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6084A1 -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6084A1
WO2024076084A1 PCT/KR2023/014833 KR2023014833W WO2024076084A1 WO 2024076084 A1 WO2024076084 A1 WO 2024076084A1 KR 2023014833 W KR2023014833 W KR 2023014833W WO 2024076084 A1 WO2024076084 A1 WO 20240760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ynchronization service
menu
cont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8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준형
김병철
김아람
박상호
오병인
이동규
함동읍
박선영
정정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138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49118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760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60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Definitions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Internet is evolving from a human-centered connection network where humans create and consume information to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that exchanges and processes information between distributed components such as objects.
  • IoT Internet of Things
  • IoE Internet of everything
  • IoE technology can be an example of where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rough connection to a cloud server is combined with IoT technology.
  • M2M machine to machine
  •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 IoT technology In an IoT environment, intelligent internet technology (IT) services that create new value in human lif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generated from connected objects can be provided.
  • IoT technology is a smart home service, smart building service, smart city service, smart car service or connected car service, smart grid service, etc., through convergence and combination between existing IT technology and various industries.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healthcare services, smart home appliance services, and advanced medical services.
  • smart home services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based on IoT technology using various IoT devices.
  • Electronic devices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e.g., automation services and/or find services) based on IoT technology by linking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e.g., IoT devices).
  • IoT services services based on IoT technology
  •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home appliances such as TVs, lighting devices, air conditioners, air purifiers, cameras, ovens, and/or speakers.
  • IoT services may be implemented through IoT technology-based applications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lication) that control and/or manag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related to electronic devices.
  • triggering conditions are set through an IoT-based application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lication) that controls and/or manage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 If the set triggering conditions are met, a menu for executing the autom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for example, displayed).
  • a triggering condition may generally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in the vicinity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less than a threshold distance).
  • the automation service can provide differentiated lighting services based on various conditions for each situation or location.
  • providing a menu for executing the lighting service at an appropriate time can have a very large impact on service quality.
  •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and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and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content 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a condition is satisfi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is input within a set time.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setting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content running on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to identify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 the operating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 the operating method may include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is input within a set time.
  • the operating method may include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s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stores content to be played o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one or more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are satisfied.
  •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is input within a set time.
  •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IoT servic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n IoT service based on cont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n IoT service based on the playback state of cont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IoT Internet of Things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nstall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nstall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execution of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executed after a 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execution of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procedure for setting up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procedure for setting up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terminal, a mobile station, mobile equipment (ME), or user equipment. It may be referred to as equipment: UE), user terminal (UT), subscriber station (SS), wireless device, handheld device, or access terminal (AT). .
  • the electronic device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wireless modem, or a laptop. It can be a devic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IoT Internet of Things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oT system 100 of FIG. 1 may be omitted, and components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oT system 100 of FIG. 1. It may be possible.
  • the IoT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able to the data network 116 or the data network 146.
  • the IoT system 100 includes a first IoT server 110, a first node 120, a voice assistance server 130, a second IoT server 140, and a second node. 150, 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123, 124, 125, 136, 137, 151, 152, and 153.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111, a processor 112, or a storage unit 113.
  • the second IoT serve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141, a processor 142, or a storage unit 143.
  • the “IoT server” is a relay device (e.g., first node 120), for example, based on a data network (e.g., data network 116 or data network 146). Or remotely control and/or monitor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e.g., electronic devices 121, 122, 123, 124, 125, 151, 152, and 153) through the second node 150, or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a relay device. You can.
  • an “electronic device” is a sensor, appliance, or office device that is placed (or located) within a local environment, for example, a home, office, factory, building, outdoor space, or other types of spaces. I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or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 process, and there may be no limitation on its type.
  • An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may be referred to as a “target device.”
  • the IoT server may be referred to as a central server in that it selects a targe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provides control commands.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through the data network 116.
  • Data network 116 may include, for example, a network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wide area network (WAN)). It may also include a cellular network.
  • LAN local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network 116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1.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or communication module) to support communication of the data network 116, and may be integrated into one elem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It may be implemented with multiple elements (e.g., multiple chips).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through the first node 120.
  • the first node 120 may receive data from the first IoT server 110 through the data network 116 and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at least som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 the first node 120 may receive data from at least som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and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first IoT server 110 through the data network 116.
  • the first node 120 may operate as a bridge between the data network 116 and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 FIG. 1 shows the case where the IoT system 100 includes only the first node 120, the IoT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nodes, and are included in the IoT system 100.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first nodes.
  • a “node” in this document may be an edge computing system, or may be a hub device.
  • the first node 120 supports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ata network 116, and may also support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there is.
  • the first node 120 supports Bluetooth, Wi-Fi, Wi-Fi direct, Z-wave, Zig-bee, INSETE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t least one of there is.
  • the first node 120 may be placed (or located) within an environment such as, for example, a home, office, factory, building, outdoor location, or other types of locations.
  •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can be monitored and/or controlled by the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IoT server 110, and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IoT server 110. It may not be required to have the capability of full network communications (e.g., Internet communications) for connection.
  •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are shown as being implemented as electronic devices within a home environment, such as a light switch, proximity sensor, or temperature senso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s of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There may not be this.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support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s 124 and 125.
  • “direct communication” may mean communication that does not go through a relay device, such as first node 120, for example, communication through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or a data network. .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at least som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123, 124, and 125.
  • a “control command” may mean data that causes a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 Specific operations may include outputting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reporting information, and managing information (for example, deleting information or generating information). , there may be no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operations included in a specific operation.
  • the processor 112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outside (e.g., the voice assistant server 130, the second IoT server 140, the external system 160, or at least som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123, 124, and 125). Information (or request) for creation may be obtained, and a control comm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12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based on whether the monitoring results of at least som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123, 124, and 125 satisfy specified conditions. The processor 112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1 to transmit control commands to the target device.
  • a control command from the outside (e.g., the voice assistant server 130, the second IoT server 140, the external system 160, or at least some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123, 124, and 125).
  • Information (or request) for creation may be obtained, and a control comm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2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 the processor 112, processor 132, or processor 142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a general-purpose processor, a graphics-specific processor such as a GPU (graphical processing unit), a VPU (vision processing unit),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specific processor such as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or a general-purpose processor, a graphics-specific processor,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specific processors.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 AP application processor
  • CP communication processor
  •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a general-purpose processor, a graphics-specific processor such as a GPU (graphical processing unit), a VPU (vision processing unit),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specific processor such as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or a general-purpose processor, a graphics-specific processor,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 processor 112 executes, for example,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113 and provides the executed result. It can be implemented with any computational means that can output.
  • the processor 112 configures a web-based interface based on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114, or uses resources managed by the first IoT server 110.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 a web-based interface may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IoT server 110 and an external web service.
  • the processor 112 may, for example, allow an external system 160 to control and/or access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 External system 160 may be, for example, an independent system unrelated to system 100 or not part of system 100 .
  • External system 160 may be, for example, an external server or a website. However, security may be required for access from the external system 160 to the resources of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or the first IoT server 110.
  • the processor 112 and the automation application may expose an API endpoint (eg, a universal resource locator (URL)) based on the API 114 to the outside.
  • the first IoT server 11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121, 122, and 123.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1, the processor 142, the API 144 of the storage unit 143, and the database 145, which the second IoT server 140 includes, are included in the first IoT server 110.
  • the second node 150 may be implemented similarly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node 120,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the second IoT server 14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a target device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151, 152, and 153.
  • the first IoT server 110 and the second IoT server 140 may be operated by the same service provider in one embodiment, but may be operated by different service providers in another embodiment.
  • the voice assistant server 13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first IoT server 110 through the data network 116.
  • the voice assistant serv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131, a processor 132, and a storage unit 133.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1 communicates with an electronic device 136 (e.g., a smartphone) or an electronic device 137 (e.g., an AI speaker) through a data network (not shown) and/or a cellular network (not shown). It can be done.
  • the electronic device 136 or 137 may include a microphone, input a user voice, convert the input user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 the voice signal to the voice assistant server 130. can do.
  • the processor 132 may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136 or the electronic device 137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1.
  • the processor 132 may process the received voice signal based on the stored model 134.
  • the processor 132 may generate (or confirm) a control command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35 and a processing result.
  • the storage units 113, 133, and 143 include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card type memory (e.g. SD or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r optical disk,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12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oT server 110 is a smart phone (e.g.,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a network environment. )) can b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201 in a network environmen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the electronic device 124 of FIG. 1)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2 through the first network 2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or with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204 or the server 208 through the second network 299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4 through the server 208.
  • the electronic device 201 includes a processor 220, a memory 230, an input module 250, an audio output module 255, a display module 260, an audio module 270, and a sensor module ( 276), interface 277, connection terminal 278, haptic module 279, camera module 280, power management module 288, battery 289, communication module 290,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296 , or may include an antenna module 297.
  •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connection terminal 278,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 some of these components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display module 260). It can be.
  • Processor 220 executes software (e.g., program 240) to operate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electronic device 201 connected to processor 220. It can be controlled and various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t least part of data processing or computation, the processor 220 store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sensor module 276 or communication module 290) in volatile memory 232.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232 can be processed, and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234.
  • software e.g., program 240
  • the processor 220 store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sensor module 276 or communication module 290) in volatile memory 232.
  •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232 can be processed, and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234.
  • the processor 22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2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n auxiliary processor 223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r together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processing unit ( It may include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a main processor 2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 auxiliary processor 223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processing unit ( It may include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the electronic device 201 includes a main processor 221 and a auxiliary processor 223, the auxiliary processor 223 may be set to use lower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221 or be specialized for a designated function. You can.
  • the auxiliary processor 2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221 or as part of it.
  • the auxiliary processor 223 may, for example, replace the main processor 221 while the main processor 2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when the main processor 221 While in an active (e.g., application execution) state,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the display module 260, the sensor module 276, or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stat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can be controlled.
  • the co-processor 223 e.g., an image signal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element e.g., the camera module 280 or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 the auxiliary processor 223 may include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be cre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itself o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e.g., server 208). Learning algorithms may include, for exampl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but It is not limited.
  •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include multiple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s.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clude deep neural network (D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belief deep network (DBN), and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 deep Q-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clude software structures.
  • the memory 23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element (eg, the processor 220 or the sensor module 276)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e.g., program 240)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 Memory 23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232 or non-volatile memory 234.
  • the program 2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the memory 2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242, middleware 244, or application 246.
  • the input module 250 may receive commands or data to be used in an ele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the processor 220) from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a user).
  • the input module 2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mouse, keyboard, keys (eg, buttons), or digital pen (eg, stylus pen).
  • the sound output module 255 may output sound signals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 the sound output module 255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a receiver. Speakers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incoming cal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or as part of it.
  • the display module 260 can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a user).
  • the display module 26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 the display module 260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 the audio module 270 can convert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conversel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dio module 270 acquires sound through the input module 250, the sound output module 255,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Sound may be output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202 (e.g., speaker or headphone).
  • an electronic device 202 e.g., speaker or headphone
  • the sensor module 276 detects the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or the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can do.
  • the sensor module 276 includes,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n air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or light sensor.
  • the interface 277 may support one or more designated protocols that can be used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201 directly or wirelessly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 the interface 2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USB universal serial bus
  • SD card interface Secure Digital Card
  • the connection terminal 2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 the connection terminal 2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 the haptic module 279 can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mechanical stimulation (e.g., vibration or movement) or electrical stimulation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actile or kinesthetic senses.
  • the haptic module 2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the camera module 280 can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 the camera module 28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2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288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a part of, for example,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 Battery 289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electronic device 201.
  • the battery 289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battery,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a fuel cell.
  • Communication module 290 provides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electronic device 2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202, electronic device 204, or server 208). It can support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through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s. Communication module 290 operates independently of processor 220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294 (e.g.
  •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LAN communication module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a first network 2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or a second network 299 (e.g.,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 the Internet, 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 a first network 2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 a second network 299 e.g.,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 the Internet e.g., the Internet
  •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network 298 or the second network 299 using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296.
  •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be verified or authenticated within the same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may support 5G networks after 4G networks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NR access technology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NR access technology provides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inimization of terminal power and access to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latency communications)) can be suppor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may support high frequency bands (e.g., mmWave bands), for example, to achieve high data rate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uses various technologies to secure performance in high frequency bands, for example, beamforming, massive array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and full-dimensional multiplexing. It can support technologies such as input/output (FD-MIMO: full dimensional MIMO),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or large scale antenna.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may support various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204), or a network system (e.g., second network 299).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92 supports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for realizing eMBB,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mmTC, or U-plane latency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URLLC.
  •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 U-plane latency e.g., 164 dB or less
  • the antenna module 297 may transmit or receive signals or power to or from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antenna module 297 may include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made of a conductor or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eg, PCB).
  • the antenna module 297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298 or the second network 299 is, for exampl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can be selected Signals or power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selected antenna.
  • a mmWave antenna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disposed on or adjacent to a first side (e.g.,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rray antennas)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second side (e.g., top o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in the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can do.
  • a first side e.g., bottom side
  • a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 a plurality of antennas e.g., array antennas
  • peripheral devices e.g.,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 receive signals e.g. commands or data
  • GPIO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 MIP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through the server 208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299.
  •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202 or 204 may be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 as the electronic device 201.
  • all or part of the operations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executed in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202, 204, or 208.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erform the function or service instead of executing the function or service on its own.
  •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ay be requested to perform at least part of the function or service.
  •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received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rocess the result as is or additionally and provide it as at least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mobile edge computing (MEC),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can be used.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rovide an ultra-low latency service using, for example, distributed computing or mobile edge computing.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may include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 Server 208 may be an intelligent server using machine learning and/or neural networks.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or server 208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299.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applied to intelligent services (e.g., smart home, smart city, smart car, or healthcare) based 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related technology.
  • Electronic devices may be of various types.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 phones), computer devices, portable multimedia devices, portable medical devices, cameras, wearable devices, or home appliances.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 phones
  • computer devices portable multimedia devices
  • portable medical devices e.g., cameras, wearable devices, or home appliances.
  • portable multimedia devices e.g., portable medical devices, cameras, wearable devices, or home appliances.
  •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is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o refer to that component in other re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 One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 any of th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 modul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is interchangeable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 a module may be an integrated part or a minimum unit of the parts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two or more functions.
  •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built-in memory 236 or external memory 238)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g., electronic device 201).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program 240) including these.
  • a processor e.g., processor 220 of a device (e.g., electronic device 201) may call at least one command among one or more command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allow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alled.
  •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n interpreter.
  •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and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on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smart phones) or online.
  •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multiple entities, and some of the multiple entities may be separately placed in other components.
  •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 multipl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based on content (e.g., music or video).
  • a lighting control service that controls lighting devices based on the playback state of content is explained as an example of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playback state of the content not only the playback state of the content but also an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can be a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not only the lighting control service but also any automation service that can be controlled based on content can be implemented as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the electronic device 124 described in FIG. 1 or the electronic device 201 described in FIG. 2, and may be similar to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FIG. 2. It can be implemented.
  • a user can us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201 and control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IoT device) bas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1.
  • the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home appliance such as a TV, lighting device, air conditioner, air purifier, camera, oven, and/or speaker.
  • the IoT service is an IoT technology-based application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lication) that controls and/or manages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control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 an IoT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lighting devices,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in addition to traditional lighting services, for example, lighting services that meet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various external data. For example, when a user plays content such as music or video, in order to control peripheral devices connected to the IoT system, separate hardware is used or limited content is provided through separate interworking with a specific content provider. You can receive and play the provided content. In this case, individual integrated operations may be required each time to enable interoperability with peripheral devices connected to the IoT system, and as a result, content provided by a specific content provider may be limited. Therefore, it is not limited to content of a specific format, that is, regardless of content provider, for example, a lighting device (or lighting system).
  • the IoT system 300 for providing a content-based lighting control service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201, a hub 310,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and/or an IoT server 340. can do.
  • the IoT system 300 may further include other servers such as a cloud server and an application market server in addition to the IoT server 340.
  • the IoT server 340 may include a cloud serv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erver.”
  • the hub 3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e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Hub 310 may be called a hub device, control device, access point (AP), coordinator, server, or bridge.
  • the hub 310 may collect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and the collected data may b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within the home or a remote server (e.g., Io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40).
  • the hub 31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or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V or PC.
  • the hub 310 when the hub 3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the hub 3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erver.”
  •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be located in various spaces (e.g., master bedroom, living room, kitchen, laundry room, entrance, and/or office), and may b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hub 310. Can be connected to device 201.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or digital devices that can provide services based on IoT technology, such as smart home services.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include lighting devices, sensors, or switches. In this way, amo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cannot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through an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are not limited to the device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ll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1.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erform 1:N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operate through user manipulation or may operate automatically when set conditions are met.
  •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output data (or signals) to the hub 310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 the data may include a device identifier (ID), and the device ID may be prese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orresponding device.
  • At least som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output data to the hub 3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at least som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connect to the hub 310 b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hub 310 to be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You can access the IoT server 340 through the hub 310 and maintain a connection with the IoT server 340.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may operate based on content and may operate automatically when content is played.
  • a lighting device eg, a lighting lamp
  • the lighting device may be located in various spaces, and may also be located in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space. Additionally, th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320a included in the designated group and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320b not included in the designated group.
  • a lighting control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nc servi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nked with content is provided. ), individual control by other services may be restricted.
  •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e.g., lighting device C, lighting device D) 320b that is not included in the designated group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another service even dur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Lighting devices 320a and 320b may be remotely controlled during synchronization service. For example, power on/off, brightness control, color temperature control, and color or hue control for the lighting devices 320a and 320b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playback state of the content.
  • content may include music or video (or video).
  • the content may include any content that can be played, and there may be no restrictions on the type of content. However, 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tent will be explained using music as an example.
  • the lighting devices 320a and 320b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playback of content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but also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o the lighting devices 320a and 320b.
  • Other typ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e.g., speakers, motorized curtains, blinds
  • designated among 320 may als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playback of content.
  •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a device that manages and/or controls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searches for nearby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and detect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each.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201 receives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and outputs (e.g., displays) a screen for the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ta. You can.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manage statu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based on acquired data.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a user device (eg, a smartphone).
  • a user device eg, a smartphone
  • the electronic device 201 runs an IoT-based ap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oT app”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 a user interface e.g., SmartThings UI
  • an executed IoT app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
  • may be output e.g., 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play content (eg, music) through an IoT app.
  • the electronic device 201 provides or controls a lighting control service based on content (e.g., linked to content) through a UI (e.g., sync UI)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IoT app. and the lighting devices 320a and 320b can be controlled remotely through a network.
  • the synchronization UI may be a music sync UI.
  • the electronic device 201 analyzes content data (or content file) when playing content,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selects at least one target group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 the lighting device 320a can be controlled.
  • other types of devices eg, speakers, motorized curtains, blinds
  •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run an app that can play content such as music.
  •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play content through a menu provided by an IoT app.
  •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directly run an app that can play content without running the IoT app.
  • an app that can play content will be referred to as a “content app.”
  • the content app may be an app that supports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an actively control ligh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layback of content. Accordingly, content played by the content app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atmosphere can be visually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 the content app may be an app program that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201 to play multimedia content such as video, music, and radio, and the electronic device 201 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app so that the user can can be provided to.
  • Content may include, for example, web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and multimedia content provided through a broadcasting network.
  •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download content including music and video and content-relate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server (e.g., a content provider) through a network or provide the content through streaming. You can receive it.
  • the content may include any content that can be 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1 through downloading or streaming. In the following, music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of content.
  • the content app may include a music streaming app (or sound source platform), a video sharing service (eg, YouTube), an OTT (Over The Top) platform, or a video playback app.
  • any content that can be 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be used to control a lighting device,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tent data being played or the type of app that plays it.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or 3) includes a processor 220, a memory 230, a display module 260, and/or a communication module 290. ) may include.
  • the memory 230 (e.g., the memory 230 of FIG. 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a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an be stored.
  • the memory 230 includ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201, images for providing a UI and UI related to an app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or downloaded from outside, user information, documents, and a database. or related data can be stored.
  • the memory 230 may store an IoT ap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n an indoor environment.
  • the memory 230 may store instructions that control the processor 220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when executed.
  • the memory 230 i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operatively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the display module 260, and the processor 220 and can be interoperable in relation to content playback. Identify a device (e.g., a lighting device), output (e.g., display) a settings screen containing controllable attributes for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mong the controllable attributes. Attributes to be applied to the device may be stored, and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attributes based on content playback may be stored.
  • a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output e.g., display
  • Attributes to be applied to the device may be stored, and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attributes based on content playback may be stored.
  • the display module (or display) 260 when an IoT application is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20, the display module (or display) 260 (e.g., the display module 260 in FIG. 2) outputs a UI related to the executed IoT app. Can be done (e.g. displayed).
  • the display module 260 may display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using objects.
  • an object may include a graphic element rela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image represent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icon, or a button.
  •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20.
  •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is a Zigbee method, a Z-Wave method, a Wi-Fi method, a Bluetooth method, and an ultra-wide band (UWB) method.
  •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a wireless USB method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thod.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may perform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ZigBee or Z-Wave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may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based on Bluetooth or NFC in addition to ZigBee or Z-Wave communication.
  • the processor 220 may perform an operation based 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support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1.
  • the processor 22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designated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exist, the processor 22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with at least anoth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ommunication with some may be performed based on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 the processor 220 may communicate indirectly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 second server (e.g., hub 310 in FIG. 3),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mmunicates with another adjacent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the second server.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1 through.
  • a second server e.g., hub 310 in FIG. 3
  • the processor 220 monitor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with the first server (e.g., the server 208 in FIG. 2 or the IoT server 340 in FIG. 3) based on the user account, It can be set and controlled.
  • the processor 220 may provide a menu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in an IoT app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at least one object (eg,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be synchronized with the content and synchronize with the identified at least one object.
  • the processor 220 identifies peripherally connectabl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e.g., lighting devices) required for lighting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r execution of a synchronization service. You can.
  • the processor 220 displays various UIs on the display module 260 that are required not only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ut also for the entire process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s, or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t can be printed to .
  •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nteroper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relation to content playback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nteroper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relation to content playback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described using a lighting device as an example. However, other types of IoT devices as well as lighting devices are described. It can also be designated as a target for synchronization services.
  •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whether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stalled. For example, in relation to provid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whether the target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pecified through the IoT app.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whether another type of device (eg, speaker, electric curtain, blind) is designated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o the lighting device.
  • another type of device eg, speaker, electric curtain, blind
  • the processor 220 selects a designated target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at least one designat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synchronization service. You can identify whethe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 progress or is ready to provide synchronization services.
  • the processor 220 outputs (e.g., displays) a UI for controlling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module 260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can.
  • the processor 220 may display a settings screen including controllable properties for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module 260.
  • the settings scree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tem related to content playback, guide information for the content, or an item instructing the start of a lighting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content playback.
  • the processor 220 may store properties to be applied to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the memory 230 based on user settings through the settings screen. As content playback begins, the processor 220 can control the identifi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properties. Theref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e.g., lighting device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ent being played, and users can be provided with a customized lighting control service that matches the content atmosphere (e.g., music atmosphere).
  • the properti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rightness, color, intensity of change, color temperature, or power on/off of the lighting device.
  • the processor 220 controls each lighting device individually or controls each lighting device group based on a predetermined scenario for each music genre to adjust the color, color temperature, and color of the lighting device to the music.
  • Lighting devices can be controlled organically in conjunction with music data such as genre, beat, and intensity.
  • controlling lighting according to music may mean, for example, turning on/off the power of a lighting device, adjusting brightness,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r adjusting color or color tone.
  • elements e.g., music data
  •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can be extracted from a music source, and the lighting device can be a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music data. .
  • the processor 220 may analyze the video and extract elements require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from the analysis results.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can individually control each lighting device based on properties such as color, color temperature, genre, and intensity of change of the image through video analysis. Additionally, the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lighting device by controlling the color, color temperature, or color of the lighting device based on the beat intensity and color of the image.
  • Figure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nstall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201 in FIG. 2, FIG. 3, or FIG. 4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lighting device
  •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correspon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the device 204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based on content (eg, music or video) can be installed.
  • a screen 510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nstallation procedure when the name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Content Sync" is shown. For example, in FIG.
  • object 511 may be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whose name is “Content Sync.”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registered as a sub-app of an IoT service app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
  • Figure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nstall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FIG. 3, or FIG. 4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corresponding to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the electronic device 204,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based on content (e.g., music or video) can be installed.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screen 520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second server (e.g., bridge) (e.g., hub 310 in FIG.
  • a second server e.g., bridge
  • guide information 521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server e.g., "To use this function, connect your Bridge to this phone. Make sure your phone and Bridge are connected to the same “Wi-Fi network”.
  •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execution of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s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and connects the second server (e.g., bridge) (e.g., hub of FIG. 3)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 the second server e.g., bridge
  • a monitoring service can be performed to monitor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7, 8A, 8B, 9A, and 9B.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based on content (e.g., music), and monitors as shown in screen 530 even if the monitoring service is executed before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Content can be played regardless of whether the service is running.
  • content e.g., music
  • the electronic device may identify whether to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y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server (e.g., bridge) (e.g., hub 310 in FIG. 3).
  • the second server e.g., bridge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registered as a sub-app of an IoT service app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
  • FIG. 5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executed after a 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FIG. 3, or FIG. 4 satisfies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s described in FIG. 5C.
  • a menu 550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can be displayed.
  • a screen including a menu 550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when the name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Content Sync" is shown.
  • the electronic device can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540).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that is the target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 lighting device is shown. there is.
  •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S. 2, 3, or 4 includes a display module (e.g., the display module 260 of FIG. 2 or 4),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e.g., communication module 290 of FIG. 2 or FIG. 4), and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and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e.g., FIG. 2 or FIG. 4) may include a processor 220).
  • a display module e.g., the display module 260 of FIG. 2 or 4
  •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e.g., communication module 290 of FIG. 2 or FIG. 4
  •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and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e.g., FIG. 2 or FIG. 4) may include a processor 220).
  •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us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external electronic device 320 of FIG. 3) to process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content played on the device are satisfied.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external electronic device 320 of FIG. 3
  •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us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external electronic device 320 of FIG. 3) to process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content played on the device are satisfi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is input within a set time.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the at least one processor before identifying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erver (e.g., server 208 of FIG. 1)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 or the IoT server 340 of FIG. 3)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erver (eg, the hub 310 of FIG. 3) that manag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first server e.g., server 208 of FIG. 1
  • the IoT server 340 of FIG. 3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erver (eg, the hub 310 of FIG. 3) that manag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module so that the menu disappears when the user input is not input until the set time expires.
  • the setting conditions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Information about the A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ition that matches the set AP information or a condition that the content is being play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fter register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server and before identifying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re is.
  •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set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related to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permitted content us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setting conditions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Conditions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AP matches the set AP information,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ntent is being played,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tent being played are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It may contain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an app package name of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permitt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Based on thi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ynchronization services that control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content.
  •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identified based on a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menu is satisfied.
  • the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es the menu based on a user input to make the menu disappear, or based on a user input to select another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module so that disappears.
  • 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6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FIG. 3, or FIG. 4) (e.g., the processor 220 of FIG. 2 or FIG. 4)
  • the operation process is to connect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with content (e.g., music o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no usage history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video (e.g., befor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used).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content e.g., music o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no usage history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video (e.g., befor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used).
  •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content 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are satisfied. can be identified.
  •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may be identified based on a monitoring service.
  • the monitoring service may include a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a monitoring service after performing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onboarding operation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volves sending the target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o a first server (e.g., IoT server) (e.g., server 208 in FIG. 1 or IoT server 340 in FIG. 3).
  • It may include an operation for register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erver (e.g., a hub) (e.g., the hub 310 of FIG. 3) that manag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target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a second server e.g., a hub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synchroniz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support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ervices, and each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ervice, or the AP and the second server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hey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AP.
  •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identified by a location identifier (ID), and the location ID may be the space in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e.g., master bedroom, living room, kitchen, laundry room, entrance, and/or office). ) can be uniquely assigned to each.
  • ID location identifier
  • a unique monitoring service and menu display service may be mapped.
  • the menu display service may include a service that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monitoring service may be identified by a monitoring service ID
  • the menu display service may be identified by a menu display service ID.
  •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onitoring service, and/or menu display ser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
  •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onitoring service, and/or menu display service may be assigned a unique app ID. Accordingly, each synchronization service, monitoring service, and/or menu display service may be identified by a unique app ID.
  •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 conditions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information on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are se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ition that matches the AP information, or a condition that content is being played.
  • information about the AP may include the AP's 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
  •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eg, AP list) about AP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AP list may include the BSSID of each AP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which has identified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atisfied, displays, in operation 613,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atisfied.
  •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can be displayed through a module (e.g., the display module 260 of FIG. 2 or FIG. 4).
  •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without separately executing the app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ynamically provided when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met, unlike the fixed menu for executing the app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t can contain menus that can be used.
  •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bject (eg, button) within a floating window.
  • FIG. 6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audio output module (e.g. : An alarm indicating that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255 of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simultaneously vibrates to indicate that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through a haptic module (e.g., the haptic module 279 in FIG. 2). It can occur.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simultaneously outputs an alarm indicating that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through an audio output module, and performs a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a haptic module.
  • a vibration may be generated to indicate that a menu for execution is 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 operation 615, identify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the setup time may include the time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Even i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as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continuing to display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not only causes user inconvenience but is also unnecessary. This may result in battery consumption.
  • a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displayed during a set time,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a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no longer be displayed (e.g., You can make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disappear, or you can turn off the display o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electronic device which has identified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within the set time is input, may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in operation 617.
  • Fig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7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3, or 4) (e.g., the processor 220 of FIG. 2 or 4)
  • the operation process is to play content played o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320 of FIG. 3).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this is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a usage history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e.g., music or video) (e.g., afte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us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execute a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711.
  • the electronic device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set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content permitt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content permitted in a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content that has been a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y a user.
  •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pp package name of the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permitted by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may be one permitted content or multiple permitted contents.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set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content permitted by the synchronization service sets a menu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content.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 the condition that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control system for manag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target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2 A condition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a server (e.g. hub) (e.g. hub 310 in FIG.
  •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tent being played may include the app package name of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tent being played.
  • information about the AP may include the AP's BSSID.
  •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eg, AP list) about AP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AP list may include the BSSID of each AP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which has identified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atisfied, displays, in operation 717,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atisfied.
  •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can be displayed through a module (e.g., the display module 260 of FIG. 2 or FIG. 4).
  • Operation 717 may be similar to or implemented substantially the same as operation 613 of FIG. 6,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the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 operation 719, identify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Operation 719 is similar to or may be implemented substantially the same as operation 615 of FIG. 6,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the electronic device which has identified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within the set time is input, may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in operation 721.
  • FIG. 8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S. 8A-8B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S. 2, 3, or 4) (e.g., the processor of FIG. 2 or 4 ( The operation process of 220) is to connect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to an electronic device.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this i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no usage history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ntent (e.g., music or video) played in the device (e.g., befor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used). will be.
  •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onboarding operation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volves sending the target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o a first server (e.g., IoT server) (e.g., server 208 in FIG. 1 or IoT server 340 in FIG. 3). It may include an operation for register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erver (e.g., a hub) (e.g., the hub 310 of FIG. 3) that manag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target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a first server e.g., IoT server
  • a second server e.g., a hub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synchroniz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ynchronization services controlled by
  • the electronic device may support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ervices, and each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ervice, or the AP and the second server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hey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AP.
  •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identified by a location ID, and the location ID is uniquely assigned to each space (e.g., master bedroom, living room, kitchen, laundry room, entrance, and/or office) wher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It can be.
  • space e.g., master bedroom, living room, kitchen, laundry room, entrance, and/or office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performed the onboarding operation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activate a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in operation 813.
  • a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in operation 813.
  •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atisfied. may not be performed.
  •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 conditions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information on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are set.
  • information about the AP may include the AP's BSSID.
  •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eg, AP list) about AP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AP list may include the BSSID of each AP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ctivated the monitoring service may set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815.
  •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set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start the monitoring service in operation 817.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started the monitoring service may check whether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tches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in operation 819.
  •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information (eg, AP list) about AP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AP list may include the BSSID of each AP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817.
  •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whether the monitoring service is activated in operation 821. If,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monitoring service is not activated (operation 821-No),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817.
  •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whether content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being played in operation 823.
  • content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content used to control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817.
  • the electronic device may identify that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identified that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may execute a menu display service to display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825.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a display module (e.g., the display module 260 of FIG. 2 or FIG. 4) in operation 827.
  •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without separately executing the app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ynamically provided when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met, unlike the fixed menu for executing the app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t can contain menus that can be used.
  •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bject (eg, button) within a floating window.
  • FIGS. 8A and 8B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simultaneously outputs sound. An alarm notifying that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can be output through a module (e.g., the sound output module 255 in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simultaneously vibrates to indicate that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through a haptic module (e.g., the haptic module 279 in FIG. 2). It can occur.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simultaneously outputs an alarm indicating that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through an audio output module, and performs a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a haptic module.
  • a vibration may be generated to indicate that a menu for execution is 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check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the setup time may include the time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Even i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as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continuing to display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not only causes user inconvenience but is also unnecessary. This may result in battery consumption.
  • a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displayed during a set time,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a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no longer be displayed (e.g., You can turn off the display o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or you can make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disappear).
  • the electronic device no longer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831. It may not be done (for example,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disappeared, or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un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833.
  • FIG. 9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S. 9A-9B (e.g.,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S. 2, 3, or 4) (e.g., the processor of FIG. 2 or 4 ( The operation process of 220) is to connect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to an electronic device.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this i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a usage history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controlled based on the content (e.g., music or video) played in the device (e.g., afte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used).
  •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onboarding operation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volves sending the target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o a first server (e.g., IoT server) (e.g., server 208 in FIG. 1 or IoT server 340 in FIG. 3). It may include an operation for register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erver (e.g., a hub) (e.g., the hub 310 of FIG. 3) that manage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target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Operation 911 which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similar to or substantially identical to operation 811 of FIG. 8,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performed the onboarding operation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activate a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in operation 913.
  • a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in operation 913.
  •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atisfied. may not be performed.
  •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 the condition that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control system for manag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target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a condition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a server (e.g. hub) (e.g. hub 310 in FIG. 3) is connected matches the set AP information, a condition in which content is being played, or a condition that provides the content being played.
  •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tent being played may include the app package name of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tent being played.
  • information about the AP may include the AP's BSSID.
  •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eg, AP list) about AP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AP list may include the BSSID of each AP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ctivated the monitoring service may set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915.
  •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set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917.
  • the electronic device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set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content permitt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content permitted in a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content that has been a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y a user.
  •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pp package name of the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permitted by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may be one permitted content or multiple permitted contents.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set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related to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content permitt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start a monitoring service in operation 921.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started the monitoring service may check whether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tches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in operation 923.
  •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cluded in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it may be identified that the 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tches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 the configured 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eg, AP list) about APs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n onboarding operation for a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AP list may include the BSSID of each AP connected to the second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921.
  •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whether the monitoring service is activated in operation 925. If,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monitoring service is not activated (operation 925-No),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921.
  •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whether content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being played in operation 927.
  • content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include content used to control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921.
  •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whether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being played matches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in operation 929.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being played does not match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operation 929 - No), th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operation 921.
  • the electronic device may identify that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identified that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may, in operation 931, execute a menu display service to display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a display module (e.g., the display module 260 of FIG. 2 or FIG. 4) in operation 933.
  •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without separately executing the app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ynamically provided when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met, unlike the fixed menu for executing the app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t can contain menus that can be used.
  •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bject (eg, button) within a floating window.
  • FIGS. 9A and 9B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the display modu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simultaneously outputs sound. An alarm notifying that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can be output through a module (e.g., the sound output module 255 in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simultaneously vibrates to indicate that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through a haptic module (e.g., the haptic module 279 in FIG. 2). It can occur.
  •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simultaneously outputs an alarm indicating that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through an audio output module, and performs a synchronization service through a haptic module.
  • a vibration may be generated to indicate that a menu for execution is 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check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the setup time may include the time to display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Even i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displayed as the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re satisfied, continuing to display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not only causes user inconvenience but is also unnecessary. This may result in battery consumption.
  • a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displayed during a set time,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a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no longer be displayed (e.g., You can turn off the display o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or you can make the menu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disappear).
  • the electronic device no longer displays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937. You can disable it (for example, you can turn off the display of the menu for runn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or you can make the menu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disappear).
  • the electronic device may execute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 operation 939.
  •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execution of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lectronic device may execute a monitoring service.
  • the monitoring service may be similar to or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at described in FIGS. 6, 7, 8A-8B, or 9A-9B,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lighting device
  • a lighting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r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320 of FIG. 3
  •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the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on the screens 1010 and 1020 in the form of a floating window.
  • screens 1010 and 1020 includ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when the name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Content Sync" are shown.
  • screen 1010 represents a floating window type screen provided as a default, and screen 1020 may represent an expanded screen of screen 1010.
  • 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procedure for setting up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lectronic device may set a monitoring service.
  • the monitoring service may be similar to or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at described in FIGS. 6, 7, 8A-8B, or 9A-9B,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screen 1110 is a screen for setting up a monitoring service.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registered as a sub-app of an IoT service app (e.g., Samsung TM SmartThings app).
  • the name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pp is "Content Sync".
  • a monitoring service for Content Sync when an object (e.g., “Settings”) for setting a monitoring service is selected on the screen 1110, categories for setting a monitoring servic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120. You c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etting a monitoring service for Content Sync,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may be selected (1130).
  • the screen 1120 is related to categories in which monitoring services can be set, and therefore may not be related to setting services other than the monitoring service (eg, synchronization service).
  •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procedure for setting up a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lectronic device may set a monitoring service.
  • the monitoring service may be similar to or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at described in FIGS. 6, 7, 8A-8B, or 9A-9B, and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 an object e.g., “Settings”
  • categories for setting the monitoring servic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120. It can be done, and a monitoring service can be set for Content Sync, a synchronization service app (1130).
  • the electronic device can select execution of the monitoring service as shown in screen 1210.
  • the monitoring service that notifies the start of the synchronization service may be activated (eg, set to on), as shown in screen 1220.
  • Figure 12 shows a case where the name of the monitoring service is set to "Notify to start Content Sync".
  • a menu for executing specialized individual services such as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not only displayed, but also intelligently controlled, and such display and control procedures are performed by the user or service.
  • a menu for executing specialized individual services such as a synchronization service is not only displayed, but also intelligently controlled, and such display and control procedures are performed by the user or service.
  •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us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2 of FIG. 2 or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 2).
  •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that controls the device 204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320 of FIG. 3 based on content 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ar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to identify whether it is satisfied.
  •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 the method may include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menu is input within a set time.
  • the method may include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nput is input within the set time.
  • the method before identifying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sends a message to a first server (e.g., the server 208 of FIG. 1 or the IoT server 340 of FIG. 3).
  • a first server e.g., the server 208 of FIG. 1 or the IoT server 340 of FIG. 3
  • the method may include controlling the menu to disappear when the user input is not input until the set time expires.
  • the setting conditions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Information about the A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ition that matches the set AP information or a condition that the content is being played.
  • the method may include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fter register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server and before identifying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
  • the method may include setting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related to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permitt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setting conditions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activated,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 Conditions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AP matches the set AP information,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ntent is being played,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tent being played are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It may contain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 the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an app package name of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permitted in the synchronization service.
  •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AP to which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Based on thi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ynchronization services that control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content.
  •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identified based on a monitoring service that monitors whether the setting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menu is satisfied.
  • the method may cause the menu to disappear based on a user input for making the menu disappear, or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other menu for execu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t may include controlling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 모듈(260),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29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202; 204; 320)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통해,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및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네트워크에서, 사물과 같은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여 처리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와의 연결을 통한 빅 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들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머신 대 머신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인터넷 기술(internet technology: IT)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 기술은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들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 스마트 빌딩 서비스, 스마트 시티 서비스, 스마트 카 서비스 혹은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서비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서비스, 헬스 케어 서비스, 스마트 가전 서비스, 첨단 의료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에 응용될 수 있다.
IoT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에서 스마트 홈 서비스의 경우 다양한 IoT 장치들을 사용하여 IoT 기술에 기반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는 외부 전자 장치(예: IoT 장치)와 연동하여 IoT 기술에 기반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예: 오토메이션(automation) 서비스 및/또는 찾기(find) 서비스)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IoT 기술에 기반하는 서비스를 "IoT 서비스"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는 TV, 조명 장치, 에어 컨디셔너, 공기 청정기, 카메라, 오븐,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가전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서비스는 전자 장치와 관련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 및/또는 관리하는 IoT 기술 기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예: 삼성TM 스마트싱스(SmartThing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홈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 하나인 오토메이션 서비스에서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 및/또는 관리하는 IoT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예: 삼성TM 스마트싱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트리거링 조건(triggering condition)이 설정되고, 설정된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될 경우,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menu)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표시할 수 있다). 오토메이션 서비스에서, 트리거링 조건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근처에 존재하는(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 미만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트리거링 조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방식의 경우, 실제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자주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또는 소모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런 소모 전류의 증가로 인해 실제 필요할 경우에는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IoT 기술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동으로 실행시켜야만 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전자 장치가 조명 장치일 경우, 오토메이션 서비스에서는, 상황 별 또는 장소 별로 다양한 조건들에 기반하여 차별화된 조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조명 서비스의 경우, 특히 사용자가 조명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적합한 시점에 조명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서비스 품질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방법은,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리드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콘텐트의 재생 상태에 기반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 app 설치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 app 설치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monitoring) 서비스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에 따라 메뉴가 표시된 후 동기화 서비스가 실행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메뉴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는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는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개시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동작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동작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동작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본 개시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들 외에 모든 변경들, 균등물들 내지 대체물들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전자 장치는 단말(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장비(mobile equipment: M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로 칭해질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폰, 개인용 디지털 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노트북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의 IoT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는 컴포넌트(component)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컴포넌트들이 도 1의 IoT 시스템(1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시스템(100)은, 데이터 네트워크(116)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146)에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시스템(100)은 제 1 IoT 서버(110), 제 1 노드(node)(120),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ce) 서버(130), 제 2 IoT 서버(140), 제 2 노드(150), 또는 전자 장치들(121,122,123,124,125,136,137,151,152,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IoT 서버(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1), 프로세서(112), 또는 저장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IoT 서버(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41), 프로세서(142), 또는 저장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서버"는,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예: 데이터 네트워크(116)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146))에 기반하여, 중계 장치(relay device)(예: 제 1 노드(120) 또는 제 2 노드(150))를 통하거나, 또는 중계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directly),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들(121,122,123,124,125,151,152,153))을 원격으로 제어 및/또는 모니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공장, 빌딩, 외부 공간, 또는 다른 타입의 공간들과 같은 로컬 환경 내에 배치되는(또는, 위치하는) 센서, 가전 제품, 사무용 전자 장치, 또는 공정 수행을 위한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타겟 장치"로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서버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타겟 장치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앙 서버(central server)로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IoT 서버(110)는 데이터 네트워크(116)를 통하여 전자 장치들(121,122,123)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116)는,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IoT 서버(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1)를 통하여 데이터 네트워크(116)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1)는 데이터 네트워크(116)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장치(또는, 통신 모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엘리먼트(element)(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복수의 엘리먼트들(예: 복수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IoT 서버(110)는 제 1 노드(120)를 통하여 전자 장치들(121,122,123)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노드(120)는 제 1 IoT 서버(110)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네트워크(116)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들(121,122,123) 중 적어도 일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노드(120)는 전자 장치들(121,122,123)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네트워크(116)를 통하여 제 1 IoT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노드(120)는 데이터 네트워크(116) 및 전자 장치들(121,122,123) 사이의 브릿지(bridge)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IoT 시스템(100)이 제 1 노드(120)만을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IoT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1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제1 노드들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본 문서에서의 "노드"는, 엣지 컴퓨팅 시스템(edge computing system)일 수 있거나, 또는 허브(hub)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노드(120)는, 데이터 네트워크(116)의 유선 및/또는 무선의 통신을 지원하며, 아울러 전자 장치들(121,122,123)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노드(12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INSETEON, X10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들(121,122,123)과 연결될 수 있으나, 제 1 노드(120)와 전자 장치들(121,122,123) 간의 통신 타입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제 1 노드(120)는, 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공장, 빌딩, 외부 장소, 또는 다른 타입의 장소들과 같은 환경 내에 배치(또는,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들(121,122,123)은, 제 1 IoT 서버(110)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하여 모니터 및/또는 제어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들(121,122,123)은 제 1 IoT 서버(110)로의 직접 연결을 위한 완전한 네트워크 통신(예: 인터넷 통신)의 능력(capability)을 가질 것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들(121,122,123)은, 예를 들어 전등 스위치, 근접 센서, 또는 온도 센서와 같은 가정 환경 내의 전자 장치로 구현된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제일 뿐 전자 장치들(121,122,123)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IoT 서버(110)는, 전자 장치들(124,125)과의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직접 통신"은, 예를 들어, 제 1 노드(120)와 같은 중계 장치를 통하지 않는 통신으로,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IoT 서버(110)는 전자 장치들(121,122,123,124,125) 중 적어도 일부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명령"은, 제어 가능한 전자 장치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동작은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특정 동작은,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 정보를 센싱하는 동작,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예를 들어, 정보를 삭제하는 동작, 또는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동작에 포함되는 동작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2)는, 외부(예: 보이스 어시스턴트 서버(130), 제 2 IoT 서버(140), 외부 시스템(160), 또는 전자 장치들(121,122,123,124,125)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또는, 요청)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2)는 전자 장치들(121,122,123,124,125) 중 적어도 일부의 모니터링 결과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제어 명령을 타겟 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12), 또는 프로세서(132), 프로세서(14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범용 프로세서,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범용 프로세서,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단순히 예제일 뿐이며, 프로세서(112)는, 예를 들어 메모리(113)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하여, 실행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연산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114)에 기반하여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 1 IoT 서버(110)에 의하여 관리되는 자원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웹-기반 인터페이스는 제 1 IoT 서버(110) 및 외부 웹 서비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160)으로 하여금 전자 장치들(121,122,123)의 제어 및/또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외부 시스템(160)은, 예를 들어 시스템(100)과 연관이 없거나, 또는 시스템(100)의 일부가 아닌 독립적인 시스템일 수 있다. 외부 시스템(160)은, 예를 들어 외부 서버이거나, 또는 웹 사이트일 수 있다. 하지만, 외부 시스템(160)으로부터 전자 장치들(121,122,123), 또는 제 1 IoT 서버(110)의 자원으로의 액세스에 대한 보안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12)는,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은 API(114)에 기반한 API 엔드 포인트(예: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제 1 IoT 서버(110)는, 제어 명령을 전자 장치들(121,122,123) 중 타겟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 2 IoT 서버(140)가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41), 프로세서(142), 저장부(143)의 API(144), 데이터베이스(145)는, 제 1 IoT 서버(110)가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1), 프로세서(112), 저장부(113)의 API(114), 데이터베이스(115)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 2 노드(150)는 제 1 노드(120)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IoT 서버(140)는, 제어 명령을 전자 장치들(151,152,153) 중 타겟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IoT 서버(110) 및 제 2 IoT 서버(140)는, 일 실시 예에서는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하여 운영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보이스 어시스턴트 서버(130)는, 데이터 네트워크(116)를 통하여 제 1 IoT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이스 어시스턴트 서버(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31), 프로세서(132), 또는 저장부(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1)는, 데이터 네트워크(미도시)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전자 장치(136)(예: 스마트폰) 또는 전자 장치(137)(예: AI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6) 또는 전자 장치(137)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음성(user voice)을 입력하여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보이스 어시스턴트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는, 통신 인터페이스(131)를 통하여 전자 장치(136) 또는 전자 장치(137)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는, 수신한 음성 신호를 저장된 모델(134)에 기반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는,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세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또는,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저장부(113,133,14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비 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 일시적 저장 매체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IoT 서버(110)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4))는 네트워크 환경 내의 스마트 폰(일 예, 하기에서 설명될, 도 2의 전자 장치(201))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00) 내의 전자 장치(20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0)에서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24))는 제 1 네트워크(2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서버(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입력 모듈(250), 음향 출력 모듈(255), 디스플레이 모듈(260), 오디오 모듈(270), 센서 모듈(276), 인터페이스(277), 연결 단자(278), 햅틱 모듈(279), 카메라 모듈(280), 전력 관리 모듈(288), 배터리(289), 통신 모듈(290), 가입자 식별 모듈(296), 또는 안테나 모듈(29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2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276), 카메라 모듈(280), 또는 안테나 모듈(2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2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76) 또는 통신 모듈(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2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메인 프로세서(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223)(예: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 신경 프로세싱 유닛(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가 메인 프로세서(221) 및 보조 프로세서(2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223)는 메인 프로세서(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23)는 메인 프로세서(2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21)가 인액티브(inactive)(예: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21)와 함께, 전자 장치(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260), 센서 모듈(276), 또는 통신 모듈(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23)(예: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엘리먼트(예: 카메라 모듈(280) 또는 통신 모듈(2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23)(예: 신경 프로세싱 유닛)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2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2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 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 네트워크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 네트워크는 심층 신경 네트워크(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 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예: 프로세서(220) 또는 센서 모듈(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휘발성 메모리(2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40)은 메모리(2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242), 미들 웨어(244) 또는 어플리케이션(2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전자 장치(201)의 엘리먼트(예: 프로세서(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전자 장치(2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70)은, 입력 모듈(2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전자 장치(2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276)은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7)는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2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2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88)은 전자 장치(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289)는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90)은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90)은 프로세서(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90)은 무선 통신 모듈(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294)(예: LAN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2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2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98)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92)은 전자 장치(2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2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2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298) 또는 제 2 네트워크(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2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2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2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299)에 연결된 서버(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202, 또는 204) 각각은 전자 장치(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202, 204, 또는 2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의 전자 장치(2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8)는 제 2 네트워크(2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타입들의 장치들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일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는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2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236) 또는 외장 메모리(2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기화 서비스는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를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콘텐트의 재생 상태에 기반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서비스를 동기화 서비스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콘텐트의 재생 상태 뿐만 아니라, 콘텐트와 관련되는 어떤 정보라도 동기화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조명 제어 서비스 뿐만 아니라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어떤 오토메이션 서비스라도 동기화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만 할 것이다.
도 3에서, 전자 장치(201)는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24)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201)일 수 있으며, 도 2의 전자 장치(201)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IoT 시스템(300)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20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1)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는 TV, 조명 장치, 에어 컨디셔너, 공기 청정기, 카메라, 오븐,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가전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서비스는 전자 장치(201)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 및/또는 관리하는 IoT 기술 기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예: 삼성TM 스마트싱스(SmartThing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IoT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장치의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조명 서비스 이외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서비스, 예를 들어, 다양한 외부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조명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 영상과 같은 콘텐트를 재생할 경우 IoT 시스템에 연결된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거나 특정 콘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와의 별도의 연동 동작을 통해 제한된 콘텐트를 제공받아 그 제공된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IoT 시스템에 연결된 주변 장치들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매번 개별적인 통합 동작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특정 콘텐트 제공자에서 제공하는 콘텐트는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포맷의 콘텐트에 한정되지 않고, 즉, 콘텐트 제공자의 구분 없이,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시 음악의 분위기에 대응하는 조명 서비스를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와 연동 가능한 조명 장치(또는 조명 시스템)를 통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3에서, 콘텐트 기반의 조명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시스템(300)은 전자 장치(201), 허브(310),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 및/또는 IoT 서버(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oT 시스템(300)은 IoT 서버(340) 이외에 클라우드 서버, 애플리케이션 마켓 서버와 같은 다른 서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IoT 서버(340)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서버"라고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허브(31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허브(310)는 허브 장치, 제어 장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코디네이터, 서버 또는 브릿지(bridge)라고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허브(3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가정 내에 있는 전자 장치(201) 또는 원거리에 있는 서버(예: IoT 서버(34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허브(310)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또는 TV, PC와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허브(310)가 서버 형태로 구현될 경우, 허브(310)는 "제2 서버"라고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은 다양한 공간들(예: 안방, 거실, 주방, 세탁실, 현관, 및/또는 사무실)에 위치할 수 있으며, 허브(310)를 통해 전자 장치(20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들(320)은 스마트 홈 서비스와 같은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들의 전자 장치들 또는 디지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는 조명 장치, 센서,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들(320) 중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외부 전자 장치들의 경우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20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들(320)은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201)와 통신 가능한 모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들(320)과 1: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들(32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작하거나 또는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외부 전자 장치들(320)은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게 데이터(또는 신호)를 허브(31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장치 식별자(identifier: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 ID는 상응하는 장치를 제조하는 시점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들(320)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 허브(31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들(320)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201)와 연결을 설정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직접 접속할 허브(3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허브(310)에 접속하여 허브(310)를 통해 IoT 서버(340)에 접속하고 IoT 서버(340)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들(320) 중 적어도 일부는 콘텐트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콘텐트가 재생될 경우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 중 조명 장치(예: 조명 램프)는 다양한 공간들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 공간 내의 다른 위치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 장치는 지정된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320a)와 지정된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정된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예: 조명 장치 A, 조명 장치 B)(320a)에 대해서는 콘텐트와 연동되는 조명 제어 서비스(이하, 설명의 편의상 "동기화 서비스(sync service)"라 칭하기로 한다) 동안에는 다른 서비스에 의한 개별 제어가 제한될 수 있다. 지정된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예: 조명 장치 C, 조명 장치 D)(320b)에 대해서는 동기화 서비스 동안에도 다른 서비스에 의한 개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조명 장치들(320a, 320b)은 동기화 서비스 동안에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들(320a, 320b)에 대한 전원 온/오프, 밝기 조절, 색 온도 조절, 색상 또는 색감 조절이 콘텐트의 재생 상태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란, 음악 또는 영상(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는 재생 가능한 임의의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트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콘텐트를 음악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에서의 콘텐트의 재생에 기반하여 조명 장치들(320a, 320b)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장치들(320a, 320b) 이외에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 중 지정된 다른 타입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스피커, 전동식 커튼, 블라인드) 역시 콘텐트의 재생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을 관리 및/또는 제어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을 검색하고 외부 전자 장치들(32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3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상응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예를 들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획득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에 관한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장치(예: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을 제어하기 위한 IoT 기반의 앱(app)(이하, 설명의 편의상 "IoT app"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실행되면, 실행되는 IoT app(예: 삼성TM 스마트싱스(SmartThings) app)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예: SmartThings UI)를 출력할(예를 들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IoT app을 통해 콘텐트(예: 음악)를 재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IoT app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된 UI(예: 동기화 UI(sync UI))를 통해 콘텐트에 기반하는(예를 들어, 콘텐트와 연동되는) 조명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조명 장치들(320a, 320b)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콘텐트가 음악일 경우, 동기화 UI는 음악 동기화 UI(music sync UI)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콘텐트 재생 시 콘텐트 데이터(또는 콘텐트 파일)를 분석하여 콘텐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콘텐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 그룹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320a)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320a) 이외에 다른 타입의 장치들(예: 스피커, 전동식 커튼, 블라인드)도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 그룹에 포함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음악과 같은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app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IoT app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IoT app을 실행하지 않고,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app을 직접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app을 "콘텐트 app"이라 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 app은 콘텐트의 재생에 따라 조명 장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동기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app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트 app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조명 장치의 동작에 따라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 app은 동영상, 음악, 라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생하도록 전자 장치(201)를 제어하는 app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1)는 콘텐트 app에 따라 해당 콘텐트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트는 일 예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 콘텐트(web content)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예: 콘텐트 제공자)로부터 음악,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트 및 콘텐트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거나 또는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을 통해 전자 장치(201)에서 재생 가능한 임의의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음악을 콘텐트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트 app은 음악 스트리밍 app(또는 음원 플랫폼), 동영상 공유 서비스(예: YouTube), OTT(Over The Top) 플랫폼, 또는 동영상 재생 ap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생되는 콘텐트 데이터의 타입 또는 이를 재생하는 app의 타입에 상관 없이 전자 장치(201)를 통해 재생이 가능한 콘텐트라면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예: 도 2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디스플레이 모듈(260), 및/또는 통신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예: 도 2의 메모리(23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외부 전자 장치와 송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1)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app과 관련된 UI 및 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실내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IoT app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220)가 각종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통신 모듈(290), 디스플레이 모듈(260), 및 프로세서(220)에 작동적으로(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콘텐트 재생과 관련하여 연동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제어 가능한 속성(attribute)들을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예를 들어, 표시하고), 제어 가능한 속성들 중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에 적용될 속성들을 저장하고, 콘텐트 재생에 기반하여,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가 저장된 속성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또는 디스플레이)(260)(예: 도 2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프로세서(220)의 제어 하에 IoT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실행되는 IoT app과 관련된 UI를 출력할(예를 들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외부 전자 장치들(320) 각각을 오브젝트(object)들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브젝트는,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그래픽 엘리먼트(graphic elem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이콘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를 대표하는 이미지,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90)은 프로세서(220)의 제어 하에,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90)은 지그비(Zigbee) 방식, 지-웨이브(Z-Wave) 방식, 와이파이(Wi-Fi)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UWB(ultra-wide band) 방식, 무선 USB(wireless USB)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포함하는 통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90)은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지그비 또는 지-웨이브 방식을 사용하여 저전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90)은 지그비 또는 지-웨이브 통신 이외에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에 기반하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1)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외부 전자 장치와 지정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이 존재할 경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와는 제1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다른 적어도 일부와는 제2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2 서버(예: 도 3의 허브(3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는 인접한 다른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2 서버를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전자 장치(201)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계정에 기반하여, 제1 서버(예: 도 2의 서버(208) 또는 도 3의 IoT 서버(340))에 등록된 외부 전자 장치들을 모니터하고, 설정하며,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IoT app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의 실행에 상응하여, 프로세서(220)는 콘텐트와 동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예: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을 식별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과 동기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동기화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조명 제어를 위해 필요로 되는, 주변에 연결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예: 조명 장치들)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동기화 서비스의 실행 뿐만 아니라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외부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전체 프로세스에서 요구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다양한 UI들을 디스플레이 모듈(26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콘텐트 재생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201)와 연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콘텐트 재생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201)와 연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조명 장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조명 장치 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의 IoT 장치들 역시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대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전에, 프로세서(220)는 동기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동기화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에서 동기화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대상이 IoT app을 통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조명 장치 이외에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에서 다른 타입의 장치(예: 스피커, 전동식 커튼, 블라인드)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지정된 대상, 예를 들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인지 또는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대응하여,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UI를 디스플레이 모듈(260) 상에 출력할(예를 들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제어 가능한 속성들을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2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화면은, 콘텐트의 재생과 관련된 아이템(item), 콘텐트에 대한 가이드(guide) 정보, 또는 콘텐트 재생에 따른 조명 제어 서비스의 시작을 지시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설정 화면을 통한 사용자 설정에 기반하여,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에 적용될 속성들을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콘텐트 재생이 시작됨에 따라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가 저장된 속성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트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가 제어될 수 있어, 사용자는 콘텐트 분위기(예: 음악 분위기)에 맞는 맞춤형 조명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들은, 조명 장치의 밝기, 색상, 변화의 강도, 색 온도, 또는 전원 온/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음악의 장르별로 사전에 정해둔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각 조명 장치 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조명 장치 그룹 별로 제어하여 조명 장치의 색상, 색 온도, 색감을 음악의 장르, 박자, 세기와 같은 음악 데이터와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악에 따라 조명을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조명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밝기를 조절하거나, 색 온도를 조절하거나, 색상 내지 색감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의 설정과 관련하여, 음원(music source)으로부터 조명 장치 제어에 요구되는 엘리먼트들(예: 음악 데이터)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악 데이터에 따라 조명 장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음악에 따라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음악 뿐만 아니라 동영상과 같은 콘텐트의 재생에 따라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동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로부터 조명 장치 제어에 요구되는 엘리먼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동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의 색상, 색 온도, 장르, 변화의 강도와 같은 속성에 기반하여 조명 장치 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조명 장치의 색상, 색 온도, 또는 색감을 영상의 박자 세기, 색감에 기반하여 제어함으로써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 app 설치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에 상응하는 동기화 서비스 app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의 네임(name)이 "Content Sync"인 경우의 동기화 서비스 app 설치 절차에 따른 화면(510)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오브젝트(511)는, 네임이 "Content Sync"인 동기화 서비스 app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도 5a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이 IoT 서비스 app(예: 삼성TM SmartThings app)의 sub-app으로 등록될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 app 설치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에 상응하는 동기화 서비스 app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동기화 서비스 app이 설치됨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제2 서버(예: 브릿지)(예: 도 3의 허브(310))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화면(52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520)에는, 전자 장치와 제2 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521)(예를 들어, "To use this function, connect your Bridge to this phone. Make sure your phone and Bridge are connected to the same Wi-Fi network")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monitoring) 서비스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동기화 서비스 app을 설치하고, 제2 서버(예: 브릿지)(예: 도 3의 허브(310))와 전자 장치를 연결한 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은 하기에서 도 6, 도 7, 도 8a, 도 8b, 도 9a, 및 도9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동기화 서비스는 콘텐트(예: 음악)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기 전에는 모니터링 서비스가 실행된다고 할지라도 화면(530)과 같이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 여부와 상관없이 콘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서버(예: 브릿지)(예: 도 3의 허브(31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c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이 IoT 서비스 app(예: 삼성TM SmartThings app)의 sub-app으로 등록될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5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에 따라 메뉴가 표시된 후 동기화 서비스가 실행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 서비스가 실행된 후, 설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5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d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의 네임이 "Content Sync"인 경우의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550)를 포함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550)를 표시한 후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550)가 선택될 경우,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540). 도 5d에서는 동기화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가 조명 장치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2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260)),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예: 도 2 또는 도 4의 통신 모듈(29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2 또는 도 4의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서버(예: 도 1의 서버(208), 또는 도 3의 IoT 서버(340))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도 3의 허브(310))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또는 상기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서버를 등록한 후,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사용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상기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또는 상기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app package nam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 서비스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다른 동기화 서비스와 구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monitoring) 서비스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뉴를 사라지게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다른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예: 도 2 또는 도 4의 프로세서(220))의 동작 과정은,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사용 히스토리(usage history)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가 사용되기 전의)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동작 61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모니터링(monitoring) 서비스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monitor)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onboarding) 동작을 수행한 후 모니터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은 제1 서버(예: IoT 서버)(예: 도 1의 서버(208), 또는 도 3의 IoT 서버(340))에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 및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허브)(예: 도 3의 허브(310))를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는,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다른 동기화 서비스와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동기화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고, 각 동기화 서비스는,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와, 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는 위치 식별자(identifier: ID)로 식별될 수 있고, 위치 ID는 외부 전자 장치가 설치된 공간(예: 안방, 거실, 주방, 세탁실, 현관, 및/또는 사무실) 별로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동기화 서비스들 각각에 대해서, 고유한 모니터링 서비스 및 메뉴 표시 서비스가 매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뉴 표시 서비스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는 모니터링 서비스 ID로 식별될 수 있고, 메뉴 표시 서비스는 메뉴 표시 서비스 ID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및/또는 메뉴 표시 서비스 각각은 앱(ap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및/또는 메뉴 표시 서비스 각각이 app 형태로 구현될 경우, 동기화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및/또는 메뉴 표시 서비스 각각에는 고유한 app ID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동기화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및/또는 메뉴 표시 서비스 각각은 고유한 app 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은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또는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에 대한 정보는 AP의 기본 서비스 집합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에 대한 정보(예: AP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 리스트는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 각각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한 전자 장치는, 동작 613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2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동기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별도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동기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고정된 메뉴와는 달리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 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아이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플로팅 윈도우(floating window) 내의 오브젝트(object)(예: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모듈(예: 도 2의 음향 출력 모듈(255))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햅틱 모듈(예: 도 2의 햅틱 모듈(279))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고, 햅틱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 전자 장치는, 동작 615에서,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 시간은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었다고 할지라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계속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는, 설정 시간 동안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한 전자 장치는, 동작 617에서, 설정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예: 도 2 또는 도 4의 프로세서(220))의 동작 과정은,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사용 히스토리가 존재할 경우의(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가 사용된 후의)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동작 711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한 전자 장치는, 동작 713에서,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동기화 서비스에 적용된 적이 있는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 제공자 정보는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app package nam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개의 허락되는 콘텐트 또는 복수의 허락되는 콘텐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한 전자 장치는, 동작 715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은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허브)(예: 도 3의 허브(310))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 조건,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또는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가 콘텐트 제공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는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에 대한 정보는 AP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에 대한 정보(예: AP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 리스트는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 각각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한 전자 장치는, 동작 717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2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717은 도 6의 동작 613과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 전자 장치는, 동작 719에서,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719는 도 6의 동작 615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한 전자 장치는, 동작 721에서, 설정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도 8b를 참조하면, 도 8a-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예: 도 2 또는 도 4의 프로세서(220))의 동작 과정은,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사용 히스토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가 사용되기 전의)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8a-도 8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동작 811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은 제1 서버(예: IoT 서버)(예: 도 1의 서버(208), 또는 도 3의 IoT 서버(340))에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 및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허브)(예: 도 3의 허브(310))를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는,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다른 동기화 서비스와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동기화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고, 각 동기화 서비스는,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와, 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는 위치 ID로 식별될 수 있고, 위치 ID는 외부 전자 장치가 설치된 공간(예: 안방, 거실, 주방, 세탁실, 현관, 및/또는 사무실) 별로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한 전자 장치는, 동작 813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이 수행되었을 지라도,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은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 조건, 또는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에 대한 정보는 AP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에 대한 정보(예: AP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 리스트는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 각각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를 활성화시킨 전자 장치는, 동작 815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를 설정한 전자 장치는, 동작 817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작한 전자 장치는, 동작 819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된다고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에 대한 정보(예: AP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 리스트는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 각각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지 않을 경우(동작 819-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817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될 경우(동작 819-예), 전자 장치는, 동작 821에서,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동작 821-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817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동작 821-예), 전자 장치는, 동작 823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가 재생 중인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는 동기화 서비스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가 재생 중이 아닐 경우(동작 823-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817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가 재생 중일 경우(동작 823-예),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된다고 식별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한 전자 장치는, 동작 825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메뉴 표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메뉴 표시 서비스가 실행됨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동작 82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2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동기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별도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동기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고정된 메뉴와는 달리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 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아이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플로팅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예: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a-도 8b에서는,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모듈(예: 도 2의 음향 출력 모듈(255))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햅틱 모듈(예: 도 2의 햅틱 모듈(279))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고, 햅틱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 전자 장치는, 동작 829에서,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 시간은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었다고 할지라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계속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는, 설정 시간 동안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동작 829-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831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설정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경우(동작 829-예), 전자 장치는, 동작 833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도 9b를 참조하면, 도 9a-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예: 도 2 또는 도 4의 프로세서(220))의 동작 과정은,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사용 히스토리가 존재할 경우의(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가 사용된 후의)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9a-도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동작 911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은 제1 서버(예: IoT 서버)(예: 도 1의 서버(208), 또는 도 3의 IoT 서버(340))에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 및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허브)(예: 도 3의 허브(310))를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911은 도 8의 동작 811과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한 전자 장치는, 동작 913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이 수행되었을 지라도,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은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대상이 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허브)(예: 도 3의 허브(310))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 조건,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또는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가 콘텐트 제공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는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에 대한 정보는 AP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에 대한 정보(예: AP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 리스트는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 각각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를 활성화시킨 전자 장치는, 동작 915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 및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를 설정한 전자 장치는, 동작 917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한 전자 장치는, 동작 919에서,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동기화 서비스에 적용된 적이 있는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트 제공자 정보는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개의 허락되는 콘텐트 또는 복수의 허락되는 콘텐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한 전자 장치는, 동작 921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작한 전자 장치는, 동작 923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된다고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온보딩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에 대한 정보(예: AP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P 리스트는 제2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AP들 각각의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지 않을 경우(동작 923-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921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AP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될 경우(동작 923-예), 전자 장치는, 동작 925에서,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동작 925-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921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동작 925-예), 전자 장치는, 동작 927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가 재생 중인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는 동기화 서비스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가 재생 중이 아닐 경우(동작 927-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921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동기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트가 재생 중일 경우(동작 927-예), 전자 장치는, 동작 929에서, 재생중인 콘텐트에 대한 정보가 콘텐트 제공자 정보와 매치되는지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재생중인 콘텐트에 대한 정보가 콘텐트 제공자 정보와 매치되지 않을 경우(동작 929-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921로 되돌아갈 수 있다.
검사 결과, 재생중인 콘텐트에 대한 정보가 콘텐트 제공자 정보와 매치될 경우(동작 929-예),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된다고 식별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한 전자 장치는, 동작 931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메뉴 표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메뉴 표시 서비스가 실행됨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동작 933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2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동기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별도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동기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고정된 메뉴와는 달리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 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는 아이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플로팅 윈도우 내의 오브젝트(예: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a-도 9b에서는,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모듈(예: 도 2의 음향 출력 모듈(255))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햅틱 모듈(예: 도 2의 햅틱 모듈(279))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고, 햅틱 모듈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됨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 전자 장치는, 동작 935에서,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정 시간은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었다고 할지라도,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계속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는, 설정 시간 동안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메뉴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동작 935-아니오), 전자 장치는, 동작 937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서비스를 위한 메뉴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설정 시간 내에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었을 경우(동작 935-예), 전자 장치는, 동작 939에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메뉴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는 도 6, 도 7, 도 8a-도 8b, 또는 도 9a-도 9b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조명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전자 장치에서 제생되는 콘텐트(예: 음악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전자 장치는 플로팅 윈도우 형태로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화면(1010, 10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의 네임이 "Content Sync"인 경우의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1010, 10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화면(1010)은 디폴트(default)로 제공되는 플로팅 윈도우 형태의 화면을 나타내며, 화면(1020)은 화면(1010)이 확장된(expanded)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는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는 도 6, 도 7, 도 8a-도 8b, 또는 도 9a-도 9b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서, 화면(1110)은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며, 도 11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이 IoT 서비스 app(예: 삼성TM SmartThings app)의 sub-app으로 등록될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11에서는, 동기화 서비스 app의 네임이 "Content Sync"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1110)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Settings")가 선택될 경우, 화면(1120)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카테고리(category)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서비스 app인 Content Sync에 대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113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1120)은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카테고리들에 관련되므로, 모니터링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예: 동기화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을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는 절차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는 도 6, 도 7, 도 8a-도 8b, 또는 도 9a-도 9b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1110)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Settings")가 선택될 경우, 화면(1120)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카테고리(category)들이 표시될 수 있고, 동기화 서비스 app인 Content Sync에 대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1130).
이렇게, Content Sync에 대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이 선택되면(1130), 전자 장치는 화면(1210)과 같이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모니터링 서비스의 실행이 선택됨에 따라, 화면(1220)과 같이 동기화 서비스의 시작을 알려주는 모니터링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온(on)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모니터링 서비스의 네임이 "Notify to start Content Sync"로 설정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현재 IoT 서비스(예: 스마트 홈 서비스)에서 동기화 서비스와 같이 특화된 개별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메뉴를 단순히 표시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지능적으로 제어하고, 이런 표시 및 제어 절차를 사용자 또는 서비스에 최적화시킴으로써, IoT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2, 도 3,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201))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2) 또는 전자 장치(204), 또는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들(320))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제1 서버(예: 도 1의 서버(208), 또는 도 3의 IoT 서버(340))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예: 도 3의 허브(310))를 등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또는 상기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서버를 등록한 후,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상기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또는 상기 재생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app package nam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 서비스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다른 동기화 서비스와 구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monitoring) 서비스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메뉴를 사라지게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다른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 장치(20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260);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29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202; 204; 320)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및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서버(208; 340)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310)를 등록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전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전자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또는
    상기 콘텐트가 재생 중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서버를 등록한 후,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고; 및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상기 콘텐트가 재생 중인 조건; 또는
    상기 재생 중인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제공자 정보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의 앱 패키지 네임(app package name)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비스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콘텐트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다른 동기화 서비스와 구분되는 상기 전자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링(monitoring) 서비스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상기 전자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뉴를 사라지게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다른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201)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202; 204; 320)를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트(content)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menu)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제1 서버(208; 340)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서버(310)를 등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동기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조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AP 정보와 매치되는(matched) 조건; 또는
    상기 콘텐트가 재생중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서버를 등록한 후, 상기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동기화 서비스에서 허락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되는 콘텐트 제공자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PCT/KR2023/014833 2022-10-07 2023-09-26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760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578 2022-10-07
KR20220128578 2022-10-07
KR1020230013833A KR20240049118A (ko) 2022-10-07 2023-02-01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13833 2023-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084A1 true WO2024076084A1 (ko) 2024-04-11

Family

ID=906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833 WO2024076084A1 (ko) 2022-10-07 2023-09-26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7608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058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1086A (ko) * 2011-09-20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공유
US20160070244A1 (en) * 2014-09-09 2016-03-10 Savant Systems, Llc User-defined scenes for home automation
KR20210016672A (ko) * 2019-08-05 2021-02-17 배상훈 영상과 동기화된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7193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 디스플레이 상에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058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1086A (ko) * 2011-09-20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공유
US20160070244A1 (en) * 2014-09-09 2016-03-10 Savant Systems, Llc User-defined scenes for home automation
KR20210016672A (ko) * 2019-08-05 2021-02-17 배상훈 영상과 동기화된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7193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 디스플레이 상에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4363A1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19682A1 (ko) 엣지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WO20220256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thereof
WO2022019681A1 (ko) 엣지 컴퓨팅 시스템 및 연결 기기 추천 방법
WO2022030836A1 (ko)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4076084A1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24846A1 (ko) Iot 환경의 허브 장치 및 로컬 네트워크 기반 이벤트 처리 방법
WO2022030860A1 (ko) Iot 환경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2060046A1 (ko) 엣지 컴퓨팅 시스템 및 엣지 컴퓨팅 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WO2022030814A1 (ko)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22163894A1 (ko) Esim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file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4049088A1 (ko) 미디어 기반의 조명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WO2023149659A1 (ko) 수면 상태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69276A1 (ko)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221124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동적 조건으로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
WO2024029715A1 (ko)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092458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태스크 수행을 위한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
WO2023121041A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49797A1 (ko) 위치 기반의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매체
WO2023043073A1 (ko)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WO2024043492A1 (ko) 사물 인터넷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80543A1 (ko) 비디오 서머리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45820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송신 방법
WO2024034787A1 (ko)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27073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타겟 장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객체를 출력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51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