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24782A1 - Cleaner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24782A1
WO2022124782A1 PCT/KR2021/018504 KR2021018504W WO2022124782A1 WO 2022124782 A1 WO2022124782 A1 WO 2022124782A1 KR 2021018504 W KR2021018504 W KR 2021018504W WO 2022124782 A1 WO2022124782 A1 WO 20221247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eaner
cleaning module
dust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504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송현섭
이승진
하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247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247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Definition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side on which the cleaner 20 is docked to the cleaner station 10 may be defined as a front side.
  •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becomes the rear.
  •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 station body 120 may be defined as an up-down direction.
  • the main housing 1210 may accommodate and protect various parts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 the main housing 121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station body 120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 the main housing 12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 the outer shape of the main housing 1210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protecting the parts by form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er station 10 .
  • 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125 .
  • the power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20 .
  • connection tube 128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tube 128 .
  •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28 may have only a minimum difference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28 engage and fit.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128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 the drawer unit 132 is connected to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and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def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unit 132 , and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30 together with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
  • )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wer side walls 1322 form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More specifically, the drawer sidewall 1322 includes a first drawer sidewall 1322a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31a, a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connected to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and a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connected to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A third drawer sidewall 1322c connected to the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may be included.
  • the fixing groove 1323a may include a fixing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and a fixing groove flat portion 1323ab.
  •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c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30 , and may be provided to form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
  • the fixed groove flat portion 1323ab is connected at the end of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and extend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ufficiently inserted and supported. have.
  •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tored inside the housing 121 through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cleaning module ( 30) can be taken out and used, so that the cleaner 20 and the cleaner station 10 can be more hygienically manag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for suctioning and removing dust from inside a dust canister of a cleaner.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cking part on which a cleaner is mounted and docked; and a station main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ocking part, and suctioning dust from inside the dust canister, wherein the station main body can include: a housing in which a dust collection part for collecting dust is disposed; a suction tube coupled to the docking part, and suctioning the dust from inside the dust canister into the dust collection part; and a connecting tube coupled to the suction tube, and having a separate cleaning module, for extending the suction tub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disposed to be attachable/detachable thereto/therefrom.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cleaner station
본 발명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provided to suck and remove dust inside a dust container of the clean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sucks small garbage or dust and fills a dust bin in a product by suction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is generally called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cleaner in which the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to perform cleaning, and an automatic cleaner in which the user performs cleaning while driving by themselves. Manual vacuum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y-type cleaners, stick-type cleaner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the past,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were often used in household cleaners, but recently, a hand-held cleaner and a stick cleaner, which are convenient to use by providing a dust container and a cleaner body, are increasingly being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canisty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ort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it can be used by inserting a brush into the suction port.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The hand-hel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although it is light in weight,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cleaning area while sitting due to its short length. Therefore,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place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while standing,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cleaning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a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type vacuum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than that, and can clean a high place that cannot be reached by hand.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In addition, recently, a robot cleaner that cleans itself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is commonly used. The robot vacuum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in the area to be cleaned.
그러나, 종래의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stick cleaners and robot cleaners have a small capacity of a dust bin for storing the collected dust, so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이와 관련하여 로봇 청소기로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도록 발명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미국등록특허공보 제10463215호가 있다. In this regard, as a prior patent document invented to treat dust collected by a robot cleaner, there is US Patent No. 10463215.
상기 미국등록특허 제10463215호의 특허문헌에서는 베이스, 베이스와 연결된 캐니스터(canister)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로봇 청소기를 수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과 연결되도록 배치된 배출 흡입구가 마련되도록 구성된 배출 스테이션을 개시하고 있다.In the patent document of U.S. Patent No. 10463215, the base includes a base and a canister connected to the base, the base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 accommodating the robot cleaner, and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inlet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dust bin of the robot cleaner Disclosed is a discharge station configured to be
그러나, 상기 미국등록특허 제10463215호에 개시된 배출 스테이션은, 로봇 청소기가 상기 배출 스테이션과의 결합을 위해 경사면을 등반하는 도중 브러쉬에 붙어있던 먼지가 베이스 주변으로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이는 충전대의 주변에 쌓이게 된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쇼파, 침대 등의 가구 밑을 청소하기 위해 주행하면서 그 자신의 외부에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배출 스테이션은 상기 배출 흡입구를 통해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먼지통의 먼지를 흡입할 수는 있지만, 로봇 청소기 자신과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에 쌓이는 먼지를 흡입할 수는 없으므로, 로봇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 충전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되어 있는 핸드스틱 청소기를 가져와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discharge station disclosed in US Patent No. 10463215, dust attached to the brush may come off around the base while the robot cleaner climbs an inclined surface for coupling with the discharge station. This builds up around the charging station. In addition, while the robot vacuum cleaner runs to clean under furniture such as sofas and beds, dust may accumulate on the outside of itself. Although the discharge station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can suck the dust of the dust bin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discharge suction port, it cannot suck the dust accumulated on the robot cleaner itself and the charging stand of the robot cleaner, In order to hygienically manage 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charging st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bring a separately stored hand stick cleaner to clean it.
따라서,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로봇 청소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 자신에게 붙은 먼지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 주변(충전대 주변)에 지속적으로 쌓이는 먼지를 쉽게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the vacuum cleaner station provided to suction and remove dust from the dust bin of the robot cleaner,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dust attached to the robot cleaner itself or the dust continuously accumulated around the cleaner station (around the charging station) while the robot cleaner is mounted. The structure needs to be developed.
본 발명은, 별도로 제공되는 청소모듈을 결합하여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capable of sucking dust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by combining a separately provided cleaning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로 연결되는 유로와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side of a dust bin of the cleaner and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are selectively switched.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제공되는 청소모듈을 내부에 보관하는 구조를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having a structure for storing a separately provided cleaning module therei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청소기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흡입되는 스테이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 포집부의 내부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er station provided to suck and remove dust inside a dust bin of the cleaner, comprising: a docking unit to which the cleaner climbs and docks; and a station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ocking unit and sucking dust inside the dust bin, wherein the station body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is disposed; a suction pipe coupled to the docking unit and configured to suck dust inside the dust bin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 connection pipe coupled to the suction pipe, wherein a separate cleaning module for extending the suction pi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detachably dispos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연결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cover disposed on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tube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artial area of the housing.
이때,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n the connector cover is opened.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또한, 상기 흡입관은, 길이 방향 축이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1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도킹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청소기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되면 상기 먼지통에 연결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관은, 상기 제1 흡입관의 길이 방향 축이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ipe may include: a first suction pipe having a longitudinal axis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ipe and extend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ock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dust container when the cleaner is docked in the docking unit; I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nnecto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되면,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청소모듈에만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관의 상측 단부가 폐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so that the dust inside the dust bin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Whe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may be closed so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is provided only to the cleaning modul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보관하도록 구비된 청소모듈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provided to store the cleaning module.
이때, 상기 청소모듈 수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형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수납부 커버; 및 상기 수납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accommodating part cover forming a portion of an outer shape of the housing; and a drawer unit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cover and configured to be drawn out or retra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수납부 커버는,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경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ousing cover may include an inclined groove in which a partial area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한편, 상기 서랍부는, 상기 연결관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awer unit may be drawn ou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cover is disposed.
또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서랍부의 저면을 정의하는 서랍부 바닥판; 및상기 서랍부 바닥판에 연결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모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청소모듈 지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er unit may include: a drawer unit bottom plate defining a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unit; and a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connected to the drawer bottom plate and formed to be longer than a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to support the cleaning module.
또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청소모듈 지지벽에서 상기 서랍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청소모듈 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odule holder that protrudes from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toward the inside of the drawer unit and extends.
여기서, 상기 청소모듈 고정대에는 상기 청소모듈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청소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홈 곡면부; 및 상기 고정홈 곡면부의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홈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leaning module holder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inserted, the fixing groove, the fixing groove curved surface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c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and a flat fixing groove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of the fixing groove curv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모듈이 연결관에 결합되어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의류에 붙은 먼지의 제거. 애완동물의 털 관리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 주변의 먼지 제거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modul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to suck dust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the removal of dust attached to clothes. This can facilitate pet hair care or dust removal around a vacuum s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되는 부품이 없이 청소모듈이 연결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로 연결되는 유로와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기 스테이션의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nd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can be selectively switched by simply coupling the cleaning module to the connector without additional par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leaner station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control of the cleaner s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모듈 수납부를 통해 청소모듈을 하우징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서랍부를 인출하여 청소모듈을 꺼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와 청소기 스테이션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odule can be stored inside the housing through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It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cleaner coupled to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정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of the cleaner station of FIG. 3 ;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청소기의 먼지통과 흡입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dust container of a cleaner and a suction pipe are connected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연결관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cover is closed.
도 7은 연결관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onnector cover.
도 8은 청소모듈이 청소모듈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connection par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청소모듈 수납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is drawn out in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를 단독으로 확대한 사시도이다.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of FIG. 9 alone.
도 11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1 is a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1)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청소기(20)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ystem 1 including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leaner 20 coupled to a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 시스템(1)은 청소기 스테이션(10), 청소기(20) 및 청소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1 and 2 , the cleaner system 1 may include a cleaner station 10 , a cleaner 20 , and a cleaning module 30 .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se configurations, and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not excluded.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먼지 흡입 동작을 위해 위해 청소기(20)가 도킹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스테이션(10)과 도킹되는 청소기(20)는 자율로 주행하는 청소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 is a device configured to suction and remove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 and the cleaner 20 may be docked for this dust suc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cleaner station 10 and the docked cleaner 20 may be a robot cleaner that autonomously travels and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청소기(2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청소기(20)에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이동을 위한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docking)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로 흡입된 먼지는 후술할 흡입홀(113)을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로 수집될 수 있다.The cleaner 20 can automatically clean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the area to be cleaned by itself. The cleaner 2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that detects a distance to an obstacle,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or a wall,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and left and right wheels for movement. The cleaner 20 may be docked or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 . Dust sucked into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may be collected into the cleaner station 10 through a suction hole 113 to be described later.
청소기(20)는 먼지 배출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배출홀(220)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후술할 흡입관(126)이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배출홀(220)은 사각홀의 형태일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dust discharge hole 220 . In this case, the dust discharge hole 22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 through which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and the suction pipe 126 to be described later may communicate. For example, the dust discharge hole 220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hole.
청소기(20)는 배출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커버(230)는 먼지 배출홀(2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먼지 배출홀(220)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커버(230)는 먼지 배출홀(2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30)는 일측이 먼지 배출홀(220)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측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을 향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고정단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자유단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먼지 배출홀(220)이 개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을 향하던 흡입력이 사라지면 배출 커버(230)의 상기 자유단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먼지 배출홀(220)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자유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배출 커버(230)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흡입관(126)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discharge cover 230 . In this case, the discharge cover 2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discharge hole 220 to close the dust discharge hole 220 . To this end, the discharge cover 230 may be disposed in the dust discharge hole 220 .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ischarge cover 230 may be fixed to the dust discharge hole 220 to form a fixed end, and the other side may form a free e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toward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 the free end may move downward while the fixed end is fixed, and the dust discharge hole 220 may be opened. When the suction force toward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disappears, the free end of the discharge cover 230 may move upward to block the dust discharge hole 220 again. In this way, depending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ree end, the discharge cover 230 may communicate or close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and the suction pipe 126 .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대응 단자(2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단자(240)는 청소기(20)가 도킹된 상태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충전 단자에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응 단자(240)는 청소기(20)의 저면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응 단자(240)와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으로부터 청소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corresponding terminal 240 for charging the battery when docking the cleaner station 10 . The corresponding terminal 2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ccessible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leaner station 10 while the cleaner 20 is docked.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terminals 240 may be disposed in a pai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20 . When the corresponding terminal 240 and the charging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is supplied from the cleaner station 10 to the cleaner 20 to charge the cleaner 20 .
청소모듈(30)은 원통형의 관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청소기 스테이션(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은 후술할 흡입관(126)을 하우징(121)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노즐로서 여분으로 제공되는 청소도구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모듈(30)이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cleaning module 30 is provided in an extended shape of a cylindrical tub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 . The cleaning module 30 may refer to a cleaning tool provided as a separate additional nozzle for extending the suction pipe 126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1 . A specific structur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3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 will be described later.
청소모듈(30)의 일측은 후술할 연결관(128)에 삽입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고 청소모듈(30)의 타측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 구조에는 브러쉬가 구비되어 의류, 애완동물의 털 등을 빗어내리는 동작을 통해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청소모듈(30)의 길이가 허용하는 영역에서 공간적인 이동이 자유롭도록 청소모듈(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주름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leaning module 30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connection pipe 128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leaning module 3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structure capable of sucking dust. In this case, the suc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a brush to suction dust through an operation of combing clothes, pet hair, and the like.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module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so that spatial movement is free in an area allowed by the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3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정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있어서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흡입관(126)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cleaner station 10 of FIG. 3 , and FIGS. 5A and 5B are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10), the dust container 210 and the suction pipe 126 of the cleane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하게 될 방향에 대해서 먼저 정의하자면,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되는 일측을 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방의 반대편은 후방이 된다. 또한,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A1)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Before describ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 , let's first define a direction that will be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e side on which the cleaner 20 is docked to the cleaner station 10 may be defined as a front side. In additi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becomes the rear. Als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 station body 120 may be defined as an up-down direction.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은, 도킹부(110)와 스테이션 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cking unit 110 and a station body 120 .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구성이다. 청소기(20)는 도킹부(110)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도킹부(110)를 등반하며 도킹부(11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docked by climbing the cleaner 20 . The cleaner 20 approaches from the front of the docking unit 110 , climbs the docking unit 110 , and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unit 110 .
도킹부(110)의 상기 상부면은 청소기(20)의 외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사각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킹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청소기(20)의 외형과 유사하지 않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unit 1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e outer shape of the cleaner 20 .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a square. However, the shape of the docking unit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not similar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cleaner 20 if necessary.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등반하는 상기 상부면과 함께 상기 상부면의 모서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 및 청소기 스테이션(10)이 설치되는 지면과 맞닿는 하부면에 의해 도킹부(1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도킹부(110)의 내부 공간에는 흡입관(126)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10 is a docking unit 110 by a side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together with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cleaner 20 climbs, and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which the cleaner station 10 is installed. of the inner space can be 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portion of the suction pipe 126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cking unit 110 .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도킹을 위해 이동할 때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지나가는 구름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111)는, 도킹부(1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했을 때 도킹부(110)의 좌우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좌우측 구름부(111)의 간격은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간격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름부(111)는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도킹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킹부(110)의 상기 상부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구름부(111)와 인접하는 도킹부(110)의 다른 영역 대비 구름부(111)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docking unit 110 may include a rolling unit 111 through which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of the cleaner 20 pass when the cleaner 20 moves for docking. The cloud part 111 may b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ocking part 110 when the docking part 110 is viewed from the front as a reference.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lling parts 111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of the cleaner 20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 In addition, the rolling part 111 may have a shape that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part 110 so that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do not deviate from a path when docking. That is, compared to other regions of the docking unit 110 adjacent to the cloud unit 111 , the cloud unit 111 may be defined as a downwardly concave region.
또한, 구름부(111)에는 청소기(20)가 도킹 완료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안착부(111a)가 마련될 수 있다. 바퀴 안착부(111a)는 구름부(111) 상에서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어 패인 오목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el seating parts 111a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may be provided in the rolling part 111 so that the cleaner 20 does not move in a docked state. The wheel seating portion 111a may be defined as a concave region formed on a curved surface to surround and support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on the rolling portion 111 .
구름부(111)는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구름부(111)에 요철을 형성하여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lling portion 11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truding upwa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form irregularities on the rolling portion 111 to prevent sliding of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도킹부(110)는, 도킹부(110)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12)는 도킹부(110)의 상기 상부면이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2)는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 각각은 청소기(20)의 저면의 외형에 따라 그 경사의 정도가 정해질 수 있다.The docking unit 110 may include an inclined unit 11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ocking unit 110 . The inclined portion 112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portion 110 protrudes upward. The inclined portion 11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20 .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된 상태를 기준으로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흡입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홀(113)은 경사부(112)에 배치될 수 있고 청소기(20)가 도킹되었을 때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홀(113)은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홀(113)은 사각홀 형태일 수 있다.The docking unit 110 includes a suction hole 113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is dispos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e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unit 110 . can do.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hole 113 may be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112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dust discharge hole 220 of the cleaner 20 is disposed when the cleaner 20 is docked. can The suction hole 113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discharge hole 220 of the cleaner 20 . For example, the suction hole 113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hole.
도킹부(110)는 청소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14)는 도킹부(1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 1개씩 마련된 충전단자(114a, 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되면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0)와 충전단자(114a, 114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스테이션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모듈(125)이 청소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 좌우측 충전단자(114a, 114b)의 간격은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0)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1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114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er 20 and supplies power so that the cleaner 20 is charged. The charging unit 114 may include charging terminals 114a and 114b provided one eac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cking unit 1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When the cleaner 20 is docked in the docking unit 110, the corresponding terminal 240 of the cleaner 20 and the charging terminals 114a and 114b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power module provided in the station body 120 ( 125 may supply power to the cleaner 20 to charge the cleaner 20 . The spac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charging terminals 114a and 114b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terminals 240 of the cleaner 20 .
스테이션 본체(120)는 도킹부(110)의 일측에서 도킹부(110)와 연결되며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의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 본체(120)는 도킹부(110)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 본체(120)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 배치되는 장축(A1)을 형성할 수 있다.The station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unit 110 from one side of the docking unit 110 and is configured to suck dust from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to the inside. More specifically, the station body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ocking unit 110 . In addition, the station body 120 may be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upward to form a long axis A1 that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스테이션 본체(120)는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122)가 배치되는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다수의 외벽으로 구성된 메인 하우징(12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ion body 120 may include a housing 121 in which a dust collecting unit 122 for collecting dust is disposed. The housing 121 may include a main housing 1210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outer walls.
이때, 메인 하우징(1210)은 상기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쌓인 내부 공간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1210)은 상기 다수의 외벽을 통해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하우징(1210)은 사각 기둥에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메인 하우징(1210)의 외형은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housing 1210 may accommodate and protect various parts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In addition, the main housing 121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station body 120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As an example, the main housing 12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However, the outer shape of the main housing 1210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protecting the parts by form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er station 10 .
스테이션 본체(120)는 먼지 포집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포집부(122)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먼지 포집부(122)는 메인 하우징(1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ng unit 122 .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part 122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21 .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210 .
먼지 포집부(122)는 집진 모터(127)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먼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지 포집부(122)는 공기는 투과되지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포집부(122)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4 참고)The dust collecting unit 122 may be provided so that wh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 the volume increases and the dust is accommodated therein. To this end,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air but does not transmi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s an example,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hen the volume is increased. (See FIG. 4 )
한편, 상기 메인 하우징(1210)을 구성하는 다수의 외벽은 상부벽(1210a)과 본체 측벽(1210b)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constituting the main housing 1210 may include an upper wall 1210a and a main body sidewall 1210b.
상부벽(1210a)은 스테이션 본체(120)의 상측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벽(1210a)은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A1) 방향 최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부벽(1210a)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per wall 1210a may form an upper outer shape of the station body 120 . The upper wall 1210a may refer to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urface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in the long axis A1 direction of the station body 12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upper wall 1210a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s well a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ground.
상부벽(1210a)은 일부 영역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테이션 본체(120)는 먼지 포집부 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포집부(122) 커버(123)는,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먼지 포집부(12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상부벽(1210a)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먼지 포집부(122)를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먼지 포집부(122)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먼지 포집부(122)는 소모성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upper wall 1210a may be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the station body 120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unit cover 123 . The dust collecting part 122 cover 123 may be arranged to open and close a portion of the upper wall 1210a to expose the dust collecting part 122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1210 to the outside.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1210 , it is easy to replace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 That is,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may be defined as a consumable part.
본체 측벽(1210b)은 메인 하우징(1210)의 측면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하우징(1210)이 사각기둥 형태인 경우 본체 측벽(1210b)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본체 측벽(12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본체 측벽(1211)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2 본체 측벽(1212), 제3 본체 측벽(1213) 및 제4 본체 측벽(1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참고)The main body sidewall 1210b may form a side profile of the main housing 1210 . As an example, when the main housing 1210 is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the main body sidewall 1210b may include a first main body sidewall 1211 disposed in the front, and in a state facing the first main body sidewall 1211, half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sidewall 1212 , a third body sidewall 1213 , and a fourth body sidewall 1214 arranged in a clockwise order (see FIG. 5A ).
본체 측벽(1210b)은 일부 영역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테이션 본체(120)는 헤파 필터 커버(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파 필터 커버(124)는,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헤파 필터(미도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제1 본체 측벽(1211)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헤파 필터를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헤파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main body sidewall 1210b may be provided so that a partial area thereof can be opened and closed. As an example, 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HEPA filter cover 124 . The HEPA filter cover 124 may be disposed to open and close a partial area of the first body sidewall 1211 to expose the HEPA filter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1210 to the outside.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HEPA fil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housing 1210, it is easy to replace or wash the HEPA filter.
하우징(121)은 연결부 하우징(1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21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housing 1220 .
연결부 하우징(1220)의 전면은 제1 본체 측벽(1211)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단을 형성한 형태로 구비되어 도킹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되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후방향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 하우징(1220)의 양 측면은 제2 본체 측벽(1212) 및 제4 본체 측벽(12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 하우징(1220)의 후면은 제3 본체 측벽(12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하우징(1220)은 전면, 양 측면 및 후면으로 둘러쌓인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220 may be connected to the docking part 110 by being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sidewall 1211 is concavely bent to the rear to form a step. Through this configuration, a space in which the cleaner 20 is docked to the docking unit 110 can be further secured, and the entire length of the cleaner station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for space utilizati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housing 1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body sidewall 1212 and the fourth body sidewall 1214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body sidewall 1213 . can be The connector housing 1220 may form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ront surface,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스테이션 본체(120)는 전원 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모듈은 연결부 하우징(1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원모듈(125)과 충전부(114)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125 . In this case, the power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20 . Throug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module 125 and the charging unit 114 can be minimized,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스테이션 본체(120)는 흡입관(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ipe 126 .
흡입관(126)은 도킹부(110)에 결합되며 먼지 포집부(122)의 내부로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유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관(126)의 일측 단부는 도킹부(110)의 흡입홀(113)과 결합되어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흡입관(126)이 연통될 수 있다. The suction pipe 126 is coupled to the docking unit 110 and may serve as a flow path for sucking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 One end of the suction pipe 126 is coupled to the suction hole 113 of the docking unit 110 so that when the cleaner 20 is docked in the cleaner station 10,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and the suction pipe 126 are can be communicated.
흡입관(126)은 제1 흡입관(1261) 및 제2 흡입관(1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관(1261)은 길이 방향 축이 하우징(121)의 장축(A1, 메인 하우징(1210)의 장축 또는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고) 제2 흡입관(1262)은 제1 흡입관(1261)에 연결되고 도킹부(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입관(1261)은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pipe 126 may include a first suction pipe 1261 and a second suction pipe 1262 . The first suction pipe 1261 may have a longitudinal axis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 housing 121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long axis of the main housing 1210 or the long axis of the station body 120). (FIG. 4) The second suction pipe 1262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ipe 1261 and extend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ocking unit 110. When the cleaner 20 is docked in the docking unit 110, the dust container of the vacuum cleaner 20 210 may be connected. The first suction pipe 126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21 .
스테이션 본체(120)는 집진 모터(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ng motor 127 .
집진 모터(127)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27)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가 흡입관(126)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모터(127)는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에서 먼지 포집부(1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27)가 구동하면 먼지 포집부(122)로부터 집진 모터(127)로 향하는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입관(1261)의 하측 단부는 제2 흡입관(1262)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제2 흡입관(1262)의 타측 단부는 도킹부(110)의 먼지 배출홀(220)과 연결되므로, 집진 모터(127)가 구동하면 연결관(128), 제1 흡입관(1261) 및 제2 흡입관(1262)으로 이어지는 유로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21 .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so that the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126 . More specifically,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may be disposed under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inside the main housing 1210 .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is driven, a suction force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to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may b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ction pipe 126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ction pipe 126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ction pipe 1262 is connected to the dust discharge hole 220 of the docking unit 110 and 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is driven, the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is sucked through the flow path leading to the connection pipe 128 , the first suction pipe 1261 , and the second suction pipe 1262 . can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연결관(128) 및 연결관 커버(129)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128 and the connector cover 12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스테이션 본체(120)는 연결관(128) 및 연결관 커버(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128 and a connector cover 129 .
도 6은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cover 129 is closed,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cover 129 is open.
연결관(128)은 흡입관(126)과 결합되며 청소모듈(30)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관(128)의 일측 단부는 제1 흡입관(12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연결관(128)의 다른 일측 단부는 먼지 포집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128)의 또 다른 일측 단부는 후술할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되어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되면 연결관(128)이 하우징(12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128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126 and the cleaning module 30 may be detachably disposed.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8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ction pipe 126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8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128 is coupled to a connector cover 129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connector cover 129 is opened, the connector 128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1 . .
연결관(128)은, 제1 흡입관(1261)의 길이 방향 축(L1)이 연결관(128)의 길이 방향 축(L2)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 흡입관(1261)과 결합할 수 있다.(도 6, 도 7 참고) 일 예로, 연결관(128)의 형상은 ‘T’형 배관의 형상에 유사할 수 있고, 연결관(128)의 수평방향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128a)는 먼지 포집부(122)에 결합되고 수평방향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128b)는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128c)는 제1 흡입관(12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ipe 128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ction pipe 1261 such that the longitudinal axis L1 of the first suction pipe 1261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L2 of the connecting pipe 128. ( 6 and 7) As an example,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ipe 128 may be similar to that of a 'T'-shaped pipe, and the first opening 128a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22, the second opening 128b disposed at the oth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cover 129, and the third opening 128c disposed at the low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first I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1261).
연결관(128)은,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청소모듈(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30)의 외경과 연결관(128)의 내경의 크기 차이는 청소모듈(30)의 외경과 연결관(128)의 내경이 맞물려서 끼움 결합되도록 최소한의 차이만을 가질 수 있다. 즉, 청소모듈(30)의 외경과 연결관(128)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ube 128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tube 128 . At this time,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28 may have only a minimum difference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28 engage and fit.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128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연결관 커버(129)는 하우징(121)에 배치되며 연결관(128)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 커버(129)는 하우징(121)의 일부 영역 즉, 내부에 연결관(128)이 배치되는 하우징(121)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 커버(129)는 제2 본체 측벽(1212)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 커버(129)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우징(121)의 외측 상부를 향해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The connector cover 129 is disposed on the housing 121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128 . The connector cover 129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artial region of the housing 121 , that is, a partial region of the housing 121 in which the connector 128 is disposed. For example, the connector cover 129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main body sidewall 1212 to be rotatably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the connector cover 129 may be coupled to a hing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21 , and may be opened by rotating toward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21 with the hinge as an axis.
도 6을 참고하면,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된 상태인 경우, 연결관(128)의 제2 개구부(128b)는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되어 폐쇄된다. 제2 개구부(128b)가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된다는 것은 제2 개구부(128b)가 연결관 커버(129)에 직접 맞닿아 결합하거나 중간에 별도의 구성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 커버(129)에 제2 개구부(128b)의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실링부(129a)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개구부(128b)는 실링부(129a)에 결합되어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개구부(128b)가 완전히 밀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집진 모터(12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를 향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도 6의 화살표 방향 참고)Referring to FIG. 6 , when the connector cover 129 is in a closed state, the second opening 128b of the connector 128 is coupled to the connector cover 129 to be closed. The coupling of the second opening 128b to the connector cover 129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128b directly contacts the connector cover 129 and is coupled or coupled through a separate configuration in the middle. have. For example, a sealing portion 129a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econd opening 128b may be provided on the connector cover 129 , and the second opening 128b may be coupled to the sealing portion 129a to form the connector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29 is closed, the second opening 128b may be completely sealed. That is, in this case, the suction force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may be provided only toward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refer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
도 7을 참고하면,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연결관(128)의 제2 개구부(128b)는 하우징(1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관(128)이 하우징(12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부(128b)를 통해 청소모듈(3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모듈(30)은 제2 개구부(128b)를 통해 연결관(128)의 길이 방향 축(L2)과 청소모듈(30)의 길이 방향 축이 나란하도록 연결관(128)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의 내부에 삽입되면 청소모듈(30)의 삽입된 일단은 먼지 포집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30)의 외주면에 의해 제1 흡입관(1261)의 상측 단부가 폐쇄된다. 즉, 이 경우 집진 모터(12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은 청소모듈(30)에만 제공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 방향 참고)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를 향해서는 흡입력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connector cover 129 is in an open state, the second opening 128b of the connector 128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1 so that the connector 128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21 . )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At this time, the cleaning module 30 may be coupl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8b. More specifically, the cleaning module 3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8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L2 of the connector 128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eaning module 30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8b. can be When the cleaning module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128 , the inserted end of the cleaning module 30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22 .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ction pipe 1261 is clos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30 . That is, in this case, the suction force by the driving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27 may be provided only to the cleaning module 30 (refer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 ), and the suction force is not provided toward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 will not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로 전환 밸브 등의 추가되는 부품이 없이도 연결관(128)에 청소모듈(30)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유로가 전환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되고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로부터 흡입관(126) 및 먼지 포집부(122)로 이동하는 먼지의 흡입 경로(제1 흡입 경로, 도 6의 화살표 방향 경로)는 폐쇄되고 하우징(121) 외부로부터 청소모듈(30) 및 먼지 포집부(122)로 이동하는 먼지의 흡입 경로(제2 흡입 경로, 도 7의 화살표 방향 경로)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에서 분리되고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되면 상기 제1 흡입 경로는 개방되고 상기 제2 흡입 경로는 폐쇄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have the effect of changing the flow path only by coupling the cleaning module 30 to the connection pipe 128 without additional parts such as a flow path switching valve. 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or cover 129 is opened and the cleaning module 3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8 , it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210 of the cleaner 20 to the suction pipe 126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22 . The suction path (the first suction path, the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 of the dust to The path, the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 ) may be opened. 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module 3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28 and the connector cover 129 is closed, the first suction path may be opened and the second suction path may be closed.
또한,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된 상태에서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에 결합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외부로부터 먼지가 흡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의류에 붙은 먼지의 제거. 애완동물의 털 관리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10) 주변의 먼지제거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도 8 참고)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module 3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8 while the connector cover 129 is open, dust may be sucked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 ,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dust attached to the clothes. .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pet hair or remove dust around the cleaner station 10 (refer to FIG. 8).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청소모듈 수납부(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스테이션 본체(120)는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130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있어서 청소모듈 수납부(130)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단독으로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130 is drawn out in the cleaner station 1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130 of FIG. 9 alone. and FIG. 11 is a view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of FIG. 9 as viewed from the top.
청소모듈 수납부(130)는, 하우징(121)에 배치될 수 있고 청소모듈(30)을 보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모듈 수납부(130)는 하우징(121)의 외형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수납부 커버(131) 및 수납부 커버(131)에 결합되고 하우징(121)의 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13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21 and may be provided to store the cleaning module 30 . More specifically,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130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131 and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131 forming a por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1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121 . It may include a drawer unit 132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or retracted.
수납부 커버(131)는 제1 커버(131a)와 제2 커버(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131a)와 제2 커버(131b)는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고, 청소모듈 수납부(130)가 하우징(12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21)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 하우징(121)의 외형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housing cover 131 may include a first cover 131a and a second cover 131b. Here, the first cover 131a and the second cover 131b may be connected to form a substantially vertical edge, and the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130 is drawn into the housing 121 at the edge of the housing 121 . It may be disposed in the region to form a por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121 .
또한, 상기 수납부 커버(131)는 일부 영역이 하우징(121)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경사홈(131c)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홈(131c)은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쥔 상태에서 서랍부(132)를 인출할 수 있도록 제1 커버(131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홈(131c)은 사용자가 경사홈(131c)에 손을 넣어 서랍부(132)를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전방 상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cover 131 may include an inclined groove 131c in which a partial area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 . The inclined groove 131c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ver 131a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drawer unit 132 while holding it by hand. The inclined groove 131c may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upper portion so that a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drawer 132 by putting a hand into the inclined groove 131c.
한편, 서랍부(132)는 연결관 커버(129)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서랍부(132)를 인출하여 청소모듈(30)을 꺼내는 동작, 연결관 커버(129)를 개방하는 동작 및 청소모듈(30)을 연결관에 결합시키는 동작이 한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동선이 최소화되어 청소모듈(30)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Meanwhile, the drawer unit 132 may be drawn ou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cover 129 is dispos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unit 132 to take out the cleaning module 30,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connector cover 129, and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cleaning module 30 to the connector can be performed in one direction. Therefore, the user's movement is minimized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increased.
서랍부(132)는 서랍부(132)의 저면을 정의하는 서랍부 바닥판(1321) 및 상기 서랍부 바닥판(1321)에 연결되며 상기 서랍부 바닥판(1321)과 함께 상기 청소모듈(30)을 보관하는 보관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서랍부 측벽(1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랍부 측벽(1322)은 제1 커버(131a)와 연결되는 제1 서랍부 측벽(1322a), 제1 서랍부 측벽(1322a)과 연결되는 제2 서랍부 측벽(1322b) 및 제2 서랍부 측벽(1322b)과 연결되는 제3 서랍부 측벽(1322c)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awer unit 132 is connected to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and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def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unit 132 , and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30 together with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 )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wer side walls 1322 form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More specifically, the drawer sidewall 1322 includes a first drawer sidewall 1322a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31a, a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connected to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and a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connected to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A third drawer sidewall 1322c connected to the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may be included.
이때, 제1 서랍부 측벽(1322a)은 전방에 배치되고 제3 서랍부 측벽(1322c)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서랍부 측벽(13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은 일부 영역의 높이가 청소모듈(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서랍부 측벽(1322)은 청소모듈(30)이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쓰러지지 않고 기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서랍부 측벽(1322c)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 영역(1322cc)을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으로도 칭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third drawer sidewall 1322c may be disposed at the rear.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drawer unit 1322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a partial area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30 . The drawer side wall 1322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30 may serve to support the cleaning module 30 to lean against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 .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drawer side wall 1322c may correspond to this. In this case, the partial area 1322cc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은 제2 커버(131b)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의 외면은 제2 커버(131b)의 내면에 대해 하우징(121b)의 내부를 향하는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단은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의 외면과 제2 커버(131b)의 내면이 실질적으로 맞닿아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형성된 단의 깊이는, 하우징(121)의 내부로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은 인입되되 제2 커버(131b)는 메인 하우징(1210)의 제3 본체 측벽(1213)과 함께 스테이션 본체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3 본체 측벽(1213)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은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우징(12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제2 커버(121)는 자연스럽게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게 되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설치시 후방측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랍부(132)가 완전히 하우징(121)의 내부로 인입되므로 이물질이 달라붙은 상태의 청소모듈(30)이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31b. Referring to FIG. 11 , the oute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may form a step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b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31b. The formed end may be formed by substantial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31b.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formed stage is,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1, and the second cover 131b is the third main body side wall 1213 of the main housing 1210 together with the station body. It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in body sidewall 1213 to form an external shape.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1 so as not to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station body 120 , and the second cover 121 is naturally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station body 120 . can form. In this case,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housing 121 , so that when the cleaner station 10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on the rear side. In addition, since the drawer unit 132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housing 121 , the cleaning module 30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 body 120 , thereby reducing user discomfor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랍부 측벽(1322)의 일부 영역(청소모듈 지지벽, 1322cc)은 청소모듈(30)의 길이보다 긴 높이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수납부 커버(13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랍부 측벽(1322)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121)에 서랍부(132)가 인입되었을 때 수납부 커버(13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서랍부 측벽(1322)의 상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ome areas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of the drawer side wall 1322 are formed to have a heigh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30 , and the rest ar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storage unit cover 131 . can be That is, the plurality of sidewalls 1322 of the drawer unit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rawer unit 132 is drawn into the housing 121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upper space of the side wall 1322 of the drawer unit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storage unit cover 131 .
서랍부(132)는 청소모듈 고정대(1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wer unit 132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odule holder 1323 .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제3 서랍부 측벽(1322c)에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청소모듈(30)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에서 서랍부(13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청소모듈(30)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홈(1323a)이 마련될 수 있다.(도 11 참고) 청소모듈 고정대(1323)의 일측 단부는 수납부 커버(131)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may be coupl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third drawer side wall 1322c. 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wrap and fix the cleaning module 30 . More specifically, 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1322cc toward the inside of the drawer 132 and extend,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inserted and fixed. A fixing groove 1323a may be provided. (See FIG. 11 ) One end of 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31 .
고정홈(1323a)은 고정홈 곡면부(1323aa)와 고정홈 평면부(1323a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홈 곡면부(1323aa)는 청소모듈(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청소모듈(30)의 외경이 이루는 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 평면부(1323ab)는 고정홈 곡면부(1323aa)의 단부에서 연결되며 청소모듈(30)이 충분히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홈(1323a)은, 사용자가 청소모듈(30)을 고정홈(1323a)에 삽입하는 동작을 할 때 고정홈(1323a)의 모서리에 청소모듈(30)이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홈 평면부(1323ab)의 단부에 고정홈(1323a)의 내측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고정홈 경사부(1323a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1323a may include a fixing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and a fixing groove flat portion 1323ab.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c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30 , and may be provided to form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 In addition, the fixed groove flat portion 1323ab is connected at the end of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and extend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ufficiently inserted and supported. have. The fixing groove 1323a is fixed to prevent the cleaning module 30 from collided with the edge of the fixing groove 1323a and damaged when the user inserts the cleaning module 30 into the fixing groove 1323a. A fixing groove inclined portion 1323ac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an inner side of the fixing groove 1323a may be further included at an end of the grooved flat portion 1323ab.
서랍부(132)는 청소모듈 고정대(1323)와 결합되어 청소모듈 고정대(1323)를 지지하는 리브(1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1324)는 청소모듈 고정대(1323)가 수납부 커버(131)와 연결되지 않는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awer unit 132 may further include a rib 1324 coupled to 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to support 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 The rib 1324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is not connected to the housing cover 131 .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청소모듈(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랍부 바닥판(1321)에서 적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holder 132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by an appropriate distance to stably support the cleaning module 30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통해 청소모듈(30)을 하우징(121)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서랍부(132)를 인출하여 청소모듈(30)을 꺼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20)와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tored inside the housing 121 through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cleaning module ( 30) can be taken out and used, so that the cleaner 20 and the cleaner station 10 can be more hygienically managed.
또한, 수납부 커버(131)가 하우징(121)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서랍부(132)가 하우징(121)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청소모듈(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깔끔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모듈(30)을 연결관과 결합하여 사용한 후 바로 보관할 수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cover 131 is configur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121 and the drawer part 132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retracted into the housing 121 , the cleaning module 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it is aesthetically pleasing. It is neat and can reduce the discomfort of the user, and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combined with the connector and stored immediately after use, thereby preventing loss.
청소모듈(30)은 사용한 후 먼지 등의 오염원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달라붙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염원은 청소모듈(30)을 보관하는 중에 청소모듈(30)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서랍부(132)가 인출되는 구조의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채용하여 서랍부(132)에 청소모듈(30)을 보관할 수 있게 되면, 청소모듈(30)의 보관 중 떨어져 나온 오염원은 하우징(121)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고 서랍부(132)의 보관 공간에 모이게 된다. 또한, 서랍부(132)에 모인 이러한 오염원은 사용자가 서랍부(132)를 인출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청소모듈(30)을 하우징(121)의 내부에 직접 넣어 보관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fter the cleaning module 30 is used, the contaminant such as dust may be stuck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removed. These pollutants may come out from the cleaning module 30 while the cleaning module 30 is stor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odule receiving part 13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rawer part 132 is drawn out is adopted. When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tored in the drawer unit 132 , pollutants that fall off during storage of the cleaning module 30 do not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1 and are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drawer unit 132 . . In addition, these pollutants collected in the drawer unit 132 can be easily removed by a user pulling out the drawer unit 132 .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er station 10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leaning module 30 is directly put inside the housing 121 and stored.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Claims (13)

  1.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In the vacuum cleaner station provided to suction and remove dust in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상기 청소기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도킹부; 및a docking unit to which the cleaner climbs and docks; and
    상기 도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흡입되는 스테이션 본체;를 포함하고,a station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ocking unit and through which dust inside the dust bin is sucked;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The station body,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가 배치되는 하우징;a housing in which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is disposed;
    상기 도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 포집부의 내부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a suction pipe coupled to the docking unit and configured to suck dust inside the dust bin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상기 흡입관과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a connection pipe coupled to the suction pipe, a separate cleaning module for extending the suction pi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detachably disposed.
  2.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결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The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cover disposed on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artial area of the housing.
  3.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결관은,The connector is
    상기 연결관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When the connector cover is opened, the cleaner sta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4.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결관은,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The connection pipe is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5.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흡입관은, The suction pipe is
    길이 방향 축이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흡입관; 및a first suction pipe having a longitudinal axis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and
    상기 제1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도킹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청소기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되면 상기 먼지통에 연결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고,a second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ipe and extend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ock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dust container when the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unit;
    상기 제1 흡입관은, 상기 제1 흡입관의 길이 방향 축이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The first suction pipe is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at an upper end so that a longitudinal axis of the first suction pipe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nnection pipe.
  6.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더 포함하고,and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so that the dust inside the dust bin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되면,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청소모듈에만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관의 상측 단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When the clean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ube and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uni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tube is closed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is provided only to the cleaning module.
  7.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보관하도록 구비된 청소모듈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The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provided to store the cleaning module.
  8.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청소모듈 수납부는,The cleaning module receiving unit,
    상기 하우징의 외형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수납부 커버; 및a receiving part cover forming a por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and
    상기 수납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and a drawer unit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and configured to be drawn out or retra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9.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수납부 커버는,The storage unit cover,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경사홈;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an inclined groove formed by recessing a partial area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연결관이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관 커버를 더 포함하며,Th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cover disposed on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서랍부는, 상기 연결관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The drawer unit is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drawn ou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cover is arranged.
  11.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서랍부는,The drawer unit,
    상기 서랍부의 저면을 정의하는 서랍부 바닥판; 및a drawer bottom plate defining a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and
    상기 서랍부 바닥판에 연결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모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청소모듈 지지벽;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a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drawer unit and formed to be longer than a length of the cleaning module to support the cleaning module.
  12.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서랍부는, The drawer unit,
    상기 청소모듈 지지벽에서 상기 서랍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청소모듈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The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module holder protruding from the cleaning module support wall toward the inside of the drawer unit.
  13.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청소모듈 고정대에는 상기 청소모듈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되고,The cleaning module holder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inserted,
    상기 고정홈은,The fixing groove is
    상기 청소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홈 곡면부; 및a fixed groove curved surface portion provid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and
    상기 고정홈 곡면부의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홈 평면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and a fixed groove flat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of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PCT/KR2021/018504 2020-12-09 2021-12-08 Cleaner station WO2022124782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95A KR20220081703A (en) 2020-12-09 2020-12-09 Station for cleaner
KR10-2020-0171495 2020-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782A1 true WO2022124782A1 (en) 2022-06-16

Family

ID=8197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504 WO2022124782A1 (en) 2020-12-09 2021-12-08 Cleaner st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1703A (en)
WO (1) WO202212478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41284A1 (en) * 2022-08-03 2024-0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ocking unit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81A (en) * 1991-11-29 1993-06-15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JP2016116850A (en) * 2014-12-19 2016-06-30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Base station for vacuum cleaner
US9492048B2 (en) * 2006-05-19 2016-11-15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KR20200073677A (en)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JP2020185379A (en) * 2019-04-18 2020-11-19 フォアベルク ウント コー. 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Method of operating cleaning system, base station, and filt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6321B2 (en) 2001-01-31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extruding tube material having irregular cross-section and die for extruding tube materi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81A (en) * 1991-11-29 1993-06-15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US9492048B2 (en) * 2006-05-19 2016-11-15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JP2016116850A (en) * 2014-12-19 2016-06-30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Base station for vacuum cleaner
KR20200073677A (en)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JP2020185379A (en) * 2019-04-18 2020-11-19 フォアベルク ウント コー. 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Method of operating cleaning system, base station, and filter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41284A1 (en) * 2022-08-03 2024-0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ocking unit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03A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5999A1 (en) Vacuum stand
WO2021002625A1 (en) Robot cleaner station
WO2017196027A1 (en) Vacuum stand
US20080105278A1 (en) Method for vacuum cleaning
KR20200025527A (en) A vaccum cleaner
WO2017196005A1 (en) Vacuum stand
WO2022124782A1 (en) Cleaner station
KR102295181B1 (en) Holder for cleaner and cleaner unit
WO2021215844A1 (en) Cleaning apparatus dock
CN113317716A (en) Vacuum cleaner docking device
JP2016131793A (en) Vacuum cleaner
WO2019146924A1 (en) Cleaner
JP2022116462A (en) vacuum cleaner
WO2022177185A1 (en) Station for cleaner
CN210697474U (en) Supporting frame
CN113317715A (en) Vacuum cleaner docking device
KR101823240B1 (en) Vacuum cleaner
WO2022080930A1 (en) Vacuum cleaner
WO2019146922A1 (en) Cleaner
WO2022080925A1 (en) Vacuum cleaner
WO2023003267A2 (en) Cleaner station
WO2022092573A1 (en) Cordless stick-type vacuum cleaner detachable auxiliary cleaning device for vehicle
CN211432699U (en) Dust collector
WO2024024992A1 (en) Vacuum cleaner station
WO2022124635A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3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3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