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2646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2646A1
WO2023132646A1 PCT/KR2023/000197 KR2023000197W WO2023132646A1 WO 2023132646 A1 WO2023132646 A1 WO 2023132646A1 KR 2023000197 W KR2023000197 W KR 2023000197W WO 2023132646 A1 WO2023132646 A1 WO 20231326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urse
user
control unit
op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1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정원
서상욱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326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26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various processes for treating clothes, such as a washing course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laundry by putting clothes, bedd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undry) into the drum, or a drying course to remove moisture present in clothes. It is a device capable of conducting courses.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nd may include a drum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Also, when water is used in the course of processing clothes, a tub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the drum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ub.
  • Laundry handling apparatuses can be classified into a top loading method and a front loading method based on a method of putting clothes into a drum.
  • a top loading method clothes may be put in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 a front loading method clothes may be put in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23986 disclos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search unit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to a user.
  • the user may perform a desired laundry treatment process by changing a plurality of laundry treatment courses prese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rresponding op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treating clothe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treatment courses for treating clothe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flexible treatment course that meets the user's need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user's request can be reflected in option setting for a treatment course.
  •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for treating clothes may be stored in the controller and provided to the user.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may include an existing course pre-stored in the controller and an additional course additionally stored by the user.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may include processing courses edited by the user. That is, a user course edited and stored by a user may be further stored in the control unit along with the existing course.
  • options that can be adjusted by the user exist for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and the options are set so that stored values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are reflected as initial setting values.
  • control unit may store the preference value and reflect the preference value as an option setting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instead of the stored value.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a drum, and a control unit.
  • the drum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lothes are accommodated therein.
  •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es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for processing clothes.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include an existing course preset in the control unit, and further include a user course additionally crea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urse by setting an option by a user.
  • the user course may be maintained as part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even after the control unit is cut off and re-powered.
  •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to a user, and the output unit outputs a course selection screen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is selected, and the user course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along with the existing course. Either one may be displayed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 the user course may be created with options set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abinet or a user's terminal.
  • a user course setting screen for generating the user course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provided to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 screen or a user's terminal.
  • the user course may be created as a new course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course by changing the setting value of the option from the existing course.
  • a plurality of existing courses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and the user course may be created as a new course having a changed set value of the option by the user from on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existing courses.
  • the control unit stores an additional course additionally created by a use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urse as a part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and the user course may correspond to the additional course.
  • the additional course may be deleted from the control unit by the user.
  • An additional course recommendation screen providing an additional course that can be additionally created is provided in the cabinet and outputted from an output unit or a user's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dditional course recommendation screen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additional course recommendation screen.
  • a course may be stored as a part of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 the control unit performs a course selection process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s is selected as a selection course by a user, and in the course selection process, the user can change the setting value of the option of the selected course.
  • the control unit stores setting values repeatedly set by the user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for the option of the selected course in previous course selection processes as a preference value, and converts the preference value to the option for the selected course during the current course selection process. It can be reflected as the setting value of .
  • the control unit reflects the preference value as the set value if the preference value exists for the option of the selection course, and reflects the stored value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as the set value if the preference value does not exist.
  • the control unit may store, as the preferred value, a set value repeatedly set by the us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in previous course selection processes.
  • the preference value reflection function of reflecting the preference value as the set value may be released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abinet and receiving a user's command or a user's terminal.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a laundry treatment proces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treatment courses for treating laundr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flexible treatment course meeting a user's request.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user's request can be reflected in option setting for a treatment cour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tub is o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table showing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stored in a control uni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course selection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table showing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in which user courses are stored in addition to existing courses stored in the control unit i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cours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electing an additional course and adding it to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set value for any one option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 FIG. 1 show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
  • the cabinet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 a space in which a drum 30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s defined therein.
  • the cabinet 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column or a circular column, as necessary. As shown in FIG. 1 , when the cabinet 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cabinet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anels or by integrally molding and bending the plurality of panels.
  • the plurality of panels may include a front panel 11, a rear panel, a top panel 12, a bottom panel 13, and a pair of side panels.
  • a clothes opening 18 through which clothes are put inside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 .
  • the clothing opening 18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may be an entrance for a user to put clothes into the cabinet 10 .
  • the clothing opening 18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11 or the top panel 12 of the cabinet 10 .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ing opening 18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11 to take a front loading method or formed on the top panel 12 to take a top loading method.
  • FIG. 1 shows a front-load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 which the clothes opening 18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11 of the cabinet 10, however, a top-loading apparatus may be used if necessary.
  •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a clothing door 19 is hinged to the cabin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 .
  • the clothing door 19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to determin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lothing opening 18 .
  • the clothing door 19 can open the clothing opening 18 by being rotated away from the cabinet 10 around the hinge, and rotat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binet 10 around the hinge, thereby opening the clothing opening 18. can be closed.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door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clothing door 19 .
  • the door lock unit may fix the clothing door 19 so that the clothing door 19 remains closed to the clothing opening 18 .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90, and the control unit 90 is signalally connected to the door locking unit to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or locking unit, thereby controlling the closed state of the clothing door 19. You can control it.
  • the door locking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to fix the clothing door 19 in a locked state so that the clothing door 19 in a closed state does not change to an open state.
  • the clothing door 19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to open the clothing opening 18 or can be freely operated by the user in an open state.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100 , and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nd an output unit 130 .
  • FIG. 1 shows the control unit 1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1, the position, shape and number of the control unit 100 may vary as needed.
  • the control unit 100 may be a means for exchanging signals or information between a user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1 schematically shows a detergent supply unit 40, a drum 30, and a tub 2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the tub 2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may contain water therein.
  • the tub 20 may be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o use a large amount of water for laundry treatment, such as a washing course and a rinsing course.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erform a laundry treatment course C100 using wash water, such as the washing course,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has a tub ( 20) may be provided and the drum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ub 20.
  • the tub 20 may be omitted.
  • the tub 20 may not exist and only the drum 30 may exist.
  • the drum 3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clothes may be accommodated therein. That is, clothes put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clothes opening 18 may be accommodated in the drum 30 and subjected to various processing courses C1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ub 20 and the drum 30 will be described later.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ergent supply unit 40.
  • the detergent supply unit 40 may supply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to generate and enhance a washing effect in a washing cours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lothes.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terminal 95 .
  • the user's terminal 95 refers to a device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or receive information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1. can
  • communication is made with the terminal 95 through the control unit 90, an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95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 FIG. 2 shows a manipula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that generates an input signal by a user's manipulation and an output unit 130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90 .
  •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nd/or an output unit 130, and the input unit 110 and the output unit 130 may be located together or separately positioned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 Each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output unit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in the cabinet 10 .
  •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134 on which a screen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is output.
  •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screen circumference 132 surrounding the display 134 and a display 134 positioned on the screen circumference 132, and a control unit ( 90) to output a screen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34.
  • the output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providing an auditory signal, for example, various notification sounds to the user.
  • the input unit 110 may be operated by a user to generate various input signals.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button that is physically manipulated by the user, a touch that generates a signal by contacting the user's hand, and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user.
  • buttons includes a physical button in which a physical change is generated by a user's manipulation, and a touch-type button in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by contact with a user's han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tons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nd shapes as needed.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power button 111.
  • the power button 111 When the power button 111 is input, power may be applied to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is connected to external power but maintains a standby state or a sleep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to the rest of the components except for some components, and when the power button 111 is operated Power is also applied to the rest of the components so that they can be switched to a power-on state or a wake-up state in which preparations for performing the clothing treatment course C100 are mad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tandby unit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power at all times regardless of a standby state and a power application state, and the power standby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when the power button 111 is input in the sleep state 90) may be provided to allow power application with other configurations.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display button 113.
  • the display button 113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circumference 132 of the output unit 130 or disposed around it. Also, the display button 113 may be replaced with a touch method of the display 134 .
  • a command based on scree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134 may be input to the display button 113 .
  • the user can manipulate the display button 113 to select a specific area or any one item of the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134 .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movement button.
  • the movement button may be disposed on o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creen 132 .
  • the movement button may be replaced with a jog type that is disposed on the screen circumference 132 and rotated, or may be replaced with a touch method of the display 134.
  • the user can change an object to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lists on th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134 by manipulating the movement button.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n action button 112 .
  • the perform button 112 may also be defined as a pause button.
  • various treatment courses C100 for treating clothes accommodated in the drum 30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 the user can manipulate the execution button 112 to perform or pause the processing course C100.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pairing control button 114 .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may perform a pairing mode in which communication is allowed with another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2, and mutual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 a pairing control mode capable of directly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2 may be performed.
  • the user uses the input unit 110 provided in the cabin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pairing wit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 can be controlled.
  • control unit 90 may perform a pairing mod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 located outside the cabinet 10 is permitted and information is exchanged.
  • the control unit 90 may perform the pairing mod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
  • the controller 90 transmits a command directly to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through the input unit 110.
  • Control mode can be perform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trol unit 90 may also perform pairing control by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n option setting unit 115 .
  • the user can adjust the setting values for a plurality of options by manipulating the option setting unit 115 .
  • control unit 90 may be in a state where various processing courses C100 for processing clothes are preset.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include a washing cours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lothes, a rinsing course for rinsing clothes, a spin-drying course for removing moisture from clothes by a physical method such as centrifugal force, and a phase change such as water evaporation. It may include a drying course for removing moisture from clothes through the process.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justable options, respectively.
  • Each of the plurality of options may have a plurality of option values selectable by a user,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tion values may be applied as a setti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option.
  • the user can change the set values of options that allow the change of set values by manipulating the option setting unit 115 . That is, each option is set to have an initial setting value before being chang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change the setting value of a specific option from the initial setting value to another option value through the option setting unit 115 .
  • the option setting unit 1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for changing each option, allow manipulation of options changeable by the user in the currently selected course C100, and signal signals for options unchangeable by the user. I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o that generation is prohibited.
  • control unit 90 may reflect a change in an option changeable by the user for the currently selected course C100, but ignore the command if a change in an option unchangeable by the user is input.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buttons for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buttons mentioned above.
  • FIG. 3 show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ing a tub 20 and a detergent supply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when a clothes washing course is perform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 tub 20 and a detergent supply unit 40. can include
  • the tub 2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may form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and may have various shapes.
  • a tub opening 22 facing the clothing opening 18 of the cabinet 1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ub 20 .
  • the tub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tub opening 2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20 facing the clothing opening 18 . Clothes put in through the clothes opening 18 may be put into the tub 20 through the tub opening 22 .
  • the drum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20 .
  • the drum 30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rein.
  • the drum 3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by the drive unit 35 .
  • the drive unit 35 may be provided outside the tub 20, and the drum 30 may have a rotational shaf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 the driving unit 35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belt or the like.
  • the drum 30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20 , and a drum opening 3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tub opening 22 . That is, the inside of the drum 3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drum opening 32 , the tub opening 22 and the clothing opening 18 .
  • clothes put in by the user through the clothing opening 18 can pass through the clothing opening 18 , the tub opening 22 and the drum opening 32 to be accommodated in the drum 30 .
  • the clothes opening 18, the tub opening 22, and the drum opening 32 may be alig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um 30.
  • the drum 3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so as to be easily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 the drum 3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60).
  • the water supply unit 6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provided outside the cabinet 10, such as a dormitor in the city,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 the water supply unit 60 may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water, and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flows along the water supply pipe 62 and is directly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tub 20 or detergent It may be provided to the supply unit 40.
  • the detergent supply unit 40 may store detergent therein and supply the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20 or the drum 30 .
  • the detergent supply unit 40 may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2 and detergent together to the inside of the tub 20.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ainage part 70 .
  • the control unit 90 may perform a draining process by controlling the drainage unit 70 to discharge water inside the tub 20 to the outside during a washing course.
  • the drainage unit 70 may includ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tub 20 to allow water inside the tub 20 to flow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drain valv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in the drain pipe. It may include a drainage pump for generating a flow of water in.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90.
  • the control unit 90 may signalally connect with various components consuming pow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the control unit 90 may be provid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s needed, and may include various detailed configurations.
  • control unit 90 may functionall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r other element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n arithmetic unit for information processing.
  • control unit 90 may include a sub control unit 90 provided for each configuration and a main control unit 90 that is signally connected to the sub control unit 90 and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sub control unit 90. may be
  • control unit 90 classified by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be spatially and functionally integrated as needed.
  • at least some of the detailed components may be spatially separated and disposed.
  • FIG. 4 shows a form in which the tub 20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40 are removed and a drying course of clothe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um 3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 the driving unit 35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30 itself or a rotating shaft of the drum 30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um 30 .
  • a heating unit 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to provide high-temperature air to clothes inside the drum 30 .
  • the heating unit 5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unit 14 located on the lower panel 13 and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 FIG. 4 shows a heating unit 50 provided outside the drum 30 to provide dehumidified and heated air and to re-introduc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rum 30 .
  • the heating unit 50 may include an air passage 5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rum 30 .
  • air containing water vapor generated by evaporating moisture present in clothes exists, and the air inside the drum 30 is discharged from the drum 30 and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51.
  •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rum 30 to the outside of the drum 30 through the drum opening 32 may flow into the air passage 51 and flow along the air passage 51 .
  • the heating unit 50 may include a dehumidifying unit 52 .
  • the dehumidifying unit 52 may contact air flowing along the air passage 51 to condense water vapor in the air and separate it from the air. Accordingly, air flowing along the air passage 51 can be dehumidified so that water vapor is greatly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er 52 .
  • the heating unit 50 may include a temperature raising unit 53 .
  • the temperature raising unit 53 may heat the air by being in direct or thermal contact with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passage 51 .
  •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passage 51 may become high-temperature and dry while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52 and the heating unit 53 .
  • the heating unit 50 may include a fluid system forming a dehumidifying unit 52 and a heating unit 53 .
  • the fluid system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 diffusion valve, and an expander, the dehumidifying unit 52 may correspond to an expander, and the temperature raising unit 53 may correspond to a condenser.
  • the heating unit 50 is not limited to including the fluid system, and the dehumidifying unit 52 and the heating unit 53 may have various methods.
  • the heating unit 50 may include an air fan 54 .
  • the air fan 54 may be positioned on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ir passage 51, for example, on the air passage 51 to generate a flow of ai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fan 54, the air inside the drum 30 flows through the air passage 51 and can be circulated.
  • the heating unit 50 dehumidifies and heats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flow path 5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rum 30 and supplies it back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so that the drum ( 30) Moisture contained in clothes can be removed by supplying high-temperature dry air inside.
  • the heating unit 50 of FIG. 4 is only an example of the heating unit 50 for performing a drying course, and the method or type of the heating unit 50 for providing high-temperature air to clothe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as above.
  • the heating unit 50 may be provided as an exhaust type in which air from outside the cabinet 10 is introduced into the drum 30 and the air inside the drum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heating unit 50 may be provided in a static manner to heat and dehumidify the air inside the drum 30 without causing air flow.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hown in FIG. 3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hown in FIG. 4 are shown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is natural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not coexist with each other. .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60, a tub 20, a detergent supply unit 40, etc. to perform a washing course for clothes, an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a drying course for clothes.
  • Various types of heating units 50 may be included.
  • FIG. 5 schematically shows various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perform a pairing mode with at least one external apparatus 2 .
  • the clothes handling device 1 may perform a pairing mod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 disposed outside the cabinet 10 .
  • control unit 90 may perform a pairing mod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
  • the control unit 90 may perform a pairing mode while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or another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FIG. 5 shows a connection with two external device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device 2 connectable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mber can vary.
  • the external device 2 may perform an external treatment course C100 for treating clothes.
  • the external device 2 may include a drum 30 for accommodating clothes.
  • the external device 2 may be provided with other control units 90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90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 the external device 2 may include the other output unit 130 on which a screen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ng status controlled by the other control unit 90 or the processing status of clothes is output.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may perform a laundry course, and the external device 2 may perform a drying course of clothes.
  • both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and the external device 2 may perform a laundry course or a drying course of clothes.
  • a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the control unit 90 and the external device 2 exchange information may be various.
  • the control unit 9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another communication unit of the external device 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Bluetooth method.
  • control unit 90 or th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 the extern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that provides a signal for communication. can also be exchanged.
  •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generates a Wi-Fi signal
  • the control unit 90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based on the Wi-Fi signal, and is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 and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other control unit 90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trol unit 9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90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there is.
  • the controller 90 directly generates a signal and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is used as a signal generating mean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controller 90 o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ntroller 90 is collected. Routes can also vary.
  • control unit 90 may directly transmit the signal to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or transmit the signal to the external server 97.
  • a method in which the other controller 9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rver 97 by transmitting the signal may be used.
  • control unit 90 uses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90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may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external device 2, or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After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97, the other control unit 90 of the external device 2 may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97.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may also allow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terminal 95 described above.
  • the control unit 90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o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95, and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terminal 95, the control unit 90 is a remote control controlled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95. mode can be performed.
  • a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exchange method between the control unit 90 and the terminal 95 may be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exchange method between the control unit 90 and other control units 90 described above.
  • the control unit 90 may exchange information directly with the terminal 95 or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medium 96 and/or a server 97 .
  • FIG. 6 shows a list showing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stored in the controller 90 and provided to the us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urality of courses C100 include an existing course C110 preset in the controller 90 and a user course C130 set and added by the user. can do.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cabinet 10 and a drum 30, and the drum 30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 clothing can be accommodated.
  • control unit 9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for processing clothes may be sto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processing clothes accommodated in the drum 30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ntrol process by the control unit 90 .
  • the treatment course C100 corresponds to a treatment process of clothes preset in the control unit 90 to process clothes, and at least one process for processing clothes may be included in the treatment course C100.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may include a washing course for washing clothes.
  • the washing course includes a water supply cycle in which water is supplied into the tub 20, a washing cycle in which detergent is supplied and the drum 30 is rotated to wash clothes, and a washing cycle in which contaminat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tub 20 after the washing cycle. It may include a drain cycle and a dehydration cycle for removing moisture from clothes through rotation of the drum 30.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may include a rinsing course with a rinsing cycle as a main cycle, a dehydration course with a spin cycle as a main cycle, and the like.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may be preset to have different option setting values.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are a standard washing course in which a plurality of options are applied as standard values, and a rapid washing course in which the water supply amount option is adjusted to a lower value and the rotation RPM of the drum 30 is increased to shorten the washing time.
  • a duvet washing course in which the water supply amount option is adjusted higher and the rinse recovery option and spin-drying recovery option are further increased may be included.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include an existing course (C110) preset in the controller 90, and a user course (C130) additionally crea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urse (C110) by setting options by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stored and set in the controller 90 may include an existing course C110 and a user course C130.
  • the existing course C110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ler 9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xisting courses C110, and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existing courses C110 and command execution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of the output unit 130 in a course selection process described later. there is.
  •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existing courses C110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that meets the current request and proceed with the processing of clothes.
  • the user course C130 unlike the existing course C110, the user can directly set a plurality of options and additionally store them in the control unit 90. That is, unlike the user changing and setting the options of the existing course C110 as desired each time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is used, the user course C130 always provides the option settings set by the user every time, so that the clothes It is possible to save the user from having to change the options of the processing course C100 whenever the processing device 1 is used.
  • the control unit 9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ability to select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existing in the list of treatment courses (C100)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the terminal 95, and the user may select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 C100 treatment courses
  • the control unit 9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ability to select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existing in the list of treatment courses (C100)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the terminal 95, and the user may select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 the user course C130 may be maintained as a part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even after the control unit 90 is cut off and re-powered.
  • the existing course C110 sets the options changed and set immediately before by the user. Since it is provided as an initial setting value based on a stored value 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rather than a value, the user must change the initial setting value back to a desired setting value.
  • the user course C130 in which the setting values of options desired by the user are reflected as they are is always maintained even when the power-off state and the power-on state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are repeate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 FIG. 7 shows a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nd provided to the user.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output unit 130, and the output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10 to output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 the output unit 130 outputs a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s C100 is selected, and the user course C130 together with the existing course C110 processes the plurality of courses. Any one of the courses C100 may be displayed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 the controller 90 may perform a course selection process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and setting options after power is applied.
  • the controller 9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30 to output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34 .
  •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stored in the controller 90 may be displayed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may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at least two or more processing courses C100 are displayed together, or, as shown in FIG. 7, a processing course C100 to be selected among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could be.
  • the user can check the treatment course C100 to be selected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and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by manipulating a movement button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for example, a jog dial.
  • the target processing course (C100) can be changed.
  • the user course C130 may be displayed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 the control unit 90 may be commanded to perform a clothing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 course C130 by inputting the execution button 112 of the input unit 110.
  • FIG. 7(a) shows a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displaying a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course C110
  • FIG. A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course C100 is displayed instead of the processing course C100 is shown
  • FIG. 7(c) shows a user course instead of the second processing course C100 by manipulating a movement button
  • a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on which the third processing course C100 corresponding to (C130) is displayed is shown.
  •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courses C100 displayed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can be directly se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or the terminal 95, or an order recommended by the controller 90 will be applied.
  • the user course C130 is the processing course C100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first among the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by reflecting expected preferences.
  • the user course C130 may be created to have options set through the input unit 110 provided in the cabinet 10 or the user's terminal 95.
  • the user course (C130), unlike the existing course (C110), does not have an initial set value of options preset in the control unit 90, and instead, the option set value directly set by the user is set as the initial set value. It is stored, and in each course selection process, the setting value of the option is maintained as the value set by the user and provided to the user.
  • FIG. 7 shows an option display area M20 displaying option setting values of each treatment course C100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option setti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100 through the contents of the option display area M20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Meanwhile,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when the user course C130 is displayed, option setting values directly set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option display area M20.
  • FIG. 8 shows a list of processing courses C100 chang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a user course C13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a) shows a list of processing courses C100 consisting of only n existing courses C110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before adding the user course C130, and the list is displayed in the output unit.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etting screen of 130 or the terminal 95.
  • FIG. 8( b ) shows a process course C100 list in which a user course C130 is added and 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course C130 is added, the existing course C110 is maintained and the user course C130 can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and the user course C130 A list of all processing courses (C100) including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the terminal 95.
  •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for generating the user course C130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the output unit 130 outputs the screen.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95.
  • 9 shows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 9(a) to 9(d) correspond to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30 or the terminal 95 in the course of setting the user course C130. do.
  •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may be provided from the output unit 130 through a setting button of the input unit 110, etc., and the user checks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and the user A user course C130 having desired options can be set and stored.
  • the user course set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95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unit 90.
  •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may be provided on the terminal 95, and the user may operate the terminal 95 to set and store the user course C130.
  •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provided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nd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95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or even if they are different, the sam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ere is.
  • the user course C130 may be created as a new course distinct from the existing course C110 by changing the setting values of the options from the existing course C110.
  • the user course C130 is stored and used as the user course C130 by changing only the setting values of desired options from the existing course C110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ler 90 and provided to the user.
  • a plurality of existing courses C110 are set in the control unit 90, and the user course C130 is select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existing courses C110 selected by the user.
  • a new course having the changed setting values of the options may be created by the user.
  • the controller 90 lists a plurality of courses C100 currently stored in the controller 90 as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as shown in FIG. 9(a). can provide.
  •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ourse among a plurality of courses C100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a), and the output unit 130 outputs the course C100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9(b). )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user course C130 includes the name of the course C100 selected by the user or a name changed therefrom so that the course C100 selected by the user can be easily identified, for example, 'second course C130' as shown in FIG. (C100)#1' may have a name such as a basic name.
  • FIG. 9(c) shows a screen in which the second op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course C100 is selected as an example fo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option values selectable as setting values may be previously determined and 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
  • two option values 'apply' and 'non-apply' are provided to the user, or the user can select three option values 'high', 'medium', and 'low' for the water supply option. can be provided to do so.
  • the plurality of options and the corresponding option values are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set in various ways and provided to the user.
  • FIG. 9(c) shows a screen displaying selectable n option values selectable from the second o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c),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ption value as a setting value through the input unit 110 on the user course setting screen P450 where a plurality of option values are displayed.
  • the output unit 130 outputs the set value as shown in FIG. 9(d) when any one option value is selected by the user as the set value of the optio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option values are output as shown in FIG. 9(c).
  • the reflected plurality of option lists may be output on the screen again.
  •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user course (C130) Information may be stored as one of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 FIG. 10 shows a process of adding at least one additional course C120 to a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90 stores an additional course C120 additionally created by a use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urse C110 as a part of the plurality of courses C100.
  • the user course C130 may correspond to the additional course C120.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may include an additional course C120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urse C110 described above.
  • the additional course C120 means a process course C100 that the user selectively stores in the control unit 90, and the aforementioned user course C130 is the additional course C130. Corresponds to a part of course C120.
  • the process course C100 list stored in the controller 90 may be modified to include the additional course C120 in the previously stored n existing courses C110 as shown in FIG. 10(c).
  • the additional course C120 may be set to be deleted from the controller 90 by the user. That is, the user selects and deletes some of the additional courses (C120) added to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or the terminal 95, thereby changing the list of treatment courses (C10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an be modifi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in the controller 90 so that the user cannot arbitrarily delete the existing course C110 in consideration of system stability, but the existing course C110 may also be removed by the user if necessary. It can also be set to be deleteable.
  • the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providing an additional course (C120) that can be created in the controller (90) is displayed in the cabinet (10). ) and can b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 or the user's terminal 95 for outputting a screen.
  • the controller 90 may store the additional course C120 selected by the user on the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as a part of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 the additional course C120 may be preset and prepared from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server 97 .
  • the controller 90 may create the additional course C120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usage pattern.
  • the output unit 130 or the terminal 95 may output an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for suggesting the additional course C120 to the user.
  • At least one additional course (C120) may be displayed to be selectable on the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and the user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each additional course (C120) on the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You can choose to add or not.
  • FIG. 10(b) shows a recommendation screen P400 for an additional course C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bove-described user course C130 is displayed on the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as one of the additional courses C120, and whether to apply it may be selected.
  • the additional course C120 may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97 and the like to provid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95 or the control unit 90.
  • the additional course C120 may be provided by reflecting various features, such as a 'school uniform course' specialized for washing school uniforms or a 'baby clothes course' specialized for delicate and sterilizing clothes such as baby clothes.
  • the user can select additional courses (C120) to be reflected among the additional courses (C120) recommended on the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and cancel the selection for additional courses (C120) that do not want to be reflected. .
  • 10(b) shows an additional course C120 recommendation screen P400 displaying three additional courses C120 including the user course C130, and all three additional courses C120 are selected. This is shown
  • the controller 90 can store the additional courses (C12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as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or the like.
  • FIG. 11 conceptually illustrates a setting value V2 reflection process for any one op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90 may perform a course selection process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s C100 is selected as a selection course by the user.
  • the setting value (V2) of the option can be changed by the user in the selected course, and the control unit 90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option of the selected cours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n previous course selection processes.
  • the repeatedly set setting value V2 may be stored as the preferred value V4, and the preferred value V4 may be reflected as the setting value V2 of the option for the selected course during the current course selection process.
  • a function of reflecting the preference value V4 as an option setting value V2 may be defined as a 'preference value reflection function'.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reference value reflection function capable of improving usability by changing and providing option setting values (V2) for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 the plurality of options may have a plurality of option values V1 selectable by the user. Any one of the option values V1 may be determined as the set value V2 and reflected in the course of the course C100.
  • the storage value V3 for each option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90 .
  • the stored value V3 may be one of the plurality of option values V1.
  • the control unit 90 can set the stored value V3 as an option setting value V2 for each course C100 and provide it to the user.
  • the controller 90 may perform a course selection process, and in the course selection process, a plurality of processing courses C100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m.
  •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may include a first treatment course C100, and the first treatment course C100 may include a first option.
  • a plurality of option values V1 selectable by the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first option value V1 to the fifth option value V1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90. .
  • the control unit 90 may store the third option value V1 as the storage value V3 in advance. Accordingly, in each course selection process, in the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the set value V2 of the first option is determined as the third option value V1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alue V3 and displayed to the user.
  • the user may change the default setting value V2 of the first option from the third option value V1 to another option value V1 while the first course C100 is displayed.
  • the stored value V3 of the first op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course C100. For example, regardless of whether the stored value V3 of the first option in the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is the third option value V1, the stored value V3 of the first option in the second processing course C100 is It may be the second option value V1.
  • the control unit 90 can identify and store the preference value V4 by the user.
  • the preference value V4 may mean an option value V1 selected by the user several times or more for a certain option in a certain processing course C100.
  • the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is displayed to the user in the course selection process, and the stored value V3 of the control unit 90 for the first option
  • the user sets the set value (V2) of the first option to the option value (V1) in addition to the third option value (V1).
  • the fifth option value (V1) may be changed to perform the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 the controller 90 In the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the fifth option value V1 of the first option may be stored as the user's preferred value V4.
  • the controller 90 may prioritize the preferred value V4 instead of the stored value V3 and set it as the setting value V2 of the corresponding option.
  • the fifth option value V1 is the preferred value. (V4), and after the fifth option value (V1) is stored as the preferred value (V4), the first processing course (C100) on the course selection screen (P200) has the setting value (V2) of the first option.
  • the fifth option value V1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value V4 may be set and displayed.
  • the preference value V4 may be set and stor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optio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eatment courses C100.
  • the set value V2 of the option can be set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through the stored value V3 of each option and provided, and furthermore, the user's preferred value V4 is generated. In this cas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preference value V4 as an option setting value V2 and providing the user with the preferred value V4.
  • the control unit 90 if the preference value V4 exists for the option of the selection course, the control unit 90 reflects the preference value V4 as the set value V2, and When the preference value V4 does not exist, the stored value V3 pre-stored in the controller 90 may be reflected as the set value V2.
  • control unit 90 may store, as the preferred value V4, the set value V2 repeatedly set by the us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in previous course selection processes.
  •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setting value (V2) when the user performs the laundry treatment process with the same set value (V2) three or more times consecutively for any one treatment course (C100) and any one option.
  • V2 may be stored as a preferred value (V4).
  • the storage of the preferred value V4 may not necessarily be a continuous setting value V2,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may also be variously determined.
  • the preference value reflection function for reflecting the preference value V4 as the set value V2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is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through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or the user It may be possible to release through the terminal 95 of.
  • the controller 90 may set the preference value V4 as the setting value V2 of an op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reference value reflection function is applied, and the preference value reflection function is released.
  •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value V3 can be set as the option setting value V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가 저장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는 기존코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옵션을 설정하여 상기 기존코스 외에 추가 생성되는 사용자코스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함)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코스 또는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코스 등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처리코스에서 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터브가 구비될 수 있고, 터브의 내부에 상기 드럼이 설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의류를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은 캐비닛의 상면을 통해 의류를 투입하며, 프론트 로딩 방식은 캐비닛의 전면을 통해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3986호에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처리코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 및 검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의류처리코스 및 해당 옵션의 변경을 통해 원하는 의류의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의류처리코스가 제어부 등에 미리 결정되어 저장되므로, 사용자의 성향이나 선호도가 반영되지 못하므로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코스에 대한 각 옵션의 설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매번 옵션의 설정값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한 의류처리코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의류처리코스에 대한 옵션의 설정값을 사용자의 성향과 선호도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처리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유연한 처리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처리코스에 대한 옵션 설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가 제어부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기존코스와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저장되는 추가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처리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에는 기존코스와 더불어 사용자가 편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코스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에 대해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옵션이 존재하며, 상기 옵션은 제어부에 기 저장된 저장값이 초기 설정값으로 반영되도록 설정된다.
다만,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옵션의 선호값이 발생하면, 제어부는 상기 선호값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값 대신 복수의 처리코스 각각에 대해 옵션의 설정값으로 상기 선호값을 반영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가 저장된다.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는 기존코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옵션을 설정하여 상기 기존코스 외에 추가 생성되는 사용자코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제어부의 전원 차단 및 재공급 후에도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의 일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는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코스선택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기존코스와 함께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코스선택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설정된 옵션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코스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코스 설정화면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기존코스로부터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변경되어 상기 기존코스와 구별되는 신규 코스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기존코스는 상기 제어부에 복수개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복수의 기존코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옵션의 변경된 설정값을 가지는 신규 코스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존코스 외에 사용자에 의해 추가 생성되는 추가코스를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일부로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추가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추가코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서 삭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추가 생성 가능한 추가코스를 제공하는 추가코스 추천화면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코스 추천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추가코스를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일부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코스로서 선택되는 코스선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코스선택과정에서 상기 선택코스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 코스선택과정들에서 상기 선택코스의 상기 옵션에 대해 사용자가 일정회수 이상 반복 설정한 설정값을 선호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선호값을 현재 코스선택과정 중 상기 선택코스에 대한 상기 옵션의 설정값으로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코스의 상기 옵션에 대해 상기 선호값이 존재하면 상기 선호값을 상기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상기 선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기 저장된 저장값을 상기 설정값으로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 코스선택과정들에서 사용자가 연속하여 일정회수 이상 반복 설정한 설정값을 상기 선호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선호값을 상기 설정값으로 반영하는 선호값 반영기능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해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처리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유연한 처리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처리코스에 대한 옵션 설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가 생략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통신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어부에 저장되는 복수의 처리코스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복수의 처리코스가 표시되는 코스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어부에 저장된 기존코스에 추가하여 사용자코스가 저장된 복수의 처리코스를 나타낸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코스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추가코스를 선택하여 복수의 처리코스에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이 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할 드럼(3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정의된다.
캐비닛(10)은 다각기둥 또는 원형기둥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캐비닛(10)은 복수의 패널이 결합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복수의 패널이 일체로 성형되어 절곡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캐비닛(10)이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패널은 전면패널(11), 후면패널, 상면패널(12), 하면패널(13) 및 한 쌍의 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의류가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18)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8)는 캐비닛(10)의 일면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캐비닛(10)의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입구가 될 수 있다.
의류개구(18)는 캐비닛(10)의 전면패널(11) 또는 상면패널(1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개구(18)가 전면패널(11)에 형성되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취하거나 상면패널(12)에 형성되어 탑 로딩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의류개구(18)가 캐비닛(10)의 전면패널(11)에 형성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탑 로딩 방식을 취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의류개구(18)의 개폐를 위한 의류도어(19)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19)는 의류개구(18)의 개폐가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류도어(19)가 캐비닛(10)에 힌지결합되어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캐비닛(10)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의류도어(19)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의류개구(18)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의류도어(19)는 힌지를 중심으로 캐비닛(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됨으로써 의류개구(18)를 개방시킬 수 있고, 힌지를 중심으로 캐비닛(10)에 밀착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의류개구(18)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상기 의류도어(19)의 잠금 상태를 위한 도어잠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장금부는 의류도어(19)가 의류개구(18)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의류도어(19)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상기 도어잠금부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잠금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의류도어(19)의 폐쇄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잠금부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어 폐쇄상태의 의류도어(19)가 개방상태로 변하지 않도록 상기 의류도어(19)를 잠금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잠금부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의류도어(19)는 자동적으로 의류개구(18)를 개방시키도록 회전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개방상태로 자유롭게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조작부(100)가 구비될 수 있고, 조작부(100)는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전면패널(11)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조작부(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조작부(100)의 위치, 형상 및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1), 예컨대 제어부(90)간의 신호 또는 정보의 교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조작부(10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에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제공급부(40), 드럼(30) 및 터브(20) 등이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터브(20)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의류의 세탁코스, 헹굼코스 등 의류의 처리를 위해 다량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세탁코스 등과 같이 세탁수를 활용하는 의류의 처리코스(C100)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캐비닛(10)의 내부에 터브(20)가 구비되고 터브(20)의 내부에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1)가 상기 세탁코스 등과 달리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코스 등 세탁수의 사용이 불필요한 처리코스(C100)만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상기 터브(20)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가 존재하지 않고 드럼(30)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드럼(30)은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8)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양한 처리코스(C100)가 수행될 수 있다. 터브(20)와 드럼(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공급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는 의류에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코스 등에서 세탁효과를 발생 및 증진시키기 위한 세제를 드럼(30) 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사용자의 단말기(95)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95)란 의류처리장치(1)와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휴대폰, 컴퓨터 등이 상기 단말기(95)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를 통해 단말기(95)와 통신이 이루어지며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95) 등과의 통신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부(10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부(110) 및 제어부(90)의 출력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입력부(110) 및/또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는 함께 위치되거나 서로 구분되도록 분리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는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0)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가 함께 배치되어 하나의 컨트롤패널로서 마련된 조작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134)를 둘러싸는 형태의 화면둘레부(132)와, 상기 화면둘레부(132)상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134)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90)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청각신호, 예컨대 각종 알림음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다양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조작되는 버튼류, 사용자의 손 등에 접촉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류,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 등을 전달받는 마이크류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튼이란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되는 물리식 버튼과, 사용자의 손 등이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식 버튼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버튼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입력부(110)는 전원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111)이 입력되면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 전력과 연결되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대기상태 또는 슬립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전원버튼(111)이 조작되면 상기 나머지 구성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의류의 처리코스(C100) 수행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전원인가상태 또는 웨이크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기상태 및 전원인가상태와 무관하게 상시 외부전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대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대기부는 상기 슬립상태에서 전원버튼(111)이 입력되면 제어부(90) 등 타 구성으로 전원 인가를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버튼(11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버튼(113)은 상기 출력부(130)의 화면둘레부(132)에 구비되거나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버튼(113)은 디스플레이(134)의 터치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버튼(113)은 상기 디스플레이(134)에서 출력되는 화면 정보에 기초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34)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특정 영역 또는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버튼(113)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이동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버튼은 화면둘레부(132)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버튼은 상기 화면둘레부(132) 등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조그 타입으로 대체되거나 디스플레이(134)의 터치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동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134)에 출력되는 화면상에서 복수의 목록 중 선택될 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수행버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행버튼(112)을 일시정지버튼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의 제어 등을 통해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C10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처리코스(C100)의 수행 또는 일시정지를 위해 상기 수행버튼(112)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페어링제어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의 타 장치, 예컨대 외부장치(2)와 통신이 허용되어 상호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페어링모드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페어링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2)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페어링제어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페어링제어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입력부(110)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페어링된 외부장치(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캐비닛(10)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장치(2)와 통신이 허용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의 페어링제어버튼(114)을 입력하면, 제어부(90)는 입력부(110)를 통해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로 직접 명령을 송신하는 페어링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 또한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에 의해 페어링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입력부(110)는 옵션설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옵션설정부(115)를 조작하여 복수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C100)가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코스, 의류를 헹구기 위한 헹굼코스, 원심력 등 물리적인 방식으로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코스, 물의 증발과 같은 상변화를 통해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각각 조절 가능한 복수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옵션은 각각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옵션의 설정값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설정부(115)를 조작하여 설정값의 변경이 허용되는 옵션들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옵션들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초기 설정값을 가지도록 설정되고, 사용자는 옵션설정부(115)를 통해 특정 옵션의 설정값을 상기 초기 설정값으로부터 다른 옵션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옵션설정부(115)는 각 옵션의 변경을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선택된 처리코스(C100)에서 사용자가 변경 가능한 옵션에 대해서는 조작이 허용되고, 사용자가 변경 불가능한 옵션에 대해서는 신호 발생이 금지되도록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현재 선택된 처리코스(C100)에 대해서 사용자 변경이 가능한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이를 반영하되, 사용자 변경이 불가능한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해당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는 앞서 언급된 복수의 버튼 외에도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한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20)와 세제공급부(4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의류의 세탁코스 등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및 세제공급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20)의 일면에는 캐비닛(10)의 의류개구(18)를 마주보는 터브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의류개구(18)를 마주보는 터브(20)의 전면에는 터브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8)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22)를 통해 터브(2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30)은 구동부(3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5)는 터브(20)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드럼(30)은 후면과 연결되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35)는 상기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거나 벨트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터브개구(22)를 향하는 일면에 드럼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30)의 내부는 드럼개구(32), 터브개구(22) 및 의류개구(18)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의류개구(18)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의류개구(18),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를 지나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의류개구(18),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는 드럼(3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물이 수용되는 터브(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30)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터브(20) 내부의 물이 드럼(30) 내부로도 유입되어 의류에 물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캐비닛(10)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수원, 예컨대 도시의 수도원 등과 연결되어 캐비닛(1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캐비닛(10)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은 급수관(62)을 따라 유동되어 터브(20)의 내부로 직접 제공되거나 세제공급부(40)로 제공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는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를 터브(20) 또는 드럼(3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62)이 세제공급부(40)에 연결되는 경우, 세제공급부(40)는 급수관(62)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세탁코스 등에서 터브(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부(70)를 제어하여 배수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배수부(70)는 터브(20)와 연결되어 터브(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동되기 위한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고, 배수관에서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배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배수관에서 물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전력을 소비하는 다양한 구성과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다양한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기능적으로 외부 또는 타 구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 및 정보 처리를 위한 연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각 구성별로 구비되는 서브제어부(90)와, 상기 서브제어부(90)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브제어부(90)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제어부(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기능별 또는 구성별로 구분되는 제어부(90)의 세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공간적 및 기능적으로 통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부 구성의 적어도 일부가 공간상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20) 및 세제공급부(40)가 제거되고 의류의 건조코스가 수행 가능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터브(20)가 생략된 형태에서 드럼(30)은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5)는 캐비닛(10)의 일측에 위치되어 드럼(30) 자체 또는 드럼(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30) 내부의 의류에 고온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가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50)는 하면패널(13)상에 위치되어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드럼(30) 외부에 구비되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고, 드럼(30) 내부를 경유한 공기가 다시 유입되는 방식의 가열부(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열부(50)는 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유로(5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이 증발되어 발생되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존재하고,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유로(51)로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의 내부에서 드럼개구(32)를 통해 드럼(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유로(51)로 유입되어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한편, 가열부(50)는 제습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52)는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켜 공기중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습부(52)를 지나면서 수증기가 크게 감소되도록 제습될 수 있다.
가열부(50)는 승온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승온부(53)는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직접 접촉되거나 열적으로 접촉되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습부(52)와 승온부(53)를 경유하면서 고온 건조해질 수 있다.
가열부(50)는 제습부(52) 및 승온부(53)를 형성하는 유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확산밸브 및 팽창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습부(52)는 팽창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승온부(53)는 응축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50)가 상기 유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습부(52) 및 승온부(53)는 다양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가열부(50)는 공기팬(5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팬(54)은 공기유로(51)와 연통된 공간, 예컨대 공기유로(51)상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공기팬(54)의 작동으로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51)를 유동하며 폐순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50)는 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드럼(3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드럼(30)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도 4의 가열부(50)는 건조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가열부(50)의 일례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 의류에 고온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가열부(50)의 방식이나 종류가 반드시 위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가열부(50)는 캐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드럼(30) 내부로 제공하고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부(50)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지 않으며 드럼(30) 내부에서 공기를 가열하고 제습하는 정체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와 도 4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되어 도시되었을 뿐, 각 구성을 서로 병존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급수부(60), 터브(20), 세제공급부(40) 등을 포함함과 동시에, 의류의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가열부(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환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와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외부에 배치된 외부장치(2)와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와 통신을 통해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 또는 타통신부와 정보를 교환하며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외부장치(2)와 연결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2)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처리코스(C100)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장치(2)는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90)와 별개로 외부장치(2)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의 제어를 위한 타제어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는 타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상황이나 의류의 처리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는 타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외부장치(2)는 의류의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도 가능함은 당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외부장치(2)가 모두 의류의 세탁코스 또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와 외부장치(2)가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2)의 타통신부와 블루투스 방식 등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 또는 통신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 및 외부장치(2)와 별개로 구비되어 통신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통신매체(96)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통신매체(96)는 와이파이신호를 발생시키며, 제어부(90)는 상기 와이파이신호에 기초하여 외부통신매체(96)와 정보를 교환하며, 외부장치(2)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90)와 구분되는 타제어부(90)는 상기 외부통신매체(96)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제어부(90)에서 송신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90)가 직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및 신호발생수단으로서 외부통신매체(96)를 이용하는 경우에서, 제어부(90)로부터 외부로 전달되는 정보 또는 제어부(90)가 전달받은 정보의 수집 경로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가 직접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경우라도, 제어부(90)는 직접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고, 외부의 서버(97)로 신호를 전달하여 타제어부(90)가 상기 서버(97)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90)가 외부통신매체(96)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제어부(90)로부터 외부통신매체(96)로 전달되는 정보가 직접 외부장치(2)로 전달될 수도 있고, 외부통신매체(96)로 전달되는 정보가 상기 서버(97)로 전달된 이후,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가 상기 서버(97)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되는 제어부(90)와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90)는 송신자 및 수신자의 관계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술한 사용자의 단말기(95)와도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단말기(95)를 통해 현재 작동상태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95)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단말기(95)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원격제어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90)와 단말기(95)간의 통신 또는 정보 교환 방식은 전술한 제어부(90)와 타제어부(90)간의 통신 또는 정보 교환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단말기(95)와 직접 정보를 주고받거나, 외부통신매체(96) 및/또는 서버(97)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제어부(90)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를 나타낸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되는 기존코스(C110)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추가되는 사용자코스(C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및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C100)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에 제어과정을 통해 드럼(30)에 수용된 의류의 처리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처리코스(C10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되는 의류의 처리과정에 해당하고, 처리코스(C100)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행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코스는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행정, 세제가 공급되고 드럼(30)이 회전되며 의류의 세탁이 진행되는 세탁행정, 세탁행정 이후 터브(20) 내부의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수행정 및 드럼(30)의 회전을 통해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상기 세탁코스 외에도 헹굼행정을 메인 행정으로 하는 헹굼코스, 탈수행정을 메인 행정으로 하는 탈수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서로 다른 옵션 설정값을 가지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복수의 옵션이 각각 표준치로 적용되는 표준세탁코스, 세탁시간 단축을 위해 물공급량 옵션이 더 낮은 값으로 조절되고 드럼(30)의 회전RPM에 증가되는 급속세탁코스, 이불 등과 같이 대량의 의류를 세탁하기 위해 물공급량 옵션이 더 높게 조절되고 헹굼회수 옵션 및 탈수회수 옵션이 더 증가되는 이불세탁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상기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되는 기존코스(C11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옵션을 설정하여 상기 기존코스(C110) 외에 추가 생성되는 사용자코스(C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90)에 저장 및 설정되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기존코스(C110) 및 사용자코스(C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코스(C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조 과정에서 제어부(9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기존코스(C11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사용자는 후술하는 코스선택과정에서 출력부(130)의 코스선택화면(P200) 등을 통해 기존코스(C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을 명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코스선택과정에서, 제어부(90)에 미리 저장된 상기 복수의 기존코스(C110) 중 현재 요구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의류처리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기존코스(C110)와 달리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옵션을 설정하여 제어부(90)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사용할 때 마다 사용자가 기존코스(C110)의 옵션을 원하는대로 변경 설정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코스(C13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옵션 설정이 매회마다 항상 제공되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 시 마다 사용자가 처리코스(C100)의 옵션을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도 6에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사용자코스(C130)가 포함된 상태의 처리코스(C100)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90)는 출력부(130) 또는 단말기(95)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처리코스(C100) 목록에 존재하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에서 스스로 생성시킨 사용자코스(C130)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의류의 처리코스(C100)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제어부(90)의 전원 차단 및 재공급 후에도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의 일부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코스(C110)에서 옵션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의 파워오프상태 이후 다시 파워온상태에서 상기 기존코스(C110)는 사용자가 직전에 변경 설정한 옵션 설정값이 아닌 제어부(90)에 저장된 저장값에 기초한 초기 설정값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초기 설정값을 다시 원하는 설정값으로 변경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코스(C1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이상, 의류처리장치(1)의 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가 반복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옵션의 설정값이 그대로 반영된 사용자코스(C130)가 항상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13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기존코스(C110)와 함께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전원이 인가된 이후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옵션이 설정되기 위한 코스선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과정에서, 제어부(90)는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사용자에게 코스선택화면(P200)이 출력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코스선택화면(P200)에는 제어부(90)에 저장된 복수의 처리코스(C10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가 표시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코스선택화면(P200)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처리코스(C100)가 함께 표시되거나,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선택 대상이 되는 처리코스(C100)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통해 선택 대상이 되는 처리코스(C100)를 확인할 수 있고, 입력부(110)에 구비되는 이동버튼, 예컨대 조그다이얼 등을 조작하여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선택 대상이 되는 처리코스(C100)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상기 사용자코스(C130)를 포함하므로, 코스선택화면(P200)에는 상기 사용자코스(C13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에 사용자코스(C130)가 표시되도록 상기 이동버튼을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코스(C130)가 코스선택화면(P200)에 선택 대상으로 표시되면, 입력부(110)의 수행버튼(112)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코스(C130)에 따른 의류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부(90)에게 명령할 수 있다.
도 7(a)에는 기존코스(C110)에 해당하는 제1처리코스(C100)가 표시된 코스선택화면(P2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사용자가 이동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제1처리코스(C100) 대신 제2처리코스(C100)가 표시된 코스선택화면(P20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c)에는 사용자가 이동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제2처리코스(C100) 대신 사용자코스(C130)에 해당하는 제3처리코스(C100)가 표시된 코스선택화면(P200)이 도시되어 있다.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에 대한 순서는 입력부(110) 또는 단말기(95) 등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 가능하거나, 제어부(90)에 의해 추천되는 순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코스(C130)는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된 처리코스(C100)이므로 예상되는 선호도를 반영하여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가장 먼저 코스선택화면(P2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설정된 옵션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코스(C130)는 기존코스(C110)와 달리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되는 옵션의 초기 설정값이 없으며, 대신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옵션 설정값이 상기 초기 설정값으로 저장되어 매회의 코스선택과정에서 옵션의 설정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으로 유지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에 각 처리코스(C100)의 옵션 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 표시영역(M20)이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상기 옵션 표시영역(M20)의 내용을 통해 해당 처리코스(C100)의 옵션 설정값이 무엇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코스선택화면(P200)은 사용자코스(C130)가 표시되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옵션 설정값이 상기 옵션 표시영역(M2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코스(C130)의 추가에 따라 변경되는 처리코스(C100)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는 사용자코스(C130)의 추가 전 제어부(90)에 미리 저장되는 n개의 기존코스(C110)만으로 이루어진 처리코스(C100) 목록이 도시되어 있고, 해당 목록은 출력부(130)의 설정화면이나 단말기(95)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8(b)에는 사용자코스(C130)가 추가되어 제어부(90)에 저장된 상태의 처리코스(C100)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코스(C130)의 추가 시 기존코스(C110)가 그대로 유지되며 상기 사용자코스(C130)가 제어부(90)에 추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코스(C130)를 포함하는 전체 처리코스(C100) 목록이 출력부(130) 또는 단말기(9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코스(C130)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이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13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사용자코스(C130)의 설정과정의 진행에서 출력부(130) 또는 단말기(9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부(110)의 설정버튼 등을 통해 출력부(130)로부터 상기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을 확인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옵션을 가지는 사용자코스(C130)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와 연동되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사용자코스 설정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95)에는 상기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95)를 조작하여 사용자코스(C130)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과 단말기(95)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하더라도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기존코스(C110)로부터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변경되어 상기 기존코스(C110)와 구별되는 신규 코스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코스(C130)는 제어부(90)에 미리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존코스(C110)로부터 원하는 옵션의 설정값만을 변경하여 사용자코스(C130)로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존코스(C110)는 상기 제어부(90)에 복수개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복수의 기존코스(C11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옵션의 변경된 설정값을 가지는 신규 코스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코스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90)는 도 9(a)와 같이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으로서 현재 제어부(9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9(a)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고, 출력부(130)는 도 9(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리코스(C100)의 각 옵션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코스(C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리코스(C100)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처리코스(C100)의 명칭을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변경된 명칭, 예컨대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제2처리코스(C100)#1' 등의 명칭을 기본 명칭으로 가질 수 있다.
출력부(130)에 도 9(b)와 같이 해당 처리코스(C100)에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옵션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출력부(130)는 상기 복수의 옵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도 9(c)와 같이 해당 옵션에 대한 복수의 옵션값을 포함하는 목록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c)에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제2처리코스(C100)의 제2옵션이 선택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은 각각 설정값으로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값이 제어부(90)에 미리 결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스팀 옵션의 경우 '적용' 및 '비적용'이라는 2개의 옵션값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물공급량 옵션에 대해 '상', '중', '하'라는 3개의 옵션값이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옵션 및 그에 따른 옵션값은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옵션에서 선택 가능한 n개의 옵션값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 9(c)와 같이 복수의 옵션값이 표시되는 사용자코스 설정화면(P450)에서 입력부(110) 등을 통해 어느 하나의 옵션값을 설정값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도 9(c)와 같이 복수의 옵션값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옵션값이 해당 옵션의 설정값으로 선택되면, 도 9(d)와 같이 상기 설정값이 반영된 복수의 옵션 목록을 다시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 설정 과정의 반복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기존코스(C110)로부터 복수의 옵션을 원하는 설정값으로 변경할 수 있고, 설정이 완료된 사용자코스(C130)의 저장을 명령하면 제어부(90)는 해당 사용자코스(C130) 정보를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하나로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처리코스(C100)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코스(C120)가 추가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기존코스(C110) 외에 사용자에 의해 추가 생성되는 추가코스(C120)를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일부로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추가코스(C120)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전술한 기존코스(C110)와 더불어 추가코스(C1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코스(C120)는 제어부(90)에 미리 저장된 기존코스(C110)와 달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부(90)에 저장하는 처리코스(C100)를 의미하며, 전술한 사용자코스(C130)는 상기 추가코스(C120)의 일부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0(a)와 같이 기존코스(C110)로만 구성되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추가코스(C120)의 저장 명령이 제어부(90)에 입력되면, 제어부(90)에 저장되는 처리코스(C100) 목록은 도 10(c)와 같이 기존에 저장된 n개의 기존코스(C110)에 추가코스(C120)를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코스(C12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90)에서 삭제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10) 또는 단말기(95)를 통해 복수의 처리코스(C100)에 추가된 추가코스(C120) 중 일부를 선택하여 삭제함으로써, 처리코스(C100) 목록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기존코스(C110)를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하는 것이 불가하도록 제어부(90)에 설정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기존코스(C110)도 사용자에 의해 삭제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90)에 추가 생성 가능한 추가코스(C120)를 제공하는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이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13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에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추가코스(C120)를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일부로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코스(C120)는 서버(97)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준비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90)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추가코스(C120)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출력부(130) 또는 단말기(95)는 사용자에게 추가코스(C120)를 제안하기 위한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코스(C120)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에서 추가코스(C120) 각각에 대한 추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사용자코스(C130)는 추가코스(C120)의 하나로서 상기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에 표시되어 적용 여부가 선택될 수도 있다.
추가코스(C120)는 다양한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서버(97) 등에 제공되어 단말기(95) 또는 제어부(90)에 해당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코스(C120)는 교복의 세탁에 특화된 '교복코스'나 아기옷과 같이 섬세하고 살균 효과가 필요한 의류에 특화된 '아기옷코스' 등 다양한 특징이 반영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에서 추천되는 추가코스(C120) 중 반영을 원하는 추가코스(C120)들을 선택하고, 반영을 원하지 않는 추가코스(C120)에 대해서는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b)에는 사용자코스(C130)를 포함하여 3개의 추가코스(C120)가 표시된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추가코스(C120)가 모두 선택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출력부(130) 또는 단말기(95)에서 도 10(b)와 같은 추가코스(C120) 추천화면(P4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 또는 단말기(95)를 통해 해당 추가코스(C120)의 반영을 명령하면, 제어부(90)는 상기 추가코스(C120)들을 저장하여 복수의 처리코스(C100)로서 코스선택화면(P200) 등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V2) 반영 과정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코스로서 선택되는 코스선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과정에서 상기 선택코스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V2)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90)는 이전 코스선택과정들에서 상기 선택코스의 상기 옵션에 대해 사용자가 일정회수 이상 반복 설정한 설정값(V2)을 선호값(V4)으로 저장하고, 상기 선호값(V4)을 현재 코스선택과정 중 상기 선택코스에 대한 상기 옵션의 설정값(V2)으로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값(V4)을 옵션의 설정값(V2)으로 반영하는 기능이 '선호값 반영기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처리코스(C100)에 대한 옵션의 설정값(V2)을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변경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호값 반영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값(V1)을 가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옵션은 복수의 옵션값(V1) 중 어느 하나가 설정값(V2)으로 결정되어 처리코스(C100)의 수행과정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에는 각 옵션에 대한 저장값(V3)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값(V3)은 상기 복수의 옵션값(V1)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90)는 전원이 인가되고 코스선택과정이 수행되면, 각 처리코스(C100)에 대해서 상기 저장값(V3)을 옵션의 설정값(V2)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옵션의 설정값(V2) 결정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90)는 코스선택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코스선택과정에서 복수의 처리코스(C100)가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C100)는 제1처리코스(C1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처리코스(C100)는 제1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옵션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값(V1),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옵션값(V1) 내지 제5옵션값(V1)이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처리코스(C100)의 제1옵션에 대해 제어부(90)는 제3옵션값(V1)을 저장값(V3)으로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회의 코스선택과정에서 제1처리코스(C100)는 제1옵션의 설정값(V2)이 상기 저장값(V3)에 해당하는 제3옵션값(V1)으로 결정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제1처리코스(C100)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된 제1옵션의 설정값(V2)을 제3옵션값(V1)에서 다른 옵션값(V1)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옵션의 상기 저장값(V3)은 처리코스(C100)별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코스(C100)에서 제1옵션의 저장값(V3)이 제3옵션값(V1)인 것과 무관하게, 제2처리코스(C100)에서 제1옵션의 저장값(V3)은 제2옵션값(V1)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호값 반영기능이 적용되면, 제어부(90)가 사용자에 의한 선호값(V4)을 파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선호값(V4)은 어느 하나의 처리코스(C100)에서 어느 하나의 옵션에 대해 사용자가 수회 이상 선택한 옵션값(V1)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일례로서, 코스선택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1처리코스(C100)가 표시되고, 제1옵션에 대한 제어부(90)의 저장값(V3)인 제3옵션값(V1)이 제1옵션의 설정값(V2)으로 설정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옵션의 설정값(V2)을 제3옵션값(V1) 외에 옵션값(V1), 예컨대 제5옵션값(V1)으로 변경하여 제1처리코스(C100)를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옵션의 설정값(V2)을 제3옵션값(V1)에서 제5옵션값(V1)으로 일정회수 이상 반복하여 제1처리코스(C100)가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90)는 제1처리코스(C100)에서 제1옵션의 제5옵션값(V1)을 사용자의 선호값(V4)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해당 옵션에 대해 선호값(V4)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90)는 상기 저장값(V3) 대신 상기 선호값(V4)을 우선하여 해당 옵션의 설정값(V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처리코스(C100)의 제1옵션을 제5옵션값(V1)으로 일정회수 이상 반복하여 진행한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5옵션값(V1)이 선호값(V4)으로 저장되고, 상기 제5옵션값(V1)이 선호값(V4)으로 저장된 이후에는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제1처리코스(C100)는 제1옵션의 설정값(V2)이 저장값(V3)에 해당하는 제3옵션값(V1)이 아니라 선호값(V4)에 해당하는 제5옵션값(V1)으로 설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호값(V4)은 복수의 처리코스(C100) 각각에 대한 복수의 옵션 각각에 대해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옵션의 저장값(V3)을 통해 옵션의 설정값(V2)을 미리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값(V4)이 발생되면 상기 선호값(V4)을 옵션의 설정값(V2)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선택코스의 상기 옵션에 대해 상기 선호값(V4)이 존재하면 상기 선호값(V4)을 상기 설정값(V2)으로 반영하고, 상기 선호값(V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90)에 기 저장된 저장값(V3)을 상기 설정값(V2)으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이전 코스선택과정들에서 사용자가 연속하여 일정회수 이상 반복 설정한 설정값(V2)을 상기 선호값(V4)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처리코스(C100) 및 어느 하나의 옵션에 대해 연속하여 3회 이상 동일한 설정값(V2)으로 의류처리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설정값(V2)을 선호값(V4)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선호값(V4)의 저장이 반드시 연속된 설정값(V2)이 아닐 수 있으며, 반복회수 또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값(V4)을 상기 설정값(V2)으로 반영하는 선호값 반영기능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상기 선호값 반영기능이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선호값(V4)을 옵션의 설정값(V2)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선호값 반영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기 저장된 저장값(V3)을 옵션의 설정값(V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가 저장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는 기존코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옵션을 설정하여 상기 기존코스 외에 추가 저장되는 사용자코스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제어부의 전원 차단 및 재공급 후에도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의 일부로서 저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코스선택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기존코스와 함께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코스선택화면에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설정된 옵션을 가지도록 생성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코스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코스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기존코스로부터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변경되어 상기 기존코스와 구별되는 신규 코스로 생성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코스는 상기 제어부에 복수개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복수의 기존코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옵션의 변경된 설정값을 가지는 신규 코스로 생성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기존코스 외에 사용자에 의해 추가 생성되는 추가코스가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일부로서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코스는 상기 추가코스에 해당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코스는 사용자에 의해 삭제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추가 생성 가능한 추가코스를 제공하는 추가코스 추천화면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코스 추천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추가코스를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일부로서 저장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코스로서 선택되는 코스선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코스선택과정에서 상기 선택코스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지난 코스선택과정들에서 상기 선택코스의 상기 옵션에 대해 사용자가 일정회수 이상 반복 설정한 설정값을 선호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선호값을 현재 코스선택과정 중 상기 선택코스에 대한 상기 옵션의 설정값으로 반영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코스의 상기 옵션에 대해 상기 선호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호값을 상기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상기 선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기 저장된 저장값을 상기 설정값으로 반영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코스선택과정들에서 사용자가 연속하여 일정회수 이상 반복 설정한 설정값을 상기 선호값으로 저장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값을 상기 설정값으로 반영하는 선호값 반영기능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해제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00197 2022-01-05 2023-01-05 의류처리장치 WO202313264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412 2022-01-05
KR1020220001412A KR20230105859A (ko) 2022-01-05 2022-01-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646A1 true WO2023132646A1 (ko) 2023-07-13

Family

ID=8707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197 WO2023132646A1 (ko) 2022-01-05 2023-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5859A (ko)
WO (1) WO202313264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803A (ko)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206101A (ja) * 2010-03-29 2011-10-20 Toshiba Corp 洗濯機
US20130290902A1 (en) * 2010-12-30 2013-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KR20160062918A (ko) * 2014-11-26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210075534A (ko) * 2019-12-13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803A (ko)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206101A (ja) * 2010-03-29 2011-10-20 Toshiba Corp 洗濯機
US20130290902A1 (en) * 2010-12-30 2013-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KR20160062918A (ko) * 2014-11-26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210075534A (ko) * 2019-12-13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59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049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137417A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1026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1825754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77671A1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WO2016085130A1 (ko) 세탁장치
WO202218211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218211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8182124A1 (ko) 세탁기
AU202021602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WO2018199433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132646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3264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13529A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3113533A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71744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15921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WO2023113549A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313264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3264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13528A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118787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71746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2021728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WO2024072091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373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