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5147A1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5147A1
WO2023075147A1 PCT/KR2022/013943 KR2022013943W WO2023075147A1 WO 2023075147 A1 WO2023075147 A1 WO 2023075147A1 KR 2022013943 W KR2022013943 W KR 2022013943W WO 2023075147 A1 WO2023075147 A1 WO 20230751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module
conductive material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9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섭
성준엽
박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JP202353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0468A/ja
Priority to EP22887351.9A priority patent/EP4258424A1/en
Priority to US18/267,086 priority patent/US20240021908A1/en
Priority to CN202280009419.6A priority patent/CN116724444A/zh
Publication of WO20230751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51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performanc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are of great interest as energy sources for power devices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s well a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laptops, and wearable devices.
  • Medium-large-sized battery modules are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as much as possible, so prismatic batteries, pouch-type batteries, etc., which can be stack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compared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of medium-large-sized battery modules.
  • the battery module in order to protect the battery cell stack from external shock, heat or vibration, the front and rear are open may include a module fram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in the inner space.
  •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that is,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having battery cells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more quickly and severely due to the sum of hea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a narrow space. That is, in the case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battery pack equipped with such a battery module, high output can be obtained, but it is not easy to remov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hen the heat dissipation of the battery cell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 battery cell deteriorates rapidly, shortens its lifespan,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xplosion or ignition.
  •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performanc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 a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module fram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and an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position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wherein the battery cell includes a sealing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sealed, and the battery cell
  • the sealing part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frame,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art, and the length of the sealing part extending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frame is the length of the battery cell.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top.
  • the length of the sealing part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 the sealing part may be folded at least onc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 An internal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may be positioned on a folded surface of the sealing unit.
  • Folded surfaces of the sealing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module frame may include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passes, and the through portion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ealing portion.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may extend to the through portion.
  •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 a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the recessed portion may be recesse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ba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and the recessed portion may be located above the sealing portion.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 the recessed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 a low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module described above.
  • the sealing portion of the battery cell wrapped by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top of the module frame, and the sealing portion has a length extending toward the top of the module fram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cross section cut along the A-A′ axis of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3 .
  • 5 to 7 are views showing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nd 9 are views showing the top of the module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planar image it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when it is referred to as “cross-sectional image”, it means when a cross section of the target part cut vertically is viewed from the si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120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are stacked and a module fram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120 ( 300, 400).
  •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but the battery cells 110 are preferably pouch-type battery cells.
  • the battery cell 110 may be manufactured by plac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pouch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and then heat-sealing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case.
  • These battery cells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form a stacked battery cell stack 1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include a lower frame 300 with open upper surfaces,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n upper plate 40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may mean the upper plate 400 .
  • the lower frame 300 includes a bottom portion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a side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ne side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L-shaped frame, or may be replaced with a mono frame surrounding the battery cell stack 120 except fo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 end plates 15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That is, the end plates 150 may be positioned on both open surfaces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
  •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and the end plate 150 may be joined by welding in a state in which corresponding corner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method, and as a mechanical coupling form, bolt fastening, hook fastening, etc. may be applied. As the battery cell stack 12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and the end plate 150, the battery cell stack 120 can be physically protected. To this end,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and the end plate 150 may include a metal or p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such as aluminum.
  •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 bus bar frame 130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the end plate 150 .
  • the bus bar frame 130 includes a first bus bar frame and a second bus bar frame, the first bus bar frame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the second bus bar frame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the battery module 100 may include an insulating cover (not shown) positioned between the bus bar frame 130 and the end plate 150 . That is, the bus bar frame 130, the insulating cover (not shown), and the end plate 150 may be sequentially positioned outside the battery cell stack 120.
  • a low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the lower frame 300 .
  • the low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10 may be formed as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is applied on the lower frame 300 and then cured before the battery cell stack 120 is mounted on the lower frame 300.
  • the low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thermally conductive film or a thermally conductive pad, in addition to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 any material including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is embodiment.
  • the low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10 may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110 to the bottom of the battery module 100 to cool the battery cell 110 .
  • sealing portion 110s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
  • FIG.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cross section cut along the A-A′ axis of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3 .
  • the battery cell 110 includes a sealing portion 110s in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0 is sealed.
  •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formed by press fusion or thermal fusion of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10 .
  • the battery cell 11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110s faces the upper portions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as shown in FIG. 3 .
  •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plate 400 .
  •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n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10s. More specifically,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10s.
  •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is formed by curing after the battery cell stack 120 is mounted on the lower frame 300, and then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is applied on the battery cell stack 120. It can be.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thermally conductive film or a thermally conductive pad, in addition to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including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is embodiment.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1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100 to cool the battery cell 110 .
  •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
  •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ing toward the top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0 . .
  •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portion 110s can be minimized. That is,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the heat transfer area between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can be maximized,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cell 110 by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improved.
  • the sealing part 110s may be folded at least onc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folded twic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is th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based on the entirety of the sealing portion 110s folded at least once.
  • the length at which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i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based on the entirety of the sealing portion 110s folded at least once. It may mean an extended part.
  • the folded surfaces of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folded surface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ealing portion 110s when the area of the sealing portion 110s is relatively large, the sealing property of the battery cell 110 is improved and the sealing portion 110s is folded at least once, so that the battery module 100 )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my space. In addition, even when the sealing portion 110s is folded at least once,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portion 110s on the battery cell 110 may be minimized.
  • a portion of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olded surfaces of the sealing portion 110s.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is formed by applying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on top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som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folded surfaces of the sealing parts 110s. .
  • an internal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may be positioned on the folded surface of the sealing unit 110s.
  •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inn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may be high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and the inn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acrylic and silicon material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general, any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may be included in this embodiment.
  • the thermal conductive material is included in the sealing portion 110s, so that the degree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sealing portion 110s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can be increased. , cooling performance of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for the battery cell 110 may be improved.
  • a fix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10s.
  • the fixing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tape or a general adhesive material.
  • the fixing member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 any material capable of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 the fixing member may prevent the sealing portion 110s from being folded or damaged while the battery cell 110 is mounted in the module frame 300 or 400 .
  • 5 to 7 are views showing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aling portion 110s has a length extending toward the top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Whil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0,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have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sealing portion 110s of FIGS. 3 and 4 .
  •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0 toward the top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
  •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portion 110s on the battery cell 110 may be minimized.
  •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covered by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maximized to maximize the heat transfer area between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cell 110 by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further improved.
  •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have a shape that is folded onc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is case,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sealing part 110s compared to FIG. 5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aling property of the battery cell 110 and maximize space utilization in the battery module 100 .
  • the sealing portion 110s is folded at least once,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portion 110s above the battery cell 110 can be minimized.
  • the sealing unit 110s may have a shape that is folded multiple times. More specifically, the lengths of the sealing parts 110s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s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in lengths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s of the battery cells 110 .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is smaller than that of FIGS. 4 to 6, so that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 320) can be maximized.
  • the degree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top of the sealing portion 110s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increased,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for the battery cell 110 may be increased.
  • the cooling performance of 320 can be improved.
  • FIG 8 to 9 are views showing the top of the module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have a through portion 400p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passes.
  • the through part 400p may be located above the sealing part 110s. More specifically, the penetrating portion 400p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
  • the through portion 400p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portions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to the through portion 400p.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located above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relatively increased.
  •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include the through portion 400p, and the degree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110s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can be increased, and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for the battery cell 110 can be effectively improved.
  • a depression 400h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
  • the recessed portion 400h may refer to a portion that is recess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300 or 400 ba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300 or 400 .
  • the recessed portion 400h may be located above the sealing portion 110s. More specifically, the recessed portion 400h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0s extend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0 .
  •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400h.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located above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relatively increased.
  • the degree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top of the sealing portion 110s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0 may be increased,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for the battery cell 110 may be increased.
  • the cooling performance of 320 can be improved.
  •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110s may be cover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the battery cell 110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and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described in the same way as the battery module 100 described in FIGS. 1 to 4, and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t parts.
  • FIGS.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the sealing portion 11s is folded toward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 . More specifically,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l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1s extending toward the upper plate 40 is small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 . In this case,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portion 11s above the battery cell 11 is too large, the sealing portion 11s may hinder heat transfer between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32 and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 can In particular, the sealing portion 11s may act as a high thermal resistance in a heat transfer path between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1 . Accordingly, in the battery modul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ealing portion 11s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up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layer 32 for the battery cell 11 .
  • the sealing portion 110s has a length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s 300 and 400, and the length of the battery cell 110 )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0,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portion 110s on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10 can be minimized, and the upper thermal conductive material layer for the battery cell 110 ( 320)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ackaged in a pack case to form a battery pack.
  • the battery module described above and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devices may be applied to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et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devices capable of using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hich is also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 of in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셀은 상기 전지셀의 외주면 중 일부가 실링되어 있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셀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실링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1년 10월 26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14381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각 성능이 향상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해, 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들에는 고출력 대용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 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일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 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지 모듈은, 전지셀 적층체를 외부 충격, 열 또는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전지셀 적층체를 내부 공간에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적정 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이차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도 있다. 특히, 다수의 이차 전지, 즉 전지셀을 구비한 전지 모듈이나 전지팩은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전지셀로부터 나오는 열이 합산되어 온도가 더욱 빠르고 심하게 올라갈 수 있다. 즉, 다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 모듈과 이러한 전지 모듈이 장착된 전지팩의 경우,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지만, 충전 및 방전 시 전지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전지셀의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지셀의 열화가 빨라지면서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폭발이나 발화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또한, 전지 모듈은 보다 많은 전지셀을 포함하기 위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전지 모듈의 방열과 관련하여서도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인 냉각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전지 모듈을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충전하기 위해 시간당 전류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지 셀의 발열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은 보다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전지 모듈에 대한 용량 증대, 급속 충전과 같은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추세에서, 냉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전지 모듈을 개발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각 성능이 향상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셀은 상기 전지셀의 외주면 중 일부가 실링되어 있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셀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실링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적어도 1회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폴딩되어 있는 면에 내부 열전도성 물질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폴딩되어 있는 면은 서로 접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은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 중 일부가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실링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관통부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의 하면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의 상면을 향해 함몰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함몰부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하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에 의해 감싸지는 전지 셀의 실링부가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로서, 상기 실링부의 열저항을 최소화함에 따라 냉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축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여기서 전지 모듈의 전후면 중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면인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전지 셀(110)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120) 및 전지셀 적층체(120)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300, 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 프레임(300,400)에 수용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120)는 복수의 전지 셀(110)이 일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되, 전지 셀(110)은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 셀(110)은 전극 조립체를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 케이스에 수납한 뒤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실링부를 열융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셀(11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전지 셀(11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120)를 형성한다.
또한, 모듈 프레임(300, 400)은 상부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하부 프레임(300), 전지셀 적층체(120)의 상부를 덮는 상부 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는 상부 플레이트(40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300)은 전지셀 적층체(120)의 하면을 덮는 바닥부와 전지셀 적층체(120)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다만, 모듈 프레임(300, 400)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L자형 프레임의 상부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있거나, 전후면을 제외하고 전지셀 적층체(120)를 둘러싸는 모노 프레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 적층체(120)의 전후면에 각각 엔드 플레이트(150)들이 위치한다. 즉, 모듈 프레임(300, 400)의 개방된 양 면에는 엔드 플레이트(150)들이 위치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300, 400)과 엔드 플레이트(150)는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들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방법이며, 기구적 결합 형태로써, 볼트 체결, 후크(Hook) 체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프레임(300, 400)과 엔드 플레이트(150)들이 형성하는 공간에 전지셀 적층체(120)가 수납됨으로써, 전지셀 적층체(120)를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 프레임(300, 400)과 엔드 플레이트(150)는 알루미늄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전지셀 적층체(120)와 엔드 플레이트(150) 사이에 위치한 버스바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바 프레임(130)은 제1 버스바 프레임 및 제2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버스바 프레임은 전지셀 적층체(120)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버스바 프레임은 전지셀 적층체(120)의 후면에 위치한다.
또한, 전지 모듈(100)은 버스바 프레임(130)과 엔드 플레이트(150) 사이에 위치한 절연 커버(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지셀 적층체(120)로부터 외측으로 버스바 프레임(130), 절연 커버(미도시됨) 및 엔드 플레이트(150)가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지셀 적층체(120)와 하부 프레임(300) 사이에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310)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310)은 전지셀 적층체(120)가 하부 프레임(300) 상에 장착되기 전에, 하부 프레임(300) 상에 열전도성 수지가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310)은 열전도성 수지 이외에, 열전도성 필름 또는 열전도성 패드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소재라면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310)은 전지 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지 모듈(100)의 바닥으로 전달하여, 전지 셀(1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중심으로, 전지 셀(110)의 실실링부(110s) 및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A’축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 모듈(100)에서, 전지 셀(110)은 전지 셀(110)의 외주면 중 일부가 실링되어 있는 실링부(110s)를 포함한다. 일 예로, 실링부(110s)는 전지 셀(110)의 외주면 중 일부가 프레스 융착 또는 열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지 셀(110)은 도 3과 같이 실링부(110s)가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지 셀(110)은 실링부(110s)가 상부 플레이트(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 셀(110)의 하부는 실링부(110s)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전지 셀(110)과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310) 사이의 열 전달이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냉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전지셀 적층체(120)의 상면과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실링부(110s)의 외면을 감싸고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실링부(110s)의 외면과 접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하부 프레임(300)에 전지셀 적층체(120)가 장착된 후에, 전지셀 적층체(120) 상에 열전도성 수지가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열전도성 수지 이외에, 열전도성 필름 또는 열전도성 패드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소재라면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전지 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지 모듈(100)의 상부로 전달하여, 전지 셀(1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110s)는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실링부(110s)는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전지 셀(110)의 상부에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를 향하는 열전달 경로에서, 실링부(110s)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지 셀(110) 상부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여, 전지 셀(110)과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열 전달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에 의한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실링부(110s)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적어도 1회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실링부(110s)는 반시계 방향으로 2회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는, 적어도 1회 폴딩되어 있는 실링부(110s) 전체를 기준으로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110s)가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는, 적어도 1회 폴딩되어 있는 실링부(110s) 전체를 기준으로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를 향해 연장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110s)의 폴딩되어 있는 면은 서로 접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실링부(110s)는 적어도 1회 폴딩됨에 따라, 폴딩되어 있는 면은 서로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110s)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전지 셀(110)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실링부(110s)가 적어도 1회 폴딩되어 있어, 전지 모듈(100) 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실링부(110s)가 적어도 1회 폴딩된 경우에도,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 상부에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링부(110s)의 폴딩되어 있는 면 사이에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중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이 전지셀 적층체(120) 상부에 열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열전도성 물질 중 일부가 실링부(110s)의 폴딩되어 있는 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실링부(110s)의 폴딩되어 있는 면에 내부 열전도성 물질층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열전도성 물질층을 구성하는 열전도성 물질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을 구성하는 열전도성 물질보다 열전도도가 높거나 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및 상기 내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각각 아크릴 및 실리콘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열전도 성능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전지 셀(100)에서, 실링부(110s) 내부에 열전도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실링부(110s)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열전달 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예 따른 전지 셀(100)에서, 실링부(110s)의 외면에 고정 부재(미도시됨)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미도시됨)는 테이프 혹은 일반적인 접착 물질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고정 부재(미도시됨)는 열전도 성능을 가지는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실링부(110s)의 외면을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미도시됨)는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이 모듈 프레임(300, 400) 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접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에서, 실링부(110s)는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길면서도, 실링부(110s)는 도 3 및 도 4의 실링부(110s) 이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5와 같이, 실링부(110s)는 전지 셀(110)의 상부에서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실링부(110s)의 외면 전체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 셀(110) 상부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여, 전지 셀(110)과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열 전달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에 의한 냉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6과 같이, 실링부(110s)는 반시계 방향으로 1회 폴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110s)의 면적을 도 5에 비해 증가시켜, 전지 셀(110)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전지 모듈(100) 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더불어, 실링부(110s)가 적어도 1회 폴딩된 경우에도,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 상부에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7과 같이, 실링부(110s)는 복수 회 폴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부(110s)는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110s)가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비해 작아져, 실링부(110s)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전지 셀(100)에서, 실링부(110s)의 상부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열전달 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에서, 모듈 프레임(300, 400)은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 중 일부가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400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부(400p)는 실링부(110s)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부(400p)는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관통부(400p)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에서 관통되어 있는 부분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에서 관통부(400p)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110s)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전지 셀(100)에서, 모듈 프레임(300, 400)은 관통부(400p)를 포함하여, 실링부(110s)의 상부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열전달 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냉각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에서,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의 하면에 함몰부(400h)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함몰부(400h)는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의 상면을 향해 함몰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00h)는 실링부(110s)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함몰부(400h)는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은 함몰부(400h)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110s)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전지 셀(100)에서, 실링부(110s)의 상부와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 사이의 열전달 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실링부(110s)의 상부가 모듈 프레임(300, 400) 상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지 셀(110)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교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설명하고자 하며, 비교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100)과 대부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으며,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 셀(11)에서, 실링부(11s)는 전지 셀(11) 상부를 향해 폴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에서, 실링부(11s)는 상부 플레이트(40)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전지 셀(11)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작다. 이 경우, 실링부(11s)가 전지 셀(11) 상부에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 지나치게 커서, 실링부(11s)는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과 전지 셀(11) 상부 사이의 열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실링부(11s)는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과 전지 셀(11) 상부 사이의 열전달 경로에서 높은 열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예의 전지 모듈에서, 실링부(11s)는 전지 셀(11)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의 냉각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에서, 실링부(110s)는 모듈 프레임(300, 4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전지 셀(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아, 실링부(110s)가 전지 셀(110) 상부에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전지 셀(110)에 대한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320)의 냉각 성능 또한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팩 케이스 내에 패키징되어 전지팩을 형성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전지 모듈
11, 110: 전지 셀
11s, 110s: 실링부
120: 전지 셀 적층체
130: 버스바 프레임
150: 엔드 플레이트
300: 하부 프레임
310: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
32, 320: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
40, 400: 상부 플레이트

Claims (13)

  1.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셀은 상기 전지셀의 외주면 중 일부가 실링되어 있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셀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실링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큰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길이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큰 전지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실링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적어도 1회 폴딩되어 있는 전지 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실링부의 폴딩되어 있는 면에 내부 열전도성 물질층이 위치하는 전지 모듈.
  5. 제3항에서,
    상기 실링부의 폴딩되어 있는 면은 서로 접하고 있는 전지 모듈.
  6.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은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 중 일부가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실링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7. 제6항에서,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관통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지 모듈.
  8. 제7항에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전지 모듈.
  9.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의 하면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모듈 프레임 상부의 상면을 향해 함몰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10. 제9항에서,
    상기 상부 열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함몰부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지 모듈.
  11. 제10항에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전지 셀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전지 모듈.
  12. 제1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하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열전도성 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3.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PCT/KR2022/013943 2021-10-26 2022-09-19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0751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38146A JP2024500468A (ja) 2021-10-26 2022-09-19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EP22887351.9A EP4258424A1 (en) 2021-10-26 2022-09-19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8/267,086 US20240021908A1 (en) 2021-10-26 2022-09-19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202280009419.6A CN116724444A (zh) 2021-10-26 2022-09-19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812A KR20230059532A (ko) 2021-10-26 2021-10-26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21-0143812 2021-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147A1 true WO2023075147A1 (ko) 2023-05-04

Family

ID=8615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943 WO2023075147A1 (ko) 2021-10-26 2022-09-19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1908A1 (ko)
EP (1) EP4258424A1 (ko)
JP (1) JP2024500468A (ko)
KR (1) KR20230059532A (ko)
CN (1) CN116724444A (ko)
WO (1) WO202307514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500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70020095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80119990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003600A (ko) * 2018-07-02 2020-01-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00140476A (ko) * 2019-06-07 2020-12-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10143812A (ko) 2019-03-20 2021-11-29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열전도성 조성물 및 반도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500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70020095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80119990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003600A (ko) * 2018-07-02 2020-01-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10143812A (ko) 2019-03-20 2021-11-29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열전도성 조성물 및 반도체 장치
KR20200140476A (ko) * 2019-06-07 2020-12-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0468A (ja) 2024-01-09
CN116724444A (zh) 2023-09-08
EP4258424A1 (en) 2023-10-11
US20240021908A1 (en) 2024-01-18
KR20230059532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9484A1 (ko)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245214A1 (ko) 이차 전지 및 버스바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21206383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025114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6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8075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111665A1 (ko) 파우치형 배터리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배터리 팩
WO202214988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9399A1 (ko)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WO2021246636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7A1 (ko)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5879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075147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05233A1 (ko)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4559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45619A1 (ko)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71057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58855A1 (ko) 전지 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28714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203210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5895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140497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027464A1 (ko) 이차전지, 그의 제조방법 및 전지팩
WO202224002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22519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7086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73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8146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09419.6

Country of ref document: C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873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