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5195A1 -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5195A1
WO2023055195A1 PCT/KR2022/014811 KR2022014811W WO2023055195A1 WO 2023055195 A1 WO2023055195 A1 WO 2023055195A1 KR 2022014811 W KR2022014811 W KR 2022014811W WO 2023055195 A1 WO2023055195 A1 WO 20230551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request message
mbs
paging
dorma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48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영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551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51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finitions

  • FIG. 1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cellular system for MB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UE 10, terminal, mobile terminal, etc. may be used interchangeably for the UE, but all may be understood as the UE 10 illustrated in FIG. 1.
  • FIG. 2 even in the description of the UE 10, separat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operations of FIG. 3 and below to be described later, but in describing FIG. 2, only operation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procedure are described. Be careful.
  • the AMF 101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message through the base station 21 with the MBS function and/or the base station 22 without the MBS function can recognize that the terminals that sent the service request message are awake. . Accordingly, the AMF 101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message may send a list of awakened terminals to the corresponding SMF 107 in step 206. At this time, the reachability notification message may be used to transmit the list of awakened terminals.
  • a shared tunnel or an individual tunnel for transmitting multicast traffic between the UE 10 and the UPF 108 may be set up.
  • a shared tunnel may be set up, and when the UE 10 uses the base stations 22 without the MBS function, an individual tunnel may be set up.
  • a shared tunnel or an individual tunnel for transmitting multicast traffic between the UE 10 and the UPF 108 may be set up.
  • a shared tunnel may be set up, and when the UE 10 uses the base stations 22 without the MBS function, an individual tunnel may be set up.
  • FIG. 5 is an exemplary view according to a process of determining a paging method in a RAN as a method for waking up a terminal in a dormant state in a process of activating a multicast se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erminal accesses the base station to send a service request message as in step 505
  • the terminal uses the 5G-S-TMSI value based on the 5G-GUTI in the random access procedure (RACH procedure), through which the step As in 505a, the base station can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has woken up from the dormant state, and accordingly, the 5G-GUTI list of the dormant terminal can be updated, such as exclud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from the list of dormant terminals. .
  • a shared tunnel or an individual tunnel for transmitting multicast traffic between the UE 10 and the UPF 108 may be set up.
  • a shared tunnel may be set up, and when the UE 10 uses the base stations 22 without the MBS function, an individual tunnel may be set up.
  • FIG. 6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emory 603 may include areas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E 10 and areas for storing user data.
  • the area for storing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control data for receiving MBS, control data for transitioning to a dormant state, and control data for performing an operation based on paging 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MBS)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액세스 및 관리 기능(access and management function, AMF)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단말로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5G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들에게 동일한 데이터(data)를 전송하기 위하여 각 단말에게 유니캐스트(Unicast)로 데이터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자원의 효율성을 위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단말들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통해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트래픽이 일정시간 발생하지 않거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중지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멀티캐스트 세션을 비활성화시켜서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다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다시 활성화시키기를 원하거나,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 트래픽이 다시 발생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고, 특히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이 휴면상태(IDLE STATE)에 들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들을 깨우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상태의 단말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이 휴면 상태로 천이한 후 효율적으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이 휴면 상태인 경우 휴면 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및 관리 기능(access and management function, AMF) 장치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MBS)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장치로부터 휴면상태 단말들의 리스트 및 임시 이동단말 그룹 식별자(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를 포함하는 휴면상태 단말이 깨어나도록 요청하는 제1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상기 TMGI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별 페이징을 위한 지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휴면상태 단말들의 리스트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들을 제외하여 리스트 업(list-up)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 업된 휴면상태 단말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MBS 기능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5GS(5G system)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해 비활성화된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경우, 휴면중인 단말을 효율적으로 깨워서 원활하게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5GS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 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기존의 과정을 도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단계적인 페이징 과정을 도시 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단계적으로 페이징을 재시도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RAN에서 페이징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NF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 NF)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NF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5GS(5G system)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AF 또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받아서 NG-RAN에게 전달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5G 네트워크의 기지국인 NG-RAN(NG Radio Access Network)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공유 전송(shared delivery)과 개별 전송(individual delivery)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NG-RAN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MBS) 능력(capability)이 있는 경우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평면 기능(Multicast/Broadcast User Plane Function, MB-UPF)에서 NG-RAN까지 shared delivery를 위한 터널을 통해서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반면에 NG-RAN이 MBS capability가 없는 경우에는 shared delivery가 불가능 하므로 individual delivery로서 MB-UPF를 통해 받은 MBS 데이터를 연관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associated PDU session을 통해서 해당 UPF로부터 NG-RAN까지의 터널을 통해서 단말에게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멀티캐스트 세션이 비활성화되는 경우에는 shared delivery를 위한 터널과 individual delivery를 위한 tunnel이 비활성화 또는 해제되고, 뿐만 아니라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던 단말들도 휴면상태로 전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휴면상태의 단말들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각기 단말들에 대해서 개별 페이징(individual paging)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 많은 경우에 MBS를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에 있는 모든 기지국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는 모든 단말들에 대하여 개별 페이징을 하게 되면, 단시간에 많은 페이징 리소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다른 단말을 위한 서비스에 영향을 주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가령, 많은 단말로 개별 페이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페이징 리소스의 부족이 발생하거나 또는 개별 페이징으로 인한 간섭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MBS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경우에는 임시 이동단말 그룹 식별자(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나 MBS 세션 식별자(session ID)를 이용하는 그룹 페이징(group paging)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휴면모드의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 내에서 MBS를 지원하지 않는 기지국 내에 위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개별 페이징도 함께 시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휴면모드의 단말들을 깨우는 방법에 있어서 그룹 페이징과 개별 페이징을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G 시스템에 대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MBS를 위한 셀룰라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셀룰라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10), 기지국인 NG-RAN(NG Radio Access Network)(20),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장치(101),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사용자 평면 기능(multicast/broadcast User Plane Function, MB-UPF) 장치(111),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세션 관리 기능(multicast/broadcast-Session Management Function, MB-SMF) 장치(112),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장치(105),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장치(107), 네트워크 노츨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장치(106),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기능(multicast/broadcast service function, MBSF) 장치(122),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트래픽 기능(multicast/broadcast service traffic function, MBSTF) 장치(121), 어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장치(130), 및 통합된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장치(102),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장치(108),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장치(103), NF 저장소 기능(NF repository function, NRF) 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 5GS의 각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NF)들에 대하여 “네트워크 기능 장치” 또는 “네트워크 기능” 그 자체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NF 및/또는 NF 장치가 특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둘 이상의 NF가 하나의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NF 또는 둘 이상의 NF들은 경우에 따라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한 목적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가입자 그룹들에게 동일한 형태의 서비스 예컨대, 최대 전송률과 데이터 사용량, 보장된 최소 전송률 등을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그룹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추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 각 노드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UE(10)와 NG-RAN(20) 간에는 Uu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며, NG-RAN(20)과 AMF(101) 간에는 N2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NG-RAN(20)과 UPF(108) 간은 N3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며, NG-RAN(20)과 MB-UPF(111) 간에는 N3mb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또한 MB-UPF(111)와 MB-SMF(112) 간은 N4mb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MB-UPF(111)와 UPF(108) 간은 N19mb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SMF(107)과 UPF(108) 간은 N4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UPF(108)와 AF(130) 간은 N6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며, MBSF(122)와 MBSTF(121) 간은 Nmb2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또한 MB-UPF(111)과 MBSTF(121) 간은 Nmb9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그리고, AF(130)와 MBSTF(121) 간은 Mmb8/xMB-U/MB2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NR 표준 규격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5GS에서 MB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장치들 및 서비스들로 MBS를 위한 셀룰라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AF(130)는 예를 들어, V2X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셀룰러 사물 인터넷(Cellular Internet of Things, CIoT)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미션-크리티컬 푸시-투-토크(mission-critical push-to-talk, MCPT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TV 또는 오디오 서비스 제공자(audio service provider),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 제공자(streaming video service provider) 등이 될 수 있다.
AF(130)는 MB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MBS 서비스의 세션 관리 및 트래픽을 제어하는 NF인 MBSF(122)로 MBS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MBSF(122)는 AF(130)로부터 MBS 서비스를 요청 받아, 해당 MBS 서비스 세션을 관리하고 해당 MBS 서비스 트래픽을 제어하는 NF가 될 수 있다. 또한 MBSTF(121)는 MBSF(122)의 제어에 기반하여 MBS를 제공하는 AF로부터, 또는 MBS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로부터 또는 contents provider로부터 미디어를 받아 미디어 트래픽을 처리하는 NF로서 5GS 내 MBS 서비스 앵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5GC에서는 MBSF(122) 및 MBSTF(121)를 포함하지 않고도 MBS 시스템이 구성되어 운영될 수 있다. MBSF(122) 및 MBSTF(121)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AF(130)는 MB-SMF(112)에게 직접 또는 NEF(106)를 통해서 MB-SMF(112)에게 MBS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MBS 데이터는 MBS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로부터 또는 contents provider로부터 MB-UPF(111)를 통해 5G 네트워크로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AF(130)는 특정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AS는 AF(130)와 동일하거나 또는 AF(130)와 AS가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F(130)가 UE(10)로 MBS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요청을 MBS 서비스 제공을 위해 MBSF(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MBSF(122)는 MBS 서비스 트래픽을 UE(10)로 전송하는 5GS 내 MBS 서비스 미디어 앵커(media anchor)인 MBSTF(121)를 제어하여 MBS 서비스가 UE(1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MBS 서비스는 특정한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수신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MBSF(122)와 MBSTF(121)는 하나의 엔티티(entity) 또는 하나의 NF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BSF(122)는 NEF(106) 또는 다른 NF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5GS는 MBSF(122)와 MBSTF(121) 없이 AF(130)가 MBS 서비스 요청을 MB-SMF(112)로 직접 요청하고, MB-UPF(111)가 AS 또는 AF(130)인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로부터 미디어를 받아서 트래픽을 포워딩 할 수도 있다.
MBSF(122)와 MBSTF(121)를 통해서 MBS 서비스 세션이 관리되고 서비스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는데, 서비스 트래픽이 멀티캐스트(mult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를 통해서 UE(10)로 전달되는 경우에 MBS PDU session을 할당하여 해당 트래픽이 관리될 수 있다. 즉, MBSF(122)는 MBS 세션을 관리하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이고, MBSTF(121)는 트래픽을 다루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게이트웨이-제어 평면(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gateway-control plane, MBMS-GW-C) 서비스”라 함은, MBS PDU Session에 대한 MBS 컨텍스트(context)를 생성하고, 상기 MBS PDU session을 관리하고 상기 MBS PDU session의 트래픽을 IP multicast를 통해 기지국인 NG-RAN(20)에 전달하기 위한 제어 기능 또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MBMS-GW-C 서비스는 단일 PUD 세션(unicast PDU Session)을 관리하는 기존 SMF에 통합되어 MBS PDU 세션 제어 기능이 있는 SMF로 구성되어 되거나, 또는 별도의 NF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MBMS-GW-C서비스를 지원하고, 기존 SMF의 기능도 함께 가지는 NF를 본 개시에서는 MB-SMF(112)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MBS PDU 세션에 대한 MBS 컨텍스트에 따라 MB-UPF(111)로부터 받은 트래픽을 MBMS-GW-C 서비스에 따라 multicast/broadcast를 수행하는 NG-RAN(20)에게 IP multicast를 통해서 전달하는 서비스를 MBMS-GW-U(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gateway - user plane) 서비스라 칭하기로 한다.
MBMS-GW-U 서비스는 단일 PDU세션에 대한 처리를 하는 기존 UPF에 통합되어 MBS 트래픽을 IP multicast로 알맞은 NG-RAN(20)으로 전달하는 기능이 있는 UPF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NF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MBMS-GW-U 서비스를 지원하고, 기존 UPF의 기능도 함께 가지는 NF를 MB-UPF(111)로 칭하기로 한다.
MBMS-GW-C 서비스가 MBMS-GW-U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4mb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본 개시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기술함에 있어 MBMS-GW-C와 MBMS-GW-U에 대해서 편의상 주로 각각 SMF와 UPF라는 이름 또는 MB-SMF(112)와 MB-UPF(111)로 기술하지만, 필요에 따라 그 용도를 unicast 전용인지 multicast/broadcast 전용인지 또는 두 가지를 모두 다 지원하는지 여부를 함께 기술하여 혼동이 없도록 설명할 것이다.
MBS 트래픽은 MBMS-GW-U(또는 UPF 또는 MB-UPF)로부터 NG-RAN(20)들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IP multicast를 이용하여 NG-RAN(20)에게 전달된다. 이때, MBMS-GW-U(또는 UPF 또는 MB-UPF)와 NG-RAN(20) 간의 터널을 공유된 전달 터널(shared delivery tunnel) 또는 공유된 N3 터널(shared N3 tunnel)이라 부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shared delivery tunnel 또는 shared tunnel로 지칭할 수도 있다.
M1 터널을 설정하기 위하여 MBMS-GW-C(또는 SMF 또는 MB-SMF)는 AMF(101)를 통해서 NG-RAN(20)에게 제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2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 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기존의 과정을 도시한 일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기에 앞서, 도 2의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도 1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다만 도 1의 구성 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별도의 동작 예를 들어 후술될 도 3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나,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휴면 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종래의 프로시져에 따라 동작하는 형태로 설명함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UE에 대해서는 UE(10), 단말, 이동단말 등이 혼용될 수 있으나, 모두 도 1에 예시한 UE(10)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UE(10)에 대한 설명에서도 본 개시에 따른 별도의 동작 예를 들어 후술될 도 3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나,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프로시져에 따른 동작만을 설명함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도 2와 이하에서 후술될 도 3 내지 도 5에서는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과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구별하여 예시하였으며, 모두 NG-RAN(20)에 포함될 수 있다.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과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그 의미가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B-SMF(112)가 AF(130)(도 2에 미도시)로부터 AF(130)가 제공하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도록 요청을 받거나, MB-UPF(111)로부터 AF(130)가 제공하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에 대한 데이터가 발생했다는 알림을 받게 되면, 단계 200에서 상기 MB-SMF(112)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201에서 MB-SMF(112)는 상기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하고 있는 SMF(107)들에게 MBS 세션 컨텍스트 상태 통지(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SMF(107)는 하나의 SMF일 수도 있고, 복수의 SMF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SMF(107)가 관리할 수 있는 지역에서만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SMF가 될 수 있다. 반면에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복수의 SMF가 관리하는 영역에 넓게 분포하는 경우 복수의 SMF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복수의 SMF가 관리하는 영역에 넓게 분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계 201에서 MB-SMF(112)는 상기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하고 있는 SMF(107)들에게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TMGI를 이용할 수 있다. TMGI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SMF(107)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계 202에서 SMF(107)가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들을 휴면상태에서 깨울 수 있도록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는 AMF(101)에게 서비스 받은 UE list와 TMGI를 제1요청 메시지 예컨대,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UE list는 UE(10)에 대하여 5G 네트워크에서 유일한 가입자 영구 식별자(5G globally unique Subscription Permanent Identifier, SUPI) 값 또는 UE(10)의 5G-세계적 고유 임시 식별자(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5G-GUTI) 값들의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AMF(101)는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된 UE list 중에서 연결상태(connected state)에 있는 단말의 경우, 단계 203을 통해서 connected state임을 SMF(107)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AMF(101)는 복수의 SMF(107)들로부터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SMF로부터 수신된 UE list 중에서 connected state에 있는 단말에 대하여 각각의 SMF들로 해당 단말이 connected state임을 알릴 수 있다.
한편, AMF(101)는 204단계에서 수신된 UE list 중에서 휴면상태인 단말을 깨우기 위한 페이징(paging)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이하의 설명에서 204a단계와 204b 단계를 총칭하여 204단계로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AMF(101)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에서 페이징 영역(paging area)에 해당하는 부분의 기지국에 대해서 페이징 요청(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여기서 paging area에 해당하는 부분의 기지국은 휴면상태 단말을 포함하는 기지국이 될 수 있다.
204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MF(101)는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에는 TMGI 정보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단계 204a). 이에 따라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에서 TMGI 정보에 따라 group paging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깨어나야 함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AMF(101)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에는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 예컨대, 단말 개별 리스트(individual UE list or individual list)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단계 204a). 이때 휴면상태인 단말의 개별 리스트는 UE의 5G-GUTI 값들을 이용하여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204b단계를 통해 단말 개별 리스트를 수신한 기지국(22)은 단말의 개별 리스트에 있는 각 단말에 대해서 개별적 페이징(individual pag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말의 개별 list에 포함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깨어나야 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AMF(101)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에는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를 전송할 경우 SMF(107)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리스트중 휴면상태인 모든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하여 페이징 영역에 있는 MBS 기능이 없는 모든 기지국(22)들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순간적으로 페이징을 해야 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페이징 자원의 부족이 발생하거나 간섭의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group paging 또는 individual paging을 통해서 자신이 깨어나야 함을 인식하게 된 단말은 단계 205에서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서비스 요청 과정은 UE(10)가 페이징을 송신한 기지국(21 or 22)을 통해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1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으로부터 group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을 통해 AMF(101)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UE(10)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로부터 individual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통해 AMF(101)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을 통해 및/또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을 통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AMF(101)는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낸 단말들이 깨어났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AMF(101)는 단계 206에서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해당하는 SMF(107)에게 보낼 수 있다. 이때,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의 전송은 reachability notificat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SMF(107)는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에 대응하여 MBS 세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SMF(107)는 단계 207에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AMF(101)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AMF(101)는 단계 208에서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N2 SM 메시지를 보내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린다. 상기 N2 SM 메시지는 TMGI 값을 포함해서 상기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하는 단말들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단계 209에서 기지국(22)과 MB-UPF(108) 간에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공유 터널(shared tunnel) 또는 개별 터널(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단계적인 페이징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기에 앞서, 도 3의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도 1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에 예시된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외에 본 개시에 따른 추가적인 동작 또는 대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UE에 대해서는 UE(10), 단말, 이동단말 등이 혼용될 수 있으나, 모두 도 1에 예시한 UE(10)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MB-SMF(112)가 AF(130)(도 3에 미도시)로부터 AF(130)가 제공하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도록 요청을 받거나, MB-UPF(111)로부터 AF(130)가 제공하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에 대한 데이터가 발생했다는 알림을 받게 되면, 단계 300에서 MB-SMF(112)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301에서 MB-SMF(112)는 AF(130)가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하고 있는 SMF(107)들에게 MBS 세션 컨텍스트 상태 통지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TMGI를 이용할 수 있다. TMGI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SMF(107)가 관리할 수 있는 지역에서만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SMF가 될 수 있다. 반면에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복수의 SMF가 관리하는 영역에 넓게 분포하는 경우 복수의 SMF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복수의 SMF가 관리하는 영역에 넓게 분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마 본 발명이 하나의 SMF(107)가 관리할 수 있는 지역에서만 MBS를 제공받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단계 301에서 MB-SMF(112)는 상기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하고 있는 SMF(107)들에게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TMGI를 이용할 수 있다. TMGI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SMF(107)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wake-up or transition to active state)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TMGI는 2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하는 세션을 identification하는 정보로서 멀티캐스트 세션 ID 또는 MBS Session ID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활성화하고자 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알리기 위한 정보로서 TMGI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TMGI는 어떤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따라, 활성화하고자 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알리기 위한 정보로서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에 TMGI를 포함해서 SMF들에게 알릴 수 있다. 그러면, SMF는 서비스 하는 단말들 중에서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받는 단말들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휴면상태에 있는 단말은 깨우기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 있고, 만일 깨어있는 단말이 있는 기지국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세션을 위한 터널을 생성하는 등 멀티캐스트세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SMF(107)는 TMGI 값에 대응하는 MBS를 제공받는 단말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302에서 SMF(107)는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들이 휴면상태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는 AMF(101)에게 서비스 받은 UE list 및/또는 TMGI를 제1요청 메시지, 예컨대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들을 깨우도록 할 수 있다. 이때 UE list는 UE(10)의 SUPI 값 또는 UE(10)의 5G-GUTI 값들의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AMF(101)는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된 UE list 중에서 연결상태(connected state)에 있는 단말의 경우, 단계 303을 통해서 connected state임을 SMF(107)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AMF(101)는 복수의 SMF(107)들로부터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SMF로부터 수신된 UE list 중에서 connected state에 있는 단말에 대하여 각각의 SMF들로 해당 단말이 connected state임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단계 300 내지 303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단계 200 내지 203에서 설명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르면, 휴면상태인 단말에 대해서 AMF(101)는 304 단계에서 단말을 깨우기 위한 paging을 수행하도록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101)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에서 paging area에 해당하는 부분의 기지국들 중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에 대해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에서 paging area에 해당하는 부분의 기지국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들 중 휴면상태 단말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이 될 수 있다. 휴면상태 단말을 포함하는 기지국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도면의 복잡도를 고려하여 하나의 기지국인 것처럼 도시하였다. 하지만, 둘 이상의 기지국인 경우에도 도 3에 도시한 기지국의 동작이 다른 MBS 기능이 있고 TMGI를 포함하는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기지국들을 대표하여 하나의 기지국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04와 같이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에는 TMGI 정보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에서 TMGI 정보에 따라 group paging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은 단계 304에서 수신된 paging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TMGI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단말의 그룹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페이징 신호의 송신은 도면에 미도시)할 수 있다. 즉,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이 페이징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TMGI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이 깨어나야 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은 TMGI 정보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휴면상태인 단말의 개별 리스트에 기반하여 paging을 요청해야 한다. 즉, 휴면상태인 단말의 개별 리스트에 있는 모든 단말에 대해 paging을 수행하도록 paging area에 있는 모든 기지국에 대해서 paging을 수행해야 한다. 만일 모든 단말에 대해서 기지국이 페이징을 수행하는 경우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상황에 따라 엄청나게 많은 페이징 리소스를 소모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따르면 AMF(101)는 단계 304a와 같이 TMGI에 포함된 단말들과 개별 페이징을 수행해야 하는 단말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paging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AMF(101)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에 TMGI 정보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낼 때(단계 304), individual paging을 위한 타이머(timer)를 시작할 수 있다(단계 304a). 304단계와 304a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304단계 이후 즉시 304a단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paging request 메시지에 따라서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이 단말들로 paging하면, 자신에 대한 paging을 수신한 단말들은, 단계 305와 같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해당하는 기지국을 통해서 AMF(101)로 전송함으로써 휴면상태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기지국 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TMGI에 해당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UE(10)는 복수의 UE들을 표시하기 위해 서로 다른 2개의 수직 라인들을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둘 이상의 TMGI에 해당하는 단말들은 각각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 둘 이상의 단말을 도시하는 경우 도면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이를 간략화하기 위함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AMF(101)는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가 만료될 때까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로 paging request를 보내지 않는다. 이후 306단계에서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에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 예를 들어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일부만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MF(101)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로 상기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휴면상태인 단말의 일부 리스트는 AMF(101)가 임의로 휴면상태의 단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의 만료 시까지 individual paging을 통해서 물리적으로 깨울 수 있는 단말의 수(시스템에서 또는 운영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음)를 초과하지 않도록 휴면상태의 단말 리스트의 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306과 같이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의 만료되면, TMGI의 송신에 대한 응답이 없는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를 취합(list-up)하여 다시 단계 306a와 같이 AMF(101)는 새로 취합된 휴면상태의 단말 리스트 예를 들어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포함하여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에 대해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은 휴면상태인 단말로 개별 paging을 할 수 있다.
한편,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가 만료되었을 때 AMF(101)는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에는 TMGI 정보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다시 보낼 수도 있다(도 3에 미도시).
또한 group paging 또는 individual paging을 통해서 자신이 깨어나야 함을 인식하게 된 단말은 단계 307에서 service request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서비스 요청 과정은 UE(10)가 기지국들(21 or 22)을 통해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1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로부터 group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을 통해 AMF(101)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UE(10)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로부터 individual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통해 AMF(101)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10)는 MBS를 제공받는 단말을 대표하여 하나만 예시하였다. 따라서 individual paging에 응답하는 단말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들이 될 수 있다. 둘 이상의 단말들인 경우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자신에게 paging 신호를 전송한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을 통해서 AMF(1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단계 305에서 group paging에 응답한 단말들과 단계 307에서 individual paging에 응답하는 단말은 서로 다른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3의 도면에 group paging에 응답한 단말들과 individual paging에 응답하는 단말들을 분리하여 예시하는 경우 도면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간략화를 위해 단계 305와 단계 307이 유사하게 예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따라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을 통해 및/또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통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AMF(101)는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낸 단말들이 깨어났음을 인식하게 되고, 단계 308에서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해당하는 SMF(107)에게 보낼 수 있다. 이때,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는 reachability notificat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SMF(107)는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에 대응하여 멀티캐스트 세션을 설정하고, 단계 309에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AMF(101)에게 알릴 수 있다. 해당 단말로 제공할 MBS에 대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인지한 AMF(101)는 단계 310에서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N2 SM 메시지를 해당하는 기지국들(21, 22)로 보내서 알릴 수 있다. N2 SM 메시지는 TMGI 값을 포함해서 상기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하는 단말들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311에서 UE(10)와 UPF(108) 간에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shared tunnel 또는 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UE(10)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을 이용하는 경우 shared tunnel을 셋업할 수 있고, UE(10)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이용하는 경우 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단계적으로 페이징을 재시도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기에 앞서, 도 4의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도 1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외에 본 개시에 따른 추가적인 동작 또는 대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UE에 대해서는 UE(10), 단말, 이동단말 등이 혼용될 수 있으나, 모두 도 1에 예시한 UE(10)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300에서 306단계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다시 간략히 설명하면, MB-SMF(112)가 MBS를 제공하는 AF(130)(도 4에 미도시)로부터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도록 요청을 받거나, MB-UPF(111)로부터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에 대한 데이터가 발생했다는 알림을 받을 수 있다. MB-SMF(112)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를 위한 절차를 시작할 때, MB-SMF(112)로부터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에 TMGI를 포함하여 SMF(107)들을 통해 AMF(107)에게 전송함으로써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AMF(107)에게 알릴 수 있다. 즉, SMF(107)는 MB-SMF(112)로부터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들이 휴면상태에서 깰 수 있도록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는 AMF(101)에게 서비스 받은 UE list와 TMGI를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보내서 해당 단말들을 깨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UE list는 UE의 SUPI 값 또는 UE의 5G-GUTI 값들의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MF들은 복수인 경우를 가정한다. 하지만, 하나의 SMF인 경우도 본 개시의 설명에 기반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TMGI의 특징은 도 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UE list 중에서 휴면상태인 단말에 대해서 AMF(101)는 단말을 깨우기 위한 pag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101)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에 대해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MF(101)는 앞서 설명한 도 3에서와 같이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로는 TMGI 정보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은 TMGI 정보에 따라 group pag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은 페이징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깨어나야 함을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은 TMGI 정보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휴면상태인 단말의 개별 리스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paging을 요청해야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페이징이 갑자기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페이징 리소스 소모를 줄이기 위해 순차적으로 paging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AMF(101)는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들에 TMGI 정보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낼 때,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 AMF(101)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로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 예를 들어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일부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내던지, 혹은 상기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가 만료될 때까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에 대해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paging request 메시지를 보내게 되는 일부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는 AMF(101)가 임의로 휴면상태의 단말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의 만료 시까지 individual paging을 통해서 물리적으로 깨울 수 있는 단말의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휴면상태의 단말 리스트의 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한편, 상기 paging request 메시지에 따라서 기지국들이 단말들을 paging하면, 자신에 대한 paging을 수신한 단말들은,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통해서 휴면상태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한 단계 401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300 내지 단계 306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2에서 상기 individual paging을 위한 timer가 만료되면, 즉, 앞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306에서 타이머가 만료되고, 휴면상태 단말들의 리스트가 갱신(list update)되면, AMF(101)는 아직까지 여전히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를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AMF(101)는 단계 402에서 새로 취합된 휴면상태의 단말들에 대해서 paging 재요청을 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AMF(101)는 단계 403a 및 단계 403b와 같이 새로 취합된 휴면상태의 단말 리스트 예를 들어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포함하여 paging 영역에 있는 모든 기지국들(21, 22)에 대해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들(21, 22)은 5G-GUTI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에 대하여 paging할 수 있다. 이때, AMF(101)는 5G-GUTI 리스트를 포함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은 물론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로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aging을 통해서 자신이 깨어나야 함을 인식하게 된 단말은 단계 404a 및 단계 404b에서 service request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ervice request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10)가 기지국(21 or 22)을 통해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1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자신이 속한 기지국(21 or 22)을 통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1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도 앞서 설명한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404a단계에서 서로 다른 UE의 수직 라인을 통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들은 서로 다른 단말들임을 설명하기 위해 식별되도록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3과 동일한 관점에서 단계 404a에서 전송되는 service request 메시지들은 서로 다른 단말들이 전송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단계 404b에서도 단계 404a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계 404a의 UE 수직 라인 중 첫 번째 수직 라인과 단계 404b의 UE 수직 라인 중 첫 번째 수직 라인의 UE는 서로 다른 단말이 될 수 있다. 즉 404a의 UE 수직 라인 중 첫 번째 수직 라인에 해당하는 UE는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 내에 위치하고,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으로부터 paging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다. 반면에 404b의 UE 수직 라인 중 첫 번째 수직 라인에 해당하는 UE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 내에 위치하고,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2)으로부터 paging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다. 이는 UE의 두 번째 수직 라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도 4를 구성한 것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 내의 UE들과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 내의 UE들을 모두 하나의 도면에서 구분되도록 도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UE(10)로 대표하여 예시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404a 및 단계 404b를 통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AMF(101)는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낸 단말들이 깨어났음을 인식하게 되고, 단계 405에서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해당하는 SMF(107)에게 전송할 수 있다. SMF(107)는 단계 406에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AMF(101)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AMF(101)는 단계 407에서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N2 SM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상기 N2 SM 메시지는 TMGI 값을 포함해서 상기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하는 단말들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408에서 UE(10)와 UPF(108) 간에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shared tunnel 또는 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UE(10)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을 이용하는 경우 shared tunnel을 셋업할 수 있고, UE(10)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이용하는 경우 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으로 RAN에서 페이징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기에 앞서, 도 5의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도 1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각 구성 요소들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또는 동작 대신에 본 개시에 따른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UE에 대해서는 UE(10), 단말, 이동단말 등이 혼용될 수 있으나, 모두 도 1에 예시한 UE(10)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MB-SMF(112)가 AF(130)(도 5에 미도시)로부터 AF(130)가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하도록 요청을 받거나, MB-UPF(111)로부터 AF(130)가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에 대한 데이터가 발생했다는 알림을 받게 되면, 단계 500에서 MB-SMF(112)는 해당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MB-SMF(112)는 AF(130)가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하고 있는 SMF(107)들에게 MBS 세션 컨텍스트 상태 통지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멀티캐스트 세션의 활성화가 필요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TMGI를 이용할 수 있으며, TMGI는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TMGI의 특징은 도 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Nmbsmf_MBSSession_Context Status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SMF(107)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휴면상태의 단말을 깨우기(wake-up or transition to active state)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계 502에서 SMF(107)가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들이 휴면상태에서 깰 수 있도록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는 AMF(101)에게 서비스 받은 UE list 및/또는 TMGI를 제1요청 메시지, 예컨대,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들을 깨우도록 할 수 있다. 이때 UE list는 UE(10)의 SUPI 값 또는 UE(10)의 5G-GUTI 값들의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AMF(101)는 UE list 중에서 연결상태(connected state)에 있는 단말의 경우, 단계 503을 통해서 connected state임을 SMF(107)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UE list 중에서 휴면상태인 단말에 대해서 AMF(101)는 504a 단계 및 504b단계에서 단말을 깨우기 위한 paging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101)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에서 paging area에 해당하는 부분의 기지국에 대해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MF(101)는 단계 504a 및 단계 504b와 같이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들과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들에 대해서 각각 paging 요청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단계 504a에서 AMF(101)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에는 TMGI 정보와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 예를 들어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 504b에서 AMF(101)는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에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 예를들어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일부 포함하여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MF(101)는 각 기지국들이 paging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TMGI 정보와 상기 휴면상태인 단말의 리스트가 포함된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은 단계 504c에서 TMGI를 기반으로 group paging을 할 것인지 아니면, 5G-GUTI를 기반으로 각각 individual paging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은 단계 504c에서 휴면상태의 단말의 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은 paging요청을 받았을 때 먼저 TMGI를 기반으로 group paging을 수행하고 RAN timer를 구동시킨다. 이후 RAN timer에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휴면상태의 단말의 수가 일정 수보다 작은 경우 individual paging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aging request에 따라서 기지국들이 단말들을 paging하면, 자신에 대한 paging을 수신한 단말들은, 단계 505와 같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paging 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을 통해서 AMF(101)로 전송함으로써 휴면상태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단계 505와 같이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기지국에 액세스할 때 임의 접속 프로시져(Random access procedure, RACH procedure)에서 단말은 5G-GUTI에 기반한 5G-S-TMSI 값을 사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단계 505a와 같이 기지국은 해당 단말이 휴면상태에서 깨어났음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면상태의 단말 리스트에서 상기 해당 단말을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등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도 UE의 수직 라인을 2개 예시하였다. 이는 둘 이상의 UE들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다만, 도 5에서는 둘 이상의 UE들 중에서 하나의 UE만이 TMGI에 해당하는 UE로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업데이트된 휴면상태인 단말의 5G-GUTI 리스트에 기반하여, group paging 및 individual paging을 수행 혹은 재수행을 시도할 수 있다(도면에는 미도시).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AMF(101)는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낸 단말들이 깨어났음을 인식하게 되고, 단계 506에서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해당하는 SMF(107)에게 전송할 수 있다. SMF(107)는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 되었음을 AMF(101)에게 알릴 수 있다. 해당 단말로 제공할 MBS에 대한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인지한 AMF(101)는 단계 508에서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N2 SM 메시지를 전송하여 멀티캐스트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N2 SM 메시지는 TMGI 값을 포함해서 상기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하는 단말들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509에서 UE(10)와 UPF(108) 간에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shared tunnel 또는 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UE(10)가 MBS 기능이 있는 기지국(21)들을 이용하는 경우 shared tunnel을 셋업할 수 있고, UE(10)가 MBS 기능이 없는 기지국(22)들을 이용하는 경우 individual tunnel을 셋업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에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MF는 TMGI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들이 휴면상태에서 깰 수 있도록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는 AMF에게 서비스 받은 UE list와 TMGI를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들을 깨울 수 있다.
이때, 특정한 하나의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하는 SMF는 여러 개일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한 하나의 멀티캐스트 세션을 서비스하는 SMF들은 TMGI를 통해서 서비스 받는 단말들의 리스트가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요청을 받은 AMF는 하나의 동일한 멀티캐스트 세션에 대해서 서비스하는 SMF들로부터 모든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받아서 UE list를 취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TMGI에 대해서 어떤 SMF로부터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받으면, 대기 Timer를 시작하고 대기 Timer가 만료되는 시점까지 SMF들로부터 Namf_MT_Enable 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TMGI에 대한 각 휴면상태에 있는 UE list를 취합한다. 그리고, AMF는 이 취합된 UE list를 기반으로 paging 영역에 있는 기지국들에게 각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paging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AMF는 각 SMF로부터의 UE list를 취합하지는 않고, Namf_MT_EnableGroupReachabilit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로,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TMGI와 UE list에 대해서 각각 paging 영역에 있는 기지국들에게 각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paging을 요청할 수 있다. 단, 동일 TMGI에 대해서 반복적인 paging request가 기지국들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MF는 기지국에 paging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때, 이미 동일 TMGI에 대한 paging request가 동일한 기지국에 대해 요청된 경우에는 TMGI에 대한 추가적인 paging request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E(10)는 송수신부(601), 프로세서(602) 및 메모리(60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601)는 LTE, LTE-A, 5G 네트워크 등과 같은 셀룰라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과 모뎀 및/또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필수적인 구성만을 예시하였으며, 도 6에 예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UE(10)는 다양한 부가 장치들 예컨대,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할 수 있으며, UE(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02)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호(call)의 연결, 해제, 및 본 개시에 따라 MBS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02)는 MBS를 제공받던 중 특정한 이유로 휴면상태로 천이할 수 있고, 본 개시에 따라 페이징에 응답하여 깨어나는 동작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외에 프로세서(602)는 사용자의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603)는 UE(10)에 필요한 각종 제어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과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에는 MBS를 제공받기 위한 제어 데이터, 휴면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및 페이징 수신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NF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수신부(701), 프로세서(702), 메모리(7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필요 시에 다른 부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운영자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운영자에게 동작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NF의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서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는다.
송수신부(701)는 프로세서(702)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NF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NF가 AMF인 경우 RAN 및 SMF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NF가 SMF인 경우 AMP 및/또는 MB-SMF와 각종 데이터/신호/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701)가 RAN인 경우 UE(10)와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수신부(701)가 RAN인 경우 AMF와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각 NF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NF가 AMF인 경우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동작 중 AMF의 동작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NF가 SMF인 경우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동작 중 SMF의 동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NF가 RAN인 경우도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동작 중 RAN의 동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703)는 프로세서(702)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송수신부(701)과 연결될 수도 있다. 메모리(703)는 NF의 제어를 위한 정보와 제어 중에 발생된 정보 및 본 개시에 따라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는 전자 산업 및 정보 통신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MBS)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액세스 및 관리 기능(access and management function, AMF) 장치 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장치로부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 및 임시 이동단말 그룹 식별자(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를 포함하고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이 깨어나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상기 TMGI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개별 페이징을 위한 지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들을 제외하여 리스트 업(list-up)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업된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2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MBS 기능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는 상기 지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 업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MBS 기능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2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SMF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BS 세션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SMF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MBS)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액세스 및 관리 기능(access and management function, AMF)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장치로부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 및 임시 이동단말 그룹 식별자(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를 포함하고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이 깨어나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상기 TMGI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개별 페이징을 위한 지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들을 제외하여 리스트 업(list-up)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업에 기초하여, 상기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단말을 깨우기 위한 제2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업된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3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MBS 기능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MBS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2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MBS 기능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3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제3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SMF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BS 세션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SMF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MF 장치의 동작 방법.
  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MBS)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및 관리 기능(access and management function, AMF) 장치로부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 및 임시 이동단말 그룹 식별자(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를 포함하고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이 깨어나도록 요청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TMGI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제1 그룹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개별 페이징을 위한 지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제1 개별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들을 제외하여 리스트 업(list-up)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의 리스트는 상기 지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 업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업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단말을 깨우기 위한 제2 그룹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제2 개별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단말에게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휴면상태의 단말들 중 깨어난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AMF 장치에게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PCT/KR2022/014811 2021-09-30 2022-09-30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0551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21A KR20230046820A (ko) 2021-09-30 2021-09-30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1-0130321 2021-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5195A1 true WO2023055195A1 (ko) 2023-04-06

Family

ID=8578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4811 WO2023055195A1 (ko) 2021-09-30 2022-09-30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6820A (ko)
WO (1) WO202305519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934A1 (en) * 2019-10-18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168568A1 (en) * 2017-11-22 2021-06-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KR20210090549A (ko) * 2020-01-09 2021-07-20 주식회사 케이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8568A1 (en) * 2017-11-22 2021-06-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WO2021075934A1 (en) * 2019-10-18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90549A (ko) * 2020-01-09 2021-07-20 주식회사 케이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Architectural enhancements for 5G multicast-broadcast services; Stage 2 (Release 17)", 3GPP DRAFT; SP-210941.ZIP 23247-2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8 September 2021 (2021-09-08),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XP052052382 *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Study on architectural enhancements for 5G multicast-broadcast services (Release 17)", 3GPP TR 23.757 V17.0.0 DRFAT 23757-H00, 31 March 2021 (2021-03-31), pages 1 - 298, XP093053435, [retrieved on 202306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820A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224454A (zh) 用於mbs的無線通信的裝置和方法
WO2023080679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mproving disaster roaming service
WO2023048510A1 (en) Method and wireless network for managing aerial subscriptions information of uav
WO2023055195A1 (ko) 멀티캐스트 세션 활성화를 위해 단말을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1732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cast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753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lternative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53841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user equipment, ue
WO20240298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user equipment for multicast broadcast service multicast reception
WO2023146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multicast service after an release in multicast supporting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4025403A1 (en) Managing inactivity for multicast ue for nr-mbs in wireless network
WO2023234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information delivery for network energy saving
WO20231915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ized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9138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966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network slice access group (nsag) information
WO202301822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musim per access
WO20232774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egistration of user equipment to network slice
WO2023214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negotiation in personal iot network
WO2024005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cast broadcast service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21387A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broadcast service support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s
WO2023128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aging early indication with paging subgrouping assistance
WO2023080751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rose
WO2023018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dm update data for npn
WO202314633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ing upf event exposure service for charg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1417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720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odal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6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