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58751A1 - 욕실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욕실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58751A1
WO2022158751A1 PCT/KR2021/020361 KR2021020361W WO2022158751A1 WO 2022158751 A1 WO2022158751 A1 WO 2022158751A1 KR 2021020361 W KR2021020361 W KR 2021020361W WO 2022158751 A1 WO2022158751 A1 WO 20221587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dule
case
suction unit
air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203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용민
윤경수
권오민
이강성
조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587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587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that sterilizes air in a bathroom and does not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product even when exposed to water.
  • the existing air purifier/sterilizer/dryer product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and discharge parts are opened as much as possible for performance efficiency. It is a general structure.
  • Prior Art 1 discloses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having a wall-mounted structure.
  •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is reduced because the weight and size of the air purifier are limi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can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 the air purifier is not simply attached to the wall, but an anchor or the like must be attached through a special oper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operation is difficul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that can be installed in a bathroom as a stand type and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purifier from the bathroom floo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that prevents water falling from the outside or the ceiling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urifier by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ing uni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while implementing a high air volu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air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sterilization module that irradiates sterilization light while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 use mode.
  • the bathroom type air purifier forms a first suction par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se, an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art of the second case inside the first case, air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with a purific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supplying
  • a first case including a first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 second cas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ase and including a second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is sucked; and an air purification module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and purify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wherein the second suction unit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ction unit.
  • the first suction part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 the first case may include a base case and an upper case covering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base case, and the first suction part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base case and the upper case.
  • a lower end of the upper cas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base case.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ule suction unit for suck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odule suction unit, a modul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from the module suction unit, and It may include a fan that provides an air flow force in a direction from the module suction unit to the module discharge unit.
  • the second cas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opening opened upwardly above the second suction unit.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cover that covers the upper opening.
  • a width of the discharge cover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upper open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cover and an edge of the upper opening overlap.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accommodates the filter and the fan, the module suction unit and the module discharge unit are formed, and a module casing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se, and a lifting module for lifting the module casing up and down may further include.
  • the elevating module may be positioned below the module casing in the second case.
  • the module discharge unit may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odule.
  • the module discharge par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dule casing, and the module suction part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casing.
  • the second cas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opening opened upward, and the module casing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cov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and edges of the upper opening.
  • It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irradiating light to steriliz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rradiate light between an axial direction of the fa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low path guide for guiding a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ase comprising a first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 second cas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ase, including a second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is sucked, and including an upper opening at an upper portion; an air purification module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and purify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hrough the module discharge unit; and an elevating module for elevating the air purifying module.
  • the module discharge unit may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open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odule.
  • the bathroom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bathroom can sterilize and dehumidify the air while efficiently circulating the air.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bathroom as a stand type, so it is easier to install than the wall-mounted typ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lement a larger air volume and capacity than the wall-mounted type.
  •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ir to the air purification module with two suction unit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the two ca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ir purification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discharge unit when not in use because the discharge un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the discharge unit can be cl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art is opened in FIG. 3;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art is opened in FIG. 3;
  • FIG. 7A to 7D ar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athroom type air purifier for each mode.
  •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fan 220 is defined as a vertical direction
  •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a horizontal plane
  •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a front-back direction
  •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ar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defi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athroom type air purifier may include a case and an air purification module 200 accommodated in the case.
  • the bathroom type air purifier may implement the function of storage.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awer 700 that is installed in the case and can accommodate things.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external water from being introduced through a discharge unit or a suction unit while being installed as a stand in the bathroom.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e unit in FIG. 3 .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water in the bathroom from flowing through the suction unit.
  •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case, and the air intake unit of the two cases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100 and a second case 300 .
  • the first case 100 includes a first suction unit 14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ccommodates the second case 300 and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therein.
  • a drawer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ase 100 .
  • the first case 100 may include a base case 130 supporting the second case 300 and an upper case 120 covering an uppe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case 130 .
  • the first suction unit 140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base case 130 and the upper case 120 .
  • first suction unit 140 is defined as the space between the base case 130 and the upper case 120,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than when the first suction unit 140 is separately configured. have.
  • the first suction unit 140 may have a downwardly open structure.
  • the upper case 12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20 and a side surface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 the base case 130 may support the second case 30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case 120 to support the upper case 120 .
  •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ase case 130 .
  • the upper case 120 ha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case 130 , and the first suction part 140 is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20 . It is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sides of the base case 130 .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case 130, a suction flow path 145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suction unit 140 flow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unit 140 is formed. can be The suction passage 145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suction unit 310 .
  • the first suction unit 14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case 130 to the upper side, and since the first suction unit 140 is ope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ater on the floor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uction unit 140 . It is difficult to flow through the , and water flow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0 is also difficult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ase 100 .
  • a region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suction unit 140 among the lower portions of the base case 130 may have a shape for guiding air.
  • an upward sloping cur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base case 130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case 130 to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suction unit 140 . This improves the flow rat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uction unit 140,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 an inlet opening 151 through whic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is introduced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 .
  • the upp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100 may be opened to form an inlet opening 151 . Since external 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pening 151 ,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discharge cover 250 to be described later, the periphery of the inlet opening 151 is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first case 100 . It can be depressed more downwards.
  • the inlet opening 151 may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second case 300 is introduced.
  • the inlet opening 151 of the first case 100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upper opening of the second case 300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shape of the inlet opening 151 is not limited, but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is preferable.
  • the second case 30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ase 100 and accommodates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therein.
  • the second case 300 includes a second suction unit 31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40 is sucked.
  • the second suction unit 310 is located above the first suction unit 140 .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passes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310 . inflow is restricted.
  • the second case 300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axis with respect to the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ase 3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For example, the second case 300 includes an upper opening 320 that is opened upward. The second case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let opening 151 of the first case 100 .
  • the upper opening 320 is vertically and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inlet opening 151 of the first case 100 .
  • the upper opening 320 may be concentric with the inlet opening 151 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inlet opening 151 .
  • the upper opening 320 provides a space into whic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is introduced.
  • the upper opening 32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is discharged is selectively exposed.
  • the edge 321 of the upper opening may extend in a radial direction.
  • the edge 321 of the upper opening is supported by the edge 150 of the inlet opening of the first case 100 .
  • the upper opening 320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uction unit 310 .
  •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310 passes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to the module discharge unit exposed through the upper opening 320 ( 28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units 31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ase 300 .
  • the second suction unit 31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300 .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300 and purifi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310 .
  • purifying the air is a concept including sterilizing, dehumidify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may include a module casing 260 , a module suction unit 270 , a module discharge unit 280 , and a fan 220 .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230 and a sterilization module 500 .
  • the module casing 260 houses the filter 230 , the fan 220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
  • the module casing 260 is provided with a module suction unit 270 and a module discharge unit 280 , and at least a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se 300 .
  • the module casing 260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220 . Specifically, the module casing 26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located above the module suction unit 270 .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may be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module casing 260
  • the module suction unit 27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casing 260 .
  • the module suction unit 270 may b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odule casing (260).
  • the module suction unit 27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uction unit 310 of the second case 3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module suction unit 270 may overlap the second suction unit 3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pre-filter or a mesh filter for filtering dust may be installed in the module suction unit 270 .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may b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odule casing 260 .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odule casing 260 is opened.
  • the module casing 260 may include a discharge cover 250 .
  • the discharge cover 250 covers the upper opening 320 and the edge 321 of the upper opening, so that water flows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320 and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limit what
  • the module casing 260 has an open top to include the module opening 292 , and the discharge cover 250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module opening 292 by the cover support 240 .
  • the discharge cover 250 has a larger width or radius than the discharge cover 250 ,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dule opening 292 .
  • the discharge cover 250 is positioned to vertically overlap the module opening 292 and the peripheral module casing 260 of the module opening 292 .
  • the discharge cover 250 vertically overlaps the upper opening 320 , the rim 321 of the upper opening, the inlet opening 151 , and the rim 150 of the inlet opening.
  • the module casing 260 , the first case 100 , and the second case 300 are completely sealed from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cover 250 .
  • the discharge module 280 when the discharge module 280 is in a closed state, the low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ver 250 ar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ase 100 or the second case 300 . Since the two surfaces of the discharge cover 250 come into contact, the sealing force is improv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 the packing 600 may be positioned at a por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250 and the case are in contact. Specifically, the packing 600 may be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ver 250 .
  • the filter 230 filter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odule suction unit 270 .
  • the filter 230 may include a deodorizing filter.
  • the position of the filter is not limited, but the filter 230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and the module suction unit 270 inside the module casing 260 .
  • the fan 220 provides an air flow force in a direction from the module suction unit 270 to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 the fan 220 may include a motor 210 that drives the fan 220 .
  • the fan 220 is preferably disposed below the filter 230 and disposed above the module suction unit 270 .
  • the fan 220 may include an axial fan or a centrifugal fan.
  •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is irradiated with light to steriliz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
  •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may include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UV or UVC light.
  •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n LED.
  •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Since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is located just below the module discharge part 280 , even if the module casing 260 is slightly raised,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can be opened.
  •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modules 500 may be dispos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dule casing 260 .
  •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may include two to four.
  •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may irradiate light betwee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220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may irradiate light between the downward and lateral directions. More preferably,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may irradiate light in a 45 degree downward direction.
  • the module casing 26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support 282 on which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is installed.
  • the light source support unit 282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allow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to irradiate light between the downward and lateral directions.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ight source support unit 282 is formed to face downward.
  • a plurality of light source support units 282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dule casing 260 , or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dule casing 260 .
  • the light source support unit 282 When the light source support unit 282 is formed in a ring shape, it may serve as a diffuser to increase the pressure of air flowing therein.
  •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flow path guide 281 for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 the flow guide 281 ma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flowing air.
  • the flow guide 281 may be switched in one direction intersect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low guide 281 may be installed under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and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dule casing 260 in the central direction.
  • the module casing 260 is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case 300 .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in a closed state, and the upper end of the module casing 260 is the upper opening 320 of the second case 300 .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300 . Accordingly,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closed by the second case 300 side.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in an open state, and the upper end of the module casing 260 is the upper opening 320 of the second case 300 .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300 .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When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in the closed state,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air purifier when not in use, and when the air purifier is not in use,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of a large size is formed, so that the ball has excellent flow ability. . Of course, if the discharge casing is further raised, it becomes easy to replace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and the filter.
  • the operation mod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eight at which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lifted, and the higher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raised, the lower the pressure loss of the flow path exists.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levating modules (410, 420) for elevating the module casing (260) up and down.
  •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se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
  • the elevating modules 410 and 4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elevating the module casing 260 in the second case 300 .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may include an actuator, a hydraulic cylinder, a pneumatic cylinder, and a rack and pinion structure.
  • the elevating modules 410 and 420 may include an elevating motor 410 and an elevating unit 410 elev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vating motor.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may be located under the module casing 260 .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are located inside the second case 300 .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are positioned under the module casing 260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may raise and lower only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and the discharge cover 250 .
  • the module case may be formed of two parts, the module suction part 270 may be formed in one part, and the module discharge part 280 and the discharge cover 250 may be formed in the other part.
  • the elevating modules 410 and 420 elevate the part in which the module discharging part 280 and the discharging cover 250 are formed among the two parts of the module case.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raise the module casing 260 to expose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to the outside of the case.
  • the fan 220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are operate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e 100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4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e 100 is accelerat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5 and moves upward.
  • the air accelerat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5 is introduced into the module casing 260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40 of the second case 300 and the module suction unit 270 .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odule casing 260 rises by the flow force of the fan 220 , is filtered by a filter, and is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
  • the sterilized air has a flow direction changed by the flow guide 281 and the discharge cover 250 , and is discharged laterally through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 the lifting modules 410 and 420 lower the module casing 260 to close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Therefore, when not in use, water does not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rough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
  • the air purifier may execute an air sterilization mode. Since a large air volume is not required in the air sterilization mode, only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partially opened, and the fan 220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are operated. Of course, the RPM of the fan 22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urbo drying mode below.
  • the air purifier may execute a turbo drying mode. Since a large air volume is required in the turbo drying mode,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fan 220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are operat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RPM of the fan 220 to the maximum. In this case, the bathroom may be dried naturally by air circulation.
  •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odule (not shown).
  • the air purifier may execute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replacement mode. Since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h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replacement mode, the module discharge unit 280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below the discharge unit are complet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 module casing 260 is raised through 420 .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sterilization module 500 in this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바닥에서 청정기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고, 높은 풍량을 구현하면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개폐하여서, 외부나, 천장에서 낙하하는 물이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형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욕실 내의 공기를 살균하고, 물에 노출되어도 제품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욕실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욕실은 공간 특성 상 물에 대한 노출이 많고,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공기를 살균하고, 축축한 환경을 빠르게 말려줄 수 있는 공기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제품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공기청정기/살균기/건조기 제품들은 성능의 효율화를 위해 흡입부와 토출부를 최대한 오픈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흡입부는 하부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있고 토출부는 상부 또는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제품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이런 기존의 제품들의 구조는 물이 흡입부와 토출부로 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물이 많은 실내 공간에 설치하기 쉽지 않다. 즉, 종래 욕실형 공기청정기의 경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입부와 토출부를 키울 경우, 흡입부와 토출부로 물이 유입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제품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 기술 1은 벽걸이 구조의 욕실형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벽걸이 구조의 경우, 공기 청정기의 무게와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의 용량이 작아져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벽걸이 구조의 경우, 벽에 공기 청정기를 단순히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앵커 등을 특별한 작업을 통하여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의 어려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선행기술 1- KR20170028492A
본 발명은 욕실에 스탠드 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욕실 바닥에서 청정기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높은 풍량을 구현하면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개폐하여서, 외부나, 천장에서 낙하하는 물이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모드에 따라, 토출부를 개폐하면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의 교체가 쉬운 욕실형 공기청정기공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형 공기청정기는 제1 케이스의 하단에 제1 흡입부를 형성하고, 제1 케이스 내부에 제2 케이스의 제2 흡입부를 통해 제2 케이스의 내부에 정화모듈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1 흡입부 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베이스 케이스 및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상부와 측면 일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모듈 흡입부, 상기 모듈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 상기 모듈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듈 토출부 및 상기 모듈 흡입부에서 상기 모듈 토출부 방향으로 공기 유동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흡입부 보다 상부에 상부로 개구된 상부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는 토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버의 폭은 상기 상부 개구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토출 커버와 상기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필터, 상기 팬을 수용하고, 상기 모듈 흡입부와 상기 모듈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모듈 케이싱과 상기 모듈 케이싱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모듈 케이싱 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토출부는 상기 승강모듈에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케이스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토출부는 상기 모듈 케이싱의 측면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 흡입부는 상기 모듈 케이싱의 측면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는 상부로 개구된 상부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싱은, 상기 상부 개구부 및 상기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를 덮는 토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 모듈을 유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은 팬의 축 방향과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사이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상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모듈 토출부를 통해 토출하는 공기정화 모듈; 및 상기 공기정화 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토출부는 상기 승강모듈에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개구부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형 공기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욕실이 공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욕실의 공기를 살균 및 제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욕실에 스탠드 형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벽걸이 형 보다 설치가 용이하고, 벽걸이 형 보다 큰 풍량 및 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2개의 흡입부를 공기정화 모듈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공기정화 모듈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 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부에 토출부를 위치시키고, 토출부를 걔폐할 수 있으므로, 미 사용 시에 토출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존재하고, 토출부를 개방을 통해 공기정화 모듈의 부품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토출부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토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토출부 부분을 확대한 단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각 모드 별로 욕실형 공기청정기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팬(220)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정의하고, 수직방향과 수직인 면을 수평면, 수직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전후 방향, 수직방향 및 전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형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는 공기정화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욕실형 공기청정기가 수납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에 설치되고,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욕실에 스탠드형으로 설치되면서, 외부의 물이 토출부 또는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욕실의 물이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와 토출부를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토출부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욕실의 물이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케이스를 내부와 외부의 케이스로 분리하고, 내부의 케이스에 공기정화 모듈(200)을 설치하고, 케이스 2개 각각 공기 흡입부가 높이 차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00)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부(140)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 케이스(300)와 공기정화 모듈(200)을 수용한다. 제1 케이스(100)에는 서랍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케이스(100)는, 제2 케이스(300)를 지지하는 베이스 케이스(130)와 베이스 케이스(130)의 상부와 측면 일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부(140)는 베이스 케이스(130)와 상부 케이스(12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흡입부(140)가 베이스 케이스(130)와 상부 케이스(12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면, 제1 흡입부(140)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 보다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흡입부(140)는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120)는 상면(120)과 상면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30)는 제2 케이스(300)를 지지하고, 상부 케이스(120)와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30)의 바닥은 욕실의 바닥에 접촉하기 때문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의 하단은 베이스 케이스(130)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20)는 베이스 케이스(130)의 상부와 측면 중 상부를 덮는 구조를 가고, 제1 흡입부(140)는 상부 케이스(120)의 하단과 상부 케이스(120)의 하단과 인접한 베이스 케이스(130)의 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된다. 상부 케이스(120)의 하단의 상부와 베이스 케이스(130)의 측면 사이에는 제1 흡입부(140)와 연통되어 제1 흡입부(140)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145)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145)는 제1 케이스(100)의 내부 및 제2 흡입부(310)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 흡입부(140)가 베이스 케이스(130)의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흡입부(140)가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므로, 바닥의 물이 제1 흡입부(140)를 통해 유입되기 힘들고, 제1 케이스(100) 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도 제1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기 힘들다.
한편, 베이스 케이스(130)의 하부 중 제1 흡입부(140) 보다 하부에 위치된 영역은 공기를 가이드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케이스(130)의 하단에서 제1 흡입부(140)와 동일한 높이까지 베이스 케이스(130)의 중심방향으로 상향 경상진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흡입부(1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향상시켜서,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정화 모듈(200)이 인입되는 인입 개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0)의 상면(120)이 개구되어 인입 개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 개구(151)를 통해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토출 커버(250)와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입 개구(151)의 주변은 제1 케이스(100)의 상면(110) 보다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인입 개구(151)는 제2 케이스(300)가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1 케이스(100)의 인입 개구(151)는 제2 케이스(300)의 상부 개구와 수직 방향에서 중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인입 개구(151)의 형상은 제한이 없지만, 공기정화 모듈(200)과 대응되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제2 케이스(300)는 제1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공기정화 모듈(200)을 수용한다. 제2 케이스(300)는 제1 흡입부(1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부(310)를 포함한다.
제2 흡입부(310)는 제1 흡입부(140) 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제2 흡입부(310)가 제1 흡입부(140) 보다 상부에 배치되면, 제1 흡입부(140)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제2 흡입부(310)를 통해 공기정화 모듈(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300)는 상하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축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3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케이스(300)는 상부로 개구된 상부 개구부(320)를 포함한다. 제2 케이스(300)는 제1 케이스(100)의 인입 개구(151)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개구부(320)는 제1 케이스(100)의 인입 개구(151)와 수직적으로 완전히 중첩되게 위치된다. 상부 개구부(320)는 인입 개구(151)와 동심을 가지고, 인입 개구(151)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원 형상 일 수 있다. 상부 개구부(320)는 공기정화 모듈(200)이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 개구부(320)는 공기정화 모듈(200)의 공기가 토출되는 모듈 토출부(280)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321)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321)는 제1 케이스(100)의 인입 개구의 테두리(150)에 지지된다.
상부 개구부(320)는 제2 흡입부(31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제2 흡입부(310) 보다 상부 개구부(320)가 상부에 배치되면, 제2 흡입부(3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정화 모듈을 거쳐 상부 개구부(320)를 통해 노출된 모듈 토출부(28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흡입부(310)는 제2 케이스(300)의 원주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부(310)는 제2 케이스(3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정화 모듈(200)은 제2 케이스(300) 내부에 위치되고 제2 흡입부(3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한다. 여기서, 공기를 정화한다는 것은 공기를 살균, 제습, 이물질 제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공기정화 모듈(200)은 모듈 케이싱(260), 모듈 흡입부(270), 모듈 토출부(280) 및 팬(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모듈(200)은 필터(230), 살균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260)은 필터(230), 팬(220) 및 살균 모듈(500)을 수용한다. 모듈 케이싱(260)은 모듈 흡입부(270)와 모듈 토출부(280)가 형성되며, 제2 케이스(30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모듈 케이싱(260)은 상하 방향 또는 팬(22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이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 케이싱(26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 토출부(280)는 모듈 흡입부(270) 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모듈 토출부(280)는 모듈 케이싱(260)의 측면 상부에 위치되고, 모듈 흡입부(270)는 모듈 케이싱(260)의 측면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 흡입부(270)는 모듈 케이싱(26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일 수 있다. 모듈 흡입부(270)는 제2 케이스(300)의 제2 흡입부(310)와 연통될 수 있다. 모듈 흡입부(270)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방향에서 제2 흡입부(310)와 중첩될 수 있다. 모듈 흡입부(270)에는 먼지를 필터링 하는 프리필터 또는 메시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모듈 토출부(280)는 모듈 케이싱(26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듈 토출부(280)는 모듈 케이싱(260)의 원주의 전체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도 6을 더 참조 하면, 다른 예로, 모듈 토출부(280)의 크기를 늘리면서, 모듈 토출부(280)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듈 케이싱(260)은 토출 커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토출부(280)가 폐쇄 상태에서 토출 커버(250)는 상부 개구부(320) 및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321)를 덮어서, 상부 개구부(320) 및 모듈 토출부(280)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모듈 케이싱(260)은 상부가 개방되어 모듈 개구(292)를 포함하고, 토출 커버(250)가 커버 지지부(240)에 의해 모듈 개구(292)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토출 커버(250)는 토출 커버(250)는 보다 큰 폭 또는 반경을 가지고, 모듈 개구(29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토출 커버(250)는 모듈 개구(292)와 모듈 개구(292)의 주변 모듈 케이싱(26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토출 커버(250)는 상부 개구부(320),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321), 인입 개구(151), 인입 개구의 테두리(150)와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듈 토출부(280)가 폐쇄 상태에서, 토출 커버(250)에 의해 모듈 케이싱(260)과, 제1 케이스(100), 제2 케이스(300)가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게 된다.
특히, 모듈 토출부(280)가 폐쇄 상태일 때, 토출 커버(250)의 하면과 외측면이 제1 케이스(100) 또는 제2 케이스(300)와 밀착되게 위치된다. 토출 커버(250)의 2면이 접촉되게 되므로 모듈 토출부(280)의 폐쇄 상태에서 밀폐력이 향상된다.
또한, 토출 커버(25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토출 커버(250)와 케이스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600)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600)은 토출 커버(250)의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필터(230)는 모듈 흡입부(27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한다. 물론, 필터(230)는 탈취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필터의 위치는 제한이 없지만, 필터(230)는 모듈 케이싱(260)의 내부에서 모듈 토출부(280)와 모듈 흡입부(27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220)은 모듈 흡입부(270)에서 모듈 토출부(280) 방향으로 공기 유동력을 제공한다. 물론, 팬(220)은 팬(220)을 구동하는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팬(220)은 필터(230)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모듈 흡입부(270)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220)은 축류팬 또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모듈(500)은 공기정화 모듈(200)을 유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광을 조사한다. 살균모듈(500)은 UV 또는 UVC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모듈(500)은 필터와 모듈 토출부(28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모듈(500)이 모듈 토출부(280) 바로 아래 위치되어서, 모듈 케이싱(260)을 약간 상승시켜도, 살균모듈(50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살균모듈(500)은 모듈 케이싱(260)의 내주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균모듈(500)은 2개 내지 4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듈(500)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살균 모듈(500)은 팬(220)의 축 방향과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사이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모듈(500)은 하방과 측방향 사이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살균모듈(500)은 하방 45도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260)에는 살균 모듈(500)이 설치되는 광원 지지부(282)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지지부(282)는 살균모듈(500)이 하방과 측방향 사이로 광을 조사하게 하기 위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광원 지지부(282)의 경사면은 하방을 바라보게 형성된다.
광원 지지부(282)는 모듈 케이싱(260)의 내주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모듈 케이싱(260)의 내주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 지지부(282)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올리는 디퓨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공기정화 모듈(200)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유로 가이드(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281)는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유로 가이드(281)는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방향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일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 가이드(281)는 모듈 토출부(280)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듈 케이싱(260)의 내주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듈 케이싱(260)은 제2 케이스(300) 내외부를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싱(260)이 하부에 위치되면, 모듈 토출부(280)의 폐쇄 상태가 되고, 모듈 케이싱(260)의 상단이 제2 케이스(300)의 상부 개구부(320)의 아래에 위치되고, 모듈 토출부(280)가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300)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모듈 토출부(280)는 제2 케이스(300) 측면에 의해 폐쇄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싱(260)이 상부로 이동하면 모듈 토출부(280)의 개방 상태가 되고, 모듈 케이싱(260)의 상단이 제2 케이스(300)의 상부 개구부(320)의 외부에 노출되고, 모듈 토출부(280)가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모듈 토출부(280)가 폐쇄 상태가 되면, 공기청정기를 미 사용 시에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사용 시에는 큰 크기의 모듈 토출부(280)가 형성되므로, 공이 유동 능력이 우수하게 된다. 물론, 토출 케이싱을 더 올리게 되면, 살균 모듈(500) 및 필터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모듈 토출부(280)를 들어올리는 높이에 따라 운전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모듈 토출부(280)를 높게 들어올릴수록 유로의 압손은 낮아지는 이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모듈 케이싱(26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410, 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토출부(280)는 승강모듈(410, 420)에 작동에 따라 제2 케이스(300)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승강모듈(410, 420)은 모듈 케이싱(260)을 제2 케이스(300)에서 승강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모듈(410, 420)은 엑츄에이터,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랙 피니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승강모듈(410, 420)은 승강모터(410)와 승강모터의 회전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듈(410, 420)은 모듈 케이싱(26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승강모듈(410, 420)은 제2 케이스(3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승강모듈(410, 420)이 모듈 케이싱(260)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모듈 토출부(28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승강모듈(410, 420)은 모듈 토출부(280)와, 토출 커버(250)만을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때, 모듈 케이스는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부분에는 모듈 흡입부(27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부분에는 모듈 토출부(280)와, 토출 커버(250)라 형성될 수 있다. 승강모듈(410, 420)은 모듈 케이스의 2개의 부분 중 모듈 토출부(280)와 토출 커버(250)가 형성된 부분을 승강시킨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의 사용 시에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면, 승강모듈(410, 420)이 모듈 케이싱(260)을 상승시켜서, 모듈 토출부(280)를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팬(220)과, 살균모듈(500)이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는 하부에 위치된 제1 흡입부(140)를 통해 제1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다.
제1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유로(145)를 통해 가속되고, 상부로 이동한다. 흡입유로(145)를 통해 가속된 공기는 제2 케이스(300)의 제1 흡입부(140)와, 모듈 흡입부(270)를 통해 모듈 케이싱(260)의 내부로 유입된다.
모듈 케이싱(26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220)의 유동력에 의해 상승하고, 필터에서 필터링되고, 살균모듈(500)에서 살균된다. 살균이 완료된 공기는 유로 가이드(281) 및 토출 커버(250)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모듈 토출부(280)를 통해 측방향으로 토출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의 다양한 작동모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공기 청정 및 공기 살균을 하지 않는 경우, 승강모듈(410, 420)이 모듈 케이싱(260)을 하강시켜, 모듈 토출부(280)를 폐쇄한다. 따라서, 미 사용 시에 모듈 토출부(280)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공기 살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공기 살균모드에는 큰 풍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모듈 토출부(280)를 일부만 개방하고, 팬(220)과, 살균모듈(500)을 작동시킨다. 물론, 팬(220)의 RPM은 아래 터보 건조 모드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c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터보 건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터보 건조 모드에서 큰 풍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듈 토출부(280)를 완전히 개방하고, 팬(220)과, 살균모듈(500)을 작동시킨다. 물론, 팬(220)의 RPM은 최대로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욕실의 건조는 공기 순환에 의한 자연 건조될 수 있다. 물론, 공기청정기는 제습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살균모듈(500) 교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살균모듈(500) 교체 모드에서 살균모듈(500)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듈 토출부(280) 및 토출부의 하부의 살균 모듈(500)이 케이스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도록 승강모듈(410, 420)을 통해 모듈 케이싱(260)을 상승시킨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손 쉬게 살균모듈(500)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제1 흡입부 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베이스 케이스; 및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상부와 측면 일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모듈 흡입부;
    상기 모듈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
    상기 모듈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듈 토출부; 및
    상기 모듈 흡입부에서 상기 모듈 토출부 방향으로 공기 유동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흡입부 보다 상부에 상부로 개구된 상부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는 토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커버의 폭은 상기 상부 개구부의 폭 보다 크고,
    상기 토출 커버와 상기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필터, 상기 팬을 수용하고, 상기 모듈 흡입부와 상기 모듈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모듈 케이싱;
    상기 모듈 케이싱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모듈 케이싱 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토출부는 상기 승강모듈에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케이스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토출부는 상기 모듈 케이싱의 측면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 흡입부는 상기 모듈 케이싱의 측면 하부에 위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부로 개구된 상부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싱은,
    상기 상부 개구부 및 상기 상부 개구부의 테두리를 덮는 토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모듈을 유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팬의 축 방향과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사이로 광을 조사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7.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상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모듈 토출부를 통해 토출하는 공기정화 모듈; 및
    상기 공기정화 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토출부는 상기 승강모듈에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개구부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2 흡입부 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흡입부는 상기 모듈 토출부 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욕실형 공기청정기.
PCT/KR2021/020361 2021-01-22 2021-12-31 욕실형 공기청정기 WO202215875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78 2021-01-22
KR1020210009178A KR20220106348A (ko) 2021-01-22 2021-01-22 욕실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751A1 true WO2022158751A1 (ko) 2022-07-28

Family

ID=8254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20361 WO2022158751A1 (ko) 2021-01-22 2021-12-31 욕실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6348A (ko)
WO (1) WO20221587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6667A (zh) * 2016-01-20 2016-05-04 宁波智兆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卫生间机器人
JP2017537294A (ja)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空気清浄機
KR20180043416A (ko) * 2016-10-18 201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스마트 기류 제어 장치
KR102027302B1 (ko) * 2019-01-18 2019-10-01 주식회사 이드엠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102559B1 (ko) * 2019-08-01 2020-04-21 주식회사 가은테크 욕실용 공기정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492A (ko) 2015-09-03 2017-03-14 고경찬 태양광 반사 기능을 가진 스포츠 마스크 패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7294A (ja)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空気清浄機
CN105546667A (zh) * 2016-01-20 2016-05-04 宁波智兆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卫生间机器人
KR20180043416A (ko) * 2016-10-18 201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스마트 기류 제어 장치
KR102027302B1 (ko) * 2019-01-18 2019-10-01 주식회사 이드엠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102559B1 (ko) * 2019-08-01 2020-04-21 주식회사 가은테크 욕실용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48A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35004A1 (ko) 공기청정기
WO2016163673A1 (ko) 공기청정기
WO2012102462A2 (ko) 국소 배기장치 및 이를 갖는 아일랜드식 주방시스템
WO2018034419A1 (ko) 공기청정기
WO2012023655A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WO2017115969A1 (ko) 천정형 공기조화장치
WO2012091369A2 (en) Humidification apparatus
CN104204683A (zh) 空气净化设备
KR101842003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WO2018236122A1 (ko) 상이한 토출 방향의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WO2019190167A1 (ko) 물입자 충돌 확산 구조를 가지는 습식형 집진 공기정화장치
WO2021256805A1 (ko) 도어형 열회수 공기청정 환기장치
WO2022025509A1 (ko) Uvc-led 공기살균기
WO20212617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6140460A1 (ko)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
WO2022145925A1 (ko) Led 램프 자외선을 이용한 광촉매 살균장치
WO2022216033A1 (ko)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58751A1 (ko) 욕실형 공기청정기
WO2017222241A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WO2018110730A1 (ko) 공기청정기
WO2024071752A1 (ko)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시스템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WO2023018096A1 (ko)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구용 필터링 장치
WO2018105792A1 (ko) 소음 및 진동 흡수형 공기청정기
WO2018105796A1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15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215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