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1390A1 -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1390A1
WO2023101390A1 PCT/KR2022/019161 KR2022019161W WO2023101390A1 WO 2023101390 A1 WO2023101390 A1 WO 2023101390A1 KR 2022019161 W KR2022019161 W KR 2022019161W WO 2023101390 A1 WO2023101390 A1 WO 20231013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pipette
endoscopic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1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백길
조남훈
장연수
강숙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1013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13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0Means for positioning or orienta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1Adjust spacings in an array of wells, pipettes or holders, format transfer between arrays of different size or geometry
    • B01L2200/022Variable spac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63Whol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pipette and an observ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detects the movement of spheroid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a medium while checking the state of spheroids inside a culture container, which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o lose spheroids It relates to an endoscopic pipette and viewing system that prevents the situation of
  • the medium of the culture vessel in which the spheroids are cultured must be periodically replaced, the waste medium of the culture vessel in which the spheroids are cultured must be extracted, and a new medium can be supplied to continuously grow the spheroids as des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pheroi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medium while confirming the state of the spheroid inside the culture container, which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so as to detect the spheroid
  • the task is to prevent the loss of
  • An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ndoscopic pipette for observing the spheroids inside the culture vessel while removing the medium accommodated in the culture vessel in which the spheroids are cultured, to extract the medium
  • unit and a power unit provided in a partial sp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providing power to the camera unit.
  • the accommod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artitioned into a first space accommodating the badge introduced through the tip unit, a second space accommodating the power unit, and a third space accommodating the camera unit.
  • the second spac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badge is accommodate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 the power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unit in a battery unit for storing power to provide power to the camera unit, a switch unit for operating the battery unit, and the second space, and taking pictures from the camera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outside.
  • the second space may be partitioned into at least three spaces so that the battery unit, the switch unit, and the transmission unit are located on mutually partitioned spaces.
  • the second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ed space in which the battery unit is located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battery unit.
  • the third space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pace, and the tip unit penetrates toward the first space and is coupled.
  • the tip uni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hird spac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part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penetrating the third space and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part toward the culture vessel becomes narrow, and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vess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medium.
  • the camer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ulture vessel and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part according to a rotational direction with the photographing unit located therein.
  • the adjusting unit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photographing uni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ird space, and a rotating member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rotation, the rotating member is located at one end, and inside A case member into which a por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inserted and rotat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case member, respectively, and the photographing part is cultu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ing member for moving toward the container.
  • the camer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is provided and positioned with the tip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camera unit may include an angle adjust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adjusting units to vary a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adjusting unit and change an angle of the photographing unit.
  • the angle adjusting unit one end is located outside the third space, the other end is located inside the third space, doedo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of the toothed member and the toothed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pair interposed therebetween,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saw-tooth member is formed, and a distance member that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aw-tooth member.
  • an observation system for observing the spheroid accommodated in the culture vessel includes an endoscopic pipette and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endoscopic pipette.
  • the endoscopic pipet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 the transmis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Bluetooth.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 pair of images captured by the pair of photographing units as if visually observed through binocular parallax.
  • the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pheroi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medium while checking the state of the spheroid inside the culture vessel, which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o lose the spheroi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situation.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oscope pipette and an observation device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doscope pipette and a tip unit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doscope pipette and a receiving unit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doscope pipette and a camera unit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gles of an endoscope pipette and a camera unit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ir of camera units of an endoscope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ment unit of an endoscope pipette and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awtooth member and a distance member of an endoscope pipette and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unit of an endoscope pipette and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ndoscope pipette and an observation system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340 control unit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oscopic pipette and an observation device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of an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ip unit
  •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ceiving unit of the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ndoscope pip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for explaining the camera unit of the observation system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gles of the endoscope pipette and the camera unit of the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gle adjustment unit of an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othed member and a distance member of an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unit of an endoscopic pipette and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n for explanation.
  • a pipette 10 for observing the spheroids (C) inside the culture vessel (W) while removing the medium accommodated in the culture vessel (W) in which the spheroids (C) are cultured As a, a tip unit 100 inserted into the culture vessel (W) to extract the medium, a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the medium extracted through the tip unit 100, the tip unit 100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ip unit 100 between the ) and the accommodating unit 200, and is provided in a camera unit 300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ulture vessel (W) and a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200 in a space, a power unit 400 providing power to the camera unit 300 may be included.
  • the tip unit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culture vessel (W) to extract the medium inside the culture vessel (W), and is extended from the receiving unit 200 toward the culture vessel (W). may have been formed.
  • the tip unit 100 may be composed of a penetrating part 120, an extraction part 140, and a detachable part 160, as shown in FIG.
  • the penetra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ird space 260 formed in the accommodation unit 200 and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220 of the accommodation unit 200, which will be la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above.
  • the extraction unit 140 is formed long from the receiving unit 200 toward the culture container W, and may be extend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narrows, which is the flow rate of the medium moved to the receiving unit 200. It may be to adjust, and since the size of the spheroid (C) is so small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it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is narrowed to extract only the medium avoiding the spheroid (C).
  • the extraction unit 14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raction unit 140 so that the extraction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container W rather than the extraction unit 140. It may be provided with the detachable part 160 formed long toward the one end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extraction part 140.
  • the detachable part 160 is detachably formed at one end of the extraction part 140, and the extraction part 140 and the detachable part 160 are formed to have a narrower diameter toward one end.
  • One end of the detachable part 160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narrower diameter than one end of the extraction part 140 .
  • the accommodation unit 200 includes a first space 220 in which the medium extracted through the tip unit 100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power unit 400 is located ( 240) and a third space 260 formed to surround the through portion 120.
  • first space 220, the second space 240, and the third space 260 may form spaces partitio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that is, independent spaces that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 the first space 22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volume than the second space 240 and the third space 260 because the medium extracted through the tip unit 100 is accommodated. It can be.
  • the second space 24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space 220 and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unit 200 .
  • the second space 240 may be composed of a first partition 242, a second partition 244, and a third partition 246, as shown in FIG. 3, each of which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pace may be formed.
  • the first compartment 242 may include a terminal unit 440 of the power unit 400 or a switch capable of driving the camera unit 300 .
  • a battery unit 420 that provides power to drive the camera unit 30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ompartment 244, and the battery unit 420 may be replaced as needed.
  • An opening/closing unit 28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econd compartment 244 may be provided.
  • the third compartment 246 may also have the opening/closing unit 280, and the third compartment 246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12 for transmi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00 to the outside. may be disposed, and the above-described camera unit 300, the power unit 400, and the transmitter 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 the third space 26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amera unit 300 is disposed, and between the first space 220 and the second space 240, the second space 240 It is provided between and the tip unit 100, and the penetra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therein.
  • it is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tip unit 100 and can form a space in which the camera unit 300 is disposed.
  • the accommodation unit 200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partitioned spaces, and according to the type accommodated therein, the first space 220, the second space 240, It may be divided into the third space 260, the first space 220 accommodates the badge extracted through the tip unit 100, and the second space 240 contains the power unit 400. ) is accommodated, and the camera unit 3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third space 260 .
  • the second space 240 is re-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nd the first partition 242, the second partition 244, and the third partition ( 246) can be distinguished.
  • the camera unit 3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hrough part 120 in the third space 260, and as shown in FIG. 4, the spheroid inside the culture vessel (W) ( C) may be composed of a photographing unit 320 for photographing, and a control unit 340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pheroid (C) to be observ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20 on the screen.
  • the photographing unit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2 or connec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the photographing unit 320 may be connected to the spheroid (C), which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 a visually magnifying lens such as an endoscope camera, microscope, etc. may be used to check the .
  • control unit 340 can simp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20 to zoom in or zoom out, and rotate the rotation member 342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20,
  • the rotating member 342 is located at one end, a case member 344 into which a part of the photographing unit 320 is inserte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the case member 344, the photographing unit ( 320) may include a spring member 346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342 and moves the photographing unit 320.
  • the rotating member 342 may be form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34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ird space 260, and through this,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member 342 exposed to the outside to capture the photographing unit 320. ) can be adjusted.
  •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case member 344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320 can be moved inside the case member 344 and can be rotated together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342. there is.
  •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ember 346 may be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320 and the case member 344, respectively, and rotate together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342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se member 344,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moved apart or closer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se member 344,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320 may be moved, and through this, zoom-in or zoom-out may be performed.
  • the photographing unit 320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space 26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set angle, and the preset angle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p unit 100. may correspond to the slope of
  • each pair is provid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tip unit 100. It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and each of one end of the tip unit 100 may be photographed.
  • the sense of position and distance is not familiar, unlike when the object is visually recognized through the one eye, and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objects as well as the three-dimensional sense is reduced, so the size of the object is reduced. Problems such as feeling smaller than felt by tactile sensation occur, but when using binocular parallax,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sense of distance of an object are higher than that of the one eye.
  • the inside of the culture vessel (W) in which the spheroid (C) is accommodated can be effectively observed and judged.
  • the angle of the camera unit 300 is varied as needed because the observed accurac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pair of camera units 300. It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360 for doing so.
  • the angle adjusting unit 36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hrough part 120 and may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camera units 300 .
  • angle adjusting unit 36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pair of camera units 300, and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pair of camera units 300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unit 320. ) can adjust the shooting angle.
  • the angle adjusting unit 360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protrudes outward similarly to the rotating member 342.
  •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toothed members 362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with the toothed member 362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protrusion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oothed member 362. is formed and may be composed of a distance member 364 that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othed member 362.
  • the pair of distance members 364 are moved by protrusions engaged with each other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toothed member 362, but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camera unit 300 can be adjusted.
  • the power unit 400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the second space 240 and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the battery unit 420 provides power to the camera unit 300. ), a terminal unit 440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unit 420, and a transmission unit 12 that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00 to the outside.
  • the battery unit 420 is arranged to be replaceable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replaced by the opening/closing unit 280 selectively opening the second compartment 244, and the camera unit 30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12 .
  • a switch unit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drive the battery unit 420, which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mpartment 242 as described ab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420. may be connected.
  • the terminal unit 440 may refer to a position where a terminal is inserted to charge power of the battery unit 420 that consumes power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unit 420 is replaced, and the battery unit ( 420)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 the transmission unit 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320, but as described above, it is connec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o transmit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20 to the outside. can also be transmitted.
  •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ndoscope pipette and an observation system of an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extracts the badge using the pipette 10 composed of the tip unit 100, the receiving unit 200, the camera unit 300, and the power unit 400, or
  • the spheroid (C) can be observed and the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320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ulture vessel (W)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2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unit 12
  • An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 the obser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pipette 10 and the display 20 display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2, and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2. By enlarging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20,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more effectively.
  • the transmission unit 12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electrical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transmission unit 12 and the display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electrical 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via Bluetooth.
  •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2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20, and the correction unit can three-dimensionally correct images captured by different camera units 300 as one image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20 .
  • the correction unit can edit and correct a plurality of image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2 to exert the same effect as viewing the culture container W with a single camera, through which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spheroid (C),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spheroid (C)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medium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oss of the spheroid (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은, 스페로이드가 배양되는 배양용기 내부에 수용된 배지를 제거하면서도 상기 배양용기 내부의 상기 스페로이드를 관찰하기 위한 내시경 피펫으로서, 상기 배지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배양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팁유닛, 상기 팁유닛을 통해 추출된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수용유닛, 상기 팁유닛과 상기 수용유닛 사이에서 상기 팁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양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의 일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본 발명은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배양용기 내부의 스페로이드의 상태를 확인하면서도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스페로이드의 움직임을 함께 감지하여 스페로이드를 분실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포를 배양하여 생성하는 스페로이드는 가시적으로 크기와 형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을 만큼 작기 때문에 이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현미경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스페로이드가 배양되는 배양용기의 배지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스페로이드가 배양되는 배양용기의 폐배지를 추출하고, 새로운 배지를 공급하여 스페로이드를 지속적으로 원하는 만큼 성장시킬 수 있다.
하지만 폐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팁이 배지를 추출하는 흡입력에 의해 스페로이드가 함께 팁 내부로 이동되면 배지를 분실하게 되고, 팁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스페로이드가 손상되어 배양하는 시간을 모두 허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스페로이드의 배양상태를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확인하면서,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스페로이드의 분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가시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배양용기 내부의 스페로이드의 상태를 확인하면서도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스페로이드의 움직임을 함께 감지하여 스페로이드를 분실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은, 스페로이드가 배양되는 배양용기 내부에 수용된 배지를 제거하면서도 상기 배양용기 내부의 상기 스페로이드를 관찰하기 위한 내시경 피펫으로서, 상기 배지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배양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팁유닛, 상기 팁유닛을 통해 추출된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수용유닛, 상기 팁유닛과 상기 수용유닛 사이에서 상기 팁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양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의 일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팁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상기 전원유닛이 위치되는 제2 공간, 상기 카메라유닛이 위치되는 제3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상기 제1 공간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유닛은, 상기 카메라유닛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이 보관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공간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배터리부, 상기 스위치부, 상기 송신부가 서로 구획된 공간상에 위치되도록 적어도 셋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배터리부의 잔여 전력량에 따라 교체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부가 위치되는 구획된 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 공간은,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팁유닛이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팁유닛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3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배양용기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3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양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지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배양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내부에 상기 촬영부가 위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일부가 상기 제3 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일단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촬영부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케이스부재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촬영부와 상기 케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상기 배양용기를 향해 이동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닛은,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팁유닛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유닛은, 한 쌍의 상기 조절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부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며 상기 촬영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3 공간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되, 타단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톱니부재 및 상기 톱니부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재의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거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양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스페로이드를 관찰하는 관찰 시스템으로서, 내시경 피펫 및 상기 내시경 피펫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전달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시경 피펫은, 상기 촬영부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한 쌍의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한 쌍의 영상을 양안시차를 통해 가시적으로 관찰하는 것과 같이 보정하는 보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은 가시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배양용기 내부의 스페로이드의 상태를 확인하면서도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스페로이드의 움직임을 함께 감지하여 스페로이드를 분실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관찰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팁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수용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카메라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카메라유닛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한 쌍의 카메라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각도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톱니부재와 거리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전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관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C: 스페로이드
W: 배양용기
10: 피펫
12: 송신부
20: 디스플레이
100: 팁유닛
120: 관통부
140: 추출부
160: 니들부
200: 수용유닛
220: 제1 공간
240: 제2 공간
242: 제1 구획부
244: 제2 구획부
246: 제3 구획부
260: 제3 공간
280: 개폐부
300: 카메라유닛
320: 촬영부
340: 조절부
342: 회전부재
344: 케이스부재
360: 각도조절부
362: 톱니부재
364: 거리부재
400: 전원유닛
420: 배터리부
440: 단자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관찰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팁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수용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카메라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카메라유닛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한 쌍의 카메라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각도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톱니부재와 거리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전원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로이드(C)가 배양되는 배양용기(W) 내부에 수용된 배지를 제거하면서도 상기 배양용기(W) 내부의 상기 스페로이드(C)를 관찰하기 위한 피펫(10)으로서, 상기 배지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배양용기(W)의 내부로 삽입되는 팁유닛(100), 상기 팁유닛(100을 통해 추출된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수용유닛(200), 상기 팁유닛(100)과 상기 수용유닛(200) 사이에서 상기 팁유닛(10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양용기(W)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300) 및 상기 수용유닛(200)의 일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유닛(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팁 유닛(100)은 상기 배양용기(W) 내부의 배지를 추출하도록 상기 배양용기(W)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유닛(200)에서 상기 배양용기(W)를 향해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팁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120), 추출부(140), 탈착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20)는 상기 수용유닛(200)에 형성되는 제3 공간(26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유닛(200)의 제1 공간(220)과 연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추출부(140)는 상기 수용유닛(200)에서 상기 배양용기(W)를 향해 길게 형성되되,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수용유닛(200)으로 이동되는 배지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함일 수도 있고, 상기 스페로이드(C)의 크기가 가시적으로 확인이 어려울 정도로 작기 때문에 상기 스페로이드(C)를 피해 배지만 추출하기 위해 일단부가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추출부(140)가 상기 배양용기(W) 내부로 삽입되어 배지를 추출하더라도 상기 추출부(140)의 일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상기 스페로이드(C)가 흡입되어 유실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추출부(14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추출부(140)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추출부(140)보다 상기 배양용기(W)를 향해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추출부(140)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상기 탈착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양용기(W)의 내부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배지를 흡입하는 양과 유속을 조절하기 위함이거나 상기 추출부(140)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스페로이드(C)의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탈착부(160)는 상기 추출부(14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추출부(140) 및 상기 탈착부(160)는 일단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추출부(140)의 일단부보다 상기 탈착부(160)의 일단부가 상대적으로 더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유닛(100)을 통해 추출된 배지가 수용되는 제1 공간(220), 상기 전원유닛(400)이 위치되는 제2 공간(240) 및 상기 관통부(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 공간(2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220), 상기 제2 공간(240), 상기 제3 공간(260)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획된 공간, 즉, 서로간 간섭되지 않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공간(220)은 상기 팁유닛(100)을 통해 추출되는 배지가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공간(240), 상기 제3 공간(26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공간(240)은 상기 제1 공간(220)과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공간(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부(242), 제2 구획부(244), 제3 구획부(246)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서로 구분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획부(242)에는 상기 전원유닛(400)의 단자부(440) 혹은 상기 카메라유닛(30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획부(244)는 상기 카메라유닛(300)을 구동시키도록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부(4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420)를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구획부(24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28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구획부(246)에도 상기 개폐부(28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3 구획부(246)에는 상기 카메라유닛(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카메라유닛(300), 상기 전원유닛(400), 상기 송신부(12) 등은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 공간(260)은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220) 및 상기 제2 공간(240) 사이, 상기 제2 공간(240) 과 상기 팁유닛(100) 사이에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관통부(12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팁유닛(10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상술한 바를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상기 수용유닛(2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하는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공간(220), 상기 제2 공간(240), 상기 제3 공간(260)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220)은 상기 팁유닛(100)을 통해 추출된 배지가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240)에는 상기 전원유닛(400)이 수용되며, 상기 제3 공간(260)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240)은 다수의 구획된 공간으로 재 구획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물체에 따라 상기 제1 구획부(242), 상기 제2 구획부(244), 상기 제3 구획부(246)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유닛(300)은 상기 제3 공간(260)에 상기 관통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양용기(W) 내부의 상기 스페로이드(C)를 촬영하는 촬영부(320), 상기 촬영부(320)의 위치를 조절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상기 스페로이드(C)의 크기를 화면상에서 조절하는 조절부(340)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부(320)는 상기 송신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촬영부(320)는 가시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상기 스페로이드(C)를 확인하도록 내시경 카메라, 현미경 등과 같은 가시적으로 확대가 가능한 렌즈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340)는 간단하게는 상기 촬영부(3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줌인 혹은 줌아웃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되면서 상기 촬영부(3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회전부재(342), 일단부에 상기 회전부재(342)가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촬영부(3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케이스부재(344),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케이스부재(344), 상기 촬영부(32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342)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촬영부(320)를 이동시키는 스프링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342)는 상기 제3 공간(260)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부재(342)를 회전시켜 상기 촬영부(3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부재(34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케이스부재(344)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342)의 회전방향을 따라 함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346)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촬영부(320) 및 상기 케이스부재(344)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342)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케이스부재(34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단부와 타단부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을 통해 상기 촬영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320)는 기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3 공간(26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각도는 상기 팁유닛(100)의 외측 둘레의 경사와 대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팁유닛(100)의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스페로이드(C)가 상기 팁유닛(100) 내부로 흡입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상기 팁유닛(100)의 일단부의 주변부를 확인하기 위함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이 상기 팁유닛(100)의 경사를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이 상기 팁유닛(100)의 일단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각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것보다 양안의 시각으로 인식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거리감각,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외눈으로 물체를 인식할 때에 물체가 외눈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과는 다르게 위치와 거리감각이 익숙하지 않고, 물체간의 거리감각은 물론 입체감각이 저하되어 물체의 크기를 촉각으로 느끼는 것보다 작게 느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지만, 양안시차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외눈보다 물체의 입체감과 거리감각이 높아지므로, 이를 한 쌍의 상기 카메라유닛(300)을 활용함을 통해 상기 스페로이드(C)가 수용된 상기 배양용기(W)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관찰 및 판단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상기 카메라유닛(300)을 활용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관찰되는 정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상기 카메라유닛(300)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각도조절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3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카메라유닛(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부(360)는 한 쌍의 상기 카메라유닛(3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카메라유닛(300)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촬영부(320)가 촬영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340)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부(360)는 상기 회전부재(342)와 유사하게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타단부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톱니부재(362), 상기 톱니부재(362)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톱니부재(362)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톱니부재(36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거리부재(36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톱니부재(362)의 일단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톱니부재(362)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하여 서로 맞물리는 돌기들에 의해 한 쌍의 상기 거리부재(364)가 이동되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카메라유닛(300)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카메라유닛(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촬영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용이하게 양안시차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팁유닛(100)을 통해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페로이드(C)가 유실되는지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확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유닛(4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간(240)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유닛(3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부(420), 상기 배터리부(42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외부의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440), 상기 카메라유닛(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12)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42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구획부(24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상기 개폐부(280)에 의해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유닛(300), 상기 송신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부(42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스위치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획부(242)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배터리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부(440)는 상기 배터리부(420)를 교체한 상태에서 전력을 소모한 상기 배터리부(420)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해 단자를 삽입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420)의 둘레 일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부(12)는 상기 촬영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블투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3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의 관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팁유닛(100), 상기 수용유닛(200), 상기 카메라유닛(300), 상기 전원유닛(400)으로 구성된 피펫(10)을 활용하여 배지를 추출하거나 상기 스페로이드(C)를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용기(W) 내부를 촬영하는 상기 촬영부(320)의 영상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송신부(12)로 전달하면, 상기 송신부(12)는 상기 촬영부(320)의 영상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관찰 시스템은 앞서 상술한 상기 피펫(10)과 상기 송신부(12)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송신부(12)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확대하여 표시함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송신부(12)가 상기 카메라유닛(300)과 전기적 혹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것과 같이 상기 송신부(12)와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서로 전기적 혹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시로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상기 피펫(10)의 이동범위의 영향을 주며, 상기 피펫(10)과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전선 등을 통해 상기 배양용기(W)를 건드리는 등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보다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유닛(300)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0)에 상기 송신부(12)에서 전달된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유닛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정유닛은 서로 다른 상기 카메라유닛(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과 같이 입체적으로 보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정유닛은 상기 송신부(12)에서 전달되는 다수의 영상들을 편집 및 보정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상기 배양용기(W)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시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상기 스페로이드(C)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배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페로이드(C)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어 상기 스페로이드(C)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스페로이드가 배양되는 배양용기 내부에 수용된 배지를 제거하면서도 상기 배양용기 내부의 상기 스페로이드를 관찰하기 위한 내시경 피펫으로서,
    상기 배지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배양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팁유닛;
    상기 팁유닛을 통해 추출된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수용유닛;
    상기 팁유닛과 상기 수용유닛 사이에서 상기 팁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양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의 일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내시경 피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팁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제1 공간, 상기 전원유닛이 위치되는 제2 공간, 상기 카메라유닛이 위치되는 제3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상기 제1 공간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유닛은,
    상기 카메라유닛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이 보관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공간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배터리부, 상기 스위치부, 상기 송신부가 서로 구획된 공간상에 위치되도록 적어도 셋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배터리부의 잔여 전력량에 따라 교체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부가 위치되는 구획된 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은,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팁유닛이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팁유닛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3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배양용기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3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양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지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배양용기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내부에 상기 촬영부가 위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일부가 상기 제3 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일단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촬영부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케이스부재;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촬영부와 상기 케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상기 배양용기를 향해 이동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팁유닛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한 쌍의 상기 조절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부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며 상기 촬영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3 공간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되, 타단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톱니부재; 및
    상기 톱니부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재의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거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피펫.
  14. 상기 배양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스페로이드를 관찰하는 관찰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3 중 어느 한 항의 내시경 피펫; 및
    상기 내시경 피펫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전달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관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피펫은,
    상기 촬영부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한 쌍의 영상을 양안시차를 통해 가시적으로 관찰하는 것과 같이 보정하는 보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 시스템.
PCT/KR2022/019161 2021-11-30 2022-11-30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WO20231013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32 2021-11-30
KR1020210168532A KR102623346B1 (ko) 2021-11-30 2021-11-30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390A1 true WO2023101390A1 (ko) 2023-06-08

Family

ID=8661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161 WO2023101390A1 (ko) 2021-11-30 2022-11-30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3346B1 (ko)
WO (1) WO202310139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28B1 (ko) * 1999-03-05 2003-08-27 레이닌 인스트루먼트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전력을 받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향상된 휴대용 전자 피펫
KR200333583Y1 (ko) * 2003-07-28 2003-11-14 김영실 지방흡입장치
JP4431381B2 (ja) * 2001-06-26 2010-03-10 カール ツァイス イェナ ゲーエムベーハー 顕微鏡鏡筒
KR20100099455A (ko) * 2009-03-03 2010-09-13 배수원 각도 및 거리조절수단을 갖는 망원경이 구비된 휴대폰
KR20170051602A (ko) * 2015-10-29 2017-05-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슬라이딩 분리형 니들유닛을 구비한 관찰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28B1 (ko) * 1999-03-05 2003-08-27 레이닌 인스트루먼트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전력을 받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향상된 휴대용 전자 피펫
JP4431381B2 (ja) * 2001-06-26 2010-03-10 カール ツァイス イェナ ゲーエムベーハー 顕微鏡鏡筒
KR200333583Y1 (ko) * 2003-07-28 2003-11-14 김영실 지방흡입장치
KR20100099455A (ko) * 2009-03-03 2010-09-13 배수원 각도 및 거리조절수단을 갖는 망원경이 구비된 휴대폰
KR20170051602A (ko) * 2015-10-29 2017-05-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슬라이딩 분리형 니들유닛을 구비한 관찰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37A (ko) 2023-06-07
KR102623346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64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indicating process of 3d printing
CN101813873B (zh) 照相机以及佩戴型图像显示装置
WO2010047478A2 (en) Laparoscope and setting method thereof
WO2015046674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1071277A2 (ko) 영상신호와 센서신호의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WO2020204433A1 (ko)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
WO2016036059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WO201804408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5186930A1 (ko) 의료 영상 및 정보 실시간 상호전송 및 원격 지원 장치
WO20180887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88740A1 (ko) 가상 현실 핸드폰
WO2023101390A1 (ko) 내시경 피펫 및 관찰 시스템
WO2016190607A1 (ko) 수술 지원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글라스 시스템 및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수술 지원 영상 제공 방법
WO2010058927A2 (ko) 안면 영상 촬영장치
WO2013180442A1 (ko)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WO2018092926A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외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WO2011025150A2 (ko) 신원 확인 장치
WO201715994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WO2017007278A1 (ko) 자동 세포 배양기 및 그 배양기의 동작 방법
WO2023106668A1 (ko) 동력수용체에 의해 제어되는 내시경
WO2019142992A1 (ko) 실시간 입체 촬영장치
WO2023101386A1 (ko) 스페로이드 관찰장치 및 관찰 시스템
WO2022092363A1 (ko)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WO2014185578A1 (ko) 직교식 입체 카메라의 광축 정렬 방법 및 직교식 입체 카메라
WO2019182245A1 (ko) 캡슐 내시경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1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