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73108A1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73108A1
WO2022173108A1 PCT/KR2021/019205 KR2021019205W WO2022173108A1 WO 2022173108 A1 WO2022173108 A1 WO 2022173108A1 KR 2021019205 W KR2021019205 W KR 2021019205W WO 2022173108 A1 WO2022173108 A1 WO 20221731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suction
dust bag
ba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9205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최인규
김시현
이현주
구희곤
차승용
최승우
한정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731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731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Abstract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acuum cleaner that includes a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nd a docking st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so as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docking housing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ocked; a suction device which is disposed below the docking housing and generates a suctioning air current for making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cked on the docking housing flow; and a dust bag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docking housing and the suction device and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collected by being made to flow by the suctioning air current. The docking housing includes: a suctioning flow path which guides the suctioning air current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o which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and a sealing member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ing flow path and seals the dust bag and the suctioning flow path. The sealing member can be stretched vertically while maintaining the sealing of the dust bag.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includ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 내부 먼지를 자동 배출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king station and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dust inside the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를 포함하여, 팬 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한 후 집진하여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vacuum cleaners include a fa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power, and through the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fan motor, i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long with air, separates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from the air, and collects the dust. It is a device that makes it work.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진공 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통에서부터 배출시켜야 한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nd the user must periodically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from the vacuum cleaner and discharge them from the dust collecto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더스트 백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청소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coupling a dust bag in a docking sta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장치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도킹되는 도킹 하우징과, 상기 도킹 하우징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 하우징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도킹 하우징과 상기 흡입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기류에 의해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유동되어 집진되는 더스트백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하우징은 상기 흡입기류를 상기 집진통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백과 상기 흡입 유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더스트 백의 실링이 유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o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wherein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the dust collector. A docking housing to be docked, a suction device disposed below the docking housing and forming an intake airflow for flowing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or docked to the docking housing, and between the docking housing and the suction device and a dust bag arranged to collect dust by flowing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by the suction air flow, wherein the docking housing guides the suction air flow to the dust collector and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flow path; , a sealing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uction flow path and sealing the dust bag and the suction flow path,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ealing of the dust bag is maintained.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 1결합 영역과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 영역과 상기 제 1결합 영역과 상기 제 2결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핑 영역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a first coupling area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a second coupling area to which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first coupling area and the second coupling area,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amping area that is possibly provided.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댐핑 영역은 상기 제 1결합 영역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볼록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damping region includes a convex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coupling region.
또한 상기 흡입 유로는 상기 제 1결합 영역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passag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region.
또한 상기 더스트 백은 상기 실링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기 실링부재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st bag includes a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region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member.
또한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기 연결 홀의 직경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 직경의 길이를 가지는 실링 돌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region includes a sealing protrusion having a length that is at least the same as a length of a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또한 상기 실링 돌기는 제 1실링 돌기와 상기 제 1실링 돌기의 직경의 길이보다 긴 직경의 길이를 가지는 제 2실링 돌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sealing protrusion and a second sealing protrusion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sea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제 2실링 돌기는 상기 연결 홀의 직경의 길이보다 긴 직경의 길이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has a lon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또한 상기 제 2실링 돌기는 상기 제 1실링 돌기보다 상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is disposed above the first sea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더스트 백은 상기 더스트 백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어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ust bag includes a support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dust bag in the docking station, and a collecting bag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 백은 상이 연결 홀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hole i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collection bag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phase connection hole.
또한 상기 흡입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집진통 내부의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flow rate changing device provided to change the flow rate of the air inside the dust collector when the suction device is driven.
또한 상기 유량 변화장치는 상기 흡입 장치와 상기 더스트 백 사이에 배치된다.Also,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device and the dust bag.
또한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region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기 더스트 백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될 시 이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area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ust bag is coupled to the docking sta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이 도킹되는 도킹 하우징과 상기 도킹 하우징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 하우징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도킹 하우징과 상기 흡입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기류에 의해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유동되어 집진되는 더스트백과 상기 흡입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집진통 내부의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하우징은 상기 흡입기류를 상기 집진통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백과 상기 흡입 유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더스트 백의 실링이 유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low the docking housing and the docking housing to which the dust collector 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is docked, and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docked to the docking housing and the suction airflow for flowing the internal air. A dust bag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device and the docking housing and the suction device to form a dust bag,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flow and collect dust by the suction air flow, and the flow rate of air inside the dust collector when the suction device is driven and a flow rate changing device provided to change, wherein the docking housing guides the suction air flow to the dust collecting bin and includes a suction flow path provided so that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an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suction passage,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ealing of the dust bag.
또한 상기 유량 변화 장치는 상기 흡입 장치와 상기 더스트백 사이에 배치된다.Also,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device and the dust bag.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 1결합 영역과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 영역과 상기 제 1결합 영역과 상기 제 2결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핑 영역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a first coupling area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a second coupling area to which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first coupling area and the second coupling area,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amping area that is possibly provided.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댐핑 영역은 상기 제 1결합 영역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볼록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damping region includes a convex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coupling reg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도킹되는 도킹 하우징과, 상기 도킹 하우징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 하우징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도킹 하우징과 상기 흡입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기류에 의해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유동되어 집진되는 더스트백과, 상기 더스트백과 상기 흡입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집진통으로 유동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하우징은 상기 흡입 기류를 상기 집진통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백과 상기 흡입 유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더스트 백의 실링이 유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o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wherein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the dust collector. A docking housing to be docked, a suction device disposed below the docking housing and forming an intake airflow for flowing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or docked to the docking housing, and between the docking housing and the suction device a dust bag disposed between the dust bag and the suction devi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flow and collect by the suction air flow, and the suction air flow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 when the suction device is driven changes the flow rate and a flow rate changing device provided to make the water flow, wherein the docking housing guides the suction airflow to the dust collecting bin and includes a suction flow path provided so that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and a lower end of the suction flow path, the dust bag and the dust bag an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suction passage,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ealing of the dust bag.
본 발명의 청소 장치는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먼지통에 집진된 이물질이 도킹 스테이션의 더스트 백에 포집될 시 더스트 백과 더스트 백으로 이물질을 가이드하는 유로 사이가 효율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In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are collected in the dust bag of the docking sta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the dust bag and the flow path guiding the foreign substances to the dust bag can be effectively sealed. .
또한, 유로와 더스트 백 사이에 마련되는 가스켓은 흡입 장치의 공기의 유량 변화에도 효율적으로 유로와 더스트 백 사이의 실링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ket provided between the flow path and the dust bag can efficiently maintain the seal between the flow path and the dust bag even when the flow rate of air of the suction device change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통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ust collector of a cleaner is docked in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측단면도,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백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ortion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s "tip", "rear end", "upper", "lower", "upper" and low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by this term is not limi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통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ust collector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docked in a docking sta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도킹 스테이션(100)과 도 2에 도신된 청소기(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docking station 100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cleaner 10 illustrated in FIG. 2 .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0a)와, 청소기 본체(1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관(11)과, 연장관(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16)과, 청소기 본체(1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통(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10 includes a cleaner body 10a, an extension pipe 11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0a, a suction unit 16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pe 11, and a cleaner body 10a )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청소기 본체(10a)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먼지통(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0a may include a suction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requir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dust container 20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accommodated.
먼지통(20)은 흡입유닛(1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등을 걸러 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지통(20)은 청소기 본체(10a)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20 may be configured to filter and collect dust or dirt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16 .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cleaner body 10a.
먼지통(20)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 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20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cylindrical shape.
청소기 본체(10a)는 필터 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4)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례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필터 하우징(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먼지통(20)에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0a may include a filter housing 14 . The filter housing 14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donut shape to accommodate a filter (not shown) therein. The type of filter is not limited, but for example, a Hepa filt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lter housing 14 . The filter may filter ultra-fine dust that is not filtered in the dust container 20 .
청소기 본체(10a)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2)을 잡고 청소기(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0a may include a handle 12 so that a user can grip and operate the cleaner 10 . The user can clean by holding the handle 12 and moving the cleaner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청소기 본체(10a)는 조작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3)에 마련된 전원 버튼 등을 조작하여 청소기(10)를 온/오프 시키거나 흡입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0a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13 . The user may turn on/off the cleaner 10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etc.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3 , or adjust the suction strength and the like.
흡입유닛(16)은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16)은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6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uction unit 16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흡입유닛(16)과 청소기 본체(10a)는 연장관(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11)은 일단은 흡입유닛(16)에 피봇 연결되어 흡입유닛(16)이 연장관(11)에 대해 관절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6 and the cleaner body 10a may be connected by an extension pipe 11 . One end of the extension pipe 1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6 , so that the suction unit 16 can jointly mov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ipe 11 .
청소기 본체(10a)의 연장관(11)은 연장관 연결부(1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 연결부(11a)는 연장관(11)을 청소기 본체(10a)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장관(11)은 연장관 분리버튼(11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관 분리버튼(11b)을 눌러 연장관(11)을 청소기 본체(10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연장관(11)을 청소기 본체(10a)로부터 분리 한 후, 흡입유닛(16)을 청소기 본체(10a)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The extension tube 11 of the cleaner body 10a may include an extension tube connection part 11a. The extension tube connection part 11a is provided to separate or combine the extension tube 11 from the cleaner body 10a. The extension tube 11 may include an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11b. The user can separate the extension tube 11 from the cleaner body 10a by pressing 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11b. After the extension pipe 11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10a, the suction unit 16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0a.
청소기 본체(10a)의 연장관(11)은 흡입유닛 연결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연결부(11c)는 흡입유닛(16)을 청소기 본체(10a)로부터 분리하거나 청소기 본체(10a)에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extension pipe 11 of the cleaner body 10a may include a suction unit connection part 11c. The suction unit connection part 11c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suction unit 16 from the cleaner body 10a or to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0a.
청소기 본체(10a)는 배터리(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5)는 청소기 본체(10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cleaner body 10a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15 . The battery 15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10a.
또한, 배터리(1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청소기 거치장치 또는 도킹 스테이션(100)등에 마련된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5)는 도킹 스테이션(100)에 마련된 충전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battery 1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cleaner holder or the docking station 100 . The battery 15 may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
도킹 스테이션(100)은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leaner 10 may be stored or mounted thereon.
도킹 스테이션(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1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0)은 먼지통(20)이 도킹되도록 마련되는 도킹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0)은 청소기(10)의 먼지통(20)에 공급되는 흡입기루를 변화시켜 포집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100)에 청소기(10)의 먼지통(20)만 도킹되어도 도킹 스테이션(100)의 자동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0)의 청소기 본체(10a)에서 먼지통(20)을 분리시킨 후, 먼지통(20)만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시켜 먼지통(20) 내부의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body housing 101 defining an exterior. 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docking housing 110 in which the dust container 20 is docked.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llected materials are automatically discharged by changing the suction air route supplied to the dust bin 20 of the cleaner 10 . That is, even when only the dustbin 20 of the cleaner 10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automatically discharged. Accordingly, after the dust container 20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10a of the cleaner 10 , only the dust container 20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킹스테이션은 먼지통만 분리하여 도킹시켜 먼지통의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청소기가 도킹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먼지통이 분리되지 않고 청소기 자체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고,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station separates and docks only the dust bin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dust from the dust bin,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vacuum cleaner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the dustbin may not be separated, but the cleaner itself is docked in the docking station, and dust inside the dustbin may be automatically discharged.
본체 하우징(101)은 도킹부(100)을 개폐하는 도킹스테이션 커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01)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축은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은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101 may include a docking station cover 102 that opens and closes the docking unit 100 . The body housing 101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long axis may preferabl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box extending approximat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체 하우징(101)은 전면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107)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07)은 본체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사용자는 본체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되는 더스트백(1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101 may include a panel 107 having a front surface detachably provided. As the panel 107 is separated from the main housing 101 ,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dust bag 130 disposed inside the main housing 101 .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장치(140)를 포함하여 먼지통(20)에 집진된 먼지를 먼지통(2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장치(140)는 도킹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the suction device 140 to discharge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20 from the dust bin 20 . The suction device 140 may be disposed under the docking housing 110 .
도킹하우징(110)은 먼지통(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도킹하우징(110)을 통해 더스트백(130)으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1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housing 110 may include a suction flow path 102 provid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20 are sucked into the dust bag 130 through the docking housing 110 .
더스트백(130)은 공기는 투과되고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은 재질로 마련되어 먼지통(20)에서 더스트백(130)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The dust bag 1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air and does not transmit foreign substances,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dust bag 130 from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collected.
도킹하우징(110)은 흡입유로(112)와 연통되고 먼지통(20)이 안착되는 안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1)는 도킹하우징(110)의 장축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11)는 도킹하우징(110)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먼지통(20)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안착부(111)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통(2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시 도킹하우징(101)의 장축과 먼지통(20)의 장축은 대략 대응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cking housing 11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112 and may include a seating part 111 on which the dust container 20 is seated. The seating part 111 may be provided to open upward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housing 110 . The seating part 111 is a space open from the docking housing 110 to the outside, and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1 . Accordingly, when the dust containe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 the long axis of the docking housing 101 and the long axis of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face in approximately corresponding directions.
먼지통(2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0)은 그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원심 회전을 통해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통(20)의 내부에는 멀티 사이클론(22)이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20)은 멀티 사이클론(22)의 하측으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통(20)은 1차적으로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집진부(23)와, 멀티 사이클론(22)에 의해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집진부(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erein through centrifugal rotation. A multi-cyclone 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dust container 20 .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on the lower side of the multi-cyclone 22 . The dust container 20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ing unit 23 that is primarily collected and collects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unit 24 that is collected by the multi-cyclone 22 and collects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can
제1집진부(23)와 제2집진부(24)는 모두 먼지통(20)의 커버(25)가 개방될 시 외부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Both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3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4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25 of the dust container 20 is opened.
따라서, 먼지통(20)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25)가 개방될 시 먼지통(20)에 포집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안착부(111)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ver 25 disposed under the dust container 20 is opene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2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seating part 111 .
흡입유로(112)는 흡입장치(140)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의 흐름을 먼지통(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흡입장치(140)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 기류가 흡입유로(112) 및 안착부(111)를 따라 먼지통(20) 내부로 전달되고 흡입 기류에 의해 먼지통(20) 내부의 이물질이 기류 흐름에 따라 먼지통(20)에서 더스트백(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suction passage 112 may transmit the flow of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40 to the dust container 20 .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40 is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dustbin 20 along the suction flow path 112 and the seating part 111, and th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bin 20 are transferred to the dustbin according to the airflow by the suction airflow. (20) may be discharged to the dust bag (130).
흡입유로(112)의 상부는 상하 방향으로 안착부(1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흡입유로(112)의 하부는 더스트백(130)이 거치되는 포집부(120)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passage 11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portion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assage 112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ollecting portion 120 on which the dust bag 130 is mounted.
흡입유로(112)의 하부는 관(1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관(113)은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assage 112 may be formed of a tube 11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113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tube of various shapes.
포집부(120)는 도킹 하우징(110)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120)는 도킹 하우징(110)과 흡입 장치(140)와 각각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120)에 의해 흡입장치(140)에서 발생되는 흡입 기류가 도킹 하우징(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포집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도킹 하우징(110)과 흡입 장치(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below the docking housing 110 . The collec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ocking housing 110 and the suction device 140 , respectively.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in the suction device 140 by the collecting unit 120 may be transferred to the docking housing 110 . That is, the collecting unit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cking housing 110 and the suction device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포집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관(113)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120)는 더스트 백(13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121)과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121)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tube 1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lecting unit 120 may include an inner space 121 in which the dust bag 130 is disposed and a door 122 provided to open the inner space 121 from the outside.
패널(107)은 본체 하우징(101)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본체 하우징(101)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panel 107 may be provided not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1 , but also on the side or rear side thereof to be detachably from the main body housing 101 .
패널(107)이 본체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포집부(1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포집부(120)의 도어(122)를 개방하여 내부 공간(121)에 배치되는 더스트백(1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As the panel 107 is separated from the body housing 101 , the collecting unit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opens the door 122 of the collecting unit 120 to open the dus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21 . The bag 130 can be easily replaced.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111)의 내부에는 먼지통(20)이 도킹된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 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20)이 안착부(111)에 안착될 시 제어부(미도시)는 집진통(50)과 도킹 스테이션(400) 도킹된 상태를 스위치 유닛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안착부(111)에 먼지통(20)이 안착될 시 흡입 장치(140)가 구동되어 자동으로 먼지통(20)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이 흡입 기류와 함께 유동되어 흡입 유로(112)를 통해 더스트 백(130)으로 유동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witch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at the dust container 20 is docked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ating part 111 . 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or 20 is seated on the seating unit 111 ,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heck the docking state of the dust collector 50 and the docking station 400 through the switch unit. When the dust container 2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1, the suction device 140 is driven to automatically flow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side the dust container 20 together with the suction air flow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112 to the dust bag ( 130) can be flowed.
더스트 백(130)은 공기는 투과되고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어 집진통(20)에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The dust bag 1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and does not allow foreign substances to pass through,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collected.
더스트 백(113)은 직접 흡입 유로(112)를 형성하는 관(113)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더스트 백(113)은 관(113)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ust bag 11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ube 113 forming the suction flow path 112 , and the dust bag 113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tube 113 .
흡입 장치(140)는 흡입팬(142)과 흡입팬(142)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 장치 하우징(1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device 140 may include a suction fan 142 and a suction device housing 141 form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uction fan 142 is disposed.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20)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량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clude a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provided to selectively change the amount of suction air supplied to the dust collector 20 .
유량 변화장치(150)는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량 변화장치(150)는 포집부(120)와 흡입 장치(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량 변화장치(150)는 포집부(120)와 흡입 장치(140)가 연결되는 유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110 .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uction device 140 . In detail,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 to which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uction device 140 are connected.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량 변화장치(150)는 포집부(120)와 흡입 유로(122)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uction flow path 122 .
유량 변환장치(150)는 흡입 장치(14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기류를 선택적으로 포집부(120)에 전달하여 흡입기류가 포집부(120)를 통해 먼지통(20)으로 선택적으로 도달되도록 흡입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기류의 변화를 통해 먼지통(20)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먼지통(20) 내부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rate converter 150 selectively transmits the suction air 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40 to the collecting unit 120 so that the suction air flow selectively reaches the dust bin 20 through the collecting unit 120 . can change The flow rate inside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changed through a change in the airflow,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ntainer 20 may be efficiently separated.
유량 변화장치(150)는 흡입 장치(140)에서 발생되는 흡입 기류가 흡입 장치(140)에서 포집부(120)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may be disposed on a flow path provided so that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40 flows from the suction device 140 to the collecting unit 120 .
유량 변화장치(150)는 흡입 장치(14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흡입 장치(140)와 포집부(120)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흡입 기류가 포집부(120)로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between the suction device 140 and the collecting unit 120 while the suction unit 140 is driven so that the suction air flow selectively flows to the collecting unit 120 . can be
자세하게는 흡입 장치(140)가 구동되는 동안 유량 변화장치는 유량 변화장치(150)는 반복적으로 포집부(120)와 흡입장치(140) 사이의 유로를 반복적으로 개폐하면서 더스트 백(130)과 도킹 하우징(110)을 통해 집진통(20)으로 유입되는 흡입기류가 공급되었다가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detail, while the suction device 140 is driven,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is docked with the dust bag 130 while repeated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between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uction device 140 repeatedly. It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uction air flow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 20 through the housing 110 is supplied and then blocked repeatedly.
집진통(20)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량이 변경됨에 따라 집진통(20) 내부의 공기압이 흡입 기류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집진통(2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흡입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As the intake airflow amount supplied to the dust collector 20 is change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ake airflow amount, and accordingly, the flow of air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is variously formed. Thus, the s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유량 변화장치(150)에 의해 집진통(20)에 반복적으로 흡입 기류가 공급, 비공급될 시 집진통(20) 내부의 공기압이 순간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압이 상승되면서 집진통(2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변화될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하측으로만 향하던 공기의 흐름이 사방으로 변하게 될 수 있다.When the suction airflow is repeatedly supplied or not supplied to the dust collector 20 by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 the air pressure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momentarily changed. For example, as the air pressure rises, the flow of air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may be changed, and the flow of air that has only been directed downward for a moment may be changed in all directions.
집진통(20) 내부의 공기 유량이 변하면서 집진통(20) 내부 공간에서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하측으로만 향하던 공기의 흐름이 다 방향으로 변하게 될 수 있다.As the air flow rate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changes, the air spreads in all directions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or 20, and accordingly, the flow of air that has only been directed downward may be changed in multiple directions.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하측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20)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As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is momentarily changed, some foreign substances that had resistance to the downward direction may lose resistance by the air flowing in the other direction and may be separated out of the dust collector 20 together with the airflow.
유량 변화장치(15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집진통(20)에 흡입 기류를 제공하고 다시 소정의 시간 동안 흡입 기류의 제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고, 이와 같이 집진통(20)에 흡입 기류를 공급. 차단을 반복하여 주기적으로 집진통(2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is provided to provide the suction airflow to the dust collector 2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o block the supply of the suction airflow for a predetermined time again, and supply the suction airflow to the dust collector 20 in this way. Blocking may be repeated to periodically change the flow of air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더스트백(130)과 더스트백(130)이 연결되는 실링부재(16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ust bag 130 and the sealing member 160 to which the dust bag 130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백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some configuration of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백(130)은 더스트 백(130)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132)와 집진통(20) 내부의 이물질이 흡입 기류를 통해 유동되어 집진되는 포집 백(131)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dust bag 130 includes a support plate 132 provided so that the dust bag 130 is supported by the docking station 100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or 20 flow through the suction airflow. It may include a collecting bag 131 for collecting dust.
지지 플레이트(132)는 포집부(120) 내부에 마련된 리브(미도시)에 안착되어 더스트 백(130)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3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ust bag 130 is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a rib (not shown) provided in the collecting unit 120 .
더스트 백(130)은 흡입 유로(112)와 연결되어 집진통(20)의 내부에서부터 유동되는 흡입기류가 포집 백(131)을 통과하여 흡입 장치(140)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 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ag 13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flow path 112 so that the suction air flow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or 20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bag 131 and flows to the suction device 140 through a connection hole 133 . may include
연결 홀(133)은 지지 플레이트(132)에 마련될 수 있다. 포집 백(131)은 연결 홀(133)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집 백(131)은 연결 홀(133)과 흡입 유로(112)를 통해 먼지통(2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e 133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132 . The collection bag 13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hole 133 . Accordingly, the collection bag 13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container 20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33 and the suction passage 112 .
흡입 장치(140)가 구동될 시 흡입 장치(140)를 통해 발생된 흡입 기류는 먼지통(20)에서부터 흡입 유로(112)과 연결 홀(133)을 통해 포집 백(131)으로 유동될 수 있다.When the suction device 140 is driven,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device 140 may flow from the dust container 20 to the collection bag 131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12 and the connection hole 133 .
포집 백(131)은 공기가 관통되도록 마련되고 유동 공기와 같이 유동되는 이물질이 포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llection bag 131 may be provided so that air passes through it, and foreign substances that flow, such as flowing air, are trapped.
더스트 백(130)은 사용자가 더스트백(130)을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마련되는 레버(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ag 130 may include a lever 134 provided to allow a user to easily detach the dust bag 130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
사용자는 레버(134)를 파지하여 도킹 스테이션(100)에 지지되는 더스트 백(130)을 도킹 스테이션(100)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take the dust bag 130 supported by the docking station 100 out of the docking station 100 by gripping the lever 134 .
더스트 백(13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레버(134)를 당길 시 연결 홀(133)를 폐쇄시키도록 마련되는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잇다. 커버(미도시)는 레버(134)가 가압될 시 이에 연동되어 연결 홀(133)을 외부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ust bag 130 may include a cover (not shown) provided to close the connection hole 133 when the user pulls the lever 134 . A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lose the connection hole 133 from the outside by interlocking with the lever 134 when it is pressed.
더스트 백(130)의 연결 홀(133)은 흡입 유로(112)를 형성하는 관(113)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킹 하우징(110)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e 133 of the dust bag 13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113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2 to be connected to the docking housing 110 .
자세하게는 관(113)의 하단이 더스트 백(130)의 연결 홀(133)에 삽입되어 더스트 백(130)과 흡입 유로(112)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detail, the lower end of the tube 113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33 of the dust bag 130 to be connected to the dust bag 130 and the suction passage 112 .
이 때 더스트 백(130)과 흡입 유로(112) 사이의 이격이 발생될 시 더스트 백(130)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이 연결 홀(133)과 관(113) 사이의 이격을 통해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paration between the dust bag 130 and the suction flow path 112 occurs,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side the dust bag 130 are scatte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paration between the connection hole 133 and the pipe 113 . can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더스트 백(130)의 연결 홀(133) 주위에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 부재를 배치시켜 연결 홀(133)과 관(113)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었다. 더스트 백(130)은 교체 가능한 구성으로 복수의 더스트 백(130)에 각각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청소 장치(1)의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related art, a sealing member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s disposed around the connection hole 133 of the dust bag 130 to seal between the connection hole 133 and the pipe 113 . The dust bag 130 has a replaceable configuration, and a sealing member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bags 130 ,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leaning device 1 is increas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은 도킹 하우징(110)과 더스트 백(13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160)를 포함하고 실링 부재(160)가 도킹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복수의 실링 부재가 복수의 더스트 백에 각각 배치되지 않아도 되어 청소 장치(1)의 제조 단가를 유지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docking station of the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ling member 160 provided to seal between the docking housing 110 and the dust bag 130 and the sealing member 160 ) is disposed in the docking housing 110 so that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do not have to be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dust bags, respectively,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leaning device 1 can be maintained.
이에 따라 실링 부재가 더스트 백(130)이 아닌 도킹 하우징(110) 측에 배치될 시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발생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 변화에 의해 더스트 백(130)이 유동될 수 있는데, 더스트 백(130)이 유동될 시 실링부재와 더스트 백(130)의 실링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docking housing 110 side instead of the dust bag 130 , the dust bag 130 may flow due to a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intake airflow generated in the docking station 100 , the dust bag When the 130 is move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aling of the dust bag 130 are separated.
즉, 흡입 장치(140)에 의해 발생된 흡입 기류는 유량 변화 장치(150)에 의해 먼지통(20)으로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되는데, 먼지통(20)에 흡입 기류가 공급될 시 더스트 백(130)을 투과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더스트 백(130)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140 is repeatedly supplied and blocked by 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150 to the dustbin 20. When the suction airflow is supplied to the dustbin 20, the dust bag 130 The dust bag 130 may be moved downward by the suction airflow passing through it.
더스트 백(13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실링부재와의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어 더스트 백(130)이 실링부재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실링부재와 더스트 백(130)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어 더스트 백(130)에 집진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실링부재가 도킹 스테이션(100) 측에 배치됨에 따라 실링부재는 도킹스테이션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실링부재가 더스트 백(13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원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이다.As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the contact state with the sealing member is released, and the dust bag 130 is separated from the sealing member. 130) may be scattered to the outside. This is because, as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docking station 100 side, the sealing member is fix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thus the sealing member is not moved downward together with the dust bag 130 and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다르게 표현하자면, 흡입 기류의 유량이 커지는 구간에서 더스트 백(130)이 흡입 장치(140) 측으로 흡입 기류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재가 도킹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도킹 하우징(100)에 실링부재가 고정되어 더스트 백(130)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실링부재와 더스트 백(130)의 밀착이 훼손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ust bag 130 may flow toward the suction device 140 by the suction airflow in a section where the flow rate of the suction airflow increases. 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docking housing 110 and the sealing member is fixed to the docking housing 100 so that only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dust bag 130 may be damaged. .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실링부재(160)는 더스트 백(130)이 흡입 기류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도 연결 홀(133)과 실링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실링부재(160)는 더스트 백(130)과의 실링이 유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60)는 연결 홀(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스트 백(130)이 하측으로 유동될 시 실링부재(1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신축되어 더스트 백(130)과 함께 하측으로 신장되어 실링부재(160)와 더스트 백(130)의 밀착 실링이 유지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aling member 160 of the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led with the connection hole 133 even when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by the suction airflow. may be arranged to be maintained. That is,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ealing with the dust bag 130 is maintained. When the dust bag 130 flows downward while the sealing member 1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33 ,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ealing member 160 expands and contracts and extends downward together with the dust bag 130 . Close sealing between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dust bag 130 may be maintained.
실링부재(16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6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60)는 바람직하게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실링부재(160)는 관(113)과 결합되는 제 1결합 영역(161)과 더스트 백(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 영역(162)과 제 1결합 영역(161)과 제 2결합 영역(162)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댕핑 영역(16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60 includes a first coupling area 161 coupled to the tube 113 , a second coupling area 162 coupled to the dust bag 130 to be detachably coupled, a first coupling area 161 and a second coupling area 161 . It may include a dangping region 165 disposed between the coupling regions 162 and provid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결합 영역(161)은 상하 방향으로 관(113)의 하단과 오버랩(overlap)되는 구간으로 관(113)이 제 1결합 영역(16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113)과 실링부재(160)는 제 1결합 영역(161)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region 161 is a section overlapping the lower end of the pipe 11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ipe 113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region 161 . Accordingly, the tube 113 and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coupl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region 161 .
실링부재(160)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결합 영역(161)은 관(113)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first coupling region 161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imilar shape to the pipe 113 .
제 2결합 영역(162)은 도킹 하우징(110)과 더스트 백(130)이 결합될 시 더스트 백(130)의 연결 홀(133)에 삽입되는 구간이다.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s a sect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33 of the dust bag 130 when the docking housing 110 and the dust bag 130 are coupled.
제 2결합 영역(162)은 연결 홀(133)에 삽입될 시 연결 홀(133)의 내주면과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결합 영역(162)과 연결 홀(133)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33 ,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dhes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It may be provided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and the connection hole 133 .
제 2결합 영역(162)은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실링 돌기(163,16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2결합 영역(162) 자체가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may include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having a diameter that is at least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Unlik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tself may be provided to have a diameter that is at least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시 제 2결합 영역(162) 자체의 직경은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제 2결합 영역(162)의 실링 돌기(163,164)는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tself is provid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and the sealing of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s provided. The protrusions 163 and 164 may be provided to have a diameter that is at least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실링 돌기(163,164)는 제 2결합 영역(162)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may be provid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
실링 돌기(163,164)는 제 2결합 영역(162)과 연결 홀(133)이 결합될 시 연결 홀(133)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실링부재(160)와 연결 홀(133) 사이의 실링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are provid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when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and the connection hole 133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sealing between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connection hole 133 . may be arranged to do so.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결합 영역(162) 자체의 직경의 길이는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의 길이보다 작도록 마련되어 제 2결합 영역(162)이 연결 홀(133)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결합 영역(162)이 삽입되는 중간에 실링 돌기(163,164)가 연결 홀(133)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실링부재(160)와 연결 홀(133)의 실링이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tself is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so that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s easi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33 . can be provided. The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in the middl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s inserted, thereby sealing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connection hole 133 .
실링 돌기(163,164)는 제 1실링 돌기(163)와 제 1실링 돌기(163)의 직경의 길이보다 긴 직경의 길이를 가지는 제 2실링 돌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may include the first sealing protrusion 163 and 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164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ealing protrusion 163 .
제 2실링 돌기(164)는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의 길이보다 더 긴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164 may be provided to have a diameter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제 1실링 돌기(163)는 연결 홀(133)의 내주면의 직경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의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rotrusion 163 may be provided to have a diameter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33 .
이에 따라 제 2결합 영역(162)이 연결 홀(133)에 삽입될 시 제 2실링 돌기(163)는 연결 홀(133)의 직경 방향으로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결합 영역(162)과 연결 홀(133)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33 , 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163 may be provided to be press-fit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3 . Through this, a gap may not occur between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and the connection hole 133 .
제 1실링 돌기(163)와 제 2실링 돌기(16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결합 영역(162)과 연결 홀(133)은 이중 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rotrusion 163 and 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164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cond coupling region 162 and the connection hole 133 may be provided to be double sealed.
제 1,2실링 돌기(163,164)와 연결 홀(133)이 실링된 상태에서 더스트 백(130)이 큰 유량의 흡입 기류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될 시 연결 홀(133)이 이에 연동되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2실링 돌기(163,164)와 연결 홀(133) 사이에 이격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and the connection hole 133 are sealed and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by a large flow of suction airflow, the connection hole 133 is linked thereto and moves downward. Accordingly,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and the connection hole 133 .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댐핑 영역(165)은 더스트 백(130)이 하방으로 이동될 시 이와 대응되게 하방으로 신장되어 제 1,2실링 돌기(163,164)와 연결 홀(133) 사이의 실링이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o prevent this, when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the damping area 165 is extended downward to correspond thereto, so that the sea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rotrusions 163 and 164 and the connection hole 133 is maintained. can be
댕핑 영역(165)은 실링 부재(160)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볼록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166)는 실링부재(160)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압될 시 상하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angling region 165 may include a convex portion 166 provided in a ring shape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60 . The convex portion 166 may be provided to be exte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60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볼록부(166)는 실링 부재(160)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시 볼록한 상태를 유지(166a)하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백(130)에 하방으로 외력이 가압될 시 더스트 백(130)의 이동과 함께 볼록부(166)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신장 상태(166b)가 될 수 있다.That is, the convex portion 166 maintains a convex state when no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aling member 160 (166a), but as shown in FIG. 8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ownward to the dust bag 130 , the dust bag With the movement of 130 , the convex portion 166 may be in an extended state 166b extending downward.
볼록부(166)가 더스트 백(13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신장 상태(166b)로 마련되어 실링 부재(160)와 더스트 백(130)은 각각 실링이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스트 백(13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도 더스트 백(130)의 이동 거리만큼 댐핑 영역(165)이 연장됨에 따라 실링 부재(160)가 도킹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실링부재(160)와 더스트 백(130)의 실링이 유지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 166 may be provided in an elongated state 166b that extends downward as much as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and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dust bag 130 may be provided to maintain their seals, respectively. Even when the dust bag 130 is moved downward, as the damping area 165 is extended as much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dust bag 130,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sealing of the dust bag 130 may be maintain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ubject to change and substitution.

Claims (15)

  1.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o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Containing;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The docking station is
    상기 집진통이 도킹되는 도킹 하우징과,a docking housing to which the dust collector is docked;
    상기 도킹 하우징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 하우징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장치와,a suction device disposed below the docking housing and forming a suction airflow for flowing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or docked to the docking housing;
    상기 도킹 하우징과 상기 흡입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기류에 의해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유동되어 집진되는 더스트백을 포함하고,and a dust bag disposed between the docking housing and the suction device and collecting dust by flow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by the suction air flow,
    상기 도킹 하우징은 상기 흡입기류를 상기 집진통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백과 상기 흡입 유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The docking housing includes a suction flow path provided to guide the suction air flow to the dust collecting bin an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bag,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uction flow path and sealing the dust bag and the suction flow path,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더스트 백의 실링이 유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The sealing member is a cleaning device provid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ealing of the dust bag.
  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흡입 유로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 1결합 영역과 상기 더스트 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 영역과 상기 제 1결합 영역과 상기 제 2결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핑 영역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a first coupling area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a second coupling area to which the dust bag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first coupling area and the second coupling area, and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damping area provided to do so.
  3.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실링부재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상기 댐핑 영역은 상기 제 1결합 영역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청소장치.The damping area i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convex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area.
  4.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흡입 유로는 상기 제 1결합 영역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The suction passage is a cleaning devic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region.
  5.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스트 백은 상기 실링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홀을 포함하고,The dust bag includes a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sealing member,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기 실링부재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The second coupling region is a cleaning devic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member.
  6.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기 연결 홀의 직경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 직경의 길이를 가지는 실링 돌기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The second coupling region i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sealing protrusion having a length of at least the same diameter as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7. 제 6 항에 있어서,7.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실링 돌기는 제 1실링 돌기와 상기 제 1실링 돌기의 직경의 길이보다 긴 직경의 길이를 가지는 제 2실링 돌기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The seal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sealing protrusion and a second sealing protrusion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sealing protrusion.
  8.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 2실링 돌기는 상기 연결 홀의 직경의 길이보다 긴 직경의 길이를 가지는 청소 장치.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has a length of a diameter greater than a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cleaning device.
  9.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실링 돌기는 상기 제 1실링 돌기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청소 장치.The second sealing protrusion is a cleaning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sealing protrusion.
  10.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더스트 백은 상기 더스트 백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어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백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The dust bag includes a support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dust bag by the docking station, and a collecting bag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11.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연결 홀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 백은 상이 연결 홀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The connection hole i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collection bag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phase connection hole.
  1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집진통 내부의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변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The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low rate changing device provided to change the flow rate of the air inside the dust collector when the suction device is driven.
  13.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유량 변화장치는 상기 흡입 장치와 상기 더스트 백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 장치.The flow rate changing device is a cleaning devic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device and the dust bag.
  14.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The second coupling region is a cleaning devic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15. 제 14 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2결합 영역은 상기 더스트 백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될 시 이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청소 장치.When the dust bag is coupled to the docking station, the second coupling area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coupling area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in a vertical direction.
PCT/KR2021/019205 2021-02-10 2021-12-16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WO2022173108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12 2021-02-10
KR1020210019012A KR20220115253A (en) 2021-02-10 2021-02-10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3108A1 true WO2022173108A1 (en) 2022-08-18

Family

ID=828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9205 WO2022173108A1 (en) 2021-02-10 2021-12-16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5253A (en)
WO (1) WO2022173108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717A (en) * 1999-08-31 2001-03-13 Hitachi Ltd Vacuum cleaner
KR101467341B1 (en) * 2011-04-04 2014-1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sub-robot for corner cleaning
US9717380B2 (en) * 2012-03-08 2017-08-01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US20180235424A1 (en) * 2015-06-25 2018-08-23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KR20210002057A (en) *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717A (en) * 1999-08-31 2001-03-13 Hitachi Ltd Vacuum cleaner
KR101467341B1 (en) * 2011-04-04 2014-1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sub-robot for corner cleaning
US9717380B2 (en) * 2012-03-08 2017-08-01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US20180235424A1 (en) * 2015-06-25 2018-08-23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KR20210002057A (en) *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53A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22473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21002625A1 (en) Robot cleaner station
WO2021025377A1 (en) Station of robot cleaner
WO2022005013A1 (en) Cleaning device compris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WO2017150862A1 (en) Vacuum cleaner
WO2020153672A1 (en) Robot cleaner
AU2016340619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09104878A2 (en)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on apparatus thereof
WO2017131462A1 (en) Vacuum cleaner
WO2016190565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ame
WO2022075570A1 (en) Cleaning system and docking apparatus
WO2022014850A1 (en) Vacuum cleaner
WO2011055861A1 (en) Vacuum cleaner
WO2011010787A1 (en)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ed dust removal function, and vacuum cleaner
WO2019212119A1 (en) Cleaner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2050549A1 (en) Dust collection bin and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WO2021215844A1 (en) Cleaning apparatus dock
WO2022173108A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WO2017069473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same
WO2019146924A1 (en) Cleaner
WO2011087173A1 (en) Vacuum cleaner
WO2023018048A1 (en)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cleaner and docking station
WO2019031749A1 (en) Cyclone dust collection device, and vacuum cleaner and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which include same
WO2021230490A1 (en) Dust canister and robot vacuum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59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259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