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44915A1 - Composition comprising euscaphic acid,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fatigue - Google Patents

Composition comprising euscaphic acid,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fatig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44915A1
WO2022244915A1 PCT/KR2021/009690 KR2021009690W WO2022244915A1 WO 2022244915 A1 WO2022244915 A1 WO 2022244915A1 KR 2021009690 W KR2021009690 W KR 2021009690W WO 2022244915 A1 WO2022244915 A1 WO 20222449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ducing
fatigue
level
activity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9690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권민선
김정은
최수영
윤원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2449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449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 euscaphic acid, and the use thereof for relieving fatigu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od composition,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nd/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lieving fatigue by means of euscaphic acid which exhibits a physical fatigue-relieving effect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tigue relieving method using a euscaphic acid, and the use of a euscaphic acid when preparing a food product or a drug for relieving fatigue.

Description

유스카픽 에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로 회복을 위한 이의 용도Compositions comprising Euscapic Acid and their use for fatigue recovery
본 발명은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로 회복을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육체적 피로 회복에 효과를 나타내는 유스카픽 에시드를 이용한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스카픽 에시드를 이용한 피로 회복 방법 및 피로 회복을 위한 식품 또는 약제의 제조 시 유스카픽 에시드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Euscaphic acid and its use for fatigue recovery, and more particularly, to fatigue recovery using Euscapic acid, which has an effect on physical fatigue recovery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A food composition,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nd/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tigue recovery method using euscapic acid and the use of euscapic acid in the preparation of food or medicine for fatigue recovery.
피로는 크게 정신적, 육체적 피로로 나누어지며, 이 중 육체적 피로는 근 수축 활동에 요구되는 힘을 충분히 발휘 또는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과로 또는 에너지 고갈로 인해 휴식에 의해 회복되지 않을 만큼 신체적 또는 정신적 능력이 감소한 상태, 작업 능률 또는 운동 수행 능력이 저하된 상태로 정의된다. 대표적인 피로의 증상은, 나른함, 지침, 기진맥진함, 졸림, 집중력 저하, 두통, 근육통 등이 알려져 있다.Fatigue is largely divided into mental and physical fatigue, and among them, physical fatigue is a state in which the force required for muscle contraction activity is not sufficiently exerted or maintained, and the physical or mental ability is not recovered by rest due to overwork or energy depletion. Decreased state, defined as reduced work efficiency or motor performance. Drowsiness, fatigue, exhaustion, drowsiness, poor concentration, headache, muscle pain and the like are known as typical symptoms of fatigue.
일반적인 육체적 피로의 원인은 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원의 결핍 또는 이용 불능, 대사 작용에 의한 활성 산소 등 피로 물질의 축적, 체내의 항상성 실조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활성 산소는 과도한 신체활동, 과한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he causes of general physical fatigue are known, such as deficiency or unavailability of energy sources stored in the body, accumulation of fatigue substances such as active oxygen due to metabolism, and loss of homeostasis in the body.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hat the generation of active oxygen is further increased by excessive physical activity, excessive mental/physical stress, and the like.
한편, 피로는 한가지의 요인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암, 결핵, 당뇨병, 간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심부전증, 빈혈 등의 신체 질환에 의해 피로를 느낄 수 있고, 심한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증, 수면장애, 사회생활 부적응 등의 정신적 문제로 피로를 느낄 수 있으며, 과도한 신체 활동으로도 피로를 느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atigue is not caused by one factor, but is often caus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For example, fatigue can be caused by physical diseases such as cancer, tuberculosis, diabetes, liver disease, hyperthyroidism, heart failure, and anemia, and mental problems such as severe stress, depression, anxiety, sleep disorders, and maladjustment to social life. You may feel fatigued, and excessive physical activity can also make you feel fatigued.
육체적 피로의 회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에너지원의 공급과 휴식, 체내 피로물질의 생성 억제 및 제거 등이 요구되나, 실제로 바쁜 현대사회에서 충분한 영양섭취와 휴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피로를 회복시켜 주거나 억제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In order to recover from physical fatigue, supply of sufficient energy sources, rest, suppression and removal of fatigue substances in the body, etc. are required, but in fact, sufficient nutrition and rest are not achieved in busy moder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terial capable of restoring or suppressing fatigue.
한편, 항피로제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3443호에는 대황 추출물을 이용한 항피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2110호에는 발효 태반 조성물을 이용한 항피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유스카픽 에시드에 대한 항피로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anti-fatigu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3443 discloses an anti-fatigue composition using a rhubarb extra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2110 discloses a fermented placenta composition. An anti-fatigue composition using is disclosed, but nothing is known about the anti-fatigue efficacy of euscapic acid.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유스카픽 에시드가 항염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활성을 통해 혈액, 근육 및 간에서의 항피로 활성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조절하여 우수한 피로 회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is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Euscapic Acid has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activity and exhibits excellent fatigue recovery effect by regulating various indicators related to anti-fatigue activity in blood, muscle and liver through this activity,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스카픽 에시드를 이용한 피로 회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recovering from fatigue using yuscapic aci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스카픽 에시드를 이용한 피로 회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from fatigue using eucalyptus aci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로 회복을 위한 식품 또는 약제의 제조 시 유스카픽 에시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use of euscapic acid in the preparation of food or medicine for fatigue recover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Euscaphic acid or a food chem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추가로, 본 발명은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y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은 또한,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lieving fatigue comprising euscap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vering from fatigu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yuscap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추가로, 본 발명은 피로 회복을 위한 식품 또는 약제의 제조 시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e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in the preparation of a food or medicine for fatigue recover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로는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igue may include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육체적 피로는 근육 피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 fatigue may include muscle fatigu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로 회복 효과는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igue recovery effect may be induced by an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eff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exhibit any one or more of the effects of a) to h):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a)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blood, reducing blood urea nitrogen (BUN), reduc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nd reducing alanine aminotransferse (ALT) activity;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h)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본 발명에 따른 유스카픽 에시드를 이용한 피로 회복용 조성물은 항염 또는 항산화 활성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피로 효과를 나타내어, 육체 내 누적된 피로를 회복하는데 효과적이다: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The fatigue recovery composition using euscapic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anti-fatigue effect through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activity, more specifically, through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 to h), thereby reducing accumulated in the body It i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fatigue: a)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DH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blood, BUN (Blood urea nitrogen) reduction,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y reduction, and ALT (alanine aminotransferse) activity reduction more than one effect; 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도 1은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근육세포주 (C2C1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염증성 마커 TNF-α 및 IL-6의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levels of the inflammatory markers TNF-α and IL-6 according to treatment with euscapic acid in a muscle cell line (C2C12) induced by oxidative stress.
도 2는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근육세포주 (C2C1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항산화 마커 SOD, 카탈라아제 및 MDA의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levels of antioxidant markers SOD, catalase and MDA according to euscapic acid treatment in the muscle cell line (C2C12) induced by oxidative stress.
도 3은 강제 수영 부하 실험 (Forced swimming test, FST)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부동 시간 변화를 4주간 매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immobility tim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y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test (FST) measured weekly for 4 weeks.
도 4는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혈액 내 피로 개선 관련 지표인 LDH, BUN, AST 및 ALT의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levels of LDH, BUN, AST and ALT, which are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improvement in bloo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test.
도 5는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근육 내 글리코겐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intramuscular glycogen cont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test.
도 6은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혈액 내 피로 개선 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글루코스, 젖산, 코르티솔 및 CK의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levels of glucose, lactic acid, cortisol, and CK, which are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improvement in the bloo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test.
도 7은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혈액 내 피로 개선 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유리지방산 및 SOD의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levels of free fatty acids and SOD, which are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improvement in bloo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test.
도 8은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혈액 내 MDA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8 shows the concentration of MDA in bloo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the forced swimming load experiment.
도 9는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간 내 항산화 효소 SOD 및 카탈라아제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 enzymes SOD and catalase in the liver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experiment.
도 10은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근육 내 SOD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activities of intramuscular SOD and citrate synthas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test.
도 11은 강제 수영 부하 실험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투여에 따른 혈액 내 염증 관련 지표 TNF-α, IL-6, IL-1β 및 IL-4의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showing the levels of inflammation-related indicators TNF-α, IL-6, IL-1β, and IL-4 in blood following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in a forced swimming load exper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육체적 피로의 회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에너지원의 공급과 휴식, 체내 피로물질의 생성 억제 및 제거 등이 요구되나, 실제로 바쁜 현대사회에서 충분한 영양섭취와 휴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피로를 효과적으로 회복시켜 주거나 억제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cover from physical fatigue, supply of sufficient energy sources, rest, suppression and removal of fatigue substances in the body, etc. are required. However,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can effectively restore or suppress fatigue.
본 발명자들은 유스카픽 에시드가 항염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활성을 통해 혈액, 근육 및 간에서의 항피로 활성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조절하여 우수한 피로 회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Euscapic Acid has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activity, and exhibits excellent fatigue recovery effect by regulating various indicators related to anti-fatigue activity in blood, muscle and liver through this activity. did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 및/또는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e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thereof and/or a health func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e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thereof. It relates to food compositions.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펜타사이클릭 트리테르페노이드 (pentacyclic triterpenoid) 화합물로, 송아지 DNA 중합효소 α (pol α) 및 래트 DNA 중합효소 β (pol β)를 억제하는 DNA 중합효소 억제제로 알려져 있으며 (Murakami C, et al. Novel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Rubus sieboldii, triterpenoids, are inhibitors of mammalian DNA polymerases. Biochim Biophys Acta. 2002 Apr 29;1596(2):193-200.), 세포자멸자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ai W, et al. Euscaphic acid inhibits proliferation and promotes apoptosi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s by silencing the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Am J Transl Res. 2019 Apr 15;11(4):2090-2098.).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uscaphic acid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is a pentacyclic triterpenoid compound having the structure of the following [Formula 1], calf DNA polymerase α ( It is known as a DNA polymerase inhibitor that inhibits pol α) and rat DNA polymerase β (pol β) (Murakami C, et al. Novel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Rubus sieboldii, triterpenoids, are inhibitors of mammalian DNA polymerases. Biochim Biophys Acta. 2002 Apr 29;1596(2):193-200.), known to induce apoptosis (Dai W, et al. Euscaphic acid inhibits proliferation and promotes apoptosi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s by silencing the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Am J Transl Res. 2019 Apr 15;11(4):2090-2098.).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CTKR2021009690-appb-img-000001
Figure PCTKR2021009690-appb-img-000001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는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스카픽 에시드를 포함하는 물질 또는 천연의 공급원 등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uscapic acid may be artificially synthesized or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it can be used after being purified from a substance containing euscapic acid or from a natural source.
용어 "정제된"의 사용으로, 유스카픽 에시드가 천연 유래로 얻을 수 있는 형태에 비하여 농축된 형태임을 의미하고자 한다. 정제된 성분들은 이들의 천연원으로부터 농축시키거나, 또는 화학적 합성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By use of the term "purified" it is intended to mean that the euscapic acid is in a concentrated form compared to the form obtainable from nature. Purified components can be concentrated from their natural sources or obtained through chemical synthesis.
본 발명에서 용어 "피로"는 육체적, 정신적 능력이 감소되는 현상으로 병리적 피로, 생리적인 피로, 심리적인 피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병리적 피로란 피로 감각이 생겨 간 기능 저하, 당뇨병, 위장병 등 질병까지 발생하는 것을 이른다. 둘째, 혈액 속에 피로물질이 축적됨에 따라 피로감을 느끼는 것을 생리적인 피로라 말한다. 생리적인 피로는 근육 내 포스포크레아티닌 부족, 근육 내 프로톤 축적 (산성 혈증), 근육 내 글루카곤 부족, 혈액 내 글루코스 농도 감소, 혈장 내 특정 아미노산 비율의 증가 등으로 발생되어, 말초, 중추 피로에 영향을 주게 된다. 셋째, 심리적 피로는 감정적인 갈등, 불안 또는 권태감에서 생기는 피로를 말하며 지속적인 활동이나 자극 후 세포, 근육, 기관의 힘이나 민감도가 일시적으로 감퇴된 상태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atigue" is a phenomenon in which physical and mental abilities are reduced, and can be classified into pathological fatigue, physiological fatigue, and psychological fatigue. First, pathological fatigue refers to the occurrence of diseases such as liver function deterioration, diabetes, and gastrointestinal diseases due to a sense of fatigue. Second, the feeling of fatigue as fatigue substances accumulate in the blood is called physiological fatigue. Physiological fatigue is caused by a lack of phosphocreatinine in muscles, accumulation of protons in muscles (acidemia), lack of glucagon in muscles, a decrease i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an increase in the ratio of certain amino acids in plasma, which affects peripheral and central fatigue. will give Third, psychological fatigue refers to fatigue caused by emotional conflict, anxiety, or boredom,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 or sensitivity of cells, muscles, or organs is temporarily reduced after continuous activity or stimulation.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로는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육체적 피로는 과도한 신체 활동으로 인한 근육 피로를 포함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근육 피로는 피로감, 지구력 저하, 순발력 저하 또는 무기력 증세로 나타날 수 있다.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igue includes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Specifically, physical fatigu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uscle fatigue due to excessive physical activity. Muscle fatigue can manifest as symptoms of fatigue, decreased endurance, reduced speed, or lethargy.
만성피로는 암, 결핵, 당뇨병, 간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심부전증, 빈혈 등의 신체 질환으로 인한 피로, 심한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증, 수면장애, 사회생활 부적응 등의 정신적 문제로 인한 피로 또는 과도한 신체 활동으로 인한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증상을 말한다. Chronic fatigue is fatigue caused by physical diseases such as cancer, tuberculosis, diabetes, liver disease, hyperthyroidism, heart failure, and anemia, fatigue caused by mental problems such as severe stress, depression, anxiety, sleep disorders, and maladjustment to social life, or excessive physical fatigue. Fatigue caused by activity lasting for more than 6 months or recurring symptoms.
피로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에는 사이토카인, MDA 및 SOD가 있다. 사이토카인은 표적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이적인 수용체에 결합하고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궁극적으로 효소 활성이나 유전자의 발현을 변화시킨다. 운동으로 인하여 증가된 사이토카인은 근조직의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Key indicators of the degree of fatigue include cytokines, MDA and SOD. Cytokines bind to specific receptors present in the cell membrane of target cells and activat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ultimately changing enzyme activity or gene expression. Increased cytokines due to exercise can cause an inflammatory response in muscle tissue.
MDA (Malondialdehyde)는 조직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산화물로서, 근육조직에서 근육 내 피로감을 야기시키는 주요 물질인 산화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운동 시 운동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하여 MDA가 증가할 경우, 근 조직에 손상을 준다. MDA (Malondialdehyde) is an oxide used as an indicator of tissue damage, and is an indicator for evaluating oxidative stress, a major substance that causes intramuscular fatigue in muscle tissue. When MDA increases due to exercise-related stress, muscle tissue is damaged.
이외에도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항산화 효소로 SOD (Superoxide dismutase)가 있다. SOD는 슈퍼옥사이드 (superoxide)를 산소와 과산화수소 (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항산화효소로서, 혈중에서 자유 라디칼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하며, 혈중 SOD의 증가는 근육 내 피로감을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re is SOD (Superoxide dismutase) as an antioxidant enzyme related to oxidative stress. SOD is an antioxidant enzyme that catalyzes the reaction of converting superoxide into oxygen and hydrogen peroxide (H 2 O 2 ), and serves to remove free radicals from the blood. An increase in SOD in the blood reduces muscle fatigue .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근육세포주에서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된 TNF-α 및 IL-6의 수준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도 1),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된 SOD 및 카탈라아제의 수준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도 2),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된 MDA 수준은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도 2),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근육 내 피로 개선 효과가 유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refore,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according to Euscapic acid treatment were confirmed in muscle cell lines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evels of TNF-α and IL-6, which were increased by oxidative str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euscapic acid (FIG. 1), and The levels of SOD and catal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eatment with euscapic acid (FIG. 2), and the level of MDA increased by oxidative str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euscapic acid (FIG. 2), resulting i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intramuscular fatigue can be induced through activity.
LDH (Lactate dehydrogenase)는 근육활동 중 무산소해당계에 의해 ATP를 생산하고 피루브산과 젖산의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주로 적혈구와 근세포에 존재한다. 심한 육체 운동에 의한 직접적인 세포막의 파괴 및 조직 괴사, 스트레스에 의한 지질 과산화 등에 의하여 세포막 투과성이 증가되면 세포질 내의 LDH가 혈중으로 방출되며, 혈중 LDH 농도는 근 손상의 지표로 사용된다.LDH (Lactate dehydrogenase) is an enzyme that produces ATP by anaerobic glycolysis during muscle activity and catalyzes the reaction between pyruvic acid and lactic acid. It is mainly present in red blood cells and muscle cells. When cell membrane permeability increases due to direct cell membrane destruction and tissue necrosis caused by severe physical exercise and lipid peroxidation caused by stress, LDH in the cytoplasm is released into the blood, and the blood LDH concentration is used as an index of muscle damage.
혈청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transferase)는 SGOT(Serum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와 SGPT(Serum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로도 불린다. 특히, ALT는 장기간의 격렬한 운동 시에 글루탐산 (glutamate)의 아미노산을 피루브산으로 전이시키는 반응을 촉진시켜 단백질이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작용하기도 한다고 한다. AST 및 ALT는 거의 모든 장기에 존재하는데, 특히 AST는 심장, 간장, 골격근에 많이 존재하며, ALT는 간장에 많이 존재한다. 이들은 혈청에 각각 소량 존재하지만 과도한 운동 후에는 AST값의 상승을 가져오고 식사에 의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transferase (ALT) are also called serum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SGOT) and serum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SGPT). In particular, ALT is said to act so that protein can be used as energy by accelerating the reaction of converting amino acids from glutamate into pyruvic acid during long-term intense exercise. AST and ALT are present in almost all organs, in particular, AST is present in a large amount in the heart, liver, and skeletal muscle, and ALT is present in a large amount in the liver. Although they are present in small amounts in serum, they are known to cause an increase in AST values after excessive exercise and to be hardly affected by diet.
글리코겐은 간 (2~10%)과 골격근(1~2%)에 저장이 되며, 간에서 저장된 글리코겐은 주로 뇌, 신장 등에서 사용된다. 고강도의 지구력 운동 시 간의 글리코겐이 고갈되면 근육 글리코겐이 에너지원이 된다. 따라서, 에너지원인 글리코겐의 증가는 피로도 감소를 의미한다.Glycogen is stored in the liver (2-10%) and skeletal muscle (1-2%), and the glycogen stored in the liver is mainly used in the brain and kidneys. When liver glycogen is depleted during high-intensity endurance exercise, muscle glycogen becomes an energy source. Therefore, an increase in glycogen, an energy source, means a decrease in fatigu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부동 시간 변화 및 다양한 항피로 관련 지표들을 측정함으로써 이의 항피로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의 부동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혈액 내 LDH, BUN, AST 및 ALT의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도 4), 근육 내 글리코겐 수준 또한 증가시켜 (도 5), 항피로 효과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fatigue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immobility time change and various anti-fatigue related indicators according to the Euspicic acid treatment through a mouse forced swimming load test. As shown in FIG. 3 ,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obility time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LDH, BUN, AST and ALT in the blood (FIG. 4 ), muscle glycogen levels were also increased (FIG. 5), confirming that the anti-fatigue effect was induced.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감소하고, 산소의 부족으로 인하여 당 생성과정이 저해될 경우 젖산 생성의 증가로 인하여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Whe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decreases and the sugar production process is inhibited due to lack of oxygen, fatigue is felt due to the increase in lactic acid production.
또한, 강도 높은 운동 시 근육에 대한 산소 공급이 해당과정 속도에 따라 갈 수 없을 때, 피루브산이 젖산탈수소효소에 의해 젖산으로 생성된다. 젖산의 축적으로 인체가 산성화되면 세포 내 pH를 떨어뜨리게 되고, 이로 인해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어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및 근육의 이완과 수축 활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하는 경우, 세포 내 pH가 낮아짐에 따라 근육통이 초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xygen supply to muscles cannot keep up with the speed of glycolysis during intense exercise, pyruvic acid is produced as lactic acid by lactate dehydrogenase. When the human body is acidifi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lactic acid, the intracellular pH drops, which reduces the activity of enzymes, suppressing mitochondrial oxidation and muscle relaxation and contraction activities. Therefore, in the case of sudden intense exercise, muscle pain may be caused as the intracellular pH is lowered.
코르티솔은 급성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콩팥의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분비된 코르티솔은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자극에 맞서 신체가 대항할 수 있도록 신체 각 기관으로 더 많은 혈액을 방출시키는데, 그 결과로 맥박과 호흡이 증가한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지나치게 받거나, 만성 스트레스 상태가 되면 코르티솔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고 식욕이 증가하게 되어, 지방의 축적을 야기하며, 또한, 혈압이 올라 고혈압의 위험이 증가하고, 근조직의 손상도 야기될 수 있다. 불안과 초조 상태가 이어질 수 있고, 체중의 증가와 함께 만성피로, 만성두통,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Cortisol is a stress hormone secreted by the adrenal cortex of the kidney in response to acute stress, and serves to supply the body with the necessary energy to fight stress. The secreted cortisol releases more blood to each organ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can fight against external stimuli such as stress, resulting in increased pulse and respiration. However, excessive stress or chronic stress increases the blood level of cortisol and increases appetite, causing fat accumulation, and also increases blood pressure, increasin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and may cause damage to muscle tissue. have. Anxiety and nervousness may follow, and symptoms such as chronic fatigue, chronic headaches, and insomnia may appear along with weight gain.
CK (Creatine kinase)는 근육에 많이 존재하는 효소로서, 근육 세포들이 손상될 때 혈액으로 방출되어 에너지원을 생성한다. CK는 운동 중인 근육 세포에서 무산소 시 ATP 재합성 (ADP와 포스포크레아티닌으로부터 ATP를 합성하는 과정)에 필요한 크레아티닌 포스페이트를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CK (Creatine kinase) is an enzyme that is present in many muscles and is released into the blood when muscle cells are damaged to create an energy source. CK plays a role in synthesizing creatinine phosphate necessary for ATP resynthesis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TP from ADP and phosphocreatinine) during anoxia in muscle cells during exercis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혈액 내 피로 개선 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글루코스, 젖산, 코르티솔 및 CK의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이 감소되고, 젖산, 코르티솔 및 CK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부하로 증가된 혈액 내 글루코스, 젖산 및 CK 수준이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감소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근육 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제 수영과 같은 육체적 스트레스로 급격하게 증가된 혈액 내 코르티솔 수준은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만성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levels of glucose, lactic acid, cortisol, and CK, which are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blood fatigue improvement according to Euscapic acid treatment, were confirmed through a forced swimming load test in mice. As a result, as confirmed in FIG. 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had reduced blood glucose levels and significantly reduced lactic acid, cortisol, and CK levels. appeared to be The levels of glucose, lactic acid, and CK in the blood, which were increased due to exercise load, decreased with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confirming that Euscapic Acid i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muscle fatigue. In addition, the level of cortisol in the blood, which was rapidly increased by physical stress such as forced swimm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which confirmed that euscapic acid was effective for chronic fatigue recovery.
혈중 유리 지방산 (Free fatty acid, FFA)은 운동 시 지방 세포로부터 혈중으로 방출되어 순환하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리 지방산은 당 생산과정을 거쳐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이는 피로도를 감소시킨다.Free fatty acid (FFA) in the blood is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energy source that is released from fat cells into the blood during exercise and circulates. Thus, free fatty acids are used as an energy source through the sugar production process, which reduces fatigu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혈액 내 피로 개선 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FFA 및 SOD의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혈액 내 FFA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SOD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부하로 감소된 혈액 내 FFA 및 SOD 수준이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증가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근육 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levels of FFA and SOD, which are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improvement in the blood, according to Euscapic Acid treatment were confirmed through a forced swimming load test in mic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 the FFA level in the blood and the SOD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The levels of FFA and SOD in the blood, which were reduced by exercise load, increas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confirming that euscapic acid i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muscle fatigue.
전술한 바와 같이, MDA는 운동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하여 근 조직에 손상을 준다.As described above, MDA increases due to exercise-related stress and damages muscle tissu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혈액 내 MDA의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혈액 내 MDA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부하로 증가된 혈액 내 MDA 수준이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감소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근육 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in the level of MDA in blood according to the treatment with euscapic acid was confirmed through a mouse forced swimming load test. As a result, as confirmed in FIG. 8 , the MDA level in bloo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The level of MDA in blood, which was increased due to exercise load, decreased with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confirming that Yuscapic Acid wa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muscle fatigue.
CAT (Catalase)는 SOD에 의해 전환된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변화시키는 효소로서, 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산화수소의 축적을 억제하여 피로 개선에 도움을 준다.CAT (Catalase) is an enzyme that converts hydrogen peroxide converted by SOD into water and oxygen, and helps improve fatigue by suppressing the accumulation of hydrogen peroxide generated during exercis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간 내 SOD 및 CAT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간 내 SOD 및 CA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부하로 감소된 간 내 SOD 및 CAT 활성이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근육 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D and CAT activities in the liver according to Euspicic acid treatment were confirmed through a mouse forced swimming load test.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 SOD and CAT activities 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SOD and CAT activities in the liver, which were reduced by exercise loa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confirming that euscapic acid i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muscle fatigue.
CS (Citrate synthase)는 TCA 회로의 첫 단계에서 시트르산 합성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TCA 회로가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는다면 혈중 젖산이 축적되어 피로 유발의 원인이 된다.CS (Citrate synthase)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synthesis of citric acid in the first step of the TCA cycle. If the TCA cycle does not run smoothly, lactic acid in the blood accumulates and causes fatigu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근육 내 SOD 활성 및 CS 농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근육 내 SOD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CS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부하로 감소된 근육 내 SOD 활성 및 CS 농도가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증가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근육 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intramuscular SOD activity and CS concentration according to Euscapic acid treatment were confirmed through a mouse forced swimming load test. As a result, as confirmed in FIG. 10 , it was found that the intramuscular SOD activity and CS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The intramuscular SOD activity and CS concentration, which were reduced due to exercise load, increas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confirming that euscapic acid i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muscle fatigue.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으로 인하여 증가된 사이토카인은 근조직의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creased cytokines due to exercise can cause an inflammatory response in muscle tissu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른 혈액 내 TNF-α, IL-6, IL-1β 및 IL-4의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한 군은 혈액 내 TNF-α 수준이 감소하고, IL-6, IL-1β 및 IL-4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부하로 증가된 혈액 내 TNF-α, IL-6, IL-1β 및 IL-4의 수준이 유스카픽 에시드의 투여에 따라 감소하였는바, 이를 통해 유스카픽 에시드가 피로 회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levels of TNF-α, IL-6, IL-1β, and IL-4 in the blood according to Euscapic acid treatment were confirmed through a mouse forced swimming load test. As a result, as confirmed in FIG. 1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had a decrease in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IL-6, IL-1β, and IL-4.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The levels of TNF-α, IL-6, IL-1β, and IL-4 in the blood increased by exercise load decreased with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confirming that Yuscapic Acid is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fatigue. .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식품"및 "건강 식품"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unctional health food" includes both the meanings of "functional food" and "health food".
본 발명에서, 용어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in addition to nutrient supply, medicine and medical effects processed to efficiently exhibit bioregulatory functions. Means high food.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는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상기 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health food" refers to food having active health maintenance or effects compared to general food, and health supplement food refers to food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health. In some cases, the terms functional food, health food, and health supplement food are used interchangeably.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 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such a functional food, processed food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can be prepared by using the composition to modify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livestock products, or aquatic products.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 보조제 (nutritional supplement) 및 식품 첨가제 (food additives)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인간을 취식 대상으로 한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prepared in the form of nutritional supplements and food additives, and is intended for consumption by humans.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유스카픽 에시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Food compositions of this type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General foo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everages (including alcoholic beverages), fruits and their processed foods (e.g. canned fruits, bottled products, jams, marmalades, etc.), fish, meat and their processed foods (e.g. ham, sausages) Corned beef, etc.), breads and noodles (e.g. udon, buckwheat noodles, ramen, spagate, macaroni, etc.), fruit juice, various drinks, cookies, taffy, dairy products (e.g. butter, cheese, etc.), edible vegetable oil, margarine , Vegetable protein, retort food, frozen food, and various seasonings (eg, soybean paste, soy sauce, sauce, etc.) can be prepared by adding eucalyptic acid.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유스카픽 에시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nutritional supple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but can be prepared by adding euscapic acid to capsules, tablets, pills, and the like.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를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는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health functional foods are not limited thereto, but, for example, the uscapic acid is prepared in the form of tea, juice, and drink, and can be consumed by liquefying, granulating, encapsulating, and powdering so that it can be consumed (health drink). can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yuscapic acid in the form of a food additive, it may be prepared and used in the form of a powder or concentrate. In addition, the yuscapic acid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by mixing it with a known active ingredient known to be effective in recovering from fatigue.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Whe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ealth beverage composition,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component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The afor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and cyclodextrins; It may be a sugar alcohol such as xylitol, sorbitol, or erythritol.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may be used.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스카픽 에시드는 피로 예방 또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상기 예방 또는 회복 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양으로,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uscapic acid may be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recovering from fatigue, in an amount effective to obtain the preventive or restorative effect, for example, 0.01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is preferred,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salts of pectic acid, alginic acid, salts of alginic acid,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and preservatives. , glycerin, alcohol or carbonation agen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health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ruit flesh for producing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or vegetable beverage.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euscap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유스카픽 에시드에 대한 설명 및 이의 효과는 제1 측면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euscapic acid, and its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aspect,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원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산염이 바람직하다.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one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usually cause an allergic reaction or similar reaction when administered to humans, and the salt inclu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ree acid (free acid). acid) is preferred.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메탄술폰산을 포함한다.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또는 붕산을 포함한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may be an acid addition salt formed using an organic acid or an inorganic acid, and the organic acid may be, for example,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lactic acid,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trifluoroacetic acid, malic acid, maleic acid, Malonic acid, fumaric acid, succinic acid, succinic acid monoamide, glutam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glycolic acid, glucuronic acid, ascorbic acid, benzoic acid, phthalic acid, salicylic acid, anthranilic acid, dichloroacetic acid, aminooxy acet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 toluenesulfonic acid or methanesulfonic acid. Inorganic acids include,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uric acid, phosphoric acid, nitric acid, carbonic acid or boric acid. The acid addition salt may preferably be in the form of a hydrochloride salt or an acetate salt, more preferably in the form of a hydrochloride salt.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또는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In addition, additionally saltable forms are gabacin salt, gabapentin salt, pregabalin salt, nicotate salt, adipate salt, hemimalonate salt, cysteine salt, acetylcysteine salt, methionine salt, arginine salt, lysine salt, ornithine salt, or aspartate. etc.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carrier for oral administration or a carrier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Carrier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lactose, starch, cellulose derivatives, magnesium stearate, stearic acid and the like. Carrier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water, suitable oils, saline, aqueous glucose and glycols, and the like. In addition, a stabilizer and a preservative may be further included. Suitable stabilizers include antioxidants such as sodium bisulfite, sodium sulfite or ascorbic acid. Suitable preservatives include benzalkonium chloride, methyl- or propyl-paraben and chlorobutanol. As oth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reference may be made to those described in the following literature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 내 투여일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including humans by any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intramedullary, intrathecal, intracardiac,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 intranasal, enteral, topical, sublingual or rect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드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 등),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route as described above. When formulated, one or more buffers (e.g., saline or PBS), carbohydrates (e.g., glucose, mannose, sucrose, or dextran, etc.), antioxidants, bacteriostatic agents, chelating agents (e.g., EDTA or glutathione), fillers, bulking agents, binders, adjuvants (eg aluminum hydroxide), suspending agents, thickening agent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or surfactants, diluents or excipients.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solutions, gels, syrups, slurries, suspensions or capsules, etc.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 starch (including corn starch, wheat starch, rice starch, potato starch, etc.),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dext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cellulose , m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or gelatin may be mixed and prepared. Tablets or dragees may be obtained, for example, by combining the active ingredient with a solid excipient which is then milled and processed into a mixture of granules after adding suitable auxiliaries.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yrate and talc are also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for oral use, emulsions, or syrups. In addition to water or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or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agar, alginic acid, or sodium alginate may be added as a disintegrant, and may further include anti-agglomerating age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in the form of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and nasal inhalation with a suitable parenteral carrier.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it must be sterilized and must be protected from contamination by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Examples of suitable carriers for injec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water, ethanol, polyols (eg, glycerol, propylene glycol, liquid polyethylene glycol, etc.), mixtures thereof, and/or solvents or dispersion media containing vegetable oils. can More preferably, suitable carriers include Hanks' solution, Ringer's solutio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ith triethanolamine or isotonic solutions such as sterile water for injection, 10% ethanol, 40% propylene glycol and 5% dextrose. etc. can be used. In order to protect the injection from microbial contamination, variou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such as paraben, chlorobutanol, phenol, sorbic acid, and thimerosal may be further included. Also, in most cases, the injection may further include an isotonic agent such as sugar or sodium chloride.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Transdermal preparations include ointments, creams, lotions, gels, external solutions, pastas, liniments, air rolls, and the like. In the above, 'transdermal administration' means that an effectiv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delivered into the skin by topicall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the skin.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스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For administration by inhalation, the compounds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pressurized packs or with a suitable propellant, for example dichlorofluoromethane, trichlorofluoromethane, dichlorotetrafluoroethane, carbon dioxide or other suitable gas. It can be conveniently delivered in the form of an aerosol spray from a nebulizer. In the case of pressurized aerosols, dosage units may be determined by providing a valve that delivers a metered amount. For example, gelatin capsules and cartridges for use in inhalers or insufflators may be formulated to contain a powder mixture of the compound and a suitable powder base such as lactose or starch.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re described in all pharmaceutical chemistry generally known prescriptions,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스카픽 에시드를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로 회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유효량"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로를 예방 또는 회복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유스카픽 에시드는 0.01 내지 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스카픽 에스드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esirable fatigue recovery effect when it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eucalyptus acid. As used herein, the term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that exhibits a greater response than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preferably an amount sufficient to prevent or recover from fatigu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1 to 99.9% of yuscapic acid, and the remaining amount may be occupied b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effective amount of the uscapic ester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form in which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스카픽 에시드를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의 용량은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를 피로 예방 또는 회복을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The total effective amou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in a single dose, or by a 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 in which multiple doses are administer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1 to several times to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preferably 0.001 to 100 mg, more preferably 0.01 to 10 mg per 1 kg of body weight per day based on Euscapic Acid. However, the effective dosage for the patient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age, weight, health condition, gender, severity of disease, diet and excretion rate, as well as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number of treatments. Therefore, considering this poi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effective dosage according to the specific use for preventing or recovering from fatigu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formulation, administration route and administration method as long as it exhibit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추가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유스카픽 에시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dditionally,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si-drug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ntaining euscapic acid.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유스카픽 에시드에 대한 설명 및 이의 효과는 제1 측면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euscapic acid, and its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aspec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quasi-drugs" refers to textiles, rubber products or similar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of humans or animals, products that have weak effects on the human body or do not directly act on the human body, and devices or non-machines and similar items, products falling under one of the agents used for sterilization, insecticidal, and similar purpos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human or animal diseases It may refer to items other than instruments, machines or devices among items used and items other than instruments, machines or devices among items used for the purpose of pharmacologically affect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s or animals. In addition, the quasi-drug may include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Preferably, it may be a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gargreen,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or oin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quasi-drug additive, the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s or quasi-drug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방법을 제공한다.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vering from fatigu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yuscap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본 발명의 피로 회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fatigue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operties and effects of the yuscapic acid, its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give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erm "individu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ammals including humans.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피로의 정도,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제 형태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의도하는 피로 회복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body weight of the subject, the degree of fatigue, the formulation form of Euscap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but the intended fatigue recovery effect can be selected appropriately to achiev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량"은 다음의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유도하여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와 관련된 증상, 예를 들어, 피로감, 지구력 저하, 순발력 저하 또는 무기력 증세를 나타내는 근육 피로; 및/또는 암, 결핵, 당뇨병, 간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심부전증, 빈혈 등의 신체 질환으로 인한 피로, 심한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증, 수면장애, 사회생활 부적응 등의 정신적 문제로 인한 피로 또는 과도한 신체 활동으로 인한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증상을 나타내는 만성 피로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완전히 회복하는데 충분한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한다: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 본 발명의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1회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회 반복하여 투여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effective amount" refers to symptoms related to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by induc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 to h), for example, fatigue, decreased stamina, reduced agility or lethargy. muscle fatigue; and/or fatigue due to physical diseases such as cancer, tuberculosis, diabetes, liver disease, hyperthyroidism, heart failure, anemia, fatigue due to mental problems such as severe stress, depression, anxiety, sleep disorders, social maladjustment, or excessive body An amount of E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sufficient to reduce or completely recover chronic fatigue, in which fatigue due to activity lasts for 6 months or longer or exhibits recurrent symptoms: a)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blood, reducing blood urea nitrogen (BUN), reduc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nd reducing alanine aminotransferse (ALT) activity; 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For a desired effec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yuscap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administered once or repeatedly several times at regular time intervals.
본 발명의 피로 회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피로 회복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fatigue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or a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by various routes, preferably orally. can In addition, it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for recovery from fatigue.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피로 회복을 위한 식품 또는 약제의 제조 시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 of euscap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in the preparation of a food or drug for recovery from fatigue.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유스카픽 에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Similarly, in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yuscapic acid, or its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근육세포주에서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 확인Confirmation of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muscle cell lines
1-1. 시료의 준비1-1. sample preparation
유스카픽 에시드 (BP1819, Biopurify Phytochemicals)를 10 mg 취하여 10 ml 매스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에 넣은 후, 메탄올을 첨가하여 30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후 용액을 0.45 μm 멤브레인 필터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After taking 10 mg of Euscapic Acid (BP1819, Biopurify Phytochemicals) and putting it in a 10 ml volumetric flask, methanol was added and sonicated for 30 minutes. Thereafter, the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0.45 μm membrane filter,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then used in the experiment.
1-2. 항염 활성 확인1-2. Confirm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C2C12 근육세포주 (ATCC® CRL-1772™)에 H2O2를 처리한 후 유스카픽 에시드 1 ㎍/㎖를 처리하여 염증성 마커 TNF-α 및 IL-6의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 (normal)에 비해 H2O2를 처리한 대조군 (control)에서 TNF-α 및 IL-6의 수준이 모두 증가되었으나, 유스카픽 에시드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항염 효과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The C2C12 muscle cell line (ATCC ® CRL-1772™) was treated with H 2 O 2 and then treated with 1 μg/ml of Euscapic Acid to confirm changes in the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TNF-α and IL-6. As shown in FIG. 1, both the levels of TNF-α and IL-6 were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H 2 O 2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eucalyptus aci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induced.
1-3. 항산화 활성 확인1-3. Antioxidant activity check
C2C12 근육세포주 (ATCC® CRL-1772™)에 H2O2를 처리한 후 유스카픽 에시드 1 ㎍/㎖를 처리하여 항산화 마커 SOD, 카탈라아제 (catalase) 및 MDA의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 (normal)에 비해 H2O2를 처리한 대조군 (control)에서 SOD 및 카탈라아제의 수준은 현저하게 감소하고, MDA 수준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라 SOD 및 카탈라아제의 수준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MDA 수준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유스카픽 에시드 처리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C2C12 muscle cell line (ATCC ® CRL-1772™) was treated with H 2 O 2 and then treated with 1 μg/ml of euscapic acid to confirm changes in levels of antioxidant markers SOD, catalase, and MDA. As shown in FIG. 2, the levels of SOD and catalase in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H 2 O 2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level of MD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levels of SOD and catal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level of MD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firming that the antioxidant effect was induced by the treatment with euscapic acid.
[실시예 2][Example 2]
마우스 강제 수영 부하 실험 (Forced swimming test, FTS)Mouse forced swimming test (FTS)
4주령 ICR 마우스 (Dae-Han Experimental Animal Center)에 유스카픽 에시드 1 mg/kg을 하루에 1회, 4주간 경구투여하고 물에서 움직임 없이 부동 상태로 유지된 시간을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부동 시간은 매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경구투여한지 3주차부터 대조군에 비해 부동 시간이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4주차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4-week-old ICR mice (Dae-Han Experimental Animal Center)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1 mg/kg of Euscapic Acid once a day for 4 weeks, and the time they remained immobile in water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mmobility time was measured weekly. As a result, as confirmed in FIG. 3, the immobility time began to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the 3rd week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uscapic Acid,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4th week.
[실시예 3][Example 3]
항피로 효과 확인Confirm anti-fatigue effect
3-1. 혈액 내 항피로 관련 지표 확인3-1. Identification of anti-fatigue-related indicators in blood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피로 회복과 관련된 지표인 LDH, BUN, AST 및 ALT의 혈액 내 수준을 확인하였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혈액 내 LDH, BUN, AST 및 ALT의 수준이 현저하게 상승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모든 지표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우수한 항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In Example 2, the blood levels of LDH, BUN, AST, and ALT, which are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recovery, were confirmed by sacrificing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for 4 weeks.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had markedly increased levels of LDH, BUN, AST and ALT in the bloo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Yuscapic Acid was administered for 4 weeks. In the oral administration group, all indicato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showing excellent anti-fatigue effect.
3-2. 근육 내 항피로 관련 지표 확인3-2. Identification of anti-fatigue-related indicators in muscle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피로 회복과 관련된 지표인 글리코겐의 근육조직 내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근육 내 글리코겐 수준이 감소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글리코겐 수준이 증가하여 항피로 효과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In Example 2,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for 4 weeks were sacrificed to measure the level of glycogen in muscle tissue, which is an index related to fatigue recovery.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group to which Euscapic Acid was not administered had a reduced intramuscular glycogen level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the glycogen level in the group orally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for 4 weeks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fatigue effect was induced by this increase.
[실시예 4][Example 4]
혈액 내 항피로 관련 다양한 생화학적 지표 확인Identification of various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anti-fatigue in blood
4-1. 글루코스, 젖산, 코르티솔 및 CK 수준 확인4-1. Check glucose, lactate, cortisol and CK levels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피로 회복과 관련된 생화학적 지표인 글루코스, 젖산, 코르티솔 및 CK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혈액 내 글루코스, 젖산, 코르티솔 및 CK 수준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이 감소하고, 젖산, 코르티솔 및 CK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항피로 효과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In Example 2, blood levels of glucose, lactic acid, cortisol, and CK, which are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recovery, were measured by sacrificing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for 4 week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group to which Euscapic acid was not administered showed a sharp increase in blood glucose, lactic acid, cortisol, and CK level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the weekly oral administration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fatigue effect was induced by reducing the blood glucose level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levels of lactate, cortisol, and CK.
4-2. 유리지방산 및 SOD 수준 확인4-2. Check free fatty acid and SOD levels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피로 회복과 관련된 또 다른 생화학적 지표인 유리지방산 (free fatty acid, FFA) 및 SOD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혈액 내 FFA 및 SOD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FFA 및 SOD 수준이 증가하였고, 특히 FFA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In Example 2, the blood levels of free fatty acid (FFA) and SOD, which are other biochemical indicators related to fatigue recovery, were measured by sacrificing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for 4 weeks. As shown in FIG. 7, the level of FFA and SOD in bloo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in the group orally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for 4 week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s of FFA and SOD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level of FFA increased significantly.
4-3. MDA 수준 확인4-3. MDA level check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피로 회복과 관련된 또 다른 생화학적 지표인 MDA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혈액 내 MDA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MDA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In Example 2, the blood level of MDA, another biochemical index related to fatigue recovery, was measured by sacrificing ICR mice that had been orally administered with Yuscapic Acid for 4 weeks.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group to which Euscapic Acid was not administere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MDA in the bloo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in the group orally administered Yuscapic Acid for 4 weeks, the MDA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decreased.
[실시예 5][Example 5]
간 내 항산화 효소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the liver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항산화 효소 SOD 및 카탈라아제의 간 내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간 내 SOD 및 카탈라아제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SOD 및 카탈라아제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In Example 2,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for 4 weeks were sacrific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the antioxidant enzymes SOD and catalase in the liver. As shown in FIG. 9, in the control group not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SOD an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in the group administered orally with Yuscapic Acid for 4 weeks, SOD and catalas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실시예 6][Example 6]
근육 내 SOD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농도 확인Determination of SOD and citrate synthase concentrations in muscle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항산화 효소 SOD 및 항피로 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시트르산 합성효소의 근육 내 활성 및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근육 내 SOD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시트르산 합성효소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SOD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시트르산 합성효소의 농도가 증가하였다.In Example 2, the intramuscular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antioxidant enzyme SOD and citrate synthase, a biochemical indicator related to anti-fatigue, were measured by sacrificing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for 4 week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 group to which Euscapic Acid was not administere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OD activity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itrate synthase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the group that orally administered capic acid for 4 weeks, SOD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citrate synthase increased.
[실시예 7][Example 7]
혈액 내 항염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blood
실시예 2에서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를 희생하여 염증 관련 지표인 TNF-α, IL-6, IL-1β 및 IL-4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스카픽 에시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은 정상군 (normal)에 비해 혈액 내 TNF-α, IL-6, IL-1β 및 IL-4의 수준이 모두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스카픽 에시드를 4주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TNF-α, IL-6, IL-1β 및 IL-4의 수준이 모두 감소하였고, 특히 IL-6, IL-1β 및 IL-4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In Example 2, the blood levels of TNF-α, IL-6, IL-1β and IL-4, which are indicators related to inflammation, were measured by sacrificing ICR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for 4 week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group to which Euscapic Acid was not administered had higher levels of TNF-α, IL-6, IL-1β, and IL-4 in the bloo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levels of TNF-α, IL-6, IL-1β and IL-4 were all decreased in the group orally administered with Euscapic Acid for 4 weeks, especially IL-6, IL-1β and IL-4.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스카픽 에시드는 육체적 피로 상태에서의 당 생성 과정 조절 및 해당 과정에서의 젖산 대사, 산화 스트레스 상태에서의 항산화 효소 조절, 운동 시 증가되는 사이토카인 조절을 통해 항피로 및 피로 유발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Based on the above results, Yuscapic acid induces anti-fatigue and fatigue by regulating the sugar production process under physical fatigue, lactic acid metabolism during glycolysis, regulating antioxidant enzymes under oxidative stress, and cytokines increased during exercis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in suppression.

Claims (21)

  1.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Euscaphic acid or a food chem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는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for recovery from fatigu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igue includes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육체적 피로는 근육 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for recovering from fatigu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hysical fatigue includes muscle fatigue.
  4. 제1항에 있어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에 의해 피로 회복 효과가 유도되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for recovering from fatigu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igue recovery effect is induced by an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effect.
  5.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according to claim 1, which exhibits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from a) to h):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a)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blood, reducing blood urea nitrogen (BUN), reduc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nd reducing alanine aminotransferse (ALT) activity;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h)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피로 회복용 식품 조성물.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ood composition i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for recovery from fatigue.
  7.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comprising Euscaph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는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covery from fatigu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atigue includes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육체적 피로는 근육 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covery from fatigu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hysical fatigue includes muscle fatigue.
  10. 제7항에 있어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에 의해 피로 회복 효과가 유도되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atigue recovery effect is induced by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effects.
  11. 제7항에 있어서, 다음의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피로 회복용 약학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according to claim 7, which exhibits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from a) to h):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a)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blood, reducing blood urea nitrogen (BUN), reduc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nd reducing alanine aminotransferse (ALT) activity;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h)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12.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방법.A method for recovering from fatigu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Euscaph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는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atigue includes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육체적 피로는 근육 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hysical fatigue comprises muscle fatigue.
  15. 제12항에 있어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에 의해 피로 회복 효과가 유도되는, 피로 회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atigue recovery effect is induced by an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effect.
  16. 제12항에 있어서, 다음의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피로 회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ich exhibits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 to h) effects: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a)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blood, reducing blood urea nitrogen (BUN), reduc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nd reducing alanine aminotransferse (ALT) activity;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h)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17. 피로 회복을 위한 식품 또는 약제의 제조 시 유스카픽 에시드 (Euscaph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Use of Euscaphic acid, or a food-acceptable salt or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in the manufacture of food or medicine for fatigue recovery.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는 육체적 피로 또는 만성피로를 포함하는, 용도.18. The us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said fatigue comprises physical fatigue or chronic fatigue.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육체적 피로는 근육 피로를 포함하는, 용도.19. The use of claim 18, wherein the physical fatigue comprises muscle fatigue.
  20. 제17항에 있어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에 의해 피로 회복 효과가 유도되는, 용도.The us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fatigue recovery effect is induced by an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effect.
  21. 제17항에 있어서, 다음의 a) 내지 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용도:The use according to claim 17, which exhibits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 to h):
    a) 혈액 내 LDH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감소, BUN (Blood urea nitrogen) 감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감소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se) 활성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a)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blood, reducing blood urea nitrogen (BUN), reduc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nd reducing alanine aminotransferse (ALT) activity;
    b) 근육 내 글리코겐 증가 효과;b) intramuscular glycogen increasing effect;
    c) 혈액 내 글루코스 수준 감소, 젖산 수준 감소, 코르티솔 수준 감소 및 CK (Creatine kinase)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c)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reducing lactate level, reducing cortisol level, and reducing CK (creatine kinase) level;
    d) 혈액 내 유리지방산 수준 증가 및 SOD 수준 (Superoxide dismutase)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d)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ing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in the blood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OD (Superoxide dismutase);
    e) 혈액 내 MDA (Malondialdehyde) 수준 감소 효과;e) reducing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in the blood;
    f) 간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카탈라아제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f)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atalase activity in the liver;
    g) 근육 내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및 시트르산 합성효소 활성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 및g) any one or more effe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reased intramus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increased citrate synthase activity; and
    h) 혈액 내 TNF-α 수준 감소, IL-6 수준 감소, IL-1β 수준 감소 및 IL-4 수준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h) at least one effe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ing the level of TNF-α in the blood, reducing the level of IL-6, reducing the level of IL-1β and reducing the level of IL-4.
PCT/KR2021/009690 2021-05-20 2021-07-27 Composition comprising euscaphic acid,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fatigue WO2022244915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02 2021-05-20
KR1020210065102A KR102427242B1 (en) 2021-05-20 2021-05-20 Composition for relieving fatigue comprising euscaphic ac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4915A1 true WO2022244915A1 (en) 2022-11-24

Family

ID=8260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9690 WO2022244915A1 (en) 2021-05-20 2021-07-27 Composition comprising euscaphic acid,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fatigu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7242B1 (en)
WO (1) WO202224491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571A (en) * 2003-06-16 2005-02-03 Yoshiyuki Mizushina COMPOUND HAVING DNA SYNTHETASE lambda INHIBITORY ACTION AND USE OF THE SAME
KR20140046233A (en) * 2012-10-10 2014-04-18 한국인스팜(주) A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an extracts of rosa rugosa preventing or treating a physical stress-involved dise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571A (en) * 2003-06-16 2005-02-03 Yoshiyuki Mizushina COMPOUND HAVING DNA SYNTHETASE lambda INHIBITORY ACTION AND USE OF THE SAME
KR20140046233A (en) * 2012-10-10 2014-04-18 한국인스팜(주) A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an extracts of rosa rugosa preventing or treating a physical stress-involved diseas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0 December 2005 (2005-12-30), PARK, HEE-JUHN;NAM, JUNG-HWAN;JUNG, HYUN-JU;LEE, MYUNG-SUN;LEE, KYUNG-TAE;JUNG, MIN-HWA;CHOI, JONG-WON: "Inhibitory Effect of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from the Roots of Rosa rugos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XP053013936 *
31 December 2002 (2002-12-31), KIM, MI-JI;RHEE, SOON-JAE: "Effects of Green Tea on Hepatic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Muscle Fatigue Recovery in Rat after Aerobic Exercise", XP053025875 *
KIM IN-TAE, SURAN RYU, JI-SUN SHIN, JUNG-HYE CHOI, HEE-JUHN PARK, KYUNG-TAE LEE: "Euscaphic acid isolated from roots of Rosa rugosa inhibits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TLR4-mediated NF-κB in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vol. 113, no. 6, 30 June 2012 (2012-06-30), pages 1936 - 1946, XP093005723, DOI: 10.1002/jcb.2406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242B1 (en)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017B1 (en) Senescence inhibitor
WO2017039365A1 (en) Method for inhibiting absorption of and/or promoting excretion of lipids using d-psicose
WO202205051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WO2020197356A1 (en) Use of cyclo his-pro (chp)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peritoneal fibrosis
AU2008258958B2 (en) Anti-fatigue Agents and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Andrographolide as Active Ingredient
KR20050089857A (en) Inhibitor for liver cancer onset and progress
JP2022501331A (en) A composition and method using at least one glycine or a derivative thereof, at least one N-acetylcystein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t least one nicotinamide riboside or NAD + precursor.
JP2015110592A (en) Oral agen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dryness
MXPA03010080A (en) Use of polymethoxylated flavones for treating insulin resistance.
KR101088069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20100088886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fatty liver, hyperlipidemia or diabetes comprising carvacrol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20070032818A (en) Inhibitor of liver canc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for hepatitis C virus positive human cirrhosis patients
WO2019098811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bone loss diseases, comprising cyclo(his-pro) (chp)
WO202224491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uscaphic acid,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fatigue
WO202224491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uscaphic acid and use thereof f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or enhancing exercise performance
JP5394644B2 (en) Muscle enhancer containing asperroside or its analog
KR102297957B1 (en)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acne and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black garlic extract
KR10183039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qualene for enhancement of muscle function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KR102645399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 comprising euscaphic acid
WO202226021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gastache rugosa extract, and use thereof f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s
KR102214565B1 (en) Composition for eliminating hangover comprising protectin DX
WO2020235900A1 (en) Use of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bone loss disorders, comprising cyclo-hispro (chp) and parathyroid hormone
EP1666035A1 (en)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ment for fatty liver or liver disease
KR101991746B1 (en) Agent for improvement of cathechin bioavailability
KR10185476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depression and anxiety comprising alternariol monomethyl e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409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