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0641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0641A1
WO2024090641A1 PCT/KR2022/017097 KR2022017097W WO2024090641A1 WO 2024090641 A1 WO2024090641 A1 WO 2024090641A1 KR 2022017097 W KR2022017097 W KR 2022017097W WO 2024090641 A1 WO2024090641 A1 WO 20240906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ceived power
terminal
base station
signal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0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홍
최시현
박세웅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922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58470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906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0641A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로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섭을 고려하여 빔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세대를 거듭하면서 발전한 과정을 돌아보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주로 인간 대상의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의 예로는 차량, 로봇, 드론,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각종 인프라에 설치된 스마트 센서, 건설기계, 공장 장비 등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증강현실 안경, 가상현실 헤드셋, 홀로그램 기기 등 다양한 폼팩터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6G (6th-generation) 시대에는 수천억 개의 기기 및 사물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6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6G 통신 시스템은 5G 통신 이후 (beyond 5G)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2030년쯤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는 6G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전송 속도는 테라 (즉, 1,000기가) bps, 무선 지연시간은 100마이크로초(μsec) 이다. 즉, 5G 통신 시스템대비 6G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속도는 50배 빨라지고 무선 지연시간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6G 통신 시스템은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 (예를 들어, 95기가헤르츠(95GHz)에서 3테라헤르츠(3THz)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테라헤르츠 대역에서는 5G에서 도입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 비해 더 심각한 경로손실 및 대기흡수 현상으로 인해서 신호 도달거리, 즉 커버리지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서 RF(radio frequency) 소자, 안테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보다 커버리지 측면에서 더 우수한 신규 파형(waveform),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 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등 새로운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6G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및 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s)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 이동 기지국 등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운영 최적화 및 자동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 혁신 기술, 스펙트럼 사용 예측에 기초한 충돌 회피를 통한 동적 주파수 공유 (dynamic spectrum sharing) 기술, 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mobile edge computing (MEC),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6G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새로운 프로토콜의 설계,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환경의 구현 및 데이터의 안전 활용을 위한 메커니즘 개발 및 프라이버시 유지 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을 통해 디바이스 간의 연결성을 더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더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엔티티의 소프트웨어화를 촉진하며, 무선 통신의 개방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6G 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로 인해, 사물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사람과사물 간의 연결까지 모두 포함하는 6G 통신 시스템의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초실감 확장 현실(truly immersive extended reality; truly immersive XR),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high-fidelity mobile hologram), 디지털 복제(digital replica)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안 및 신뢰도 증진을 통한 원격 수술(remote surgery),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및 비상 응답(emergency response)과 같은 서비스가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산업, 의료,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빔들의 간섭을 고려하여 최선의 빔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로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및 수신 인덱스 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간섭을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송신 빔들 중에서 소정의 수만큼의 빔을 선택하여 후보 빔 세트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빔 세트의 각 빔에 대하여, 해당 빔을 이용하는 경우에 QoS(quality of service)가 만족되는 단말의 수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후보 빔 세트 중에서 상기 QoS가 만족되는 단말의 수가 가장 많은 빔을 최종 빔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보 빔 세트를 결정하는 과정은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이 큰 순서대로 소정의 수만큼 빔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과정;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을 포함하고, 및 상기 단말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로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로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간섭을 고려하여 빔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간섭을 고려하여 빔 선택을 실시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QoS를 만족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획득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과 간섭에 대한 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관계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구성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 (5G, NR, LTE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본 개시의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 (satisfied), 충족 (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단말(terminal)을 설명할 것이나, 단말은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장비(mobile equipment: M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억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로 칭해질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폰, 개인용 디지털 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노트북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과 간섭에 대한 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초고주파(mmWave) 대역에서 기지국들(101a, 101b, 101c, 101d)과 단말들, 단말들(102a, 102b, 102c) 서로간의 통신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단말 1 (102a)은 기지국3(101c)으로부터 통신을 위한 빔을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1(102a)과 기지국3(101c)간의 통신에서 간섭이 되는 빔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2(101b)와 단말3(102c)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직접적으로 단말1(102a)에게 수신되어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지국 1(101a)과 단말2(102b)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반사를 통해 단말1(102a)에게 수신되어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line of sight(LoS)에 있는 경우 직접적인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non line of sight(NLoS)에 있는 경우 반사로 인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초고주파(mmWave) 대역에서 이러한 간섭은 단말에서의 QoS의 일정 수준을 달성하는 데 방해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좀 더 향상된 QoS를 획득하기 위하여 간섭을 고려하여 빔 선택을 적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관계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도시된 차세대 기지국 구조는 Cloud-RAN(C-RAN) 또는 Centralized-RAN(C-RAN)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분산 기지국 시스템의 진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C-RAN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하여 대규모 중앙 집중식 기지국 배치를 가질 수 있다. C-RAN에서는 Baseband unit(BBU)가 셀 사이트에서 중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C-RAN에서 각 기지국들(201a, 201b, 201c)은 중앙에 위치한 Baseband unit(BBU) pool(202)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을 수 있다. C-RAN의 경우 CU(Centralized Unit)이 각 DU(Decentralized Unit)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리소스를 관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인 C-RAN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안테나로 표현되는 RAN(210)과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server farm(220)을 포함할 수 있다. RAN(210)은 RU(Radio Unit) 및 DU(230)을 포함하고, server farm(220)은 CU(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DU(230)와 CU(240)는 각각 다른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230)와 CU(240)는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layer, Radio resource control(RRC) layer, Radio link control(RLC) layer , Medium Access Control(MAC) layer, Physical layer(PHY), Radio frequency layer(RF)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각 계층들이 RAN(210)에 포함되는 RU 및 DU(230)와 Server farm(220)의 CU(240)에 분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U 및 DU에 RLC 계층, MAC 계층, PHY 계층, RF 계층이 포함되고, CU에 PDCP 계층, RRC 계층이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U 및 DU에 PHY 계층, RF 계층이 포함되고, CU에 RLC 계층, MAC 계층, PDCP 계층, RRC 계층이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U 및 DU에PHY 계층의 일부, RF 계층이 포함되고, CU에 RLC 계층, MAC 계층, PDCP 계층, RRC 계층, PHU계층의 일부가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U 및 DU에 RF 계층이 포함되고, CU에 RLC 계층, MAC 계층, PHY 계층, PDCP 계층, RRC 계층이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305)은 DU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또는 DU)(310)으로부터 각각 수신 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10)은 각각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SB)를 포함하는 신호를 UE(305)로 송신할 수 있고, 단말(305)은 SSB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수신 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350)은 SSB로부터 해당 기지국에 대한Transmission number(Tx number), Beam number, received power information from reference 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Transmission number는 기지국의 ID 또는 인덱스일 수 있고, Beam number는 Beam의 인덱스, received power information from reference signal는 SSB 를 통한 RS(예: PBCH를 위한 DMRS)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신 전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SB에 대한 인터벌(Interval)(SSB interval)로 20ms, 40ms, 80ms, 또는 160ms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SB에 대한 듀레이션(Duration)(SSB duration)으로는 1ms, 2ms, 2.5ms, 또는 5ms가 설정될 수 있다.
단말(305)은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10)으로 보고할 수 있다(S302). 단말(305)은 통신중인 기지국(310)으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보고에서 피기백(piggyback)을 통하여 전력 정보(또는 간섭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CSI 보고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CSI 보고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보고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만약 주기적인 경우 인터벌(Interval)은 5ms, 10ms, 20ms, 40ms, 또는 80ms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주기는 채널 상태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10)은 단말(305)로부터 수신된 전력 정보(또는 간섭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CU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또는 CU 자체)(315)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전력 정보는 수신 전력 매트릭스(또는 C-RAN 수신 전력 3D-매트릭스(C-RAN received power 3D-matrix))을 생성 또는 업데이트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또는 CU)(315)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10)으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매트릭스(또는 C-RAN 수신 전력 3D-매트릭스(C-RAN received power 3D-matrix))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S306)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인터벌은 SSB의 인터벌과 CSI의 인터벌의 최소 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SB 듀레이션은 SSB 인터벌에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의 크기는 전송 수(또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수(또는 전송 빔의 인덱스), 수신 수(또는 수신 인덱스), 수신 빔의 수(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및 전송 전력의 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의 크기는 15 내지 20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전송과 관련된 수신 보고 각각의 크기는 전송 수(또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수(또는 전송 빔의 인덱스), 수신 빔의 수(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전송 전력의 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각각의 수신 보고의 크기는 12 내지 15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12 내지 20비트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정보는 CU가 제어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315)는 생성된 또는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10)으로 전달할 수 있다(S308).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10)은 수신된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간섭에 대한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된 간섭을 기반으로 빔 선택을 수행하여 단말(305)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DU(또는 기지국)의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SSB를 각각 수신하고, 각 SSB(각 DU의 각 SSB)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관련 정보(Tx number, beam number, received power information)를 획득하고, 획득된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CSI 리포트에 포함해, DU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DU는 CU로 전달할 수 있다. CU는 수신된 전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3D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각 DU로 전달하고, 각 DU는 수신 전력 3D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고 단말과의 통신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나타낸 것이다.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C-RAN에서 간섭 인식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전력 매트릭스(또는 C-RAN 수신 전력 3D-매트릭스(C-RAN received power 3D-matrix))는 3개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Transmission number(Tx number)(410), Tx Beam number(420), Reception number (Rx number)(430) 또는 Rx Beam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은 Tx number, Y축은 Tx Beam number, Z축은 Rx number 또는 Rx Beam number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신 전력 매트릭스의 크기는 Tx number (또는 전송 인덱스), Tx Beam number (또는 전송 빔의 인덱스), Rx number (또는 수신 인덱스), Rx Beam number (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및 전송 전력의 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각축의 값들은 수신 전력 값(또는 간섭 가능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기지국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의 기지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기지국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생성 또는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505)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510)과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빔을 포함하는 후보 빔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50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포함하는 후보 빔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각 빔들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를 측정하고, 모든 가능한 전송 빔들 중에서 SINR이 높은 순으로 임의의 수인 k개를 설정할 수 있다(S502). 상기 임의의 수 k는 사업자가 미리 결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505)은 적어도 하나의 빔을 포함하는 후보 빔 세트를 결정하면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51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최종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505)은 통신의 QoS를 만족하는 단말이 최대한 많도록 최종 빔을 선택할 수 있다(S504). 기지국(505)은 도 1 내지 도 4에서의 CU로부터 수신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가능한 간섭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505)은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간섭을 인식하고 단말(사용자)의 QoS가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505)은 QoS를 만족하는 단말(사용자) 수의 총 합이 동일한 경우에는, 더 높은 SINR을 가지는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기지국은 DU를 포함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도 6과 같이, 본 개시의 BS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프로세서)(610),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하는 송수신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S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620) 및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6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61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610)는 본 개시의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들에 기재된 BS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기(620)는 UE(70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8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메시지와,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본 개시의 UE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또는 프로세서)(710),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하는 송수신기(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720) 및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7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71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710)는 본 개시의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들에 기재된 UE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기(720)는 BS(600) 및 네트워크 엔티티(8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본 개시의 CU를 포함하는 장치 일 수 있다. 도 8과 같이, 본 개시의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또는 프로세서)(810),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하는 송수신기(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820) 및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8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81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810)는 본 개시의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들에 기재된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기(820)는 BS(600) 및 단말(7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UE의 실시 예는 오직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도 9는 본 개시의 범위를 UE의 임의의 특정한 구현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E는 안테나(905),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수신기(910), TX 프로세싱 회로(915), 마이크로폰(microphone)(920) 및 수신(receive: RX) 프로세싱 회로(925)를 포함한다. UE은 또한 스피커(930), 프로세서(제어기)(940),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interface: IF)(945), 터치 스크린(950), 디스플레이(display)(955) 및 메모리(960)를 포함한다. 메모리(960)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961) 및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962)을 포함한다.
RF 송수신기(910)는 안테나(905)로부터 네트워크의 BS에 의해 송신된, 입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910)는 입력되는 RF 신호를 다운 컨버팅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혹은 기저대역 신호로 생성한다. IF 혹은 기저 대역 신호는 RX 프로세싱 회로(925)로 송신되고, RX 프로세싱 회로(925)는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혹은 디지털화하여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RX 프로세싱 회로(925)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930)로(음성 데이터를 위해서와 같이) 혹은 프로세서(940)(웹 브라우징 데이터(web browsing data)를 위해서와 같이)로 송신한다.
TX 프로세싱 회로(915)는 마이크로폰(920)으로부터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프로세서(940)로부터 다른 출력 기저 대역 데이터(웹 데이터, 이메일, 혹은 양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interactive video game data)와 같은)를 수신한다. TX 프로세싱 회로(915)는 출력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혹은 디지털화하여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로 생성한다. RF 송수신기(910)는 TX 프로세싱 회로(915)로부터 출력되는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를 안테나(905)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업 컨버트(up-convert)한다.
프로세서(94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 혹은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UE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960)에 저장되어 있는 OS(961)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940)는 공지의 원칙들에 따라 RF 송수신기(910), RX 프로세싱 회로(925) 및 TX 프로세싱 회로(915)에 의한 다운링크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업링크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9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마이크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940)는 UE의 네트워크 접속과 세션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40)는 일 예로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과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40)는 데이터를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될 경우 메모리(960) 내로 혹은 메모리(960)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940)는 OS 프로그램(961)을 기반으로 혹은 기지국들 혹은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들(962)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940)는 I/O 인터페이스(945)에 연결되고, I/O 인터페이스(945)는 UE에게 랩탑 컴퓨터들 및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연결 능력을 제공한다. I/O 인터페이스(945)는 이런 악세사리들과 프로세서(940)간의 통신 경로이다.
프로세서(940)는 또한 터치 스크린(950) 및 디스플레이 유닛(955)에 연결된다. UE의 운영자는 터치 스크린(950)을 사용하여 UE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55)는 웹 사이트(web site)들로부터와 같은 텍스트 및/혹은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들을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는 액정 크리스탈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혹은 다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메모리(960)는 프로세서(940)에 연결된다. 메모리(960)의 일부는 랜덤 억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960)의 나머지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혹은 다른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가 UE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다양한 변경들이 도 9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서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조합되거나, 더 추가 분할 되거나, 혹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들이 특별한 필요들에 따라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예로서, 프로세서(94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들 및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들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UE이 이동 전화기 혹은 스마트 폰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UE은 다른 타입들의 이동 혹은 고정 디바이스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설명의 순서가 반드시 실행의 순서와 대응되지는 않으며, 선후 관계가 변경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즉,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로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및 수신 인덱스 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간섭을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가능한 송신 빔들 중에서 소정의 수만큼의 빔을 선택하여 후보 빔 세트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빔 세트의 각 빔에 대하여, 해당 빔을 이용하는 경우에 QoS(quality of service)가 만족되는 단말의 수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후보 빔 세트 중에서 상기 QoS가 만족되는 단말의 수가 가장 많은 빔을 최종 빔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세트를 결정하는 과정은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이 큰 순서대로 소정의 수만큼 빔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는 과정;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및 수신 인덱스 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을 포함하고, 및
    상기 단말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를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로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로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및 수신 인덱스 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를 포함하는 기지국.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전력 매트릭스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엔티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매트릭스는 전송 인덱스, 전송 빔의 인덱스, 및 수신 인덱스 또는 수신 빔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엔티티.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신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PCT/KR2022/017097 2022-10-26 2022-11-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906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28A KR20240058470A (ko) 2022-10-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2-0139228 2022-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641A1 true WO2024090641A1 (ko) 2024-05-02

Family

ID=9083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097 WO2024090641A1 (ko) 2022-10-26 2022-11-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9064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5435A1 (en) * 2017-01-16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electing plurality of sets of optimal beam pa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05175A (ko) * 2016-02-22 2018-09-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제어국, 통신 시스템 및 송신 프리코딩 방법
US20190013983A1 (en) * 2016-10-31 2019-01-10 Southeast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beam signal synchronization
KR20200054256A (ko) * 2017-09-29 2020-05-19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간섭 측정 방법, 사용자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US20220286214A1 (en) * 2019-09-11 2022-09-08 Sony Group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175A (ko) * 2016-02-22 2018-09-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제어국, 통신 시스템 및 송신 프리코딩 방법
US20190013983A1 (en) * 2016-10-31 2019-01-10 Southeast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beam signal synchronization
US20180205435A1 (en) * 2017-01-16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electing plurality of sets of optimal beam pa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54256A (ko) * 2017-09-29 2020-05-19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간섭 측정 방법, 사용자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US20220286214A1 (en) * 2019-09-11 2022-09-08 Sony Group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1707B2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ネットワーク側機器およびユーザ機器
EP3565169B1 (en)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quasi co-location
WO2014027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channel refinement and multi-stream transmiss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WO20222206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 of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for csi feedback in fdd mimo systems
WO20212214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specific downlink/uplink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78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ounding frame in an IEEE 802.11ax compliant network
US11799613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configuration
EP40945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tx resource poo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891922A (zh) 在蜂窝无线系统中利用定向天线进行同步和链路获取的系统和方法
CN114451020A (zh) 面板特定ul功率控制
US20220352969A1 (en) Beam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3226045A1 (zh) 终端能力的上报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409064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109647A1 (zh)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
US20240056149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WO2022236495A1 (en) Panel selection for uplink transmission
KR202400584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3907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224381A1 (ko) 네트워크 장비 내의 컴퓨팅과 결합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76126A1 (ko) 에지 컴퓨팅 연동 컨텍스트 재배치 방법
WO2024067827A1 (zh) 传输方法、参数确定方法、装置和通信设备
US11968140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400472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02004A1 (zh) 一种参考信号的指示方法及装置
US20240137167A1 (en) Configuring a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