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34471A1 -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 Google Patents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34471A1
WO2023234471A1 PCT/KR2022/011422 KR2022011422W WO2023234471A1 WO 2023234471 A1 WO2023234471 A1 WO 2023234471A1 KR 2022011422 W KR2022011422 W KR 2022011422W WO 2023234471 A1 WO2023234471 A1 WO 20232344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
water
kit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14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ublication of WO20232344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344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for producing drip coffe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co-friendly drip coffee production kit made of paper materials that allows you to manufacture and enjoy high-quality coffee drinks without time and place restrictions without purchasing separate coffee-related supplies. It's about.
  • the most popular beverage is coffee, and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offe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area and cultivation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aimed at providing a drip coffee production kit that can produce and enjoy high-quality coffee drinks without time and location restrictions without purchasing separate coffee-related supplies. It has a purpose.
  •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 coffee beverage storage cup with a beverage space opened at the top to accommodate the coffee beverage inside, and a paper material.
  • a dripper is formed to be attachable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has a bean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upper part to accommodate ground coffee beans, and has a bottom surface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ner through which liquid passes. and a drip kettle having a water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to be poured in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dripper, wherein the drip kettle forms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an opening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 a body part that connects arbitrary first points and second point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upper part by different paths, and is shaped around the upper part along a pair of virtual connection curves that curve downward toward the center, and It is connected by a fold li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connection curves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direction of bending of the surface is changed depending on the folded posi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t includes a pair of cover parts that form a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area o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with the upper part shielded.
  • the pair of cover parts may be formed to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while shield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 the drip kettle may be formed to a standard that can accommodate the coffee beverage accommodating cup equipped with the dripper in the water accommodating space.
  • the drip kettle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an be gripped by the user.
  • a scale for measuring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offee beverage container cup, the dripper, and the drip kettle.
  • a folded guid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hole in such a way that the water flow path gradually narrows as it goes outward to guide the falling water.
  • a guide pipe that extends outward to guide falling water and forms a flow path for water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hole.
  • the guide tube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by a fold line.
  • the guide tube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es only a simple structure of a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a dripper, and a drip kettle made of paper material, so it is fresh and healthy even without separate coffee supplies. You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rew the coffee that suits your taste and enjoy it comfortab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plastic materials and is manufactured using only paper materials, so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 FIG. 1 is a diagram showing each component of a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dripper mounted on a coffee beverage container cup in the eco-friendly drip coffee production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drip kettle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production of a coffee beverage using an eco-friendly drip coffee production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and a dripper accommodated inside a drip kettle in the eco-friendly drip coffee manufacturing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drip kettle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drip kettle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drip kettle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drip kettle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each component of a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dripper 200 mounted on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in the eco-friendly drip coffee manufacturing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drip kettle 300 in the eco-friendly drip coffee manufacturing k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production of a coffee beverage using an eco-friendly drip coffee production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co-friendly drip coffee manufacturing kit includes a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a dripper 200, and a drip kettle 300.
  •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is made of paper material, and a beverage space 110 with an open top is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coffee beverage.
  • the dripper 200 is made of a feeder material and can be mounted on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and has a bean receiving space 210 with an open upper portion to accommodate ground coffee beans. It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ner through which liquid passes.
  • the drip kettle 300 is formed with a water receiving space 310 with an open top inside the drip kettle 300 to accommodate water to be poured into the open top of the dripper.
  • a drip kettle 300 may also be made of a paper material, but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 the drip kettle 300 includes a body portion 320 and a pair of cover portions 330 in detail.
  • the body portion 320 forms a water receiving space 310 therein, and an arbitrary first point (P1) and a second point (P1)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 P2) is connected by different paths, but has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the upper circumference along a pair of virtual connection curves that curve downward toward the center.
  • the cover part 330 is connected by a folding li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connection curves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320,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is bent is changed depending on the folded position, and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is formed. It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 the cover part 330 shields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and has a pass hole 311 of a predetermined area on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user can tilt the drip kettle 300 while holding it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can pour out through either side of the pair of passage holes 311. In this case, air flows into the passage hole 311 on the opposite side.
  • the cover part 330 when the cover part 330 is not folded relative to the body part 320 as shown in FIG. 1 and is unfolded upward, it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to have a curvatur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320, thereby creating a water receiving space.
  • the upper part of 310 is opened, and on the contrary, when i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320 as shown in FIG. 3, the body part 320 is deformed to have a curva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end, thereby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It can be shielded.
  • the pair of cover parts 330 are form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while shield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thereby forming a more robust structure.
  • a scale G for measuring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dripper 200, and drip kettle 300.
  • a scale (G) is formed on all of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dripper 200, and drip kettle 300.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and the dripper 200 accommodated inside the drip kettle 300 in the eco-friendly drip coffee manufacturing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p kettle 300 is formed to a standard that can accommodate a coffee beverage accommodating cup (100) equipped with a dripper 200 in the water accommodating space 310, so that the drip kettle ( 300) It can be supplied to the market as a packag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advantage of excellent portability.
  • the user arranges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dripper 200, and drip kettle 300 as shown in FIG. 1, and places the dripper 200 on the top of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as shown in FIG. 2. Install it.
  • the type of ground coffee beans selected by the user is put into the bean receiving space 210 of the dripper 200.
  • the user fills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of the drip kettle 300 with high temperature water and then folds the cover portion 330 as shown in FIG. 3 to shield the open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 the user tilts the drip kettle 300 while holding it as shown in FIG. 4 and injects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into the bean receiving space 210 of the dripper 200 through the passage hole 311 on one side. do.
  • the coffee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dripper 200 is collected in the beverage space 110 of the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and the user drinks 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ufficient amount of coffee beverage has been prepared. I do i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ly a simple configuration of a coffee beverage receiving cup 100, a dripper 200, and a drip kettle 300 made of paper material, so that it is fresh, healthy, and tastes good even without separate coffee supplies. You can brew the coffee that suits you and enjoy it comfortab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plastic materials and is manufactured using only paper materials, so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drip kettle 300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part of the body portion 320 of the drip kettle 300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hole 311 has a water flow path moving outward to guide the falling water.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olded guide portion 321 is formed in a gradually narrowing shape.
  • water can be accurately injected into a desired location through the drip kettle 300, and in particular, the guide portion 321 can be easily formed by simply folding the body portion 320 itself, making it easy to use. there is.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drip kettle 300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part of the body portion 320 of the drip kettle 300,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hole 311, extends long outward to guide the falling water.
  • the guide tube 322 forming the flow path is additionally connected.
  • This guide tube 32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320 by a fold line,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320.
  •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tube 322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without limitation.
  • the guide pipe 322 is formed to have a 'V' shaped cross section with an open top, but unlike this, the guide pipe 322 has a closed cross section shape such as a circle, triangle, etc. may be formed.
  • the guide portion 321 and the guide tube 322 are made of silicon along with the body of the drip kettle 300. It can also be implemented and manufactured as an integrated piece.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drip kettle 300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p kettle 300 is formed in a form that further includes a handle portion 340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20 and can be gripped by the user.
  • This handle portion 340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grip and use the drip kettle 300.
  • a pair of handle portions 340 ar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20, and the user grips the pair of handle portions 340 by overlapping them with one another. It can support the weight more stably.
  • the handle portion 340 may be folded from the body portion 320 before use and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20. In this case, the handle portion 34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320.
  • An insertion fixing groove 323 may be formed into which a portion of the is inserted and fixed.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drip kettle 300 in the kit for producing eco-friendly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dy portion 320 of the drip kettle 300 is located at an arbitrary first point (P1)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 and the second point (P2)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curvatures, so that the body portion 320 and the cover portion 3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through different paths.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second point (P2).
  • the second cover part 330b connected to the half point of the body part 330 which has a greater curvature bas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s the body part 330b. It has a greater curvature than the first cover part 330a connected to the remaining half of the part 330.
  • the second cover part 330b Since it is bent with a greater curvature, the first cover portion 330a is strongly pressed.
  • the first cover part 330a and the second cover part 330b can more stably shield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3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는, 지류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 음료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음료수용공간이 형성된 커피 음료 수용컵, 지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두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액체가 통과하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는 드립퍼 및 내부에 상기 드립퍼의 개구된 상부에 부어 넣을 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드립주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물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물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에서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되는 임의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서로 다른 경로로 연결하되,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만곡된 한 쌍의 가상 연결곡선을 따라 상단부 둘레 형태가 이루어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한 쌍의 연결곡선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접힘 위치에 따라 면이 휘어지는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측에 소정 면적의 통과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본 발명은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류 소재로 형성되어 별도의 커피 관련 용품을 구입하지 않고도 고품질의 커피 음료를 시간 및 장소 제약 없이 제조하여 즐길 수 있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삶의 질 및 문화 수준이 과거에 비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다양한 기호식품 및 기호음료를 즐기고 있다. 과거에는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희귀한 종류의 식품 또는 음료도 용이하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이와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기호음료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음료는 커피라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커피는 산지 및 재배 방식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에 적정 품질로 규격화된 커피에 싫증을 느낀 사람들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커피 원두를 구하여 직접 분쇄 및 드립하는 과정을 통해 만족감을 얻고 있으며, 이는 취미의 하나로서도 각광받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과정을 위해서는 커피 원두를 대량으로 구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커피를 분쇄하고 드립하기 위한 다양한 관련 커피 용품들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커피 용품들은 가격이 부담스러운 경우가 많고, 사용법이 어려운 것은 물론 용품의 종류와 개수가 다양하며, 부피가 커 정착된 장소가 아닌 곳에 휴대하여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시중에는 휴대가 가능한 커피 제조용 티백 또는 완성된 커피 음료를 직접 담은 용기 형태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기는 하나, 이는 고급화된 사람들의 눈높이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현황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별도의 커피 관련 용품을 구입하지 않고도 고품질의 커피 음료를 시간 및 장소 제약 없이 제조하여 즐길 수 있는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는, 지류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 음료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음료수용공간이 형성된 커피 음료 수용컵, 지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두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액체가 통과하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는 드립퍼 및 내부에 상기 드립퍼의 개구된 상부에 부어 넣을 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드립주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물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물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에서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되는 임의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서로 다른 경로로 연결하되,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만곡된 한 쌍의 가상 연결곡선을 따라 상단부 둘레 형태가 이루어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한 쌍의 연결곡선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접힘 위치에 따라 면이 휘어지는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측에 소정 면적의 통과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커버부는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물수용공간에 상기 드립퍼가 장착된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을 수용 가능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바디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 상기 드립퍼 및 상기 드립주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계량을 위한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 중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물의 유동경로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접힌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 중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물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바디부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는, 지류 소재로 형성되는 커피 음료 수용컵, 드립퍼 및 드립주전자의 간편한 구성만을 포함함에 따라, 별도의 커피 용품이 없어도 신선하고 건강하며, 취향에 맞는 커피를 본인이 직접 브로잉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편한하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를 배제하고 지류 소재만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친환경적이고,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커피 음료 수용컵에 드립퍼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를 통해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커피 음료 수용컵 및 드립퍼가 드립주전자의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커피 음료 수용컵(100)에 드립퍼(20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를 통해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는 커피 음료 수용컵(100), 드립퍼(200) 및 드립주전자(300)를 포함한다.
커피 음료 수용컵(100)은 지류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 음료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음료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드립퍼(200)는 지류 소재로 형성되어 커피 음료 수용컵(100)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두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바닥면(220)이 액체가 통과하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된다.
드립주전자(300)는 내부에 드립퍼의 개구된 상부에 부어 넣을 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물수용공간(3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드립주전자(300) 역시 지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외에도 실리콘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드립주전자(300)는 세부적으로 바디부(320) 및 한 쌍의 커버부(330)를 포함한다.
바디부(320)는 내부에 물수용공간(310)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물수용공간(310)의 개구된 상부에서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되는 임의의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을 서로 다른 경로로 연결하되,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만곡된 한 쌍의 가상 연결곡선을 따라 상단부 둘레 형태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커버부(330)는 바디부(320)의 상단부에서 한 쌍의 연결곡선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접힘 위치에 따라 면이 휘어지는 방향이 전환되며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30)는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제1지점(P1) 및 제2지점(P2) 측에 소정 면적의 통과홀(311)을 각각 형성한다.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드립주전자(300)를 그립한 상태에서 기울여 이와 같은 한 쌍의 통과홀(311) 중 어느 일측을 통해 물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이 쏟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반대 측의 통과홀(311)로는 공기가 유입된다.
즉 커버부(330)는 도 1과 같이 바디부(320)에 대해 접혀 있지 않고 상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바디부(320)에 상단부에 대응되는 방향의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개방시키며, 반대로 도 3과 같이 바디부(320)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는 바디부(320)에 상단부와 반대 방향의 곡률을 가지도록 변형되어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커버부(330)는 각각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더욱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커피 음료 수용컵(100), 드립퍼(200) 및 드립주전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계량을 위한 눈금(G)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 음료 수용컵(100), 드립퍼(200) 및 드립주전자(300) 모두에 눈금(G)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커피 음료 수용컵(100) 및 드립퍼(200)가 드립주전자(300)의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드립주전자(300)는 물수용공간(310) 내에 드립퍼(200)가 장착된 커피 음료 수용(100)컵을 수용 가능한 규격으로 형성되어, 드립주전자(300) 자체를 패키지로 하여 시중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물수용공간(310) 내부에는 임의의 커피 원두가 포장된 상태로 수용되어 함께 공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를 통해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 1과 같이 커피 음료 수용컵(100), 드립퍼(200) 및 드립주전자(300)를 각각 나열하고, 도 2와 같이 드립퍼(200)를 커피 음료 수용컵(100)의 상부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드립퍼(200)의 원두수용공간(210)에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분쇄된 커피 원두를 투입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고온의 물을 드립주전자(300)의 물수용공간(310)에 채운 뒤 도 3과 같이 커버부(330)를 접어 물수용공간(310)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한다.
이후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드립주전자(300)를 그립한 상태에서 기울여 일측의 통과홀(311)을 통해 물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을 드립퍼(200)의 원두수용공간(210)에 주입한다.
이후 커피 음료 수용컵(100)의 음료수용공간(110)에는 드립퍼(200)의 바닥면(220)을 통과한 커피액이 모이게 되고, 사용자는 충분한 양의 커피 음료가 제조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음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류 소재로 형성되는 커피 음료 수용컵(100), 드립퍼(200) 및 드립주전자(300)의 간편한 구성만을 포함함에 따라, 별도의 커피 용품이 없어도 신선하고 건강하며, 취향에 맞는 커피를 본인이 직접 브로잉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편한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를 배제하고 지류 소재만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친환경적이고,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드립주전자(300)의 바디부(320)의 상단부 중 통과홀(31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물의 유동경로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접힌 가이드부(321)가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드립주전자(300)를 통해 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주입할수 있으며, 특히 가이드부(321)는 바디부(320) 자체를 접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이 가능하므로 간편한 사용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드립주전자(300)의 바디부(320)의 상단부 중 통과홀(31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물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관(322)이 추가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관(322)은 바디부(320)에 접힘선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바디부(32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관(322)의 단면은 제한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관(322)은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가이드관(322)은 원형, 삼각형 등과 같이 폐쇄된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드립주전자(300)가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가이드부(321) 및 가이드관(322)은 드립주전자(300)의 바디와 함께 실리콘 소재로 구현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드립주전자(300)는 바디부(320)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손잡이부(34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340)는 사용자가 드립주전자(300)를 보다 용이하게 그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340)는 한 쌍이 바디부(320)의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사용자는 한 쌍의 손잡이부(340)를 서로 겹쳐 그립함에 따라 바디부(320)의 무게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40)는 사용 전에 바디부(320)로부터 접혀 바디부(32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바디부(320)의 소정 위치에는 손잡이부(340)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고정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에 있어서, 드립주전자(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드립주전자(300)의 바디부(320)는 물수용공간(310)의 개구된 상부에서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되는 임의의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을 서로 다른 경로로 연결하는 한 쌍의 가상 연결곡선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바디부(320) 및 커버부(330)는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을 잇는 연장선에 대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한 쌍의 커버부(330)가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곡률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바디부(330)의 절반 지점에 연결되는 제2커버부(330b)는 바디부(330)의 나머지 절반 지점에 연결되는 제1커버부(330a)에 비해 보다 큰 곡률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커버부(330a)를 먼저 접어 물수용공간(310)의 개구된 상부 일부를 차폐시킨 상태에서 제2커버부(330b)를 접어 넣게 될 경우, 제2커버부(330b)가 보다 큰 곡률로 휘어진 상태를 가지므로 제1커버부(330a)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1커버부(330a) 및 제2커버부(330b)가 물수용공간(310)의 상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지류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커피 음료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음료수용공간이 형성된 커피 음료 수용컵;
    지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두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액체가 통과하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는 드립퍼; 및
    내부에 상기 드립퍼의 개구된 상부에 부어 넣을 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드립주전자;
    를 포함하며,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물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물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에서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되는 임의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서로 다른 경로로 연결하되,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만곡된 한 쌍의 가상 연결곡선을 따라 상단부 둘레 형태가 이루어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한 쌍의 연결곡선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접힘 위치에 따라 면이 휘어지는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측에 소정 면적의 통과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부;
    를 포함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버부는 상기 물수용공간의 상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물수용공간에 상기 드립퍼가 장착된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을 수용 가능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주전자는 상기 바디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음료 수용컵, 상기 드립퍼 및 상기 드립주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계량을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 중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물의 유동경로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접힌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 중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물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관이 연결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바디부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PCT/KR2022/011422 2022-05-31 2022-08-02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WO202323447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6618 2022-05-31
KR10-2022-0066618 2022-05-31
KR10-2022-0082788 2022-07-05
KR1020220082788A KR102580585B1 (ko) 2022-05-31 2022-07-05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471A1 true WO2023234471A1 (ko) 2023-12-07

Family

ID=8819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1422 WO2023234471A1 (ko) 2022-05-31 2022-08-02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0585B1 (ko)
WO (1) WO202323447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119U (ja) * 1991-10-24 1993-05-28 昌昭 平井 紙コツプ用の折り畳み式把手
JPH07237677A (ja) * 1994-02-25 1995-09-12 Showa Shell Sekiyu Kk 紙パック内容物の受け容器
JPH08175537A (ja) * 1994-12-26 1996-07-09 Nippon Paper Ind Co Ltd 注出折り込みタブ付き紙容器
KR200314520Y1 (ko) * 2003-03-12 2003-05-27 명진 박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110115022A (ko) * 2010-04-14 2011-10-20 최지연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02B1 (ko) 2016-05-12 2017-02-22 박종진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119U (ja) * 1991-10-24 1993-05-28 昌昭 平井 紙コツプ用の折り畳み式把手
JPH07237677A (ja) * 1994-02-25 1995-09-12 Showa Shell Sekiyu Kk 紙パック内容物の受け容器
JPH08175537A (ja) * 1994-12-26 1996-07-09 Nippon Paper Ind Co Ltd 注出折り込みタブ付き紙容器
KR200314520Y1 (ko) * 2003-03-12 2003-05-27 명진 박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110115022A (ko) * 2010-04-14 2011-10-20 최지연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585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589A (en) Multiple beverage dispenser
US4674400A (en) Portable beverage brewer
WO2015064811A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ATE120939T1 (de) Milchbehälter für ein zusatzgerät zum bereiten von cappuccino.
WO2023234471A1 (ko) 친환경 드립커피 제조용 키트
FR2687058B1 (fr) Accessoire pour cappuccino.
WO2016010240A1 (ko)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컵
WO2013105818A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WO2018012682A2 (ko) 핸드 에스프레소 머신
WO2018194355A1 (ko)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WO2013183845A1 (ko) 여러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식할 수 있는 컵
US5067637A (en) Canteen bottle for dispensing rationed drinks
WO2019117334A1 (ko) 음료추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WO2009134062A2 (ko) 차 용기
CN206120174U (zh) 一种收纳盒
CN101991359A (zh) 咖啡机
KR20140075523A (ko) 띠 형상을 갖는 종이컵 홀더
CN115040004A (zh) 一种可携带冲泡品的便携式水杯
CN206462572U (zh) 一种旅行茶具套件
US5941409A (en) Teapot cup
CN218500441U (zh) 一种新型茶盘茶具收纳盒
CN216360076U (zh) 一种新型奶茶咖啡一体杯
CN211180384U (zh) 一种用于显微镜的金属底座结构
WO2014185579A1 (ko) 음료 테이크 아웃용 컵 리드
CN214649999U (zh) 一种组合式新型酒瓶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5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