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29096A1 -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29096A1
WO2023229096A1 PCT/KR2022/009476 KR2022009476W WO2023229096A1 WO 2023229096 A1 WO2023229096 A1 WO 2023229096A1 KR 2022009476 W KR2022009476 W KR 2022009476W WO 2023229096 A1 WO2023229096 A1 WO 20232290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dical data
health care
care service
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94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헬스케어
Publication of WO20232290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290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processing or recognition meth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된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처방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생성부,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이데이터로 의료 데이터를 스크래핑한 후 의약품 복용이력을 제공하고, 약물 병용주의, 복용주의, 유튜브 큐레이션 및 해외검사결과지 번역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팬데믹 및 위드코로나 시대에 방역당국은 대중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및 홍보를 실시해 왔다. 장기간에 걸쳐서 한 가지 질병에 대해 이렇게 다양한 매체를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드물었는데, 인터넷, 유튜브, SNS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 매체는 코로나19에 대한 정보를 얻기에도 쉽지만, 동시에 잘못된 정보를 용이하게 전파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정보 범람으로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고 지나친 공포를 조장하는 인포데믹(Infodemic)이 등장했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가 감염병처럼 급속도로 확산하여 혼란을 초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상황에서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된다. 건강문해력은 건강과 관련된 결정을 할 때 필요한 건강정보를 확인하고 판단하며 활용할 수 있는 개인의 지식, 동기 부여 및 역량으로 정의된다. 건강문해력은 건강행동, 건강수준,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때, 의약품 오남용 및 복약지도를 위한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1-0126832호(2021년10월21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082998호(2020년07월08일 공개)에는, 약품 냉장고로부터 토출되는 의약품 정보로 환자의 복약정보를 생성하며, 응급상황시 환자의 복약정보를 병원관제실로 제공하는 구성과, 환자가 약국에서 구매 및 복욕하는 의약품 정보를 복약정보관리 서버에서 관리하고, 환자가 요청시 복약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구성은 복약 후 사후조치로, 어떠한 약을 많이 먹으면 안되는지, 어떠한 약과 어떠한 약을 함께 먹으면 안되는지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해주는 구성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에도 단순히 환자의 의약품 제조 및 구매 히스토리만 제공할 뿐 실시간으로 어떠한 약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등을 안내해주는 구성이 아니다. 가장 흔한 진통제로 알려진 타이레놀의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적당량 복용했을 때에는 임산부에게 투여해도 될 만큼 문제가 없지만, 하루 8 알 이상 복용한 경우 급성간부전 발생으로 간이식이 없다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미국 급성간부전 연구 그룹(Acute Liver Failure Study Group)이 조사한 데이터에 따르면, 아세트아미노펜은 급성간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45.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고는 다른 나라 논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의약품 복용이력과 검사결과의 이력 외에 환자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약물 병용주의 및 복용주의를 실시간으로 안내하고, 건강문해력을 높이도록 맞춤 유튜브 큐레이션 및 해외 검사결과 또는 약물의 번역 및 설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받아 의약품 복용이력을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약물 병용주의 및 복용주의와 같은 필수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해주며, 건강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인포데믹이 없고 검증된 채널 및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추천해주고, 해외검사결과지를 인식한 경우 단위변환 및 번역을 통하여 번역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외출장 및 유학중이어서 검사결과지를 봐야하는 경우에도 한국어로 쉽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된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처방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생성부,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받아 의약품 복용이력을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약물 병용주의 및 복용주의와 같은 필수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해주며, 건강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인포데믹이 없고 검증된 채널 및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추천해주고, 해외검사결과지를 인식한 경우 단위변환 및 번역을 통하여 번역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외출장 및 유학중이어서 검사결과지를 봐야하는 경우에도 한국어로 쉽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된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처방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생성부,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마이데이터를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고, 마이데이터 내 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인 의약품 복용이력이나 검사결과 이력을 출력하며, 약물 병용주의, 복용주의, 유튜브 큐레이션를 받고 해외검사결과지 번역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마이데이터 중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받고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복용이력을 추출하여 제공하고, 약물 병용주의 및 복용주의와 같은 실시간 복용지도를 제공하며, 인포데믹이 없도록 검증된 유튜브 채널 및 콘텐츠를 큐레이션해주고, 해외검사결과지를 번역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거나 의료자문을 제공하는 의료진의 단말일 수 있다. 의료진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직접 또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PHR(Personal Health Record)를 업로드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EHR(Electronic Health Record)은 기존 EMR 방식에서 병원 단위로 의료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각 의료기관들이 어떤 환자가 오든 환자의 모든 의료 데이터를 접목해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현재는 병원별로 환자 데이터가 분산돼 있어 통합이 어려운 상태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방식이 PHR(Personal Health Record)이다. PHR 시스템을 통해 각 환자들의 의료 데이터는 병원을 뛰어넘어 환자들에게까지 공유될 수 있다. 이 단계가 되면 환자들이 병원에 방문할 때 의료 데이터를 병원에 제출하고 의사는 기본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타임스탬프나 SBC(Server Based Computing)이 구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 PC 업무를 위해 서버상에 사용자 데스크탑 환경이 저장되고, 노트북 및 PC에 저장되던 문서를 SBC 상에 저장함으로써,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PC에 내부 데이터 및 파일을 저장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에서 입력되는 정보에는 타임스탬프 등 이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처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은,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병의원, 국가검진 및 처방정보 제공처, 마이데이터 제공처 등의 관계기관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수집부(320), 생성부(330), 전송부(340), 병용알람부(360), 복용알람부(370), 콘텐츠추천부(370), 해외검사결과번역부(380) 및 비대면의료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로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은,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마이데이터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2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마이데이터(MyData)는 본인정보에 대한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정보주체인 개인의 동의에 따라 본인데이터(개인데이터)를 개방·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분야의 마이데이터는 제3자가 고객을 대신하여 다양한 금융기관에 개설된 계좌잔액과 거래내역 등 개인금융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지급을 지시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마이데이터는 정보주체인 개인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우수한 역량을 가진 업체가 대형 금융기관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최근 개인정보 활용과 관련된 흐름은 가명 및 익명정보 도입과 활용, 그리고 개인정보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을 근거로 한 마이데이터 서비스이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데이터 활용 주체들 간의 구도를 재편하고, 정보주체의 통제권 및 선택권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면서 개인데이터의 유통 및 활용을 촉진하는 제도다.
국내외 마이데이터 산업은 정보주체의 권리 행사에 따라 본인정보 통합조회, 신용·자산관리 등의 개인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및 개인데이터와 관련하여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개인정보유출 및 프라이버시(Privacy) 침해다. 현대 사회는 각종 첨단 정보통신기기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의도하지 않은 개인에 관한 모든 것이 포착되고 기록될 수 있다. 한국은 개인정보보호법, 전자서명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등을 통해 개인데이터의 수집·유출·오용·남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 선진국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를 강화하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2019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개인데이터에 대한 수집제한의 원칙, 데이터 품질 원칙, 목적 명확화의 원칙, 이용제한의 원칙, 안전성 확보의 원칙, 공개의 원칙, 개인 참여의 원칙, 책임성의 원칙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고, 유럽연합은 GPD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적용한 바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금융, 의료, 공공, 생활, 교통 및 소상공인 6개 분야에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과제를 8개 선정하였다. 정보주체인 개인이 마이데이터 플랫폼에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하면 기업은 이를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하고, 개인은 정보 제공의 대가로 보상을 받게 되는 구조이다. 이는 정보주체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그 데이터의 이익을 활용 한다는 점에서 데이터를 통제하고 관리할 권한이 기업에서 정보주체로 옮겨진다는데 의미가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정보주체가 스스로 자신의 데이터를 보호 및 관리하거나 복잡한 IT기술에 대응하는 것이 어려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개인의 데이터가 생성, 축적되는 양이 방대하고 종류가 다양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 강화와 정보 보호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의 해결책이 마이데이터(MyData)이다. 즉, 정보주체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를 개방하고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력과 권한을 강화했다.
의료분야에서는 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건강검진의 결과와 처방전 등의 데이터를 정보주체가 관리하고 맞춤형 건강관리(운동 및 영양 관리) 서비스를 연계하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그리고 기업은 정신건강 관리서비스, 맞춤형 식단 개발 및 제공 서비스 등의 다양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는 국민이 자신의 건강정보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원하는 곳에, 원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건강 증진 혜택을 누려야 한다는 환자 중심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가장 중요한 디지털 조력자(Digital Enabler)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에, 2021년 2월 정부는 마이 헬스웨이(My HealthWay) 구축을 시작했고, 국민 건강증진 및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하여 정부는 법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민간은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역할 분담을 시작하는 3 대 추진전략 하에, 4 개 분야 12 개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건강정보수집 체계를 마련하고,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을 구축하며, 개인 주도 건강 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고, 의료분야 마이데이터 도입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의약품을 복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장기손상을 방지하도록 실시간으로 안내하고, 인포데믹을 방지하도록 유튜브 채널을 큐레이션하여 추천해주며, 해외검사결과지도 한국어로 변환하고, 그 역으로 한국어도 외국인에게 외국어로 번역해줌으로써 의료문맹을 없애고 건강문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할 수 있다.
수집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500)로부터 API 연동 스크래핑으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공통 데이터 모델을 연계하며,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생성부(330)는, 수집된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처방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된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출력할 수 있다. 히스토리 로그는 시계열순으로 정리하면 되는데, 여기에 어느 진료과목인지, 병원상호가 무엇인지 등의 항목을 넣어 정렬할 수 있다. 전송부(340)는,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의약품 처방 데이터는 검사결과 데이터로 대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이하, 의약품 처방 데이터는 의약품 처방 데이터 및 검사결과 데이터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의약품 처방 데이터는, 의약품 처방 데이터 또는 검사결과 데이터로 대체될 수 있다.
병용알람부(350)는, 의약품 처방 데이터 내 기 설정된 약물병용주의 의약품이 포함된 경우, 약물병용주의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약물사용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환자의 진단에 따른 약물의 처방 및 조제과정에서 의사 및 약사는 적정한 약물선택,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적정용량, 알레르기 약물, 투여 금기 등을 검토해야 하나, 약물유해반응이 발생하는 이유로 유해반응을 일으킨 약물에 관련한 지식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적절한 약물사용으로 인한 약물유해반응은 환자진료에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사회적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한데, 최근 정부에서 DUR(Drug Utilization Review)을 통해 예방 가능한 약물 관련 유병률 및 사망률(Preventable Dru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을 감소시킴으로써 병원입원과 기타 피할 수 있는 의료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처방되는 약물에 대한 DUR만 제공될 뿐, 각 사용자가 전문의약품으로 처방받지 않은 일반의약품을 함께 복용했을 때의 문제, 영양제와 일반의약품을 함께 복용해도 되는지에 대한 문제, 일반의약품의 복용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과용하는 경우의 문제 등을 일반인인 사용자가 모두 알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각 병원 간 DUR을 적용하는 것에 더 나아가, 각 사용자가 약국에서 구입하는 일반의약품까지 함께 DUR에 추가하거나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통합하여 각 사용자에게 약물병용금지에 대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고시를 통하여 병용금기 성분을 지정하고 안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0-61호에서는 의약품 병용금기 성분 등의 지정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고시로, 의약품적정사용을 위해 병용금기 성분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아토르바스타틴-시클로스포린 등 13개 성분조합(연번 1090번부터 1102번까지)을 추가하고, 의약품적정사용을 위해 임부금기 성분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테오필린 등 32개 성분(연번 857번부터 888번까지)을 추가했고, 의약품적정사용을 위해 임부금기 성분으로 지정되어있는 인슐린 아스파트 등 3개 성분(연번 302번, 305번, 308번)에 대해 임부금기 지정을 해제했다. 상술한 고시를 스크래핑 및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사용자가 약국에서 구매한 일반의약품의 리스트를 수집하고 처방받은 내역과 상호 비교하여 병용금기의 약물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복용알람부(360)는, 의약품 처방 데이터 내 간기능 및 신장기능에 대응하는 장기손상을 유발하는 용량 또는 종류가 존재하는 경우, 복용주의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UR이 시작되면서, 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 정보에 따라 의약품의 사용을 관리감독하게 되었으며, 현재 병용금기 946건, 특정연령대 금기 160건, 효능군중복주의 328건, 용량주의 219건 및 투약기간주의 16건, 임부금기 700건, 노인주의 20건, 헌혈주의 7건, 분할주의 24건 및 처방전간 의약품중복,저함량배수처방점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모듈이 전국병의원소프트웨어에 탑재되어 실시간 점검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의약품의 용법용량 점검만은 식약처 고시에에 따르면, 220개 성분에 대하여, 1일 최대용량만 고시되어 있다. 의약품 허가사항에 따른 사용방법은 환자상태, 질병상태에 따라 매우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이와같이 천편일률적으로 같은 의약품의 용량중에 최대 사용량만을 기준으로 의약품사용의 적정성을 점검하기에는 많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미국 병원약사회에 따르면, 가장 많은 Medication Error의 유형으로서 Wrong Dose를 꼽았는데, 전체의 35% 에 달하고 있다.
한편 심평원의 용량점검 정보를 좀더 상세하게 세분화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는 국내 민간기업들도 존재하나 이 정보 또한 유료서비스로서 가격부담이 존재하고, 이마저도 업데이트 및 정보의 상세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그 활용은 떨어지고 있다. 또한 식약처 의약품 허가사항은 국내에서 현재 공적으로 공표된 가장 신뢰할 만한 출처로부터 용법용량정보를 정리할 수 있으나, 허가사항의 정보가 아직 재정비되고 통일화 되어 있지 않으며, 각 제약사별로 제출형식이 상이하고 모순되는 부분도 존재하며, 정보자체의 비정형성이 존재하여, 이를 정형화하고 데이터를 클렌징하는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의약품의 각 사용방법별로 가장 상세하게 분류하여 정형화활수 있는 ACCESS기반의 툴을 이용하기로 한다.
특히 의약품 용법 용량정보에 있어 세세한 의약품 사용사례별 용량점검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동일성분/함량 의약품의 경우 대동소이하여 기존 입력 정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 재사용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신장애 및 간장애와 같이 환자별 처방점검 시스템 및 체중/연령/적응증 고려한 점검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의약품별로 용량에 대하여 실시간 점검이 가능하도록 웹서비스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용량점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중심으로, 약사등 의료인이 비정형 문서인 식약처의 의약품허가사항문서를 정형 DB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담긴 ACCESS VBA기반 관리자프로그램 및 입력된 DB를 기준으로 용량점검 알고리즘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점검이 가능한 웹서비스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조>
한국 급여 의약품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서 동일성분, 함량, 제형의 의약품에 대하여 동일한 주성분코드를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DB에서는 전제 각 개별 의약품 수준에서 용량점검 DB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동일 주성분코드별로 용량점검 DB를 구축하여 이를 각 제품에 연결하는 구조로 구축할 수 있다. 용량점검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약품을 대표하는 주성분 코드, 약품사용에 대한 Case, 투약량을 입력하면, 용량점검DB에서 주성분코드별로 구성된 의약품 용량DB에서 해당 Case에 대한 용량정보와 사용자 입력된 투약량(표준단위로 환산한 투약량)을 비교하여, 과용량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알고리즘이다.
<의약품 주성분 코드를 기준으로 정보구축>
국내 보험급여 등재 의약품 가운데 동일한 성분, 함량, 제형을 갖는 약은 동일한 주성분 코드로 매핑되어 있으며, 허가사항 또한 이에 준하여 동일한 정보를 갖추도록 통일화되고 있다. 각 의약품의 주성분 코드에 대하여 허가사항을 분석하여 사례별 용법용량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성분코드별로 대표의약품 1개를 선별한 뒤 각 대표의약품별로 사례별 용법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데, 의약품별 처방단위 환산 정보의 고려한다. 의약품의 경우 다양한 제형별로 처방하는 단위가 다른데, 예를들면, 밀리그램(mg) 단위로 처방하거나, 밀리리터(ml)단위, 또는 정(Tablet)단위등 다양한데 이를 미리 고려하여 어떠한 처방 단위로 나와도 해당 의약품의 표준용량단위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유사한 레코드 정보의 재활용을 위한 정보복제를 제공할 수 있는데, 단수의 레코드 복제 뿐만 아니라 복수의 레코드 복제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복제시에 일관되게 용량을 감량하면서 저장할 필요가 다수 발생하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용량조절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레코드 단위의 정보는 레코드별 상세입력 인터페이스를 아래 그림7과 같이 개발하여, 비정형 허가사항 컨텐츠로부터 정형적으로 관리 및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ACCESS VBA 매크로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1회량 및 투약횟수 입력시 1일량 자동계산 기능등 다양한 자동계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신장애 및 간장애 환자에 대한 투약기준 입력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신장애, 간장애 환자를 위한 점검기능이 가능하며 몸무게, 연령 등 환자의 특징을 입력하면 상세한 점검결과가 허가사항기준별로 사례별로 출력해줄 수 있다.
콘텐츠추천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채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로부터 건강정보 콘텐츠를 수집하고, 검증 후 검증된 건강정보 콘텐츠를 수집하여 추천할 수 있다. 최근 인포데믹을 유발하여 클릭수만 높이려는 유튜버가 많아지고 있는데, 검증된 의약학적 지식만을 제공하는 콘텐츠나 채널을 큐레이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 즉 큐레이션해야 하는데, 이는 협업필터링을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존 지식기반 알고리즘 뿐만 아니라 기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또는 본 플랫폼에 축적된 자료를 이용한 딥러닝 방법을 통한 알고리즘의 활용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해외검사결과번역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외검사결과지를 촬영하는 경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추출한 후, 인식된 텍스트로 언어를 식별하고, 기 설정된 기계번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번역하며, 기 설정된 항목 및 차트에 번역된 텍스트를 입력하고, 단위를 한국단위로 변환하며, 기 설정된 레이아웃 및 프레임에 대응하도록 텍스트를 자동배치하여 재생성된 해외검사결과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외약물의 처방전, 약물 정보가 기재된 포장지 및 실제 약물의 사진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경우 약물 데이터베이스 점검 시스템을 통해 해당 해외 약물을 식별하고 식별 약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해당 국가 언어 또는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약물 데이터베이스 점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중심으로, 해당 제약사의 비정형 문서인 약물 정보 설명 문서를 정형 DB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담긴 ACCESS VBA기반 관리자프로그램 및 입력된 DB를 기준으로 약물 식별 및 약물 정보의 실시간 점검이 가능한 웹서비스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비대면의료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을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의료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업로드받을 수 있다. 비대면의료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진 단말(4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PHR 등을 저장하거나 유출하지 않도록 가상화를 수행할 수 있고 비대면진료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PHR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사용자의 약물처방 이력, 검사결과 이력,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건강정보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는 날씨예보와 더불어 보건기상지수를 개방 API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천식 예방 약물이나 기관지 확장 흡입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기상청 천식폐질환가능지수를 사용자의 위치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항고혈압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용자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혈압의 조절 정도를 기반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뇌졸증 가능지수를 사용자 위치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존 약물 및 검사 데이터와 위치를 기반으로 온도, 습도, 대기압 정보를 통합하여 관절통, 편두통, 부비동압 상승에 대한 주의사항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의약품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병용금지약물의 피해나 과용했을 때의 피해를 가늠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가 의약품을 언제 얼마나 처방받았는지를 히스토리로 제공하고, 처방을 받았다면 실시간으로 어떤 약품과 함께 복용하면 안되는지, 또 복용량은 몇 알을 넘기면 안되는지 등을 안내해줄 수 있다. 도 3d 및 도 3e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인인 사용자가 많이 아는 것보다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개념으로 접근하여 도 4a 내지 도 4s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인 건강차트>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면, 건강이력을 제공하고 건강검진결과와 처방내역 또 치료내역 등의 히스토리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d와 같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입력 및 전송, 마이데이터의 스크래핑 자료를 통합 및 분석하여 도 4e와 같은 차트를 제공해줄 수 있다.
<맞춤약물관리>
도 4g 내지 도 4j와 같은 맞춤약물관리는 도 4h와 같이 1 년간 항생제는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 또 진통제는 얼마나 먹었는지를 안내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성간부전의 50% 이상이 타이레놀 과용인 것을 감안하면 일반의약품으로 가장 대중적이고 가장 손 쉽게 구할 수 있는 약물이 어떻게 한 환자를 간이식대상자로 순식간에 바꾸는 지를 알 수 있다. 이에 일반의약품이라도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하고 도 4i와 같이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용어를 이해하기 쉽게 용어를 풀어 설명해준다. 또 실시간성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데, 사후처리가 아니라 사전예방의 개념으로 실시간으로 환자가 처방받은 약물과 환자가 구매한(카드내역 마이데이터 수집) 의약품을 모두 수집하여 안내해줄 수 있다. 도 4j와 같이 DUR을 제공해줄 수 있다.
<유튜브 큐레이션>
도 4k 내지 도 4m과 같은 유튜브 큐레이션은 도 4l과 같이 검증된 채널 및 콘텐츠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이 중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만을 큐레이션하여 제공한다. 도 4m과 같이 직접 찾아보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에게 유용한 검증된 영상만을 추천해줄 수 있다. 이때 검증은 각 인력이 수행할 수 있으며 검증 후 검증 태그가 부착된 채널의 URL 또는 채널자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해외검사결과지 번역 서비스>
도 4n 내지 도 4p와 같이 외국어로 기재되고 단위도 달라 어려운 검사결과지를 본 발명의 레이아웃 및 텍스트로 변환하여 알려준다. 그리고 번역사가 참여한 데이터 변환 입력 외에 텍스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셋의 학습 및 테스트를 통하여 모델링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인식 및 추출하여 도 4p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처방된 약품의 형상이나 케이스 등도 함께 첨부하여 사용자가 약품 한 알 한 알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을 등록한다(S5100).
그리고,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S5200) 수집된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처방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생성한다(S530).
또,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이데이터(MyData)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된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마이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상기 의료 데이터 내 의약품 처방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의약품 복용 히스토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의약품 처방 데이터 내 기 설정된 약물병용주의 의약품이 포함된 경우, 약물병용주의 알람을 전송하는 병용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의약품 처방 데이터 내 간기능 및 신장기능에 대응하는 장기손상을 유발하는 용량 또는 종류가 존재하는 경우, 복용주의 알람을 전송하는 복용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채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로부터 건강정보 콘텐츠를 수집하고, 검증 후 검증된 건강정보 콘텐츠를 수집하여 추천하는 콘텐츠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해외검사결과지를 촬영하는 경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추출한 후, 인식된 텍스트로 언어를 식별하고, 기 설정된 기계번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번역하며, 기 설정된 항목 및 차트에 번역된 텍스트를 입력하고, 단위를 한국단위로 변환하며, 기 설정된 레이아웃 및 프레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텍스트를 자동배치하여 재생성된 해외검사결과지를 제공하는 해외검사결과번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의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업로드받는 비대면의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관 단말로부터 API 연동 스크래핑으로 상기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공통 데이터 모델을 연계하며,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CT/KR2022/009476 2022-05-25 2022-06-30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2290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389 2022-05-25
KR1020220064389A KR20230164526A (ko) 2022-05-25 2022-05-25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096A1 true WO2023229096A1 (ko) 2023-11-30

Family

ID=8891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9476 WO2023229096A1 (ko) 2022-05-25 2022-06-30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4526A (ko)
WO (1) WO202322909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715A (ko) * 2010-04-07 2011-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00063710A (ko) * 2018-11-28 2020-06-05 (주)에스피메드 나의 처방전 서비스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7146A (ko) * 2019-09-27 2021-04-06 강규섭 의료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10057423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머니업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969831B1 (ja) * 2020-12-28 2021-11-24 株式会社鈴康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715A (ko) * 2010-04-07 2011-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00063710A (ko) * 2018-11-28 2020-06-05 (주)에스피메드 나의 처방전 서비스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7146A (ko) * 2019-09-27 2021-04-06 강규섭 의료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10057423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머니업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969831B1 (ja) * 2020-12-28 2021-11-24 株式会社鈴康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526A (ko) 202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o et al. The Chang Gung Research Database—a multi‐institutional electronic medical records database for real‐world epidemiological studies in Taiwan
Beers et al. The accuracy of medication histories in the hospital medical records of elderly persons
Samadbeik et al. A copmarative review of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s: Lessons learned from developed countries
Torab-Miandoab et al.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health information system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ughes et al. Community vital signs: taking the pulse of the community while caring for patients
Waitman et al. The greater plains collaborative: a PCORnet clinical research data network
KR20140052915A (ko) 개선된 품질의 헬스케어를 위한 지원 시스템
CN110246582A (zh) 一种医疗模式信息化的医患协同信息化平台系统
Sinha et al. Safe opioid prescription: a SMART on FHIR approach to clinical decision support
DeVoe et al. Regional strategies for academic health centers to support primary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plea from the front lines
Razzaqu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ultinational corporate model for EHR interoperability on an e-health platform
Iftinan et al. Application,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elepharmacy for patients with diabetes in the outpatient setting
Barnette et al. Patient‐level medication regimen complexity in an adolescent and adult populatio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Gong et al. Integrated healthcare systems response strategies based on the Luohu Model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 Shenzhen, China
WO2023229096A1 (ko)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ustjärvi et al. Practising cloud–based telemedicine in developing countries
Rho et al. Common data model for decision support system of adverse drug reaction to extract knowledge from multi-center database
Degoulet et al.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Schwartzberg et al. Pharmacovigilance in Israel–tools, processes, and actions
Basajja et al. Information streams in health facilities: The case of Uganda
Fukami et al. Success factors for realizing regional comprehensive care by EHR with administrative data
Hall et al. A general practice minimum data set for New Zealand
Aijing et al. Design of the hospital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Babaei et al. Virtual care in the health care system: A concept analysis
CN106484812A (zh) 一种医疗架构数据互通的实现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39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