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9103A1 -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 Google Patents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9103A1
WO2023059103A1 PCT/KR2022/015053 KR2022015053W WO2023059103A1 WO 2023059103 A1 WO2023059103 A1 WO 2023059103A1 KR 2022015053 W KR2022015053 W KR 2022015053W WO 2023059103 A1 WO2023059103 A1 WO 20230591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crocapillary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system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0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태석
응우옌단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0591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91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3Particularly adapted electric pow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21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7/44791Micro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nd a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electrophoresis using power of a mobile phone in a small size and movable form without a separate, high voltage supply device. It relates to an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nd a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for the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which can be operated and operated with a mobile phone.
  • Coronavirus a benign sense single-stranded RNA virus with crown-shaped spikes on its surface, can be transmitted from person to person and usually causes mild respiratory illness (WHO, 2020).
  • SARS-CoV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Beta coronavirus (MERS-CoV) has spread to 27 countries, causing about 2500 confirmed cases and a high mortality rate of about 34% (WHO, 2018; Zaki et al., 2012).
  • SARS-CoV-2 another novel coronavirus
  • Vaccine development shows positive results against known variants, but there is no guarantee that it will retain the same immunity against the upcoming strain of SARS-CoV-2, and one of the keys to controlling this pandemic is developing portable, rapid diagnostic systems, It consists in the proper initial isolation of infected individuals.
  •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howed high molecular analysis performance with high speed, high resolution, and low sample consumption (Hajba and Guttman, 2017; Khatri et al., 2017; Kim et al., 2012; Laena et al. , 2017; Lin et al., 2017; Pan et al., 2018; Voeten et al., 2018).
  •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is widely applied to the separation and detec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biomolecules such as nucleic acids, proteins or amino acids (Curtis Saunders et al., 2013; Heiger et al., 1990; Kong et al., 2019; Li et al., 2018; Liang et al., 2019; Skeidsvoll and Ueland, 1996; Sudor 1994; Novotny Sunada and Blanch, 1997).
  • the existing mCE system has limitations in manual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and fluorescence detection is performed by a separate detector system.
  • mobile phone cameras can be used for colorimetric chiral recognition (Ping et al., 2018), colorimetric pathogenicity detection (H. Van Nguyen et al., 2020), and isothermal amplification detection based on HUE values (HQ Nguyen et al., 2020). ) and fluorescence detection (Gou et al., 2018; Priye et al., 2018), but digital images are simply stored in mobile phones,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on them is still lac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using a mobile phone.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integrated with a mobile phon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as an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 mobile phone supplying voltage for electrophoresis to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and a step-up means for receiving and boosting power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and supplying the boosted voltage to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is composed of two intersecting microcapillaries, and both ends of one of the microcapillaries include a sample chamber (S) filled with a sample and a waste chamber (W).
  • a cathode (C) and an anode (A) chamber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ther one of the microcapillaries.
  • the microcapillaries may cross vertically.
  • the boosting means includes a boost converter for applying a sample stack voltage to the microcapillary equipped with the sample chamber (S) and the waste chamber (W); and another boost converter for applying a separation voltage to another microcapillary equipped with the cathode (C) and anode (A) chambers.
  • the sample moves and fills the microcapillary by the sample stack voltage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oost converter, and the sample filling the microcapillar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separation voltage moves to another microcapillary.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node (A) of the capillary and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terial in the sample.
  •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in the separated sample is determined through the camera of the mobile phone, and the loca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time of the two bracket ladders.
  • the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is operated by a mobile phon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nd a relay is turned on for electrophoretic operation in the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Off can be controll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 laser power for measuring electrophoretic fluorescence in the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may be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used in the above-describ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nd a mobile phone written with commands for manipulating the above-describ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nd displaying the electrophoresis diagram. application can be provided.
  • the integrated ⁇ CE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nd movable without a separate high voltage supply and can be operated with a mobile phone.
  • the cell phone can also power the two boost converters and the excited laser, as well as control the relay on the power switch.
  • You can also use your phone's CMOS camera to detect fluorescence signals for diagnostic results in real time. Also recorded fluorescence intensity vs.
  • the data of the execution time can be converted to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displayed on a mobile phone. Therefore, the ⁇ 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on-site molecular diagnosis fields with user convenienc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diagram and an operating method of a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shows two peaks for (A) small bracket ladder (SL) and large bracket ladder (LL) in monoplex and multiplex CE analysis results for SAR-CoV-2 detection.
  • Figure 2b shows the peak analysis results for the S gene and SL and LL.
  • Figure 2c shows the peak analysis results for the N gene of SAR-CoV-2 including SL and LL.
  • 2d is a multi-peak analysis result for the S and N genes of SAR-CoV-2.
  • 3a is an outline of a cell phone-related ⁇ CE system in a mobile integrated portable ⁇ 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b shows a PMMA multilayer in a mobile integrated portable ⁇ 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c is an individual component of the integrated ⁇ CE system and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component.
  • Figure 3d shows the detailed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microcontroller, the 2-channel relay and the 2 boost converters.
  • FIG. 4 is a digital image of an integrated ⁇ C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an overview of a portable ⁇ CE system; (B) arrangement of system internal components; (C) Top view of the digital image of the integrated ⁇ CE system consisting of a cell phone, microcontroller, relay, two boost converters, laser, 20X objective and ⁇ CE chip.
  • this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existing inside or connected to and installed" of another component, this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exist.
  • ... unit means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a mobile phone supplying voltage for electrophoresis to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and a step-up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stepping it up, and supplying the boosted voltage to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boosting the output voltage of a mobile phone, which is only 5V, including two independent boost converters, using injection-stacking (IS) and separation-detection (Separation-detection). (SD)) to provide a new concept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that is actually integrated with a mobile phone and driven by supplying the necessary voltage.
  • IS injection-stacking
  • Separation-detection separation-detection
  •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m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of two microcapillary channels that cross each other.
  • the microcapillary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chip is composed of two intersecting microcapillaries, and both ends of one of the microcapillaries are filled with a sample chamber (S) and a waste chamber ( W) is provided. That is, as voltage is applied, the sample in the sample chamber (S) moves to the waste chamber (W) and fills the microcapillary tube, which is a sample stacking area.
  • a cathode (C) and an anode (A) chamber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icrocapillary that crosses the microcapillary filled with the sample, and the cathode (C) and the anode chamber (A) are conductive to which voltage is applied. It is a combination of an electrode and a chamber, which is a reservoir filled with a flowing sample.
  • the first boost converter is drive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rough a mobile phone, etc. to boost the voltage of the mobile phone to 380V, and the injection step begins.
  •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between the sample storage chamber (S) and the waste chamber (W) so that the PCR amplicon moves from S to W, forming the sample stack region, which is the microcapillary region between the sample storage chamber (S) and the waste chamber. It is filled (E in Fig. 1).
  • the voltage applied to fill the microcapillary region between the sample storage chamber (S) and the waste chamber (W)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ck voltage”.
  • the power supply should be switched to the cathode (C) and anode (A) chambers, which is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move the samples stacked in the sample stack region in the A direction.
  • the separation voltag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icrochannel.
  • mCE chips for DNA sequencing require long and narrow separation channels to obtain single-base electropherograms.
  • a high power supply ⁇ 1000 V is required to move the base through the narrow channel (Woolley et al., 1996).
  • the present invention can only boost the voltage of a mobile phone or portable battery up to 380 V through a boosting means, that is, a boost convert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four types of amplicons with low background baselines for more accurate detection of substances. di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interval of each amplicon was 80 bp,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peration of the mCE system and acquisition of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performed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the voltage for electrophoresis is also independently boosted for each desired measurement step by means of a separate step-up means for the voltage for electrophoresis.
  • the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integrated and used with a mobile phone, including voltage-manipulation-measurement-communication.
  • an application composed of a command capable of executing a separate manipulation toggle menu for this purpose is used as a mobile phone, all of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CE system is operated by sequentially selecting (A) a toggle menu icon ( ), (B) a “work” menu, and (C) a “monitor” menu. Entering the letter “a”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menu opens the first boost converter of the IS stage and closes the second boost converter. letter “b” which closes the first boost converter and opens the second boost converter for the SD stage; The letter “c” that closes all boost converters. The letter “d” is the menu for operating the fully automatic operation of the integrated ⁇ CE system.
  • the operation of the ⁇ 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wo stages, IS and SD.
  • the output voltage of the mobile phone which is only 5V, needs to be increased.
  • the output voltage was independently controlled for each SD step.
  • the booster circuit for IS uses the 380V output voltage as the sample stack voltage
  • the booster circuit for SD uses the 295V output voltage as the separation voltage
  •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considering the ⁇ CE channel, PCR amplicon size, and power,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 two bracket ladders 80 bp and 320 bp
  • two PCR amplicons of SAR-CoV-2 S gene (159 bp) and N gene (241 bp) were selected for ⁇ CE analysis.
  • the amplicon size was designed with an interval of 80 bp to minimize the overlap of CE peaks.
  •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length of the bracket ladder and each reference base length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order to minimize the overlap of CE peaks according to the chip structure, all of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sizes of the short bracket ladder, S gene, N gene and long bracket ladder are 80 bp, 159 bp, 241 bp and 320 bp, respectively. Due to the large length interval (80 bp), the power supply and injection time must be optimized to load all four amplicons equally into the stacking section (the microcapillary region between C and A), otherwise each ampoule in the stacking region This is because the different amounts of licon may cause unbalanced fluorescence peaks or cause the smallest or largest peaks to drop out.
  • the injection time was fixed at 100 seconds, and the output voltage in the range of 295V to 380V was selected using a potentiometer.
  • the use of 380 V for 100 seconds in the IS step resulted in an even distribution of 4 amplicons in the stack section, showing a balanced peak in the electropherogram.
  • the separation voltage was 295 V, which was optimal for clearly separating the four amplicons to show four separate peaks on the electropherogram, all of which were well separated with low background signal. It could be detected within 220 seconds.
  • the phone's power was used to turn on the blue dot laser.
  • the laser power is turned on and video recording starts as soon as the injection step is complet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standing angl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 CE chip as well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ensing point of the ⁇ CE chip. .
  • the bottom of the ⁇ CE chip was tilted at various angles and blue dot laser was irradiated.
  • the angle was 45 degrees
  • the detection spot could receive the converging light of the laser excited with the highest energy.
  • the tilt angle was less than or greater than 45 degre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detection point with low energy, causing high background noise. Therefore, the bottom of the ⁇ CE chip was fixed at 45°.
  • the standing angle of the mobile phone was also optimized, and an angle of 70°, which represents the optimal focus, was determined.
  • the length between the camera and the ⁇ CE chip is also optimized. That is, while the camera is out of focus at close range, the detection spot on the mobile phone screen appears too small at long range, resulting in blurry fluorescent images during data processing. Therefore, the optimal camera foc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15 mm,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fluorescence signal and the background was high at this length condition, and as a result, the background signal was reduced and the fluorescence detection sensitivity was improved. As soon as the secondary booster circuit was turned on, a web-based app was immediately launched to record the fluorescence signal of the isolated DNA band.
  • the integrated micro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SAR-CoV-2 analysis by targeting two PCR amplicons of the S gene (159 bp) and the N gene (241 bp).
  • bracket ladder as a reference has the advantage of assigning and determining the target peak of the target material to a desired peak position with high accuracy regardless of the absolute elution time.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monoplex and multiplex CE analysis for SAR-CoV-2 detection, (A) two peaks for SL and LL. Peak analysis for (B) S gene and (C) N gene of SAR-CoV-2 including SL and LL. (D) Multiple peak analysis results for SAR-CoV-2 S and N genes.
  • the amplicon of the N gene was also analyzed using two bracket ladders (SL, LL) (Fig. 2C), and the elution times of the SL, N gene and LL were determined to be 73 sec, 134 sec and 168 sec.
  • the relative migration time ratio of the N gene peak was calculated to be 0.6380 ⁇ 0.004, and finally, the two genes of SAR-CoV-2 with a bracket ladder were isolated for multiple ⁇ CE analysis for the proposed system.
  • 3a is an outline of a cell phone-related ⁇ CE system in a mobile integrated portable ⁇ 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b shows a PMMA multilayer in a mobile integrated portable ⁇ 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figuration is a 2 mm thick PMMA layer for patterning the four reservoirs
  • configuration is a 1 mm thick PMMA layer for patterning the sample stack ⁇ CE channel
  • configuration is a bottom layer.
  • the substrate is a PMMA layer with a thickness of 0.175 mm
  • configuration (iv) is a ⁇ CE microcapillary channel structure.
  • Figure 3c is an individual component of the integrated ⁇ CE system and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component.
  • Figure 3d shows the detailed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microcontroller, the 2-channel relay and the 2 boost converters.
  •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to supply power and control commands to the laser and the 2-channel relay, and the relay serves as a switch and receives commands from the microcontroller to perform the steps of injecting and separating the ⁇ CE chip. Turn on and off the two boost converter circuits to control, as described above. Also, referring to FIG. 3D , red and orange lines represent power lines, black lines represent ground lines, and green and purple lines represent signal lines.
  • FIG. 4 is a digital image of an integrated ⁇ C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an overview of a portable ⁇ CE system; (B) arrangement of system internal components; (C) Top view of the digital image of the integrated ⁇ CE system consisting of a cell phone, microcontroller, relay, two boost converters, laser, 20X objective and ⁇ CE chip.
  • the integrated ⁇ 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nd movable without a separate high voltage supply and can be operated with a mobile phone.
  • One cell phone can power the two boost converters and excited lasers, as well as control the relays on the power switch.
  • You can also use your phone's CMOS camera to detect fluorescence signals for diagnostic results in real time. Also recorded fluorescence intensity vs.
  • the data of the execution time can be converted to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displayed on a mobile phone. Therefore, the ⁇ 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on-site molecular diagnosis fields with user convenience.

Abstract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현장 분자진단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으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으로 전기영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전화;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에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본 발명은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전압 공급 장치 없이, 작은 크기로 이동가능한 형태로 휴대전화의 전원을 활용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하며, 휴대전화로 이를 조작할 수 있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에 관한 것이다.
지난 20년 동안 세계 보건 기구와 전 세계 많은 국가는 코로나바이러스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표면에 왕관 모양의 스파이크가 있는 양성 감각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 간에 전염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벼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WHO, 2020).
2002년 중국 광둥성에서 발생한 최초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는 약 10%의 사망률로 전 세계적으로 8000명 이상의 확인 사례를 초래하였으며(WHO, 2003),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이 처음 보고됐다.
베타 코로나바이러스(MERS-CoV)는 27개국에 퍼져 약 2500명의 확인 사례를 일으켰고 약 34%의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WHO, 2018; Zaki et al., 2012).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또 다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의 발병이 보고되었는데, 발병 후 1년 반이 지난 2021년 7월 6일 기준으로 1억 8,300만 건이 넘는 사례와 거의 400만 명이 사망하였다(WHO, 2021).
일부 국가에서 전염병이 진정될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지만 많은 국가에서는 새로운 SARS-CoV-2 변종 확산으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건 기관과 정부는 증가하는 SARS-CoV-2 테스트를 처리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고, 백신을 개발 및 배포함으로써 전염병을 통제해야 하는 과도한 부담을 안고 있다(Taleghani and Taghipour, 2021).
백신 개발은 알려진 변이체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지만 다가오는 SARS-CoV-2 변종에 대해 동일한 면역 효과를 유지한다는 보장은 없으며, 이 대유행을 통제하는 열쇠 중 하나는 휴대형의 신속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 감염된 개인을 적절히 초기에 격리하는 것에 있다.
다른 형태의 바이러스 감염성 폐렴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SARS-CoV-2의 기존 검출 방법 중 하나인 PCR은 형광진단기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겔 전기영동은 이동식 유전자 진단 플랫폼과 결합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큰 버퍼 저장 챔버와 복잡한 전기구성 때문이다.
한편, 미세모세관 전기영동(mCE)은 고속, 고분해능, 낮은 시료 소모량으로 높은 분자 분석 성능을 보여주었다(Hajba and Guttman, 2017; Khatri et al., 2017; Kim et al., 2012; Laena et al., 2017; Lin et al., 2017; Pan et al., 2018; Voeten et al., 2018). 미세모세관 전기영동법은, 핵산, 단백질 또는 아미노산과 같은 화학 물질 및 생체 분자의 분리 및 검출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Curtis Saunders et al., 2013; Heiger et al., 1990; Kong et al., 2019; Li et al., 2018; Liang et al., 2019; Skeidsvoll and Ueland, 1996; Sudor1994; Novotny Sunada와 Blanch, 1997).
하지만 기존 mCE 시스템은 전원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한계가 있었고 형광 검출은 별도의 검출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었다. 센싱 모듈과 관련하여 휴대전화 카메라는 비색 키랄 인식(Ping et al., 2018), 비색 병원성 탐지(H. Van Nguyen et al., 2020), HUE 값 기반 등온 증폭 탐지(HQ Nguyen et al., 2020) 및 형광 검출(Gou et al., 2018; Priye et al., 2018) 등에 사용되었지만 디지털 이미지는 휴대전화에 단순히 저장되었을 뿐, 이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 분석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새로운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전화와 통합된 새로운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으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으로 전기영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전화;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에 공급하기 위한 승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은, 교차하는 두 개의 미세모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세 모세관 중 하나의 양 단부에는 샘플이 채워지는 샘플 챔버(S) 및 폐기챔버(W)가 구비되며, 상기 미세 모세관 중 다른 하나의 양 단부에는 음극(C) 및 양극(A)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모세관은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압수단은, 상기 샘플챔버(S)와 폐기챔버(W)가 구비된 미세 모세관에 샘플스택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부스트 컨버터; 및 상기 음극(C) 및 양극(A) 챔버가 구비된 또 다른 미세 모세관에 분리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또 다른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스터 컨버터의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샘플스택전압에 의하여 상기 샘플은 이동하여 상기 미세 모세관을 채우며, 상기 분리전압 인가에 따라 상기 미세 모세관을 채운 샘플은 상기 또 다른 미세 모세관의 양극(A) 방향으로 이동하여 샘플내 물질 크기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된 샘플 내 물질은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를 통하여 위치가 판별되며, 상기 위치는 2 개의 브래킷 래더의 이동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은,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과 통신 연결된 휴대전화에 의하여 조작되며,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에서의 전기영동 작동을 위한 릴레이 온-오프를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에서의 전기영동도 형광 측정을 위한 레이저 파워를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과, 상술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조작하며, 전기영동도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로 기록된 휴대전화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 μCE 시스템은, 별도의, 고전압 공급 장치 없이, 작은 크기로 이동가능한 형태이며 휴대전화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는 2개의 부스트 컨버터와 여기된 레이저에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전원 스위치의 릴레이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진단 결과에 대한 형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휴대전화의 CMOS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된 형광강도 vs. 실행 시간의 데이터가 모세관 전기영동도로 변환되어 휴대전화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μCE 플랫폼은 사용자 편의성으로 다양한 현장 분자진단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시스템의 모식도 및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SAR-CoV-2 검출을 위한 모노플렉스 및 멀티플렉스 CE 분석 결과에서 (A) Small bracket ladder (SL) 및 large bracket ladder (LL)에 대한 두 개의 피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S 유전자 및 SL 및 LL에 대한 피크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SL 및 LL을 포함하는 SAR-CoV-2의 N 유전자에 대한 피크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SAR-CoV-2의 S 및 N 유전자에 대한 다중 피크 분석 결과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합 휴대용 μCE 시스템에서 휴대전화 관련 μCE 시스템의 개요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합 휴대용 μCE 시스템에서 PMMA 다중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통합 μCE 시스템의 개별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간 연결구조이다.
도 3d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2채널 릴레이 및 2개의 부스트 컨버터 간의 세부 회로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μCE 시스템의 디지털 이미지로, (A) 휴대용 형 μCE 시스템의 개요; (B) 시스템 내부 구성 요소의 배열; (C) 휴대전화, 마이크로 컨트롤러, 릴레이, 부스트 컨버터 2개, 레이저, 20X 대물렌즈 및 μCE 칩으로 구성된 통합 μCE 시스템의 디지털 이미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으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으로 전기영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전화;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에 공급하기 위한 승압수단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5V에 불과한 휴대전화의 출력 전압을 2 개의 독립적인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를 포함하는 승압수단으로, 주입-스태킹(Injection-stacking (IS))과 분리-검출(Separation-detection (SD)) 단계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여 실질적으로 휴대전화와 통합되어 구동되는 새로운 개념의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합 따른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시스템의 모식도 및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mCE)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미세모세관 채널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모세관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은, 교차하는 두 개의 미세모세관으로 구성되며, 미세 모세관 중 하나의 양 단부에는 샘플이 채워지는 샘플 챔버(S) 및 폐기챔버(W)가 구비된다. 즉, 전압 인가에 따라 상기 샘플 챔버(S)의 샘플은 상기 폐기챔버(W)로 이동하여 샘플 스태킹 영역인 상기 미세모세관을 채우게 된다.
상기 샘플이 채워지는 미세모세관과 교차하는 상기 또 다른 미세모세관의 양 단부에는 음극(C) 및 양극(A) 챔버가 구비되며, 상기 음극(C)과 양극 챔버(A)는 전압이 인가되는 전도성 전극과, 흐르는 샘플이 채워지는 저장소인 챔버가 결합된 형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전화 등을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 1 부스트 컨버터가 구동되어 휴대전화의 전압을 380V까지 승압되며, 주입 단계가 시작된다. 주입 단계 동안 샘플 저장챔버(S)와 폐기챔버(W) 사이에 전기장이 적용되어 PCR 앰플리콘이 S에서 W로 이동하여 샘플 저장챔버(S)와 폐기챔버 사이의 미세모세관 영역인 샘플스택영역을 채우게 된다(도 1의 E). 본 명세서에서 샘플 저장챔버(S)와 폐기챔버(W) 사이의 미세모세관 영역을 채우기 위하여 인가되는 전압은 이하 “스택 전압”으로 지칭한다.
이후 전원 공급을 음극(C) 및 양극(A) 챔버로 스위칭하여야 하는데, 이는 샘플 스택 영역에 쌓인 샘플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장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이후 음극(C) 및 양극(A)로 전환된 전원시스템을 통하여 전압을 인가, 샘플 스택 영역에 쌓인 PCR 앰플리콘을 A쪽으로 옮겨 크기에 따라 분리한다(도 1F). 본 명세서에서 샘플 분리를 위하여 음극(C) 및 양극(A)으로 인가되는 전압은 이하 “분리전압”으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전압은 마이크로 채널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NA 시퀀싱을 위한 mCE 칩은 단일 염기로 전기영동도를 얻기 위해 길고 좁은 분리 채널이 필요한데. 이 경우 좁은 채널로 염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전원 공급 장치(~1000V)가 필요하다(Woolley et al., 1996).
하지만,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휴대용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수단 즉, 부스트 컨버터를 통하여 380 V까지만 승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물질 검출을 위하여 낮은 백그라운드 기준선을 갖는 4 종류의 앰플리콘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앰플리콘의 크기 간격은 80bp이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mCE 시스템의 조작과 측정 결과 획득은 모두 휴대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수행되며, 전기영동을 위한 전압 또한 휴대전화 출력전압을 별도의 승압수단으로 원하는 측정 단계별로 독립적으로 승압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은 전압-조작-측정-통신까지 모두 휴대전화와 완벽히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를 위한 별도의 조작 토글 메뉴를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전화로 사용하였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에서 도시된 앱에서는 (A) 토글 메뉴 아이콘(), (B) "작업" 메뉴, (C) "모니터" 메뉴를 순서대로 선택하여 mCE 시스템을 조작한다. "모니터" 메뉴의 화면에서 문자 "a"를 입력하여 IS 단계의 첫 번째 부스트 컨버터를 개방하고, 두 번째 부스트 컨버터를 폐쇄한다. 첫 번째 부스트 컨버터를 폐쇄하고 SD 단계를 위해 두 번째 부스트 컨버터를 개방하는 문자 "b"; 모든 부스트 컨버터를 닫는 문자 "c". 문자 "d"는 통합 μCE 시스템의 완전 자동 작동을 동작하기 위한 메뉴이다.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구동
본 발명에 따른 μCE 시스템의 구동은 IS 및 SD 단계의 두 단계로 구성된다. CE 동작을 위해서 5V에 불과한 휴대전화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스터 컨버터(승압기)의 승압수단을 사용하여 휴대전화의 5 V를 승압, IS 및 SD 단계별로 출력전압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IS용 부스터 회로는 380V 출력 전압을 샘플 스택 전압으로, SD용 부스터 회로는 295V 출력 전압을 분리 전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압은 μCE 채널, PCR 앰플리콘 크기, 전원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수치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μCE 분석을 위해 2 개의 브래킷 래더(80bp 및 320bp)와 SAR-CoV-2(S 유전자(159bp) 및 N 유전자(241bp)) 2개의 PCR 앰플리콘을 선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μCE 칩의 분리 채널 길이는 비교적 짧기 때문에(25 mm) CE 피크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해 80bp 간격으로 앰플리콘 크기를 설계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브래킷 래더의 염기 길이와, 각 기준 염기길이는 칩 구조에 따라 CE 피크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짧은 브래킷 래더, S 유전자, N 유전자 및 긴 브래킷 래더의 크기는 각각 80 bp, 159 bp, 241 bp 및 320 bp이다. 길이 간격(80bp)이 크기 때문에 4개의 앰플리콘을 모두 스태킹 섹션(C와 A 사이의 미세모세관 영역)에 균등하게 로드하려면 전원 공급 장치와 주입 시간을 최적화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스태킹 영역에 있는 각 앰플리콘의 양이 달라서 불균형한 형광 피크가 발생하거나 가장 작거나 큰 피크가 드롭아웃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입시간을 100초로 고정하고 포텐셔미터로 295V~380V 범위의 출력전압을 선별하였다. IS 단계에서 100초 동안 380V를 사용하면 스택 섹션에서 4개의 앰플리콘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전기영동도에서 균형 잡힌 피크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D 단계의 경우 분리전압은 295V로, 이는 전기영동도에서 4개의 분리된 피크를 표시하기 위해 4개의 앰플리콘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데 최적이었으며, 이 4개의 피크는 모두 낮은 배경 신호로 잘 분리되어 220초 이내에 감지될 수 있었다.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의 광학진단
휴대전화의 파워는 블루 도트 레이저를 턴-온하는데 활용되었다. 휴대전화 조작에 따라 'b' 명령이 실행되면, 주입 단계가 완료됨과 동시에 레이저 전원이 켜지고 비디오 녹화가 시작된다.
μCE 동안 분리된 앰플리콘의 형광 신호를 감지하려면 분리 채널 하단상의 CMOS 카메라 초점을 분리 채널 하단과 일치시켜야 한다. 또한 신호 분해능을 높이려면 검정색 배경과의 형광 대비를 최대로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전화와 μCE 칩의 스탠딩 각도는 물론 카메라와 μCE 칩의 감지점 사이의 거리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μCE 칩의 하부를 다양한 각도로 기울이고 블루 도트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각도가 45도일 때 검출 지점은 가장 높은 에너지로 여기된 레이저의 수렴광을 받을 수 있었다. 기울어진 각도가 45도보다 작거나 크면 빛이 낮은 에너지로 감지 지점에서 발산하여 높은 배경 잡음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μCE 칩의 바닥을 45°로 고정하였다. 휴대전화의 서 있는 각도 또한 최적화하여 최적의 초점을 나타내는 70°각도로 결정하였다.
70도의 각도는 좋은 초점을 얻었지만 목표 지점은 70도를 제외하고 카메라 초점에서 벗어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와 μCE의 스탠딩 앵글 외에도 카메라와 μCE 칩 사이의 길이도 최적화하였다. 즉, 근거리에서는 카메라의 초점이 맞지 않는 반면, 원거리에서는 휴대전화 화면에서 감지 지점이 너무 작게 나타나 데이터 처리 중에 형광 이미지가 흐릿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카메라 초점은 115mm로, 이 길이 조건에서 형광 신호와 배경의 대비가 높았으며, 그 결과 배경 시그널이 감소하고 형광 검출 감도가 향상되었습니다. 2차 부스터 회로를 켜자마자 웹 기반 앱이 바로 실행돼 분리된 DNA 밴드의 형광 신호를 기록했다.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통한 SAR-CoV-2 분석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S 유전자(159bp)와 N 유전자(241bp)의 2개의 PCR 앰플리콘을 표적으로 하여 SAR-CoV-2 분석에 적용하였다.
전기영동에서 피크의 절대 이동 시간은 CE 작동 조건, 겔 매트릭스 조건 및 온도와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대 이동 시간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짧은 브래킷 래더(SL)(80bp) 및 긴 브래킷 래더(LL)(320bp)를 CE 분석에 사용하여 상대적 이동 시간 비율을 계산하였다.
이 경우, 브래킷 래더를 기준으로 사용하면 절대 용출 시간에 관계없이 높은 정확도로 표적 물질의 표적 피크를 원하는 피크 위치로 할당하여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SAR-CoV-2 검출을 위한 모노플렉스 및 멀티플렉스 CE 분석 결과로, (A) SL 및 LL에 대한 두 개의 피크. (B) S 유전자 및 (C) SL 및 LL을 포함하는 SAR-CoV-2의 N 유전자에 대한 피크 분석. (D) SAR-CoV-2의 S 및 N 유전자에 대한 다중 피크 분석 결과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 용출 시간이 53초와 148초인 짧은 브래킷 래더(SL)와 긴 브랫킷 래더(LL)를 분리하였다(도 2A).
이후 두 개의 브래킷 래더와 함께 S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앰플리콘(S, 159bp)을 분석하였다. 도 2b에서 SL 피크, S 유전자 피크 및 LL 피크는 각각 94초, 131초 및 204초에서 나타나는 3개의 명확한 피크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S 유전자 피크의 상대 이동 시간비는 다음 식에 의해 0.3334 ± 0.003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상대적 이동 시간비 = (표적 피크와 짧은 브래킷 래더간 이동시간차)/(2개의 브래킷 래더간 이동시간차)
마찬가지로, N 유전자의 앰플리콘 또한 두 개의 브랫킷 래더(SL, L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도 2C), SL, N 유전자 및 LL의 용출 시간은 73초, 134초 및 168초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N 유전자 피크의 상대 이동 시간비는 0.6380 ± 0.004로 계산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브래킷 래더가 있는 SAR-CoV-2의 두 유전자는 제안된 시스템에 대한 다중 μCE 분석을 위해 분리되었다.
4개의 모든 피크는 백그라운드 기준선과 명확하게 분리되었으며 2개의 표적 피크는 2개의 브래킷 래더의 중간에 위치하였다(도 2D).
도 2D의 결과는 도 2A-C와 비교하여 보면, 각 피크에 대한 절대 용출 시간이 변경되었지만, S 유전자와 N 유전자의 상대 이동 시간 비율은 0.3304 및 0.6339로 결정되며, 이 값은 하기 표 1의 모노플렉스 분석 데이터와 상당히 일치하였다.
Target Length of PCR product Relative migration time ratio
SL 80bp 0
S gene of SAR-CoV-2(S) 159bp 0.3334±0.003
N gene of SAR-CoV-2(L) 241bp 0.6380±0.004
LL 320bp 1
이동형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합 휴대용 μCE 시스템에서 휴대전화 관련 μCE 시스템의 개요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합 휴대용 μCE 시스템에서 PMMA 다중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i) 구성은 4개의 저장소를 패터닝하기 위한 2mm 두께의 PMMA층이고 (ii) 구성은 샘플 스택 μCE 채널을 패터닝하기 위한 1mm 두께의 PMMA 층이고, (iii) 구성은 하부기판인 0.175mm 두께의 PMMA 층이고, (iv) 구성은 μCE 미세모세관 채널구조이다.
도 3c는 통합 μCE 시스템의 개별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간 연결구조이다.
도 3d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2채널 릴레이 및 2개의 부스트 컨버터 간의 세부 회로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를 참고하면, 휴대전화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레이저와 2채널 릴레이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 명령을 제공하며, 릴레이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명령을 받아 μCE 칩의 주입 및 분리 단계를 제어하는 두 개의 부스트 컨버터 회로를 켜고 끄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3d를 참고하면, 빨간색과 주황색 선은 전원선을 나타내고 검은색 선은 접지선을 나타내며 녹색과 보라색 선은 신호선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μCE 시스템의 디지털 이미지로, (A) 휴대용 형 μCE 시스템의 개요; (B) 시스템 내부 구성 요소의 배열; (C) 휴대전화, 마이크로 컨트롤러, 릴레이, 부스트 컨버터 2개, 레이저, 20X 대물렌즈 및 μCE 칩으로 구성된 통합 μCE 시스템의 디지털 이미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μCE 시스템은, 별도의 고전압 공급 장치 없이, 작은 크기로 이동가능한 형태이며 휴대전화로 조작할 수 있다. 한 휴대전화는 2개의 부스트 컨버터와 여기된 레이저에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전원 스위치의 릴레이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진단 결과에 대한 형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휴대전화의 CMOS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된 형광강도 vs. 실행 시간의 데이터가 모세관 전기영동도로 변환되어 휴대전화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μCE 플랫폼은 사용자 편의성으로 다양한 현장 분자진단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2)

  1.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으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으로 전기영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전화; 및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에 공급하기 위한 승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모세관 전기영동칩은, 교차하는 두 개의 미세모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세 모세관 중 하나의 양 단부에는 샘플이 채워지는 샘플 챔버(S) 및 폐기챔버(W)가 구비되며,
    상기 미세 모세관 중 다른 하나의 양 단부에는 음극(C) 및 양극(A) 챔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모세관은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수단은,
    상기 샘플챔버(S)와 폐기챔버(W)가 구비된 미세 모세관에 샘플스택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부스트 컨버터; 및
    상기 음극(C) 및 양극(A) 챔버가 구비된 또 다른 미세 모세관에 분리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또 다른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컨버터의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샘플스택전압에 의하여 상기 샘플은 이동하여 상기 미세 모세관을 채우며,
    상기 분리전압 인가에 따라 상기 미세 모세관을 채운 샘플은 상기 또 다른 미세 모세관의 양극(A) 방향으로 이동하여 샘플내 물질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샘플 내 물질은 상기 휴대전화의 카메라를 통하여 위치가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는 2 개의 브래킷 래더의 이동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은,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과 통신 연결된 휴대전화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에서의 전기영동 작동을 위한 릴레이 온-오프를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에서의 전기영동도 형광 측정을 위한 레이저 파워를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11. 제 1항에 따른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12. 제 1항에 따른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조작하며, 전기영동도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로 기록된 휴대전화용 애플리케이션.
PCT/KR2022/015053 2021-10-06 2022-10-06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WO20230591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12 2021-10-06
KR1020210132312A KR102655106B1 (ko) 2021-10-06 2021-10-06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9103A1 true WO2023059103A1 (ko) 2023-04-13

Family

ID=8580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053 WO2023059103A1 (ko) 2021-10-06 2022-10-06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5106B1 (ko)
WO (1) WO20230591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936B1 (ko) * 2019-08-06 2021-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압 컨버터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17B1 (ko) * 2005-12-08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분자 검출용 장치, 생체분자 검출용 휴대폰 및생체분자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936B1 (ko) * 2019-08-06 2021-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압 컨버터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GUYEN VAN DAN; NGUYEN HAU VAN; BUI KHANG HOANG; SEO TAE SEOK: "Smart phone-powered capillary electrophoresis on a chip for foodborne bacteria detection",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ELSEVIER BV, NL, vol. 301, 7 September 2019 (2019-09-07), NL , XP085859652, ISSN: 0925-4005, DOI: 10.1016/j.snb.2019.127108 *
NGUYEN VAN DAN; NGUYEN HUYNH QUOC; BUI KHANG HOANG; KO YOUNG SOO; PARK BUM JUN; SEO TAE SEOK: "A handheld-type total integrated 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for SARS-CoV-2 diagnostics: Power, fluorescence detection, and data analysis by smartphone",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ELSEVIER SCIENCE LTD, UK, AMSTERDAM , NL, vol. 195, 14 September 2021 (2021-09-14), Amsterdam , NL , XP086845236, ISSN: 0956-5663, DOI: 10.1016/j.bios.2021.113632 *
QIU XIANBO; GE SHENGXIANG; GAO PENGFEI; LI KE; YANG SHUO; ZHANG SHIYIN; YE XIANGZHONG; XIA NINGSHAO; QIAN SHIZHI: "A smartphone-based point-of-care diagnosis of H1N1 with microfluidic convection PCR", MICROSYSTEM TECHNOLOGIES, BERLIN, DE, vol. 23, no. 7, 12 May 2016 (2016-05-12), DE , pages 2951 - 2956, XP036263690, ISSN: 0946-7076, DOI: 10.1007/s00542-016-2979-z *
RAJENDRAN VINOTH KUMAR, BAKTHAVATHSALAM PADMAVATHY, BERGQUIST PETER L., SUNNA ANWAR: "A portable nucleic acid detection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combined with a smartphone",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ELSEVIER SCIENCE LTD, UK, AMSTERDAM , NL, vol. 134, 1 June 2019 (2019-06-01), Amsterdam , NL , pages 68 - 75, XP093056399, ISSN: 0956-5663, DOI: 10.1016/j.bios.2019.03.05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06B1 (ko) 2024-04-04
KR20230049324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4193B1 (en) Optical detection in a multi-channel bio-separation system
US65964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lecules using an active pixel sensor
Aborn et al. A 768-lane microfabricated system for high-throughput DNA sequencing
US20030116436A1 (en) Multi-color multiplexed analysis in a bio-separation system
EP2184602A1 (en) Micro-channel chip for electrophoresis and method for electrophoresis
CN100535642C (zh) 用于微流控芯片系统的荧光检测装置
US200201554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pid color detection
US20060054504A1 (en) Two-dimensional microfluidics for protein separations and gene analysis
EP0854362A2 (en) Multi-capillary electrophoresis apparatus
CN1753452A (zh) 检测色域边界及使用其来映射色域的设备和方法
US11860094B2 (en)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WO2023059103A1 (ko) 통합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미세모세관 전기영동 칩
US6383356B1 (en) Capillary electrophoretic apparatus
TW201619601A (zh) 電泳裝置
Song et al. Optimization of DNA electrophoretic behavior in poly (vinyl pyrrolidone) sieving matrix for DNA sequencing
WO2024043547A1 (ko) 미세 유체 농축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WO2017116037A1 (ko) 다중 분자진단을 위한 칩 구조
Ma et al. Single‐molecule immunoassay and DNA diagnosis
WO2019221537A1 (ko) 미토콘드리아 dna를 내부 기준 시료로 사용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검출 방법
WO2018182082A1 (ko) 펌프가 필요 없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 기반 미소유체 칩 등전점 전기영동
Nan et al. Fast parallel detection of feline panleukopenia virus DNA by multi‐channel microchip electrophoresis with programmed step electric field strength
Zhang et al. Parallel separation of multiple samples with negative pressure sample injection on a 3‐D microfluidic array chip
Xue et al. Two‐color excitation system for fluorescence detection in DNA sequencing by capillary array electrophoresis
US7794576B2 (en) Protein resolution enhancement by using matrix containing DMSO
WO2003034044A2 (en) Multi-color multiplexed analysis in a bio-sepa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8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