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11940A1 - Fuel atomization device - Google Patents

Fuel atomiz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11940A1
WO2024111940A1 PCT/KR2023/017398 KR2023017398W WO2024111940A1 WO 2024111940 A1 WO2024111940 A1 WO 2024111940A1 KR 2023017398 W KR2023017398 W KR 2023017398W WO 2024111940 A1 WO2024111940 A1 WO 20241119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uel
hole
atomization device
coupling portio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7398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헌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펜테크
Publication of WO20241119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11940A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A fuel atom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an air bleeder tube or a vaporizer body portion;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oward the air bleeder tube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an outlet portion; a second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portion, and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an outlet portion of a jet nozzle; a step formed by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or by separate processing; spacers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tep and have a third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reof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portion; a mesh disposed between the spacers;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tacked mesh and spacers.

Description

연료 미립화 장치fuel atom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연료 미립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화기 또는 인젝터에 장착하여 연비 향상 및 매연 저감을 이루기 위한 연료 미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atomiz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el atomizat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a carburetor or injector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exhaust emissions.
실린더 내로 공급된 연료/공기 혼합물을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솔린 엔진은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기화기(carburetor) 또는 인젝터(injector)를 사용하며, 디젤 엔진은 인젝터를 사용하고 있다. . Gasoline engines, which generate power by burning the fuel/air mixture supplied into the cylinder, use a carburetor or injector to generate the fuel/air mixture, while diesel engines use injectors. .
자동차 엔진의 경우에는 대부분 인젝터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이륜차, 예초기, 농업용 관리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엔진은 여전히 기화기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Most automobile engines use the injector method, but small engines used in motorcycles, lawn mowers, agricultural lawn mowers, etc. still often use the carburetor method.
기화기 방식은 인젝터 방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출력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여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연비가 좋지 않으며 겨울철에는 시동이 원활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The carburetor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heaper than the injector method, has high output, and is simple in structure, making it easy to repair. However, it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fuel efficiency and poor starting in wint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화기를 구비한 엔진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할 때 연료/공기 혼합물 내의 연료 입자를 더욱 미세화하고 균질화할 필요가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fine and homogenize the fuel particles in the fuel/air mixture when mixing fuel and air in an engine equipped with a carburetor.
도 1은 종래의 기화기를 나타낸 것으로.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10)가 닫혀 있을 때(아이들링 운전시)에는 파일럿 제트(Pilot Jet)부(100)가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하고, 스로틀 밸브(10)가 열렸을 때에는 파일럿 제트부(100)와 함께 또는 메인 제트(Main Jet)부(200) 단독으로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한다. 생성된 연료/공기 혼합물은 벤투리(Ventury)부(20)를 통해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게 된다. 메인 제트부(200)에 의한 연료/공기 혼합물의 공급량은 스로틀 밸브(10)의 개방 정도 및 니들(30)의 삽입 정도에 의해 제어된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vaporizer. When the throttle valve (10) is closed (during idling operation), the pilot jet unit (100) generates a fuel/air mixture, and when the throttle valve (10) is open, the pilot jet unit (100) generates a fuel/air mixture. ) or alone in the main jet unit 200 to generate a fuel/air mixture. The generated fuel/air mixture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through the venturi unit (20). The amount of fuel/air mixture supplied by the main jet unit 200 is controlled by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10 and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needle 30.
메인 제트부(200)는 액체 연료가 저장된 플로트 챔버(Float Chamber, 4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으며, 플로트 챔버(4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무화(atomization)하는 메인 제트부용 제트 노즐(Jet Nozzle, 210)과, 공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무화된 연료와 혼합하는 메인 제트부용 에어 블리더 튜브(Air Bleeder Tube, 220)로 이루어진다. The main jet unit 200 receives fuel from a float chamber 40 in which liquid fuel is stored, and a jet nozzle 210 for the main jet unit atomizes the fuel supplied from the float chamber 40. ) and an air bleeder tube (Air Bleeder Tube, 220) for the main jet that mixe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line with the atomized fuel.
통상 메인 제트부는 별도로 제작된 제트 노즐과 에어 블리더 튜브를 결합하여 사용되고, 파일럿 제트부는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Typically, the main jet part is used by combining a separately manufactured jet nozzle and an air bleeder tube, and the pilot jet part is often manufactured as one piece.
메인 제트부(200)와 파일럿 제트부(100)는 그 구조 및 작동관계가 유사하기 때문에 본 출원서에서는 메인 제트부를 위주로 설명하며, 공통된 구성 및 용어에 있어서는 특별히 메인 제트부 또는 파일럿 제트부를 구분하지 않기로 한다. Since the main jet unit 200 and the pilot jet unit 100 have similar structures and operational relationships, this application mainly describes the main jet unit, and does not specifically distinguish between the main jet unit and the pilot jet unit in terms of common configuration and terminology. do.
기화기는 그 종류에 따라, 제트 노즐에서 액체 연료가 무화되지 않고 에어 블리더 튜브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에멀젼(emulsion)화되어 즉, 액체 연료 중에 공기입자가 포함되는 형태로 연료/공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타입도 있지만, 본 발명은 제트 노즐에 의해 액체 연료가 무화되어 공기 중에 연료가 입자 형태로 분포된 형태의 연료/공기 혼합물이 형성되는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공기와 함께 에멀젼화 시키는 기화기와는 그 원리 및 기술적 사상이 다르다.Depending on the type of carburetor, the liquid fuel is not atomized at the jet nozzle but is emulsified with the air flowing in from the air bleeder tube, that is, forming a fuel/air mixture in which air 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liquid fuel. Although there is a type that does th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porizer in which liquid fuel is atomized by a jet nozzle to form a fuel/air mixture in the form of fuel distributed in the air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a vaporizer that emulsifies the fuel with air. The principles and technical ideas are different.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3221호를 통하여, 액체 연료가 저장되는 플로트 챔버와; 입구가 플로트 챔버 내의 액체 연료에 잠기는 유입부와,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연료가 통과하며 유입부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소경부와, 소경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연료가 무화되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유출부로 이루어진 제트 노즐과; 제트 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제트 노즐을 통해 무화된 연료를 외부 공기와 혼합하여 벤투리부로 공급하는 에어 블리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에 제 1 그물망을 소경부 측으로부터 2~10매 적층하고, 계속하여 같은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 1 그물망보다 메쉬 번호가 큰 제 2 그물망을 1~2매 더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를 개시한 바 있다. The present applicant, through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13221, has disclosed: a float chamber in which liquid fuel is stored; An inlet whose inlet is immersed in the liquid fuel in the float chamber, a small diame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flowing in from the inlet portion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let portion,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flowing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is atomized. A jet nozzle consisting of an outlet provided with; an air bleeder tube connected to the jet nozzle, mixing atomized fuel with external air through the jet nozzle and supplying it to the venturi unit; In the vaporizer comprising: 2 to 10 first meshes are stacked on the outlet portion from the small diameter side, and then 1 to 2 second meshes with a mesh number larger than the first mesh are further added in the same stacking direction. A vaporizer characterized by lamination has been disclosed.
출원인의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제트 노즐의 유출부에 그물망을 적층시켜야 하는데, 유출부의 직경이 3.5mm 정도에 불과하는 등 그 크기가 매우 작아 그물망을 일정 간격으로 그리고 흐름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조립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of the applicant, a net must be stacked on the outlet part of the jet nozzle, but the size of the outlet part is very small, such as only about 3.5 mm, making it difficult to assemble the net at regular intervals and at right angles to the flow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종래의 기화기 및 인젝터에 부착되어 연료의 입자를 미세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매연을 저감할 수 있는 연료 미립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atomization device that is attached to a conventional carburetor and injector and can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exhaust emissions by refining fuel particles.
본 발명은 조립 및 생산이 용이하고, 기화기 및 인젝터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연료 미립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atomization devic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produce,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carburetors and injecto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연료 미립화 장치는, The fuel atom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액체 연료가 저장되는 플로트 챔버와; a float chamber in which liquid fuel is stored;
입구가 플로트 챔버 내의 액체 연료에 잠기는 유입부와,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연료가 통과하며 유입부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소경부와, 소경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연료가 무화되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유출부로 이루어진 제트 노즐과;An inlet whose inlet is immersed in the liquid fuel in the float chamber, a small diame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flowing in from the inlet portion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let portion,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flowing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is atomized. A jet nozzle consisting of an outlet provided with;
제트 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제트 노즐을 통해 무화된 연료를 외부 공기와 혼합하여 벤투리부로 공급하는 에어 블리더 튜브와;an air bleeder tube connected to a jet nozzle to mix atomized fuel with external air and supply it to the venturi unit;
상기 플로트 챔버, 제트 노즐, 에어 블리더 튜브가 설치되는 기화기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화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a vaporizer main body in which the float chamber, jet nozzle, and air bleeder tube are installed; In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 vaporizer comprising:
에어 블리더 튜브 또는 기화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와,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air bleeder tube or the vaporizer body;
유출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에어 블리더 튜브 측으로 형성된 제 1 통공과, a first through hole formed on the air bleeder tube side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상기 제 1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유출부와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며 제트 노즐의 유출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 2 통공과, a second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portion, and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portion of the jet nozzle;
상기 제 1,2 통공의 직경차에 의해 또는 별도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단턱과,A step formed by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or by separate processing,
상기 단턱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중앙에 상기 유출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 3 통공을 구비한 복수 개의 스페이서(Spacer)와, A plurality of spacer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tep a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at the center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portion,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물망과, A plurality of nets disposed between the spacers,
상기 적층된 그물망 및 스페이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aminated mesh and spacers.
상기 제트 노즐은 제 1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3 결합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jet nozzle preferably has a third coupling portion screw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상기 연료 미립화 장치는 제 2 통공에 연결된 제 4 통공과, 상기 제 4 통공에 가공된 제 4 결합부를 구비하고,The fuel atomization device includes a fourth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machined into the fourth through hole,
상기 제트 노즐의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4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hird coupling portion of the jet nozzle is screwed to the fourth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연료 미립화 장치는, 노즐 선단에 인젝터 길이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한 인젝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 The fuel atom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n injector having an injection port at the tip of the nozzle that injects fu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or,
그물망과 스페이서가 적층되며 인젝터 측으로 개방된 제 1 통공과; 인젝터 노즐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결합될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통공과 연통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2 통공과; 상기 그물망과 스페이서를 제 1 통공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단턱과; 적층된 그물망과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through hole in which a mesh and a spacer are stacked and open to the injector; a second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injector nozzle;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open to the outside; a step for positioning the mesh and spacer within the first through hole; With laminated mesh and spacer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arried out.
본 발명의 연료 미립화 장치는, 노즐선단의 경사진 측면에 복수 개의 분사구를 구비한 인젝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 The fuel atom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n injector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on the inclined side of the tip of the nozzle,
인젝터 노즐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결합될 제 2 결합부와; 복수의 그물망의 일단과 복수의 상부 스페이서를 탑재하는 상부 탑재부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과; 복수의 그물망의 다른 일단과 복수의 하부 스페이서를 탑재하는 하부 탑재부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탑재부와 하부 탑재부 사이에서 경사진 콘 형상을 이루며 상하부 스페이서들에 의해 이격된 거리로 복수개 배치되는 그물망과; 상하부 스페이서와;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이어주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injector nozzle; an upper frame having an upper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e end of a plurality of meshes and a plurality of upper spacer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mounting portion that mounts another end of a plurality of meshes and a plurality of lower spacers; a plurality of nets arranged in an inclined cone shape between the upper mounting portion and the lower moun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by upper and lower spacers; upper and lower spacers; A support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arried out.
상기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에서 연료가 유입되는 측을 향한 모서리의 각도는 6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of the ed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toward the side into which fuel flows is within 60 degrees.
상기 모서리를 이루는 면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는 연료의 흐름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r end extending from the surface forming the corner is preferably made of a surfac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uel flow.
상기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은 8각형 이내의 정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is a regular polygon within an octagon.
상기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그 표면에 복수 개의 딤플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is circular, it is desirable to form a plurality of dimples or protrusions on its surface.
상기 그물망의 적층 간격은 그물망 공간목의 2~20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acking interval of the mesh is preferably 2 to 20 times the mesh space.
노즐 선단에 인젝터 길이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한 인젝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 In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n injector having an injection port at the tip of the nozzle that injects fu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or,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연료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산란에 의해 연료를 미세화시키기 위해 적층되는 복수 개의 그물망과;a plurality of nets stacked to finely refine the fuel by impact scattering generated when the fuel injected from the injection hole collides;
적층된 그물망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해 그물망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와;a plurality of spacers inserted between the stacked meshes to space them apart;
상기 그물망과 스페이서가 적층되며 인젝터 측으로 개방된 제 1 통공과; a first through hole in which the mesh and spacers are stacked and open toward the injector;
인젝터 노즐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해 제 1 통공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 2 결합부와;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jector nozzle;
상기 제 1 통공과 연통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2 통공과;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open to the outside;
상기 그물망과 스페이서를 제 1 통공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step for positioning the mesh and spacer within the first through ho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arried out.
노즐선단의 경사진 측면에 복수 개의 분사구를 구비한 인젝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 In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n injector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on the inclined side of the nozzle tip,
인젝터 노즐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결합될 제 2 결합부와; 복수의 그물망의 일단과 복수의 상부 스페이서를 탑재하는 상부 탑재부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과; 복수의 그물망의 다른 일단과 복수의 하부 스페이서를 탑재하는 하부 탑재부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탑재부와 하부 탑재부 사이에서 경사진 콘 형상을 이루며 상하부 스페이서들에 의해 이격된 거리로 복수개 배치되는 그물망과; 상하부 스페이서와;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이어주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injector nozzle; an upper frame having an upper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e end of a plurality of meshes and a plurality of upper spacer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mounting portion that mounts another end of a plurality of meshes and a plurality of lower spacers; a plurality of nets arranged in an inclined cone shape between the upper mounting portion and the lower moun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by upper and lower spacers; upper and lower spacers; A support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arried ou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입자를 미세화하고 균질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키며 매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 및 생산이 용이하고, 기화기 및 인젝터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fine and homogenize fuel particles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exhaust emissions, and is also easy to assemble and produc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on carburetors and injectors. .
도 1은 종래 기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aporizer.
도 2는 출원인의 종래 기화기 구조를 나타낸 도.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pplicant's conventional vaporizer.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Figures 3 to 6 show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8은 본 발명 그물망의 단면 형태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Figures 7 and 8 show several example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스페이서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rm of the spac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
1 : 기화기 10 : 스로틀 밸브 20 : 벤투리부 30 : 니들1: Carburetor 10: Throttle valve 20: Venturi unit 30: Needle
40 : 플로트 챔버 50 : 기화기 본체부 100 : 파일럿 제트부40: float chamber 50: vaporizer main body 100: pilot jet portion
200 : 메인 제트부 210 : 제트 노즐 213 : 유출부 200: main jet part 210: jet nozzle 213: outlet part
220 : 에어 블리더 튜브 231 : 제 1 결합부 232 : 제 1 통공 220: Air bleeder tube 231: First coupling portion 232: First through hole
233 : 제 2 통공 234 : 단턱 235 : 제 3 결합부 236 : 제 4 통공 233: second through hole 234: step 235: third coupling portion 236: fourth through hole
237 : 제 4 결합부 238 : 제 5 통공237: fourth coupling portion 238: fifth through hole
300 : 그물망 400 : 연료 미립화 장치 410 : 상부 프레임 300: Mesh 400: Fuel atomization device 410: Upper frame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embodiments thereof.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여러 실시예에 따라 연료 미립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3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uel atomiza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화기(1)의 벤투리부(20)에 공급될 연료/공기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연료를 흡입하여 무화하는 제트부는 제트 노즐(210), 에어 블리더 튜브(220)로 이루어지며, 연료 미립화 장치(400)는 제트 노즐(210)과 , 에어 블리더 튜브(220) 사이에 배치된다. The jet part that sucks and atomizes fuel to create a fuel/air mixture to be supplied to the venturi part 20 of the carburetor 1 is composed of a jet nozzle 210 and an air bleeder tube 220, and is a fuel atomization devic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jet nozzle 210 and the air bleeder tube 220.
본 설명에서는 메인 제트부(2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파일럿 제트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description, the main jet unit 200 is explained as an example, but of cours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pilot jet unit.
도 3 내지 도 6의 연료 미립화 장치(400)는 유출부(213)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에어 블리더 튜브측으로 형성된 제 1 통공(232)과, 상기 제 1 통공(232)과 연통되며 상기 유출부(213)와 동일한 내경을 구비하며 제트 노즐 측으로 형성된 제 2 통공(2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통공(233)의 일단은 제트 노즐(210)의 유출부(213)의 일단과 연결되게 된다. The fuel atomization device 400 of FIGS. 3 to 6 has a first through hole 232 formed toward the air bleeder tube and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outlet 213,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232. It has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let portion 213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233 formed on the jet nozzle side, and one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23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let portion 213 of the jet nozzle 210. It will happen.
제 1 통공(232)은 제 2 통공(233)과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통공(232)와 제 2 통공(233)은 그 내경차에 의해 단턱(234)이 형성되게 된다. Since the first through hole 23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33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step 23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23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33 due to the difference in their inner diameters.
단턱은 제 1 통공 내에 별도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tep may also be formed through separate processing within the first through hole.
제 1 통공(232)에는 유출부(213)와 동일한 직경의 제 3 통공(510)을 가진 스페이서(500)가 단턱(234)에 지지되며 적층된다.A spacer 500 having a third through hole 510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portion 213 is supported on the step 234 and stacked on the first through hole 232.
단턱(234)에 지지된 스페이서(500)의 상측으로 그물망(300)과 스페이서(500)이 교대로 적층된다. The mesh 300 and the spacer 500 are alternately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r 500 supported on the step 234.
적층된 스페이서(500)와 그물망(300)들은 조립시 에어 블리더 튜브(220)의 내측면이 도 3과 같이 고정수단으로 역할하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최상단의 스페이서나 그물망을 제 1 통공에 용접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키는 형태로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laminated spacer 500 and the mesh 300 are assemble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bleeder tube 220 serves as a fixing means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Alternatively, a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ttaching the uppermost spacer or net to the first through hole by welding or adhesive.
스페이서 또는 그물망의 크기를 제 1 통공보다 약간 크도록 하여, 제 1 통공에 스페이서 또는 그물망을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ize of the spacer or mesh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xing means may be adopted to insert and secure the spacer or mesh into the first through hole in an interference fit.
최상단의 스페이서 대신 중앙에 통공을 구비한 나사를 제 1 통공(232)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stead of a spacer at the top, a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crew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232.
제트 노즐(210)에서 무화된 연료 입자는 유출부(213)를 지나 제 2 통공(233)을 통과하여 제 1 통공(232)의 그물망(300)의 와이어에 연료 입자가 부딪히며 쪼개져 그 크기가 미세화 된다. The fuel particles atomized in the jet nozzle 210 pass through the outlet 21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33. The fuel particles collide with the wire of the mesh 300 of the first through hole 232 and are split to finer size. do.
이와 같은 연료 미립화 장치(400)는 에어 블리더 튜브(2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결합부(231)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결합부(431)를 구비하여 에어 블리더 튜브에 장착된다. This fuel atomization device 400 has a second coupling portion 431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31 formed inside the air bleeder tube 220 and is mounted on the air bleeder tube.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 노즐(210) 역시 제 3 결합부(235)가 상기 제 1 결합부(231)에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jet nozzle 210 also has a third coupling part 235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231.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결합부(231)와 제 2 결합부(431)가 나사결합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제 1 결합부(231)와 제 2 결합부(233)는 동일한 직경의 통공과 원통으로 가공되어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끼워맞춤된 연료 미립화 장치는 제트 노즐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2 결합부의 결합방법은 나사 결합이나 끼워맞춤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first coupl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31 are described as being screwed together, but the first coupl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33 have through holes of the same diameter. It may be processed into a cylinder and joined in a fitting for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tted fuel atomizing device can have its position fixed by the jet nozzle. The method of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is not limited to screw coupling or fitting coupling.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연료 미립화 장치(400)의 제 2 통공(233)으로부터 제 1 통공(232)와 반대 방향으로 연통된 제 4 통공(236)을 구비하며, 제 4 통공(236)에는 제 4 결합부(237)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4, a fourth through hole 236 is provided that communicates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233 of the fuel atomization device 4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through hole 232, and the fourth through hole 236 has a fourth through hole 236. 4 coupling portions 237 are provided.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 4 결합부(237)에 상기 제트노즐(210)의 제 3 결합부(235)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The embodiment of FIG. 4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3 in that the third coupling part 235 of the jet nozzle 210 is screwed to the fourth coupling part 237.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연료 미립화 장치의 제 2 결합부(431)가 에어 블리더 튜브가 아닌 기화기 본체부(50)에 형성된 제 1 결합부(231)에 결합되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embodiment of FIG. 5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4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31 of the fuel atomiza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31 formed in the carburetor main body 50 rather than the air bleeder tube. There is a difference.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연료 미립화 장치의 제 2 결합부(431)가 제 1 통공(232)과 연통된 제 5 통공(238)에 형성되어, 에어 블리더 튜브(220)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결합부(231)에 나사 결합된 점에서 도 4와 차이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31 of the fuel atomization device is formed in the fifth through hole 238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hrough hole 232, and the first through hole 238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ir bleeder tube 220. It is different from Figure 4 in that it is screwed to the coupling portion 231.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트 노즐(210)의 유출부(213)는 제 2 통공(233)과 연결되며, 제 2 통공(233)을 통과한 연료는 제 1 통공(232)에 배치된 그물망(300)에 충돌하여 보다 미세화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outlet 213 of the jet nozzle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233, and the fuel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33 is connected to the mesh 300 dispos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32. ) and becomes more refined.
제트 노즐(210)의 유출부(213)에서 배출되는 연료는 모두 무화된 연료이다. All fuel discharged from the outlet 213 of the jet nozzle 210 is atomized fuel.
상기 그물망(300)을 이루는 와이어는 단면상 연료가 유입되는 측을 향한 모서리의 각도(θ, 도 7 참조)가 6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의 각도(θ)가 60° 이상이 되면, 무화된 연료의 흐름 속도가 느려질 뿐만 아니라, 인접 와이어에서 분기되어 흐르는 연료입자와 충돌하여 연료 입자가 조대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ngle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300 (θ, see FIG. 7) toward the side through which fuel flows is within 60°. If the angle θ of the corner is 60° or more, not only does the flow speed of the atomized fuel slow down, but also a problem occurs in which fuel particles become coarse by colliding with fuel particles branching from adjacent wires.
또한 상기 모서리를 이루는 면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는 그물망 직전의 연료 흐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ar end extending from the surface forming the corner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fuel flow direction just before the mesh.
이에 따라 무화된 연료는 모서리를 이루는 면에 부딪혀 미세화되고 분기된 후 하류로 흐르게 되고, 후단부에 의해 분기된 흐름이 다시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의 강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atomized fuel hits the surface forming the corner, becomes finer, branches out, and flows downstream. The branched flows at the rear end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together again, and the rigidity of the wire can also be increased.
한편 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8각형 이내의 정다각형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8(a)~(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정다각형의 모서리는 연료가 유입되는 측으로 배치되게 된다. Meanwhil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is one of a regular polygon within an octagon. As shown in FIGS. 8(a) to 8(e), the corners of each regular polygon are placed on the side where fuel flows.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그 표면에 다수의 딤플이나 돌기를 형성하면 와이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연료의 재결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딤플이나 돌기는 와이어의 표면에 부식시키거나 별도의 물질을 스프레이 부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is circular, forming a plurality of dimples or protrusions on the surface can prevent recombination of fuel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wire. Such dimples or protrusions can be formed by corroding the surface of the wire or spraying a separate material onto it.
각 그물망은 스페이서에 의해 적층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데, 그 적층 간격은 그물망 공간목의 2~20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mesh is maintained at a stacking interval by a spacer, and the stacking spacing is preferably 2 to 20 times the mesh spacing.
적층 간격이 공간목의 2배 이하일 경우에는 그물망 사이에 액체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고, 공간목의 20배 이상일 경우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stacking interval is less than 2 times the spacing, it is difficult to prevent a liquid film from forming between the meshes, and if it is more than 20 times the spac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ncreases.
메쉬 번호 #50~#200의 범위의 그물망을 3~5매 장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연료 미립화 장치를 장착한 농업용 관리기와, 장착하지 않은 농업용 관리기에 대해 매연테스트를 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3 to 5 nets with mesh numbers ranging from #50 to #200. An exhaust smoke test was performed on an agricultural manager equipped with a fuel atomization device and an agricultural manager without a fuel atomization device, and Table 1 and got the same result.
표 1의 측정결과는 시동을 걸고 3분 후 배기관에서 1분 단위로 3회 측정하여 얻은 평균값(ppm)이다. The measurement results in Table 1 are the average values (ppm) obtained by measuring 3 times in 1-minute increments at the exhaust pipe 3 minutes after starting the engine.
without atomization devicewithout atomization device with atomization devicewith atomization device
#1#One #2#2 #3#3 #4#4 #5#5
HCHC 358358 362362 166166 274274 223223
COC.O. 4.544.54 4.364.36 3.273.27 4.324.32 3.553.55
CO2 CO2 6.096.09 6.446.44 6.886.88 6.236.23 6.86.8
O2 O 2 5.375.37 6.386.38 5.855.85 4.664.66 5.625.62
표 1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미립화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HC와 CO가 약 24 ~ 54 %까지 감소하여 매연이 저감되게 된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fuel atom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HC and CO are reduced by about 24 to 54%, thereby reducing exhaust emissions.
표 2는 엔진을 3450 ± 50 RPM으로 일정시간 가동하면서 측정한 연비 테스트 결과이다. Table 2 shows the fuel efficiency test results measured while running the engine at 3450 ± 50 RP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atomization devicewithout atomization device with atomization devicewith atomization device
#1#One #2#2 #3#3 #4#4 #5#5
소모연료량Fuel consumption - - 231231 207207 222222 218218
본 발명의 연료 미립화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연비가 3.8 ~ 10.4%까지 향상되게 된다. 한편 그물망의 표면은 에칭이나 코팅에 의한 발유 처리를 하는 것이 연료 입자가 부딪쳐 미세화되는데 더욱 유리하고, 또한 그물망의 눈이 연료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 When the fuel atom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uel efficiency is improved by 3.8 to 10.4%. Meanwhile, treating the surface of the mesh with oil-repellent treatment by etching or coating is more advantageous for fuel particles to collide and become finer, and also prevents the mesh eyes from being clogged by fuel.
노즐에서 분사된 연료는 그물망과 충돌하여 충격 산란이 발생하며, 이러한 충격 산란에 의해 연료입자는 더욱 미세화된다. 그물망이 다중으로 설치되게 되면, 충격 산란 역시 다단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연료 입자는 더욱 더 미세화되게 된다. 또한 그물망에 유막이 형성되면, 충격이 완화되어 연료입자의 미세화를 저해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첩된 그물망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fuel injected from the nozzle collides with the mesh, causing impact scattering, and this impact scattering further refines the fuel particles. When multiple meshes are installed, impact scattering also occurs in multiple stages, so the fuel particles become even finer. Additionally, when an oil film is formed on the mesh, the impact is alleviated and the refinement of fuel particles is inhibited.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overlapping meshes.
이와 같은 원리는 인젝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is same principle can also be applied to injectors.
인젝터에서 연료가 분사되는 인젝터 노즐은 도 10(a)와 같이 인젝터 노즐(610) 선단에 인젝터 길이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611)를 구비한 형태와, 도 11(a)와 같이 인젝터 노즐(610) 선단의 경사진 측면에 복수 개의 분사구(611)를 구비한 형태가 있다. The injector nozzle through which fuel is injected from the injector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ort 611 for injecting fu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or at the tip of the injector nozzle 610, as shown in FIG. 10(a), and the injector nozzle as shown in FIG. 11(a). (610) There is a for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611 on the inclined side of the tip.
도 10(a)와 같은 인젝터 노즐(610)의 경우, 내부에 그물망(300)과 스페이서(500)가 적층된 제 1 통공(232)과, 인젝터 노즐에 형성된 제 1 결합부(231)와 결합될 제 2 결합부(431)로 이루어진 연료 미립화 장치(400)가 도 10(b),(c)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njector nozzle 610 as shown in FIG. 10(a), the first through hole 232 in which the mesh 300 and the spacer 500 are stacked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31 formed in the injector nozzle. The fuel atomization device 400 consisting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31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S. 10(b) and 10(c).
연료 미립화 장치의 제 1 통공(232)은 인젝터 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연료입자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통공(233)과 연통되어 있다. 제 1, 2 통공(232, 233)의 내경 차에 의해 형성된 단턱(234)에 그물망(300)과 스페이서(500)과 적층되어 있다. The first through hole 232 of the fuel atomization device is open toward the injector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233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fuel particles are injected. The mesh 300 and the spacer 500 are stacked on the step 234 formed by the difference in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32 and 233.
인젝터 노즐의 분사구(611)로부터 분사된 연료입자는 제 1 통공(232)의 그물망을 지나면서 미세화되게 된다. Fuel particle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 611 of the injector nozzle are refined as they pass through the mesh of the first through hole 232.
도 11(a)와 같이 인젝터 노즐(610)의 경사진 측면에 가공된 복수 개의 분사구(611)에 의해 선단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며 분사되는 경우에는 연료 미립화 장치는 도 10(a)와는 다른 형태를 구비하게 된다. When the fuel atomization device is inject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tip direction by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611 machined on the inclined side of the injector nozzle 610 as shown in FIG. 11(a), the fuel atomization device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at in FIG. 10(a). will be provided.
도 11(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미립화 장치(400)는 인젝터 노즐(610)에 형성된 제 1 결합부(231)와 결합될 제 2 결합부(431)을 구비하고 그물망(300-1, 300-2)의 일단과 상부 스페이서(500-1, 500-3, 500-5)를 탑재하는 상부 탑재부(411)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410)과; 그물망(300-1, 300-2)의 다른 일단과 하부 스페이서(500-2, 500-4, 500-6)를 탑재하는 하부 탑재부(421)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420)과; 상부 탑재부(411)와 하부 탑재부(421) 사이에서 경사진 콘(Cone) 형상을 이루며 상하부 스페이서(500-1~6)들에 의해 이격된 거리로 복수개 배치되는 그물망(300-1, 300-2)과; 상하부 스페이서(500-1~6)와;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이어주는 지지대(44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11 (b) (c), the fuel atomization device 40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portion 431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31 formed on the injector nozzle 610 and a mesh ( An upper frame 410 having one end of 300-1, 300-2) and an upper mounting portion 411 for mounting upper spacers 500-1, 500-3, and 500-5; a lower frame 420 having a lower mounting portion 421 for mounting the other end of the net (300-1, 300-2) and lower spacers (500-2, 500-4, 500-6); A plurality of meshes 300-1 and 300-2 are arranged in a slanted cone shape between the upper mounting part 411 and the lower mounting part 421 and are spaced apart by the upper and lower spacers 500-1 to 6. )class; Upper and lower spacers (500-1 to 6); With a support 44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It comes true.
이에 따라 인젝터 노즐의 경사진 측면의 분사구(611)로 분사되는 연료 입자는 그물망을 통과하며 보다 미세화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fuel particle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611 on the inclined side of the injector nozzle pass through the mesh and become finer.
지지대(400)는 연료입자의 분사압에 의해 그물망(300-1,300-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으로, 인젝터 노즐(610)의 분사구(611)의 수가 많은 경우, 등간격으로 그 갯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400 prevents the mesh 300-1,300-2 from being deformed by the injection pressure of fuel particles. When the number of injection holes 611 of the injector nozzle 610 is large, the number of injection holes 611 of the injector nozzle 610 is increased at equal intervals. It is desirable to increase it.
인젝터 노즐(610)의 경사진 측면의 경사각과, 그물망(300-1, 300-2)이 이루는 경사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ide of the injector nozzle 610 and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meshes 300-1 and 300-2 are the same.
그물망(300-1, 300-2)과; 상하부 스페이서(500-1~6)는 그 두께가 얇아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부 프레임(410)의 상측 통공으로 삽입이 가능하다. mesh (300-1, 300-2); The upper and lower spacers 500-1 to 6 are thin and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of the upper frame 410.
본 발명은 엔진의 기화기 또는 인젝터에 장착하여 연비 향상 및 매연 저감을 이루기 위한 연료 미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atomization device installed on an engine carburetor or injector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exhaust emissions.

Claims (10)

  1. 입구가 플로트 챔버 내의 액체 연료에 잠기는 유입부와,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연료가 통과하며 유입부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소경부와, 소경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연료가 무화되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유출부로 이루어진 제트 노즐과;An inlet whose inlet is immersed in the liquid fuel in the float chamber, a small diame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flowing in from the inlet portion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let portion,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fuel flowing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is atomized. A jet nozzle consisting of an outlet provided with;
    제트 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제트 노즐을 통해 무화된 연료를 외부 공기와 혼합하여 벤투리부로 공급하는 에어 블리더 튜브와;an air bleeder tube connected to a jet nozzle to mix atomized fuel with external air and supply it to the venturi unit;
    상기 플로트 챔버, 제트 노즐, 에어 블리더 튜브가 설치되는 기화기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화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a vaporizer main body in which the float chamber, jet nozzle, and air bleeder tube are installed; In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 vaporizer comprising:
    에어 블리더 튜브 또는 기화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와, 유출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에어 블리더 튜브 측으로 형성된 제 1 통공과, 상기 제 1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유출부와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며 제트 노즐의 유출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 2 통공과, 상기 제 1,2 통공의 직경차에 의해 또는 별도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중앙에 상기 유출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 3 통공을 구비한 복수 개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물망과, 상기 적층된 그물망 및 스페이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air bleeder tube or the vaporizer main body,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oward the air bleeder tube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 second through hol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and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f the jet nozzle, a step formed by a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or through separate processing, and a step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tep, Fu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pacers having a third through hole at the center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a plurality of nets disposed between the spacers,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tacked nets and spacers. Atomization device.
  2. 제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트 노즐은 제 1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3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The jet nozzle is 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rd coupling portion screw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 제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료 미립화 장치는 제 2 통공에 연결된 제 4 통공과, 상기 제 4 통공에 가공된 제 4 결합부를 구비하고,The fuel atomization device includes a fourth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machined into the fourth through hole,
    상기 제트 노즐의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4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coupling portion of the jet nozzle is screwed together with the fourth coupling portion.
  4. 제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에서 연료가 유입되는 측을 향한 모서리의 각도는 6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ed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toward the side into which fuel flows is within 60 degrees.
  5. 제 4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모서리를 이루는 면에서 연장되는 후단부는 연료의 흐름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extending from the surface forming the corner is made of a surface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uel.
  6. 제 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은 8각형 이내의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is a regular polygon within an octagon.
  7. 제 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물망을 이루는 와이어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그 표면에 복수 개의 딤플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mesh is circular, a plurality of dimples o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8. 제 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물망의 적층 간격은 그물망 공간목의 2~2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ing interval of the mesh is 2 to 20 times the mesh spacing.
  9. 노즐 선단에 인젝터 길이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한 인젝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 In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n injector having an injection port at the tip of the nozzle that injects fu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or,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연료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산란에 의해 연료를 미세화시키기 위해 적층되는 복수 개의 그물망과;a plurality of nets stacked to finely refine the fuel by impact scattering generated when the fuel injected from the injection hole collides;
    적층된 그물망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해 그물망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와;a plurality of spacers inserted between the stacked meshes to space them apart;
    상기 그물망과 스페이서가 적층되며 인젝터 측으로 개방된 제 1 통공과; a first through hole in which the mesh and spacers are stacked and open toward the injector;
    인젝터 노즐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해 제 1 통공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 2 결합부와;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jector nozzle;
    상기 제 1 통공과 연통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2 통공과;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open to the outside;
    상기 그물망과 스페이서를 제 1 통공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s a step for positioning the mesh and spacer within the first through hole; 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10. 노즐선단의 경사진 측면에 복수 개의 분사구를 구비한 인젝터에 부착되는 연료 미립화 장치에 있어서, In a fuel atomization device attached to an injector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on the inclined side of the nozzle tip,
    인젝터 노즐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결합될 제 2 결합부와; 복수의 그물망의 일단과 복수의 상부 스페이서를 탑재하는 상부 탑재부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과; 복수의 그물망의 다른 일단과 복수의 하부 스페이서를 탑재하는 하부 탑재부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탑재부와 하부 탑재부 사이에서 경사진 콘 형상을 이루며 상하부 스페이서들에 의해 이격된 거리로 복수개 배치되는 그물망과; 상하부 스페이서와;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이어주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미립화 장치.a second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injector nozzle; an upper frame having an upper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ne end of a plurality of meshes and a plurality of upper spacer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mounting portion that mounts another end of a plurality of meshes and a plurality of lower spacers; a plurality of nets arranged in an inclined cone shape between the upper mounting portion and the lower moun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by upper and lower spacers; upper and lower spacers; A support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A fuel atom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PCT/KR2023/017398 2022-11-21 2023-11-02 Fuel atomization device WO2024111940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795 2022-11-21
KR1020220156413A KR102551956B1 (en) 2022-11-21 2022-11-21 Fuel Atomization Device
KR10-2022-0156413 2022-11-21
KR1020230057795A KR102605927B1 (en) 2022-11-21 2023-05-03 Fuel Atomiz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1940A1 true WO2024111940A1 (en) 2024-05-30

Family

ID=8715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7398 WO2024111940A1 (en) 2022-11-21 2023-11-02 Fuel atomiza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51956B1 (en)
WO (1) WO2024111940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515A (en) * 1996-10-26 1998-07-25 김영귀 Injector of fuel injector
US6435482B1 (en) 1999-07-16 2002-08-20 Nippon Carburetor Co., Ltd. Carburetor for a general purpose engine
US6357677B1 (en) * 1999-10-13 2002-03-19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injection valve with multiple nozzle plates
JP3969247B2 (en) * 2001-11-06 2007-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Fuel injection valve
AU2013334273B2 (en) * 2012-10-25 2016-03-10 Briggs & Stratton, Llc Fuel injection system
KR102013221B1 (en) 2019-07-08 2019-08-22 이석영 Carbure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956B1 (en) 2023-07-05
KR102605927B1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3863B2 (en) Secondary fuel injection from stage one nozzle
JPS58195058A (en) Air assist device for fuel injectio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6089476A (en) Fuel injec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2772118B1 (en) COMBUSTION PROCESS AND FUEL SPRAY BURNER IMPLEMENTING SUCH A METHOD
CA2207834A1 (en) Aerodynamic system for injecting an air-fuel mix
US4827888A (en) Nozzle
WO2024111940A1 (en) Fuel atomization device
ITRM940729A0 (en) "FUEL INJECTOR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70701307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43962A (en) Fuel injection valve device of double suction engine
BRPI0407918A (en) fuel injec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8547874A1 (en) INJECTOR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WITH AIR INJECTION AND COMPRESSION
KR100374891B1 (en) Extended tip gasoline port fuel injector
WO2018097675A2 (en) Air suction type nozzle having improved air suctioning or liquid back-flow preventing function and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econtamination device using same
WO2021006416A1 (en) Carburetor
US3472495A (en) Carburetor nozzle
DE69503109T2 (en) Fuel dispersion orifice for the injection nozzle of an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85977B2 (en) Engine fuel injection device
JP2815242B2 (en) Engine fuel injection device
RU92007813A (en) THE SPRAY NOZZLE
JPH0122905Y2 (en)
JPS61223268A (en) Jet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1359464A1 (en) Carburetor
US6045054A (en) Air shroud for air assist fuel injector
KR940019983A (en) Fuel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