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0396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0396A1
WO2024010396A1 PCT/KR2023/009588 KR2023009588W WO2024010396A1 WO 2024010396 A1 WO2024010396 A1 WO 2024010396A1 KR 2023009588 W KR2023009588 W KR 2023009588W WO 2024010396 A1 WO2024010396 A1 WO 20240103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x
terminal
nes
stat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5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상규
에기월아닐
김상진
정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103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03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finitions

  • This disclosure relates to terminal and base station oper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specific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when NES mode and DRX are se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 5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efines a wide frequency band to enable fast transmission speeds and new services, and includes sub-6 GHz ('Sub 6GHz') bands such as 3.5 gigahertz (3.5 GHz) as well as millimeter wave (mm) bands such as 28 GHz and 39 GHz.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t in the ultra-high frequency band ('Above 6GHz') called Wave.
  • 'Sub 6GHz' sub-6 GHz
  • mm millimeter wave
  • Wave ultra-high frequency band
  • 6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called the system of Beyond 5G
  • Terra is working to achieve a transmission speed that is 50 times faster than 5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n ultra-low delay time that is reduced to one-tenth. Implementation in Terahertz bands (e.g., 95 GHz to 3 THz) is being considered.
  • ultra-wideband services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 numerology support multiple subcarrier interval operation, etc.
  • dynamic operation of slot format initial access technology to support multi-beam transmission and broadband
  • definition and operation of BWP Band-Width Part
  • New channel coding methods such as 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for data transmission and Polar Code for highly reliable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 L2 pre-processing L2 pre-processing
  • dedicated services specialized for specific services. Standardization of network slicing, etc., which provides networks, has been carried out.
  • V2X Vehicle-to-Everything
  • NR-U New Radio Unlicensed
  • UE Power Saving NR terminal low power consumption technology
  • NTN Non-Terrestrial Network
  • IAB provides a node for expanding the network service area by integrating intelligent factories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to support new services through linkage and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and wireless backhaul links and access links.
  • Intelligent factories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IIoT
  • Mobility Enhancement including Conditional Handover and DAPS (Dual Active Protocol Stack) handover
  • 2-step Random Access (2-step RACH for simplification of random access procedures)
  •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wireless interface architecture/protocol for technologies such as NR is also in progress
  • 5G baseline for incorporating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and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technology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system architecture/services for architecture (e.g.,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and Mobile Edge Computing (MEC), which provides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also in progress.
  • 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 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 FD-MIMO full dimensional MIMO
  • array antennas to ensure coverage in the terahertz band of 6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 multi-antenna transmission technology such as Large Scale Antenna, metamaterial-based lens and antenna to improve coverage of terahertz band signals, high-dimensional spatial multiplexing technology using OAM (Orbital Angular Momentum), RIS ( In addition to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technology, Full Duplex technology, satellite,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to improve the frequency efficiency of 6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ystem network are utilized from the design stage and end-to-end.
  • a method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o reduce power to the network and discontinuous reception to reduce power of the terminal. , Checking whether the DRX) operation is set, if both the NES operation and the DRX operation are set for the terminal, turning on/off the network energy (NE) state based on the NES operation. /off), and when the NE state is off, determining that it is a DRX inactive period based on the DRX operation.
  • NES network energy saving
  • a method performed by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to group a message for configuring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o reduce network power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Transmitting in a transmission manner and transmitting a MAC CE including bitmap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network energy (NE) state is on/off based on the NES operation; , when both the NES operation and the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for reducing power of the terminal are set for the terminal,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NE state is on/off based on the MAC CE, When the NE state is off, it may be determined to be a DRX inactive period based on the DRX operation.
  •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ransmitting in a transmission manner and transmitting a MAC CE including bitmap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network energy (NE) state is on/off based on the NES operation; , when both the NES operation and the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for reducing power of the terminal are set for the terminal,
  • the terminal is set to have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o reduce power to the network and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to reduce power of the terminal.
  • NES network energy saving
  • DRX discontinuous reception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group message to the transceiv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to set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o reduce power to the network.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ransceiver to transmit a MAC CE containing bitmap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network energy (NE) state is on/off based on the NES operation. Including, when both the NES operation and the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for power reduction of the terminal are set for the terminal, whether the NE state is on/off based on the MAC CE is determined by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E state is off, it may be determined to be a DRX inactive period based on the DRX operation.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ducing network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Active Time of a base station due to DRX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applying DRX setting values for each NES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pplying DRX setting values according to NES mode ac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NES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DR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7 shows the NES mode activation MAC CE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8 shows a NES mode setting method by group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Active Time of DR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applying DRX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MAC tim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 MAC tim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node a term referring to network entities
  • a term referring to messages a term referring to an interface between network objects
  • a term referring to various typ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term referring to various typ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following are exampl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rms described below, and other terms referring to objects having equivalent technical meaning may be used.
  • the base station is the entity that performs resource allocation for the terminal and may be at least one of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wireless access unit, base station controller, or node on the network.
  • a terminal may include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station (MS), a cellular phone, a smartphone, a computer, or a multimedi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s.
  • UE user equipment
  • MS mobile station
  • UL uplink
  • UL refers to a wireless transmission path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 LTE or LTE-A system may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with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or channel types.
  • 5G new radio, NR
  • 5G hereinafter refers to existing LTE, LTE-A, and It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other similar services.
  • this disclosure may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through some modifications without significantly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with skilled technical knowledge. 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processing flow diagram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 diagram diagrams can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described in the flow chart block(s). It creates the means to perform functions.
  •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manufactured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generating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 diagram block(s).
  •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to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t is possible for the blocks to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 the term '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 ⁇ unit' refers to what roles. It can be done.
  • '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the '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 ⁇ part'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 the present invention uses terms and names defined in the 5GS and NR standards, which are standards defined by the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organization among currently existing communication standards.
  •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names, and can be equally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omplying with other standard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3GPP 5GS/N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ducing network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base station 110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130, 140, and 150.
  • each terminal 120, 130, 140, 150 is in a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mode) with an RRC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stablished, an inactive mode (RRC_INACTIVE mode) with an RRC connection released, or an idle mode (RRC_IDLE mode).
  • RRC_CONNECTED mode RRC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stablished
  • RRC_INACTIVE mode an inactive mode
  • RRC_IDLE mode idle mode
  • Terminals in various RRC modes may be located in the coverage of on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110 may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to a plurality of these terminals 120, 130, 140, and 150. Therefore, the base station 110 may have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terminal.
  • the 5th gener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requires high-speed transmission must have higher bandwidth, higher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nd higher reception sensitivity for high-speed transmission, which can lead to high power consumption. Since the number of base stations managed by on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ranges from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base stations, high power consump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base stations can increase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herefore, a metho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is needed.
  •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achieved by the base station 110 temporari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Temporarily blocking the power of the base station's transceiver may be possible only when the base station 110 is not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that must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 the state of whether the base station 110 has turned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is indicated by the NE (Network Energy) state (State) 160.
  • the NE state of the base station 110 is ON (170), the base station 110 can perform procedures necessary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terminal while the transceiver is turned on.
  • the base station 110 may indicat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n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perform data transmission on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using 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or uplink Configured Grant (CG) resources, which are resources that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allocates to the terminal.
  • SPS Semi-Persistent Scheduling
  • CG uplink Configured Grant
  • the base station 110 may change the NE state to OFF (180) and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 the terminal can als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turning off the power to the terminal's transceiver and avoid performing unnecessary communication procedures.
  • Transition of the NE state of the base station 110 may occur for a predefined time or may be changed by separate control information.
  • the NE state 160 of FIG.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hows a transition 190 back to the ON state after a set OFF state time 180.
  • the base station 110 may turn off all transceiver power in the NE OFF state 180, but in some embodiments, som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s may be achieved by disabling som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of the base station 110.
  • the base station 110 may periodically deactivate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SP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10 may disable downlink SPS transmission in the NE OFF state. 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110 may not receive the CG in the NE OFF state by deactivating the uplink CG transmiss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110.
  • the base station 110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bout whether to disable so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and the terminal does not perfor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deactivated by the base station 110, so that the terminal can als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 the operation mode of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terminal for the NE OFF state of the base station 110 may be referred to as NES (Network Energy Saving) mode.
  • NES Network Energy Saving
  • only the NE OFF state of the bas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NES mode.
  • the detailed definition of the NES mode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but the process in which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terminal perform separate operation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11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NES mode.
  • NES mode is a techniqu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and can be set simultaneously with the DRX (Discontinuous Reception) technique, which is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 DRX Continuous Reception
  • the DRX method set for the connected mode (RRC_CONNECTED) terminal is also called C-DRX (Connected-DRX).
  • C-DRX Connected-DRX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Active Time of a base station due to DRX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intermittently performs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and while PDCCH monitoring and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based on the PDCCH are not performed, the terminal temporarily turns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to control the terminal.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time when the terminal performs PDCCH monitoring is called Active Time, and the condition of Active Time can be defined as a time that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 each terminal may have terminal-specific DRX settings.
  • the DRX settings values are DRX offset (211, 221) (determined by drx-SlotOffset and drx-LongCycleStartOffset),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RetransmissionTimerDL and drx-RetransmissionTimerUL), drx-HARQ- RTT-Timer (drx-HARQ-RTT-TimerDL and drx-HARQ-RTT-TimerUL), DRX Cycle (212) (drx-ShortCycle and drx-LongCycle, in the example of Figure 2, DRX Cycle (212) of terminal 1 and terminal 2 ) is assumed to have the same length) may be included. Due to the DRX setting values that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terminal, different terminals may have Active Time at different times.
  • DRX is an oper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is not an oper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If the base station needs to perform 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with at least one terminal, it cannot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Therefor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2, in an embodiment in which only DRX is set for a terminal, the base station 230 can temporarily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only when the DRX group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10 and 220 is not Active Time. there is. In this way, temporari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t the base station 230 may be similar to the NE OFF state. In the embodiment of FIG.
  • the status of the base station 230 as “off” indicates a time when no terminal is Active Time.
  • the ratio of the time in the NE OFF state of the base station 230 may be small.
  • the reason why the NE OFF state time of the base station 230 is short is because each terminal 210 and 220 has different DRX setting values, so the base station 230 is in the NE ON state in which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turned on and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s are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likelihood of having to maintain it increases. This operation of DRX may result in inefficiency in base station power consumption. Therefore, a method is need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performs NES mode operation, the DRX settings of the terminals may need to be set separately.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applying DRX setting values for each NES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shows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separately has a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 set for each terminal and a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 commonly set for multiple terminals for the NES mode.
  • DRX configuration information values include DRX offset (determined by drx-SlotOffset and drx-LongCycleStartOffset),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RetransmissionTimerDL and drx-RetransmissionTimerUL), drx-HARQ-RTT-Timer (drx-HARQ-RTT-Timer) -HARQ-RTT-TimerDL and drx-HARQ-RTT-TimerUL), DRX Cycle (drx-ShortCycle and drx-LongCycle) may be included.
  •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s can be commonly used regardless of the NES mode, but some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s are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s applied when the NES mode is activated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NES mode is set) When the NES mode is not activated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NES mode is not set), the applied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 can be set separately.
  • the applied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 is an RRC message, a system information block, or a group scheduling message (G-RNTI (Group-RNTI)). I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method among the group transmissions used).
  • the applied DRX configuration information valu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an RRC message sent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f the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 applied when the NES mode is activated is not set separately, the terminal may apply the DRX information value assigned to each terminal that is applied when the NES mode sent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not activated.
  • the NES mode can be set by the base station to multiple terminals.
  • the NES mode setting may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of an RRC message, a System Information Block, or a group scheduling message.
  • DRX C-DRX
  • C-DRX can be set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by sending an RRC message.
  • the NES mode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by the base sta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NES mode can be done by the base station sending the terminal to one of the RRC messages, MAC CE (Medium Access Control - Control Element), or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messages transmitted on the PDCCH.
  • MAC CE Medium Access Control - Control Element
  •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step 320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NES mode is activated at any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ES mode is activated, the terminal can use the common DRX settings set for multiple terminals. (330) On the other hand, if this is not the case and the NES mode is not activated, the DRX settings assigned to each terminal can be applied and used. (340)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pplying DRX setting values according to NES mode ac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can use the common DRX setting value to be used when activating the NES mode set by the base station for multiple terminals.
  • the DRX offset indicated by the common offset (411, 421) and the DRX Cycle (412, assuming the same value for terminal 1 and terminal 2) are commonly used by the terminal when NES mode is activated.
  • the parameters of commonly used DRX setting values may vary.
  • multiple terminals using the common offset can start drx-onDurationTimer (413, 423) at the same time of the common offset.
  • the DRX setting information value to be used is sent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of an RRC message, a System Information Block, or a group scheduling message. can be transmitted.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NES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NES mode is a techniqu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can perform operations that transition between the NE OFF state, which turns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nd the NE ON state, which turns on the transceiver and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 the NES mod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an RRC message or system information block.
  • the terminal can set the NES mode based on the NES mode se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RC message or system information block.
  • the NES mode can be activat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low traffic volume, small number of terminals in the cell, etc., and activation of this NES mode can be activated when the base station sends an RRC message, MAC CE, system information block, or group scheduling message (G -RNTI (group transmission using group-RNTI) may be instruc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method, and the terminal may apply activation of the NES mode.
  • G -RNTI group transmission using group-RNTI
  • the terminal can check whether the status of the base station is NE OFF.
  • NE OFF of the base station instead of NE OFF of the base station, it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not Active Time in NES mode from the terminal's perspective. In other embodiments, other terms from the terminal's perspective for the NE OFF state may be used. If the NE is in OFF state, the terminal may not perform reception of the configured downlink SPS transmission. If in the NE OFF state, the terminal may not perform transmission of the configured uplink CG transmission. (530)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does not transmit downlink SPS transmission and does not perform reception of uplink CG transmission, thereby temporari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base station transceiver, thereby achieving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
  • the UE in the NE OFF state, may not perform aperiodic CSI transmission, SRS transmission, SR transmission, HARQ feedback transmission (transmission of the HARQ codebook), etc. transmitted by the UE on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the terminal can perform reception of the configured downlink SPS transmission. If the NE ON state (if the terminal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NE ON state), the terminal can transmit the configured uplink CG transmission. (540)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downlink SPS transmission and receive uplink CG transmiss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DR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DRX is a techniqu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nected mode terminals.
  • the terminal can perform an operation to transition between a section other than Active Time, which does not perform PDCCH monitoring, and Active Time, which performs PDCCH monitoring.
  • DRX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an RRC message so that the terminal can configure DRX.
  • DRX allows the base station to determine settings based on the terminal's traffic amount, the terminal's remaining power amount information, etc.
  • DRX is set and activated for the terminal. (610)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check in each cell whether the DRX group of that cell is Active Time.
  • the terminal can monitor the PDCCH of the cell of the DRX group using the set RNTI.
  • the terminal can turn on the terminal's transceiver, monitor the PDCCH, and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DCCH monitoring results.
  • the terminal can temporarily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nd perform an oper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 reception of downlink SPS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of uplink CG transmission may need to be performed. If the NES mode is set and activated and is in the NE OFF state, reception of downlink SPS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of uplink CG transmission may not be performed. In this way, DRX controls the PDCCH monitoring of the terminal, and the NES mode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 Figure 7 shows the NES mode activation MAC CE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ransition between NE OFF state and NE state of the base station or terminal due to power off of the base station's transceiver can be set and operated for each cell set in the terminal.
  • the NES mode of the terminal can be set and activated for each cell.
  • the base station can instruct the terminal to activate the NES mode for each cell in MAC CE format.
  • the base station indicates NES mode activation in MAC CE format including a bitmap.
  • an 8-bit long message is assumed, but the actual number of bits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the bit in Ni is set to 1
  • the bit in Ni is set to 0. It can be.
  • the index i value of Ni can use the cell index value.
  • the base station may define the index i value of the MAC CE for NES mode activation as a separate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one cell and set it to the terminal through an RRC message.
  • Figure 8 shows a NES mode setting method by group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base station typically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to multiple terminals
  •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when multiple terminals connected to a cell (or BWP) operated by the base station are set to NES mode. Therefore, setting the NES mode for a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can be done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or at a similar point in time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Therefore,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an instruction to set or activate the NES mod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 multicast or broadcast format.
  • the embodiment of FIG. 8 shows that the base station 810 performs group transmission 850 to set the NES mod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820, 830, and 840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 the group transmission method may be transmission through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or a group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ommonly assign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 Terminal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an operate in NES mode by receiving the NES mode settings through group transmission and then applying the NES mode settings.
  • operating in NES mode may mean that the terminal transitions between the NE OFF state and NE ON state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rules.
  • the base station in order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NES mode, can transmit a message to the terminal instructing the terminal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NES mode using a group transmission method of step 850.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Active Time of DR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intermittently performs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and while PDCCH monitoring and resulting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are not performed, the terminal temporarily turns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to maintain the terminal'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time when the terminal performs PDCCH monitoring is called Active Time, and the condition of Active Time can be defined as a time that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 the base station turns off the power to the transceiver in the NE OFF state of the NES mode, so even if the DRX's Active Time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from Condition 1 to Condition 5 abov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d receives. The action may not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not need to perform PDCCH monitoring required by Active Time.
  • the terminal can check whether DRX and/or NES mode is set. In the embodiment of Figure 9, it is assumed that DRX and NES modes are set simultaneously in the terminal. (910)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check whether the base station is in the NE OFF state. (920) As a result of confirmation, if the base station is in the NE OFF state, the terminal does not need to perform the DRX Active Time operation. Therefore, considering that it is not the current Active Time of the DRX group, operations can be performed when it is not Active Time. (930) For example, the terminal does not need to perform PDCCH monitoring, and at this time, it can perform an oper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turning off the power to the terminal transceiver.
  • the terminal can determine Active Time according to the Active Time conditions of the current DRX group. (9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may be in the NE ON state without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ctive time based on DRX operation. For example, if at least one of conditions 1 to 5 above is satisfied, it can be considered Active Time and PDCCH monitoring can be performed. If all of the conditions from Condition 1 to Condition 5 above are not satisfied, it can be considered not to be Active Time.
  •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applying DRX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C-DRX DRX
  • the terminal intermittently performs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and while PDCCH monitoring and resulting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are not performed, the terminal temporarily turns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to maintain the terminal'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base station may be less efficient in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fore, in terms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it may be unnecessary for the terminal to perform the DRX operation.
  • the terminal may not need to perform PDCCH monitoring as well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 DRX is configured in the terminal. (1010)
  • the state of the terminal in step 1010 may mean that the terminal has received DRX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check whether the NES mode of the base station is set and activated.
  • setting the NES mode may mean activation if the terminal must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NES mode when setting the NES mode without a separate activation procedure. If the NES mode is set and activated, the terminal can perform NES mode operation by ignoring the DRX setting information set in the terminal and applying the NES mode setting information. (1030)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not apply DRX setting information such as DRX Cycle. In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may follow NES mode operation regardless of the DRX Active Time condition. If the NES mode is not set and activated in step 1020, the terminal can perform DRX operation by applying the set DRX setting information. (1040) For example,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ctive time and non-active tim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DRX configuration information.
  • the terminal prioritizes NES mode and performs NES mode operation and does not perform DRX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base station.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MAC tim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base sta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so a terminal set to NES mode may also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nd not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 a terminal set to NES mode may also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nd not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 the terminal's MAC layer timer is running, continuing the running timer may result in inefficiency of the MAC layer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NE OFF state is entered while the bwp-InactivityTimer is operating, the bwp-InactivityTimer may not be restarted because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scheduling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NE OFF state.
  • the bwp-InactivityTimer expires and the BWP returns to the default BWP. can be changed. However, this operation may be an unnecessary BWP change operation. In this way, the timer that operates due to the NE OFF state continues to operate unnecessarily in the NE OFF state,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imer expiration.
  •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 MAC tim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base sta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so a terminal set to NES mode may also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nd not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 a terminal set to NES mode may also turn off the power of the transceiver and not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 the terminal's MAC layer timer is running, continuing the running timer may result in inefficiency of the MAC layer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NE OFF state is entered while the bwp-InactivityTimer is operating, the bwp-InactivityTimer may not be restarted because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scheduling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NE OFF state.
  • the bwp-InactivityTimer expires and reverts to the default BWP (Default BWP).
  • Default BWP the default BWP
  • this operation may be an unnecessary BWP change operation. In this way, the timer that operates due to the NE OFF state continues to operate unnecessarily in the NE OFF stat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timer expiration.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transceiver unit 1310, a control unit 1320, and a storage unit 1330.
  • the transceiver unit 1310, control unit 1320, and storage unit 133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network devices may als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the base station.
  • the components of the base st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 a base station may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described above.
  •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transceiver 1310 and a control unit 1320.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310, the control unit 1320, and the storage unit 13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chip.
  • the transceiving unit 1310 is a general term for the receiving uni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ransmitting unit of the base station,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a terminal, another base station, or other network devices.
  •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s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 the transceiver 1310 may transmit system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nd may transmit a synchronization signal or a reference signal.
  • the transceiver 1310 may be composed of an RF transmitter that up-converts and amplifies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that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with low noise and down-converts the frequency.
  • the transceiver 1310 may include a wired or wireless transceiver and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dditionally, the transceiver 1310 may receive a signal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eg, a wireless channel) and output it to the control unit 1320, and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320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Additionally, the transceiver unit 1310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it to a processor, and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to a terminal, another base station, or another entity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 a communication channel eg, a wireless channel
  • the storage unit 1330 can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1330 may store control information or data included in signals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 the storage unit 1330 may be composed of a storage medium such as ROM, RAM, hard disk, CD-ROM, and DVD, or a combination of storage media.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1330 may stor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310 and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20.
  • control unit 1320 may be defined as a circuit 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at least one processor.
  • the processo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that performs control for communication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at controls upper layers such as application programs.
  • the control unit 13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20 can control signal flow between each block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flowchart described above.
  • control unit 1320 transmits a message for configuring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o reduce network power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group transmission method, and the NES Based on the operation, the transceiver unit 1310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MAC CE including bitmap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network energy (NE) state is on/off.
  • NES network energy saving
  • the group transmission method may be based on system information or a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set for the plurality of terminals.
  •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may include a transceiver 1410, a control unit 1420, and a storage unit 1430.
  • the transceiver unit 1410, control unit 1420, and storage unit 143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 the terminal may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 the terminal may include a transceiver 1410 and a control unit 1420.
  • the transceiver 1410, control unit 1420, and storage unit 14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chip.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10 is a general term for the terminal's receiving unit and the terminal's transmitting unit,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a base station, other terminals, or network entiti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 the transceiver 1410 may receive system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and may receive a synchronization signal or a reference signal. To this end, the transceiver 1410 may be composed of an RF transmitter that up-converts and amplifies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that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with low noise and down-converts the frequency.
  • the transceiver 1410 may include a wired or wireless transceiver and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dditionally, the transceiver 1410 may receive a signal through a wireless channel and output it to the control unit 1420, and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420 through a wireless channel. Additionally, the transceiver unit 1410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it to a processor, and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to a network entity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 the storage unit 1430 can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terminal. Additionally, the memory 1430 may store control information or data included in signals obtained from the terminal.
  • the storage unit 1430 may be composed of a storage medium such as ROM, RAM, hard disk, CD-ROM, and DVD, or a combination of storage media.
  • control unit 1420 may be defined as a circuit,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at least one processor.
  • the processo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that performs control for communication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at controls upper layers such as application programs.
  • the control unit 14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posed in this disclosu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20 can control signal flow between each block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flowchart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20 determines whether a network energy saving (NES) operation to reduce power to the network and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to reduce power of the terminal are set.
  • NES network energy saving
  • DRX discontinuous reception
  • the control unit 1420 determines whether it is a DRX active/inactive section based on the DRX oper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the DRX active section, the DRX activ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X active section is determined.
  • control can be made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RX inactive period.
  • the control unit 1420 may control PDCCH monitoring to be performed when the DRX active period is determined, and PDCCH monitoring not to be performed if the DRX inactive period is determined.
  • the control unit 1420 can control to check whether the NES operation is set based on a message transmitted in a group transmission method for setting the NES operation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 the group transmission method may be based on system information or a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set for the plurality of terminals.
  •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whether the NE state is on/off can be indicated by bitmap information using MAC CE.
  •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stores one or more programs (software modules) may be provided.
  •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re configured to be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in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execution).
  • One or more programs include instructions that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execut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or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se program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flash memory, read only memory (ROM), and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magnetic disc storage device Compact Disc-ROM (CD-ROM: Compact Disc-ROM),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or other types of It can be stored in an optical storage device or magnetic cassette. Alternatively, it may be stored in a memory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some or all of these. Additionally, multiple configuration memories may be included.
  • the program may be opera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LAN (WLAN), or a storage area network (SAN), or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be stored on an attachable storage device that is accessible. This storage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device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external port. Additionally, a separate storage device on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LAN (WLAN), or a storage area network (SAN), or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be stored on an attachable storage device that is accessible. This storage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device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external port. Additionally, a separate storage device on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낮추기 위해 NES 모드 및 DRX가 설정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낮추기 위해 NES 모드 및 DRX가 설정된 경우, 통신을 위한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낮추기 위해 NES 모드 및 DRX가 모두 설정된 경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낮추기 위해 NES 모드 및 DRX가 모두 설정된 경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NES 동작 및 상기 DRX 동작이 상기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복수의 단말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지시하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MAC CE에 기반하여 상기 NE 상태의 on/off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ES 동작 및 상기 DRX 동작이 상기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송수신부 및 복수의 단말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지시하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MAC CE에 기반하여 상기 NE 상태의 on/off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ES 모드 및 DRX를 모두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전력 소모 감소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동작으로 인한 기지국의 Active Tim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 별 DRX 설정 값 적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 활성화에 따른 DRX 설정 값을 적용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 활성화 MAC CE 형식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전송에 의한 NES 모드 설정 방식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의 Active Tim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설정 정보의 적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타이머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타이머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 예로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 형태를 갖는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의 5G는 기존의 LTE, LTE-A 및 유사한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단체에서 정의하는 표준인 5GS 및 NR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무선통신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3GPP 5GS/NR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전력 소모 감소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10)은 복수의 단말(120, 130, 140, 15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각 단말들(120, 130, 140, 150)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설정된 연결모드 (RRC_CONNECTED mode) 이거나 RRC 연결이 해제된 비활성모드 (RRC_INACTIVE mode) 이거나 유휴모드 (RRC_IDLE mode)일 수 있다. 다양한 RRC 모드의 단말이 하나의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할 수 있고 기지국(110)은 이러한 복수의 단말들(120, 130, 140, 15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10)은 단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소모량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속 전송을 요구하는 5세대 (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고속 전송을 위해서 더 높은 대역폭, 더 높은 송신신호세기, 더 높은 수신 감도를 가져야 하고, 이는 높은 전력 소모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나의 이동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기지국의 수는 적게는 수 만, 많게는 수십만 기지국이 되기 때문에 기지국을 포함한 통신 네트워크의 높은 전력 소모량은 이동 통신망의 관리,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낮추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통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량 감소는 기지국(110)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의 송수신기의 전원의 일시적 차단은 기지국(11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단말과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만 가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10)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했는지의 상태를 NE (Network Energy) 상태(State) (160)로 나타내었다. 기지국(110)의 NE 상태가 ON인 경우 (170)에는 기지국 (110)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켜 둔 상태로 단말과의 송수신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단말에게 하향링크(Downlink)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자원 할당 정보를 지시하고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주기적으로 할당하는 자원인 하향링크 SPS (Semi-Persistent Scheduling) 또는 상향링크 CG (Configured Grant) 자원을 사용하는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110)이 단말과 송수신할 데이터가 없거나 적은 경우에 기지국(110)은 NE 상태를 OFF로 전환(180)하고,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110)의 NE 상태를 단말이 알고 있을 경우, 단말도 단말의 송수신기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한 통신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110)의 NE 상태의 천이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만큼 일어나거나, 별도의 제어정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NE state (160)은 설정된 OFF 상태의 시간 (180) 후에 다시 ON 상태로 전환(190)을 도시한다.
기지국(110)은 NE OFF 상태(180)에서 모든 송수신기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지만, 어떤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10)의 일부 송수신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일부의 전력소모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10)은 주기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SPS의 전송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10)은 NE OFF 상태에서 하향링크 SPS의 전송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기지국(110)에게 전송하는 상향링크 CG 전송을 비활성화하여 NE OFF 상태에서 기지국(110)이 CG의 수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110)은 일부 송수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고, 단말은 기지국(110)이 비활성화한 기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단말 또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단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기지국(110)의 NE OFF 상태을 위한 기지국(110)과 단말의 동작 모드를 NES (Network Energy Saving)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NE OFF 상태만을 NES 모드라고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세부적인 NES 모드의 정의는 다를 수 있으나 기지국(110)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하여 기지국(110)과 단말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NES 모드라고 칭할 수도 있다. NES 모드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기법이며,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방법인 DRX (Discontinuous Reception) 기법과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연결모드 (RRC_CONNECTED) 단말에게 설정되는 DRX 방식을 C-DRX (Connected-DRX)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경우 NES 모드와 DRX의 서로 다른 목적 및 상세동작으로 인하여 단말 동작의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NES 모드와 DRX가 동시에 설정될 때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동작으로 인한 기지국의 Active Time을 나타낸 도면이다.
DRX (C-DRX) 동작 시 단말은 간헐적으로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PDCCH 모니터링 및 상기 PDCCH에 기반한 상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단말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말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시간을 Active Time이라고 하고 Active Time의 조건은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조건 1. DRX 그룹에 설정된 drx-onDurationTimer 또는 drx-InactivityTimer가 동작하고(running) 있음
조건 2. drx-RetransmissionTimerDL, drx-RetransmissionTimerU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SL이 동작하고 있음
조건 3. ra-ContentionResolutionTimer 또는 msgB-ResponseWindow가 동작하고 있음
조건 4.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전송하는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이 pending 상태로 남아 있음
조건 5. 단말의 MAC 장치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에 대한 RAR (Random Access Preamble) 성공적인 수신 이후 C-RNTI로 할당한 초기전송을 지시하는 PDCCH를 아직 수신하지 못함
DRX 동작 시 각각의 단말은 단말 별 DRX 설정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DRX 설정 값은 DRX 오프셋 (211, 221) (drx-SlotOffset 및 drx-LongCycleStartOffset에 의해 결정됨),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RetransmissionTimerDL 및 drx-RetransmissionTimerUL), drx-HARQ-RTT-Timer (drx-HARQ-RTT-TimerDL 및 drx-HARQ-RTT-TimerUL), DRX Cycle (212) (drx-ShortCycle 및 drx-LongCycle, 도 2의 예시에서는 단말 1과 단말 2의 DRX Cycle (212)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단말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DRX 설정 값으로 인해 서로 다른 단말은 각각 다른 시간에 Active Time을 가지게 될 수 있다.
DRX (C-DRX)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동작이고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동작은 아니다.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에서 나타나듯이 단말에 대해 DRX만 설정되는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단말(210, 220)의 DRX 그룹이 Active Time이 아닌 경우에만 기지국(230)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230)에서 일시적으로 송수신기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은 NE OFF 상태와 유사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기지국(230)의 상태가 "off"로 표시된 것이 어떠한 단말도 Active Time이 아닌 시간을 나타낸다. 단말의 Active Time이 아닌 시간과 비교했을 때 기지국(230)의 NE OFF 상태의 시간의 비율은 작을 수 있다. 기지국(230)의 NE OFF 상태의 시간이 짧은 것은, 각각의 단말(210, 220)이 서로 다른 DRX 설정 값을 가짐으로 인해 기지국(230)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켜놓고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NE ON 상태를 유지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DRX의 동작은 기지국 전력 소모의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며, 가령 기지국이 NES 모드 동작을 수행할 경우 단말들이 가지는 DRX 설정 값은 별도로 설정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 별 DRX 설정 값 적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NES 모드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기법이고 DRX는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기법이기 때문에 두 가지 기법은 동시에 설정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기술하였듯이 DRX 동작은 기지국 전력 감소의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NES 모드가 설정되어 활성화될 시에 적용하는 DRX 설정 정보 값을 다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단말 별로 설정되는 DRX 설정 정보 값과, NES 모드를 위하여 다수의 단말에 공통으로 설정되는 DRX 설정 정보 값을 별도로 가지는 것을 방법을 나타낸다. DRX 설정 정보 값에는 DRX 오프셋(drx-SlotOffset 및 drx-LongCycleStartOffset에 의해 결정됨),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RetransmissionTimerDL 및 drx-RetransmissionTimerUL), drx-HARQ-RTT-Timer (drx-HARQ-RTT-TimerDL 및 drx-HARQ-RTT-TimerUL), DRX Cycle (drx-ShortCycle 및 drx-LongCycle)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일부의 DRX 설정 정보 값은 NES 모드와 관계 없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일부 DRX 설정 정보 값은 NES 모드의 활성화 상태 시(어떤 실시예에서는 NES 모드의 설정 상태 시) 적용하는 DRX 설정 정보 값과 NES 모드가 활성화 되지 않았을 시 (어떤 실시예에서는 NES 모드 비설정 상태 시) 적용하는 DRX 설정 정보 값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NES 모드의 활성화 상태 시 (어떤 실시예에서는 NES 모드의 설정 상태 시) 적용하는 DRX 설정정보 값은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그룹 스케쥴링 메시지(G-RNTI (Group-RNTI)를 사용한 그룹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NES 모드의 활성화 상태가 아닐 시 (어떤 실시예에서는 NES 모드 비설정 상태 시) 적용하는 DRX 설정 정보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NES 모드의 활성화 상태 시 적용하는 DRX 설정정보 값이 별도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한 NES 모드의 활성화 상태가 아닐 시 적용하는 단말 별로 할당된 DRX 정보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단말에게 NES 모드와 C-DRX가 함께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310) NES 모드의 설정은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NES 모드의 설정은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그룹 스케쥴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DRX (C-DRX)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NES 모드는 기지국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NES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RRC 메시지, MAC CE (Medium Access Control - Control Element) 또는 PDCCH로 전송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메시지 중 하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단말이 어떤 DRX 설정 값을 사용할 지는 각 시점에 NES 모드가 활성화 되었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20) 예를 들면, 단계 320에서 단말은 임의의 시점에 NES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만약 NES 모드가 활성화 상태라면, 단말은 다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공통 DRX 설정값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30) 한편, 그렇지 않고 NES 모드가 활성화 상태가 아닌 경우 단말 별로 할당된 DRX 설정값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40)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 활성화에 따른 DRX 설정 값을 적용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기술하였듯이 기지국이 NES 모드를 활성화하였을 때, 단말은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에게 설정한 NES 모드의 활성화 시 사용할 공통 DRX 설정 값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서는 공통 오프셋 (411, 421)로 표시한 DRX 오프셋과 DRX Cycle (412, 단말 1, 단말 2가 같은 값을 가정)이 NES 모드의 활성화 시 단말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공통으로 사용하는 DRX 설정 값의 파라미터는 다를 수 있다. DRX 오프셋을 공통으로 적용하는 경우 공통 오프셋의 동일한 시점에 공통 오프셋을 사용하는 다수 단말이 drx-onDurationTimer (413, 423)를 시작할 수 있다. 다수의 단말이 drx-onDurationTimer (413, 423)를 시작하는 것은 다른 시점에 기지국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끄는 NE OFF 상태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DRX Cycle의 경우에도 다수의 단말이 Active Time으로 천이하는 주기를 공통으로 갖기 때문에 기지국의 관점에서는 일부 단말의 Active Time으로 인하여 NE ON 상태로 천이하는 동작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도 4의 실시예에서 나타냈듯이, NES 모드를 활성화하였을 때 단말이 공통의 DRX 설정 값을 적용하는 것은 기지국 NES 모드 동작의 전력소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NES 모드를 활성화하였을 때 (어떤 실시예에서는 NES 모드를 설정하였을 때) 사용할 DRX 설정정보 값은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그룹 스케쥴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NES 모드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기법이다. NES 모드 동작 시 기지국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NE OFF 상태와 송수신기 전원을 켜고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NE ON 상태를 천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ES 모드의 설정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수신된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에 포함된 NES 모드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NES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NES 모드는 기지국이 낮은 트래픽 양, 적은 셀 내 단말 수 등에 의해 기지국이 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NES 모드의 활성화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RRC 메시지, MAC CE,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그룹 스케쥴링 메시지(G-RNTI (Group-RNTI)를 사용한 그룹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고, 단말은 NES 모드의 활성화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에게 NES 모드가 설정되고 활성화된 상태를 가정한다. (510) 이 때 단말은 기지국의 상태가 NE OFF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520) 어떤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NE OFF 대신 단말 관점에서 NES 모드의 Active Time이 아닌 것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NE OFF 상태에 대한 단말 관점의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NE OFF 상태라면 단말은 설정된 하향링크 SPS 전송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NE OFF 상태라면 단말은 설정된 상향링크 CG 전송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530) 이 때 기지국은 하향링크 SPS 전송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고, 상향링크 CG 전송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기지국 송수신기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전력 소모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에서는 NE OFF 상태에서 단말은 단말이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전송하는 비주기적 CSI 전송, SRS 전송, SR 전송, HARQ 피드백의 전송 (HARQ 코드북의 전송) 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5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만약 NE OFF 상태가 아니라면, 예를 들면 기지국이 NE ON 상태이거나 상기 NE ON 상태에 대응되는 단말의 상태라면, 단말은 설정된 하향링크 SPS 전송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NE ON 상태라면 (상기 NE ON 상태에 대응되는 단말의 상태라면), 단말은 설정된 상향링크 CG 전송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540) 이때 기지국은 하향링크 SPS 전송의 송신을 수행하고, 상향링크 CG 전송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DRX (C-DRX)는 연결모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기법이다. DRX가 단말에게 설정되면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Active Time이 아닌 구간과,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Active Time을 천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RX의 설정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RRC 메시지에 의해 전송되어 단말이 DRX를 설정할 수 있다. DRX는 기지국이 단말의 트래픽 양, 단말의 잔여 전력량 정보 등을 기반으로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에게 DRX가 설정되고 활성화 된 상태를 가정한다, (610) 이 때 단말은 각각의 셀에서 그 셀의 DRX 그룹이 Active Time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20) 확인 결과, 만약 DRX 그룹의 Active Time이라면 단말은 설정된 RNTI를 사용하여 해당 DRX 그룹의 셀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630) 이를 위해 단말은 단말의 송수신기 전원을 켜고 PDCCH를 모니터링 하고, PDCCH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확인 결과, 만약 DRX 그룹의 Active Time이 아니라면 단말은 해당 DRX 그룹의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DRX 그룹의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640) 이 경우 단말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DRX 그룹의 Active Time에도 하향링크 SPS 전송의 수신 및 상향링크 CG 전송의 송신은 수행해야할 수 있다. 만약 NES 모드가 설정되고 활성화되어 NE OFF 상태인 경우에는 하향링크 SPS 전송의 수신 및 상향링크 CG 전송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DRX는 단말의 PDCCH 모니터링을 제어하고 NES 모드는 그 외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ES 모드 활성화 MAC CE 형식을 나타낸다.
기지국의 송수신기 전원 차단에 따른 기지국 또는 단말의 NE OFF 상태 - NE 상태간 천이는 단말의 설정된 셀별로 설정되고 운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의 NES 모드는 각 셀별로 설정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MAC CE 형식으로 각 셀별 NES 모드의 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비트맵을 포함하는 MAC CE 형식으로 NES 모드 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8비트 길이의 메시지를 가정하였으나, 실제 비트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MAC CE의 각각의 Ni 비트(i=0,1,2,3,4,5,6,7)는 인덱스 i의 셀에 NES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i 비트의 값이 1인 경우 NES 모드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Ni 비트의 값이 0인 경우 NES의 모드의 비활성화 (또는 NES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덱스 i의 셀에 대해 NES 모드를 활성화하는 경우에는 Ni의 비트는 1로 설정되고, NES 모드를 비활성화(또는 NES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하는 경우에는 Ni의 비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Ni의 인덱스 i 값은 셀 인덱스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지국은 NES 모드 활성화를 위한 MAC CE의 인덱스 i 값을 하나의 셀에 대응되는 별도의 인덱스 값으로 정의하여 RRC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게 설정해 줄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전송에 의한 NES 모드 설정 방식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복수의 단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또는 BWP)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이 NES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NES 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복수의 단말에게 동시점 또는 비슷한 시점(소정의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NES 모드를 설정 또는 활성화의 지시를 복수의 단말에게 멀티캐스트(Multicast) 혹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810)이 기지국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820, 830, 840)에게 NES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그룹 전송(850)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공통적으로 부여된 그룹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통해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들은 그룹 전송에 의해 NES 모드의 설정을 수신한 후 NES 모드의 설정을 적용하여 NES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ES 모드로 동작하는 것은 단말이 상기 기술한 NE OFF 상태와 NE ON 상태를 규칙에 따라 천이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NES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기 위해서도 850 단계의 그룹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NES 모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의 Active Time을 나타낸 도면이다.
DRX (C-DRX) 동작 시 단말은 간헐적으로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PDCCH 모니터링 및 그로 인한 상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단말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말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시간을 Active Time이라고 하고 Active Time의 조건은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조건 1. DRX 그룹에 설정된 drx-onDurationTimer 또는 drx-InactivityTimer가 동작하고(running) 있음
조건 2. drx-RetransmissionTimerDL, drx-RetransmissionTimerUL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SL이 동작하고 있음
조건 3. ra-ContentionResolutionTimer 또는 msgB-ResponseWindow가 동작하고 있음
조건 4.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전송하는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이 pending 상태로 남아 있음
조건 5. 단말의 MAC 장치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에 대한 RAR (Random Access Preamble) 성공적인 수신 이후 C-RNTI로 할당한 초기전송을 지시하는 PDCCH를 아직 수신하지 못함
만약 NES 모드가 설정된 경우, NES의 모드의 NE OFF 상태에서는 기지국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상기 조건 1에서 조건 5까지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 DRX의 Active Time이더라도 기지국이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은 Active Time에서 요구하는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단말은 DRX 및/또는 NES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에 DRX와 NES 모드가 동시에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910) 이 때 단말은 기지국의 NE OFF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920) 확인 결과 만약 기지국의 NE OFF 상태라면 단말은 DRX Active Time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현재 해당 DRX 그룹의 Active Time이 아닌 것으로 고려하여 Active Time이 아닐 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930) 예를 들면,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이때 단말 송수신기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기지국의 NE OFF 상태가 아니라면 단말은 현재 해당 DRX 그룹의 Active Time 조건에 따라 Active Time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940)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NE ON상태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DRX 동작에 기반하여 active time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건 1에서 조건 5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경우 Active Time으로 고려하고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건 1에서 조건 5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Active Time이 아닌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는 NES 모드의 NE OFF 상태인 경우 DRX 동작에 관계 없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써 기지국의 송수신기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상황에서 단말의 불필요한 PDCCH 모니터링을 막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설정 정보의 적용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DRX (C-DRX) 동작 시 단말은 간헐적으로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PDCCH 모니터링 및 그로 인한 상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단말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DRX 동작은 단말 별 DRX 설정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기지국이 전력 소모 절감 효율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절감 측면에서는 DRX 동작을 단말이 수행하는 것이 불필요한 동작일 수 있다.
만약 NES 모드가 설정된 경우, NES의 모드의 NE OFF 상태에서는 기지국이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NE OFF 상태에서 단말 또한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NE OFF 상태에서는 단말이 데이터 송수신 동작뿐만 아니라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에 DRX가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1010) 단계 1010에서의 단말의 상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DRX 설정정보를 수신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기지국의 NES 모드가 설정되고 활성화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20) 어떠한 실시예에서는 NES 모드가 별도의 활성화 절차가 없이 NES 모드의 설정 시 단말이 NES 모드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면 NES 모드의 설정이 활성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만약 NES 모드가 설정되고 활성화 되었다면 단말은 단말에 설정된 DRX 설정 정보를 무시하고 NES 모드의 설정정보를 적용하여 NES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030) 예를 들어, 단말은 DRX Cycle 등의 DRX 설정 정보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은 DRX Active Time 조건에 관계 없이 NES 모드의 동작을 따를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NES 모드가 설정되고 활성화된 것이 아니라면, 단말은 설정된 DRX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DRX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040) 예를 들면, DRX 설정 정보에 따라 active time인 경우 및 아닌 경우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NES 모드와 DRX가 동시에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NES 모드를 우선화하여 NES 모드동작을 수행하고 DRX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타이머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NES 모드에서 NE OFF 상태의 경우, 기지국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때문에, NES 모드가 설정된 단말 또한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MAC 계층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다면 동작중인 타이머를 계속 진행하는 것은 MAC 계층 동작의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가령 bwp-InactivityTimer가 동작중일 때 NE OFF 상태에 진입하게 될 경우 NE OFF 상태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을 받지 않기 때문에 bwp-InactivityTimer가 재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NE OFF 상태 동안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NE OFF 상태에서 NE ON 상태로 천이한 후 bwp-InactivityTimer가 재시작되는 조건을 만족할 시간을 충분히 갖기 어려운 경우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되어 디폴트 BWP (Default BWP)로 BWP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작은 불필요한 BWP 변경 동작일 수 있다. 이렇듯 NE OFF 상태로 인하여 동작하는 타이머는 NE OFF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계속 동작하게 되어 타이머의 만료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비효율적인 타이머 동작이므로 NE OFF 상태에서는 동작하는 MAC 계층 타이머를 중지(suspend/pause)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NE 상태(1110)가 NE ON에서 NE OFF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가정한다. (1130) 이 때 단말의 어떤 MAC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다면 (1120) NE OFF 상태로 천이할 경우 동작하고 있는 타이머를 중지(suspend/pause)할 수 있다. 이후 NE ON 상태로 다시 천이할 때 (1140) 중지된 타이머를 다시 재개(resume)할 수 있다. (1150) 이러한 동작으로 단말은 NES 모드에서 동작중인 MAC 타이머의 만료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 기술한 타이머의 중지 및 재개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 sCellDeactivationTimer
- bwp-InactivityTimer
- configuredGrantTimer
- cg-RetransmissionTimer
- drx-HARQ-RTT-TimerDL
- drx-HARQ-RTT-TimerUL
- drx-RetransmissionTimerDL
- drx-RetransmissionTimerUL
- logicalChannelSR-DelayTimer
- sr-ProhibitTimer
- beamFailureRecoveryTimer
- drx-InactivityTimer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타이머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NES 모드에서 NE OFF 상태의 경우, 기지국은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때문에, NES 모드가 설정된 단말 또한 송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MAC 계층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다면 동작중인 타이머를 계속 진행하는 것은 MAC 계층 동작의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가령 bwp-InactivityTimer가 동작중일 때 NE OFF 상태에 진입하게 될 경우 NE OFF 상태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을 받지 않기 때문에 bwp-InactivityTimer가 재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NE OFF 상태 동안 이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NE OFF 상태에서 NE ON 상태로 천이한 후 bwp-InactivityTimer가 재시작되는 조건을 만족할 시간을 충분히 갖기 어려운 경우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되어 디폴트 BWP (Default BWP)로 BWP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작은 불필요한 BWP 변경 동작일 수 있다. 이렇듯 NE OFF 상태로 인하여 동작하는 타이머는 NE OFF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계속 동작하게 되어 타이머의 만료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비효율적인 타이머 동작이므로 NE OFF 상태에서는 동작하는 MAC 계층 타이머를 정지(stop)하고 추후 NE ON 상태로 복귀 시 다시 시작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NE 상태(1210)가 NE ON에서 NE OFF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가정한다. (1230) 상기 NE OFF 상태로 변경된 때 단말의 임의의 MAC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다면 (1220) NE OFF 상태로 천이할 경우 동작하고 있는 타이머를 정지(stop)할 수 있다. 이후 NE ON 상태로 다시 천이할 때 (1240) 상기 정지된 MAC 타이머를 다시 시작(start)할 수 있다. (1250) 이러한 동작으로 단말은 NES 모드에서 동작중인 MAC 타이머의 만료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서 기술한 타이머의 정지 및 재시작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 sCellDeactivationTimer
- bwp-InactivityTimer
- configuredGrantTimer
- cg-RetransmissionTimer
- drx-HARQ-RTT-TimerDL
- drx-HARQ-RTT-TimerUL
- drx-RetransmissionTimerDL
- drx-RetransmissionTimerUL
- logicalChannelSR-DelayTimer
- sr-ProhibitTimer
- beamFailureRecoveryTimer
- drx-InactivityTimer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310), 제어부 (1320), 저장부 (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지국의 통신 방법에 따라 송수신부(1310), 제어부(1320), 저장부(1330)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 또한 기지국의 구조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310) 및 제어부 (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310), 제어부(1320), 저장부(13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310)는 기지국의 수신부와 기지국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단말, 다른 기지국 또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3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13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부(13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10)는 통신 채널(예를 들어,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20)로 출력하고, 제어부(13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10)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망을 통해 단말, 다른 기지국 또는 다른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330)는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30)는 기지국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30)는 송수신부(1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13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3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3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20)는 복수의 단말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지시하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에 기반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410), 제어부 (1420), 저장부 (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송수신부(1410), 제어부(1420), 저장부(143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송수신부 (1410) 및 제어부 (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410), 제어부(1420), 저장부(14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410)는 단말의 수신부와 단말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기지국, 다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4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4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4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14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20)로 출력하고, 제어부(14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3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3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420)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4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20)는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ES 동작 및 상기 DRX 동작이 상기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NE 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활성화/비활성화(active/inactive) 구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in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20)는 복수의 단말에 대해 상기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NES 동작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E 상태의 on/off 여부는 MAC CE를 이용하여 비트맵 정보로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NES 동작 및 상기 DRX 동작이 상기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E 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활성화/비활성화(active/inactive) 구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in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에 대해 상기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NES 동작의 설정 여부가 확인되고,
    상기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E 상태의 on/off 여부는 MAC CE를 이용하여 비트맵 정보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지시하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MAC CE에 기반하여 상기 NE 상태의 on/off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E 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활성화/비활성화(active/inactive) 구간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in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상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ES 동작 및 상기 DRX 동작이 상기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E 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활성화/비활성화(active/inactive) 구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in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단말에 대해 상기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NES 동작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E 상태의 on/off 여부는 MAC CE를 이용하여 비트맵 정보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복수의 단말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감소를 위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그룹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NES 동작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에너지 (NE) 상태 (state)의 온/오프(on/off) 여부를 지시하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NES 동작 및 단말의 전력 감소를 위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이 단말에 대해 모두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MAC CE에 기반하여 상기 NE 상태의 on/off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NE 상태가 off인 경우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비활성화(inactive) 구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E 상태가 on인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DRX 동작에 기반하여 DRX 활성화/비활성화(active/inactive) 구간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상기 DRX inactive 구간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RX 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상기 상기 DRX inactive 구간으로 결정되면 PDCCH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않으며,
    상기 그룹 전송 방식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설정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CT/KR2023/009588 2022-07-06 2023-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103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28 2022-07-06
KR1020220083128A KR20240006273A (ko) 2022-07-06 2022-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396A1 true WO2024010396A1 (ko) 2024-01-11

Family

ID=8945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588 WO2024010396A1 (ko) 2022-07-06 2023-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6273A (ko)
WO (1) WO202401039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074A (ko) * 2015-01-21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70038792A (ko) * 2014-07-25 2017-04-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라디오 하이브리드 튠 어웨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고속 또는 신속 스케줄링 요청을 통해 lte 데이터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방법
WO2021087950A1 (en) * 2019-11-08 2021-05-14 Zte Corporation Power saving techniques
KR20220051203A (ko) * 2019-08-17 2022-04-26 지티이 코포레이션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그널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792A (ko) * 2014-07-25 2017-04-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라디오 하이브리드 튠 어웨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고속 또는 신속 스케줄링 요청을 통해 lte 데이터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방법
KR20160090074A (ko) * 2015-01-21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220051203A (ko) * 2019-08-17 2022-04-26 지티이 코포레이션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그널링 방법
WO2021087950A1 (en) * 2019-11-08 2021-05-14 Zte Corporation Power saving techniqu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MSUNG: "Network energy saving techniques", 3GPP TSG RAN WG1 #109-E, R1-2203920, 29 April 2022 (2022-04-29), XP05215325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273A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569524A (zh) 用于多链路设备的机会式链路外信道探测
US20220232440A1 (en) Configuration of carriers for non-mobility related purposes
WO202401039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21159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의 비연속적 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4392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및 비활성모드 단말의 nes 모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7195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절약을 위한 sps 및 cg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409644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전환을 위한 tci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8069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discontinuous reception (drx) 운용에서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round trip time (rtt) 타이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3132736A1 (ko) 원샷 harq 피드백을 위한 drx 타이머 제어
WO202401957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3911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전력감소 모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35122A1 (ko) Rrc 비활성 모드에서 mbs sps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7185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39196A1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초기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2400546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를 가진 단말의 파워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2407187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플릿 베어러 운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8071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인 항공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2994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를 가진 단말의 파워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2314194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WO2022154543A1 (ko) 논리 채널의 사용 가능한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349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onsidering traffic peri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211054A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dc 문제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0342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xdd 단말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321109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단말 간 협력 정보의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403918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p sdu 폐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5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