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0791A1 -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 Google Patents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0791A1
WO2023120791A1 PCT/KR2021/019903 KR2021019903W WO2023120791A1 WO 2023120791 A1 WO2023120791 A1 WO 2023120791A1 KR 2021019903 W KR2021019903 W KR 2021019903W WO 2023120791 A1 WO2023120791 A1 WO 20231207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al strip
wrist
velcro
elastic met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99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기태
김창호
전찬용
Original Assignee
허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기태 filed Critical 허기태
Publication of WO20231207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07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gu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 FIG.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wrist guard.
  • the wrist guard 10 is composed of a protection pad 20 surrounding the wrist and first and second Velcros 24 and 50.
  • the protection pad 20 is temporarily put on the wrist, and then the tension band 30 is pulled to fix the position while the second Velcro 50 engages the first Velcro 24.
  • Such conventional wrist guards are often worn or taken off by the user himself.
  • the tension band 30 is pulled, the protection pad 20 rotates together, so it is worn while pressing with the knee or pressing with the chi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that can be easily worn alone.
  • the metal strip 150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has a curved cross section, and is elastically wound around the wrist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cross section in an unfolded state;
  • a protective pad 110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trip 150 and contacts the wrist;
  • a tensile band 120 attached to one end of the protection pad 110;
  • a grip part 140 formed at an end of the tensile band 120;
  • a first Velcro 135 attached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protection pad 110; and a second Velcro 130 attached to the tension band 120 to correspond to the first Velcro 135.
  •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is provided.
  • the tensile band 120 has an elastic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width:length 1:4 to 1:5.
  • the protective pad 110 is fabric o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 the metal strip 150 is thin plate steel.
  • first hooks 160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on pad 110 and the first Velcro 135 on the concave surface and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second hook 170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Velcro 130 and configured to be caught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ooks 160 .
  • first hook 160 and the second hook 170 have a sawtooth cross section.
  • a protrusion band 210 made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is further formed on the convex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protection pad 110, and the protrusion band 210 is molded of urethane or silicone.
  • the longitudinal spacing is 2-3 cm.
  • the wrist guard can be easily worn by one person without the help of oth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with the chin or wearing it against the knee.
  • an elastic metal strip By using an elastic metal strip, it can be worn quickly and simply and can be easily tightened.
  •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wrist guar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A in Figure 2;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rist guard 100 shown in FIG. 4 is worn and pulled on the wrist;
  •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Velcros 135 and 130 are fastened in the state of FIG. 5;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rist gua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wris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 connec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 an elemen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rist gua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wrist. As shown in FIG. 7 , the wrist guard 100 can be independently worn on the left wrist and the right wris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A-A direction of FIG. 2
  • the metal strip 150 is made of thin steel and has a longer length than a width. Specifically, the width:length ratio is 1:4 to 1:5. If the ratio is less than 1:4, the width is too thick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is restricted. If the ratio exceeds 1:5, the width is too thin to be easily worn using elasticity.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metal strip 150 is 5 cm, and the length is 22 cm.
  • the metal strip 150 has a curved cross s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wrapped around the wrist when an impact force perpendicular to the convex cross section is applied in the unfolded state.
  • the metal strip 150 used to be used in children's bracelets and the like.
  • the protection pad 110 is a fabric or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strip 150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wrist 180 .
  • TPU is a urethane board with the elasticity of rubber. TPU is easily bendable, elastic,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The protection pad 110 is deformed together with the metal strip 150 .
  • the tensile band 120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protection pad 110, and may have no or no elastic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tensile band 120 has a width about half of the width of the protection pad 110 .
  • the tensile band 120 has a length of 5 cm to 15 cm.
  • the grip part 140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tensile band 120 and is configured to be easily gripped and pulled by hand. To this end, the grip part 140 may be formed by folding and sewing the tensile band 120, or may be fastened with a separat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 the first Velcro 135 has a known configuration and can exert a fastening force by surface contacting the second Velcro 130 and can be removed by hand.
  • the first Velcro 135 is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protection pad 110 . Since the thickness of the wrist varies depending on the u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Velcro 135 has a length of about 5 cm to 10 cm.
  • the second Velcro 130 is attached adjacent to the grip part 140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nsile band 120 (refer to FIG. 2 ) to correspond to the first Velcro 135 wrapped around the wrist 180 .
  • the user first holds the tensile band 120 in the palm of his hand, and places his thumb on the protection pad 110 . At this time, the protection pad 110 is independent by the elasticity of the metal strip 150.
  • the middle area of the protection pad 110 is lightly hit toward the left wrist. Then, when an impact force perpendicular to the convex cross section of the protection pad 110 is applied, it is elastically wound around the wrist.
  • the tension band 120 is turned around the wrist 180 so that the second Velcro 130 touches the first Velcro 135. Then, press the first and second Velcro (135, 130) with your fingers to complete the coupling.
  •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symmetrically for the right wrist as well. Since it is a process of holding the wrist guard 100 with the left hand and striking the right wrist 180, even a poor left hand can surely wear the wrist guard 100.
  • the first and second velcros 135 and 130 are separated by hand, and then the protection pad 110 is removed and unfold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protector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rist protector 100 shown in FIG. 4 is worn and pulled on a wrist
  • FIG.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Velcros 135 and 130 are fastened in the state of FIG. 5
  •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as it is.
  •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plurality of first hooks 160 are located between the free end of the protection pad 110 and the first Velcro 135 on the concave surface of the protection pad 110,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first hooks 16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pair and have a sawtooth-shaped cross sec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ree pairs of first hooks 160 are configured. To this end, the first hook 160 may be a plastic injection molding or a metal hook. The first hook 160 assists the wrist strap 100 to be tightened to the wrist 180 more strongly.
  • the second hook 170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Velcro 130 a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ooks 160 .
  • Two second hooks 17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pair and have a sawtooth cross sec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wo pairs of second hooks 170 are configured.
  • the second hook 170 may be a plastic injection molding or a metal hook.
  • the second hook 160 assists the wrist guard 100 to be more strongly tightened to the wrist 180 by being hooked on one of the first hooks 160 .
  • the wear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 the grip part 140 is pulled all the way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rrow 19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oks 160 and 170 are engaged.
  • the grip part 140 does not need to be continuously pulled.
  • the first and second velcros 135 and 130 are interlocked to finally complete the wearing.
  • the second embodiment since it can be pulled all the way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rrow 190, it is possible to secure a more reliable wrist contact forc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st guard having an elastic metal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trusion band 210 is made of regularly formed protrusions and is molded of silicone or urethane.
  •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bands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2 to 3 cm, and the protruding bands 210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x surface.
  • the protruding band 210 When worn on the wrist, the protruding band 210 has an anti-rotation function that prevents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wrist by directly contacting the wrist.
  •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band 210 may be composed of one large protru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described as a wrist guard, it can be applied to an ankle guard, a knee guard, and a joint gu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성되고,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면에 힘이 가해지면 탄성으로 손목에 감기는 금속스트립(150); 금속스트립(150)의 외면을 감싸고, 손목에 접하는 보호패드(110); 보호패드(110)의 일단에 부착되는 인장밴드(120); 인장밴드(120)의 단부에 형성된 그립부(140); 보호패드(110)의 오목면에 부착된 제 1 벨크로(135); 및 제 1 벨크로(135)에 대응하도록 인장밴드(120)에 부착되는 제 2 벨크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본 발명은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헬스 운동 중 또는 중량물을 다룰 때, 손목을 보호하기 위해 손목보호대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손목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보호대(10)는 손목을 감싸는 보호패드(20)와 제 1, 2 벨크로(24, 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손목보호대(10)는 보호패드(20)를 손목에 임시로 두른 후, 인장밴드(30)를 당겨서 제 2 벨크로(50)가 제 1 벨크로(24)에 맞물리면서 위치고정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손목보호대는 사용자 스스로 착용하거나 벗는 사례가 많았다. 그런데, 자신의 왼쪽 손목에 손목보호대를 임시로 돌리고 인장밴드(30)를 당겨 벨크로 체결하기가 쉽지 않았다. 인장밴드(30)를 당길 때 보호패드(20)가 같이 돌아가기 때문에 무릎으로 누르거나 턱으로 누르면서 착용하곤 하였다.
특히 왼쪽 손목에 대한 착용방식을 오른쪽 손목에 대해서도 반복해야 했기 때문에 손목보호대를 스스로 단단히 체결하기 어려웠다. 오른쪽잡이의 경우 오른손으로 왼쪽 손목에 착용할 수 있으나 왼손으로 오른쪽 손목에 착용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 일부 사례에서는 타인에 의한 착용을 요청하기도 하였으나 타인이 없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혼자서도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성되고,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면에 힘이 가해지면 탄성으로 손목에 감기는 금속스트립(150); 금속스트립(150)의 외면을 감싸고, 손목에 접하는 보호패드(110); 보호패드(110)의 일단에 부착되는 인장밴드(120); 인장밴드(120)의 단부에 형성된 그립부(140); 보호패드(110)의 오목면에 부착된 제 1 벨크로(135); 및 제 1 벨크로(135)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장밴드(120)에 부착되는 제 2 벨크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가 제공된다.
또한, 인장밴드(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력이 있다.
또한, 폭 : 상기 길이의 비율은 1 : 4 내지 1 : 5이다.
또한, 보호패드(110)는 직물 또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또한, 금속스트립(150)은 박판 스틸이다.
또한, 오목면 상에서 상기 보호패드(110)의 타단과 제 1 벨크로(135)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후크(160); 및 제 2 벨크로(13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복수의 제 1 후크(160)들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리도록 구성된 제 2 후크(1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후크(160)와 제 2 후크(170)는 톱니 형상의 단면이다.
또한, 보호패드(110)의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밴드(210)가 더 형성되고, 돌기밴드(210)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성형되고, 돌기밴드(210)의 길이방향 간격은 2 ~ 3 cm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손목보호대를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턱으로 누르거나 무릎에 대고 착용하는 불편함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이용하므로써 신속하고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쉽게 조일 수 있다.
그리고,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와 무관하게 왼손과 오른손에 쉽게 착용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손목보호대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 중 A-A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손목보호대(100)를 손목에 차고 당기는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 1, 2 벨크로(135, 130)를 체결하는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보호대(1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보호대(1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보호대(100)는 왼쪽 손목과 오른쪽 손목에 각각 독립적으로 착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중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스트립(150)은 박판 스틸이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폭 : 길이의 비율은 1 : 4 내지 1 : 5이다. 비율이 1 : 4 미만이면 폭이 너무 두꺼워서 손목의 움직임이 제한을 받는다. 비율이 1 : 5를 초과하면 폭이 너무 가늘어서 탄성을 이용해서 쉽게 착용되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스트립(150)의 폭은 5cm이고, 길이는 22 cm이다.
금속스트립(150)은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볼록한 단면에 수직한 충격력이 가해지면 탄성으로 손목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금속스트립(150)은 어린이용 팔찌 등에 사용되곤 하였다.
보호패드(110)는 금속스트립(150)의 외면을 감싸고, 손목(180)에 접하는 직물또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TPU는 고무의 탄성을 가진 우레판이다. TPU는쉽게 휘어지고 탄성이 있으며 인체와 환경에 무해하다. 보호패드(110)는 금속스트립(150)과 함께 변형된다.
인장밴드(120)는 보호패드(110)의 일단에 부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력이 없거나 신축력을 가질 수 있다. 인장밴드(120)는 보호패드(110)의 폭에 비해 약 절반 정도의 폭을 갖는다. 인장밴드(120)는 5 cm ~ 15 cm의 길이를 갖는다.
그립부(140)는 인장밴드(120)의 자유단부에 형성되고, 손으로 잡고 당기기 편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그립부(140)는 인장밴드(120)를 접어서 재봉질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합성수지재나 고무를 체결할 수도 있다.
제 1 벨크로(135)는 공지의 구성이며 제 2 벨크로(130)에 면접촉함으로써 체결력을 발휘하고 손으로 잡아 떼어낼 수 있다. 제 1 벨크로(135)는 보호패드(110)의 오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다. 사용자에 따라 손목 굵기가 다르므로 제 1 벨크로(135)는 5 cm ~ 10cm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벨크로(130)는 손목(180)에 감긴 제 1 벨크로(135)에 대응하도록 인장밴드(120)의 배면(도 2 기준)에서 그립부(140)에 인접하게 부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목보호대(100)의 착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인장밴드(120)를 손바닥에 쥐고, 엄지손가락이 보호패드(11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보호패드(110)는 금속스트립(150)의 탄성에 의해 자립된다.
그 다음, 왼쪽 손목을 향해 보호패드(110)의 중간 영역을 가볍게 내려친다. 그러면, 보호패드(110)의 볼록한 단면에 수직한 충격력이 가해지면 탄성으로 손목에 둥글게 감기게 된다.
그 다음, 인장밴드(120)를 손목(180) 주위로 돌려서 제 2 벨크로(130)가 제 1 벨크로(135)에 닿게 한다. 그 다음, 손가락으로 제 1, 2벨크로(135, 130)를 눌러서 결합을 완성한다. 오른쪽 손목에 대해서도 전술한 과정이 대칭적인 이루어진다. 왼손으로 손목보호대(100)를 잡고 오른쪽 손목(180)에 내리치는 과정이므로 서툰 왼손이라도 확실하게 손목보호대(100)를 착용할 수 있다.
손목보호대(100)의 분리과정은 손으로 제 1, 2 벨크로(135, 130)를 분리한 뒤 보호패드(110)를 떼어내서 펼치면 된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손목보호대(100)를 손목에 차고 당기는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 1, 2 벨크로(135, 130)를 체결하는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중 제 1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은 그대로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제 1 후크(160)는 보호패드(110)의 오목면 상에서 보호패드(110)의 자유타단과 제 1 벨크로(135)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제 1 후크(160)는 2개가 한쌍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고, 톱니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에서는 3쌍의 제 1 후크(160)가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후크(160)는 플라스틱 사출물이거나 금속의 후크일 수 있다. 제 1 후크(160)는 손목보호대(100)가 손목(180)에 좀 더 강한 조임을 갖도록 보조한다.
제 2 후크(170)는 제 2 벨크로(13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복수의 제 1 후크(160)들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제 2 후크(170)는 2개가 한쌍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고, 톱니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에서는 2쌍의 제 2 후크(170)가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 2 후크(170)는 플라스틱 사출물이거나 금속의 후크일 수 있다. 제 2 후크(160)는 제 1 후크(160)들 중 하나에 걸림으로써 손목보호대(100)가 손목(180)에 좀 더 강한 조임을 갖도록 보조한다.
제 2 실시예의 착용방법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40)를 제 1 화살표(190) 방향으로 끝까지 당겨서 제 1, 2 후크(160, 170)가 맞물리도록 한다. 제 1, 2 후크(160, 170)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그립부(140)를 계속 당기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 도 6의 제 2 화살표(200)와 같이 제 1, 2 벨크로(135, 130)를 맞물려서 최종적으로 착용을 완성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 1 화살표(190) 방향으로 끝까지 당길 수 있어서 좀더 확실한 손목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의 구성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의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의 구성 중 제 1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은 그대로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패드(110)의 볼록면(오목면의 반대면) 상에는 3 ~ 4개의 돌기밴드(210)가 형성된다. 돌기밴드(210)는 규칙적으로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성형된다. 돌기밴드(210)의 길이방향의 간격은 2 ~ 3cm이며, 돌기밴드(210)는 볼록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돌기밴드(210)는 손목에 착용하였을 때 손목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손목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방지기능을 갖는다. 돌기밴드(210)의 돌기는 큰 돌기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
비록 본 발명은 손목보호대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발목보호대, 무릎보호대, 관절 보호대로 응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 손목보호대,
20 : 보호패드,
22 : 마감
24 : 제1 벨크로,
30 : 인장밴드,
40 : 그립부,
50 : 제 2 벨크로,
100 : 손목보호대,
110 : 보호패드,
120 : 인장밴드,
130 : 제 2 벨크로,
135 : 제 1 벨크로,
140 : 그립부,
150 : 금속스트립,
160 : 제 1 후크,
170 : 제 2 후크,
180 : 손목,
190 : 제 1 화살표,
200 : 제 2 화살표,
210 : 돌기밴드.

Claims (8)

  1.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성되고,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면에 힘이 가해지면 탄성으로 손목에 감기는 금속스트립(150);
    상기 금속스트립(150)의 외면을 감싸고, 손목에 접하는 보호패드(110);
    상기 보호패드(110)의 일단에 부착되는 인장밴드(120);
    상기 인장밴드(120)의 단부에 형성된 그립부(140);
    상기 보호패드(110)의 오목면에 부착된 제 1 벨크로(135); 및
    상기 제 1 벨크로(135)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장밴드(120)에 부착되는 제 2 벨크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밴드(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 : 상기 길이의 비율은 1 : 4 내지 1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110)는 직물 또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트립(150)은 박판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 상에서 상기 보호패드(110)의 타단과 상기 제 1 벨크로(135)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후크(160); 및
    상기 제 2 벨크로(13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복수의 제 1 후크(160)들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리도록 구성된 제 2 후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160)와 상기 제 2 후크(170)는 톱니 형상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110)의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밴드(21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기밴드(210)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성형되고,
    상기 돌기밴드(210)의 길이방향 간격은 2 ~ 3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의 금속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PCT/KR2021/019903 2021-12-23 2021-12-27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WO20231207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76A KR102445898B1 (ko) 2021-12-23 2021-12-23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KR10-2021-0186376 2021-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0791A1 true WO2023120791A1 (ko) 2023-06-29

Family

ID=8344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9903 WO2023120791A1 (ko) 2021-12-23 2021-12-27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5898B1 (ko)
WO (1) WO2023120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34B1 (ko) 2022-12-09 2023-07-24 오세용 테이핑 압박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54Y1 (ko) * 2005-04-11 2005-07-14 조현준 손목보호대
KR200437595Y1 (ko) * 2007-02-07 2007-12-11 이승엽 손목 보호대
KR20100116158A (ko) * 2010-10-11 2010-10-29 강성일 코킹 이완 방지용 손목 받침대
KR20110000852U (ko) * 2009-07-20 2011-01-27 유영호 손목보호대
US9867410B1 (en) * 2015-10-20 2018-01-16 Tom Kloes Sport glove with tightening inser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430Y1 (ko) 1998-05-21 2001-02-01 김성호 미아 방지용 손목 밴드
KR20110000416U (ko) 2009-07-08 2011-01-14 최재구 어린이용 탄성 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54Y1 (ko) * 2005-04-11 2005-07-14 조현준 손목보호대
KR200437595Y1 (ko) * 2007-02-07 2007-12-11 이승엽 손목 보호대
KR20110000852U (ko) * 2009-07-20 2011-01-27 유영호 손목보호대
KR20100116158A (ko) * 2010-10-11 2010-10-29 강성일 코킹 이완 방지용 손목 받침대
US9867410B1 (en) * 2015-10-20 2018-01-16 Tom Kloes Sport glove with tightening inse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898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4698A1 (ko)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US7740561B2 (en) Hand exercising device
US5459883A (en) Ergonomic hand covering and grip enhancer
US4504980A (en) Security hand band
US20050114982A1 (en) Reinforced protective glove
US8328744B2 (en) Dynamic hand splints
US5881388A (en) Glove with finger grip inserts
US6093165A (en) Hand and wrist stabilization device
US5514052A (en) Finger exerciser
WO2018088686A1 (ko) 손목 보호대
WO2023120791A1 (ko)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WO2021256690A1 (ko) 접촉 감소 및 착용 위치 조절을 위한 파지부를 구비한 마스크
WO2018169156A1 (ko) 오른손 골퍼용 오른손 장갑
WO2018139757A1 (ko) 근육통증 완화장치
WO2016017895A1 (ko)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WO2019017609A2 (ko) 손목 보호대
US5226190A (en) Baseball glove for sliding
WO2020111480A1 (ko)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WO2018088687A1 (ko) 손목 보호용 장갑
CN210229030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手部锻炼装置
US5620399A (en) Gripping sleeve for the firm grip of an object
WO2021137383A1 (ko) 레저용 장갑
KR101136997B1 (ko) 헬스용장갑
KR100719508B1 (ko) 손목고정보호대
US11992069B2 (en) Gripp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91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