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8449A1 -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8449A1
WO2023128449A1 PCT/KR2022/020934 KR2022020934W WO2023128449A1 WO 2023128449 A1 WO2023128449 A1 WO 2023128449A1 KR 2022020934 W KR2022020934 W KR 2022020934W WO 2023128449 A1 WO2023128449 A1 WO 20231284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ack
building
sensor
location
crac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09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석장
신성웅
Original Assignee
(주)레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컴 filed Critical (주)레이컴
Publication of WO20231284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84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8Marking defect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은,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부터 균열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본 개시는 정보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건물은 자연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하면 노후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노후화로 인해, 건물 내부 및 외부에는 균열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의 정도가 심해지면 건물의 붕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균열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 및 진단을 실시하고 건물의 균열이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따른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건물의 균열에 대한 점검 및 진단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기존 방법으로는 사람의 육안으로 조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육안으로 조사하는 방법은, 객관적인 수치화가 어렵고,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대해서는 조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건물의 균열을 점검하고 진단하는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4375호가 안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부터 균열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는, 상기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균열값은 복수개의 균열값 크기 임계값들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상이한 색채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는,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예상되는 실제 균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제 균열 이미지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 및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상기 건물에서의 위치의 고유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 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균열값의 크기 별 제 1 알람 기준 및 균열 위치 별 제 2 알람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과 상기 제 1 알람 기준 및 상기 제 2 알람 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건물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균열센서를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수신감도 및 배터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균열센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균열센서에 대한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에 설치된 균열센서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들의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균열센서들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상기 균열센서를 추가하라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균열센서는, 제 1 면적을 갖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1 면적보다 큰 제 2 면적을 갖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빈 하우징부재; 하부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면적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제 1 고정부재; 하부는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의 균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 사이의 폭의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의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 각각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균열센서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클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외면의 양측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U자 형태로 내측 양면에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균열센서에 의해 생성된 균열값을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부터 균열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엔티티(entity)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타임라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감지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a , 6b 및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의 일 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사용자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엔티티(entity)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은 균열센서(100), 네트워크(2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센서(100)는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감지하고, 신호를 발생시켜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버(4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균열센서(10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건물 외에도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균열센서(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200)는 균열센서(1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200)는 균열센서(100)로부터 균열값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0)는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입력을 서버(400)로 송신하고, 서버(400)로부터 입력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20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해석 및 가공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네트워크(2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4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는 네트워크(20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해석 및 가공하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20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에서의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는 컴퓨팅 장치로 통칭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부(310), 통신부(320), 출력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3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31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5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예시로 제 1 사용자 입력, 제 2 사용자 입력, 제 3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사용자 입력이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혹은 웹페이지 내에서) 수행되는 사용자의 요청과 관련된 임의의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 객체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특정한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객체(예를 들어, 모듈, 탭 등)를 터치 혹은 클릭하는 방식으로, 해당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혹은 웹페이지 상에 새로운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거나, 또는 객체의 속성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혹은 웹페이지 내에서 임의의 객체의 위치를 이동 혹은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임의의 객체를 클릭한 상태로 드래깅하는 선택 입력은 해당 객체에 대한 이동 혹은 회전을 야기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우스 커서 제어, 마우스의 휠 스크롤, 키보드의 방향키, 마우스 클릭, 터치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액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입력은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데 참조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 입력은 서버(400)로부터 획득한 전체 균열센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균열센서 리스트에서 특정한 균열센서를 지정하고, 지정된 균열센서를 건물 이미지 내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 입력은 균열센서가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건물의 이미지 상에 위치할 수 있게 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균열센서로부터 균열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열값은, 복수개의 균열값 크기 임계값들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상이한 색채로 표시될 수 있다. 상이한 형상에 대한 예시로, 균열값의 크기에 따라 표시되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별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객체의 형상이 달라지거나 객체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이한 색채에 대한 예시로, 균열값이 커짐에 따라 색채의 명암이 짙어지거나 혹은 붉은색 등의 특정한 색깔로 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는,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물의 위치별 균열 상태는,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예상되는 실제 균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제 균열 이미지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 및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상기 건물에서의 위치의 고유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입력은 균열센서로부터 수신된 균열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하나 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물의 보수 및/또는 보강이 필요한 균열의 정도에 기초한 제 1 알람 및/또는 균열 위치 별 제 2 알람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 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균열값의 크기 별 제 1 알람 기준 및 균열 위치 별 제 2 알람 기준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과 상기 제 1 알람 기준 및 상기 제 2 알람 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정보는, SMS 등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한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건물의 균열 상태를 알리는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사용자 입력은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거나, 특정 위치에 있는 균열센서의 균열값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3D 모델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사용자 입력은 건물명, 건물위치좌표 또는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사용자 입력, 제 2 사용자입력, 제 3 사용자 입력은 이하 도 3 내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2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연동하여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300)간의 상호 송수신 신호,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20)는 네트워크(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200)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통신부(320)는 균열센서 및 서버로부터 네트워크(200)로 송신된 균열값, 알람 또는 알림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 1 사용자 입력, 제 2 사용자 입력, 제 3 사용자 입력을 네트워크(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들은 사용자 단말을 구현하기 위해서 열거된 예시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예시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3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3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31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3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건물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생성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 또는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35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표시(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균열센서를 통해 획득된 균열값, 균열값에 기초한 균열 상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 균열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신되는 알람 정보, 균열센서(100)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출력)할 수 있다.
광 출력부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신호 수신, 알림 또는 알람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35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40)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40)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사용자의 입력,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나열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저장부(340)는 사용자 단말(300)과 별개인 다른 컴퓨팅 장치(예컨대, 다른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저장부(340)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40)를 포함하는 균열 모니터링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300)과 별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균열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4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5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 및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35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처리, 데이터 분석 및/또는 딥러닝을 위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350)는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DL: deep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예컨대,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제거, 토큰화 등의 전처리), 입력 데이터에서의 피처 추출, 오차 계산, 역전파(backpropagation)를 이용한 신경망의 가중치 업데이트 등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5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와 GPGPU가 함께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 혹은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를 함께 사용하여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 혹은 이미지 처리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50)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도 3에서 설명되는 서버(400)의 제어부(420)의 동작들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사용자 단말(300)의 통신부(32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340)에 저장 또는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350)는 통신부(320)를 통해 건물의 균열값을 수신 또는 획득하고, 균열값에 대응하는 균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균열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균열값, 균열이 진행된 정도, 모양, 크기 등을 포함하는 균열 상태, 건물의 균열된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균열 이미지 등을 생성하고 저장부(340)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입력부(31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또는 획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통신부(320)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출력부(330)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위의 과정을 포함하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서버(400)를 구현하기 위해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와 연동하여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300)간의 상호 송수신 신호,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네트워크(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200)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통신부(410)는 균열센서 및 서버로부터 네트워크(200)로 송신된 균열값, 알람 또는 알림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 1 사용자 입력, 제 2 사용자 입력, 제 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신호를 네트워크(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들은 사용자 단말을 구현하기 위해서 열거된 예시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예시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20)는 통상적으로 서버(400)의 동작 및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서버(400)의 통신부(41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430)에 저장 또는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건물의 균열값을 수신 또는 획득하고, 균열값에 대응하는 균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균열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4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균열값, 균열이 진행된 정도, 모양, 크기 등을 포함하는 균열 상태, 건물의 균열된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균열 이미지 등을 생성하고 저장부(430)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균열값은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건물의 특정 위치에 대한 균열의 정도를 수치화한 정량적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균열 정보는 균열값 뿐만 아니라 균열에 대한 정성적인 정보, 균열의 크기 정보, 균열의 위험도 정보, 균열의 모양 정보, 균열의 깊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균열의 위험도 정보는 균열센서에 건물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균열 위험도 정보는 균열센서의 위치 정보 및 균열값에 기초하여 특정한 위치에서의 균열이 얼마나 위험한건지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균열의 위험도 정보는 균열센서가 위치한 환경 정보(예컨대, 습도, 기온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균열의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 정보가 생성 및/또는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균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예상되는 실제 균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되 건물의 위치의 고유 특성을 메타 정보로 반영하여 실제 균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실제 균열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인공지능 기반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반 모델의 일례로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가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건물의 위치의 고유 특성은 건물의 외벽의 종류, 건물의 연식, 균열센서가 위치한 건물의 부위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 또는 획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420)는 사전 결정된 알람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 기준 정보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입력은 제 1 알람 기준 및 제 2 알람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알람 기준 및 제 2 알람 기준은 건물의 균열폭이 허용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수치의 사용자로부터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알람 기준은 습도가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습한 환경인 경우, 균열값이 0.3mm를 초과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알람 기준은 습도가 사전 설정된 값 미만인 건조한 환경인 경우, 균열값이 0.4mm를 초과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알람 기준 및 제 2 알람 기준은 국내/외의 균열폭 허용 기준, 건물의 구성물의 종류, 내구성, 방수성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균열센서(100)로부터 획득된 균열값과 제 1 알람 기준 및/또는 제 2 알람 기준을 비교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람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정보는 SMS 등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한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건물의 균열 상태를 알리는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균열센서(100)로부터 수신감도 및/또는 배터리 정보를 포함하는 균열센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균열센서(100)의 상태 정보 및 균열센서(100)의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균열센서에 대한 교체 또는 추가 여부 및/또는 균열센서의 배터리 교체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균열센서(100)와 설치된 균열센서(100)의 정보를 포함하는 균열센서 리스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위의 과정을 포함하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30)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30)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나열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저장부(430)는 서버(400)와 별개인 다른 컴퓨팅 장치(예컨대, 다른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400)는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저장부(430)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30)를 포함하는 균열 모니터링 서버(미도시)가 서버(400)과 별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서버(400)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균열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3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타임라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10)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균열센서 위치 설정에 대응하는 요청을 서버(400)로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계(11)에서 서버(400)는 설치된 모든 균열센서와 균열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균열센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단계(13)에서, 균열센서 리스트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 입력 및/ 또는 제 3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서버(400)로 전송한다.
제 1 사용자 입력은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건물 내/외부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건물 이미지의 분해능을 조정 혹은 설정하고, 상기 분해능이 조정된 건물 이미지 내에 균열센서 리스트에서 선출된 균열센서의 이미지를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위치시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이미지는 회전이동, 층간 이동 등을 통해 형태가 변할 수 있다.
제 3 사용자 입력은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건물의 주소, 건물명, 위치 등을 포함하는 건물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건물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균열센서를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계(14)에서,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제 3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단계(15)에서 균열센서(100)의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단계(16)에서, 서버(400)로 균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단계(17)에서,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균열 상태에 관한 정보 요청을 획득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계(18)에서, 균열센서(100)로부터 균열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균열센서(100)에서 획득한 균열값은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에만 서버(400)로 송신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사전 결정된 주기에 해당하는 시점에 별도의 요청없이 서버(400)로 송신될 수 있다. 단계(19)에서, 균열값을 획득한 서버(400)는 균열값 및/또는 균열값을 가공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균열값을 가공한 데이터는 균열값에 대응하는 건물의 균열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며, 균열 모양, 크기, 깊이, 변화량 등의 상태에 따른 단계 별, 또는 위치 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열 상태는 사용자 단말(300)의 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균열의 진행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값의 자릿수, 기간, 영역, 균열의 진행된 정도에 따른 단계를 나타내는 단계별 색상, 하이라이트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균열 상태로부터 건물 전체 또는 건물의 특정 부분의 균열정도, 균열 동향 및 위험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4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균열센서 리스트에 포함된 균열센서(1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4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검색된 균열센서(100)들의 목록이 균열센서 리스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균열센서(100)를 추가하거나, 제 1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제 3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전 결정된 위치에 있는 균열센서(100)를 선택하여 균열센서(100)의 이름, 아이디 등의 식별정보를 균열센서 리스트와 일치하게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감지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균열센서(100)는 하우징부재(110), 제 1 고정부재(120), 제 2 고정부재(130), 연결부재(1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15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160), 중앙처리부(170), 통신부(180),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균열센서(100)를 구현하기 위해서 위에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160)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150)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부재(150)가 1개이면, 감지부(160)는 1개가 구비되고, 이동부재(150)가 5개이면, 감지부(160)는 5개가 구비되어 이동부재(150)의 개수에 대응되어 감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160)는 하우징부재(110)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예를 들면, 내부의 상면, 내부의 하면, 내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의 일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60)는 스위치 또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160)는 이동부재(150)가 스위치 또는 센서에 접촉되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몸체, 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핀은 하부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은 몸체와 핀 사이에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 핀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는 이동부재(150)가 핀에 접촉하게 되면 그 압력으로 인하여 핀이 아래로 이동되고, 핀이 아래로 이동되면 신호생성기에서 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부(17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지부(160)의 스위치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앙처리부(170)는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된 신호를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균열감지 모니터링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실시간 클록(real-time clock)을 사용하여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0분)에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에만 송신함으로써, 전원부의 전력을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180)는 중앙처리부(170)에서 처리한 신호를 외부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8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임의의 형태의 데이터 및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전원공급체(예를 들면, 배터리, 건전지)를 포함하고, 전원공급체를 통해 중앙처리부(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부(170)가 작동하는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균열센서(100)는 하우징부재(110) 안에 다른 구성들(120 내지 190)이 구비,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재(120) 및 제 2 고정부재(130)는 하우징부재(110)에 삽입되고, 하우징부재의 내부 하면에 연결부재(140)가 구비되며, 연결부재(140)에 제 1 고정부재(120) 및 제 2 고정부재(1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150)가 결합되고, 하우징 부재(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160), 중앙처리부(170), 통신부(180) 및 전원부(19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균열센서(100)는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재(120)와 제 2 고정부재(130) 사이에 건물의 균열이 발생하면, 건물의 균열에 따른 제 1 고정부재(120)와 제 2 고정부재(130) 사이의 폭의 변화가 나타난다. 폭이 변화하면서 제 2 고정부재(130)가 움직이게 되고, 제 2 고정부재(130)와 연결된 연결부재(140)가 같이 움직이면서 연결부재(140)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150)가 같이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150)가 움직이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160)에 접촉하게 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160)는 신호를 중앙처리부(170)로 전달하면 중앙처리부(170)에서 신호를 외부 기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처리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균열센서(100)를 구현하기 위해 위에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6a, 6b 및 6c에서 균열센서(100)의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한다.
도 6a , 6b 및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a및 6b를 참조하면, 하우징부재(110)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될수 있고, 외부 충격에 견디기 위하여 일정 강도를 가지고, 방수가 되는 재질(예를들면, 플라스틱,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재(110)는 결합홈(111), 하우징 볼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1)은 하우징부재(110)의 외면의 양측에 일정 깊이(예를 들면, 1cm)로 형성되고, 후술할 고정클립부재(1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111)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볼트(112)는 하우징부재(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고, 하우징부재(11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부재(110)의 상부에 하우징 볼트(112)가 결합되는 하우징 홀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 볼트(112)는 하우징 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홀은 내면에 제 1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우징 볼트(112)의 외면에 제 1 나사선에 대응되도록 제 2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선들은 하우징 볼트(112)가 하우징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하우징 홀의 제 1 나사선이 하우징 볼트(112)의 제 2 나사선과 맞물리면서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부재(110)는 일체형으로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부재(110)는 분리형으로 상부에 별도의 덮개가 구비되고, 하우징 부재(1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홀이 형성되며, 덮개는 하우징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 홀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볼트(112) 각각이 덮개 홀을 관통하여 하우징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부재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c를 참조하면, 균열센서(100)는 고정클립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클립부재(10)는 하우징부재(110)의 외면에 결합되고,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클립부재(10)는 U자 형태로 내측 양면에 고정돌기(11)가 각각 형성되고, 고정돌기(11)가 하우징부재(110)의 결합홈(111)에 결합되며, 하부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클립부재(10)의 하부에는 클립개구부(12)가 형성되고, 클립볼트가 클립개구부(12)를 관통하여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클립볼트는 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는 클립개구부(12)에 고정되고, 하부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고정클립부재(10)가 구조물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부재(110)는 제 1 개구부(113), 제 2 개구부(114), 하우징고정링(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부(113)는 제 1 고정부재(120)의 단면적과 면적이 대응되고, 하우징부재(110)의 하부의 제 1 영역에 구비되고, 제 1 고정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개구부(114)는 제 2 고정부재(130)의 단면적보다 면적이 크고, 하우징부재(110)의 하부의 제 2 영역에 구비되고, 제 2 고정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개구부(114)가 제 2 고정부재(130)의 단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제 2 고정부재(130)가 이동이 되면서 연결부재(140)와 이동부재(150)가 움직이고, 이동부재(150)가 감지부(160)에 접촉하면서 균열 발생에 대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은 하우징부재(11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경계를 나누는 경우, 경계에서 좌측 하부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영역은 하우징부재(11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경계를 나누는 경우, 경계에서 우측 하부 영역일 수 있다.
하우징고정링(115)은 하우징부재(110)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우징부재(110)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 또는 결합되고, 하우징부재(110)를 수평방향으로 감싸도록 링 형태로 탄성있는 재질(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재(120)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제 1 개구부(113)를 통해 삽입되고, 제 1 고정대(121), 제 1 고정너트(122), 제 1 고정링(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대(121)는 기둥 형태(예를 들면, 사각 기둥, 원 기둥)로 형성되고, 하부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부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제 1 개구부(113)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제 1 고정너트(122)는 제 1 고정대(1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 1 고정대(121)를 하우징부재(110) 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고정링(123)은 제 1 고정대(1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 1 고정대(121)와 제 1 고정너트(122)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고정대(121)와 제 1 고정너트(12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제 2 고정부재(130)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제 2 개구부(114)를 통해 삽입되고, 제 2 고정대(131), 제 2 고정너트(132), 제 2 고정링(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대(131)는 기둥 형태(예를 들면, 사각 기둥, 원 기둥)로 형성되고, 하부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부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제 2 개구부(11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제 2 고정너트(132)는 제 2 고정대(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 2 고정대(131)를 연결부재(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고정링(133)은 제 2 고정대(131)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 2 고정대(131)와 제 2 고정너트(132) 사이에 구비되어 제 2 고정대(131)와 제 2 고정너트(13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 하면에 구비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판 형태로 제 2 고정부재(130)와 결합되고, 제 2 고정부재(130)가 움직이는 공간에 제 2 고정부재(130)가 균열에 따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이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40)는 제 2 개구부(114)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40)에 결합되며, 구조물의 균열에 따라 발생하는 제 1 고정부재(120) 및 제 2 고정부재(130) 사이의 폭의 변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재(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15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152),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151)는 연결부재(140)에 일측이 연결부재(140)의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152)는 수직이동체(151) 각각의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1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151)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152)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고정부재(130)가 이동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151)가 이동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152)가 각각 회전을 하면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160) 각각에 접촉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이동부재(150) 및 감지부(160)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제 2 고정부재(130)의 후방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재(130)의 전방은 제 2 고정부재(130)에서 제 1 고정부재(120)를 바라보는 방향이고, 제 2 고정부재(130)의 후방은 제 2 고정부재(130)에서 제 1 고정부재(120)를 바라보지 않는 방향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재(150) 및 감지부(160)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며, 복수의 감지부(160)는 각각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로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복수의 수직이동체(151)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복수의 수평이동체(152)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감지부(160)는 각각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이동체(151)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균열의 폭의 임계값에 따라 대응되는 복수의 감지부(160)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고정부재(130)와 가까운 거리순으로 제 1이동부재, 제 2 이동부재 및 제 3 이동부재가 구비되고, 각각 대응되도록 제 1 수직이동체, 제 2 수직이동체 및 제 3 수직이동체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수직이동체보다 제 2 수직이동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제 2 수직이동체보다 제 3수직이동체가 더 길게 형성되면, 제 1 이동부재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이 0.1mm일때 대응되는 감지부(160)에 접촉하고, 제 2 이동부재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이 0.3mm일 때 대응되는 감지부(160)에 접촉하고, 제 3 이동부재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이 0.5mm일 때 대응되는 감지부(160)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복수의 수직이동체(151) 각각의 길이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수평이동체(152)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복수의 감지부(160)는 각각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이동체(152)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균열의 폭의 임계값에 따라 대응되는 복수의 감지부(160)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고정부재(130)와 가까운 거리순으로 제 1 이동부재, 제 2 이동부재 및 제 3 이동부재가 구비되고, 각각 대응되도록 제 1 수평이동체, 제 2 수평이동체 및 제 3 수평이동체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수평이동체보다 제 2 수평이동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제 2 수평이동체보다 제 3 수평이동체가 더 길게 형성되면, 제 1 이동부재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이 0.1mm일 때 대응되는 감지부(160)에 접촉하고, 제 2 이동부재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이 0.3mm일 때 대응되는 감지부(160)에 접촉하고, 제 3 이동부재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이 0.5mm일 때 대응되는 감지부(160)에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복수의 수직이동체(151)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복수의 수평이동체(152)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복수의 감지부(160)는 각각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이동체(151) 및 복수의 수평이동체(152)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균열의 폭의 임계값에 따라 대응되는 복수의 감지부(160)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재(150) 및 감지부(160)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이동부재(150) 각각의 길이는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감지부(160)는 각각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b에서 도면의 가로를 하우징부재(110)의 가로로 정의하고, 도 6a에서 하우징부재(110)의 폭, 도 6b에서 도면의 세로를 하우징부재(110)의 세로로 정의하고, 도 7b에서 도면의 세로를 하우징부재(110)의 수직으로 정의하면,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같은 하우징부재(110)의 세로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감지부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에 따라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균열의 폭의 변화에 따라 같이 움직이게 되고, 복수의 감지부(160)는 균열의 폭의 임계값에 따라 다르게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이동부재(150)는 서로 다른 균열의 폭의 임계값에 따라 대응되는 복수의 감지부(160)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153)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의 일 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균열센서(100)에 포함되는 선형저항체(Linear resistor)의 일정한 전압(E)을 인가한 후 접촉점(Electrical contact)의 위치를 이동시켜 움직인 거리(d)와 저항(r)에 대한 관계식은 d=(e/E)*D가 된다.
그리고, 균열센서(100)는 주기적으로 감지부(160)의 ADC(Analog Digital Converter)로 전압(e)를 읽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균열값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균열값은 3차원 상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넘게 되면, 사전 결정된 단계별 색상(예를 들어, 빨강, 노랑, 초록 등)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된다.
균열센서(100)는 선형저항체 외에도 기계적인 작용을 통해 스위치를 눌러 균열센서의 감지부(160)의 릴레이 단자로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인 기계식 균열센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관련 내용을 기술하였다.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장치 및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부터 균열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는,
    상기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값은 복수개의 균열값 크기 임계값들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상이한 색채로 표시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는,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이미지 상에서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예상되는 실제 균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균열 이미지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획득된 균열값 및 상기 균열센서가 존재하는 상기 건물에서의 위치의 고유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균열값의 크기 별 제 1 알람 기준 및 균열 위치 별 제 2 알람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과 상기 제 1 알람 기준 및 상기 제 2 알람 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3D 모델링 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균열센서를 상기 3D 모델링 이미지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센서로부터 수신감도 및 배터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균열센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균열센서에 대한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에 설치된 균열센서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들의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균열센서들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상기 균열센서를 추가하라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센서는,
    제 1 면적을 갖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1 면적보다 큰 제 2 면적을 갖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빈 하우징부재;
    하부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면적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제 1 고정부재;
    하부는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의 균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 사이의 폭의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의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 각각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체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체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센서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클립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외면의 양측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U자 형태로 내측 양면에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방법.
  15.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균열센서에 의해 생성된 균열값을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6.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균열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상기 건물의 균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균열센서의 위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균열센서부터 균열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센서의 위치 및 상기 획득된 균열값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위치 별 균열 상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PCT/KR2022/020934 2021-12-30 2022-12-29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WO20231284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547 2021-12-30
KR1020210192547A KR102563681B1 (ko) 2021-12-30 2021-12-30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449A1 true WO2023128449A1 (ko) 2023-07-06

Family

ID=8699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0934 WO2023128449A1 (ko) 2021-12-30 2022-12-29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3681B1 (ko)
WO (1) WO202312844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9276A1 (ja) * 2016-03-30 2017-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ント管理システム、プラント管理方法、プラント管理装置、および、プラント管理プログラム
KR101965864B1 (ko) * 2017-11-21 2019-04-05 오토센서코리아(주) 액체 누설감지 장치
KR102024803B1 (ko) * 2018-11-19 2019-11-11 주식회사 엠로 IoT를 이용하는 스마트 균열 측정 장치
KR102097039B1 (ko) * 2018-11-27 2020-04-03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KR102112046B1 (ko) *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75B1 (ko) 2015-06-26 2016-12-09 울산과학기술원 균열 탐지를 위한 자가 전원 비파괴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9276A1 (ja) * 2016-03-30 2017-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ント管理システム、プラント管理方法、プラント管理装置、および、プラント管理プログラム
KR101965864B1 (ko) * 2017-11-21 2019-04-05 오토센서코리아(주) 액체 누설감지 장치
KR102024803B1 (ko) * 2018-11-19 2019-11-11 주식회사 엠로 IoT를 이용하는 스마트 균열 측정 장치
KR102097039B1 (ko) * 2018-11-27 2020-04-03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KR102112046B1 (ko) *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681B9 (ko) 2023-10-12
KR20230102430A (ko) 2023-07-07
KR102563681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5944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82285A1 (ko)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26202A1 (ko) 펜과 관련된 정보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펜
WO2016114610A1 (en) Virtua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user input using the same
WO2014046482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feedback and method thereof
WO2020122651A1 (en) A wearable device with a bezel to sense a touch input
WO201603593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7091039A1 (ko)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장치
WO2014189225A1 (en) User input using hovering input
WO2019182414A1 (ko) 터치 입력을 압력 입력으로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143566A1 (ko) 지문 입력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9160348A1 (ko)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EP3458948A1 (en)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WO2019135548A1 (ko) 포스 센서의 압력값 보상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WO2023243959A1 (ko) 사용자 자세 인식 기반 신체 부상 위험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3560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DETECTION SIGNALS, AND INFORMATION CARRIER
WO2023128449A1 (ko) 건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WO2019088400A1 (ko)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114555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49730A1 (ko) 영상 인식 모델을 학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9039734A1 (ko) 센서 및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37321A1 (ko)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31251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터치 입력 프로세싱 방법
WO2017217762A1 (ko)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3172522A1 (ko) 문자화장단말기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65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