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08702A1 -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08702A1
WO2023008702A1 PCT/KR2022/006704 KR2022006704W WO2023008702A1 WO 2023008702 A1 WO2023008702 A1 WO 2023008702A1 KR 2022006704 W KR2022006704 W KR 2022006704W WO 2023008702 A1 WO2023008702 A1 WO 20230087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ck
effect
video
data
digit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704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영욱
이제원
윤데이빗
Original Assignee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087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087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and a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dat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real-time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from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a screen; a data management unit for applying a preset image effect and/or a voice effect to the real-time recorded data; and a multi-track control unit for encoding the real-time recorded data to which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Description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에 기반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 및 그 방법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multi-track recording oper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cal idea of controlling a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최근, 유튜브(YouTube), 틱톡(TikTok) 및 트릴러(Triller)와 같은 영상 공유 어플(App)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demand for video sharing applications such as YouTube, TikTok, and Triller is increasing.
이러한 영상 공유 어플은 영상의 녹화 기능, 편집 기능 및 업로드 기능과 같이 영상 공유를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복수의 음성 트랙을 포함하는 멀티 트랙에 대한 효율적인 시각화, 기록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These video sharing applications provide overall functions necessary for video sharing, such as video recording, editing, and uploading, but do not provide efficient visualization, recording, and editing functions for multi-tracks including multiple audio tracks. can't
본 발명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으로 구성되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more efficiently recording a multi-track consisting of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또한, 본 발명은 멀티 트랙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applying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data corresponding to each multi-track in real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는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기설정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멀티 트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real-time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a screen, and at least one of preset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It may include a data management unit that applies to real-time recorded data and a multi-track controller that encodes the real-time recorded data to which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부는 기설정된 초기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management unit may apply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preset initial effect information to real-time recording data.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부는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management unit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applying an effect, and apply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applying the effect to the real-time recorded data.
일측에 따르면, 기설정된 영상 효과는 색상 필터 효과 및 증강현실 스티커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preset image eff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lor filter effect and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effect.
일측에 따르면, 기설정된 음성 효과는 리볼브(reverb) 효과,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 딜레이(delay) 효과, 피치 조정(picth correction) 효과 및 피치 시프트(pitch shift)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preset voice eff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verb effect, a distortion effect, a delay effect, a pitch correction effect, and a pitch shift effect. can do.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tracks displayed on a screen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일측에 따르면, 실시간 기록 데이터는 영상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real-time recorded data may include any one of video data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a video input unit and audio data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an audio input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수신부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데이터 관리부에서 기설정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멀티 트랙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digital content cre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real-time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a screen in a data receiving unit, and among preset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in a data management unit. The method may include applying at least one effect to real-time recorded data and encoding the real-time recorded data to which the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in a multi-track controller.
일측에 따르면, 기설정된 영상 효과는 색상 필터 효과 및 증강현실 스티커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preset image eff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lor filter effect and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effect.
일측에 따르면, 기설정된 음성 효과는 리볼브(reverb) 효과,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 딜레이(delay) 효과, 피치 조정(picth correction) 효과 및 피치 시프트(pitch shift)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preset voice eff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verb effect, a distortion effect, a delay effect, a pitch correction effect, and a pitch shift effect. can do.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으로 구성되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a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composed of bit tracks, video tracks, and audio tracks.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 트랙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data corresponding to each multi-track in real tim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멀티 트랙을 활성화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ctivating a multi-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비트 트랙을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bit 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트랙을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video 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트랙을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voice 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amples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and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a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used only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When a (e.g.,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a component refers to said 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m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nfigured to (or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changed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hardware or software ,"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can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Also, the term 'or' means 'inclusive or' rather than 'exclusive or'.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That is, unless otherwise stated or clear from the context, the expression 'x employs a or b' means any one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are expressed in singular or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s presented.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singular or plural expressions are selected appropriately for the presented situ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ingular or plural components, and even components expressed in plural are composed of a singular number or , Even component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n be composed of plural.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contain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100)는 입력부(110), 멀티 트랙 제어부(120), 기록 제어부(130) 및 표시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multi-track controller 120, a recording controller 130, and a display controller 140.
예를 들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100)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영상 공유 어플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of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video sharing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는 카메라와 같이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영상 입력 수단, 마이크와 같이 음성을 기록할 수 있는 음성 입력 수단 및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video input unit capable of recording an image such as a camera, an audio input unit capable of recording audio such as a microphone, and a user's touch input on a screen provided in a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a touch input means that can be.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의미하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및 음성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User input described below means a user's touch input through a touch input means, but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user's gesture input using a video input means and a user's voice using a voice input means May contain command input.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트랙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ulti-track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t least two or more multi-tracks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예를 들면, 비트 트랙은 비트 음원 데이터 및 배경 음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트 트랙은 사전에 비트 데이터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제작되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bit trac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it sound source data and background sound source data. In addition, the bit track may be downloaded from a bit data server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may be prepared in advance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또한, 영상 트랙은 영상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즉, 녹화) 중인 영상 데이터 및 기록(즉, 녹화)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트랙이고, 음성 트랙은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즉, 녹음) 중인 음성 데이터 및 기록(즉, 녹음)이 완료된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트랙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deo track is a tra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video data being recorded (ie,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and video data that has been recorded (ie, recorded), and the audio track is a track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put unit. It may be a tra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voice data that is being recorded (ie, recorded) in real time and voice data that has been recorded (ie, recorded).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140)는 멀티 트랙 제어부(120)로부터 UI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UI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최대한 가리지 않고, 멀티 트랙을 화면 상에서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 UI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rack control unit 120 and, based on the received UI control signal, efficiently displays the multi-track on the screen without cover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s much as possible. can be visualized as
또한, 표시 제어부(140)는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및 멀티 트랙과 함께, 기록 버튼, 기록 완료 버튼, 재생 버튼 및 정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화면 상에 시각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ler 140 may visualize at least one virtual button among a record button, a record completion button, a play button, and a stop button, along with an image and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screen.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제어부(120)는 멀티 트랙 중 어느 하나의 트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활성화된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즉, 실시간으로 기록 중인 영상/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one of the multi-tracks is activated by a user input, the multi-track controller 120 records real-time recording data (ie, real-time recording)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track. video/audio data) can be created.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120)는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정지 버튼(또는 정지 버튼 + 기록 완료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거나, 정지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감지되지 않으면, 최초 기록 시점(0:00) 부터 정지 버튼에 대한 입력이 감지된 시간 또는 임계 시간까지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즉, 기록이 일시정지/완료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is detected, the multi-track controller 120 detects a user input to the stop button (or stop button + recording completion button) or sets a preset threshold when a user input to the stop button is detected. If it is not detected until the time is exceeded, the recorded data from the first recording point (0:00) to the time when the input to the stop button is detected or the critical time / or voice data).
일측에 따르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은 비트 트랙의 총 재생 시간(즉, 비트 길이)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preset threshold time may be the total playback time (ie, bit length) of the bit track.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비트 트랙의 비트 길이가 3분 40초인 경우에, 최대 3분 40초까지 단일 트랙에 대한 기록(녹음/녹화)을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트랙에 대해 3분 40초를 초과하여 기록이 진행이 되면 하나의 트랙에 하나의 파일(데이터)만이 생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트랙에 대해 3분 40초 내에서 3번 나눠서 기록이 진행되면 하나의 트랙에 대해 3개의 파일(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bit length of the preset bit track is 3 minutes and 40 seconds, the multi-track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recording (recording/recording) for a single track up to 3 minutes and 40 seconds, and one track If the recording progresses for more than 3 minutes 40 seconds, only one file (data) can be created for one track, and if the recording progresses in three divisions within 3 minutes 40 seconds for one track, one Three files (data) can be created for a track.
일측에 따르면, 입력부(110), 멀티 트랙 제어부(120) 및 표시 제어부(140)는 기록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멀티 트랙 제어부(120)는 기록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되어 실시간 기록 데이터 및/또는 기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input unit 110, the multi-track controller 120, and the display controller 14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recording controller 130. That is, the multi-track controller 12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recording controller 130 to generate real-time recorded data and/or recorded data.
한편, 표시 제어부(140)는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기록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 버튼 대신 정지 버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후 정지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정지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 버튼 대신 기록 버튼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is detected, the display controller 140 may display a stop button instead of the record butto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rd button, and then, when a user input to the stop button is detected, the stop button The record button may be displayed again instead of the stop button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또한, 표시 제어부(140)는 정지 버튼과 함께 기록 완료 버튼을 시각화할 수도 있다. Also, the display controller 140 may visualize a recording completion button together with a stop button.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제어부(120) 및 표시 제어부(140)는 이후 실시예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multi-track controller 120 and the display controller 1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hereinafter.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제어부(130)는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 또는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The recording controll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real-time recorded data or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pplies at least one of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the received data. can be applied
구체적으로, 기록 제어부(130)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과정 및 편집 과정 전반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recording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overall multi-track recording process and editing process.
이를 위해, 기록 제어부(130)는 오디오 매니저(AudioManager), 오디오 기록 매니저(AudioRecordManager), 카메라 뷰 매니저(CameraViewManager), 미디어 매니저(MediaManager) 및 비디오 뷰 매니저(VideoViewManager)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cording controller 130 may include an audio manager (AudioManager), an audio recording manager (AudioRecordManager), a camera view manager (CameraViewManager), a media manager (MediaManager), and a video view manager (VideoViewManager).
구체적으로, 오디오 매니저는 음성 효과(Reverb, Delay, Distortion, Pitch Shift, Pitch correction과 같은 효과)와 함께 여러 트랙의 동시 재생을 지원하는 매니저로, 여기서 트랙은 동시에 N(여기서, N은 양의 정수)개까지 재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an audio manager is a manager that supports simultaneous playback of multiple tracks with voice effects (effects such as Reverb, Delay, Distortion, Pitch Shift, and Pitch correction), where the tracks are N simultaneously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 can be played.
오디오 매니저는 음성 효과와 함께 음성 트랙을 재생하기 위해, 직접 PCM 데이터를 로딩하여 음성 효과를 입힌 데이터를 가공해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udio manager can directly load PCM data to reproduce voice tracks with voice effects, and process and reproduce data with voice effects.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매니저는 음성 트랙에 음성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음성트랙을 초기화하는 startSession 함수, 음성 트랙을 중지하고 해당 리소스를 반환하는 stopSession 함수, 음성 재생시 실제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에서 출력되기까지 걸리는 딜레이 시간을 반환하는 getAudioDelay 함수, 선택한 음성 트랙에 음성 효과를 적용하는 setEffect 함수, 선택한 음성 트랙의 모든 트랙에 대해서 EQ를 설정하는 setEQ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udio manager includes a startSession function that initializes the audio track, a stopSession function that stops the audio track and returns the corresponding resource, to apply voice effects to the audio track, and a function that is actually output from the speaker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audio is played. You can use the getAudioDelay function that returns the delay time, the setEffect function that applies audio effects to the selected audio track, and the setEQ function that sets EQ for all tracks of the selected audio track.
또한, 오디오 매니저는 선택한 음성 트랙의 볼륨을 조절하는 setVolume 함수, 재생하고자 하는 음성 트랙 정보를 입력하는 setPlaylist 함수, 선택한 음성 트랙의 총재생 길이를 결정하는 setTotalDurationTime 함수, 음성 재생시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시간을 지정하는 setFadeTiming 함수, 음성 트랙의 시작 시간에 맞춰 음성을 재생하는 play 함수 및 현재 재생 중인 음성 트랙을 정지하는 stop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manager includes a setVolume function that adjusts the volume of the selected voice track, a setPlaylist function that inputs information about the voice track to be played, a setTotalDurationTime function that determines the total playback length of the selected voice track, and a fade-in function during voice playback. in), setFadeTiming function that specifies the fade-out time, play function that plays audio according to the start time of the audio track, and stop function that stops the currently playing audio track.
오디오 기록 매니저는 영상에 대한 기록(녹화) 없이 음성만 기록(녹음)하기 위한 매니저로, 이를 위해 오디오 기록 매니저는 현재 마이크로 들어오는 음성을 현재 적용된 음성 효과와 함께 직접 들을 수 있게 에코(모니터링) 해주는 setEchoMode 함수, 음성 트랙에서 음성 기록을 시작하는 startAudioRecord 함수 및 음성 트랙에서 음성 녹음을 중지하는 stopAudioRecord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The audio recording manager is a manager for recording (recording) only the voice without recording (recording) the video. To this end, the audio recording manager uses setEchoMode to echo (monitor) the voice currently coming into the microphone with the currently applied voice effect. You can use functions, startAudioRecord function to start recording audio in the audio track, and stopAudioRecord function to stop recording audio in the audio track.
여기서, startAudioRecord 함수는 음성 트랙이 기록 중지 후 재 기록시 기존 음성 파일과 별도로 새로운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startAudioRecord function can control to create and add a new audio file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audio file when the audio track is re-recorded after the recording is stopped.
카메라 뷰 매니저는 카메라에서 받은 화면을 쉐이더(Shader)와 함께 출력하고, 쉐이더 상태로 출력된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매니저로, 이를 위해 카메라 뷰 매니저는 카메라를 실행하고 실시간 영상정보 및 실시간 음성정보를 받아오는 startSession 함수, 카메라를 종료하고 그와 관련된 모든 동작을 종료하는 endSession 함수, 전면/후면카메라를 설정하는 setCameraDirection 함수, 카메라 플래쉬를 설정하는 setFlashLight 함수, 카메라 뷰의 쉐이더를 결정하고, 설정된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setShader 함수, 카메라의 줌을 설정하는 setZoom 함수, 현 재 카메라 뷰에 시각화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녹화하는 startVideoRecord 함수 및 녹화를 종료하는 stopVideoRecord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The camera view manager is a manager for outputting the screen received from the camera together with shaders and recording the video output in shader state. startSession function that comes in, endSession function that ends the camera and all related operations, setCameraDirection function that sets the front/rear camera, setFlashLight function that sets the camera flash, determines the shader of the camera view, and applies the set video effect. You can use the setShader function to set the zoom of the camera, the setZoom function to set the zoom of the camera, the startVideoRecord function to record real-time video and audio information visualized in the current camera view, and the stopVideoRecord function to end recording.
여기서, 멀티 트랙 중 시각화 되는 영상 트랙은 하나이나, stopVideoRecord 함수는 기록 중지 후 재 기록시, 기존 영상 파일에 이어서 녹화하지 않고, 새로운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추가할 수 있다. Here, only one video track is visualized among the multi-tracks, but the stopVideoRecord function can create and add a new video file without recording following the existing video file when re-recording after stopping recording.
미디어 매니저는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에 대응하여 기록된 영상 파일과 음성 파일로부터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매니저로, 이를 위해 미디어 매니저는 영상 파일에서 영상의 길이를 가져오는 getVideoFileDescription 함수, 여러 개의 영상 파일에서 썸네일 이미지 하나를 문자열로 반환하는 getVideoPreviewBase64 함수, 여러 개의 영상 파일에서 썸네일 이미지 여러장을 문자열 목록으로 반환하는 getVideoPreviewListBase64 함수, 음성파일에서 음성의 길이 정보를 가져오는 getAudioFileDescription 함수 및 음성파일에서 PCM 데이터를 가져오는 getAudioVisualPCMData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The media manager is a manager for getting information from video and audio files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video and audio tracks. getVideoPreviewBase64 function that returns one image as a string, getVideoPreviewListBase64 function that returns several thumbnail images from multiple video files as a string list, getAudioFileDescription function that gets audio length information from an audio file, and getAudioVisualPCMData that gets PCM data from an audio file. function can be used.
비디오 뷰 매니저는 기록된 여러 개의 영상 파일을 지정된 쉐이더와 함께 재생하기 위한 매니저로, 이를 위해 비디오 뷰 매니저는 영상 트랙의 영상 파일 목록을 저장하는 setPlaylist 함수, 영상 재생 시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 시간을 저장하는 setFadeTiming 함수, 시작 시간에 맞춰 영상을 재생하는 play 함수, 재생 중인 영상을 종료하는 stop 함수, 여러 개의 영상 파일 목록을 영상 검색에 맞춰 해당 파일 및 시간으로 설명/재생하는 seek 함수 및 비디오 뷰의 쉐이더를 설정하는 setShader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The video view manager is a manager for playing multiple recorded video files with designated shaders. To do this, the video view manager has a setPlaylist function that stores a list of video files in video tracks, fade-in and fade-out times when playing video. setFadeTiming function to save, play function to play the video according to the start time, stop function to end the video being played, seek function and video view to describe/play a list of multiple video files with the corresponding file and time according to the video search You can use the setShader function to set the shader of
여기서, 영상 트랙은 단일 트랙이나 setPlaylist 함수는 기록 중지 후 재 기록 시 기존 영상 파일에 이어서 기록하지 않고, 새로운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추가할 수 있다. 또한, setShader 함수는 영상의 LUT(Look-Up Table) 필터를 포함한 여러 영상 효과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video track is a single track, but the setPlaylist function can create and add a new video file without continuing to record the existing video file when re-recording after stopping recording. In addition, the setShader func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video effect filters including LUT (Look-Up Table) filters of video.
한편, 멀티 트랙 제어부(120)는 기록 제어부(130)를 통해 녹화/편집 처리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인코딩 매니저(EncodingManager)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ulti-track control unit 120 may encode data recorded/edited through the recording control unit 130, and may include an encoding manager (EncodingManager) for this purpose.
인코딩 매니저는 프로젝트 구성 정보(Project.json)에 저장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매니저로, 이를 위해 인코딩 매니저는 Project.json 파일을 이용하여 인코딩을 시작하는 encodeProject 함수 및 인코딩을 중단하는 stop 함수를 이용할 있으며, 여기서 Project.json 파일은 녹화 화면 진입시 생성될 수 있다. The encoding manager is a manager for generating the final video based on the proj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ject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ject.json). You can use the stop function, where the Project.json file can be created when entering the recording screen.
일측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100)를 이용한 멀티 트랙의 기록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녹화 화면이 실행된 후에 녹화 화면이 로딩되면, 카메라 뷰 매니저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오디오 매니저는 모든 트랙의 볼륨, EQ 및 음성 효과를 초기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the multi-track recording process using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100, when the recording screen is loaded after the recording screen is execu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camera view manager activates the camera, and the audio manager activates the camera. You can reset the volume, EQ and voice effects of all tracks.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영상 트랙이 추가/변경되면, 카메라 뷰 매니저는 카메라의 설정치(방향, 줌 등)을 초기화하고, 오디오 매니저는 해당 트랙의 볼륨, EQ, 음성 효과를 초기화할 수 있으며, 화면 상에서 음성 트랙이 추가/변경되면, 오디오 매니저는 해당 트랙의 볼륨, EQ, 음성 효과를 초기화할 수 있다.Next, when a video track is added/changed on the screen, the camera view manager can initialize camera settings (direction, zoom, etc.), and the audio manager can initialize the volume, EQ, and voice effect of the corresponding track. When a voice track is added/changed, the audio manager can initialize the volume, EQ, and voice effects of the corresponding track.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이 수행되면, 카메라 뷰 매니저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오디오 매니저는 해당 트랙의 볼륨, EQ, 음성 효과를 초기화할 수 있다.Next, when a video track is recorded on the screen, the camera view manager records video/audio data, and the audio manager can initialize the volume, EQ, and audio effects of the corresponding track.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음성 트랙에 대한 녹음이 수행되면, 오디오 기록 매니저에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오디오 매니저는 해당 트랙의 볼륨, EQ, 음성 효과를 초기화할 수 있다.Next, when a voice track is recorded on the screen, the audio recording manager records voice data, and the audio manager can initialize the volume, EQ, and voice effects of the corresponding track.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영상 효과가 추가/변경되면, 카메라 뷰 매니저는 영상 데이터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고, 화면 상에서 음성 효과가 추가/변경되면, 오디오 기록 매니저에서 음성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매니저에서 음성 트랙의 음성 효과를 초기화 및 변경할 수 있다. Next, when a video effect is added/changed on the screen, the camera view manager applies the video effect to the video data, and when a voice effect is added/changed on the screen, the audio recording manager monitors the audio data, and You can initialize and change the voice effects of voice tracks in the manager.
일측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100)를 이용한 멀티 트랙의 편집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편집 화면이 실행되면, 미디어 매니저는 각 트랙별 영상/음성 파일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a multi-track editing process using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100, when an editing screen is executed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the media manager can call video/audio file information for each track.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편집 화면이 로딩되면, 비디오 뷰 매니저는 영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화면 상에서 영상에 스티커/텍스트가 추가되면, 비디오 뷰 매니저는 비디오 텍스쳐를 추가할 수 있다. Next, when the edit screen is loaded on the screen, the video view manager can activate the video, and when stickers/texts are added to the video on the screen, the video view manager can add a video texture.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영상의 길이가 조절되면, 비디오 뷰 매니저는 영상 미리보기를 제공하고, 미디어 매니저는 대응되는 영상 파일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Next, when the length of the video is adjusted on the screen, the video view manager provides a preview of the video, and the media manager can load corresponding video file information.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영상의 페이드-인/페이드-아웃 효과가 적용되면, 비디오 뷰 매니저는 영상 페이드 효과의 미리보기를 제공하고, 미디어 매니저는 대응되는 영상 파일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Next, when a video fade-in/fade-out effect is applied on the screen, the video view manager provides a preview of the video fade effect, and the media manager can call corresponding video file information.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음성의 페이드-인/페이드-아웃 효과가 적용되면, 오디오 매니저는 음성 페이드 효과 미리듣기를 제공하고, 미디어 매니저는 대응되는 음성 파일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Next, when a voice fade-in/fade-out effect is applied on the screen, the audio manager provides a preview of the voice fade effect, and the media manager can load corresponding voice file information.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EQ가 적용되면, 오디오 매니저는 음성 EQ 미리듣기를 제공하고, 미디어 매니저는 대응되는 음성 파일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Next, when EQ is applied on the screen, the audio manager provides a preview of the voice EQ, and the media manager can call the corresponding voice file information.
다음으로, 화면 상에서 영상 커버 이미지 선택이 수행되면, 비디오 뷰 매니저는 대응되는 영상 미리보기를 제공하고, 미디어 매니저는 영상 미리보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Next, when a video cover image is selected on the screen, the video view manager provides a corresponding video preview, and the media manager can call information about one image selected from the video preview through a user's input.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제어부(130)는 이후 실시예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recording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hereinafter.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200)는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으로 구성되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a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composed of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또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200)는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최대한 가리지 않고, 멀티 트랙을 화면 상에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200 can efficiently visualize multi-tracks on the screen without coveri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s much as possible.
또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200)는 멀티 트랙을 가이드 트랙과 촬영 트랙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가이드 트랙과 촬영 트랙을 화면 상에 동시에 시각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200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dividing multi-tracks into a guide track and a recording track, and simultaneously visualizing the divided guide track and recording track on a screen.
이를 위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200)는 멀티 트랙 제어부(210) 및 표시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를 통해 설명하는 멀티 트랙 제어부(210) 및 표시 제어부(22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멀티 트랙 제어부 및 표시 제어부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multi-track control unit 210 and a display control unit 220. That is,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and the display controller 2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the multi-track controller and display controller of the digital contents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generate a UI control signal based on a user input.
또한, 표시 제어부(220)는 UI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의 제1 영역에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트랙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2 영역에 기록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ler 220 may display at least two multi-tracks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on a first area of the screen based on the UI control signal, and display a record button on a second area of the screen. there is.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제1 영역 및 제1 영역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controller 220 may set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disposed below the first area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멀티 트랙은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이 비트 트랙에 동기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멀티 트랙은 비트 트랙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나머지 트랙들이 동기화될 수 있다. Also, in the multi-track, at least one of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may be synchronized with a bit track. In other words, in multi-tracks, other tracks may be synchronized based on time information of bit tracks.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멀티 트랙을 기록 작업이 완료된 가이드 트랙과 기록 작업이 가능한 촬영 트랙으로 구분하고, 가이드 트랙을 제1 영역에 구비된 제1 서브영역에 표시하며, 촬영 트랙을 제1 영역에 구비된 제2 서브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divides the multi-track into a guide track on which recording is completed and a shooting track on which recording is possible, displays the guide track in a first sub area provided in the first area, and captures the track.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in the second sub-area provided in the first area may be generated.
예를 들면, 가이드 트랙에서는 선택된 트랙의 진행도를 표시하고, 촬영 트랙에서는 기록 진행 시, 영상 트랙의 경우에는 프리뷰, 음성 트랙의 경우에는 기록된 음성의 파형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gress of the selected track can be displayed in the guide track, recording progress in the recording track, preview in the case of a video track, and waveforms of recorded audio in the case of an audio track.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기록된 데이터의 길이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인 트랙과, 비트 트랙을 가이드 트랙으로 구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classify a track in which the length of recorded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critical time and a bit track among video tracks and audio tracks as guide tracks.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록 완료 신호가 수신된 트랙과, 비트 트랙을 가이드 트랙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Also,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classify a track on which a record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 bit track among video tracks and audio tracks as guide tracks.
즉, 비트 트랙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이드 트랙이 선택됨과 동시에 제1 영역에 고정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the beat track may be fixedl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t the same time as the guide track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어느 하나의 트랙이 활성화되고, 화면 상에 표시된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정지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감지되지 않거나, 화면 상에 표시된 기록 완료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활성화된 트랙을 가이드 트랙으로 구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sets a preset threshold for a user input for a stop button after any one of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is activated and a user input for a record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detected. If it is not detected until the time has elapsed or if a user input to the recording comple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detected, the activated track may be classified as a guide track.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제1 영역을 제1 서브영역과 제1 서브영역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 서브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서브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트랙을 표시하며, 제2 서브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촬영 트랙을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divides the first area into a first sub area and a second sub area disposed below the first sub area, displays at least one guide track in the first sub area, and displays the first sub area.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t least one shooting track in the 2 subregions may be generated.
일측에 따르면, 제1 서브 영역은 가이드 트랙으로 구분된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트랙 중 제1 가이드 트랙을 표시하는 제1 트랙 영역과, 제1 가이드 트랙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 아이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irst sub-region includes a first track region displaying a first guide track among N tracks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divided into guide tracks,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track. A displayed first icon area may be included.
또한, 제2 서브 영역은 촬영 트랙으로 구분된 M개(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트랙 중 제1 촬영 트랙을 표시하는 제2 트랙 영역과, 제1 촬영 트랙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아이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ub area includes a second track area displaying a first recording track among M tracks divided into recording tracks (where M is a positive integer),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ording track is displayed. A second icon area may be included.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제1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1 트랙 영역에 가이드 트랙으로 구분된 N개의 트랙 중 제2 가이드 트랙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transmits a UI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second guide track among N tracks divided into guide tracks in the first track area when a user input to the first icon area is detected. can create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제2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2 트랙 영역에 촬영 트랙으로 구분된 M개의 트랙 중 제2 촬영 트랙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UI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second recording track among M tracks divided into recording tracks in the second track area when a user input to the second icon area is detected. can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각각은 제1 내지 제N 가이드 트랙 중 제1 가이드 트랙과, 제1 내지 제M 촬영 트랙 중 제1 촬영 트랙만이 화면 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각각에 구비된 제1 아이콘 영역 및 제2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트랙을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each of the first sub-region and the second sub-region, only a first guide track among the first to N-th guide tracks and a first shooting track among the first to M-th shooting track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sequentially changed whenever a user input is detected for the first icon area and the second icon area provided in the first sub area and the second sub area, respectively.
다시 말해, 제1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제1 트랙 영역에는 제2 내지 제N 가이드 트랙이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제2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제2 트랙 영역에는 제2 내지 제M 촬영 트랙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to Nth guide tracks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first track area whenever a user input to the first icon area is detected, and the second track is displayed whenever a user input to the second icon area is sensed. In the area, the second through Mth recording track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또한, 제N 가이드 트랙이 제1 트랙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1 트랙 영역에는 다시 제1 가이드 트랙이 표시되고, 제M 촬영 트랙이 제2 트랙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2 트랙 영역에는 다시 제1 촬영 트랙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 to the first icon area is detected while the Nth guide track is displayed in the first track area, the first guide track is displayed again in the first track area, and the Mth shooting track is displayed in the second track area. In the displayed state, when a user input to the second icon area is detected, the first shooting track may be displayed again in the second track area.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N 가이드 트랙과 제1 내지 제M 촬영 트랙 각각은 생성된 시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넘버링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to Nth guide tracks and the first to Mth photographic tracks may be sequentially numbered based on the time they were created.
한편, 표시 제어부(220)는 가이드 트랙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화면의 제2 영역에 재생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controller 220 may display a play button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when a user input for the guide track is detected.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220)는 가이드 트랙이 활성화되면, 제2 영역에서 기록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 버튼 대신 재생 버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촬영 트랙이 활성화되면, 제2 영역에 기록 버튼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guide track is activat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0 may display a play button instead of a record butt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rd button in the second area, and when the recording track is activated, the record butt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can be displayed as is.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기설정된 어플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영상 트랙 및 제1 음성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과 비트 트랙을 제1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sets at least one of the video track and the first audio track and the bit track to the first region when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or a user input for executing a preset application is detected.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can be generated.
예를 들면, 기설정된 어플은 영상/음성에 대한 기록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공유 어플로,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200)의 동작에 기초하여 어플 실행 시 제1 영역에 멀티 트랙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 기록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t application is a video sharing application that provides a recording function for video/audio, displays multi-tracks in the first area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200, and displays the second application in the second area. A record button can be displayed in the area.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기설정된 어플이 실행되면, 하나의 영상 트랙 및 하나의 음성 트랙을 촬영 트랙으로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generate one video track and one audio track as a recording track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a user input.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기설정된 어플이 실행된 후, 최초에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하나의 영상 트랙 및 하나의 음성 트랙을 촬영 트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create one video track and one audio track as a recording track when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is initially detected after a preset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a user input. .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트 중 어느 하나의 비트를 선택하여 가이드 트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통해 기설정된 어플이 실행되면 기설정된 비트 트랙을 가이드 트랙으로 자동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ulti-track control unit 210 may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beats based on a user's input to generate a guide track, and guide the preset beat track when a preset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user's input. It can also be automatically created as a track.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영상 트랙 및 제1 음성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과 비트 트랙이 제1 영역에 표시되고,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음성 트랙을 제1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records a second audio track when at least one of a video track and a first audio track and a bit track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is detected.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in area 1 may be generated.
이후,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때마다 제1 영역 상에 제3 내지 제i 음성 트랙(여기서, i는 양의 정수)을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multi-track control unit 210 generates a UI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third to ith audio tracks (where i is a positive integer) on the first area whenever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is input. can create
즉, 제1 영역에는 하나의 비트 트랙, 하나의 영상 트랙 및 i개의 음성 트랙이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one bit track, one video track, and i audio tracks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일측에 따르면,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멀티 트랙 중 어느 하나의 트랙의 터치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1회 감지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UI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any one track when a user input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f any one of the multi-tracks is sensed once.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어느 하나의 트랙의 터치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2회 감지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편집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n edit menu for any one track when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a touch operation of any one track is detected twice.
또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기설정된 입력시간 동안 지속되는 어느 하나의 트랙의 터치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트랙 옵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UI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track controller 210 generates a UI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track option menu for one track when a user input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f one track lasting for a predetermined input time is detected. can
구체적으로, 멀티 트랙 제어부(210)는 멀티 트랙 중 어느 하나의 트랙이 짧게 한번 터치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을 활성화하고, 어느 하나의 트랙이 짧게 두번 터치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트랙이 길게 터치되면 트랙 옵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ulti-track control unit 210 activates any one of the multi-tracks when it is briefly touched once, and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for any one track when any one track is briefly touched twice. And, if any one track is touched for a long time, a track op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편집 메뉴는 오디오 FX 기능, 트랙 브레이크 기능, 볼륨 제어 기능 및 트랙 초기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dit menu for any one trac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dio FX function, a track break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and a track initialization function.
또한, 트랙 옵션 기능은 트랙 삭제 기능 및 트랙 복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track option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ck delete function and a track duplication function.
한편, 표시 제어부(220)는 영상 트랙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 트랙에 대응되는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이 수행되면, 화면에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되, 멀티 트랙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recording or reproduc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track is performed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video track, the display controller 220 displays video data according to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operation on the screen.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y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다시 말해, 표시 제어부(220)는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최대한 가리지 않고, 멀티 트랙을 화면 상에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play controller 220 can efficiently visualize multi-tracks on the screen without coveri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s much as possible.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200)는 이후 실시예 도 5 내지 도 9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hereinafter.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300)는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으로 구성되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a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composed of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또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300)는 멀티 트랙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300 may apply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tracks in real time.
이를 위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300)는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관리부(320) 및 멀티 트랙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을 통해 설명하는 데이터 수신부(310) 및 데이터 관리부(32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기록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 트랙 제어부(330)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멀티 트랙 제어부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300 may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310, a data management unit 320, and a multi-track control unit 330. That is, the data receiving unit 310 and the data management unit 3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may be included in the recording control unit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multi-track control unit 330 may be It may be a multi-track control unit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3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receive real-time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면, 멀티 트랙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ulti-track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tracks displayed on a screen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또한, 실시간 기록 데이터는 영상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real-time recording data may include any one of video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and audio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the audio input unit.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부(320)는 기설정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data management unit 3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apply at least one of preset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real-time recorded data.
예를 들면, 기설정된 영상 효과는 색상 필터 효과 및 증강현실(AR) 스티커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음성 효과는 리볼브(reverb) 효과,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 딜레이(delay) 효과, 피치 조정(picth correction) 효과 및 피치 시프트(pitch shift)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t video eff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lor filter effect and an augmented reality (AR) sticker effect, and the preset audio effect includes a reverb effect, a distortion effect, and a delay effect. ) effect, a pitch correction effect, and a pitch shift effect.
일측에 따르면, 화면은 멀티 트랙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하단에 배치되고 기록 버튼, 기록 완료 버튼, 재생 버튼 및 정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이 표시되는 제2 영역 및 제2 영역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1 영역에 표시된 멀티 트랙 중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creen includes a first area where multi-tracks are displayed, a second area disposed below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t least one virtual button selected from among a record button, a record completion button, a play button, and a stop button, and a second area. It may include a third area disposed at the bottom of area 2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ny one activated track among the multi-track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구체적으로, 제1 영역에 표시된 비트 트랙이 짧게 두번 터치되면, 제3 영역에는 비트 브레이크 아이콘, 볼륨 아이콘 및 해당 세션에서 작업한 편집 내용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 제3 영역에 표시된 비트 브레이크 아이콘 및 볼륨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된 아이콘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세부 편집 기능이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beat track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briefly touched twice, at least one of a beat break icon, a volume icon, and an initialization icon for initializing edits made in the corresponding session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Then, when any one of the beat break icon and the volume icon displayed on the third area is touched, a detailed editing function for applying the effect of the touched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예를 들면, 비트 브레이크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2 영역에는 기록 버튼이 표시되고, 이후 제1 영역에 표시된 트랙에 대한 스와이프 동작 및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비트 트랙에서 원하는 구간의 비트를 삭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beat break icon is touched, a record butt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n the beat of a desired section in the beat track is recorded through a swipe motion for the track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can be deleted
또한, 볼륨을 제어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2 영역에는 비트 트랙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지 바가 표시되고, 이후 게이지 바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비트 트랙에 대응되는 비트 데이터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olume control icon is touched, a gauge bar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beat track is displayed in the second region, and then the volume of beat data corresponding to the beat track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 input to the gauge bar.
제1 영역에 표시된 음성 트랙이 짧게 두번 터치되면, 제3 영역에는 오디오 FX 아이콘, 오디오 트랙 브레이크 아이콘, 볼륨 아이콘 및 초기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 제3 영역에 표시된 오디오 FX 아이콘, 오디오 트랙 브레이크 아이콘 및 볼륨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된 아이콘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세부 편집 기능이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voice track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briefly touched twice, an audio FX icon, an audio track break icon, a volume icon, and an initialization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nd then the audio FX icon and audio track break displayed in the third area When any one of the icon and the volume icon is touched, a detailed editing function for applying an effect of the touched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예를 들면, 오디오 FX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2 영역에는 오디오 FX의 세부 기능인 리볼브 조절 아이콘, 디스토션 조절 아이콘, 딜레이 조절 아이콘 및 피치 조절 아이콘이 표시되고, 이후 제2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관련 음성 데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audio FX icon is touched, a revolve control icon, a distortion control icon, a delay control icon, and a pitch control icon, which are detailed functions of the audio FX,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n the user for the icon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rough the input, the relevant voice data can be adjusted.
또한, 오디오 트랙 브레이크 아이콘을 터치하면, 제2 영역에는 기록 버튼이 표시되고, 이후 제1 영역에 표시된 트랙에 대한 스와이프 동작 및 기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음성 트랙에서 원하는 구간의 음성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dio track break icon is touched, a record butt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n audio data of a desired section in the voice track is recorded through a swipe motion for the track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a user input to the record button. can be deleted
마찬가지로, 제1 영역에 표시된 영상 트랙이 짧게 두번 터치되면, 제3 영역에는 색상 필터 아이콘 및 증강현실 스티커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 제3 영역에 표시된 색상 필터 아이콘 및 증강현실 스티커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된 아이콘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세부 편집 기능이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Similarly, if the video track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briefly touched twice, a color filter icon and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icon may be displayed in a third area, and then at least one of the color filter icon and the augmented reality sticker icon displayed in the third area. When an icon of is touched, a detailed editing function for applying an effect of the touched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일측에 따르면, 증강현실 스티커는 대응되는 컨텐츠가 연동되어 있으며, 데이터 관리부(3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증강현실 스티커 중 적어도 하나의 증강현실 스티커를 영상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반영된 증강현실 스티커가 터치되면 터치된 증강현실 스티커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augmented reality sticker is link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data management unit 320 may reflect at least one augmented reality sticker among a plurality of augmented reality stickers to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to the image data. When the reflected augmented reality sticker is touch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augmented reality stick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예를 들면, 증강현실 스티커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content corresponding to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may include image content.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부(320)는 기설정된 초기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management unit 320 may apply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preset initial effect information to real-time recording data.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부(320)는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management unit 3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applying an effect, and apply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applying an effect to real-time recorded data.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Also, the multi-track controller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encode real-time recorded data to which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400)는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으로 구성되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a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composed of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또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400)는 멀티 트랙 각각에 대응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400 can more efficiently edit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tracks.
이를 위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400)는 데이터 수신부(410), 데이터 편집부(420) 및 멀티 트랙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를 통해 설명하는 데이터 수신부(410) 및 데이터 편집부(42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기록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 트랙 제어부(430)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멀티 트랙 제어부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410)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일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400 may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410, a data editing unit 420, and a multi-track control unit 430. That is, the data receiving unit 410 and the data editing unit 4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y be included in the recording control unit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multi-track control unit 430 may be It may be a multi-track control unit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so, the data receiving unit 410 may be a dat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40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편집 모드(즉, 마스터링 모드)로 전환되면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performed whe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converted to an editing mode (ie, a mastering mode).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410)는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4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receive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면, 멀티 트랙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ulti-track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tracks displayed on a screen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일측에 따르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400)는 기록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하는 데이터 렌더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ata rendering unit that renders image data among recorded data.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편집부(420)는 이미지 스티커 효과, 텍스트 효과, 클립 조정 효과 및 페이드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data editing unit 4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apply at least one of an image sticker effect, a text effect, a clip adjustment effect, and a fade effect to recorded data.
예를 들면, 이미지 스티커 효과는 기록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인 경우, 기설정된 복수의 이미지 스티커 중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스티커를 삽입하는 효과이고, 클립 조정 효과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비디오 클립 및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클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효과이며, 페이드 효과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대한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효과를 조절하는 효과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sticker effect is an effect of inserting at least one image sticker selected through a user input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image stickers when the recorded data is video data, and the clip adjustment effect is a video clip corresponding to the video data. and an effect of adjusting the size of an audio clip corresponding to audio data, and the fade effect may be an effect of adjusting fade-in and fade-out effects for video data and audio data.
또한, 텍스트 효과는 기록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입력 효과, 영상 효과에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색상 편집 효과, 폰트 편집 효과 및 크기 편집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text eff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xt input effect for video data among recorded data, a color editing effect for text input to the video effect, a font editing effect, and a size editing effect.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편집부(420)는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editing unit 4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applying an effect, and apply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applying an effect to the recorded data.
일측에 따르면, 화면은 데이터 생성 장치를 통해 기록된 멀티 트랙 영상을 합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재생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하단에 배치되고 멀티 트랙을 통합한 통합 트랙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및 제2 영역의 하단에 배치되고 기록 버튼, 기록 완료 버튼, 재생 버튼 및 정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이 표시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creen displays information about a first region in which multi-track images recorded through a data generating device are combined and reproduced as one image, and an integrated track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region and integrating the multi-tracks.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sposed below the second area and displaying at least one virtual button selected from among a record button, a recording completion button, a play button, and a stop button.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편집 모드로 전환되면, 제3 영역에는 스티커 효과 아이콘, 텍스트 효과 아이콘, 클립 조정 아이콘, 페이드 효과 아이콘, 오디오 EQ 아이콘 및 커버 설정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영역에는 통합 영상 파일에 대응되는 제어 바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switched to the editing mode through a user input, at least one of a sticker effect icon, a text effect icon, a clip adjustment icon, a fade effect icon, an audio EQ icon, and a cover setting icon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n icon may be displayed, and a control bar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video file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예를 들면, 제3 영역에 표시된 오디오 EQ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1 영역에는 오디오 EQ를 제어하기 위한 세부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udio EQ icon displayed in the third region is touched, detailed functions for controlling the audio EQ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또한, 제3 영역에 표시된 커버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기저장된 커버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커버 이미지로 적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ver setting icon displayed in the third region is touched, a function of applying any one of a pre-stored cover image or an image included in video data as a cover image may be provided.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편집부(420)는 렌더링이 수행된 기록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ata editing unit 420 may apply at least one effect to recorded data on which rendering has been performed.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편집부(420)는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트랙과 비트 트랙간의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트랙과 비트 트랙을 동기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data editing unit 420 may calculate a delay time between at least one data track of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and a bit track, and synchronize the data track and the bit track based on the calculated delay time.
구체적으로,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400)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과정에서 저장된 프로젝트 설정 파일을 로딩하여 각 트랙을 하나의 영상 파일처럼 시각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트 트랙과 각각 기록된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간에는 지연시간이 발생되게 된다. Specifically, the 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400 visualizes each track as a single video file by loading the saved project setting file in the multi-track recording process. In this process, the bit track, each recorded video track, and audio track A lag time will occur between them.
이에 데이터 편집부(420)는 각 트랙 간 지연시간을 계산하여 하나의 영상처럼 재생할 때 문제가 되지 않도록 계산된 지연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ata editing unit 420 may calculate a delay time between tracks and compensate for the calculated delay time so as not to cause a problem when reproduced as a single video.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기록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ulti-track controller 4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encode recorded data to which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트랙(511, 513)이 표시되는 제1 영역(510)과, 제1 영역(510)의 하단에 배치되고 기록 버튼(521)이 표시되는 제2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irst area where at least two multi-tracks 511 and 513 of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are displayed ( 510), and a second area 520 disposed below the first area 510 and displaying a record button 521.
예를 들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영상 공유 어플에 따른 스튜디오 모드 화면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may be a studio mode screen according to a video sharing application.
또한, 제2 영역(52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록 버튼(521) 이외에도 기록 완료 버튼, 재생 버튼 및 정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520 may display at least one virtual button among a record completion button, a play button, and a stop button in addition to the record button 521 according to a user input.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제2 영역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1 영역에 표시된 멀티 트랙 중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530) 및 화면을 통해 기록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제4 영역(54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area and includes a third area 530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one of the activated tracks among the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and an image recorded through the screen. A fourth area 540 providing a control function for at least one of data and voice data may be included.
예를 들면, 제3 영역(530)에 표시되는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정보는 활성화된 트랙에 대한 현재 작업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기능, 활성화된 트랙의 종류 정보(비디오, 오디오) 및 활성화된 트랙에서 이전에 실행한 작업 내용을 취소하는 실행취소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any one activated track displayed in the third area 530 includes an initialization function for initializing the current work for the activated track, type information (video, audio) of the activated track, and activated track information. You can include an undo function to undo previously performed actions on the track.
또한, 제4 영역(540)에 표시되는 제어 기능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방향(전면/후면)을 전환하는 카메라 전환 기능, 기저장된 가사를 불러오는 기능, 해당 영상/음성을 모니터링하는 기능, 볼륨 조절 기능, 카메라 플래쉬의 온/오프(on/off) 기능 및 뷰티 모드의 온/오프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영역(540)의 맨 하단에 표시되는 화살표 아이콘의 터치 동작에 따라 제어 기능 항목을 제4 영역(540) 상에 전체 표시하거나 요약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functions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540 include a camera switching function for switching the camera direction (front/rear) of the user terminal, a function to load pre-stored lyrics, a function to monitor the corresponding video/voice, and a volume control function. , A camera flash on/off function and a beauty mode on/off function may be included, and a control function item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f an arrow icon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fourth area 540. In the fourth area 540, the whole display or summary display may be displayed.
한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영상 트랙에 대응되는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이 수행되면, 화면에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되,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과 함께 오버랩하여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영역에서 화면을 위/아래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영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줌-인/줌-아웃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recording operation or a playback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video track is performe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recording or playback operation on the screen, but overlaps with the first to fourth areas to display the image data.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display area to zoom in/out on an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rea when a user input of swiping up/down on the screen is detected in the image display area.
일측에 따르면, 제1 영역(510)은 멀티 트랙 중 기록 작업이 완료된 가이드 트랙(511)이 표시되는 제1 서브영역(511, 512)과, 기록 작업이 가능한 촬영 트랙이 표시되는 제2 서브영역(513, 514)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irst region 510 includes first sub-regions 511 and 512 displaying guide tracks 511 on which recording work has been completed among multi-tracks, and second sub-regions displaying recording tracks available for recording work. (513, 514).
구체적으로, 제1 서브영역(511, 512)은 가이드 트랙으로 구분된 N개의 트랙 중 제1 가이드 트랙을 표시하는 제1 트랙 영역(511)과, 제1 가이드 트랙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 아이콘 영역(51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b areas 511 and 512 include a first track area 511 displaying a first guide track among N tracks divided into guide tracks, and a first track area 511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track. 1 icon area 512 may be included.
또한, 제2 서브영역(513, 514)은 촬영 트랙으로 구분된 M개의 트랙 중 제1 촬영 트랙을 표시하는 제2 트랙 영역(513)과, 제1 촬영 트랙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아이콘 영역(51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b areas 513 and 514 include a second track area 513 displaying a first recording track among M tracks divided into recording tracks, and a second track area 513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ording track. An icon area 514 may be included.
다시 말해, 제1 서브영역(511, 512) 및 제2 서브영역(513, 514) 각각은 제1 내지 제N 가이드 트랙 중 제1 가이드 트랙과, 제1 내지 제M 촬영 트랙 중 제1 촬영 트랙만이 화면 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서브영역(511, 512) 및 제2 서브영역(513, 514) 각각에 구비된 제1 아이콘 영역(512) 및 제2 아이콘 영역(514)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트랙을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ach of the first sub-regions 511 and 512 and the second sub-regions 513 and 514 includes a first guide track among the first to N-th guide tracks and a first shooting track among the first to M-th shooting tracks. Only the first icon area 512 and the second icon area 514 provided in the first subarea 511 and 512 and the second subarea 513 and 514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respectively. Each time an input is detected, the 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sequentially changed.
즉, 제1 아이콘 영역(5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제1 트랙 영역(511)에는 제2 내지 제N 가이드 트랙이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제2 아이콘 영역(514)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제2 트랙 영역(513)에는 제2 내지 제M 촬영 트랙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whenever a user input to the first icon area 512 is detected, the second through Nth guide tracks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first track area 511, and the user input to the second icon area 514 is displayed. Whenever this is detected, the second through Mth recording track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second track area 513 .
또한, 제N 가이드 트랙이 제1 트랙 영역(511)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아이콘 영역(5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1 트랙 영역(511)에는 다시 제1 가이드 트랙이 표시되고, 제M 촬영 트랙이 제2 트랙 영역(513)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아이콘 영역(514)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2 트랙 영역(513)에는 다시 제1 촬영 트랙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input to the first icon area 512 is detected while the Nth guide track is displayed on the first track area 511, the first guide track is displayed again on the first track area 511. When a user input to the second icon area 514 is sensed while the M recording track is displayed in the second track area 513, the first recording track may be displayed again in the second track area 513.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제1 트랙 영역(511)에 표시된 가이드 트랙의 번호와, 전체 가이드 트랙의 수에 대한 정보를 '가이드 트랙 번호/전체 가이드 트랙의 수'로 표시하는 제5 영역(515)과, 제2 트랙 영역(513)에 표시된 촬영 트랙의 번호와, 전체 촬영 트랙의 수에 대한 정보를 '촬영 트랙 번호/전체 촬영 트랙의 수'로 표시하는 제6 영역(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guide track number displayed in the first track area 511 and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guide tracks as 'guide track number/total number of guide tracks' in a fifth area. 515, the number of recording tracks displayed in the second track area 513, and a sixth area 516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recording tracks as 'shooting track number/total number of recording tracks' can include more.
일측에 따르면, 제1 영역(510)은 멀티 트랙 중 어느 하나의 트랙이 짧게 한번 터치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을 활성화하고, 어느 하나의 트랙이 짧게 두번 터치되면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트랙이 길게 터치되면 트랙 옵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first area 510 activates any one track among the multi-tracks when it is briefly touched once, and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for any one track when any one track is briefly touched twice. and, if any one track is touched for a long time, a track op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예를 들면, 활성화된 트랙은 화면 상에서 별도의 색상으로 표시되어 활성화되지 않은 트랙과 구분될 수 있다.For example, an activated track may be displayed in a separate color on the screen to be distinguished from an inactive track.
또한, 어느 하나의 트랙에 대한 편집 메뉴는 오디오 FX 기능, 트랙 브레이크 기능, 볼륨 제어 기능 및 트랙 초기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it menu for any one trac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dio FX function, a track break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and a track initialization function.
또한, 트랙 옵션 기능은 트랙 삭제 기능 및 트랙 복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track option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ck delete function and a track duplication function.
구체적으로, 제1 영역에 표시된 음성 트랙이 짧게 두번 터치되면, 제3 영역에는 오디오 FX 아이콘, 오디오 트랙 브레이크 아이콘, 볼륨 아이콘 및 초기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 제3 영역에 표시된 오디오 FX 아이콘, 오디오 트랙 브레이크 아이콘 및 볼륨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된 아이콘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세부 편집 기능이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voice track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briefly touched twice, an audio FX icon, an audio track break icon, a volume icon, and an initialization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and then the audio FX icon displayed in the third area, When any one of the audio track break icon and the volume icon is touched, a detailed editing function for applying an effect of the touched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멀티 트랙을 활성화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ctivating a multi-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제1 서브영역에 배치된 가이드 트랙 중 비트 트랙을 시각화하는 예시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제2 서브영역에 배치된 촬영 트랙 중 영상 트랙이 활성화되는 예시를 도시하며, 도 6의 (c)는 제2 서브영역에 배치된 촬영 트랙 중 음성 트랙을 활성화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 6, (a) of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visualizing a beat track among guide tracks disposed in a first subregion, and (b) of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visualizing tracks disposed in a second subregion. 6(c) shows an example of activating a video track, and FIG.
도 6의 (a)에 따르면, 제1 서브영역에 배치된 비트 트랙이 활성화 되면, 기설정된 활성화 시간(일례로, 1초) 동안 활성화된 트랙 상에 트랙의 명칭 정보(610)가 표시되고, 제2 영역에는 재생 버튼(640)이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of FIG. 6, when the beat track disposed in the first subregion is activated, track name information 610 is displayed on the activated track for a predetermined activation time (eg, 1 second), A play button 640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도 6의 (b) 및 (c)에 따르면, 제2 서브영역에 배치된 촬영 트랙(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이 활성화 되면, 기설정된 활성화 시간 동안 활성화된 트랙 상에 트랙의 명칭 정보(620, 630)가 표시되고, 제2 영역에는 기록 버튼(650, 660)이 표시되며, 제3 영역에는 활성화된 트랙의 명칭 정보(670, 680)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b) and (c) of FIG. 6, when the recording tracks (video track and audio track) disposed in the second sub-region are activated, track name information 620, 630) may be displayed, record buttons 650 and 660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name information 670 and 680 of the activated track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한편, 제1 서브영역에 배치된 가이드 트랙 중 비트 트랙 이외에 다른 트랙(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이 활성화되면, 기설정된 활성화 시간 동안 활성화된 트랙 상에 트랙의 명칭 정보가 표시되고, 제2 영역에는 재생 버튼이 표시되며, 제3 영역에는 활성화된 트랙의 명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ther tracks (video track and audio track) other than the beat track are activated among the guide tracks arranged in the first sub area, track nam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activated track for a predetermined activation time, and in the second area A play button is displayed, and name information of an activated track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region.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비트 트랙을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bit 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의 (a)는 비트 트랙의 선택을 위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고, 도 7의 (b)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비트 중 어느 하나의 비트를 선택하는 예시를 도시하며, 도 7의 (c)는 선택된 비트를 비트 트랙에 적용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7(a)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a guide message for selecting a bit track, and FIG. 7(b) shows an example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bits according to a user input, (c) of FIG. 7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a selected bit to a bit track.
도 7의 (a) 내지 (c)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최초 스튜디오 모드 화면 진입 시, 비트 트랙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참조부호 710과 같이 비트 트랙 선택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to (c) of FIG. 7,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is displayed as a bit track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10, if the beat track is not set in advance when the studio mode screen is initially entered. You can display a message for selection.
예를 들면, 스튜디오 모드 화면에서는 제1 영역에 인디케이터가 중앙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후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트랙(또는 인디케이터)을 좌/우로 스와이프하거나, 트랙의 재생 또는 기록 동작이 진행되어 트랙이 움직이면, 트랙이 움직이면서 상단에 재생시간이 분/초로 표시(0:00)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udio mode screen, the indicator is fix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rea, and then the indicator moves when the user swipes the track (or indicator) left/right or the track is played or recorded and the track moves. , As the track moves, the playing time can be displayed in minutes/seconds (0:00) at the top.
다음으로, 사용자가 참조부호 710에 표시된 메시지를 선택하면, 도 7의 (b)와 같이 복수의 비트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messag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10, a plurality of bit list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b).
구체적으로, 비트 목록은 각각의 비트에 대한 비트 메이커 정보, 비트 제목, 재생 시간 및 비트의 BPM 정보와 함께, 각 비트에 대응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표시 영역(720)을 선택하면, 대응되는 비트 데이터가 재생 또는 정지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it list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area 720 corresponding to each bit, along with bit maker information, bit title, playback time, and BPM information for each bit, and the image display area 720 ), the corresponding bit data can be reproduced or stopped.
또한, 비트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비트 중 어느 하나의 비트 (730)를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 하거나 선택하면, 비트 사용 버튼(740)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swipe left or selects any one bit 730 among a plurality of bits included in the bit list, a bit use button 740 may be displayed.
일측에 따르면, 참조부호 710과 같이 비트 선택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 트랙을 활성화하여 제2 영역에 기록 버튼이 표시된 이후, 사용자가 기록 버튼을 선택하면, 비트 선택 오류를 표시한 후 비트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side, after the record butt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by the user activating the recording track while the message for bit selection is display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10, when the user selects the record button, a bit selection error is displayed. A bit list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후, 비트 사용 버튼(740)을 선택하면, 제1 서브 영역 상에 가이드 트랙으로 선택된 비트의 음향 파형이 표시되며, 이와 동시에 참조부호 750과 같이 선택된 비트 트랙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Then, when the beat use button 740 is selected, the sound waveform of the beat selected as the guide track is displayed on the first sub-region, and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t track can be display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750.
한편, 사용자가 참조부호 750을 선택하면, 화면에는 비트 변경을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비트 변경을 선택하면 선택된 비트 트랙을 통해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 내용이 모두 삭제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selects reference numeral 750, a menu for changing the bea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bit change, all work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selected beat track may be deleted.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트랙을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video 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사용자가 제2 서브영역에 표시된 촬영 트랙 중 영상 트랙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표시된 기록 버튼(810)을 터치하면,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녹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to (c) of FIG. 8 ,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activates a video track among shooting tracks displayed in the second subregion. When the record button 810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s touched, a recording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image track can be performed.
예를 들면,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 중 사용자가 기록 버튼(810)을 길게 누르면서 화면 위/아래로 스와이프하면 촬영 중 영상에 대한 줌-인/줌-아웃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long-presses the record button 810 while recording an activated video track and swipes up/down on the screen, a zoom-in/zoom-out effect may be applied to the video during recording.
또한,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 중 사용자가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위/아래로 스와이프하면 촬영 중 영상에 대한 줌-인/줌-아웃 효과가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swipes up/down on a screen area where an image is being displayed during a recording operation for an activated image track, a zoom-in/zoom-out effect may be applied to the image during recording.
다음으로,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녹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영역에는 정지 버튼(8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록 정지 버튼을 터치하면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Next, when a recording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ideo track is performed, a stop button 820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recording stop button, a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ideo track is performed. may be stopped
다음으로,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정지되면 제2 영역에는 기록 버튼과 함께 기록 완료 버튼(83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록 완료 버튼(830)을 터치하면 모든 트랙에 대한 기록이 최종 종료되어, 사용자의 단말 화면이 편집 모드(즉, 마스터링 모드)로 이동될 수 있다. Next,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ideo track is stopped, a record completion button 830 may be displayed along with a record button in the second area,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record completion button 830, all tracks are recorded. When this is finally finished, the user's terminal screen may be moved to an editing mode (ie, a mastering mode).
일측에 따르면, 활성화된 영상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정지된 후, 기록 버튼을 터치하면 기록 정지 버튼이 터치되어 기록이 정지된 시점부터 이어서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after the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ideo track is stopped, if a recording button is touched, recording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from the time when recording is stopped by touching the recording stop button.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트랙을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voice track us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사용자가 제2 서브영역에 표시된 촬영 트랙 중 음성 트랙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표시된 기록 버튼(910)을 터치하면, 활성화된 음성 트랙에 대한 기록(녹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to (c) of FIG. 9 ,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activates a voice track among photographic tracks displayed in the second subregion. When the record button 910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s touched, a recording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oice track can be performed.
일측에 따르면, 활성화된 음성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은 인디케이터 또는 활성화된 음성 트랙을 좌/우로 스와이프하여 선택된 시간부터 녹음을 진행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oice track may proceed with recording from the time selected by swiping left/right on the indicator or the activated voice track.
다음으로, 활성화된 음성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수행되면, 제2 영역에는 정지 버튼(9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록 정지 버튼을 터치하면 활성화된 음성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Next, when a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oice track is performed, a stop button 920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oice track may be stopped when the user touches the recording stop button. there is.
다음으로, 활성화된 음성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정지되면 제2 영역에는 기록 버튼과 함께 기록 완료 버튼(93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록 완료 버튼(930)을 터치하면 모든 트랙에 대한 기록이 최종 종료되어, 사용자의 단말 화면이 편집 모드(즉, 마스터링 모드)로 이동될 수 있다. Next,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oice track is stopped, the recording completion button 930 may be displayed along with the recording button in the second area. When the user touches the recording completion button 930, all tracks are recorded. When this is finally finished, the user's terminal screen may be moved to an editing mode (ie, a mastering mode).
또한, 활성화된 음성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이 정지된 후, 기록 버튼을 터치하면 기록 정지 버튼이 터치되어 기록이 정지된 시점부터 이어서 기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recording operation for the activated voice track is stopped, if the recording button is touched, recording may be continued from the time point when the recording stop button is touched and recording is stopped.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다시 말해, 도 10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에서 도 10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other words,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method using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nd FIG. 1 to FIG. Descriptions overlapping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101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수신부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in step 1010, the digital content creation method may receive real-time recording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data receiving unit.
다음으로, 102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관리부에서 기설정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Next, in step 1020, at least one of a video effect and an audio effect preset in the data management unit may be applied to the recorded data in real time.
예를 들면, 기설정된 영상 효과는 색상 필터 효과 및 증강현실 스티커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음성 효과는 리볼브(reverb) 효과,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 딜레이(delay) 효과, 피치 조정(picth correction) 효과 및 피치 시프트(pitch shift)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t video eff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lor filter effect and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effect, and the preset audio effect includes a reverb effect, a distortion effect, a delay effect, At least one of a pitch correction effect and a pitch shift effect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103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멀티 트랙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선택된 트랙에 따라 영상 트랙의 경우 영상 파일로, 음성 트랙의 경우 음성 파일로 인코딩할 수 있다. Next, in step 1030, the multi-track control unit may encode the real-time recorded data to which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into a video file in the case of a video track or into an audio file in the case of an audio track according to the selected track.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다시 말해, 도 11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에서 도 11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other words,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ontent generating method using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nd FIG. 1 to FIG. Descriptions overlapping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111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수신부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step 1110 of the digital content creation method, the data receiving unit may receive recorded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면, 멀티 트랙은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ulti-track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tracks displayed on a screen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다음으로, 112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편집부에서 스티커 효과, 텍스트 효과, 클립 조정 효과 및 페이드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기록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Next, in step 1120, at least one of a sticker effect, a text effect, a clip adjustment effect, and a fade effect may be applied to the recorded data in the digital content generating method in the data editing unit.
일측에 따르면, 112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렌더링부에서 기록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후 데이터 편집부는 랜더링이 수행된 영상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1120, the digital content gener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ndering image data among recorded data by a data rendering unit, and then the data editing unit at least renders the rendered image data. Only one effect can be applied.
일측에 따르면, 112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데이터 편집부에서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트랙과 비트 트랙간의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트랙과 비트 트랙을 동기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1120, the digital content creation method calculates a delay time between at least one data track and a bit track of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in a data editing unit, and synchronizes the data track and the bit track based on the calculated delay time. can do.
다음으로, 1130 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멀티 트랙 제어부에서 멀티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영상 파일 혹은 영상을 기록하지 않은 경우 음성파일로 인코딩할 수 있다. Next, in step 1130, in the digital content generation method, the multi-track control unit may encode all data recorded in the multi-track into a single video file or an audio file if no video is recorded.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으로 구성되는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Consequentl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erform a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composed of bit tracks, video tracks, and audio tracks.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최대한 가리지 않고, 멀티 트랙을 화면 상에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multi-tracks can be efficiently visualized on the screen without coveri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멀티 트랙을 가이드 트랙과 촬영 트랙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가이드 트랙과 촬영 트랙을 화면 상에 동시에 시각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dividing a multi-track into a guide track and a shooting track, and simultaneously visualizing the divided guide track and shooting track on a screen.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멀티 트랙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can be applied in real time to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tracks.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멀티 트랙 각각에 대응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data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tracks can be edited more efficiently.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1.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a data receiver for receiving real-time recording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the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기설정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상기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A data management unit for applying at least one of preset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the real-time recorded data;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멀티 트랙 제어부Multi-track controller for encoding real-time recorded data to which the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A digital content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2.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The data management unit,
    기설정된 초기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상기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하는 Applying the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preset initial effect information to the real-time recorded data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3.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The data management unit,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상기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하는Receiving a user input for applying an effect, and applying the at least on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applying the effect to the real-time recorded data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4.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설정된 영상 효과는, The preset video effect,
    색상 필터 효과 및 증강현실 스티커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하는 Including at least one effect of a color filter effect and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effect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5.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설정된 음성 효과는, The preset sound effect,
    리볼브(reverb) 효과,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 딜레이(delay) 효과, 피치 조정(picth correction) 효과 및 피치 시프트(pitch shift)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하는 At least one effect of a reverb effect, a distortion effect, a delay effect, a pitch correction effect, and a pitch shift effect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6.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멀티 트랙은, The multi-track,
    비트 트랙, 영상 트랙 및 음성 트랙 중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하는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among a bit track, a video track, and an audio track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7.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실시간 기록 데이터는, The real-time recorded data,
    영상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Including any one of the video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the video input means and the audio data being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the audio input means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Digital content creation device.
  8. 데이터 수신부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는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real-time recording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rack among the multi-tracks displayed on the screen, by a data receiving unit;
    데이터 관리부에서, 기설정된 영상 효과 및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상기 실시간 기록 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및 Applying, in a data management unit, at least one of preset video effects and audio effects to the real-time recorded data; and
    멀티 트랙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실시간 기록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Encoding, in a multi-track controller, real-time recording data to which the at least one effect is applied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Digital content creation method comprising a.
  9. 제8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기설정된 영상 효과는, The preset video effect,
    색상 필터 효과 및 증강현실 스티커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하는 Including at least one effect of a color filter effect and an augmented reality sticker effect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How to create digital content.
  10. 제8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기설정된 음성 효과는, The preset sound effect,
    리볼브(reverb) 효과, 디스토션(distortion) 효과, 딜레이(delay) 효과, 피치 조정(picth correction) 효과 및 피치 시프트(pitch shift)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포함하는 At least one effect of a reverb effect, a distortion effect, a delay effect, a pitch correction effect, and a pitch shift effect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How to create digital content.
PCT/KR2022/006704 2021-07-30 2022-05-11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and method therefor WO2023008702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28 2021-07-30
KR1020210100828A KR102377081B1 (en) 2021-07-30 2021-07-30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s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of multi-t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702A1 true WO2023008702A1 (en) 2023-02-02

Family

ID=8099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704 WO2023008702A1 (en) 2021-07-30 2022-05-11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7081B1 (en)
WO (1) WO20230087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81B1 (en) * 2021-07-30 2022-03-22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s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of multi-tr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265A (en) * 2017-05-26 2018-12-05 (주)거노코퍼레이션 APP system having a function of editing motion picture
KR20210092220A (en) * 2018-10-29 2021-07-23 헨리 페나 Real-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s and methods
KR102377081B1 (en) * 2021-07-30 2022-03-22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s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of multi-tra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86Y2 (en) 1988-08-10 1992-08-26
KR101721231B1 (en) 2016-02-18 2017-03-30 (주)다울디엔에스 4D media manufacture methods of MPEG-V standard base that use media platfo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265A (en) * 2017-05-26 2018-12-05 (주)거노코퍼레이션 APP system having a function of editing motion picture
KR20210092220A (en) * 2018-10-29 2021-07-23 헨리 페나 Real-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s and methods
KR102377081B1 (en) * 2021-07-30 2022-03-22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s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of multi-track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w to use Ar Sticker effect On TikTok.", 04-02-2019,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www.youtube.com/watch?v=UXJ1QpJapog> *
GARRITY KATIE: "How to Do Voice Effects on TikTok - a Step by Step Process ", DISTRACTIFY.COM, 25 July 2022 (2022-07-25), pages 1 - 4, XP093030519,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eb.archive.org/web/20210415142515/https://www.distractify.com/p/how-to-do-voice-effects-on-tiktok> [retrieved on 20230310] *
PATEL NAVIN B., PATEL HEMANT R., SHAIKH FAIYAZALAM M., RAJANI DHANJI: "Synthesis and In Vitro Antimicrobial Screening of New Azetidin-2-ones of 5-Ethyl Pyridine-2-ethanol : New Azetidin-2-ones of 5-Ethyl Pyridine-2-ethanol",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WILEY-BLACKWELL PUBLISHING, INC., US, vol. 51, no. 3, 1 May 2014 (2014-05-01), US , pages 775 - 787, XP093030516, ISSN: 0022-152X, DOI: 10.1002/jhet.173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081B1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9141A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same is recorded
WO201704378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646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WO2014069964A1 (en) Method for editing motion picture,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WO201803446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5163555A1 (en) Subtitle inserting system and method
WO2015041438A1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source device thereof
WO2018018681A1 (en) Video programme previewing method and device
WO201518286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3162200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O2014098465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producing content
WO2016175467A1 (en)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ink device and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7005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udio and video synchronization timestamp
WO2023008702A1 (en) Digital content generation device based on recording operation for multi-tracks, and method therefor
WO2014007425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20452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43081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61906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12629A1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05494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view
WO202301791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in virtual production
WO2015088196A1 (en) Subtitle editing apparatus and subtitle editing method
WO2022065641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020494A1 (en) Method of distributing plug-in for setting effect in mobile video editing tool
WO2021070976A1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496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