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17291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17291A1
WO2024117291A1 PCT/KR2022/019089 KR2022019089W WO2024117291A1 WO 2024117291 A1 WO2024117291 A1 WO 2024117291A1 KR 2022019089 W KR2022019089 W KR 2022019089W WO 2024117291 A1 WO2024117291 A1 WO 20241172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b
display device
external device
in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0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준모
이동욱
최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1172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17291A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모두 절전 모드에 들어가더라도 입력 장치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외부 장치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 회로,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USB 스위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 스위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TV와 PC를 연결하여 PC의 영상을 TV에 전송하고, TV는 PC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한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TV의 USB 포트에 마우스를 연결하여 PC 측으로 제어 신호를 보낼 때, TV 및 PC가 모두 절전모드로 들어가면, 마우스의 입력 이벤트가 가해져도, TV의 USB 포트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PC에 입력 이벤트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PC의 절전모드를 해제할 수 없어, 사용자는 마우스를 PC에 다시 연결하여 PC의 절전 모드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모두 절전 모드에 들어가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외부 장치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모두 절전 모드에 들어가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의 조작만으로도 2개의 기기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 회로,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USB 스위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영상 신호에 기반한 제1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의 상태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절전 모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PC에 연결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도 PC의 절전 모드를 편리하게 해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PC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마우스 이벤트에 따라 PC의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우스를 PC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노트북의 상면이 덮어져 절전 모드에 있는 상태라도 마우스 이벤트에 의해 노트북의 절전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노트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우스를 노트북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트북을 덮어두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노트북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입력 장치가 연결되고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인 경우, PC의 절전 모드의 해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입력 장치가 연결되고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인 경우, 노트북의 절전 모드의 해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SB 스위치 장치의 절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PC(Personal Computer, 20) 및 입력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2)는 PC(20)와 연결된 모니터(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는 USB 포트가 구비되고, USB 포트와 USB 스위치(200)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20)와 HDMI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HDMI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HDMI 케이블을 통해 PC(2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규격을 통해 PC(2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반하여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미러링 영상은 PC(20)와 연결된 모니터(10)가 출력하는 영상에 대응될 수 있다.
USB 스위치(200)는 입력 장치(30)와의 연결 경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PC(20)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입력 장치(30)는 입력 이벤트를 USB 스위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USB 스위치(200)는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연결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PC(20)에 전달할 수 있다.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는 TV 연결 모드 또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TV 연결 모드는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하는 모드일 수 있다.
외부 장치 연결 모드는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PC(20)로 전달하는 모드일 수 있다.
입력 장치(30)는 마우스, 키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USB 스위치(200)는 USB 인터페이스(211),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 제1 USB 허브(215) 및 제2 USB 허브(217)를 포함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211)는 복수의 USB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USB 포트에는 입력 장치(30) 또는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는 복수의 USB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USB 스위칭 소자는 복수의 USB 포트들 각각과 연결되어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각 USB 스위칭 소자는 USB 포트에 연결된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 또는 PC(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USB 허브(215)는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USB 허브(217)는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PC(20)에 전달할 수 있다. PC(20)는 제2 USB 허브(217)로부터 전달받은 입력 이벤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장치(30)가 마우스인 경우, 입력 이벤트는 커서 이동 또는 클릭과 같은 이벤트일 수 있다. PC(20)는 커서 이동 이벤트에 따라 커서를 이동하고, 클릭 이벤트에 따라 커서를 통한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장치(30)가 키보드인 경우, 입력 이벤트는 키보드에 구비된 키 선택 입력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B 스위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SB 스위치(200)는 메인 PCB(210) 및 서브 PCB(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서브 PCB(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스탠드(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210)는 도 3에서 설명된 USB 인터페이스(211),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 제1 USB 허브(215) 및 제2 USB 허브(217)를 포함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211)는 제1 USB 포트(211a), 웨이퍼 포트(211b) 및 제3 USB 포트(211c), 제4 USB 포트(2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SB 포트(211a), 웨이퍼 포트(211b), 제3 USB 포트(211c) 및 제4 USB 포트(211d) 각각에는 입력 장치(30)가 연결될 수 있다.
각 포트는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매칭된 USB 스위칭 소자에 전달할 수 있다.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은 제1 USB 포트(211a)와 연결된 제1 USB 스위칭 소자(213a), 웨이퍼 포트(211b)와 연결된 제2 USB 스위칭 소자(213b), 제3 USB 포트(211c)와 연결된 제3 USB 스위칭 소자(213c) 및 제4 USB 포트(211d)와 연결된 제4 USB 스위칭 소자(213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USB 스위칭 소자는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에 따라 대응되는 USB 포트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제1 USB 허브(215) 또는 제2 USB 허브(217)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TV 연결 모드인 경우, USB 스위칭 소자는 입력 이벤트를 제1 USB 허브(215)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인 경우, USB 스위칭 소자는 입력 이벤트를 제2 USB 허브(217)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USB 허브(215)는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USB 허브(217)는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PC(2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브 PCB(230)는 제2 USB 포트(231) 및 제3 USB 허브(2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PCB(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스탠드(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USB 허브(233)는 제2 USB 포트(231)에 연결된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웨이퍼 포트(211b)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30)가 연결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USB 스위치(200)에 입력 장치(3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한다(S501).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suspend mod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에 최소한의 전원만을 공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전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70)는 리모컨으로부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자신도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외부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지 않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영상을 출력하지 않으므로 절전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자신도 절전 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한 경우라도, 입력 장치(30)가 연결된 USB 스위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USB 스위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USB 드라이버(미도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를 체크한다(S503).
일 실시 예에서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는 제1 연결 모드 및 제2 연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모드는 입력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USB 허브(215)에 TV가 연결된 경우, 제1 연결 모드는 TV 연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연결 모드는 입력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PC(20)로 전달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2 USB 허브(217)에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제2 연결 모드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PC(20)일 수 있다.
USB 스위치(200)는 연결 모드에 따라 USB 스위칭 소자 그룹(213)를 제어하여 입력 이벤트의 전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스위치(200)는 제1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입력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제1 USB 허브(21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도 4의 TV)로 전달할 수 있다.
USB 스위치(200)는 제2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입력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제2 USB 허브(217)를 통해 PC(20)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로 판단된 경우(S505), 외부 장치와 연결된 USB 연결 경로에 전원을 공급한다(S507).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입력 장치(30)와 연결된 USB 포트, 입력 장치(30)와 연결된 USB 포트에 매칭되는 USB 스위칭 소자 및 제2 USB 허브(21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가 TV 연결 모드로 판단된 경우(S505),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USB 포트에 전원을 공급한다(S506).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TV 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입력 장치(30)와 연결된 USB 포트, 입력 장치(30)와 연결된 USB 포트에 매칭되는 USB 스위칭 소자 및 제1 USB 허브(21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 후, 컨트롤러(170)는 USB 스위치(200)와 연결된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509).
입력 장치(30)가 마우스인 경우, 입력 이벤트는 커서 이동 이벤트 또는 클릭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입력 장치(30)가 키보드인 경우, 입력 이벤트는 키 선택 이벤트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입력 이벤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다(S511).
컨트롤러(170)는 입력 장치(30)가 연결된 USB 포트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USB 스위치를 통해 제2 USB 허브(217)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USB 허브(217)는 USB 케이블을 통해 입력 이벤트를 PC(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 장치(30)가 연결되어 있고(더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USB 스위치(200)에 입력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PC(20)가 모두 절전 모드에 진입하더라도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가 PC(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입력 장치(30)를 이용하여 PC(20)의 절전 모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 장치(30)를 PC(20)에 연결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도 PC(20)의 절전 모드를 편리하게 해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PC(20)는 입력 이벤트의 수신에 따라 절전 모드에서 벗어날 수 있다. PC(20)는 입력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의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의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 신호를 PC(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반한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입력 장치가 연결되고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인 경우, PC의 절전 모드의 해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USB 스위치(200)에 마우스(31)가 연결되어 있고, USB 스위치(200)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에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를 통해 PC(20)가 출력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리를 비움으로 기 설정된 시간 PC(20)의 사용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PC(20)는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PC(20)의 사용이 없는 경우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 장치(30)의 입력 이벤트가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더라도 마우스(31)가 연결된 USB 스위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마우스(31)가 연결된 USB 스위치(200)의 USB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회로(19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마우스(31)가 연결된 USB 포트와 연결된 USB 스위칭 소자 및 제2 USB 허브(217)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USB 스위치(200)에는 전원이 공급되므로 마우스(31)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마우스 이벤트를 PC(20)에 전송할 수 있다.
PC(20)는 수신된 마우스 이벤트에 따라 PC(20)의 절전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3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고, PC(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마우스 이벤트에 따라 PC(2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우스(31)를 PC(20)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입력 장치가 연결되고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인 경우, 노트북의 절전 모드의 해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USB 스위치(200)에 마우스(31)가 연결되어 있고, USB 스위치(200)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에 있다.
노트북(7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HDMI 및 USB 규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를 통해 노트북(700)이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노트북(700)의 상면을 하면에 덮게 되면, 디폴트 속성에 의해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트북(700)의 모니터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더라도 마우스(31)가 연결된 USB 스위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마우스(31)가 연결된 USB 스위치(200)의 USB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회로(19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마우스(31)가 연결된 USB 포트와 연결된 USB 스위칭 소자 및 제2 USB 허브(217)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USB 스위치(200)에는 전원이 공급되므로 마우스(31)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마우스 이벤트를 노트북(700)에 전송할 수 있다.
노트북(700)은 상면이 덮어져 있는 상태라도 마우스 이벤트에 따라 절전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절전 모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3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고, 노트북(700)의 상면이 덮어져 절전 모드에 있는 상태라도 마우스 이벤트에 의해 노트북(700)의 절전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노트북(700)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우스(31)를 노트북(700)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트북(700)을 덮어두고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노트북(700)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SB 스위치 장치의 절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 스위치(200)의 절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UI 메뉴(800)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UI 메뉴(800)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 항목(810), TV 연결 모드 항목(820) 및 전체 연결 모드 항목(8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연결 모드 항목(810)는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외부 장치 연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외부 장치로 입력 이벤트를 전송하는 USB 스위치(200)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하는 항목일 수 있다.
TV 연결 모드 항목(820)는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가 TV 연결 모드로 설정된 경우, TV(디스플레이 장치, 100)로 입력 이벤트를 전송하는 USB 스위치(200)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전체 연결 모드 항목(830)은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의 설정에 따라 TV 또는 외부 장치의 절전 모드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항목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USB 스위치 장치의 연결 모드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USB 스위치(200)는 USB 포트(201), USB 스위칭 소자(203), 제1 USB 허브(215) 및 제2 USB 허브(217)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201)에는 입력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다.
외부 장치(900)는 PC(20) 또는 노트북(70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9a에서 USB 스위치(200)의 연결 모드는 TV 연결 모드에 있음을 가정하고, 도 9b에서 USB 스위치(200)의 연결모드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에 있음을 가정한다.
먼저, 도 9a를 설명한다. 외부 장치(9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전원 공급 회로(190)를 통해 USB 스위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전원 공급 회로(190)를 통해 USB 스위치(200)의 USB 포트(201), USB 스위칭 소자(203) 및 제1 USB 허브(21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70)는 제2 USB 허브(217)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USB 스위칭 소자(203)는 TV 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USB 포트(201)에 연결된 입력 장치(30)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입력 이벤트를 제1 USB 허브(215)에 전달할 수 있다.
즉, USB 스위칭 소자(203)는 연결 모드에 따라 입력 이벤트의 전달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USB 허브(215)는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를 설명한다. 외부 장치(9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전원 공급 회로(190)를 통해 USB 스위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전원 공급 회로(190)를 통해 USB 스위치(200)의 USB 포트(201), USB 스위칭 소자(203) 및 제2 USB 허브(21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70)는 제1 USB 허브(215)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USB 스위칭 소자(203)는 외부 장치 연결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USB 포트(201)에 연결된 입력 장치(30)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입력 이벤트를 제2 USB 허브(217)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USB 허브(217)는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외부 장치(900)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장치(900)는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장치(900)는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따라 외부 장치(9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외부 장치(90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절전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외부 장치(900)는 절전 모드의 해제에 따라 표시 중인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 중인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 회로;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USB 스위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도록 상기 USB 스위치의 연결 경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위치는
    상기 입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USB 포트,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이벤트의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USB 스위칭 소자,
    상기 USB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제1 USB 허브 및
    상기 USB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제2 USB 허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USB 스위치의 연결 모드가 제1 연결 모드인 경우, 상기 USB 포트, 상기 USB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USB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USB 스위치의 연결 모드가 제2 연결 모드인 경우, 상기 USB 포트, 상기 USB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USB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USB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절전 모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반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영상 신호에 기반한 제1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의 상태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도록 상기 USB 스위치의 연결 경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위치는
    상기 입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USB 포트,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이벤트의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USB 스위칭 소자,
    상기 USB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제1 USB 허브 및
    상기 USB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제2 USB 허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USB 스위치의 연결 모드가 제1 연결 모드인 경우, 상기 USB 포트, 상기 USB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USB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USB 스위치의 연결 모드가 제2 연결 모드인 경우, 상기 USB 포트, 상기 USB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USB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를 상기 USB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절전 모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2 영상 신호에 기반한 제2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22/019089 2022-11-29 2022-1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41172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918 2022-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291A1 true WO2024117291A1 (ko) 2024-06-0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1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9117451A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WO201917247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5151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00945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86857A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149650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WO202411729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34935A1 (ko)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12227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2945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22238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2946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9112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8262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1473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407148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WO202320002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3902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WO202324913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질 설정 방법
WO202319555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71488A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2905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8254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71841A1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