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842B1 -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842B1
KR0155842B1 KR1019950019631A KR19950019631A KR0155842B1 KR 0155842 B1 KR0155842 B1 KR 0155842B1 KR 1019950019631 A KR1019950019631 A KR 1019950019631A KR 19950019631 A KR19950019631 A KR 19950019631A KR 0155842 B1 KR0155842 B1 KR 015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mposition
camera
unit
guid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관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5001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842B1/ko
Priority to DE19626604A priority patent/DE19626604A1/de
Priority to FR9608275A priority patent/FR2736447B1/fr
Priority to US08/675,477 priority patent/US5687408A/en
Priority to JP8192764A priority patent/JPH0933986A/ja
Priority to GB9616141A priority patent/GB2302955B/en
Priority to CN96110950A priority patent/CN116597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Viewfind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카메라는 피사체를 필름에 담을때 미리 파인더부를 통하여 그 위치를 조화있게 배치하고자,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내장 또는 외장한다. 이 구도맞춤 표시수단으로 직사각형내에 위치하는 5개의 황금분할점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도가이드 포인트를 형성한다. 이 구도가이드 포인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만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수단으로 표시소자 즉, LCD와 LED를 사용한다. 또한, 외부에 선택모드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외부 표시부를 마련한다.

Description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제1도의 (a)(b)는 종래의 파인더부를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광학적 구성도.
제2도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광학적 구성도이고, (b)는 구도맞춤 표시수단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나타낸 블럭 다이아그램.
제4도는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안내하는 외부표시소자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대물렌즈 12 : 메인미러
13,30 : 촬영부 14,21 : 표시부
15 : 펜타프리즘 16 : 접안렌즈
17 : 구동부 18 : 선택모드
19 : 표시소자 20,40 : 파인더부
23 : 발광소자 45,50 : 구도맞춤 표시수단
본 발명은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파인더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안정된 구도의 기준이 되는 황금분할점을 볼 수 있도록 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면에 맺히는 형상에 따라 접안렌즈에 맺히는 상이 변화하도록 된 파인더를 가지는 카메라는 제1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학적 구성을 가진다.
이 카메라의 구성은 대물렌즈(1), 메인미러(2), 파인더부(10)로 대별된다.
상기 대물렌즈(1)는 피사체의 상을 카메라 내부로 수렴하는 기능을 하는 렌즈이다. 상기 메인미러(2)는 상기 대물렌즈(1)를 통과한 상이 선택적으로 필름면(3)과 파인더부(10)로 향하도록 그 경사각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광학계이다. 이 메인미러(2)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파인더부(10)를 통하여 관측되는 피사체의 상이 상기 필름면(3)에 맺히는 상과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미러(2)의 기울기는 조절되어 있다. 상기 파인더부(10)는 투과성 액정표시소자(4), 펜타프리즘(5) 및 접안렌즈(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펜타프리즘(5)은 피사체의 상을 두번 반전하여 사용자가 정립실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오각형 프리즘으로, 파인더부를 가지는 카메라에서 널리 쓰인다. 상기 접안렌즈(6)는 상기 펜타프리즘(5)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여 사용자가 알맞은 크기의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 외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보호 역할을 병행한다.
상기 투과성 액정표시소자(이하, LCD;4)는 상기 메인미러와 펜타프리즘 사이에 구비된다.
제1도의 (b)는 LCD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투과성 LCD(4)는 사용자가 상기 접안렌즈(6)를 통하여 피사체가 정확히 포착되었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시야테를 나타내는 시야테선(4a)과, 파노라마 촬영구간을 표시하는 가이드선(4b)등을 표시하였다.
그러므로, 파인더부(10)의 표시장치는 셔터속도, 노출치, 자동촛점, 노출보정등이 표시되어 있어서, 필름막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었다.
그러나, 사진 촬영시 피사체를 전체적으로 조화되게 배치하는 구성수단인 구도를 안내하는 구도안내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비전문가들이 촬영시 사진 구도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워 조화있게 사진촬영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적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황금분할점을 사용자가 손쉽게 알아내어 피사체의 구도를 쉽게 맞출 수 있도록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투과성 LCD의 황금분할점 위치 각각에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도맞춤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의 경로를 바꾸어주거나 직진통과시키는 메인미러와; 상기 메인미러를 직진통과한 상을 감광하는 촬영부와; 사용자가 촬영전 피사체의 촬영범위를 확인하는 파인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더부는 접안렌즈와; 상기 메인미러와 접안렌즈 사이에 위치하며 상의 경로를 바꾸어 주고 상을 두번 반전하여 정립실상을 제공하는 펜타프리즘과; 직사각형상으로 그 두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점(C)과, 네 꼭지점 각각에서 일 대각선에 내린 수선이 대각선과 만나는 네점(C1,C2,C3,C4)에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선택모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미러와 펜타프리즘 사이에 위치된 투과성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도맞춤 표시방법은,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의 경로를 바꾸어주거나 직진통과시키는 메인미러와; 상기 메인미러를 직진통과한 상을 감광하는 촬영부와; 사용자가 촬영전 피사체의 촬영범위를 확인하도록 펜타프리즘, 접안렌즈와, 직사각형상으로 그 두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점(C)과 네 꼭지점 각각에서 일 대각선에 내린 수선이 대각선과 만나는 네점(C1,C2,C3,C4)에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파인더부를; 구비한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외부에 형성된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표시모드선택 단계와; 카메라 외부에 형성된 LCD를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에 맞게 온(on)시키는 외부표시단계와, 상기 내부 표시수단 각각에 대하여 온(on), 오프(off)를 판별하고 이에 맞게 표시하는 내부표시단계와; 다른 표시모드선택 전까지 표시된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유지하도록 셋팅하는 셋팅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외부에 형성된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표시모드선택 단계와; 카메라 외부에 형성된 LCD를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에 맞게 온(on)시키는 외부표시단계와, 상기 내부 표시수단 각각에 대하여 온(on), 오프(off)를 판별하고 이에 맞게 표시하는 내부표시단계와; 상기 외부표시단계와 내부표시단계를 통하여 표시된 모드를 매 컷트 촬영이 완료된 후 리셋시키는 리셋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적 구성을 보인 배치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는 대물렌즈(11)와, 상기 대물렌즈(11)를 통과한 상의 경로를 바꾸어주거나 직진통과시키는 메인미러(12)와, 상기 메인미러를 직진통과한 상을 감광하는 촬영부(13)와, 사용자가 촬영전 피사체의 촬영범위를 확인하는 파인더부(20)로 대별된다.
상기 파인더부(20)는 접안렌즈(16)와, 상기 메인미러(12)와 접안렌즈(16) 사이에 위치하며 상의 경로를 바꾸어 주고 두번 반전하여 정립실상을 제공하는 펜타프리즘(15)과, 구도맞춤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도의 (b)는 후술하는 구도가이드 포인트 C0, C1, C2, C3, C4를 표시하도록 된 LCD로 된 표시부(14)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접안렌즈(16)와, 펜타프리즘(15)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 C0, C1, C2, C3, C4는 직사각형으로 된 상기 LCD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직사각형의 황금분할점인 다섯개의 점에 위치한다. 즉, 황금분할점은 두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점(C0)과, 한 대각선에 이 대각선을 이루지 않는 꼭지점에서 내린 수선과 상기 대각선이 만나는 두점(C1, C4) 그리고 다른 대각선과 다른 꼭지점에서 내린 수선이 만나는 두점(C2, C3)을 가리킨다. 이 황금분할점을 구도 가이드 포인트로 택하고 사용자가 이 표시와 상기 피사체를 적절히 맞춤으로써 구도를 맞추어 촬영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3도는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이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사용자가 구도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표시하도록 LCD로 된 표시부(14)와, 이 표시부(14)에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도록 구동하는 구동부(17)와, 이 구동부(17)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선택하는 선택모드(18)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가 상기 LCD 표시부(14)에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피사체와 이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적절히 맞춤으로써 알맞은 구도를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선택모드(18)는 카메라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편리한 형태이면, 어떤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이 선택모드(18)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되는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소자(19)가 더 구비되어 있다.
표시소자(19)는 LCD 또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표시소자는 사용자가 발광되는 부분을 보며, 선택모드를 통하여 원하는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C'0, C'1, C'2, C'3, C'4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제3도를 통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표시하는 표시부(21)와,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동부(17;제3도)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선택모드(18;제3도)로 이루어져 있다. 제5도는 상기 표시부(21)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황금분할점인 다섯개의 구도 가이드 포인트 각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면(22)과, 광원인 발광소자(이하, LED;23)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발광소자(23)는 각 구도 가이드 포인트마다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4도를 참조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외부에 사용자가 쉽게 구도가이드 포인트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된 외부 표시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된 구도가이드 포인트 각각은 카메라에 내장된 필름이 다 감기거나, 사용자의 선택모드 변환 명령이 있기 전에는 선택된 대로 유지되도록 셋팅할 수 있으며, 매 커트의 촬영이 완료될 때마다 리셋 즉, 구도가이드 포인트를 재설정하도록 초기화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언급한 둘중 어느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대별된다.
그 일 실시예를 제6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도맞춤 표시를 선택하는 표시모드선택 단계(110)와, 상기 표시소자를 모드선택에 맞게 온(on) 시키는 외부표시단계(120)와, 내부 표시수단인 표시부 즉, LCD 및 LED를 선택적으로 온(on) 오프(off)시키는 내부표시단계(130)와, 구동촬영단계(140)와, 선택된 구도맞춤 표시를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필름이 다 감기기 전까지 유지하는 구도맞춤 표시 셋팅단계(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에 표시하는 내부 표시단계(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C0의 표시여부를 판별하는 단계(131)와, 선택된 상황에 맞게 내부에 구도가이드 포인트 표시하는 단계(1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판별 및 표시하는 단계를 나머지 네 구도가이드 포인트에 대하여도 묻고, 결정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표시한다.
상기 셋팅단계(140)는 구도 촬영 개시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데 구도 촬영이 종료하면, 필름이 다 감겼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151)를 통하여 판정한다. 이 단계(151)에서 필름이 다 감긴것으로 판정되면, 자동으로 필름 되감기(152)를 수행하고, 구도맞춤표시를 리셋(154)한다. 만일, 상기 필름이 남았다고 판정되면, 표시모드 선택이 바뀌었는지를 묻고(153), 바뀌지 않은경우, 구도 촬영 개시 전단계로 돌아가 촬영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표시모드 선택이 바뀌면, 처음으로 돌아가 외부표시소자를 온(on)시키고, 언급한 단계들을 다시 수행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도맞춤 표시를 선택하는 표시모드선택 단계(160)와, 표시소자를 모드선택에 맞게 온(on) 시키는 외부표시단계(170)와, 내부 표시수단인 표시부 즉, LCD 및 LED를 선택적으로 온(on) 오프(off) 시키는 단계(180)와, 구동촬영단계(190)와, 촬영이 종료된 후 새로운 표시모드선택 전까지 리셋 시키는 리셋단계(200)로 진행된다.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내부 표시단계 까지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리셋단계(200)는 구도촬영 개시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데 구도 촬영이 종료하면, 선택된 외부표시소자 및 내부 구도맞춤 표시를 제거하는 리셋(201)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리셋된후 필름이 다 감겼는지 여부를 판정(203)하고, 아직 남아있는 경우 시작위치로 돌아가 새로운 표시모드 선택을 기다린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의사가 없으면, 바로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필름이 다 감겨 있는 경우 자동되감기(205)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는 크게 촬영부(30)와, 파인더부(40)로 대별된다. 상기 파인더부(40)의 외측에 착탈가능한 형태의 구도맞춤 표시수단(45)을 구비하였다.
이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투명소재 즉, 글래스, 플라스틱등의 재질로 된 부재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황금분할점을 표시하였다. 이 표시는 시야테를 나타내는 표시선과 마찬가지로 바꿀 수 없도록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 파인더부 외측에 착탈함으로써 구도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도맞춤 표시수단(50)이 카메라의 파인더부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파인더의 광경로에 위치하여 구도맞춤 표시를 제공하거나 개구되어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외부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절환버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는 제2도를 통하여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50)으로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글래스등의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언급한 바와 같은 황금분할점을 그 표면에 형성하였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도가이드 표시수단을 채용하여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피사체의 구도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등 매우 유용하다.

Claims (14)

  1.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의 경로를 바꾸어주거나 직진통과시키는 메인미러와; 상기 메인미러를 직진 통과한 상을 감광하는 촬영부와; 사용자가 촬영전 피사체의 촬영범위를 확인하는 파인더부를 구비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부는 접안렌즈와; 상기 메인미러와 접안렌즈 사이에 위치하며 상의 경로를 바꾸어 주고 상을 두번 반전하여 정립실상을 제공하는 펜타프리즘과; 직사각형상으로 그 두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점(C0)과, 네 꼭지점 각각에서 일 대각선에 내린 수선이 대각선과 만나는 네점(C1, C2, C3, C4)에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미러와 펜타프리즘 사이에 위치된 투과성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그 표면 각각에 독립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LED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구도 가이드 포인트는 한 컷트단위로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구도 가이드 포인트는 사용자의 다른 선택이전까지 선택된 모드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카메라의 외측에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각 구도 가이드 포인트의 위치에 해당하는 다섯개의 표시부를 가지며, 이 표시부 각각은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표면에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가 새겨진 투명소자로 상기 파인더부 외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가 새겨지고 상기 파인더부 내부에 절환 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절환시키도록 카메라 외부에 마련된 절환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의 경로를 바꾸어주거나 직진통과시키는 메인미러와; 상기 메인미러를 직진통과한 상을 감광하는 촬영부와; 사용자가 촬영전 피사체의 촬영범위를 확인하도록 펜타프리즘, 접안렌즈와, 직사각형상으로 그 두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점(C0)과 네 꼭지점 각각에서 일 대각선에 내린 수선이 대각선과 만나는 네점(C1, C2, C3, C4)에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파인더부로; 이루어진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외부에 형성된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표시모드선택 단계와; 카메라 외부에 형성된 LCD를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에 맞게 온(on)시키는 외부표시단계와, 상기 내부 표시수단 각각에 대하여 온(on), 오프(off)를 판별하고 이에 맞게 표시하는 내부표시단계와; 다른 표시모드선택 전까지 표시된 상기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유지하도록 셋팅하는 셋팅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구도 촬영 개시 이후에 진행되는 상기 셋팅단계는 필름이 다 감겼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이 단계를 통하여 필름이 남을 것으로 판정되고 선택모드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구도 촬영 개시 이전단계로 귀환하는 단계와, 필름이 다 감긴것으로 판정되면 자동으로 필름 되감기를 수행하고 구도맞춤표시를 리셋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감김여부 판정단계와 상기 귀환단계 사이에 표시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형성하여 선택이 안된 경우 상기 구도 촬영 개시 이전단계로 그리고, 선택된 경우 표시모드 선택 다음단계로 귀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14. 피사체의 상을 수렴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메인미러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상을 감광하는 촬영부와; 사용자가 촬영전 피사체의 촬영범위를 확인하도록 펜타프리즘, 접안렌즈와, 직사각형상으로 그 두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점(C0)과 네 꼭지점 각각에서 일 대각선에 내린 수선이 대각선과 만나는 네점(C1, C2, C3, C4)에 구도 가이드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파인더부로; 이루어진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도맞춤 표시수단은 외부에 형성된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표시모드선택 단계와; 카메라 외부에 형성된 LCD를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에 맞게 온(on)시키는 외부표시단계와, 상기 내부 표시수단 각각에 대하여 온(on), 오프(off)를 판별하고 이에 맞게 표시하는 내부표시단계와; 상기 외부표시단계와 내부표시단계를 통하여 표시된 모드를 매 컷트 촬영이 완료된후 리셋시키는 리셋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KR1019950019631A 1995-07-05 1995-07-05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KR015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631A KR0155842B1 (ko) 1995-07-05 1995-07-05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DE19626604A DE19626604A1 (de) 1995-07-05 1996-07-02 Kamera und Verfahren zum Anzeigen von Bildaufbaupunkten
FR9608275A FR2736447B1 (fr) 1995-07-05 1996-07-03 Appareil de prise de vues et procede pour afficher des guides de points de composition d'image
US08/675,477 US5687408A (en) 1995-07-05 1996-07-03 Camera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composition point guides
JP8192764A JPH0933986A (ja) 1995-07-05 1996-07-04 構図合わせ機能を有するカメラ及び該カメラにおける構図基準点の表示方法
GB9616141A GB2302955B (en) 1995-07-05 1996-07-05 Camera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composition point guides
CN96110950A CN1165974A (zh) 1995-07-05 1996-07-05 照相机和一种显示画面构成标示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631A KR0155842B1 (ko) 1995-07-05 1995-07-05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5842B1 true KR0155842B1 (ko) 1998-12-01

Family

ID=1941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631A KR0155842B1 (ko) 1995-07-05 1995-07-05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87408A (ko)
JP (1) JPH0933986A (ko)
KR (1) KR0155842B1 (ko)
CN (1) CN1165974A (ko)
DE (1) DE19626604A1 (ko)
FR (1) FR2736447B1 (ko)
GB (1) GB23029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9523B2 (en) 2004-11-11 2012-04-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apturing convergent-type multi-view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3734A (en) 1997-07-09 1999-10-26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spect ratio in a camera graphical user interface
AUPO918697A0 (en) * 1997-09-15 1997-10-09 Can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ustralia Pty Ltd Enhanced information gathering apparatus and method
US5873007A (en) * 1997-10-28 1999-02-16 Sony Corporation Picture composition guidance system
US6317141B1 (en) 1998-12-31 2001-11-13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eterogeneous media object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JP4521071B2 (ja) * 1999-03-15 2010-08-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構図補助機能付き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679685B2 (ja) * 2000-01-28 2011-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構図補助フレーム選択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20010033480A1 (en) * 2000-04-12 2001-10-25 Nikon Corporation LCD illuminating device
US20040174434A1 (en) * 2002-12-18 2004-09-09 Walker Jay S. Systems and methods for suggesting meta-information to a camera user
KR100565269B1 (ko) * 2003-05-1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방법
GB2411736A (en) * 2004-03-03 2005-09-07 Patrick Marcus Thompson Photographic and video apparatus utilising the golden ratio
US7460782B2 (en) * 2004-06-08 2008-12-02 Canon Kabushiki Kaisha Picture composition guide
US7672581B2 (en) * 2005-06-28 2010-03-02 Lakey James B Camera composition guide
JP2007157063A (ja) 2005-12-08 2007-06-2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291177A1 (en) * 2006-06-20 2007-12-20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reference lines on a viewfinder
US9224145B1 (en) 2006-08-30 2015-12-29 Qurio Holdings, Inc. Venue based digital rights using capture device with digital watermarking capability
JP2011211493A (ja) * 2010-03-30 2011-10-20 Sony Corp 撮像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61975A (de) * 1957-07-09 1962-05-15 Agfa Ag Photographische Kamera mit einer Vorrichtung zur Einspiegelung von Bildfeldbegrenzungs- zeichen und des Messwerkzeigers eines Belichtungsmessers in den Sucher
JPS4714934U (ko) * 1971-03-18 1972-10-21
US4101916A (en) * 1976-08-02 1978-07-18 Panavision, Incorporated Illuminated ground glass for camera
DD211191A1 (de) * 1982-11-04 1984-07-04 Pentacon Dresden Veb Anordnung von anzeigeindikatoren fuer spiegelreflexkameras
US5257055A (en) * 1989-11-13 1993-10-26 Fuji Photo Film Co., Ltd. View finder for camera with different selectable finder field frames
DE3939361A1 (de) * 1989-11-29 1991-06-06 Jens Eickhoff Spiegelreflexcamera
US5264889A (en) * 1990-04-17 1993-11-2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ocus detecting device
US5266985A (en) * 1990-07-16 1993-11-30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optimum composition determinator
JP2920665B2 (ja) * 1990-08-15 1999-07-19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の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
US5363163A (en) * 1991-05-14 1994-11-0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Finder optical system for pseudo focal length
JPH05323182A (ja) * 1992-05-22 1993-12-07 Canon Inc カメラ
JP3164247B2 (ja) * 1992-06-15 2001-05-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証明写真撮影用カメラ
US5309201A (en) * 1992-09-08 1994-05-03 Eastman Kodak Company Viewfinder lens with molded integral aiming circle
JPH06250264A (ja) * 1993-02-23 1994-09-09 Canon Inc 一眼レフカメラの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
JPH06289482A (ja) * 1993-04-05 1994-10-1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9523B2 (en) 2004-11-11 2012-04-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apturing convergent-type multi-view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87408A (en) 1997-11-11
GB9616141D0 (en) 1996-09-11
DE19626604A1 (de) 1997-01-09
FR2736447A1 (fr) 1997-01-10
JPH0933986A (ja) 1997-02-07
CN1165974A (zh) 1997-11-26
GB2302955B (en) 1999-11-17
FR2736447B1 (fr) 1998-08-21
GB2302955A (en) 199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842B1 (ko) 구도맞춤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의 구도맞춤 표시방법
JP4499271B2 (ja) カメラ
US6584284B1 (en) Camera provided with focus adjusting apparatus
JP3184043B2 (ja) カメラ
JP3164247B2 (ja) 証明写真撮影用カメラ
US5148202A (en) Display device within finder for camera
JP3186212B2 (ja) 視線入力可能なカメラ
JP2002131824A (ja) カメラ
JP3890098B2 (ja) 光学装置
JPH0553186A (ja) カメラ
JP3060362B2 (ja) 表示装置
JPH01271716A (ja) 多点測距カメラ
JPH04324845A (ja) 画面内フレーム表示装置
JPS608816A (ja) 自動ステ−ジ間欠移動装置を備えた顕微鏡
JPH06175219A (ja) カメラシステム
JPH0396933A (ja) ズームカメラ
JPH06138518A (ja) カメラの測光装置
JPH1096990A (ja) 自動焦点カメラの合焦状態表示装置
JPH0882832A (ja) ファインダー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H0915707A (ja) カメラ
JPH1073770A (ja) 顕微鏡写真撮影装置
JPH04257833A (ja) カメラ
JPS63298231A (ja) オ−トトリミングカメラ
JPH03287217A (ja) 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H06235968A (ja) 自動撮影画角可変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