트로 구분된다Regarding the connection matrix memory, 12 connection matrix memories are required per L bus, which is equal to the TU12 signal of the input signal, and are transmitted to the input of the 12: 1 multiplexer 34. Therefore, if the size of the memory is 4 bits and 132 words exist, do. This concatenation matrix memory has a double buffer structure so that it can be safely executed even when the concatenation matrix value is changed. In particular, this asynchronous memory has three ports and is divided into a port connected to the read process of the CPU, a port connected to the write process, and a port connected to the selection terminal of the multiplexer 34.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공간 스위칭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swi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입력 스위칭부(33)는 앞단에서의 전송 장애를 검증하기 위하여 2K 한 프레임 동안의 BIP 계산과 추출, 비교검사, 누적 등의 기능을 한다. 이때, BIP 계산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이트는 고정 더미의 한 바이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38M 시스템 클럭을 단일 클럭으로 사용한다.The input switching unit 33 functions to calculate, extract, compare, and accumulate BIP for 2K frames in order to verify transmission failure at the front end. At this time, the byte used to store the BIP calculation result uses one byte of the fixed dummy. The 38M system clock is used as a single clock.

멀티플렉서(34)는 12개의 입력 스위칭부(3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72K 마다 12개의 고정더미를 제외하고 L 버스대 TU12 단위로 공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플렉서(34)는 입력 시간 스위치에서 이미 같은 12개의 입력 버스당 같은 타임 슬롯내에 같은 출력 포트를 갖지 않도록 해당 슬롯을 할당해 놓았으므로 12:1 멀티플렉서가 12개 존재하면 된다.The multiplexer 34 receives data from the 12 input switching units 33 and performs a spatial switching function in units of L buses to TU12 except 12 fixed stacks for every 72K. Since the multiplexer 34 allocates a corresponding slot so that the input time switch does not have the same output port in the same time slot per 12 input buses, 12 12: 1 multiplexers may be present.

출력 스위칭부(35)는 멀티플렉서(34)의 메모리 출력부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38M급으로 리타이밍하여 안정한 데이터를 받아오고 다음단 ASIC에서 전송 장애를 검출할 수 있도록 2K 한 프레임 동안의 BIP를 계산하여 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역시 삽입되는 바이트도 고정더미를 이용한다.The output switching unit 35 receives the stable data by retiming the data output from the memory output of the multiplexer 34 to 38M class, and calculates the BIP for 2K frames to detect transmission failure in the next ASIC. To insert. Inserted bytes also use a fixed stack.

타이밍신호 발생부(10)는 38M 클럭과 2K 프레임 클럭을 받아 19M, 72K, 18K 고정더미 위치 및 멀티플렉서(34)의 데이터 전달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The timing signal generator 10 receives the 38M clock and the 2K frame clock and outputs tim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19M, 72K, 18K fixed pile positions, and the data transfer timing of the multiplexer 34.

접속부(40)에서는 연결 행렬 메모리인 3포트 비동기 메모리를 사용한다. 3포트는 쓰기 포트 1포트, 읽기 포트 2 포트를 의미하며 쓰기, 읽기 포트는 외부 CPU 포트에 연결되어 사용되며 나머지 읽기 포트는 타이밍신호 발생부(10)에서 38M 단위로 읽기 어드레스에 연결되어 멀티플렉서(34)의 선택 단자와 연결되어 특정 버스의 TU12 데이터를 출력시킬 때 사용된다.The connection unit 40 uses a three-port asynchronous memory that is a connection matrix memory. 3 port means 1 port of write port, 2 ports of read port, and 2 ports of write and read port are connected to external CPU port and the other read ports are connected to read address in 38M unit from timing signal generator 10 and multiplexer ( It is connected to the selection terminal of 34) and used to output TU12 data of a specific bu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 버스를 사용하는 TU12 단위 공간 스위치에 있어서 L 버스 단위의 전송 장애 검출과 3포트 메모리와 단순 멀티플렉서만을 이용하여 구성이 간단한 공간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연결행렬 메모리의 이중 구조를 준비하여 스위칭의 변경시에도 스위칭 데이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기본적으로 많은 네트(net)를 포함하게 되어 배치와 레이 아웃(Layout)시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으나 메모리를 사용하여 최대한으로 네트를 감소시켜 레이 아웃(Layout)시에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제약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U12 unit space switch using the L bu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atial switch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only the L bus unit transmission failure detection and a 3-port memory and a simple multiplexer.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loss of switching data even when switching is changed by preparing a dual structure of memory, it basically includes many net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rrange and lay out, but uses memory. By reducing the net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many constraints that may occur during layout.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신호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공간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클럭과 프레임 클럭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스위칭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신호 발생수단; 상기 타이밍 신호와 외부로부터 전달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경로를 선택하여 선택한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스위칭수단;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공간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수단은 각각, 쓰기용의 제 1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일시저장하였다가, 읽기용의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공간 스위칭수단으로 출력하고, 읽기용의 제 3 포트를 통해서는 외부로 각각의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비동기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제 1 및 제 2 비동기 램에 구비된 각각의 제 2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램과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공간 스위칭 장치.A spatial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t least one input signal to a desired signal path, comprising: generating a timing signal for receiving a system clock and a frame clock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ing a timing signal for adjusting switching timing of the input signal; Way; At least one spatial switching means for selecting a signal path to which the input signal is to be transmitted and switching to a selected path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connec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patial swit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signal,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means is external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hrough a first port for writing. The first and second asynchronous RAM (RAM: Random) to receive and temporarily store, output to the spatial switching means through the second port for reading, and outpu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port for reading Access Memory); And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second port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asynchronous RAMs to the spatial switching means. Space switching device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스위칭수단은 각각,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다수의 신호로 분기하여 스위칭하는 입력 스위칭수단;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스위칭수단의 출력신호들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출력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비동기 램과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공간 스위칭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spatial switching means comprises: input switching means for branching and switching the input signal into a plurality of signals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input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ng means; And an output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lecting means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KR1019950053997A 1995-12-22 1995-12-22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KR0174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997A KR0174401B1 (en) 1995-12-22 1995-12-22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997A KR0174401B1 (en) 1995-12-22 1995-12-22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425A KR970055425A (en) 1997-07-31
KR0174401B1 true KR0174401B1 (en) 1999-04-01

Family

ID=1944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997A KR0174401B1 (en) 1995-12-22 1995-12-22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40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425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5706B2 (en) Switching system
US4771420A (en) Time slot interchange digital switched matrix
US5321691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 fabric
US20030099231A1 (en) Cross-connection of high bandwidth signal traffic across independent parallel shelves
JP2004534443A (en) Single-stage switch structure
US70429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writing data to memory elements
JPH08111895A (en) Time slot interchange
US5504739A (en) Reconfigurable switch memory
US5544104A (en) Virtual crosspoint memory
EP0504710B1 (en) Cross-point type switch using common memories
KR0174401B1 (en) Spatial Switching Device Using Asynchronous RAM and Multiplexer
US6330237B1 (en) Time slot assignment circuit
US7315540B2 (en) Random access memory based space time switch architecture
KR100228381B1 (en) Apparatus switching tributary signal mixed with tu11 and tu12 signal
US7212523B2 (en) Pipeline architecture for the design of a single-stage cross-connect system
KR100228378B1 (en) Pre and post time switch for switching subsignal of mixed mode on tu12/tu11
KR0183135B1 (en) Time switching device using synchronous ram and asynchronous ram
US6587459B1 (en) Time slot assignment circuit
US5708661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 demultiplexing control apparatus
EP1565032B1 (en) Low redundancy data RAM architecture for monolithic time-space switches
KR100190290B1 (en) Time switc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synchronous high-speed transmission apparatus
KR0136495B1 (en) Cross-switch device with no blocking probability
JP3046118B2 (en) Time division channel method
JP3761962B2 (en) Time switch memory data control device
KR0131540B1 (en) Communication switching apparatus in asynchronous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