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4602A1 -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4602A1
WO2023204602A1 PCT/KR2023/005307 KR2023005307W WO2023204602A1 WO 2023204602 A1 WO2023204602 A1 WO 2023204602A1 KR 2023005307 W KR2023005307 W KR 2023005307W WO 2023204602 A1 WO2023204602 A1 WO 20232046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oronavirus
euljatang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5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선오
진영희
이상명
김상현
윤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32046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46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 complex herbal medicine extract, especially an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new type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ARS-CoV2) is a virus that has a single-stranded positive RNA genome consisting of approximately 30,000 base pairs, and the viral surface is surrounded by an envelope. Since it was first reported in Wuhan, China at the end of December 2019, the number of infected people has rapidly increased worldwide. The virus spreads so efficiently between people th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declared it a pandemic with the potential to spread around the world and is seeking responses.
  • Typical Covid-19 patients show relatively mild symptoms such as increased body temperature, cough, and chest pain, but some patients develop serious diseases such as difficulty breathing and pneumonia, leading to death.
  • coronavirus infections include ribavirin, famciclovir, nitazoxanide, nafamostat, and chloroquine.
  • Remdesi Remdesivir (GS-5734) and favipiravir are being used to treat coronavirus infections, but their effectiveness is low and the incidence of variant viruses is high due to the nature of nucleic acid analog antivirals, so two or more types of antivirals are applied together. .
  • Most antiviral drugs used for coronavirus infections have the ability to inhibit RNA polymerase, but mouse hepatitis virus, a type of coronavirus that is resistant to remdesivir, has been discovered, and existing antiviral drugs have been discovered. Viral drugs are ineffective.
  • antiviral drugs developed to date have severe side effects, so great caution is required in their application.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2-0013625 discloses an anti-coronavirus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n extract of Ulgoebul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2-0018953 discloses an anti-coronavirus composition containing fern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provides an antiviral composition for coronavirus containing an extract of Euljatang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extract protects cells from coronavirus infection and inhibits virus prolif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mortality rate due to infection was reduced in a coronavirus infection animal mode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viral composition against coronavirus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ntiviral effect of Euljatang extract against SARS-CoV2 through CPE (Cytopathic effect) inhibition analysis.
  • A is the result of quantifying the antiviral effect against SARS-CoV2 according to treatment with Euljatang extract at each concentration
  • B is the result of quantifying the antiviral effect against SARS-CoV2 according to treatment with remdesivir, a positive control. It is a result.
  • NC is the normal group
  • VC is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SARS-CoV2.
  • Figure 2 is a fluorescent photograph (A)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Euljatang extract on inhibiting viral infection against SARS-CoV2 and the result of quantifying it (B).
  • NC is the normal group
  • VC is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SARS-CoV2. **, ***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viral infection in the Euljatang extract-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C) treated with SARS-CoV2, ** is p ⁇ 0.01, *** is p It is ⁇ 0.001.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body weight (A), body temperature (B), and survival rate (C)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Euljatang extract in a SARS-CoV2 infection animal model.
  • Mock is a normal group not infected with SARS-CoV2
  • Control is a SARS-CoV2 infected group
  • Euljatang extract 200 mg/kg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SARS-CoV2 infection and the Euljat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200 mg/kg. a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viral composition against coronavirus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ronavirus may be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type 2 (SARS-CoV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ARS CoV),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coronavirus, Preferably, it is type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ARS-CoV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ARS-CoV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SARS CoV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SARS CoV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 the euljatang may be a mixture of angelica root, horse root, goldenrod, licorice, horseradish and rhubarb, preferably 3.0 to 12.0 parts by weight, angelica root, 2.5 to 10.0 weight parts, and 1.5 to 6.0 weight parts. It is a mixture consisting of gold, 1.0 to 4.0 parts by weight of licorice, 0.75 to 3.0 parts by weight of horseradish, and 0.5 to 2.0 parts by weight of rhubarb, more preferably 5.0 to 7.0 parts by weight, angelica root, 4.0 to 6.0 parts by weight, and 2.0 to 4.0 parts by weight.
  • the extract of Euljata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type 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capsules, powders, granules, tablet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You ca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These solid preparations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is prepared by mixing. Additionally,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or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 As a base for suppositories weth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aurin, glycerogelatin, etc.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may be manufactured in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powder, granule, pill,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od additive,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raw materials.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Health functional foods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and tea. There are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t includes all health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etc.), oligosaccharides, polysaccharides (e.g., dextrins, cyclodextrins, etc.), or sugar alcohols (e.g., For example, xylitol, sorbitol, erythritol, etc.) is preferable.
  • the flavoring agent may be a natural flavoring agent (e.g., thaumatin, stevia extract, etc.) or a synthetic flavoring agent (e.g., saccharin, aspartame, etc.).
  • the ratio of the ingredients added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quasi-drugs may include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 it may be a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garnish,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or oin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can be added as is or used with other quasi-drugs or quasi-drug components, and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general emulsified formulation or solubilized formulation.
  • it may have a formulation such as lotion, cream, ointment, spray, oil gel, gel, oil, or aerosol, bu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shows the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the coronavirus inf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carrier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products. ,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flexible lotion (skin), nourishing lotion (milk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shampoo, pack, spray or powder. You can.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gacantha,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are used as carrier ingredients. It can be.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spray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can be used as the carrier ingredient.
  • chlorofluorohydrocarbon and propane may be used as carrier ingredients.
  • May contain propellants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 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nd microcrystals.
  •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microcrystal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gacantha can be used.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and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Euljat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supplementary feed under the Feed Management Act.
  • the term 'feed'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meal, for or suitable for eating, ingestion, and digestion by animals.
  •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plant feeds such as grains, roots and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cucurbits or grain by-products;
  •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substances, fats and oils, minerals, oils and fats, single-cell proteins, zooplanktons or food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 Euljata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lex herbal medicine extract consisting of 6.0g of Angelica root, 5.0g of Shiho, 3.0g of Golden, 2.0g of Licorice, 1.5g of Horsetail and 1.0g of Rhubarb from Kracie Pharmaceutical Co., Ltd. It was provided by Pharma Ltd., JAPAN).
  • SARS-CoV2 was inoculated at an m.o.i of 0.01.
  • the Euljatang of Preparation Example 1 prepared by diluting with DMEM containing 2% (v/v) FBS and 1% (v/v) penicillin-streptomycin to match the treatment concentration was treated according to concentration, Cultured for 3 days. After incubation, the cell culture medium was removed, and then treated with a 1:1 volume ratio of methanol:acetone and fixed fo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 Euljatang extract The inhibitory effect of Euljatang extract on SARS-CoV2 virus infection was confirmed using immunofluorescence analysis. Specifically, Vero E6 cells were distributed in a 96-well plate at 1 ⁇ 10 4 cells/well, treated with Euljatang extract, and then cultured in DMEM containing 2% (v/v) FBS and 1% (v/v) antibiotics. SARS-CoV2 diluted 1000 times was treated and then cultured for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fixed with a 4% (v/v) formaldehyde solution, reacted with a primary antibody (N-protein) diluted 2000 times, and then reacted with a secondary antibody diluted 200 times. After the reaction, the cells were observ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analyzed.
  • Example 3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Euljatang extract in a SARS-CoV2 infection animal model
  • the body weight of the group administered the Euljat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ARS-CoV2 infected group after the 6th day, and the body temperature increased rapidly on the 6th day in the SARS-CoV2 infected group.
  • the group administered the Euljat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ed body temperature at a level similar to normal,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SARS-CoV2 infection group on day 10 decreased sharply, but the group administered the Euljat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s survival rate was maintained at about 60%.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Euljat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reduce the mortality rate of the severe SARS-CoV2 infection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을자탕 추출물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동물모델에서 감염에 의한 치사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제, 항코로나바이러스용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화장품 또는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복합한약재 추출물, 특히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결과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한국한의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과제번호: 1711175247).
신종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는 약 3만 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진 단일 가닥의 양성 RNA 게놈을 가지고 있고, 바이러스 표면이 외피로 둘러싸여 있는 바이러스이다. 2019년 12월 말에 중국 우한에서 최초로 보고된 후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가 폭증하였다. 상기 바이러스는 사람 사이의 전파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전 세계에 유행이 가능한 펜데믹으로 선포하고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일반적인 코비드-19 환자는 체온상승, 기침 및 가슴 통증과 같은 비교적 심하지 않은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호흡곤란 및 폐렴과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되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현재까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공인된 치료제로는 리바비린(ribavirin), 팜시클로비르(famciclovir), 니타족사나이드(nitazoxanide), 나파모스타트(nafamostat) 및 클로로퀸(chloroqu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렘데시비르(remdesivir, GS-5734)와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가 낮고 핵산 아날로그형 항바이러스제들의 특성상 변종바이러스의 발생율이 높아 2종 이상의 항바이러스제를 같이 적용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들은 대부분 RNA 폴리머라아제(polymerase) 억제능을 가지고 있지만, 렘데시비르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마우스 간염 바이러스(Mouse hepatitis virus)가 발견되었으며, 기존의 항바이러스제의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항바이러스제들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응용에 있어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요법이다.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감염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독성이 적은 새로운 항코로나바이러스제의 개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22-0013625호에는 울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22-0018953호에는 고사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해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추출물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동물모델에서 감염에 의한 치사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을자탕 추출물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동물모델에서 감염에 의한 치사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을자탕 추출물의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CPE(Cytopathic effect) 억제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A)는 농도별 을자탕 추출물 처리에 따른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정량한 결과이고, (B)는 양성 대조군인 렘데시비르 처리에 따른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정량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VC는 SARS-CoV2를 처리한 대조군이다.
도 2는 을자탕 추출물의 SARS-CoV2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를 확인한 형광사진(A) 및 이를 정량한 결과(B)이다. NC는 정상군이고, VC는 SARS-CoV2를 처리한 대조군이다. **, ***은 SARS-CoV2를 처리한 대조군(VC) 대비 을자탕 추출물 처리군의 바이러스 감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1, ***은 p<0.001이다.
도 3은 SARS-CoV2 감염 동물모델에서 을자탕 추출물 투여에 따른 체중(A), 체온(B) 및 생존률(C)을 확인한 결과이다. Mock은 SARS-CoV2에 감염되지 않은 정상군이고, Control은 SARS-CoV2 감염군이며, 을자탕 추출물(200mg/kg)은 SARS-CoV2 감염 및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을 200mg/kg으로 투여한 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 CoV) 및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코로나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을자탕은 당귀, 시호, 황금, 감초, 승마 및 대황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12.0 중량부의 당귀, 2.5~10.0 중량부의 시호, 1.5~6.0 중량부의 황금, 1.0~4.0 중량부의 감초, 0.75~3.0 중량부의 승마 및 0.5~2.0 중량부의 대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7.0 중량부의 당귀, 4.0~6.0 중량부의 시호, 2.0~4.0 중량부의 황금, 1.5~2.5 중량부의 감초, 1.0~2.0 중량부의 승마 및 0.8~1.2 중량부의 대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의 당귀, 5.0 중량부의 시호, 3.0 중량부의 황금, 2.0 중량부의 감초, 1.5 중량부의 승마 및 1.0 중량부의 대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은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총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일 예로,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션 등과 같은 유액, 크림, 연고, 스프레이, 오일젤, 젤, 오일, 에어로졸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일반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샴푸,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을자탕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을자탕은 6.0g의 당귀, 5.0g의 시호, 3.0g의 황금, 2.0g의 감초, 1.5g의 승마 및 1.0g의 대황으로 이루어진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크라시에 약품 유한회사(Kracie Pharma Ltd., JAPAN)로부터 제공받았다.
실시예 1. CPE(cytopathic effect) 억제 분석을 통한 을자탕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확인
96웰 플레이트에 Vero E6 세포를 배양한 후, SARS-CoV2를 m.o.i 0.01로 접종하였다. 접종 후, 처리 농도에 맞도록 2%(v/v) FBS 및 1%(v/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으로 희석하여 준비한 상기 제조예 1의 을자탕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메탄올:아세톤이 1:1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을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10분 동안 고정하였다. 이후, 용액을 제거하고, 0.4%(w/v)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을 각 웰에 첨가한 다음 10분 동안 실온에서 염색한 후, 용액을 모두 제거하고 건조하였다. 건조 후, 메탄올:아세트산을 1:1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이를 3차 증류수로 5배 희석한 용액을 각 웰에 100㎕씩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추출하였고, 이의 흡광도를 55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SARS-CoV2의 증식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은 SARS-CoV2 바이러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을자탕 추출물의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확인
을자탕 추출물의 SARS-CoV2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를 면역형광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Vero E6 세포를 1×104 세포/웰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을자탕 추출물을 처리한 후, 2%(v/v) FBS 및 1%(v/v) 항생제가 포함된 DMEM으로 1000배 희석한 SARS-CoV2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4%(v/v)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으로 세포를 고정한 다음 2000배 희석한 1차 항체(N-단백질)와 반응시킨 후, 200배 희석한 2차 항체와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포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형광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을자탕 추출물 처리에 의해 SARS-CoV2 바이러스의 세포 내 감염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실시예 3. SARS-CoV2 감염 동물모델에서 을자탕 추출물의 효능 평가
hACE2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에서 SARS-CoV2 감염에 대한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SARS-CoV2 감염시키기 2일 전부터 사망하는 날까지 을자탕 추출물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감염 당일(0일째)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 SARS-CoV2를 2,000pfu/mouse로 비강 접종하여 감염시켰고(20㎕/mouse), 실험 종료까지 매일 체중 및 체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은 6일 째 이후, SARS-CoV2 감염군보다 증가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체온은 SARS-CoV2 감염군의 경우, 6일째 급격하게 체온이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 투여군은 정상과 유사한 수준으로 체온을 유지하고 있었고, SARS-CoV2 감염군의 10일 째 생존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생존율은 약 60%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을자탕 추출물은 중증 SARS-CoV2 감염군의 치사율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Claims (11)

  1.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을자탕은 당귀, 시호, 황금, 감초, 승마 및 대황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3.0~12.0 중량부의 당귀, 2.5~10.0 중량부의 시호, 1.5~6.0 중량부의 황금, 1.0~4.0 중량부의 감초, 0.75~3.0 중량부의 승마 및 0.5~2.0 중량부의 대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5.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을자탕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0.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을자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PCT/KR2023/005307 2022-04-20 2023-04-19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60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09A KR102532946B1 (ko) 2022-04-20 2022-04-20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2-0048909 2022-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602A1 true WO2023204602A1 (ko) 2023-10-26

Family

ID=8654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5307 WO2023204602A1 (ko) 2022-04-20 2023-04-19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2946B1 (ko)
WO (1) WO202320460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73A (ko) * 2000-01-03 2001-07-23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9618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40781A (ko) * 2014-10-06 2016-04-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10112570A (ko) * 2020-03-05 2021-09-15 남종현 항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20044082A (ko) * 2020-09-28 2022-04-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연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73A (ko) * 2000-01-03 2001-07-23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9618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40781A (ko) * 2014-10-06 2016-04-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10112570A (ko) * 2020-03-05 2021-09-15 남종현 항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20044082A (ko) * 2020-09-28 2022-04-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연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946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249392A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49393A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7951B1 (ko) 녹각 영지버섯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양성 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055931A2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602A1 (ko)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603A1 (ko)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0289A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2944B1 (ko)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887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630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334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038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4075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957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685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407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252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408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1837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7527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408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906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611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791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64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921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