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725A1 -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725A1
WO2024080725A1 PCT/KR2023/015592 KR2023015592W WO2024080725A1 WO 2024080725 A1 WO2024080725 A1 WO 2024080725A1 KR 2023015592 W KR2023015592 W KR 2023015592W WO 2024080725 A1 WO2024080725 A1 WO 20240807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alivary gland
composition
cell regeneration
extracellular vesicles
glan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5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효일
임재열
윤여준
박선영
현경아
홍용표
조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다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990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5179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다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다봄
Publication of WO20240807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7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 Salivary glands are a general term for exocrine glands that open in the oral cavity of reptiles and higher vertebrates. Most secrete mucus, but some secrete saliva as digestive fluid. In mammals, there are the submandibular, sublingual, and parotid glands. The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glands also exist in mammals, but the parotid gland was developed in mammals. All three belong to the branched complex acinar glands and form large glandular masses. The parotid gland is composed only of serous gland cells, but the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glands are composed of it and mucinous cells. The epithelium of both drain ducts is composed of cylindrical cells.
  • Amylase and ⁇ -D-glucose hydrolase are secreted from the glandular body, and NaCl is secreted from the discharge duct to activate amylase. It is known that among the salivary glands, mainly the parotid gland and, to some extent, the submandibular gland, substances secreted within the gland transfer to the blood through specific cells and induce hormonal activity. In addition, these salivary glands are called major salivary glands, and those that participate in saliva secretion, although small, located in various places in the oral cavity, are called minor salivary glands.
  • Salivary glands are important body tissues that secrete enzymes such as amylase that aid digestion, but when salivary gland tissue is damaged,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with minimal side effects.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alivary gland therapeutics derived from living organisms and with fewer side effects is emerging.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with improved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ability.
  •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may include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CD9 protein.
  • the CD9 protein may be bound to at least the surfac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maximum concentration value at a size of about 95 to 105 nm.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maximum concentration of about 6.3 ⁇ 10 7 to 7.7 ⁇ 10 7 particles/mL.
  • about 41.4 to 50.6% or mor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size of about 80 to 120 nm.
  • about 77.4 to 94.6% or mor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size of about 50 to 150 nm.
  • wound healing ability when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is applied to salivary gland cells, wound healing ability can be increased by about 2.09 to 2.55 times after 12 hours.
  • wound recovery ability when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is applied to salivary gland cells, wound recovery ability can be increased by about 2.38 to 2.63 times after 24 hours.
  •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may have improved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ability.
  • 1 to 4 are diagrams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CD9 protein.
  • the present invention isolates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CD9 protein from a sample containing salivary gland epithelial cells at a significant concentration, and the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the CD9 protein significantly improves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ability. It is at least based on the finding that it brings about
  •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treat all types of diseases and/or symptoms requiring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such as salivary gland trauma, salivary gland damage due to internal diseases, dry mouth, and decreased salivary gland function after radiation. You can use it.
  • CD9 protein may be bound to the extracellular vesicle. In one embodiment, the CD9 protein may be bound to at least the surfac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livary gland that separates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CD9 protein from a sample containing salivary gland epithelial cells at a significant concentration, and the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the CD9 protein is significantly improved. Based at least on the finding that it leads to an improvement in cell regenerative capacity, the composition,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the 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may be different from the sample containing salivary gland epithelial cells before isolation, and the enhanced salivary gland cells described above The regenerative ability can be attributed to this.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maximum concentration value at a size of about 95 to 105 nm. In one embodiment,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maximum concentration value at a size of about 100 nm.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maximum concentration of about 6.3 ⁇ 10 7 to 7.7 ⁇ 10 7 particles/mL. In one embodiment,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maximum concentration of about 7 ⁇ 10 7 particles/mL.
  • about 41.4 to 50.6% or mor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size of about 80 to 120 nm. In one embodiment, about 46%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size of about 80 to 120 nm.
  • about 77.4 to 94.6% or mor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size of about 50 to 150 nm. In one embodiment, about 86%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have a size of about 50 to 150 nm.
  • wound healing ability when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is applied to salivary gland cells, wound healing ability can be increased by about 2.09 to 2.55 times after 12 hours. In one embodiment, when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is applied to salivary gland cells, wound recovery ability can be increased by about 2.32 times after 12 hours.
  • wound recovery ability when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is applied to salivary gland cells, wound recovery ability can be increased by about 2.38 to 2.63 times after 24 hours. In one embodiment, when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is applied to salivary gland cells, wound healing ability can be increased by about 2.5 times after 24 hours.
  •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can be applied to the human body. 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can be applied to animals. 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salivary gland cell regeneration can be applied to mammals.
  • Figure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cell characteristics through a single cell array of stem cell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D9 surface gene, which is highly expressed in the basal duct, the basic unit where proliferation occurs, is significant as it increases in the model related to the double duct duct.
  • Figure 1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urifying only extracellular vesicles (CD9+EV) containing CD9 from a culture medium of stem cells (SG-EpSPC: salivary gland-epithelial progenitor stem cell).
  • Figures C to E in Figure 1 are diagrams showing the size and concentration of exosomes.
  • C shows exosome sizes distributed between 200 and 400 nm in total EV, and D also showed similar sizes, but the shape of large-sized exosomes was observed, and in D, extracellular vesicles (CD9-) that do not contain CD9 were observed.
  • EV showed a similar size and concentration as the initial (intia)l EV.
  • E a schematic diagram of CD9+EV isolation, the EV size and EV shape identical to that of 0 to 200 nm were observed.
  • CD9 + EVs were separated and purified, CD9 + EVs were highly concentrated compared to the same concentration, and in addition, CD81, an exosome marker, was observed, and CD63 was relatively not detect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detected in GM130 (a marker that identifies cell organelles and is not usually expressed in exosomes).
  • CD9+EVs contain many proteins different from those expressed in CD9- and total EVs.
  • Figure 2B is the result of PCA analysis on the total protei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D9+EV, and in C, exosomes and plasma in CD9+EV between CD9-EV and CD9+EV. Significant proteins were observed on the membrane and cell surfa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ntitative number of proteins, it was confirmed that a large number of surface proteins are distributed in CD9 + EV (Figure 2D), and integrin complexes and plasma membranes, known as adhesion molecules, are also present in actual proteins. It can be seen that it is highly distributed (E in Figure 2).
  • CD9 + EV and CD9-EV When comparing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D9 + EV and CD9-EV in Figure 2F to G, it can be seen that regener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re highly significant in CD9 + EV, and immune-related substances are shown in CD9-EV. You can see that their characteristics appear.
  • CD9+EV and CD9-EV When comparing CD9+EV and CD9-EV through analysis of cell constituents, CD9+EV is located on the cell surface and binds to the junction of the cell to regulate synapse, and has mechanisms to be delivered into the cell and enter the cell. The correlation was high (Figure 2H), and although CD9-EV was related to local adhesion, it had a greater impact on the secretion mechanism due to its involvement with lysosomes or secretory granules (Figure 2I).
  • C to G are result values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salivary glands, where C is the weight of the salivary glands, D is the decrease in lag time (the time it takes for saliva to come out), and referring to E, SFR (salivary flow rate) exit speed) increased.
  • SG damage to the salivary gland was quantitatively scored from H&E and PAS staining results 1 week after deligation and EV treatment. SG damage scores were lower in the CD9+ EV treatment group than in the PBS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D9 단백질은 상기 세포외소포의 적어도 표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소포는 95 내지 105 nm 크기에서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본 발명은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침샘은 파충류 이상의 고등척추동물의 구강에 개구하는 외분비샘의 총칭이며, 대부분은 점액을 분비하지만 어떤 것은 소화액으로서의 침을 분비한다. 포유류에서는 악하선, 설하선, 이하선이 있으며, 악하선과 설하선은 포유류 이하에서도 있지만 이하선은 포유류에서 발달한 것이다. 3가지는 모두 분기복합포상샘에 속하며 큰 샘괴를 형성한다. 이하선은 장액성 샘세포만으로 이루어지지만 악하선과 설하선은 그것과 점액성 세포로 이루어진다. 양쪽 배출관의 상피는 원기둥모양의 세포로 이루어진다. 샘체로부터 아밀라아제, α-D-글루코오스가수분해효소를 분비하고 배출관에서는 NaCl을 분비하여 아밀라아제를 활성화한다. 침샘 중 주로 이하선, 어느 정도는 악하선에서도 샘내에 분비한 물질이 특정한 세포를 통해 혈액으로 이행하여 호르몬활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있다. 또 이러한 침샘을 큰침샘이라고 하고 별도로 구강내 여러 곳에 있는 소규모이지만 침분비에 참가하는 것을 작은침샘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침샘은 소화작용을 돕는 아밀레이즈와 같은 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신체 조직이나, 침샘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체 유래의 부작용이 적은 침샘 치료제에 대한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샘 세포 재생 능력이 향상된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D9 단백질은 상기 세포외소포의 적어도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약 95 내지 105 nm 크기에서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약 6.3×107 내지 7.7×107 particles/mL의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약 41.4 내지 50.6% 이상은 약 80 내지 12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약 77.4 내지 94.6% 이상은 약 50 내지 15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12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약 2.09 내지 2.55 배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24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약 2.38 내지 2.63 배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향상된 침샘 세포 재생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침샘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로부터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유의한 농도로 분리하여, 상기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의하게 향상된 침샘 세포 재생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점을 발견한 것에 적어도 기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의 외상, 내과적 질환에 의한 침샘의 손상, 구강 건조증 및 방사선 조사후 침샘 기능 저하 등 침샘 세포 재생이 필요한 모든 종류의 질병 및/또는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CD9 단백질은 상기 세포외소포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D9 단백질은 상기 세포외소포의 적어도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샘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로부터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유의한 농도로 분리하여, 상기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의하게 향상된 침샘 세포 재생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점을 발견한 것에 적어도 기초하므로, 도출된 세포외소포의 조성, 농도 및 크기 분포가 분리 전 침샘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와 상이할 수 있으며, 상술된 향상된 침샘 세포 재생 능력은 이에 기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약 95 내지 105 nm 크기에서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약 100 nm 크기에서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약 6.3×107 내지 7.7×107 particles/mL의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약 7×107 particles/mL의 최대 농도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약 41.4 내지 50.6% 이상은 약 80 내지 12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약 46%는 약 80 내지 12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약 77.4 내지 94.6% 이상은 약 50 내지 15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약 86%는 약 50 내지 15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12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약 2.09 내지 2.55 배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12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약 2.32 배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24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약 2.38 내지 2.63 배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24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약 2.5 배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인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포유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도 1의 A는 줄기세포의 싱글 셀 어레이(single cell array)를 통해 세포의 특성을 구분한 도면이다. 이중 도관 duct 와 관련된 모델에서 증가하면서, 증식이 일어나는 기본 단위인 basal duct 에서 높게 나타난 CD9 표면 유전자가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B는 줄기세포를 배양 (SG-EpSPC: salivary gland-epithelial progenitor stem cell)한 배양액에서 CD9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CD9+EV)만을 정제하는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1의 C 내지 E는 엑소좀의 사이즈와 농도를 나타난 도면이다. C는 전체(total) EV에서 200 내지 400nm 분포의 엑소좀 사이즈를 보이고, D 에서도 유사한 크기를 보였지만, 큰 크기의 엑소좀의 모양이 관찰되었고, D 에서는 CD9을 포함하지 않는 세포외소포(CD9-EV)에 대한 모식도로 최초(intia)l EV와 유사한 크기와 농도를 보였다. E 에서는 CD9+EV를 분리한 모식도로 0 내지 200nm 사이의 EV 크기와 동일한 EV 모양이 관찰되었다. F는 이러한 CD9+EV를 분리 정제하였을 때, 같은 농도 대비 CD9+EV가 높게 농축됨을 확인하였고, 이외에 엑소좀 마커인 CD81이 관찰되었으며, 상대적으로 CD63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GM130(세포 소기관을 확인하는 세포로 보통 엑소좀에서 발현되지 않는 마커)에서는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G 내지 J는 분리된 CD9+EV를 이용하여 엑소좀 표면 마커(CD9, CD81, CD63)를 확인해 보았을떄, CD9의 표면 마커가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D9과 CD81이 높게 나타나는 마커로 확인 되었다.
도 2의 A는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분석을 통해서 CD9+EV가 CD9- 및 total EV에서 발현되는 단백질과 다른 단백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전체 단백질에 대한 PCA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며, CD9+EV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C에서 CD9-EV와 CD9+EV 사이에서 CD9+EV에서 엑소좀(Exosome) 및 plasma membrane, cell surface에서 유의성이 있는 단백질들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단백질에 대한 정량적인 수를 분석한 결과, 수 적으로 CD9+EV에 표면 단백질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도 2의 D), 실제 단백질에서도 접착 분자로 알려진 integrin complex 및 plasma membrane들이 높게 분포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2의 E).
도 2의 F 내지 G는 이러한 CD9+EV와 CD9-EV에 대한 분자적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CD9+EV에서는 재생과 관련된 특성이 유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CD9-EV에서는 면역관련된 물질들의 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 구성 물질에 대한 분석을 통해 CD9+EV와 CD9-EV를 비교해 보았을 때, CD9+EV는 세포 표면에 조재하며, 세포의 junction 부위에 결합해 synapse 조절 등 세포 내로 전달이 되어 내부로 들어가는 기작과 관련성이 높았고(도 2의 H), CD9-EV는 국소 접착에는 연관성이 있었으나, lysosome 또는 secretory granule등과 관여가 되어 분비하는 기전에 더 영향이 컸다(도 2의 I).
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EV, CD9-EV와 CD9+EV의 막에 DiO염색을 통하여, EV(엑소좀)의표면 막을 염색 한 뒤에, Epithelial cell 세포에 동일 농도를 넣어 반응 시켰을 때, CD9+EV의 표면 단백질에 흡수가 높았다 (도 3의 A). 또한 cell viability에서도 CD9+EV에 대한 증식능이 높았다.
도 3의 C는 Total EV, CD9-EV, CD9+EV에서 재생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세포에 상처를 준뒤 회복되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Wound healing scratch assay를 수행하였으며, CD9+EV에서 회복 능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3의 D는 이를 수치화 한 내용으로 24시간 뒤 Total EV 및 CD9-EV 가 처리된 군에 비해 CD9+EV가 처리된 군에서 약 2.5배 정도 재생 효율이 높았다.
도 4를 참조하면, In vivo 실험 모델에 duct(도관)을 결찰(ligation)하는 방법을 통해 마우스의 침샘을 묶었다가 14일 뒤 다시 풀어 준 후, duct를 회복시키는 방식의 마우스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찰을 풀어준 상태에서 PBS(대조군), CD9-EVs, CD9+EVs를 각각 주입해 준 뒤 마우스내에서 침샘 도관의 모습을 확인하였을 때, CD9+EVs에서 회복 되는 모습을 보였다. C 내지 G는 침샘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결과 값으로 C는 침샘의 무게, D는 lag time(침이 나오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이 감소하고, E를 참조하면, SFR(salivary flow rate; 침이 나오는 속도)가 증가하였다. F를 참조하면, 세엽 세포 소실 및 액포 형성, 점액 생성과 같은 SG(salivary gland)의 손상은 탈결찰 및 EV 처리 1주 후에 H&E 및 PAS 염색 결과로부터 정량적으로 점수화하였다. SG 손상 점수는 PBS 그룹보다 CD9+ EV 처리 그룹에서 더 낮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CD9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9 단백질은 상기 세포외소포의 적어도 표면에 결합된,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95 내지 105 nm 크기에서 최대 농도값을 가지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6.3×107 내지 7.7×107 particles/mL의 최대 농도값을 가지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46% 이상은 80 내지 120 nm의 크기를 가지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의 86% 이상은 50 내지 150 nm의 크기를 가지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12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2.09 내지 2.55 배 증가하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은 침샘 세포에 적용시 24시간 후 상처회복능이 2.38 내지 2.63 배 증가하는,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PCT/KR2023/015592 2022-10-13 2023-10-11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WO202408072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1580 2022-10-13
KR10-2022-0131580 2022-10-13
KR10-2023-0049905 2023-04-17
KR1020230049905A KR20240051799A (ko) 2022-10-13 2023-04-17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725A1 true WO2024080725A1 (ko) 2024-04-18

Family

ID=9066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592 WO2024080725A1 (ko) 2022-10-13 2023-10-11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807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815A (ko) * 2012-05-24 2013-12-04 한국원자력의학원 인간 침샘 줄기세포, 그 제조방법, 그 배양액, 및 침샘 손상 치료를 위한 그 용도
US20170349879A1 (en) * 2014-12-26 2017-12-07 Chiba University Method for culturing normal cells and odontoma cells contained in oral tissue
WO2018053470A2 (en) * 2016-09-19 2018-03-22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alivary tissue regeneration using laminin peptide-modified hydrogels
CN108079376A (zh) * 2018-02-11 2018-05-29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一种用于唾液腺再生的脱细胞支架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10135989A (ko) * 2018-12-10 2021-11-16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침샘 재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815A (ko) * 2012-05-24 2013-12-04 한국원자력의학원 인간 침샘 줄기세포, 그 제조방법, 그 배양액, 및 침샘 손상 치료를 위한 그 용도
US20170349879A1 (en) * 2014-12-26 2017-12-07 Chiba University Method for culturing normal cells and odontoma cells contained in oral tissue
WO2018053470A2 (en) * 2016-09-19 2018-03-22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alivary tissue regeneration using laminin peptide-modified hydrogels
CN108079376A (zh) * 2018-02-11 2018-05-29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一种用于唾液腺再生的脱细胞支架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10135989A (ko) * 2018-12-10 2021-11-16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침샘 재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1040A1 (ko)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위암 진단방법
Vignola et al. Increased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70 on airway cells in asthma and chronic bronchitis.
Ceballos-Francisco et al. Healing and mucosal immunity in the skin of experimentally wounded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L)
EP2279245B1 (en) Drug discovery methods involving a preclinical, in vitro isolated gastrointestinal epithelial stem cell-like progenitor cell system
Martinez et al. Sequential metabolic expressions of the lethal process in human serum-treated Escherichia coli: role of lysozyme
Lugering et al. IL-10 synergizes with IL-4 and IL-13 in inhibiting lysosomal enzyme secretion by human monocytes and lamina propria mononuclear cells from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CN111450236A (zh) 一种用于阻断冠状病毒感染的制剂
US12016884B2 (en) Adipose derived stem cell exosomes and uses thereof
El-Ashram et al. Early and lat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he ovine mucosa in response to Haemonchus contortus infection employing Illumina RNA-seq technology
WO2024080725A1 (ko)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Okamoto et al. Melittin cardiotoxicity in cultured mouse cardiac myocytes and its correlation with calcium overload
DE3619902A1 (de) Cmv-dna-strukturen, expressionsvektor dafuer, cmv-proteinstrukturen und deren verwendung
Ni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temperature-sensitive gel containing caerin 1.1 and 1.9 peptides on TC-1 tumour-bearing mice induced high-level immune response in the tumour microenvironment
Bendixen et al. Single cell-resolved study of advanced murine MASH reveals a homeostatic pericyte signaling module
CN111518225B (zh) 羊种布鲁氏菌疫苗株m5提取的脂多糖在制备诊断人布鲁氏菌病的产品中的应用
KR20240051799A (ko) 침샘 세포 재생용 조성물
Han et al. The Immune Barrier of Porcine Uterine Mucosa Differs Dramatically at Proliferative and Secretory Phases and Could Be Positively Modulated by Colonizing Microbiota
Lenfant et al. Further purification of bovine spleen inhibitors of lymphocyte DNA synthesis (chalones)
WO2019146966A1 (ko)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담관암 진단방법
TW201619605A (zh) 用以改善起因於角質層剝離之抑制或促進之肌膚狀態的美容方法及評價方法
Liburkin-Dan et al. Stage-specific expression of the proline-alanine transporter in the human pathogen Leishmania
Kornfeld et al. Intracellular site of synthesis of soluble blood group substance
CN108126184B (zh) 与A20结合的核因子κB抑制蛋白3在制备治疗脂肪肝及相关疾病药物中的应用
Todd et al. Antigenically important proteins of Aujeszky's disease (pseudorabies) virus identified by immunoblotting
Bradley et al. Identification of a male-specific (HY) antigen on the flagellar plasma membrane of ram epididymal spermatozo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76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