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24133A1 -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24133A1
WO2023224133A1 PCT/KR2022/006974 KR2022006974W WO2023224133A1 WO 2023224133 A1 WO2023224133 A1 WO 2023224133A1 KR 2022006974 W KR2022006974 W KR 2022006974W WO 2023224133 A1 WO2023224133 A1 WO 20232241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area
tympanum
region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9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동환
박형우
정대진
차현승
유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69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24133A1/ko
Publication of WO20232241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241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Abstract

진동판은,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상기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수지 소재,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30wt% 내지 70wt%이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실시예는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 장치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방사하는 장치이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 없이 균일한 음향을 들을 수 있는 무지향성 음향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음향 장치에는 특정 방향으로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판이 구비되어, 무지향성 음향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정 방향을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판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유닛들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무지향성 음향을 구현하는 음향 장치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복수의 스피커 유닛들이 요구되므로, 비용이 비싸고 넓은 점유 면적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전세계적으로 급격한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친환경 제품이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장치의 진동판을 셀룰로오스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하려고 시도되고 있다. 즉, 셀룰로오스 소재를 필름 형태로 제조한 후, 필름 형태의 셀룰로오스 소재를 이용하여 진동판이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무지향성을 구현하기 위해 필름 형태의 꼬깔 모양으로 만드는 경우, 서로 접하는 필름 양단을 연결해야 한다. 필름 양단의 연결 부분이 일체화되기 않기 때문에, 해당 연결 부분에서 음향이 제대로 방사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해당 연결 부분을 연결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셀룰로오스 소재 기반 진동판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한 재질로서 광원을 이용한 무드(mood) 기능의 구현이 어렵다.
특히, 종래의 셀룰로오스 소재 기반 진동판은 여전히 특정 방향으로 음향이 방사되므로, 무지향성 음향이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투광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무지향성 음향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판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일체형 진동판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친환경 진동판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투광성 진동판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진동판을 구비한 음향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수지 소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30wt% 내지 70wt%이다.
상기 첨가제는,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제는 0.3wt% 내지 1.2wt%이고, 상기 분산제는 0.1wt%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불투명한 셀룰로오스 파우더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동판은,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상기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수지 소재,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30wt% 내지 70wt%이다.
진동판은, 제1 직경을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의 높이는 상기 제2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의 높이는 상기 제2 직경 대비 1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꼬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직경은 상부 방향을 따라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내주면; 및 상기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 거칠기는 0.01㎛이하이고, 상기 제2 표면 거칠기는 1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최하측에서 소정 높이(H2)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3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은, 그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은 1800MPa 내지 2100MPa의 탄성률을 가질 수 있다. 진동판은 30% 내지 90%의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진동판은 무지향성 음향을 방사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향 장치는, 상기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제2 영역에 결합되는 보이스 코일부; 및 상기 보이스 코일부 상에 자기장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장치는, 광원; 및 광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이 투과되지 않는 셀룰로오스 파우더 대신에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가공하여 얻어진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를 기반으로 수지 소재, 첨가제 등을 포함하여, 투명한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는 투명한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진동판을 얻을 수 있다.
사출 성형을 통해 진동판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필름을 이용하여 진동판을 형성할 때 연결 부분의 연결 불량을 방지하고 음향 방사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사출 성형을 통해 직경보다 큰 높이를 갖는 진동판을 얻음으로써, 무지향 음향 방사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진동판은 광이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광원과 함께 무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진동판은 제1 영역과 제1 영역 상에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꼬깔 형상을 갖고 제2 영역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은 무지향 음향 방사 영역으로서, 제1 영역의 높이를 제2 영역의 높이에 비해 현저하게 크게 함으로써, 무지향 음향 방사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내주면의 제1 표면 거칠기보다 제1 영역의 외주면의 제2 표면 거칠기가 더 크도록 함으로써, 사출 성형 후 진동판의 외주면과 성형 틀 간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광원의 광이 제1 영역의 외주면에 의해 산란됨으로써, 광이 균일하게 방출되어 무드 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두께를 제1 영역의 두께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2 영역과 보이스 코일부 간의 체결이 용이하게, 제2 영역과 보이스 코일부 간의 체결시 제2 영역이나 제1 영역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제2 측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 제1 영역의 내주면의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3 표면 거칠기를 갖도록 하여, 해당 일부 영역과 체결 부재 간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무에서 추출된 셀룰롤오스 기반으로 진동판이 형성됨으로써, 다가올 친환경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부합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보이스 코일부가 가이드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자기장 생성부의 자기장과의 간섭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는 보이스 코일부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수평 방향(X 방향이나 Y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고 보이스 코일부가 틸트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부의 진동이 균일하게 진동판으로 제공되어, 진동판으로부터 무지향성으로 균일한 음향이 방사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따른 음향 장치에서 광원의 광이 진동판을 통해 방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상측 금형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하측 금형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의 성형물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판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PC로 형성된 진동판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ABS로 형성된 진동판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PET로 형성된 진동판을 도시한다.
도 13a 내지도 13c는 PP로 형성된 진동판을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PC로 형성된 진동판을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을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서로 상이한 투과도를 갖는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측은 제1 방향에 위치되는 영역이고, 제2 측은 제2 방향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제1 측은 상측이고 제2 측은 하측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음향 장치는 TV, 샤이니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자동차용 HUD(head-Up Display),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용 백라이트 유닛, VR이나 AR용 디스플레이 자체 또는 이들 각각에 연결된 음향 출력 장치, 예컨대 스피커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에에 따른 음향 장치(100)는 자기장 생성부((130), 보이스 코일부(140) 및 진동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부(140) 및 진동판(150)에 의해 음향 발생부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기장 생성부((130)는 플레이트, 마그네트, 요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플레이트, 마그네트 및 요크에 의해 자기장(이하, 제2 자기장이라 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보이스 코일이 진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이스 코일은 몸체를 형성하는 보빈, 보빈에 구비된 다수회 권선된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하, 제1 자기장이라 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제1 자기장이 제2 자기장에 의해 간섭되어, 보빈, 즉 보이스 코일부(140)가 진동되어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들 자기장 생성부((130), 보이스 코일부(140) 및 진동판(150)은 서포트(110)과 캡부(120)에 직간접적으로 체결되어, 고정지지될 수 있다. 캡부(120)는 케이스, 보호 부재, 고정 부재 등으로 불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장 생성부((130)는 캡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부(140)는 자기장 생성부((1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150)의 제1 측은 보이스 코일부(140)에 체결되고, 진동판(150)의 제2 측은 서포트(110)에 체결될 수 있다.
진동판(150)의 제2 측은 체결 부재(160)를 이용하여 서포트(11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16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고퀄러티의 음향을 발생하도록 진동판(150)의 진동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부재(160)는 적어도 1회 이사의 굴곡을 갖는 형상을 가져, 진동판(150)의 진동 감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100)는 광원(170) 및 가이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100)는 음향 발생 기능뿐만 아니라 무드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70)의 광이 가이드부(180)를 통해 광 가이드된 후, 가이드부(180)를 투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80)를 투과한 광은 진동판(15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8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통공(18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70)의 광이 가이드부(180)의 관통공(181)을 통해 진행된 후, 가이드부(180)를 투과하여 진동판(1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해당 광은 진동판(15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의 세기, 즉 밝기가 음향의 출력 세기에 따라 대응되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80) 및 진동판(150)을 통해 음향의 세기에 따라 가변되는 세기를 갖는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로 상이한 컬러 광을 각각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향의 출력 세기에 따라 복수의 광원(170)에서 서로 상이한 컬러 광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80) 및 진동판(150)을 통해 음향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컬러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의 제1 측은 캡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의 제2 측은 서포트(110)를 관통하되, 서포트(110)에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180)는 서포트(110)에서 광원(170)의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광원(170)의 제2 측 둘레에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판은 광원(170)의 광이 가이드부(180)를 향해 반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70)에서 발광된 광의 대부분이 반사판에 의해 가이드부(180)로 진행되므로, 광 소실을 최소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80)는 자기장 생성부((130)를 관통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80)는 자기장 생성부((130)의 플레이트, 마그네트, 요크 등을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들 플레이트, 마그네트, 요크 등은 가이드부(180)의 외주면을 따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보이스 코일부(140)를 관통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80)는 보이스 코일부(140)의 보빈, 다수회 권선된 코일 등을 관통할 수 있다. 예컨대, 보빈이 가이드부(180)의 외면을 따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일이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회 권선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부(140)는 자기장 생성부((130)의 자기장과의 간섭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그 진동의 정도는 보이스 코일부(140)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가 커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보이스 코일부(140)가 자기장 생성부(130)에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실제 제품에서는 보이스 코일부(140)가 자기장 생성부(130)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보이스 코일부(140)에 발생되는 진동에 따라 보이스 코일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80)에 의해 보이스 코일부(140)의 상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보이스 코일부(140)의 보빈의 내주면은 가이드부(18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부(140)가 가이드부(18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80)는 보이스 코일부(140)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수평 방향(X 방향이나 Y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으며, 또한 보이스 코일부(140)가 틸트(tilt)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부(140)의 진동이 균일하게 진동판(150)으로 제공되어, 진동판(150)으로부터 무지향성으로 균일한 음향이 방사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부(140)가 진동판(150)의 제1 측에 체결되므로, 보이스 코일부(140)의 진동이 진동판(150)에 그대로 전달되어, 진동판(150)의 진동에 의해 음향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판(150)은 무지향성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종래에 무지향성 음향 방사 구조를 갖는 진동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구부려 일정한 형태로 만든 다음, 서로 만나는 연결 부분을 체결해야 한다. 물리적인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 부분을 체결하는 경우, 그 연결 부분이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어, 해당 연결 부분에서의 음향 방사 성능이 저하되어 진동판(150) 불량이 야기된다.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결 부분을 체결하더라도, 연결 부분이 접촉되지 않아 진동판 불량이 야기된다.
하지만, 실시예에서는 무지향성 음향 방사 구조를 갖는 진동판(150)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연결 부분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종래와 같은 진동판(150)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사출 성형은 성형물을 성형 틀에 주입하여 냉각시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상측 금형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하측 금형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200)는 제1 성형 프레임(210)과 제2 성형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형 프레임(210) 상에 제1 성형 틀(211)이 배치되고, 제2 성형 프레임(220) 상에 제2 성형 틀(2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성형 틀(211)은 제1 성형 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성형 틀(221)은 제2 성형 프레임(220)의 하면에서 그 내부로 들어간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성형 프레임(210) 및/또는 제2 성형 프레임(22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성형 프레임(210)은 고정되고, 제2 성형 프레임(2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성형 프레임(220)은 고정되고, 제1 성형 프레임(21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성형 프레임(210) 및 제2 성형 프레임(22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 성형 프레임(2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성형 프레임(22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성형 프레임(210) 및/또는 제2 성형 프레임(2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1 성형 틀(211)이 제2 성형 틀(2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은 소정의 갭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갭은 사출 성형에 의해 진동판(150)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성형물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형물 공급 장치(230)을 통해 해당 갭으로 주입된 후 냉각되어 진동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성형 틀(211) 및 제2 성형 틀(221)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 내지 도 7으로부터 진동판(150)의 제조 공정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진동판(15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에 의해 형성된 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성형물 공급 장치(230)는 제1 성형 프레임(210)에서 제1 성형 틀(21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판(150)이 형성된 후, 제1 성형 프레임(210) 및/또는 제2 성형 프레임(2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진동판(150)이 재1 성형 틀이나 제2 성형 틀(2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분리 공정 전에 에어 분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에어가 진동판(150)과 제1 성형 틀(211)이나 제2 성형 틀(221) 사이로 분사됨으로써, 진동판(150)이 제1 성형 틀(211)이나 제2 성형 틀(221)로부터 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성형물은 예컨대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이 녹아 액상화된 것일 수 있다.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수지 소재,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30wt% 내지 70wt%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셀룰로오스 소재뿐만 아니라 수지 소재, 첨가제 등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첨가제는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 확산제는 0.3wt% 내지 1.2wt%이고, 분산제는 0.1wt%이하일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 셀룰로오스 소재는 투명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 등과 같은 식물에서 셀룰로오스를 분리한 후, 이를 추가 공정을 통해 가루 형태의 셀룰로오스 파우더(310)가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셀룰로오스 파우더(310)는 통상 갈색으로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파우더(310)를 이용하여 실시예의 진동판(150)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진동판(150) 또한 불투명한 특성을 가져, 실시예에서 얻고자 하는 무드 기능을 실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는 셀룰로우스 파우더(310)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EASTMAN COMPANY)을 이용하였다.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의 투과도는 대략 90%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의 투과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소재에 투명한 수지 소재와 첨가제(320)를 혼합하여 가공함으로써, 90% 이하의 투과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이 얻어질 수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도 9에 도시된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일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의 투과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소재가 투명한 수지 소재와 첨가제(320)의 혼합에 의해 다양한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150)이 얻어질 수 있다.
즉, 첨가제(320)로서, 안료의 비중(wt%)에 따라 투과도가 달라질 수 있다. 안료는 예컨대, 블랙 안료로서, 블랙 안료의 비중(wt%)이 커질수록 제조된 진동판(150)의 투과도는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진동판(150)에 블랙 안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대략 90%의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150)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블랙 안료의 비중(wt%)이 커질수록 진동판(150)의 투과도는 90%보다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안료의 비중(wt%)에 따라 40%의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도 16a), 50%의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도 16b), 60%의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도 16c) 및 70%의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도 16d)가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진동판(150)은 30% 내지 90%의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90% 이상의 투과도는 갖는 진동판은 여러 혼합 물질들로 인해 제조가 불가능하다. 30% 미만의 투과도를 위해서는 블랙 안료를 더 많은 비중(wt%)을 추가해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 플래시 불량이나 성형 불량이 발생되거나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의 진동판은 40% 내지 70%의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사출 성형 장치(200)에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이 녹아 액상화된 성형물을 이용하여 실시예의 진동판(150)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성형물이 액상이므로, 그 성형물의 유동을 위해 성형물의 도, 성형 온도, 성형 압력 등의 다양한 조건이 최적화되어야 불량 없는 성형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다양한 레진을 이용하여 무지향성 방사 구조를 갖는 진동판(150)을 만들었다. 즉, 레진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독일의 COVESTRO사에 의해 제조됨, 이하 PC1이라 함),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PC(한국의 삼양사에 의해 제조됨, 이하 PC2라 함) 등이 사용되었다.
이들 PC1, ABS, PET, PP 및 PC2 각각에 의해 제조된 진동판은 실시예의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가 포함되지 않았다.
[PC1으로 제조된 진동판]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1으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1)은 미성형이 발생되어, 실시예의 진동판(150)의 높이(H1)보다 작아, 무지향성 진동판을 구현하기 어렵다. 즉, 무지향성 진동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진동판의 높이가 높을수록 음향의 방사 면적과 방사 방향이 커져 보다 완벽한 무지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1으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1)의 높이가 실시예의 진동판(150)의 높이(H1)에 비해 1/2정도 밖에 되지 않아, 완벽한 무지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도 10b는 도 10a의 A1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1 측에 플래시(flash) 불량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아울러, 도 10c는 도 10a의 A2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2 측이 미성형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형 변형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ABS로 제조된 진동판]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BS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2)은 외관으로 볼 때에는 실시예의 진동판(150)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B1 영역과 B2 영역을 확대해 보면, 불량이 발생되었다.
즉, 도 11b는 도 11a의 B1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1 측에 플래시(flash) 불량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아울러, 도 11c는 도 11a의 B2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2 측의 외주면에 기포가 발생됨을 볼 수 있다.
[PET로 제조된 진동판]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T으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3)은 미성형이 발생되어, 실시예의 진동판(150)의 높이(H1)보다 작아, 무지향성 진동판을 구현하기 어렵다. 즉, PET으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3)의 높이가 실시예의 진동판(150)의 높이(H1)에 비해 1/2정도 밖에 되지 않아, 완벽한 무지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도 12b는 도 12a의 C1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1 측에 상당히 큰 플래시(flash) 불량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아울러, 도 12c는 도 12a의 C2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2 측이 미성형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주면에 성형 불량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PP로 제조된 진동판]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P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4)은 외관으로 볼 때에는 실시예의 진동판(150)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D1 영역을 확대해 보면, 불량이 발생되었다.
즉, 도 13b는 도 13a의 D1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1 측에 플래시(flash) 불량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PC2로 제조된 진동판]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2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5)은 미성형이 발생되어, 실시예의 진동판(150)의 높이(H1)보다 작아, 무지향성 진동판을 구현하기 어렵다. 즉, PET으로 제조된 진동판(비교예3)의 높이가 실시예의 진동판(150)의 높이(H1)에 비해 2/3정도 밖에 되지 않아, 완벽한 무지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도 14b는 도 14a의 E1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1 측에 상당히 큰 플래시(flash) 불량이 발생됨을 볼 수 있다. 아울러, 도 14c는 도 14a의 E2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제2 측이 미성형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주면에 성형 불량이 상당히 심함을 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한편, 출원인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사출 성형 장치(200)에서 실시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을 이용하여 진동판을 제조하였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지향성을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는 높이(H1)를 갖는 진동판(150)이 제조됨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50)의 높이(H1)는 제2 영역(152)의 제2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진동판(150)의 높이(H1)는 제2 영역(152)의 제2 직경(D2) 대비 1 내지 1.5일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에 F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판(150)의 제2 측의 성형이 양호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 불량이나 성형 불량이 발생되거나 기포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제2 영역(152)의 제2 직경(D2)보다 큰 높이(H1)을 갖는 진동판(150)의 제조가 가능함으로써, 해당 진동판(150)이 음향 장치(100)에 장착됨으로써 보다 완벽한 무지향성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및 실시예는 표 1로 정리될 수 있다.
No. 소재 불량 상태
진동판 제1 측 진동판 제2 측
비교예 1 PC1 플래시 불량 미성형 발생
비교예 2 ABS 플래시 발생 기포 발생
비교예 3 PET 과다한 플래시 발생 미성형 발생 및 성형 불량
비교예 4 PP 플래시 발생 N/A
비교예 5 PC2 과다한 플래시 발생 미성형 발생 및 성형 불량
실시예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N/A 성형 및 변형 모두 양호
한편, 도 3은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150)은 제1 영역(151)과 제1 영역(151) 상에 위치된 제2 영역(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51)과 제2 영역(15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판(150)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제1 영역(151)과 제2 영역(15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진동판(150)는 종래에 필름을 이용하여 진동판을 형성할 때, 서로 접하는 필름의 양단을 연결할 때 발생되는 불량에 의해 음향이 제대로 방사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진동판(150)는 종래에 필름을 이용하여 진동판을 형성할 때, 해당 연결 부분을 연결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51)은 꼬깔 형상을 가지고, 제2 영역(152)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151)의 제1 직경(D1)은 상부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고, 제2 영역(152)의 제2 직경(D2)은 상부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51)의 제1 직경(D1)은 제2 영역(152)의 제2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51)의 제1 측에 대한 측부의 경사각은 45°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151)의 제1 측에 대한 측부의 경사각이 45°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작은 사이즈로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보다 큰 높이(H1)를 갖도록 하여, 음향의 무지향 방사 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완벽한 무지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영역(151)은 음향을 방사하는 영역으로서, 최대의 면적을 확보해야 하므로, 제1 영역(151)의 면적이 제2 영역(152)의 면적이 비해 적어도 90% 이상 클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152)의 높이(H3)는 진동판(150)의 높이(H1)에 비해 10%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15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부(140)에 체결되는 영역으로서, 보이스 코일부(140)와의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판(150)의 제2 영역(152)의 내주면과 보이스 코일부(140)의 보빈의 외주면이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영역(152)의 내주면의 제2 측에 돌출부(152b)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152b)는 제2 영역(152)의 내주면의 제2 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2b)는 제2 영역(15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진동판(150)이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2b)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생략될 수도 있다.
보이스 코일부(140)가 진동판(150)에 체결될 때, 보이스 코일부(140)의 보빈의 제2 측이 돌출부(152b)에 접할 수 있다. 이때, 보빈의 제2 측과 돌출부(152b)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돌출부(152b)에 의해 보이스 코일부(140)와 진동판(150)의 제2 영역(152)의 내주면과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보이스 코일부(140)의 제2 측, 즉 보빈의 제2 측이 여전히 돌출부(152b)에 접착되어, 보이스 코일부(140)와 진동판(150) 간의 체결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코일부(140)의 제2 측이 진동판(150)의 돌출부(152b)에 체결되므로, 보이스 코일부(140)의 상하 진동이 직접적으로 진동판(150)에 전달되어, 진동판(150)이 고퀄러티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52)의 두께(T2)는 제1 영역(151)의 두께(T1)보다 클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성형물 공급 장치(230)를 통해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이 녹아 액상화된 성형물이 사출 성형 장치(200)의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 사이의 갭으로 주입된 후 냉각됨으로써, 진동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 장치(200)는 제1 공급부(231), 분배부(232) 및 복수의 제2 공급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부(231) 및 제2 공급부(233)는 스프루(sprue)로 불릴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이 가열 공정에 의해 녹아 액상화된 성형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액상화된 성형물이 제1 공급부(231), 분배부(232) 및 복수의 제2 공급부(233)를 통해 사출 성형 장치(200)의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 사이의 갭으로 주입될 수 있다.
분배부(232)는 제1 공급부(231)의 성형물을 균일한 복수의 제2 공급부(233)로 분배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급부(233)는 예컨대, 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에서 성형물이 사출 성형 장치(200)의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 사이의 갭으로 주입됨으로써, 갭 내에서 서로 만나는 시점이나 유동이 균일함으로써 플래시 불량이나 성형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기포도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진동판(150)의 제2 영역(152)의 두께(T2)는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끝단에 위치된 게이트(234)의 직경(D11)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 근처에서 성형물이 뭉쳐 있다가 서서히 제2 측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므로, 진동판(150)의 제2 영역(152)의 두께(T2)는 비교적 두껍고, 제1 영역(151)의 두께(T1)은 비교적 얇을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진동판의 제2 영역(152)이 보이스 코일부(140)에 체결되는 영역으로서, 체결 공정시, 물리적인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제2 영역(152)에 깨짐과 같은 손상이 발생되고, 제1 영역(151)으로 해당 깨짐이 이어져 진동판(150)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하지만, 진동판(150)의 제2 영역(152)의 두께(T2)를 제1 영역(151)의 두께(T1)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진동판(150)과 보이스 코일부(140) 간의 체결 공정시 제2 영역(152)의 깨짐을 방지하여 진동판(150)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51)의 두께(T1)은 0.4mm 이하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사출 성형 장치(200)를 이용하여 0.4mm 이하의 두께(T1)을 갖는 제1 영역(151)을 포함하는 진동판(150)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무지향성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영역(151)의 두께(T1)을 가능한 매주 얇게 형성함으로써, 보이스 코일부(140)의 진동에 대응하여 진동판(150)이 진동됨으로써, 고퀄러티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진동판(150)의 상면은 그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리세스(15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세스(152a)는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가 위치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에 의해 형성된 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를 통해 성형물이 갭으로 주입되어 갭을 모두 채우는 경우, 성형 물의 일부는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 사이의 갭도 채운 후 냉각 공정을 통해 진동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성형물 공급 장치(230)는 제2 성형 프레임(22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성형물 공급 장치(230)는 제2 성형 틀(221) 위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후, 제2 성형 프레임(2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복수의 제2 공급부(233)도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래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가 위치된 영역에 성형물이 채워지지 않으므로, 게이트(234)가 위치된 영역이 리세스(152a)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가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에 의해 형성된 갭 내에 위치됨으로써, 플래시 불량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가 갭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사출 성형에 의해 진동판(150)이 형성된 후 복수의 제2 공급부(233)도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진동판(150)의 제1 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플래시 불량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돌출된 플래시 불량에 의해 후공정시 또 다른 불량을 야기하거나 진동판(150)을 깨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공급부(233) 각각의 게이트(234)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성형 틀(211)과 제2 성형 틀(221)에 의해 형성된 갭 내에 위치됨으로써, 진동판(150)의 제1 측에 리세스(152a)가 형성됨으로써,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래시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진동판(150)은 내주면(151a)과 외주면(15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주면(151a)과 외주면(151b) 각각의 표면 거칠기(Ra1, Ra2)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외주면(151b)의 제2 표면 거칠기(Ra2)는 내주면(151a)의 제1 표면 거칠기(Ra1)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면 거칠기(Ra1)는 0.01㎛으로서 경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표면 거칠기(Ra2)는 15㎛ 내지 25㎛로서, 제1 표면 걸칠기(Ra1)에 비해 매우 거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주면(151b)의 제2 표면 거칠기(Ra2)는 내주면(151a)의 제1 표면 거칠기(Ra1)보다 크게 함으로서, 사출 성형으로 진동판(150)이 형성된 후 진동판(150)이 잘 분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성형 프레임(210) 및/또는 제2 성형 프레임(2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의 갭이 유지된 후,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이 액상화된 성형물이 해당 주입되고 냉각되어 진동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2 성형 프레임(2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진동판(150)의 외주면(151b)이 제2 성형 프레임(220)의 제2 성형 틀(2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진동판(150)의 외주면(151b)이 경면인 경우, 진동판(150)의 외주면(151b)과 제2 성형 틀(221) 간의 표면 장령에 의해 제2 성형 틀(221)과 진동판(150)의 외주면(151b)이 잘 분리되지 않고 제2 성형 프레임(220)이 강제적으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진동판(150)이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성형 프레임(220)의 제2 성형 틀(221)의 내측 면이 제2 표면 거칠기(Ra2)를 갖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진동판(150)의 제1 영역(151)의 외주면(151b)이 제2 표면 거칠기(Ra2)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151)의 외주면(151b)이 제2 표면 거칠기(Ra2)를 가짐으로써, 진동판(150)의 깨짐 없이 제1 영역(151)의 외주면(151b)이 제2 성형 틀(221)과 잘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영역(151)의 외주면(151b)이 내주면(151a)의 제1 표면 거칠기(Ra1)보다 큰 제2 표면 거칠기(Ra2)를 가지므로, 가이드부(180)에서 전달된 광이 제1 영역(151)의 외주면(151b)에서 산란됨으로써, 광이 보다 균일하게 방출되어 무드 기능의 활성황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진동판(150)의 제1 영역(151)의 최하측에서 소정 높이(H2)에 대응하는 내주면(151a)의 일부 영역(151c)은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3 표면 거칠기(Ra3)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 표면 거칠기(Ra3)는 제2 표면 거칠기(Ra2)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151c)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부재(160)에 의해 체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진동판(150)의 제1 영역(151)의 일부 영역(151c)은 체결 부재(160)와 면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체결 부재(160)의 일측이 진동판(150)의 제1 영역(151)의 일부 영역(151c)에 부착될 수 있다. 체결 부재(160)의 타측은 서포트(110)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부재(160)의 타측은 접착제나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서포트(110)에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판(150)의 제1 영역(151)의 일부 영역(151c)이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3 표면 거칠기를 가짐으로써, 체결 부재(160)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진동판의 탄성률이 낮을수록 출력 전달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 더 높은 전류를 흘려주어야 하므로,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을 이용하여 진동판(150)을 형성함으로써, 진동판(150)의 탄성률이 1800MPa 내지 2100MPa로서 매우 높은 탄성률을 가지게 되어, 보다 낮은 전류를 보이스 코일부(140)에 흘려 주어도, 원하는 이상의 출력, 즉 음향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고퀄러티 음향을 실현하고 소비 전력을 보다 낮출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진동판(150)은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330)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친환경적으로 기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음향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일부에 지나지 않고, 실제로는 더 많은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음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는 투광성을 이용할 수 있고, 친환경이 요구되는 장치, 장비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수지 소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30wt% 내지 70wt%인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제는 0.3wt% 내지 1.2wt%이고,
    상기 분산제는 0.1wt%이하인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불투명한 셀룰로오스 파우더로부터 획득되는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4.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상기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은,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 수지 소재, 광 확산제, 분산제 또는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셀룰로오스 소재는 30wt% 내지 70wt%인
    진동판.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의 높이는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진동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높이는 상기 제2 직경 대비 1 내지 1.5인
    진동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꼬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원통 형상을 갖는
    진동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은 상부 방향을 따라 작아지는
    진동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영역의 두께보다 큰
    진동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두께는 0.4mm 이하인
    진동판.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내주면; 및
    상기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외주면;을 포함하는
    진동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거칠기는 0.01㎛이하이고,
    상기 제2 표면 거칠기는 15㎛ 내지 25㎛인
    진동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최하측에서 소정 높이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표면 거칠기보다 큰 제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진동판.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은,
    그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진동판.
  15. 제4항에 있어서,
    1800MPa 내지 2100MPa의 탄성률을 갖는
    진동판.
  16. 제4항에 있어서,
    30% 내지 90%의 투과도를 갖는
    진동판.
  17. 제4항에 있어서,
    무지향성 음향을 방사시키는 진동판.
  18. 제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제2 영역에 결합되는 보이스 코일부; 및
    상기 보이스 코일부 상에 자기장 생성부;를 포함하는
    음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광원; 및
    광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PCT/KR2022/006974 2022-05-16 2022-05-16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WO202322413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6974 WO2023224133A1 (ko) 2022-05-16 2022-05-16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6974 WO2023224133A1 (ko) 2022-05-16 2022-05-16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133A1 true WO2023224133A1 (ko) 2023-11-23

Family

ID=8883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974 WO2023224133A1 (ko) 2022-05-16 2022-05-16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2413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187A (ja) * 2000-10-12 2002-04-19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新規セルロース原料とその積層体
US20090074228A1 (en) * 2007-09-13 2009-03-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Loudspeaker cone body
JP2011055227A (ja) * 2009-09-01 2011-03-17 Sharp Sangyo Kk スピーカー
KR101711418B1 (ko) * 2015-11-27 2017-03-02 탐투스 주식회사 등기구 겸용 무지향 스피커
KR20180121301A (ko) * 2017-04-28 2018-11-07 (주)월드트렌드 친환경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컴파운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187A (ja) * 2000-10-12 2002-04-19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新規セルロース原料とその積層体
US20090074228A1 (en) * 2007-09-13 2009-03-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Loudspeaker cone body
JP2011055227A (ja) * 2009-09-01 2011-03-17 Sharp Sangyo Kk スピーカー
KR101711418B1 (ko) * 2015-11-27 2017-03-02 탐투스 주식회사 등기구 겸용 무지향 스피커
KR20180121301A (ko) * 2017-04-28 2018-11-07 (주)월드트렌드 친환경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컴파운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7574A1 (en) Display apparatus
WO2012060521A1 (en)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7007087A1 (en) Backlight unit of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WO202016698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WO2018056770A1 (ko) 카메라 렌즈 배럴,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WO2016024746A1 (en) Mobile terminal
WO2015156431A1 (ko) 다파장 광 서브어셈블리 모듈
WO2017196071A1 (en) Waveguide for a height channel in a speaker
WO2023224133A1 (ko) 셀룰로오스 복합체 펠릿, 진동판 및 음향 장치
WO202110117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WO2014042318A1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5182862A1 (ko) 고분자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46860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37458A2 (ko) 듀얼 진동 장치
WO2012091255A1 (en) Display apparatus
CN104770016A (zh) 非接入层消息的处理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WO2015163598A2 (en) Backlight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7209343A1 (ko) 이동 단말기
WO2017200154A1 (ko) 박형 스피커
WO2019078412A1 (ko) 경화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경화 방법
WO2021167425A1 (ko)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WO2021201640A1 (ko)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231011A1 (ko) 이동 단말기
EP3949444A1 (en) Display apparatus
WO2022225234A1 (ko) 사운드 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27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