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24719A1 -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24719A1
WO2022124719A1 PCT/KR2021/018308 KR2021018308W WO2022124719A1 WO 2022124719 A1 WO2022124719 A1 WO 2022124719A1 KR 2021018308 W KR2021018308 W KR 2021018308W WO 2022124719 A1 WO2022124719 A1 WO 20221247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chromic
electrode layer
reg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308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김병동
김현종
남정규
최윤철
김성중
Original Assignee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29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1483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29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74991B1/en
Application filed by 립하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립하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247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247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Definitions

  •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 Electrochromism is a phenomenon in which a color is changed based on a redox reaction induced by an applied power.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defin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s no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power is applie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akes on a color, or, conversely, has a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lor disappears when power is applied. have characteristics.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11 and 12 are enlarged views of an edge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in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 the forming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may include forming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is formed.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be TiO 2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2 O 3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 a first conductive film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a second conductive film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a first circuit board is positioned on the first conductive film, and the second conductivity
  • An electrochromic element on which the second circuit board is positioned may be provided on the film.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igration.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TiO, V 2 O 5 , Nb 2 O 5 , Cr 2 O 3 , MnO 2 , FeO 2 , CoO 2 , NiO 2 , RhO 2 , Ta 2 O 5 , IrO 2 and WO 3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 Io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 the drawing shows that a plurality of ions 6000 are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in an initial state, the ions may be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at is, ions may be implan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SiO 2 .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2 O 3 .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2100 is extended. If there is, it may be an edge region including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in the cross-s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have.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non-discoloration region due to process deviation.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formed not on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the third contact surface C3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2100.
  • can have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formed to surrou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third contact surface C3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contact each other.
  •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2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21 .
  • the edge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S4000).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ll outer surfaces are removed based on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2100 . It may be a region from which the layer has been removed.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a region formed by a laser patterning process.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one region of the substrate 2100 and not on the other region of the substrate 2100 .
  • the substrate 2100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and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not disposed.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ochromic
  •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um 2300 may be adjusted.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econd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vary. Controll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can be adjusted.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have a region overlappi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FIB Fluorine Beam
  •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include a base 2710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balls 2730 .
  • the conductive ball 2730 may have conductivity.
  • the base 2710 defines an external shape of the conductive film 2700 , and the conductive ball 2730 may be embedded in the base 2710 .
  • 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a board including at least a first terminal 2911 and a second terminal 2913 .
  • the first terminal 2911 and the second terminal 2913 may perform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 the first terminal 2911 may perform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 the second terminal 2913 may perform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the electrochromic module compris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protective layer, where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medium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e boundary regions, respectively; the protective layer has a property of having a low moisture transmittance compared with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the substrate is transparent, and thus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change in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identified; the protective layer is disposed, so as to prevent material movement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exclu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the boundary region; and the substrate has the largest thickness among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Description

전기 변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장치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실시 예는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실시 예는 전기변색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mirror.
실시 예는 전기변색윈도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window.
실시 예는 전기변색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lens.
실시 예는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전기변색이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 환원 반응에 기초하여 색이 변경되는 현상이다. 상기 전기변색될 수 있는 물질은 전기변색물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색을 소멸하는 특성을 갖는다.Electrochromism is a phenomenon in which a color is changed based on a redox reaction induced by an applied power.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defin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s no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power is applie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akes on a color, or, conversely, has a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lor disappears when power is applied. have characteristics.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는 후방 미러(Rear View Mirror)의 후방차량의 강한 불빛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차단하거나,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유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Electrochromic devices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used to block the driver's view obstruction due to the strong light of the rear vehicle of the rear view mirror used in the vehicle, or to adjust the light transmittance or reflectivity of window glass for construction or automobile glass. has been
다만, 차량용 미러나 건축용 창유리에 이용되던 종래의 전기변색기술은 시간이 지남에따라 전기변색소자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유출로 노란색을 띄거나, 변색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전기적 연결 구조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탈색이 잘 일어나지 않아 고착되는 형태의 문제점들이 계속 생겨, 실제 제품화하는 단계까지는 오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chromic technology used for vehicle mirrors or architectural window glass is yellow due to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over time, the color-chang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or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s formed. Discoloration does not occur well in the location, so problems in the form of sticking continue to arise, and it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a long period of technology development until the stage of actual commercialization.
본 출원의 일 과제는, 외부 환경과 전기변색소자의 물질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a material of an electrochromic element with an external environment.
본 출원의 다른 과제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전기변색효율의 향상을 위해 설계된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module having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lu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designed to improve electrochromic efficienc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매체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기 기판의 하면,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이 바운더리 영역(boundary region)을 가지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판,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비해 수분 투과율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상기 기판은 투명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확인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와 외부 환경의 물질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바운더리 영역 중 상기 기판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protective layer,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electrochromic medium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form a boundary region and, the protective layer has a property of having a low moisture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and the substrate is transparent,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electric A change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color-changing medium is confirmed, and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ic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which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and wherein the substrate has the thickest thickness among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광학적 특성이 조절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 방법(manufacturing method)에 있어서, 기판 상에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1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제1 버스바를 도포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제2 버스바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1 버스바 및 상기 제2 버스바 상에 전기변색매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상에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및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버스바 및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전기변색매체와 접촉면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provide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chromic device in which optical properties are controlled based on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on a substrate; forming a first insulating region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pplying a first bus bar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bus bar to the second area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divided by the first insulating area; forming an electrochromic medium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wherein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protrude abov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bus ba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electrochromic medium.
본 출원에 의하면, 변색 이온의 저장이 강화되어, 전기변색 효율이 장기간 유지되고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된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module with enhanced storage of color-changing ions, maintaining electrochromic efficienc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본 출원에 의하면, 전기변색모듈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도체의 측면이 전기변색매체와 접촉면을 가져 전기변색효율이 향상되는 전기변색모듈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can be provided an electrochromic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is simpl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side of the conducto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electrochromic medium to improve the electrochromic efficiency.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내지 6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착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change during coloring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 내지 9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chang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scolored.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1 및 12는 전기변색모듈의 엣지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11 and 12 are enlarged views of an edge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에 있어서, 기판의 테두리에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의 보호층 및 전기변색매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s of a protectiv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edium when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an edge of a substrate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6 내지 도 18은 제1 실시예예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제작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6 to 18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9는 유리 기판의 측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FIB(Focused Ion Beam) 이미지이다.19 is a FIB (Focused Ion Beam) image in which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glass substrate.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1은 전기변색모듈의 엣지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21 is an enlarged view of an edge region of an electrochromic module.
도 22는 도 21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FIG. 21 .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제작함에 있어 변형되는 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odified process in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5는 도 24에 따른 테두리 절연 영역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edge insulating area according to FIG. 24 .
도 2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전기변색소자의 상면 및 절연 영역, 도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26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 insulating region, and a conductor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전기변색소자의 상면 및 절연 영역, 도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28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an insulating region, and a conducto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9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30은 제1 실시예 및/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제작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있다.3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or second embodiments.
도 3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2는 제2 절연 영역에 형성된 보호층을 설명하기 위해, 제2 절연 영역 및 제2 절연 영역의 주변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3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and the periphery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in order to explain the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도 33은 전기변색소자의 두께가 다른 위치에서의 제1 상면, 제2 상면및 연결면에서의 보호층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의 FIB(Focused Ion Beam) 이미지이다.33 is a FIB (Focused View) of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protective layer for explaining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on the first upper surface,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at posit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on Beam) image.
도 34는 전도체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 전기변색매체 및 제2 전극층의 구성 물질에 대응되는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 31의 전도체 상부 영역(CUR, Conductor Upper Region)을 확대한 확대도이다.3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ductor Upper Region (CUR) of FIG. 31 in order to explain the layers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electrochromic medium,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conductor. .
도 35는 도전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추가층을 설명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 및 추가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의 FIB(Focused Ion Beam) 이미지이다.35 is a FIB (Focused Ion Beam) image of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n additional layer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or.
도 36은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부착된 전기변색모듈의 사시도이다. 3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chromic module to which a circuit board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부착된 전기변색소자의 분해도이다.37 is an exploded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to which a circuit board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8은 회로기판이 부착된 전기변색모듈에 대하여, 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3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to which a circuit board is attached.
도 39 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한 순서도이다.39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also, an element or layer may be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component or layer. What is referred to includes all cases in which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in the middle as well as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mponent or laye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principle.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매체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기 기판의 하면,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이 바운더리 영역(boundary region)을 가지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판,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비해 수분 투과율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상기 기판은 투명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확인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와 외부 환경의 물질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바운더리 영역 중 상기 기판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protective layer,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electrochromic medium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form a boundary region and, the protective layer has a property of having a low moisture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and the substrate is transparent,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electric A change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color-changing medium is confirmed, and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ic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which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and wherein the substrate has the thickest thickness among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전기변색매체는,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including an ion storage layer, an electrolyt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chromic module.
상기 전기변색매체는, 상기 제1 전극층의 상에 위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전극층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 first region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region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상기 보호층이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위치된 보호층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제2 영역을 가리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protective layer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covers the second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전기변색매체는, 상기 이온 저장층 상에 상기 전해질층이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층 상에 상기 전기변색층이 위치하고,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electrochromic medium, the electrolyte layer is positioned on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is positioned on the electrolyt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이온 저장층은 상기 제1 전극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온 저장층은 기판과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전해질층이 상기 이온 저장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해질층은 기판과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전해질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기판과의 접촉면을 가지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ion storage laye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bstrate, the electrolyt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electrochromic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bstrate.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위치된 제1 보호층과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위치된 제2 보호층은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제1 지점과 상기 제2 영역의 제2 지점은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 first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nd a first point in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in the second region The points may be provided with electrochromic modul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이고,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는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에 비해 큰,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point is a point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greatest, the second point is a point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the smallest,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at the first point is the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which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at the second point.
상기 제2 영역 중 두께가 가장 두꺼운 제3 지점은,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전극층에 가장 가까운 지점이고, 상기 제3 지점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두께에 비해 작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Tapered shape)을 가지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 third point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among the second areas is a point closest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in the second area, and a thickness at the third point is smaller than a thickness at the first point, and Region 2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chromic module having a tapered shape from the third point to the second point.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큰,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in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위치되는 제1 보호층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보호층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을 통한 상기 물질의 이동은 상기 보호층을 통해 저지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비해 면적이 넓은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을 통한 상기 물질의 이동은 상기 보호층 및 상기 보호필름을 통해 저지되고, 상기 물질의 이동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이온이 화합물의 형태로 유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positioned on the protective layer, wherein the protective film is fixed to the first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second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Since it is not fixed,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preven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ich has a larger area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which is preven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and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includes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 the form of a compound.
상기 보호층은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틈(gap)은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층 사이의 틈에 비해 작은,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through an ALD process, so that a gap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smaller than a gap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otectiv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보호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TiO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Al2O3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first layer may include TiO 2 , and the second layer may include Al 2 O 3 ,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이 반복 적층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odule in which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repeatedly stacked.
상기 보호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층은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wherein the first layer is 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nd the second layer is formed through an ALD process.
상기 제1 층은 SiN층, Al층 및 SiN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TiO2층 및 Al2O3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layer includes a SiN layer, an Al layer and a SiN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es a TiO 2 layer, an Al 2 O 3 layer, a TiO 2 layer, an Al 2 O 3 layer, a TiO 2 layer, and an Al 2 O 3 layer. An electrochromic module comprising a layer may be provided.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이고,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곡면 영역 상에는 상기 보호층이 위치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substrate is a glass substrate, has at least one curved area, and the protective layer is positioned on the curved area.
상기 기판은 제1 곡면 및 제2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제2 곡면에 비해 상기 제1 전극층에 가까우며,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에는 보호층이 위치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substrate includes a first curved surface and a second curved surface, the first curved surface is closer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than the second curved surface, and a protective layer is positioned o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electrochromic A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제1 곡면에 상기 전기변색매체가 위치되고, 상기 제2 곡면에 상기 전기변색매체가 위치하지 않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located o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not located on the second curved surface.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적어도 상기 제2 전극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절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라인에 대응되는 공간에는 상기 보호층이 형성되는,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include an insulating line formed to pass through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odule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sulating line.
상기 절연라인은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전기변색매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를 관통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두께를 가지는 위치에서의 제1 상면 및 제2 두께를 가지는 위치에서의 제2 상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2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에 비해 큰,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ine penetrates through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at a posi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upper surface at a posi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wherein the first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상기 제1 상면, 상기 제2 상면 및 상기 연결면에는 보호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연결면의 교차지점에서의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상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의 두께보다 큰,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upper surface,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an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A larg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제2 전극층은 반사층인, 전기변색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a reflectiv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광학적 특성이 조절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 방법(manufacturing method)에 있어서, 기판 상에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1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제1 버스바를 도포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제2 버스바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1 버스바 및 상기 제2 버스바 상에 전기변색매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상에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 및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버스바 및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전기변색매체와 접촉면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provide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chromic device in which optical properties are controlled based on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on a substrate; forming a first insulating region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pplying a first bus bar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bus bar to the second area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divided by the first insulating area; forming an electrochromic medium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wherein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protrude abov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bus ba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전기변색매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층 상에 이온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may include forming an electrochromic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an electrolyt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forming an ion storage layer on the electrolyte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may be provided.
상기 전기변색매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저장층 상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층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may include forming an ion storage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an electrolyte layer on the ion storage layer, and forming an electrochromic layer on the electrolyte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may be provided.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면에는 상기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위치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re may be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have.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저장층 상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층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때,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면에, 상기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1 층, 상기 전해질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2 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3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on storage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through the steps of forming an ion storage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ing an electrolyte layer on the ion storage layer, and forming an electrochromic layer on the electrolyte layer When th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the first layer composed of the material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There may be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 which a second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a third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에 위치한 물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버스바와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에 전도성매개물질을 위치시키고 후처리를 통해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상기 후처리는 열의 제공 및 압력의 제공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유발됨-,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orming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may include penetrating a material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bus bar.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lacing a conductive mediu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and attaching it through post-treatment, wherein the post-treatment is caused by at least one of heat and pressure can be provided.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버스바의 상면에 위치한 물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버스바와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버스바의 상면에 전도성매개물질을 위치시키고 후처리를 통해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상기 후처리는 열의 제공 및 압력의 제공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유발됨-,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forming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a conductive medium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so that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econd bus bar is formed through the material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and th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ttaching through treatment, wherein the post-treatment is caused by at least one of application of heat and application of pressure.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성매개물질 상에 회로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매개물질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인,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may include: forming a circuit board on the conductive medium material, wherein the conductive medium material is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can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2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re may be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ubsequent to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to form a second insulating region.
상기 제2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형태로 수행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may be per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제2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을 형성한 위치에 상기 제2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may include forming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is formed.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의 일부와 대응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 part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ma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상기 제1 전극층의 일 영역이 폐곡선의 형태로 레이저 식각되어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is formed by laser etching a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so as to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can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전극층이 제거된 제2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상기 제1 전극층의 일 영역이 완전히 제거되는 형태로 레이저 식각되어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region is formed by laser etching in a form in which on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completely removed so as to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region from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remove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2 전극층에 비해 낮은 수분 투과율을 가지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Forming the protective lay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has a lower moisture transmittance than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s provided can be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통해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The forming of the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sequentially forming a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through an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rocess.
상기 제1 보호층은 TiO2이고, 상기 제2 보호층은 Al2O3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be TiO 2 ,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2 O 3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통해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repeatedly forming a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through an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rocess.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sequentially forming a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제1 보호층은 SiN이고, 상기 제2 보호층은 Al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be SiN,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변색매체;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제2 도전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은, 절연 영역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도전체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도전체가 위치하고, 상기 제1 도전체의 측면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도전체의 측면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지되,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제어되어,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광학적 특성이 조절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edium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 first conductor having higher conductiv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conductor having higher conductiv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ayer h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eparated by an insulating region, the The first conductor is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conducto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reg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is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and has a contac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is the It has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an electrochromic medium, wherei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protrude abov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ccording 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electrical propertie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 및 상기 제2 도전체의 상면에는 상기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위치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element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may be provided.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 및 상기 제2 버스바의 상면에는, 상기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1 층, 상기 전해질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2 층, 상기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3 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4 층이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a first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a second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electrolyte layer, and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a third layer made of a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fourth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formed.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에는 제1 전도성 필름이 위치되고, 상기 제2 도전체의 상면에는 제2 전도성 필름이 위치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필름 상에는 제1 회로 기판이 위치되고, 상기 제2 전도성 필름 상에는 제2 회로 기판이 위치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 first conductive film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a second conductive film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a first circuit board is positioned on the first conductive film, and the second conductivity An electrochromic element on which the second circuit board is positioned may be provided on the film.
상기 절연 영역은,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극층이 위치하는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insulating reg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heigh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상기 제2 전극층은 엣지절연영역에 의해 구분되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가지고, 상기 엣지절연영역은,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element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layer has a third region and a fourth region divided by an edge insulating region, wherein the edge insulating region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hav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 소자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변색매체;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제2 도전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은 일부 영역이 제거된 형상을 가져, 상기 기판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전극층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도전체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이 없는 상기 기판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2 도전체가 위치하고, 상기 제1 도전체의 측면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도전체의 측면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지되,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제어되어,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광학적 특성이 조절되는, 전기변색 소자가 제공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medium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 first conductor having higher conductiv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conductor having higher conductiv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ayer has a shape in which a partial region is removed, and has a smaller area compared to the substrate, The first conductor is position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conductor is positioned in one region of the substrate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is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to form a contact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is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and has a contact surface, wherei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protrude abov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first conductor and the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applied to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adjusted.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장치는, 전기력이 인가됨으로 인해 빛의 파장대에 따른 투과율이 조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장치는, 전기변색미러일 수 있고, 전기변색윈도우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윈도우는 차량용 유리, 건축용 유리, 안경용 렌즈, 카메라용 렌즈 등에 이용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fer to a device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ransmittance according to a wavelength band of light can be adjusted due to the application of electric force. Illustratively, the electrochromic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n electrochromic mirror or an electrochromic window. The electrochromic window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for vehicle glass, architectural glass, glasses lens, camera lens, and the like.
1. 전기변색장치 개괄1. Overview of electrochromic device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1)는 제어모듈(1000) 및 전기변색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chromic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1000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상기 전기변색장치(1)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1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2 .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전기변색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모듈(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모듈(1000)에 전압 및/또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모듈(1000)에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1 . 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voltage and/or current to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to the control module 1000 .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구동전원을 통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탈색 또는 착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탈색 또는 착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generate driving power based on the power in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and supply it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driv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hrough the driving power.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djust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discolor or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o be discolored or colore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탈색 또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반사율이 변경될 수 있다.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hanged by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or 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미러일 수 있다. 상기 변색소자(2000)는 윈도우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반사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윈도우일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a mirror. The color-changing element 2000 may be a window.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mirror,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window,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착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탈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mirror,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colored,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decrease, and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can increase the reflectivity.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착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감소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탈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window,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decreases, and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may increase the transmittance.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1000)은 제어부(1100), 전원변환부(12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0 , a power conversion unit 1200 , an output unit 1300 , and a storage unit 1400 .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전원변환부(12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 the output unit 1300 , and the storage unit 1400 .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1300)로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output it to the output unit 1300 to control the voltage output by the output unit 130 .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외부전원(2) 또는 상기 전원변환부(1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operate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o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
상기 제어부(1100)가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강하시켜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100 operates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control unit 11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verting power. For example, when receiving an A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controller 1100 may convert the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use it for operation.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control unit 1100 may lower the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and use it for operation.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receive current and/or voltag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receive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내부전원을 상기 제어모듈(1000)의 각각의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제어부(11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로 상기 내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제어모듈(10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원일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상기 제어부(11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가 상기 제어부(1100)로 내부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0)에는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generate internal power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2 to generate internal powe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supply the internal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supply the internal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0 , the output unit 1300 , and the storage unit 1400 . The internal power may be an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control unit 1100 , the output unit 1300 , and the storage unit 1400 may operate by the internal power supply.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supplies internal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0 , the control unit 1100 may not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0 may be omitted.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level of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into DC powe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into AC power.
일 예로,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한 후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가 외부전원(2)으로부터 교류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직류전압으로 변경한 후 변경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공급받은 전원을 직접적으로 조정하는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고, 펄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level after chang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to DC power.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receives the A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DC voltage and then change the level of the changed DC voltage. In this cas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include a regulato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include a linear regulator that directly adjusts the supplied power, generates a pulse based on the supplied power, and outputs an adjusted voltage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pulse It may include a switching regulator (switching regulator).
다른 예로, 상기 전원변환부(1200)가 외부전원(2)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공급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receives a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supplied DC voltage.
상기 전원변환부(120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전원은 다수의 전압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0)는 상기 제어모듈(10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The internal power output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ltage levels.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generate internal power having a plurality of voltage levels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1000 to operate.
상기 출력부(1300)는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내부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다른 레벨을 가지는 구동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The output unit 130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based on the internal power. The output unit 130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0 . The output unit 1300 may apply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output unit 1300 may output driving voltages having different leve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0 . That is, the output unit 130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driving volt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0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0 .
상기 구동전압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과 탈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착색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탈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탈색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특정레벨이 0인 경우 상기 구동전압의 극성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착색 또는 탈색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Coloring and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range of the driving voltage.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bove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lored, an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below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Alternatively, when the driving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an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lower than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lored. When the specific level is 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to a colored or discolored state by the polarity of the driving voltage.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가 결정될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는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 또는 탈색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구동전압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정도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벨보다 큰 제2 레벨의 구동전압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정도보다 큰 제2 정도로 착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큰 레벨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정도는 더 클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더 큰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더 큰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correspond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The degree of coloring or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For example, when a driving voltage of a first level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olored to a first degree. When a driving voltage of a second level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olored to a second degree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That is, when a large level of voltage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degree of coloring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greater. When a larger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mirror,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decrease. When a lar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window,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decrease.
상기 저장부(1400)는 상기 구동전압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0)는 상기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0)에는 상기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0 may store data related to the driving voltage. The storage unit 1400 may store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The storage unit 1400 may store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상기 제어부(1100)는 외부로부터 변색정도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저장부(1400)로부터 로드하여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출력부(1300)를 제어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0)는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변색정도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저장부(1400)로부터 로드하여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출력부(1300)를 제어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receive a degree of discoloration from the outside, load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storage unit 1400 , and generate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by controlling the output unit 1300 . The control unit 1100 determines the degree of discoloration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loads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storage unit 1400,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1300 to generate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can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may include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사이에는 전기변색층(2330)이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일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액체 타입의 전기변색물질층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상기 액체 타입의 전기변색물질이 봉지되어 위치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젤 타입의 전기변색물질층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상기 젤 타입의 전기변색물질이 경화되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고체 타입의 전기변색물질층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단일층(single layer)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멀티층(multi-layer) 형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a liquid-type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In other words,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liquid-type electrochromic material is encapsulated and located.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a gel-type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In other words,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by curing the gel-type electrochromic material.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a solid-type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layer, or may be in the form of a multi-layer.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전극층(2200), 제2 전극층(24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d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제1 전극층(2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어느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transmit incident ligh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reflect the incident light, and the other may transmit the incident light.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어느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transmit incident light.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reflect incident light.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인듐(indium), 주석(tin), 아연(zinc), 및/또는 옥사이드(oxide)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doped) 금속(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doped with at least one of indium, tin, zinc, and/or oxide. Metal.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zinc oxide (ZnO), or indium zinc oxide (IZO).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어느 하나는 투명전극이 되고, 나머지 하나는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층(2400)은 투명전극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금(Au), 은(Ag)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240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ther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chromium (Cr), titanium (Ti), gold (Au), silver (Ag), and tungsten (W). may include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되거나,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되거나,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기 전기변색층(2330)은 변색될 수 있다.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by ions flowing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or flowing out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discolored by ions flowing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or flowing out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는 이온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탈색될 수도 있다.Io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light absorp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in color.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in color. Alternatively,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and decolorized.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된 이온은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탈색될 수 있다.Ions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leased.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As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ized. As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atively discolored. As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ized. Alternatively,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TiO, V2O5, Nb2O5, Cr2O3, MnO2, FeO2, CoO2, NiO2, RhO2, Ta2O5, IrO2 및 WO3 등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물리적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igratio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TiO, V 2 O 5 , Nb 2 O 5 , Cr 2 O 3 , MnO 2 , FeO 2 , CoO 2 , NiO 2 , RhO 2 , Ta 2 O 5 , IrO 2 and WO 3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이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 에 유입되거나,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 에 유입되거나,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변색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store ions.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by ions flowing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or flowing out from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by ions flowing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or flowing out from the ion storage layer 2310 .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는 이온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탈색될 수도 있다.Io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in color.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in color. Alternatively,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nd decolorized.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된 이온은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탈색될 수 있다.The ions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lease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As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As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atively discolored. As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Alternatively,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상기 이온저장층(2310) 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전기변색층(2330)은 IrO2, NiO2, MnO2, CoO2,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및 titanium-vanadium oxide 등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물리적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물리적 내부구조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물리적 내부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igrati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IrO 2 , NiO 2 , MnO 2 , CoO 2 ,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and titanium-vanadium oxide. can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The physical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fferent from the physical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 사이의 이온의 이동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이온의 입장에서는 이동통로가 되는데 반해, 전자의 입장에서는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온은 이동할 수 있으나 전자는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와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으나, 전자를 교환할 수는 없다.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a passage of ions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serve as a movement path for ions, whereas it may act as a barrier for electrons. That is, ions can move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but electrons cannot. In other words,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can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but cannot exchange electrons.
상기 전해질층(232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고체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및 Hf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a solid.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SiO 2 , Al 2 O 3 , Nb 2 O 3 , Ta 2 O 5 , LiTaO 3 , LiNbO 3 , La 2 TiO 7 , La 2 TiO 7 , SrZrO 3 , ZrO 2 , Y 2 O 3 , Nb 2 O 5 , La 2 Ti 2 O 7 , LaTiO 3 , and HfO 2 may be included.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면, 이탈된 이온이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면, 이탈된 이온이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은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released ions may flow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separated ions ar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introduced. The ions may move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은 서로 다른 반응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은 서로 반대되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환원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될 수 있다.Chemical reactions occurr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have opposite chemical reactions.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iz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reduc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이에 따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대향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serve as a counter electrod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이온의 이동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The stat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by movement of ions.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는 서로 대응되는 광학적 상태변경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도 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도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환원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Corresponding optical state changes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also be 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also be discolored. hav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atively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in color,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reduced in colo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atively colored. have.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에는 서로 다른 광학적 상태변경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탈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탈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서로 다른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서로 다른 투과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의 서로 다른 광학적 상태 변경에 의해서도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가 조정될 수 있다.Different optical state changes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hav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atively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nd 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ized and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nd colored. hav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have different transmittances. Sinc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have different transmittance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also changed by different optical stat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는 착색된 층의 투과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착색되었을 때 투과도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착색되었을 때 투과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을 착색시켰을 때,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을 착색시켰을 때의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착색층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transmittance of a colored layer, the transmittanc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is the transmittance whe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colored. When smaller than that,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smaller than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whe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colored. Accordingly,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olored layer.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9를 통해 전기변색장치(1)의 상태 변경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
전기변색장치(1)의 상태 변경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전기변색장치(1)는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층(2330), 전해질층(2320), 이온저장층(2310) 및 제2 전극층(240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형태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하나의 실시예를 선택한 것일 뿐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나, 추가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본 출원의 권리범위에서 제외하려는 의도는 아니다.In describing the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 the electrochromic device 1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an electrolyte layer 2320, an ion storage layer 2310,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200.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 two electrode layers 2400 are stacked in ord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selected for ease of explanation. When the posit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changed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case of further including an additional layer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4내지 6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착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change during coloring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초기 상태(즉, 탈색된 상태)의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 an initial state (ie, in a discolored state).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초기 상태에서의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어모듈(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 the initial state of the embodi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특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o control a specific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have.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는 다수의 이온(60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온(6000)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형성과정에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6000)은 H+ 및 Li+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 plurality of ions 6000 may be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plurality of ions 6000 may be implant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6000 may be at least one of H+ and Li+.
도면에서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다수의 이온(6000)이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이온은 전기변색층(2330) 및 전해질층(232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기변색층(2330) 및 전해질층(2320)의 형성과정에서도 이온이 주입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a plurality of ions 6000 are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in an initial state, the ions may be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at is, ions may be implan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다수의 이온(6000)이 위치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탈색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ions 6000 are locat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so that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in a reduced and decolorized state.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특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를 가지고 상기 제2 전극층(2400)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를 가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a specific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control module 1000 control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o have a relatively low potential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o have a relatively high potential, so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A potential difference may be controlled to occur between the electrode layers 2400 .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층(2200)에 전자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제어모듈(1000)로부터 상기 제1 전극층(22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과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제1 전극층(2200)의 일측의 컨택영역에서 연결되므로, 상기 제어모듈(1000)을 통해 상기 컨택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는 상기 제1 전극층(2200)을 따라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전자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전체영역에는 전자가 배치된다.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electrons may flow in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ns may move from the control module 1000 towar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Since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e connected in a contact area on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electrons moved to the contact area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0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It may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long a line 2200 . Electrons are disposed in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y electron movement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o the other side.
상기 전자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다수의 이온(6000)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전자와 다수의 이온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6000)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와 이온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600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이온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전극층(2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6000)은 상기 전자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이온(6000)의 이동통로로 이용되고, 상기 전자의 이동을 막으므로,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600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머무를 수 있다.Since the electrons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the plurality of ions 6000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electrons and the ions 6000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due to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plurality of ions. can The electrons and the ions 6000 may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ions. The electrons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y attraction with the ions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ions 600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y attraction with the electrons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used as a passage for the ions 6000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so that the electrons and the ions 6000 can stay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
상기 이온(6000)이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유입됨으로써 이온을 얻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착색되고, 이온을 잃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60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변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60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착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 및/또는 탈색을 유도할 수 있는 이온(6000)을 변색 이온으로 지칭할 수 있다.As the ions 6000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n which ions are obtained may be reduced in color,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in which ions are lost may be oxidized. That is,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6000 .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6000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ons 6000 capable of inducing coloring and/or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referred to as color-changing ions.
상기 전자의 제1 전극층(2200)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방향으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는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전극층(24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복합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위치하던 이온(6000) 또한 상기 전자가 유입되는 영역에서의 이동이 먼저 일어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occur simultaneously. That is, the electrons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o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ions 6000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also first move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ns are introduced due to the combined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즉,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어모듈(10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의 이온이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먼저이동하고,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어모듈(10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이온은 나중에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먼저 변색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에서 나중에 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영역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외곽영역에 위치한다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변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순차적으로 착색될 수 있다.That is, ions in a region adjacent to a contact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firs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control Ions in a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region to which the module 1000 is electrically connected may move later. According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first in an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and may be discolored later in an area separated from the contact area. For example, if the contact region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in order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sequentially colored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는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유입되는 전자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의 변색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유입되는 전자의 개수는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22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유입되는 전자의 개수는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220)의 전위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electrons introduced by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number of electrons introduced by the control module 10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220 by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number of electrons introduced by the control module 1000 may be determined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220 . That is,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by adjusting the voltage level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도 6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이 완료된 경우 이온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s of ions when the color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comple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유입된 전자와 전자에 의해 이동한 이온(6000)이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되어 전기적 평형상태가 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태가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6 , when electrons introduced by the control module 1000 and ions 6000 moved by electr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are in an electrical equilibrium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is maintained.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 상태는 유지되는데, 이를 메모리 효과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maintained,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memory effect.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존재하는 이온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머물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Even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by the control module 1000 , ions present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remain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thus the electrochromic 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device 2000 may be maintained.
도 7 내지 9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chang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scolored.
도 7은 초기상태(즉, 착색된 상태)의 전기변색장치의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 an initial state (ie, colored state).
도 7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초기 상태에서의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어모듈(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 the initial state of the embodi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착색상태이므로,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는 다수의 이온(6000)이 위치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in a colored state, a plurality of ions 6000 may be positio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다수의 이온(6000)이 위치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착색된 상태이고,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된 상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ions 6000 are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so that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in an oxidation-colored state,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in a reduced-colored stat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전압을 인가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control module 1000 applies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상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특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를 가지고 상기 제2 전극층(2400)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를 가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a specific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control module 1000 control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o have a relatively high potential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o have a relatively low potential, so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A potential difference may be controlled to occur between the electrode layers 2400 .
상기 탈색과정에서의 전위차는 도 4의 착색과정에서의 전위차와 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착색과정에서 제1 전극층(2200)은제2 전극층(2400)에 비해 낮은 전위를 가질 수 있고, 탈색과정에서 제1 전극층(2200)은 제2 전극층(2400)에 비해 높은 전위를 가질 수 있다.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bleaching process may be opposit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coloring process of FIG. 4 . That is, in the coloring proces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have a lower potential tha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in the discoloring proces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have a higher potential tha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2 전극층(2400)에 전자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제어모듈(1000)로부터 상기 제2 전극층(24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은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일측의 컨택영역에서 연결되므로, 상기 제어모듈(100)을 통해 상기 컨택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는 상기 제2 전극층(2400)를 따라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전자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전체영역에는 전자가 배치된다.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electro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ns may move from the control module 1000 towar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Since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connected in a contact area on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electrons moved to the contact area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t may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long the electrode layer 2400 . Electrons are dispos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due to electron movement from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o the other side.
상기 전자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다수의 이온(6000)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전자와 다수의 이온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6000)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와 이온(6000)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이온(6000)은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이온(6000)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층(24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6000)은 상기 전자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층(24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이온(6000)의 이동통로로 이용되고, 상기 전자의 이동을 막으므로,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6000)은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머무를 수 있다.Since the electrons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the plurality of ions 600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ns and the ions 6000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due to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plurality of ions. can The ions 6000 may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ions 6000 . The electrons may move towar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by attraction with the ions 6000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s 6000 may move towar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by attraction with the electrons and may flow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used as a movement path of the ions 6000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so that the electrons and the ions 6000 can stay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
상기 이온(6000)이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 유입됨으로써 이온을 얻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탈색되고, 이온을 잃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탈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60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변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60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탈색될 수 있다.As the ions 6000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ion storage layer 2310, which has obtained ions, may be oxidized and decolorized,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which has lost ions, may be reduced and decolorized. That is,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6000 .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6000 .
상기 전자의 제2 전극층(2400)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과 상기 제1 전극층(2200) 방향으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는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전극층(2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의 복합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위치하던 이온(6000) 또한 상기 전자가 유입되는 영역에서의 이동이 먼저 일어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occur simultaneously. That is, the electrons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o b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Due to the complex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ions 6000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also first move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ns are introduced.
즉, 상기 제2 전극층(2400)과 상기 제어모듈(10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의 이온이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 먼저이동하고, 상기 제2 전극층(2400)과 상기 제어모듈(10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이온은 나중에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먼저 변색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에서 나중에 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영역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외곽영역에 위치한다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변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순차적으로 탈색될 수 있다.That is, ions in a region adjacent to a contact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control Ions in a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region to which the module 1000 is electrically connected may move later. According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first in an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and may be discolored later in an area separated from the contact area. For example, if the contact region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in order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That is, the color may be sequentially discolored from the outer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o the central region.
도 9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이 완료된 경우 이온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ions when the color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complet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유입된 전자와 전자에 의해 이동한 이온(6000)이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되어 전기적 평형상태가 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태가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9 , when electrons introduced by the control module 100 and ions 6000 moved by electr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and are in an electrical equilibrium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is maintained.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탈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존재하는 이온은 상기 이온저장층(2310) 에 머물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maintain a discolored state. Even if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by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ions present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remain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u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device 2000 may be maintained.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 전기변색모듈2. Electrochromic module
위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전기변색소자(2000)는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이동에 의해 광학적 성질의 변화가 유도되는 특성을 가진다. 일 예로, 전기변색소자(2000)는 변색 이온의 이동에 따라 전기변색소자(2000)는 투과율이 조정될 수 있고, 반사율이 조정될 수 있으며, 색좌표 값이 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a change in optical properties is induced by movement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For example,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ransmittance may be adjusted, reflectance may be adjusted, and color coordinate value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movement of color-changing ions.
따라서,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은, 전기변색소자(2000)가 고유한 특성을 발현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전기변색소자(2000)는 변색 이온의 유출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보호층(250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3000)의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According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needs t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to reduce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은 도3을 설명하면서 이미 자세히 설명한바 있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es a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a protective layer 2500 . ) may be include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so the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decide to do
기판(2100)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물체일 수 있다. 상기 기판(2100)은, 선루프, 차량용 유리, 건축용 유리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에 사용되는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2100)은, 안경, 선글라스 또는 고글 등에 사용되는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2100)은, 차량용 룸미러, 차량용 사이드 미러 또는 스마트 미러 등에 사용되는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The substrate 2100 may be an object having a property through which light may be transmitted.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for a sunroof, vehicle glass, architectural glass, or a head-up display (HUD).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for glasses, sunglasses, or goggles.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a vehicle side mirror, or a smart mirror.
기판(210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2100)은 유리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기판(21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2100 may be various. For example,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formed of glass. As another example,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formed of plastic.
기판(210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2100)은 평평한 양면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고, 볼록한 한면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고, 오목한 한면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고, 볼록한 한면 및 오목한 한면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고, 볼록한 양면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고, 또는 오목한 양면을 가지는 기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may vary. For example, the substrate 2100 may be a substrate having flat both sides, a substrate having one convex side, a substrate having one concave side, a substrate having one convex side and one concave side, and both convex sides. It may be a substrate having a , or may be a substrate having concave both surfa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판(21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2100)은 네모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정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may vary. For example, the substrate 2100 may have a square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 atypical shape.
기판(2100)은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기준 레이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2100) 상에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증착되는 형태로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상기 기판(2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The substrate 2100 may serve as a reference layer o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electrolyte layer 232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formed. .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2100 .
보호층(25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와 외부 환경의 물질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추가층일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이온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추가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변색이온이 유출"된다는 것은, 변색이온 자체가 유출되는 것 외에도 변색이온이 다른 이온과 만나 화합물의 형태로 전기변색소자(2000)에서 이탈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변색이온이 유출”된다는 것은, 직적접으로 변색이온이 전기변색소자(2000)에서 빠져나온다는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색이온이 다른 형태로 전기변색소자(2000)에서 이탈되어 전기변색소자(2000)에 저장된 변색 이온의 수가 간접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n additional layer formed to prevent material movement betwe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n additional layer formed to prevent leakage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eaking out color-changing ions" refers to a concept including the release of the color-changing ions from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 the form of a compound by meeting other ions in addition to the outflow of the color-changing ions.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eaking out color-changing ions" does not mean that the color-changing ions directly escape from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but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 a different form. This is a concept including indirectly reducing the number of color-changing ions stor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fter being released.
상기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이온의 유출을 저해하기 위해 형성되는 추가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이온의 유출을 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추가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이온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추가층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n additional layer formed to inhibit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n additional layer formed to block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n additional layer formed to block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보호층(2500)은 수분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층(2500)은 기판(2100), 상기 제1 전극층(2200), 상기 제2 전극층(2400) 및 전기변색매체(2300)에 비해 수분 투과율이 낮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는 액체 타입의 전기변색층(2330)일 수 있고, 젤타입의 전기변색층(2330)일 수 있으며, 이온저장층(2310) 및 전기변색층(2330)이 포함된 2-layer의 전기변색매체(2300)이거나,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이 포함된 3-layer의 전기변색매체(2300)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have a relatively low moisture permeability.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have a property of having a lower moisture transmittance than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a liquid-type electrochromic layer 2330 , or a gel-type electrochromic layer 2330 , including an ion storage layer 2310 and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It may be a -layer electrochromic medium 2300 or a 3-layer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ing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and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보호층(2500)은 싱글레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2500)은 멀티레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2500)은 둘 이상의 층이 반복하여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2500)은 제1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및 상기 제1 공정과 상이한 제2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f a multi-layer.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layers are repeatedly stacked.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layer formed through a first process and at least one layer formed through a second process different from the first process.
보호층(2500)은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호층(2500)은 Al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호층(2500)은 Cr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변색이온은 금속층을 잘 통과하지 못해, 금속층의 적층은 변색이온의 유출을 저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metal layer.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n Al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Cr layer. Since the color-changing ions do not pass through the metal layer well, lamination of the metal layer may generate an effect of blocking the outflow of the color-changing ions.
보호층(2500)은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호층(2500)은 SiNx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호층(2500)은 SiO2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silicon nitride and/or silicon oxide. For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2500 may include a SiN x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SiO 2 layer.
보호층(2500)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호층(2500)은 Al2O3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호층(2500)은 TiO2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metal oxide.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n Al 2 O 3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TiO 2 layer.
보호층(2500)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층(2500)은 아크릴레이트 계열이나 우레탄계열의 하드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coating layer.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n acrylate-based or urethane-based hard coating layer.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 제2 보호층, 제3 보호층, 제4 보호층쪋, 제N 보호층(N은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ssivation layer 2500 may include a first passivation layer, a second passivation layer, a third passivation layer, a fourth passivation layer, and an Nth passivation layer (N is a natural number).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보호층은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은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SiO 2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2 O 3 .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보호층은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은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호층은 다시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보호층은 다시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보호층은 다시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보호층은 다시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층(25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층이 반복되어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반복되는 횟수는 전기변색소자(2000)의 두께, 적층된 횟수에 따른 밀봉 효율의 증가, 제작에 드는 비용의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As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SiO 2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2 O 3 . The thir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SiO 2 again. The fourth protective layer may again include Al 2 O 3 . The fifth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SiO 2 again. The sixth protective layer may again include Al 2 O 3 . As such,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layers are repeatedly stack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repetitions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an increase in seal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cked times, appropriateness of manufacturing cost, and the like.
또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보호층은 SiNx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은 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호층은 다시 SiNx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2500)이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 금속층이 가지는 변색이온의 유출을 저해하는 특성으로 인해 변색이온을 전기변색소자(2000)의 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지다. 다만, 금속층 자체가 밀도 높게(dense) 형성되기는 어려워 특성이 있어, 보호층(2500)을 형성할 때 금속층과 실리콘 질화물을 병행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변색 이온의 전기변색소자(2000) 내부에의 밀봉(억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보호층은 T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보호층은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보호층은 다시 T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8 보호층은 다시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9 보호층은 다시 T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0 보호층은 다시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SiN x .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Al. The third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SiN x again. When th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es a metal layer, the color-changing ions may be maintained insid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due to the property of inhibiting the outflow of the color-changing ions of the metal layer. However, the metal layer itself is difficult to form densely and has a characteristic. When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the metal layer and silicon nitride are placed in parallel to seal (retain) the color-changing ions insid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can improve efficiency. The fourth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TiO 2 . The fifth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l 2 O 3 . The seventh passivation layer may again include TiO 2 . The eighth protective layer may again include Al 2 O 3 . The ninth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TiO 2 again. The tenth protective layer may again include Al 2 O 3 .
보호층(2500)은 다양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층(2500)은 ALD공법을 통해 형성되는 층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호층(2500)은 ALD 공법을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2500) 및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호층(2500)은 스핀코팅, 딥코팅 또는 라인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hrough various processes.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 layer formed through an ALD method. As another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2500 may include at least one passivation layer 2500 formed through an ALD method and at least one passivation layer 2500 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s anothe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by spin coating, dip coating, or line coating.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 순으로 증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층(2330), 전해질층(2320), 이온저장층(231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 순으로 증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변색모듈(3000)은 추가적인 층을 포함하거나, 몇몇 층이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second The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deposited in this order.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d a second The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deposited in this ord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include an additional layer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some layers are omitted.
지금까지, 전기변색모듈(3000)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변색모듈(30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함에 있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 순으로 증착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So far,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below,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es a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d an electrochromic module. It is assumed that the layer 2330,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are deposited in this order.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러 실시예 중 일 실시예를 가정하여 설명하는 것일 뿐,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 순으로 적층된 전기변색모듈(3000)에만 적용된다는 한정적인 의미로 개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의 권리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본 출원의 청구 범위의 해석에 의해 그 권리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This is only assuming one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clude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are not disclosed in a limiting sense, which is applied only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stacked in this order,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interpreting the claims,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2.1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1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es a substrate 2100,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 ion storage layer 2310, an electrolyte layer 2320,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a protective layer ( 2500) may be included.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싱글 레이어일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2500)은 멀티 레이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멀티 레이어인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2500), 제2 보호층(2500)쪋, 제N 보호층(2500)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be a single layer. Her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 multi-layer. As a specific example, the multi-layered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first protective layer 2500 , a second protective layer 2500 , and an N-th protective layer 2500 .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하나의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몇몇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모든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on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a plurality of protective layers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several protective layers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all the protective layers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보호층(2500)은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으로 변색 이온이 유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변색모듈(3000)은 보호층(2500)이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위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color-changing ions from leaking to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o solve this problem,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and on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전기변색소자(2000)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을 포함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2000)의 기판(2100)의 하면,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이 바운더리 영역(BR, boundary reg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es a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When inclu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efined as a boundary region (BR). have.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바운더리 영역(BR)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바운더리 영역(BR)으로 정의되는 모든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바운더리 영역(BR)으로 정의되는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located in the boundary region B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located in all regions defined as the boundary region B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As anothe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located in a portion of the region defined as the boundary region B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호층(2500)은 바운더리 영역(BR) 중 상기 기판(2100)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보호층(2500)이 기판(2100)의 하면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기판(2100)은 제1 전극층(2200), 제2 전극층(2400) 및 전기변색매체(2300)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져,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기판(2100)을 통과하는 방향으로의 유출이 저지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in the boundary region BR. . At this time, even if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no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the substrate 2100 has the thickest thickness amo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Thus,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 a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2100 may be prevented.
보호층(2500)은 기판(2100)의 측면에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전극층(2200)의 측면과 기판(2100)의 측면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1 전극층(2200)의 측면과 기판(2100)의 측면에 연속되는 층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색 이온이 기판(2100)과 제1 전극층(2200)의 접촉면에 형성된 틈을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호층(2500)의 전기변색소자(2000)로부터의 이탈이 역시 방지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reg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positioned on bo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positioned as a continuous lay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For this reason, the color-changing ions ar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ap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from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lso prevented. effect can be derived.
도 11 및 12는 전기변색모듈(3000)의 엣지영역(ER, edge region)에 대한 확대도이다.11 and 12 are enlarged views of an edge region (ER)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엣지 영역(ER)은 기판(2100)이 연장된 제1 방향의 수직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제2 방향으로의 단면에서 기판(2100)의 측면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일 수 있다.In the edge region ER,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2100 is extended. If there is, it may be an edge region including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in the cross-s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have.
도 11을 참조하면, 보호층(2500)은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제2 전극층(2400)의 측면, 전기변색매체(2300)의 측면,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기판(2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제2 전극층(2400)의 측면, 전기변색매체(2300)의 측면,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기판(2100)의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can be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can be formed.
보호층(2500)은 보호층(2500) 중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위치한 제1 보호 영역(PR1)과 및 보호층(2500) 중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위치한 제2 보호 영역(PR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 영역(PR1)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대응되는 전체 면에 형성된 보호층(2500)일 수 있다. 제2 보호 영역(PR2)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대응되는 전체 면에 형성된 보호층(2500)일 수 있다. 제2 보호 영역(PR2)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의 연장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측면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보호층(2500)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es a first protective region PR1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250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protection region PR2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protective region PR1 may be a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may be a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If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protection region PR2 may be a protection layer 2500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보호층(2500) 중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한 영역(PR1)과 보호층(2500) 중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한 영역(PR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보호 영역(PR1)과 제2 보호 영역(PR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보호 영역(PR1)과 제2 보호 영역(PR2)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보호 영역(PR1) 및 제2 보호 영역(PR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1 물질의 ALD 공정을 통한 증착 및 제2 물질의 ALD 공정을 통한 증착을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f the region PR1 positioned on a parti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region PR2 positioned on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otection region PR1 and the second protection region PR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e first protection region PR1 and the second protection region PR2 may be formed through an ALD process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protection region PR1 and the second protection region PR2 may be formed through a process including deposition of a first material through an ALD process and deposition of a second material through an ALD proces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formed.
전기변색매체(2300)는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는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상면, 기판(2100)의 측면 및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정편차로 인한 비변색 영역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기변색매체(2300)가 기판(2100)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증착 면적을 설정하여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하면, 공정편차에 의해 기판(2100)의 상면 중 일부 영역(예를 들어, 테두리 영역)에 전기변색매체(2300)가 증착되지 않아 변색영역이어야 함에도 미변색영역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전기변색매체(2300)가 기판(2100)의 상면 보다 조금 크게 면적을 설정하여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하면, 전기변색매체(2300)가 측면에도 형성되고, 이 경우, 공정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기판(2100) 상에 변색 영역이어야 함에도 미변색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는 적도록 전기변색소자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공정 오차에 따른 폐기 물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된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non-discoloration region due to process deviation. To explain with a specific example, when the sputtering process is performed by setting the deposition area so that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some reg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eg, For example, since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not deposited on the edge region),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 non-chromic region is formed even though it should be a color-changing region. However, i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has a slightly larg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sputtering process is performe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also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in this case, even if a process deviation occurs, the substrate ( 210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reduce the problem of forming an uncolored area even though it should be a color-changing are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waste due to process errors and to derive the effect of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전기변색매체(2300)는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제1 전극층 상에 위치되는 제1 전기변색 영역(ECR1) 및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전기변색 영역(ECR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 영역(PR1)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대응되는 전체 면에 형성된 보호층(2500)일 수 있다. 제2 보호 영역(PR2)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대응되는 전체 면에 형성된 보호층(2500)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es a first electrochromic region ECR1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mong the electrochromic media 2300 and a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1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among the electrochromic media 2300 . It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region ECR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protective region PR1 may be a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may be a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매체(230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의 제2 보호 영역(PR2)은 전기변색매체(2300)의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의 제2 보호 영역(PR2)과 제2 전극층(2400)의 접촉 면적은, 전기변색매체(2300)의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와 제1 전극층(2200)의 접촉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2 보호 영역(PR2)에 의해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이 가려지도록 전기변색매체(2300) 및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a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may be larger than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at i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so that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is covered by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and 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여기서, 가려진다는 것의 의미는,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보호 영역(PR2)이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의 상층에 형성되어 제2 전기변색 영역(ECR2)과 외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취지이지, 제2 보호 영역(PR2)이 불투명한 색상을 가져 제2 보호 영역(PR2)에 의해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이 보이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meaning of being covered is that,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and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This is to prevent direct external contact, but does not mean that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is not visible by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because the second protective region PR2 has an opaque color.
전기변색매체(2300)의 제1 전기변색 영역(ECR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의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은 두께의 조정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변색매체(2300)의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은 두께가 점점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변색매체(2300)의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드 형상(Tapered shape)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chromic region ECR1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include a thickness adjustment s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have a gradually decreasing thickness. In other words,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have a tapered shape as shown in FIG. 11 .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변색매체(2300) 상의 가상의 제1 지점(P1), 제2 지점(P2) 및 제3 지점(P3)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P1)은, 전기변색매체(2300)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점(P2)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P3)는 제2 전기변색 영역(ECR2) 중 제2 전극층(2400)에 가장 인접한 지점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지점(P2)과 상기 제1 전극층(22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지점(P3)과 상기 제1 전극층(2200)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클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P3)에서 상기 제2 지점(P2)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하는 테이퍼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irtual first points P1, second points P2, and third points P3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defined. The first point P1 may be a point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greatest. The second point P2 may be a point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the smallest. The third point P3 may be a point closest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n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int P2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P3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It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hird point P3 to the second point P2.
상기 제1 지점(P1), 상기 제2 지점(P2) 및 상기 제3 지점(P3)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지점(P1) 및 상기 제2 지점(P2)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점(P1) 및 상기 제3 지점(P3)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1 지점(P1) 및 상기 제2 지점(P2)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점(P2) 및 상기 제3 지점(P3)의 두께는 그 차이가 미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지점(P1)에 비해 상기 제3 지점(P3)의 두께가 작고, 상기 제3 지점(P3)에 비해 제2 지점(P2)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The first point P1 , the second point P2 , and the third point P3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ternatively,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third point P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lternatively,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es of the second point P2 and the third point P3 may be insignificant. Alternatively, the thickness of the third point P3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oint P1 ,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int P2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point P3 .
제1 전기변색 영역(ECR1)과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전기변색 영역(ECR1) 및 제2 전기변색 영역(ECR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1 물질의 스퍼터링 공정을 통한 증착, 제2 물질의 스퍼터링 공정을 통한 증착 및 제3 물질의 스퍼터링 공정을 통한 증착을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chromic region ECR1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may be 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electrochromic region ECR1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region ECR2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first material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depositing a second material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nd a third material,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t can be formed through a process including deposition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of.
도 12를 참조하면, 전기변색매체(2300)는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온저장층(2310) 상에는 전해질층(2320)이 위치하고, 전해질층(2320) 상에는 전기변색층(2330)이 위치할 수 있다.12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include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d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For example,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positioned 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positioned on the electrolyte layer 2320 .
제1 전극층(2200)은 기판(2100)의 상면뿐 아니라, 기판(2100)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기판(2100)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C1)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층(2200)이 기판(210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과 제1 전극층(2200)이 접촉하는 제1 접촉면(C1)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to have a first contact surface C1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formed to surround the substrate 2100 ,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first contact surface C1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contact each other.
이온저장층(2310)은 제1 전극층(2200)의 상면뿐 아니라,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온저장층(2310)은 제1 전극층(2200)의 측면뿐 아니라, 기판(2100)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기판(2100)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C2)을 가질 수 있다. 이온저장층(2310)이 제1 전극층(220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과 이온저장층(2310)이 접촉하는 제2 접촉면(C2)을 가질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s well a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o have a second contact surface C2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210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second contact surface C2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contact each other. .
전해질층(2320)은 이온저장층(2310)의 상면뿐 아니라, 이온저장층(231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전해질층(2320)은 이온저장층(2310)의 측면뿐 아니라,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및 기판(2100)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기판(2100)과 접촉하는 제3 접촉면(C3)을 가질 수 있다. 전해질층(2320)은 이온저장층(231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과 전해질층(2320)이 접촉하는 제3 접촉면(C3)을 가질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formed not on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the third contact surface C3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2100. can have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formed to surrou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third contact surface C3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contact each other.
전기변색층(2330)은 전해질층(2320)의 상면뿐 아니라, 전해질층(232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2330)은 전해질층(2320)의 측면뿐 아니라, 이온 저장층(2310)의 측면,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및 기판(2100)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기판(2100)과 접촉하는 제4 접촉면(C4)을 가질 수 있다. 전기변색층(2330)은 전해질층(232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과 전기변색층(2330)이 접촉하는 제4 접촉면(C4)을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formed not on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the substrate 2100 and It may have a fourth contact surface C4 in contact.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fourth contact surface C4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contact each other.
제2 전극층(2400)은 전기변색층(2330)의 상면뿐 아니라, 전기변색층(233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은 전기변색층(2330)의 측면뿐 아니라, 전해질층(2320)의 측면, 이온 저장층(2310)의 측면,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및 기판(2100)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기판(2100)과 접촉하는 제5 접촉면(C5)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은 전기변색층(233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과 제2 전극층(2400)이 접촉하는 제5 접촉면(C5)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not only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but also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a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It may also have a fifth contact surface C5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21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fifth contact surface C5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in contact. .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의 상면뿐 아니라, 제2 전극층(240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의 측면뿐 아니라, 전기변색층(2330)의 측면, 전해질층(2320)의 측면, 이온 저장층(2310)의 측면,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및 기판(2100)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기판(2100)과 접촉하는 제6 접촉면(C6)을 가질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과 보호층(2500)이 접촉하는 제6 접촉면(C6)을 가질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es not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but also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e side surfac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It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to have a sixth contact surface C6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have a sixth contact surface C6 in which the substrate 21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contact each other.
보호층(2500)은 제1 전극층(2200)의 측면과 기판(2100)의 측면에 연속되는 층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보호층(2500) 중 기판(2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보호층(2500) 중 제2 전극층(24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은 연결되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 중 기판(2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보호층(2500) 중 제2 전극층(24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은 연결되어 멀티레이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 중 기판(2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보호층(2500) 중 전기변색매체(23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은 연결되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 중 기판(2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보호층(2500) 중 전기변색매체(23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은 연결되어 멀티레이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 중 기판(2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보호층(2500) 중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은 연결되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 중 기판(2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보호층(2500) 중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은 연결되어 멀티레이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positioned as a continuous lay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 region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a region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mong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layer. A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2100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a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mong the protective layer 2500 are connected to form one form including a multi-layer. have. A region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a region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mong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layer. Among the protective layer 2500, the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mong the protective layer 2500 are connected to form one shape including multi-layers. have. A region of the passivation layer 2500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a region of the passivation layer 2500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layer. Among the protective layer 2500, the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re connected to form one form including multi-layers. hav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기판(2100)의 테두리가 면취 공정을 통해 곡면을 가지게 될 수 있다.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dge of the substrate 2100 may have a curved surface through a chamfering process for user safety.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에 있어서, 기판(2100)의 테두리에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의 보호층(2500) 및 전기변색매체(23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llustrates the shape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when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ubstrate 2100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drawing for
기판(2100)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기판(210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기판(2100)은 면취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기판(2100)은 상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1 곡면(CS1), 하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 곡면(CS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CS1)은 제1 전극층(2100)과 접촉하는 면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CS2)은 제1 전극층(2100)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CS2)의 기판(2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CS2)은, 전기변색매체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확인되는 기판(2100)의 하면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The substrate 2100 may be a glass substrate. The substrate 2100 may have at least one curved area formed through a chamfering process. The substrate 2100 may have a first curved surface CS1 formed on an edge of an upper surface and a second curved surface CS2 formed on an edge of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curved surface CS1 may be formed in an edge region of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layer 2100 .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may be formed in an edge region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layer 2100 .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2100 on which a change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confirmed.
기판(2100)은 면취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 상에는 보호층(250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 상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 상에는 제1 전극층(2200)이 위치될 수 있다. The substrate 2100 may have at least one curved area formed through a chamfering process. 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positioned on the at least one curved area.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positioned on the at least one curved area.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the at least one curved area.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2500)은 제1 곡면(CS1) 및 제2 곡면(CS2)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곡면(CS2)까지 연장되어, 내부의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100)을 보호하고, 변색 이온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곡면(CS1)에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는 기판(2100)의 측면까지 연장되되, 제2 곡면(CS2)에는 형성되지 않아 보호층(25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have a first curved surface CS1 and a second curved surface CS2 formed thereon.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extend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to protect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100 therein, and to prevent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curved surface CS1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exte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but may not be formed on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and may be covered by the protective layer 2500 .
상기 제1 곡면(CS1)은 상기 제2 곡면(CS2)에 비해 제1 전극층(2200)에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CS1)은 제1 전극층(220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CS1)은 상기 제2 곡면(CS2)에 비해 제2 전극층(2400)에 가까울 수 있다. The first curved surface CS1 may be closer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an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 The first curved surface CS1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curved surface CS1 may be closer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han the second curved surface CS2 .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은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복수의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층(2510) 및 제2 보호층(2520)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ective layers 25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included.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보호층(2500)이 형성되고,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2510) 및 제2 보호층(25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2510), 제2 보호층(2520)쪋, 제N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es a first protective layer 2510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2510 . layer 2520 . As a specific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2500 may include a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 a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 and an Nth passivation layer.
도 14를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 제1 보호층(2510)이 형성되고, 제1 보호층(251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제2 보호층(252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a first protective layer 25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 2520) may be formed.
제1 보호층(2510)은 싱글 레이어일 수 있다. 제1 보호층(2510)은 멀티 레이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보호층(2510)은 제1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 제2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 및 제1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may be a single layer.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may be multi-layered.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may include a passiv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material, a passivation layer including a second material, and a passiv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material.
제2 보호층(2520)은 싱글 레이어일 수 있다. 제2 보호층(2520)은 멀티 레이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2 보호층(2520)은 제3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 제4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 제3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 제4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쪋, 제3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 및 제4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a single layer.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multi-layered. For exampl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third material,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fourth material,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third material,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fourth material,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fourth material. It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three materials and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fourth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층(2510) 및 제2 보호층(2520)은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층(2510) 및 제2 보호층(2520)은 다른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formed through the same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formed through different processes.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보호층(2520)은 제1 보호층(2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2520)은 제1 보호층(251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2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2100)의 측면에 제2 보호층(2520)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판(2100)의 측면중 일부 영역에 제1 보호층(2520)이 형성되고, 제1 보호층(251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2100)의 측면에 제2 보호층(252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formed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on which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is not formed. For example, only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20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2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on which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10 is not formed. can be formed.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으로의 유출은 제1 보호층(2510) 및 제2 보호층(2520)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으로의 유출은 제2 보호층(2520)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전기변색소자(2000)의 하면으로의 유출은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에 비해 두꺼운 기판(21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The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by the first protective layer 2510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leakage to the side of (2000) may be prevented by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and the leakag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ion storage layer 2310, and the electrolyte. This may be prevented by the thick substrate 2100 compared to the layer 232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층(2510) 및 제2 보호층(2520)을 포함하는 보호층(250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3000)에서는 제1 보호층(2510)을 가지지 않는 전기변색모듈(3000)에 비해 봉지가 강화되고, 제2 보호층(2520)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화로 인해 전기변색소자(20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ing th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ing the first protective layer 2510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the first protective layer 2510 is Compar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without it, the encapsulation is strengthen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from being damaged due to deterior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may be derived.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은 보호 필름(2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 상에 보호 필름(2600)이 부착된 전기변색모듈(3000)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필름(2600)은 통상의 베리어 필름(barrier)일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26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module 3000 having a protective film 2600 attached thereon may be provided o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 conventional barrier film.
도 15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2600)은 보호층(25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2600)은 보호층(2500)의 측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에 있어서,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으로의 유출은 보호층(2500) 및 보호필름(26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으로의 유출은 보호층(25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전기변색소자(2000)의 하면으로의 유출은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에 비해 두꺼운 기판(21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not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 In the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leakag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prevented by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protective film 26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can be prevented by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outflow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electrolyte layer 232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revented by the thicker substrate 2100 .
보호층(2500)과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틈은 보호 필름(2600)과 보호층(2500) 사이의 틈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보호층(2500)과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틈이 작아, 보호층(2500)은 넓은 상면으로의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유출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보호 필름(2600)은 보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은 면적이 작아, 보호층(2500)을 통해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A gap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smaller than a gap between the protective film 26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 Since the gap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small, the protective layer 2500 primarily prevents the outflow of discoloration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o a wide upper surface, and a protective film (2600) can be prevented auxiliary.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has a small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2500 .
도 16 내지 도 18은 제1 실시예예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제작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6 to 18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전기변색모듈(3000)의 제작 공정(S100)은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작(S1000) 및 보호층을 형성(S20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 S100 )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include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S1000 ) and forming a protective layer ( S2000 ).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작 공정(S1000)은 기판(2100)의 준비(S1100), 제1 전극층(2200) 형성(S1200), 전기변색매체(2300) 형성(S1300) 및 제2 전극층(2400) 형성(S1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process (S10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es preparing the substrate 2100 (S1100), form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S1200), forming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S1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may include forming (S1400).
보호층의 형성(S2000)은 보호층의 형성(S2100) 및 보호필름 부착(S2200)을포함할 수 있다. The formation of the protective layer ( S2000 ) may include formation of the protective layer ( S2100 ) and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 S2200 ).
기판(2100)의 일면에는 제1 전극층(2200)이 형성(S1200)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스퍼터링(sputtering)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상기 기판(2100)의 일면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A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S12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formed by sputter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제1 전극층(2200)의 상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형성(S1300)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상면에는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이 순서대로 형성(S1300)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상면에는 전기변색층(2330), 전해질층(2320) 및 이온저장층(2310) 이 순서대로 형성(S1300)될 수 있다.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은 스퍼터링(sputtering)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은 상기 기판(2100)의 일면 상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S1300 ). For example,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d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S1300 ). As another example,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d an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S130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by sputter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전기변색매체(2300)의 상에는 제2 전극층(2400)이 형성(S1400)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2400)은 스퍼터링(sputtering)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2400)은 상기 기판(2100)의 일면 상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S14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by sputter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작하기 위해, 유리 기판(2100)을 준비(S1100)하고, 기판(2100) 상에 ITO전극층을 제1 전극층(2200)으로 형성(S12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ITO 전극층은 기판(2100) 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ITO 전극층(2200) 상에 IrTaOx층을 이온 저장층(2310)으로 형성(S13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IrTaOx층은 ITO 전극층(2200) 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IrTaOx층(2310) 상에 TaOy층을 전해질층(2320)으로 형성(S13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TaOy층은 IrTaOx층(2310)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aOy층(2320) 상에 WOz층을 전기변색층(2330)으로 형성(S13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WOz층은 TaOy층(2320)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WOz층(2330)상에 ITO층을 제2 전극층(2400)으로 형성(S14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ITO층은 WOz층(2330) 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기변색소자(2000)는 윈도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WOz층(2330)상에 Al층을 제2 전극층(2400)으로 형성(S14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Al층은 WOz층(2330) 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기변색소자(2000)는 미러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o explain with a more specific exampl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 glass substrate 2100 is prepared (S1100), and an ITO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as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S1200). )can do. As a specific example, the ITO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An IrTaO x layer may be formed as an ion storage layer 2310 on the ITO electrode layer 2200 ( S13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IrTaO x layer may be formed on the ITO electrode layer 220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A TaO y layer may be formed on the IrTaO x layer 2310 as the electrolyte layer 2320 ( S13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TaO y layer may be formed on the IrTaO x layer 231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A WO z layer may be formed as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on the TaO y layer 2320 ( S13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WO z layer may be formed on the TaO y layer 232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An ITO layer may be formed on the WO z layer 2330 as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S1400). As a specific example, the ITO layer may be formed on the WO z layer 233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have a window characteristic. As another example, an Al layer may be formed on the WO z layer 2330 as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S14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Al layer may be formed on the WO z layer 233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have a mirror characteristic.
전기변색소자(2000)에는 보호층(2500)이 형성(S2100)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S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The passivation layer 2500 may be formed through an ALD process.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전기변색모듈(3000)을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SiN층은 제2 전극층(2400)상에 보호층(2500)으로 형성(S21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SiN층은 제2 전극층(2400) 상에 스퍼터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 공정으로, SiN층 상에 Al층이 형성될 수 있고, Al 층 상에 SiN층이 형성될 수 있다. SiN층, Al층 및 SiN층은 보호층(2500)으로 형성(S2100)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describ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SiN layer may be formed as a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S21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SiN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hrough a sputtering deposition process. By the sputtering process, an Al layer may be formed on the SiN layer, and an SiN layer may be formed on the Al layer. The SiN layer, the Al layer, and the SiN layer may be formed as the protective layer 2500 ( S2100 ).
TiO2층은 SiN층 상에 보호층(2500)으로 형성(S2100)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TiO2층은 보호층(2500) 상에 ALD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ALD 증착 공정으로, TiO2 층 상에 Al2O3 층이 형성될 수 있고, Al2O3층 상에 TiO2 층이 형성될 수 있고, 멀티레이어로 보호층(2500)으로 형성(S2100)될 수 있다.The TiO 2 layer may be formed as a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SiN layer (S2100). As a specific example, the TiO 2 layer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through an ALD deposition process. By the ALD deposition process, an Al 2 O 3 layer may be formed on the TiO 2 layer, a TiO 2 layer may be formed on the Al 2 O 3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S2100) can be
여기서, SiN층, Al층, SiN층,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각각은 보호층(2500)일 수 있다. 여기서, SiN층, Al층, SiN층,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TiO2층 및 Al2O3층은 보호층(2500)일 수 있다. 여기서, SiN층, Al층, SiN층은 제1 보호층(2510)이고,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TiO2층 및 Al2O3층은 제2 보호층(2520)일 수도 있다.Here, each of the SiN layer, Al layer, SiN layer, TiO 2 layer, Al 2 O 3 layer, TiO 2 layer, Al 2 O 3 layer, TiO 2 layer, and Al 2 O 3 layer may be a protective layer 2500 . . Here, the SiN layer, the Al layer, the SiN layer, the TiO 2 layer, the Al 2 O 3 layer, the TiO 2 layer, the Al 2 O 3 layer, the TiO 2 layer, and the Al 2 O 3 layer may be the protective layer 2500 . Here, the SiN layer, the Al layer, and the SiN layer are the first protective layers 2510, the TiO 2 layer, the Al 2 O 3 layer, the TiO 2 layer, the Al 2 O 3 layer, the TiO 2 layer, and the Al 2 O 3 layer are It may b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
상기 보호층(2500) 상에는 보호필름(2600)이 부착(S2200)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2500) 상에는 보호필름(2600)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S2200)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not be attach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퍼터링을 통해 형성된 제1 보호층(2510) 및 ALD를 통해 형성된 제2 보호층(2520)을 포함하는 보호층(250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3000)에서는 제1 보호층(2510)을 포함함으로 인해 봉지가 강화되고, 제2 보호층(2520)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화로 인해 전기변색소자(20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2500 including a first protective layer 2510 formed through sputtering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formed through ALD, By including the first protective layer 2510, encapsulation is strengthen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from being damaged due to deterior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20 may be derived.
지금까지, 도 16 내지 도 18을 통해 제1 실시예예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제작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당업자가 본 명세서를 참고하여 반복, 재현할 수 있도록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도 16 내지 도 18을 통해 제작되는 전기변색모듈(3000)로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도 15 내지 도 17을 통해 설명한 공정에 있어서, 상술한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으며,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So far,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 However, thi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peat and reproduce it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nufactured through FIGS. , In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 one or more step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or added,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rder between the steps is changed.
도 19는 유리 기판(2100)의 측면에 보호층(2500)이 형성된 FIB(Focused Ion Beam) 이미지이다.19 is a FIB (Focused Ion Beam) image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2100 .
기판(2100)의 측면에 보호층(2500)이 형성되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의 제작이 가능하며, 변색 이온 유출의 방지 효과를 도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유리 기판(2100) 상에, 적어도 4 이상의 보호층(2500)을 형성하였다. 유리 기판(2100) 상에 SiN층(2500)을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하였다. SiN층(2500) 상에 Al층(2500)을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하였다. Al층(2500) 상에 SiN층(2500)을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하였다. SiN층(2500) 상에 ALD 공정을 통해 멀티 레이어의 보호층(2500)을 형성하였다.At least four or more protective layers 2500 wer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2100 . A SiN layer 2500 was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 2100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n Al layer 2500 was deposited on the SiN layer 2500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 SiN layer 2500 was deposited on the Al layer 2500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A multi-layered protective layer 2500 was formed on the SiN layer 2500 through an ALD process.
제작된 전기변색모듈(3000)에 대한 FIB 이미지를 촬영하였다.An FIB image of the manufactured electrochromic module 3000 was taken.
FIB 이미지 상의 타겟 영역(TR)에서, 적어도 4 이상의 보호층(2500)이 각각 두께가 유지되며, 기판(2100)의 측면에 보호층(2500)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target region TR on the FIB image, it was confirmed that at least four or more protective layers 2500 were each maintained in thickness,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wa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이에, 본 명세서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측면에 충분히 형성될 수 있고, 기판(2100)과 제1 전극층(2200) 사이의 접촉면을 통한 유실을 막아 변색 이온의 유출이 감소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s demonstrated herein,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sufficient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and is lost throug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is can lead to the effect of reducing the outflow of discolored ions by blocking the
2.2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2.2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전기변색모듈(3000)은,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es a substrate 2100,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 ion storage layer 2310, an electrolyte layer 2320,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a protective layer ( 2500) may be included.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싱글 레이어일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2500)은 멀티 레이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멀티 레이어인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2500), 제2 보호층(2500)쪋, 제N 보호층(2500)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be a single layer. Here,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a multi-layer. As a specific example, the multi-layered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first protective layer 2500 , a second protective layer 2500 , and an N-th protective layer 2500 .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하나의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몇몇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모듈(3000)에 포함된 모든 보호층(25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one protective layer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a plurality of protective layers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several protective layers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described below may mean all the protective layers 2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위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제1 전극층(2200)의 측면, 기판(2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호층(2500)은 기판(2100)의 측면에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Optionally,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include a reg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보호층(2500)은 기판(2100)의 상면 및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기판(2100)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가 없어 노출된 상면 및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기판(2100)의 상면 및 제1 전극층(2200)의 측면에 연속되는 층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색 이온이 기판(2100)과 제1 전극층(2200)의 접촉면에 형성된 틈을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호층(2500)의 전기변색소자(2000)로부터의 이탈이 역시 방지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positioned on bo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dispos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exposed by the absenc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disposed as a continuous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For this reason, the color-changing ions ar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ap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from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lso prevented. effect can be derived.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매체(2300)를 가릴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매체(2300)의 측면, 제2 전극층(2400)의 측면을 통한 변색 이온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보호층(2500)은 전기변색매체(2300)를 가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cover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cover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so as to prevent leakage of color-changing ion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1 .
도 21은 전기변색모듈(3000)의 엣지영역(ER, edge region)에 대한 확대도이다.21 is an enlarged view of an edge region (ER)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엣지 영역(ER)은 기판(2100)이 연장된 제1 방향의 수직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제2 방향으로의 단면에서 기판(2100)의 측면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일 수 있다.In the edge region ER,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2100 is extended. If there is, it may be an edge region including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in the cross-s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have.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과 제2 전극층(2400)의 접촉 면적은, 제2 전극층(2400)과 전기변색매체(2300)의 접촉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호층(2500)에 의해 제2 전극층(2400)이 가려지도록 제2 전극층(2400) 및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 contact area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larger than a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at is,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protective layer ( 2500) may be formed.
제2 전극층(2400)은 전기변색매체(230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은 전기변색매체(230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과전기변색매체(2300)의 접촉 면적은, 전기변색매체(2300)와 제1 전극층(2200)의 접촉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2 전극층(2400)에 의해 전기변색매체(2300)가 가려지도록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호층(2500)에 의해 전기변색매체(2300)가 가려지도록 전기변색매체(2300) 및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arger than a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ie,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so that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covered by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at is,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protective layer ( 2500) may be formed.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극층(220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극층(220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과 제1 전극층(2200)의 접촉 면적은, 제1 전극층(2200)과 기판(2100)의 접촉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기변색매체(2300)에 의해 제1 전극층(2200)이 가려지도록 제1 전극층(2200) 및 전기변색매체(2300)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2 전극층(2400)에 의해 제1 전극층(2200)이 가려지도록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호층(2500)에 의해 제1 전극층(2200)이 가려지도록 제1 전극층(2200) 및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larger than a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ubstrate 2100 .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at i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electrochromic so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cover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 medium 2300 may be formed.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ie,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00 are covered by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that is,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protective layer ( 2500)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에 있어서, 제1 전극층(2200)은 두께조정영역을 가질 수 있고, 전기변색매체(2300)는 두께조정영역을 가질 수 있고, 제2 전극층(2400)은 두께조정영역을 가질 수 있고, 보호층(2500)은 두께조정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에 있어서, 제1 전극층(2200)은 두께조정영역을 가질 수 있고, 전기변색매체(2300)는 두께조정영역은 제1 전극층(2200)의 두께조정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층(2400)은 두께조정영역은 전기변색매체(2300)의 두께조정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보호층(2500)의 두께조정영역은 제2 전극층(2400)의 두께조정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have a thickness adjustment regi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have a thickness adjustment region,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may have a thickness adjustment region,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have a thickness adjustment region.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have a thickness adjustment region, and i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n 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t may be formed on 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of the electrode layer 240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조정영역은, 두께가 점점 감소하는 테이퍼드 형상(Tapered shape)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region having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도 21에 따른 테이퍼드 형상에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의 P1, P2 및 P3 가 정의될 수 있으나, 도 11을 통해서 충분히 도 21에 따른 실시예도 이해될 수 있어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tapered shape according to FIG. 21 , virtual P1 , P2 and P3 may be defined as described in FIG. 11 , bu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1 can be fully understood through FIG. 11 , so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do.
도 22는 도 21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21 .
도 22를 참조하면, 보호층(2500)은 제2 전극층(2400)의 두께조정영역 상에 형성되는 테이퍼드 보호 영역(TPR, Taper Protect Region),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보호 영역(UPR, Upper Protect Region), 기판(2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보호 영역(SPR, Side Protect 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a tapered protective region (TPR) formed on the thickness adjustment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an upper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t may include an upper protective region (UPR) and a side protective region (SP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이 때,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은 기판(2100)의 측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은 기판(2100)의 측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not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두 경우 모두, 기판(2100)의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호층(2500)에 의해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이 가려질 수 있다.In both cases,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100 (ie,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y the protective layer 2500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covered.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은 보호 필름(2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 상에 보호 필름(2600)이 부착된 전기변색모듈(3000)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필름(2600)은 통상의 베리어 필름(barrier)일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26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module 3000 having a protective film 2600 attached thereon may be provided o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 conventional barrier film.
도 23을 참조하면, 보호 필름(2600)은 보호층(25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 필름(2600)은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대응되는 보호층(25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필름(2600)은 기판(2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있다. 보호필름(2600)은 제1 전극층(2200)이 위치되지 않은 기판(2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있다. Referring to FIG. 23 ,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not positioned.
보호 필름(26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형성된 보호층(25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보호 필름(2600)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에 형성된 보호층(2500) 상에 부착되지 않고, 기판(2100)의 상면에 부착된 보호층(2500)과 보호 필름(2600) 사이의 접착과,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대응되는 보호층(2500)과 보호 필름(2600) 사이의 접착을 통해 밀봉되어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을 통한 변색 이온의 유출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film 2600 is not attach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but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protective film 260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is sealed through adhesion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protective film 260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leakage of discoloration ion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prevented. it could be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으로의 유출은 보호층(2500) 및 보호필름(26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전기변색소자(2000)의 측면으로의 유출은 보호층(25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전기변색소자(2000)의 하면으로의 유출은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에 비해 두꺼운 기판(21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The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by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protective film 2600 , and The leakage to the side can be prevented by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leakag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electrolyte layer 2320, the electricity This may be prevented by the substrate 2100 thicker than the discoloration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보호층(2500)은 넓은 상면으로의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유출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보호 필름(2600)은 보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000)의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변색 이온의 유출 역시 보호층(2500) 및 보호 필름(2600)을 통해 방지될 수 있다. 기판(2100) 과 제1 전극층(2200) 사이의 접촉면을 통한 유출은 보호층(2500)을 통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2600)이 기판(2100)에 부착되어 필름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primarily prevent leakage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o the wide upper surface, and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supplementally prevent the leakage. The leakage of color-changing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also be preven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protective film 2600 . The outflow throug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reven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250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tective film 260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2100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film is improved.
도 2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제작함에 있어 변형되는 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odified process in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전기변색모듈(S3000)의 제작 공정(S100)은 테두리 절연 영역 형성(S4000)을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 S100 )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 S3000 )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n edge insulating region ( S4000 ).
일 예로, 전기변색모듈(S3000)을 제작함에 있어,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작(S1000)하고, 테두리 절연 영역을 형성(S4000)한 후, 보호층을 형성(S2000)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변색모듈(S3000)을 제작함에 있어,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작(S1000)하고, 보호층을 형성(S2000)하고, 테두리 절연 영역을 형성(S4000)한 후, 보호층을 형성(S2000)할 수 있다.For example, in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S30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manufactured (S1000), the edge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S4000), and then a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S2000). As another example, in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S30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manufactured (S1000),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S2000), and an edge insulation region is formed (S4000), and then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It can be formed (S2000).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판을 준비(S1100)하고, 제1 전극층을 형성(S1200)하고, 전기변색매체를 형성(S1300)하고, 제2 전극층을 형성(S1400)한 후, 테두리 절연 영역을 형성(S4000)할 수 있다. For a specific example, after preparing a substrate (S1100),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S1200), forming an electrochromic medium (S1300),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layer (S1400), an edge insulating region is formed ( S4000) can be done.
테두리 절연 영역(EIR, Edge isolated region)은,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제거한 영역일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200)이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The edge isolated region (EIR) is a region from which at least on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removed. can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a region from which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e removed.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25 참조).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인을 기준으로 외측면을 모두 제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테두리에 따라 일정 폭만큼의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제거한 영역일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레이저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refer to FIG. 25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ll outer surfaces are removed based on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a reg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of a predetermined width is removed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2100. have.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a region formed by a laser patterning process.
테두리 절연 영역이 형성(S4000)되고, 보호층(2500)이 형성(S2000)될 수 있다. S2000단계에서 보호층(2500)이 테두리 절연 영역(EIR),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기판(21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싱글 레이어 형태일 수 있고, 멀티 레이어 형태일 수 있다. S2000단계에서 보호필름(2600)이 테두리 절연 영역(EIR),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기판(21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n edge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S4000), and 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S2000). In operation S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have a single-layer type or a multi-layer type. In step S2000 , 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판을 준비(S1100)하고, 제1 전극층을 형성(S1200)하고, 전기변색매체를 형성(S1300)하고, 제2 전극층을 형성(S1400)하고, 보호층(S2000)을 형성한 후, 테두리 절연 영역을 형성(S4000)할 수 있다. As another specific example, preparing a substrate (S1100),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S1200), forming an electrochromic medium (S1300), forming a second electrode layer (S1400), and a protective layer (S2000) After forming, the edge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S4000).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전기변색소자(2000)에 포함된보호층(2500),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제거한 영역일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보호층(2500),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200)이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is formed by removing at least one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t can be an area.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a region from which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e removed.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인을 기준으로 외측면을 모두 제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기판(2100)의 테두리에 따라 일정 폭만큼의 보호층(2500),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1 전극층(2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제거한 영역일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EIR)은 레이저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ll outer surfaces are removed based on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2100 . It may be a region from which the layer has been removed.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may be a region formed by a laser patterning process.
테두리 절연 영역이 형성(S4000)되고, 보호층(2500)이 형성(S2000)될 수 있다. S2000단계에서 보호층(2500)이 테두리 절연 영역(EIR),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기판(21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500)은 싱글 레이어 형태일 수 있고, 멀티 레이어 형태일 수 있다. S2000단계에서 보호필름(2600)이 테두리 절연 영역(EIR), 제2 전극층(2400)의 상면 및 기판(21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An edge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S4000), and 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S2000). In operation S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have a single-layer type or a multi-layer type. In step S2000 , 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EI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구체적인 예를 들어, 테두리 절연 영역의 형성(S4000)전에 형성되는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2500) 및 제2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2500)은 SiN층일 수 있다. 제2 보호층(2500)은 Al층일 수 있다. 제2 보호층(2500)은 금속 물질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의 형성 단계(S4000)에서, 전도성을 가지는 Al층의 테두리도 제거하여, Al층으로 인한 전기변색소자(2000)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테두리 절연 영역의 형성(S4000) 이후에 형성되는 보호층(2500)은 제1 보호층(2500) 및 제2 보호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2500)은 SiN층일 수 있다. 제2 보호층(2500)은 ALD를 통해 형성된 보호층일 수 있다. 제2 보호층(2500)은 멀티레이어 일 수 있다. 제2 보호층(2500)은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TiO2층, 및 Al2O3층을 포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2500 forme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 S4000 ) may include a first passivation layer 2500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2500 .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00 may be a SiN layer.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00 may be an Al layer.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may have conductivity. In the forming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 S4000 ), the edge of the Al layer having conductivity is also removed to prevent short circui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due to the Al layer. The passivation layer 2500 form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edge insulating region ( S4000 ) may include a first passivation layer 2500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2500 .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500 may be a SiN layer.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00 may be a passivation layer formed through AL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00 may be multi-layere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500 may include a TiO 2 layer, an Al 2 O 3 layer, a TiO 2 layer, an Al 2 O 3 layer, a TiO 2 layer, and an Al 2 O 3 layer.
상기 보호층(2500) 상에는 보호필름(2600)이 부착(S2200)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층(2500) 상에는 보호필름(2600)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attached (S2200)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not be attached on the protective layer 2500 .
지금까지, 도 24를 통해 제2 실시예예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을 제작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당업자가 본 명세서를 참고하여 반복, 재현할 수 있도록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도 24를 통해 제작되는 전기변색모듈(3000)로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So far,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 However, this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peat and reproduc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nufactured through FIG. 24 .
3. 전기변색소자의 전기접속부3. Electrical connection part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광학적 성질이 조정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전기변색소자(2000)의 색좌표 값이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조정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 characteristic in which optical properties are adjusted based on a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For exampl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adjusted based on a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s another example, the color coordinate valu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adjusted based on a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s another example,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adjusted based on a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따라서, 전기변색소자(2000)의 광학적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제1 전극층(2200) 및/또는 제2 전극층(2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접속부의 형성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품질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또는 전기변색모듈(3000))의 전기접속부 및 형성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occupies an important part in the qua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Hereinafter,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nd a form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or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3.1 전기변색소자의 전기접속부3.1 Electrical connection of electrochromic elemen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3000)은,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first conductor 2810 and a second conductor 2820 .
제1 도전체(2810)는 제1 전극층(2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도전체(2820)는 제2 전극층(2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모듈(1000)은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전기변색소자(2000)의 광학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to adjust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상기 제1 도전체(281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 또는 상기 제2 전극층(2400) 중 적어도 하나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도전체(2810)은 은(Ag), 구리(Cu), 금(Au)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have higher conductiv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Ag), copper (Cu), gold (Au), or an alloy thereof.
상기 제1 도전체(2810)는 도전성 페이스트(past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281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paste)를 잉크젯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281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paste)를 패드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paste.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by printing the conductive paste using an inkjet method.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by printing the conductive paste in a pad method.
상기 제2 도전체(282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 또는 상기 제2 전극층(2400) 중 적어도 하나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도전체(2820)은 은(Ag), 구리(Cu), 금(Au)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have higher conductiv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For example,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Ag), copper (Cu), gold (Au), or an alloy thereof.
상기 제2 도전체(2820)는 도전성 페이스트(past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체(282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paste)를 잉크젯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체(282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paste)를 패드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paste.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by printing the conductive paste using an inkjet method.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by printing the conductive paste in a pad method.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은 상기 제어모듈(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도전체(2810)와 상기 제어모듈(1000)사이에는 상기 제1 도전체(2810) 자체에 상기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전선을 납땜하는 형태로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체(2820)와 상기 제어모듈(1000)사이에는 상기 제2 도전체(2820) 자체에 상기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전선을 납땜하는 형태로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 For example,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in the form of soldering a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to the first conductor 2810 itself. ca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ductor 282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in the form of soldering a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to the second conductor 2820 itself.
다른 예로, 상기 제1 도전체(2810)와 상기 제어모듈(1000) 사이에는 회로기판(2900)을 두어, 상기 제1 도전체(2810)와 연결된 회로기판(2900)에 상기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전선을 납땜하는 형태로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체(2820)와 상기 제어모듈(1000) 사이에는 회로기판(2900)을 두어, 상기 제2 도전체(2820)와 연결된 회로기판(2900)에 상기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전선을 납땜하는 형태로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조와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another example, a circuit board 2900 is plac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900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oldering a wire connected to the . A circuit board 2900 is placed between the second conductor 2820 and the control module 1000 ,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900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2820 .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oldering. A detailed structure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1000)은 상기 제1 전극층(220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Through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djust the voltag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rough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djust the curren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의 물질 특성, 위치, 길이, 면적 등에 따라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 속도, 변색 균질도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도전체(260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가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 속도 및/또는 변색 균질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discoloration rate and discoloration homogene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material properties, positions, lengths, areas, etc.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conductor 260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are form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discoloration rate and/or discoloration homogene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improved.
3.2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3.2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절연 영역, 도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6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an insulating region, and a conducto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2100)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위치될 수 있다. 기판(2100) 상에는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 및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기판(2100) 상에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전극층(2200)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구분되는 제1-1 전극층(2200') 및 제1-2 전극층(2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절연 영역(FIR) 사이에 위치된 제1 전극층(2200)은 제1-2 전극층(2200")이고, 상대적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제1 절연 영역(FIR)의 우측에 위치된 제1 전극층(2200)은 제1-1 전극층(2200')일 수 있다. 또는, 도 2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절연 영역(FIR)을 기준으로 제1 전극층은 둘로 구분되어, 제1 절연 영역(FIR)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층(2200)은 제1-2 전극층(2200")이고, 제1 절연 영역(FIR)의 외측에 위치된 제1 전극층(2200)은 제1-1 전극층(2200')일 수 있다. 도 2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절연 영역(FIR) 사이에 위치된 제1 전극층(2200)은 제1-2 전극층(2200")이고, 제1 절연 영역(FIR)의 사이에 위치된 제1 전극층(2200)을 제외한 제1 전극층(2200)은 제1-1 전극층(2200')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region and a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a region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a region on the substrate 2100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include a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a first-second electrode layer 2200″ divided by a first insulating region FIR. Referring to FIG. 27 ,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regions FIR is a 1-2 electrode layer 2200 ″, and a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positioned on the relatively right side. Reference numeral 2200 may be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26 ,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divided into two based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positioned insid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Referring to FIG. 27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positioned between the insulating regions FIR is a 1-2 electrode layer 2200 ″, and a first electrode layer exclud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regions FIR. Reference numeral 2200 may be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제1 전극층(2200)은 기판의 (2100)의 일 영역 상에 위치하고, 기판(2100)의 다른 일 영역 상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기판(2100)은 제1 전극층(2200)이 배치되는 영역과 제1 전극층(22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one region of the substrate 2100 and not on the other region of the substrate 2100 . In other words, the substrate 2100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and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not disposed.
제1-1 전극층(2200') 상에는 제1 도전체(28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는 제1-1 전극층(2200')상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제1-2 전극층(2200") 상에는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전체(2820)는 제1-2 전극층(2200")상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A first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 to be in physical contact. A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positioned on the 1-2 electrode layer 2200".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positioned in a form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1-2 electrode layer 2200". can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 상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의 일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의 다른 일 영역 상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 상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된 영역 및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area.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ocated on on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area and not on the other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area. In other words, the region o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not disposed may be included on the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된 영역 및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A region i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disposed and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a region without at least on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a region in which at least on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absent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제1 절연 영역(FIR)은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된 영역 및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 및 제1 절연 영역(FIR)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 region i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disposed and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a region without at least on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cludes a region without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t may include regions without layers.
제1 절연 영역(FIR)과 제2 절연 영역(SIR)은 대응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된 영역과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된 영역을 동일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과 제2 절연 영역(SIR)은 중첩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된 위치 중 일부 영역에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2 절연 영역(SIR)과의 중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중첩 영역은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형성된 제1 절연 영역(FIR) 상에 특정 물질이 증착되고, 다시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형성된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증착되었던 물질이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 및 전기변색층(233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 전기변색층(2330)을 구성하는 물질 및 전해질층(232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 전기변색층(2330)을 구성하는 물질, 전해질층(2320)을 구성하는 물질 및 이온저장층(231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and the region in whic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may include the same regi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overlap.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a position wher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have an overlapping region wit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For example, the overlapping region may be a region in which a specific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ormed through laser patterning, and the material deposit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formed through laser patterning is removed again. have.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includ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includ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includ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lyte layer 2320 . .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clude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lyte layer 2320, and an ion storage layer ( 2310) may be included.
도 27을 참조하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까지 제거하도록 셋팅된 레이저 패터닝 장치를 통해 형성되어,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까지 제거되어 제1 전극층(2200) 상에 위치되고,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유입된 이온저장층(2310)이 제거되어 기판(2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through a laser patterning device set to remove up 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does not overlap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is removed 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and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verlappi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lows in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moved and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
또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의 상부 물질을제거하도록 셋팅된 레이저 패터닝 장치를 통해 형성되어,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까지 제거되고,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유입된 이온저장층(2310)을 일부 남기고 그 상부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through a laser patterning device set to remove the upper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so that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does not overlap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silver ion storage layer 2310 is removed,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verlappi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leaves a port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flowing in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is removed.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기변색매체(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절연 영역(SIR)의 사이에 위치된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2 전기변색매체(2300")이고, 상대적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제2 절연 영역(SIR)의 우측에 위치된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일 수 있다. 또는, 도 2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절연 영역(SIR)을 기준으로 전기변색매체는 둘로 구분되어, 제2 절연 영역(SIR)의 내측에 위치된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2 전기변색매체(2300")이고, 제2 절연 영역(SIR)의 외측에 위치된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일 수 있다. 도 2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절연 영역(SIR) 사이에 위치된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2 전기변색매체(2300")이고, 제2 절연 영역(SIR)의 사이에 위치된 전기변색매체(2300)를 제외한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a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that are separated by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Referring to FIG. 27 ,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located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s SIR is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located on the relatively right side. The medium 2300 may be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26 ,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divided into two based 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color-changing medium 23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Referring to FIG. 27, the seco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positioned between the insulating regions SIR is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except for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s SIR. Reference numeral 2300 may be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제1 전기변색매체(2300')상에는 제2-1 전극층(240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기변색매체(2300")상에는 제2-2 전극층(2400")이 위치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제2 절연 영역(SIR)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절연 영역(SIR)은 레이저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제2 절연 영역(SIR)의 형성으로 전기변색매체(2300)가 제1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기변색매체(2300")로 구분되고, 제2 전극층(2400)이 제2-1 전극층(2400') 및 제2-2 전극층(24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전기변색매체(2300')에는 제2-1 전극층(2400')이 대응될 수 있다. 제1 전기변색매체(2300') 상면과 제2-1 전극층(2400')의 하면은 접촉하고, 제1 전기변색매체(2300')와 제2-1 전극층(2400')는 동일한 상면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A 2-1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 2-2 electrode layer 2400 ″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shar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through a laser patterning process,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formed by the forma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so that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It is divided into a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divided into a 2-1 electrode layer 2400' and a 2-2 electrode layer 2400". The 2-1 th electrode layer 2400 ′ may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2-1 electrode layer 2400' are in contact, and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2-1 electrode layer 2400' have the same upper surface area. can have
제1-1 전극층(2200') 상에 위치한 제1 도전체(2810)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1 전극층(2400')을 관통하여 제2 전극층(24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2 전극층(2200") 상에 위치한 제2 도전체(2820)는 제2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2 전극층(2400")을 관통하여 제2 전극층(24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은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의 측면은 제1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도전체(2820)은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도전체(2820)의 측면은 제2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2810 positioned o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penetrates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2-1 electrode layer 2400 ′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can protrude from The second conductor 2820 positioned on the 1-2th electrode layer 2200" penetrates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2-2nd electrode layer 2400"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have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2810 is surrounded by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has a contact surface.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have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surrounded by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to form a contact surface. can hav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이온 저장층(2310)이 유입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이온 저장층(2310)을 구성하는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이온 저장층(2310)은 제1 절연 영역(FIR)으로 인해, 구배를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전극층(2200) 상에 있는 이온저장층(2310)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채워진 이온저장층(2310)에 비해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층(2200) 상에 있는 이온저장층(2310)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채워진 이온저장층(2310)에 비해 기판(2100)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이온저장층(2310)에 형성된 구배에 따라,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에도 제1 절연 영역(FIR)이 위치하는 라인에 맞춰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도 27 참조).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ortion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flow in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ill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ormed to have a gradient due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s a specific example, the ion storage layer 231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ion storage layer 2310 fill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n other words, the ion storage layer 231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located relatively farther from the substrate 2100 than the ion storage layer 2310 fill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ccording to the gradient form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a gradient may be formed in the electrolyte layer 232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ccording to the line in which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positioned. There is (see Fig. 27).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의 일 영역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위치하고, 제1 절연 영역(FIR)의 다른 영역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 중 제2 절연 영역(SIR)에 대응되지 않은 영역에는 이온 저장층(2310)이 유입되어 이온 저장층(2310)을 구성하는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유입된 이온저장층(2310)의 상부에는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도 잇달아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om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re locat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located in another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som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may not be locat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flow into a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o be filled wit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also b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introduced ion storage layer 2310 .
제1 절연 영역(FIR) 중 제2 절연 영역(SIR)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전기변색층(233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제거되어,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이온저장층(2310)에 대응되는 물질이 존재하되 이온 저장층(2310)의 상부에 형성되었던 층이 제거된 형태로 전기변색모듈(3000)이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removed from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mo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ion storage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material corresponding to 2310 is present but the layer formed 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removed.
또는, 제1 절연 영역(FIR) 중 제2 절연 영역(SIR)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이온 저장층(231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제거되어, 전기변색매체(2300)에 대응되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거나 공정 오차로 인해 미미하게 존재할 수 있다(도 27 참조).Alternativel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removed from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removed. Substances may not be present or may be insignificant due to process errors (see FIG. 27 ).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무엇도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절연 영역(FIR)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절연 영역(FIR)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리고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을 증착하여 형성된 경우,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무엇도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미도시).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non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by using a mask to cover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depositing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Non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not shown).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에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제어되어, 상기 전기변색매체(2300)의 광학적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에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2 전극층(2400")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제어되어, 상기 전기변색매체(2300)의 광학적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1 전극층(2200') 및 제2-2 전극층(2400") 사이의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제1 절연 영역(FIR) 상의 전기변색매체(2300)에서 가로 방향의 이온의 이동도 일부 발생하여 아래의 활성 영역(AR)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상부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매체(230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가로 방향의 이온의 이동보다 세로 방향의 이온의 이동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활성 영역(AR) 중 제1-1 전극층(2200')의 상부와, 제1 절연 영역(FIR)의 상부의 변색 속도는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ochromic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um 2300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econd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vary. Controll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can be adjusted. Even when a voltage betwee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2-2 electrode layer 2400" is applied, the first insulating region ( I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FIR), some movement of 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so occurs, so that the lower active region AR may also includ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movement of 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movement of the 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ccurs more actively, so that the first 1-1 of the active area AR A discoloration rate of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220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differen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는 영역이 활성 영역(A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이 비활성 영역(NAR)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판(2100)의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활성 영역(AR)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변색 정도는 비활성 영역(NAR)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변색 정도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region divid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in which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located may be defined as the active region AR. A region that is separat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where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not located may be defined as the non-active region NAR.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 degree of discolor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tive area AR may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degree of discoloratio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non-active area NAR.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만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 및 제2 전극층(2400) 만을 제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는 활성 영역(AR)과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지 않는 비활성 영역(NAR)은 변색 정도에서 미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ly a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remove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control only a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n this case, the active region AR is divid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located,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divided by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non-active area NAR may show a sligh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iscoloration.
다시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절연 영역(F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쇄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쇄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6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to have a clos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have a clos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제1 절연 영역(FIR)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절연 영역(FIR)의 아래 변이 제2 절연 영역(SIR)의 아래 변에 일치되는 형태로 제1 절연 영역(FIR) 및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절연 영역(FIR)의 전체 영역 중 10%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전체 영역 중 30%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전체 영역 중 50%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전체 영역 중 70%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전체 영역 중 90%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절연 영역(FIR)이 사각형일 때, 제1 절연 영역(FIR)의 한 변이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두 변이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세 변이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have an overlapping region wit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Referring to FIG. 26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coincides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have. However, 10% of the entire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overlap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r 30% of the entire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 50% of the total area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overlap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r 70% of the total area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overlap, or 90% of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overlap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has a quadrangular shape, one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overlap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r two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t may overlap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r three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overlap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서의 색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절연 영역(FIR)과 제2 절연 영역(SIR)의 일부를 중첩시킬 수 있다. 상술한 기재는 이러한 형태의 전기변색 모듈(3000)을 구현하기 위한 몇몇 예를 설명한 것일 뿐, 상술한 기재에 의해 본 출원의 발명이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되는 폐쇄된 형상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의 외측에 제2 절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lor from being fixed in the region defin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verlaps each other. can do it The above description only describes some examples for implement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of this type, and does not mean that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losed shape in whic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A second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outside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제1 도전체(2810)은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는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도전체(2810)는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하는 외측에 버스바 라인의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전체(2810)는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lternatively, the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 the form of a bus bar line. The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located inside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되 일 테두리 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기판(2100)의 일 테두리 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절연 영역(FIR)의 윗변은 제2 절연 영역(SIR)의 폐쇄된 형상 중 돌출 영역이 아닌 라인과 일치하고, 제1 절연 영역(FIR)의 아래변은 제2 절연 영역(SIR)의 폐쇄된 형상 중 돌출 영역인 라인과 일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의 세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의 다른 한 변은 제2 절영 영역(SIR)의 폐쇄된 형상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losed shape and a region protruding toward one edge. 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have a region protruding toward one edge of the substrate 2100 by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n this cas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coincides with a line that is not a protruding region among the closed shapes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has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 SIR) may coincide with a line that is a protruding region among the closed shapes. As a specific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ree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located inside the closed shape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3.3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3.3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절연 영역, 도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an insulating region, and a conducto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order to expla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1 절연 영역(FIR)의 형태가 변형된 예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odified. can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100)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위치될 수 있다. 기판(2100) 상에는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 및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기판(2100) 상에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전극층(2200)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구분되는 제1-1 전극층(2200') 및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region and a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a region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a region on the substrate 2100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include a 1-1 electrode layer 2200 ′ divided by a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a region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have.
제1 전극층(2200)은 기판의 (2100)의 일 영역 상에 위치하고, 기판(2100)의 다른 일 영역 상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기판(2100)은 제1 전극층(2200)이 배치되는 영역과 제1 전극층(22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one region of the substrate 2100 and not on the other region of the substrate 2100 . In other words, the substrate 2100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and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not disposed.
제1-1 전극층(2200') 상에는 제1 도전체(28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는 제1-1 전극층(2200')상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기판(2100)의 상면에는 제2 도전체(2820)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A first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 to be in physical contact. A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placed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 상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의 일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의 다른 일 영역 상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 상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된 영역 및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area.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ocated on on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area and not on the other area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rrangement area. In other words, the region o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not disposed may be included on the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제1 전극층(2200) 배치 영역에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된 영역 및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A region i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disposed and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spose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a region without at least on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a region in which at least on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absent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제1 절연 영역(FIR)은 전기변색매체(2300)가 배치된 영역 및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 및 제1 절연 영역(FIR) 상에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없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 region in whic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disposed and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a region without at least on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cludes a region without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t may include regions without layers.
제1 절연 영역(FIR)과 제2 절연 영역(SIR)은 대응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된 영역과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된 영역을 동일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과 제2 절연 영역(SIR)은 중첩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된 위치 중 일부 영역에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2 절연 영역(SIR)과의 중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중첩 영역은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형성된 제1 절연 영역(FIR) 상에 특정 물질이 증착되고, 다시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형성된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증착되었던 물질이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 및 전기변색층(233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 전기변색층(2330)을 구성하는 물질 및 전해질층(232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제거되는 물질은, 제2 전극층(2400)을 구성하는 물질, 전기변색층(2330)을 구성하는 물질, 전해질층(2320)을 구성하는 물질 및 이온저장층(2310)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and the region in whic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may include the same regi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overlap.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a position wher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have an overlapping region wit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For example, the overlapping region may be a region in which a specific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ormed through laser patterning, and the material deposit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formed through laser patterning is removed again. have.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includ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includ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include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lyte layer 2320 . . The material remov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clude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lyte layer 2320, and an ion storage layer ( 2310) may be included.
도 29을 참조하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까지 제거하도록 셋팅된 레이저 패터닝 장치를 통해 형성되어,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까지 제거되어 제1 전극층(2200) 상에 위치되고,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유입된 이온저장층(2310)이 제거되어 기판(2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through a laser patterning device set to remove up 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does not overlap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is removed 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and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verlappi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lows in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moved and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
또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의 상부 물질을제거하도록 셋팅된 레이저 패터닝 장치를 통해 형성되어,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까지 제거되고,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유입된 이온저장층(2310)을 일부 남기고 그 상부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through a laser patterning device set to remove the upper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so that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does not overlap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silver ion storage layer 2310 is removed,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verlappi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leaves a port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flowing in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is removed.
전기변색매체(2300)는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기변색매체(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기변색매체(2300')상에는 제2-1 전극층(240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기변색매체(2300")상에는 제2-2 전극층(2400")이 위치할 수 있다.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제2 절연 영역(SIR)을 공유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a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divided by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 2-1-th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ositioned. A second-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shar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제1-1 전극층(2200') 상에 위치한 제1 도전체(2810)는 제1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1 전극층(2400')을 관통하여 제2 전극층(24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전극층(2200)이 없는 기판(2100) 상에 위치한 제2 도전체(2820)는 제2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2 전극층(2400")을 관통하여 제2 전극층(24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은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의 측면은 제1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도전체(2820)은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도전체(2820)의 측면은 제2 전기변색매체(2300")에 둘러싸여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2810 positioned o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penetrates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2-1 electrode layer 2400 ′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can protrude from The second conductor 2820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withou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penetrates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2-2 electrode layer 2400" to penetrate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can protrude upwards.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have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have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the first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have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have a contact surface surrounded by the second electrochromic medium 230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이온 저장층(2310)이 유입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이온 저장층(2310)을 구성하는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이온 저장층(2310)은 제1 절연 영역(FIR)으로 인해, 구배를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전극층(2200) 상에 있는 이온저장층(2310)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채워진 이온저장층(2310)에 비해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층(2200) 상에 있는 이온저장층(2310)은 제1 절연 영역(FIR)에 채워진 이온저장층(2310)에 비해 기판(2100)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이온저장층(2310)에 형성된 구배에 따라,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에도 제1 절연 영역(FIR)이 위치하는 라인에 맞춰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도 29 참조).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ortion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flow in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ill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ormed to have a gradient due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s a specific example, the ion storage layer 231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ion storage layer 2310 fill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n other words, the ion storage layer 231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located relatively farther from the substrate 2100 than the ion storage layer 2310 fill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ccording to the gradient form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a gradient may be formed in the electrolyte layer 232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ccording to the line in which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positioned. There is (see Fig. 29).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의 일 영역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위치하고, 제1 절연 영역(FIR)의 다른 영역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 중 제2 절연 영역(SIR)에 대응되지 않은 영역에는 이온 저장층(2310)이 유입되어 이온 저장층(2310)을 구성하는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유입된 이온저장층(2310)의 상부에는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도 잇달아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om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re locat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located in another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som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may not be locat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flow into a reg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o be filled wit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also b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introduced ion storage layer 2310 .
제1 절연 영역(FIR) 중 제2 절연 영역(SIR)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전기변색층(233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제거되어,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이온저장층(2310)에 대응되는 물질이 존재하되 이온 저장층(2310)의 상부에 형성되었던 층이 제거된 형태로 전기변색모듈(3000)이 구성될 수 있다(도 29 참조).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removed from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mo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ion storage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material corresponding to 2310 is present but the layer formed 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removed (see FIG. 29 ).
또는, 제1 절연 영역(FIR) 중 제2 절연 영역(SIR)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이온 저장층(231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매체(2300)가 제거되어, 전기변색매체(2300)에 대응되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거나 공정 오차로 인해 미미하게 존재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removed from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removed. Substances may not be present or may be insignificant due to process errors.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무엇도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절연 영역(FIR)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절연 영역(FIR)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리고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을 증착하여 형성된 경우, 제1 절연 영역(FIR)에는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 중 무엇도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미도시).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non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by using a mask to cover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depositing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Non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not shown).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에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제어되어, 상기 전기변색매체(2300)의 광학적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에 인가되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상기 제1-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2 전극층(2400")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제어되어, 상기 전기변색매체(2300)의 광학적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1 전극층(2200') 및 제2-2 전극층(2400") 사이의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제1 절연 영역(FIR) 상의 전기변색매체(2300)에서 가로 방향의 이온의 이동도 일부 발생하여 아래의 활성 영역(AR)에는 제1 절연 영역(FIR)의 상부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매체(230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가로 방향의 이온의 이동보다 세로 방향의 이온의 이동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활성 영역(AR) 중 제1-1 전극층(2200')의 상부와, 제1 절연 영역(FIR)의 상부의 변색 속도는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ochromic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um 2300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second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vary. Controll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can be adjusted. Even when a voltage betwee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2-2 electrode layer 2400" is applied, the first insulating region ( I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on the FIR), some movement of 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so occurs, so that the lower active region AR may also includ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movement of 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movement of the 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ccurs more actively, so that the first 1-1 of the active area AR A discoloration rate of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220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differen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는 영역이 활성 영역(A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이 비활성 영역(NAR)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판(2100)의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활성 영역(AR)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변색 정도는 비활성 영역(NAR)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변색 정도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region divid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in which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located may be defined as the active region AR. A region that is separat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where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not located may be defined as the non-active region NAR.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0 , a degree of discolor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tive area AR may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degree of discoloratio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non-active area NAR.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매체(2300) 중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만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 및 제2 전극층(2400) 만을 제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는 활성 영역(AR)과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구분되고 제2 도전체(2820)가 위치하지 않는 비활성 영역(NAR)은 변색 정도에서 미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ly a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remove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control only a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n this case, the active region AR is divid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located,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divided by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non-active area NAR may show a sligh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iscoloration.
다시 도 28을 참조하면, 제1 절연 영역(F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쇄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쇄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8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to have a clos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have a clos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제1 절연 영역(FIR)은 제2 절연 영역(SIR)과 중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절연 영역(FIR)의 아래 변이 제2 절연 영역(SIR)의 아래 변에 일치되는 형태로 제1 절연 영역(FIR) 및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기판(2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되는 폐쇄된 형상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의 외측에 제2 절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have an overlapping region wit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Referring to FIG. 28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coincides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hav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losed shape in which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formed. A second insulating region may be formed outside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제1 절연 영역(FIR)은 내부가 채워진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 절연 영역(FIR)의 테두리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의 이온 저장층(2310)이 제거되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have a filled shape.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a region formed by remov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in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edg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제1 도전체(2810)은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전체(2810)는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도전체(2810)는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하는 외측에 버스바 라인의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전체(2810)는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하는 폐쇄된 형상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lternatively, the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 the form of a bus bar line. The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located inside the closed shape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은 폐쇄된 형상을 가지되 일 테두리 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기판(2100)의 일 테두리 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절연 영역(FIR)의 윗변은 제2 절연 영역(SIR)의 폐쇄된 형상 중 돌출 영역이 아닌 라인과 일치하고, 제1 절연 영역(FIR)의 아래변은 제2 절연 영역(SIR)의 폐쇄된 형상 중 돌출 영역인 라인과 일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의 세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의 다른 한 변은 제2 절영 영역(SIR)의 폐쇄된 형상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losed shape and a region protruding toward one edge. 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have a region protruding toward one edge of the substrate 2100 by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n this cas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coincides with a line that is not a protruding region among the closed shapes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has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 SIR) may coincide with a line that is a protruding region among the closed shapes. As a specific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ree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located inside the closed shape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3.3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작 공정3.3 Manufacturing process of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part
도 30은 제1 실시예 및/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작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있다.3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first and/or second embodiments.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작은, 기판의 준비(S1100), 제1 전극층 형성(S1200), 제1 절연 영역 형성(S1810),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 형성(S1900), 전기변색매체 형성(S1300), 제1 전극층 형성(S1400) 및 제2 절연 영역 형성(S1820)을 포함할 수 있다.Prepa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es preparing a substrate (S1100),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S1200), forming a first insulating region (S1810), form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S1900), and forming an electrochromic medium ( S1300 ),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 S1400 ), and forming a second insulating region ( S1820 ) may be included.
기판(2100)의 준비(S1100) 후, 기판(2100) 상에 제1 전극층을 형성(S1200)하면, 제1 전극층(22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1 절연 영역(FIR)을 형성(S1810)할 수 있다. S181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 S1200 ) after the substrate 2100 is prepared ( S1100 ),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removed to form a first insulating region FIR ( S1810 ). )can do. In operation S1810 , at least on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일 예로, 제1 절연 영역(FIR)은 폐쇄된 형상의 테두리 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1 전극층(2200') 및 제1-2 전극층(2200")으로 구분되도록 상기 제1 전극층(2200)의 일 영역이 폐곡선의 형태로 레이저 식각되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절연 영역(FIR)은 도 27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closed edge lin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by laser etching a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so as to be divided into a 1-1 electrode layer 2200 ′ and a 1-2 electrode layer 22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다른 예로, 제1 절연 영역(FIR)은 폐쇄된 형상의 라인 및 내부 공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 전극층(2200)이 제1-1 전극층(2200')과 제1 전극층(2200)이 제거된 제1 절연 영역(FIR)으로 구분되도록, 제1 전극층(2200)의 일 영역이 완전히 제거되는 형태로 레이저 식각되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절연 영역(FIR)은 도 29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closed line and an internal spac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divided into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and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rom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removed, the first electrode layer ( 2200) may be a region formed by laser etching in a form in which one region is completely removed.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29 .
제1 절연 영역(FIR)이 형성(S1810)되고, 제1 전도체(2810) 및 제2 전도체(2820)을 형성(S1900)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Ag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A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 S1810 ), and a first conductor 2810 and a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 S1900 ).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by applying Ag paste using an inkjet printing method.
일 예로, 제1 전도체(2810)는 제1 전극층(2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체(2810)는 제1 전극층(2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S1900 단계에서는 S1810 단계에서 형성된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구분되는 제1-1 전극층(2200') 상에 제1 전도체(2810)을 형성하고, 제1-2 전극층(2200") 상에 제2 전도체(2810)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In step S1900, a first conductor 2810 is formed o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divid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ormed in step S1810, and on the 1-2 electrode layer 2200". A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다른 예로, 제1 전도체(2810)는 제1 전극층(2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체(2810)는 기판(2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S1900 단계에서는 S1810 단계에서 형성된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구분되는, 제1-1 전극층(2200') 상에 제1 전도체(2810)를 형성하고, 제1 절연 영역(FIR)에 의해 제1 전극층(2200)이 제거된 기판(2100) 상에 제2 전도체(2820)을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second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 In step S1900 , a first conductor 2810 is formed on the 1-1 electrode layer 2200 ′, which is divid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formed in step S1810 , and the first conductor 2810 is 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A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from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has been remov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 형성(S1900)한 후, 제1 절연 영역 형성(S1810)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forming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 S1900 ),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insulating region ( S1810 ).
전기변색매체가 형성(S1300)될 수 있다. 제1 전극층(2200), 제1 전도체(2810) 및 제2 전도체(2820) 상에 전기변색 매체가 형성(S1300)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medium may be formed (S1300). An electrochromic medium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conductor 2810 ,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S1300 ).
일 예로, 전기변색매체의 형성(S1300)은, 이온저장층(2310)의 형성, 전해질층(2320)의 형성 및 전기변색층(2330)의 형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변색매체의 형성(S1300)은, 전기변색층(2330)의 형성, 전해질층(2320)의 형성 및 이온 저장층(2310)의 형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rmat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 S1300 ) may be performed by forming the ion storage layer 2310 , forming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nd form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s another example, the format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 S1300 ) may be performed by the forma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formation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nd the format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전기변색매체(2300) 상에는 제2 전극층(2400)이 형성(S1400)될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은 전기변색매체(2300), 제1 전도체(2810) 및 제2 전도체(28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S140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the first conductor 2810 ,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매체(2300)가 형성(S1400)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추가층(500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2310)이 형성되는 단계, 이온 저장층(2310) 상에 전해질층(2320)이 형성되는 단계, 전해질층(2320) 상에 전기변색층(2330)이 형성되는 단계를 수행하면, 제1 전극층(2200) 상에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때, 상기 제1 도전체(2810)의 상면 및 상기 제2 버스바(2820)의 상면에,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1 층, 상기 전해질층(2320)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2 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포함된 물질로 구성된 제3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formed (S1400), an additional layer 50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ormed. In other words,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2320 is formed 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formed on the electrolyte layer 2320 . When this form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electrolyte layer 232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first conductor 2810 A first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2310, a second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electrolyte layer 2320, and the electric A third layer made of a material included in the color-changing layer 233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제2 절연 영역(SIR)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2 절연 영역(SIR)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층(2400)의 일부 영역과, 전기변색매체(23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2 절연 영역(SIR)을 형성할 수 있다.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절연 영역(FIR)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이 레이저 패터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제1 절연 영역(FIR)을 형성할때에 레이저가 지나갔던 제1 경로 중 일부 경로를 지나도록 제2 절연 영역(SIR)의 레이저 패터닝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have a region overlapping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Whe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performed by laser patterning, the laser patterning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s performed such that some of the first paths passed by the laser when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This can be done.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 전극층(2200)이 제거되도록 형성되고, 제2 절연 영역(SIR)은 제1 전극층(2200)이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절연 영역(FIR)은 제1 전극층(2200)이 제거되도록 형성되고, 제2 절연 영역(SIR)은 제2 전극층(2400), 전기변색층(2330), 전해질층(2320) 및 이온저장층(2310)이 제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removed,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maintained.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region FIR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removed,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cludes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moved.
일 예로, 제2 절연 영역(SIR)은 폐쇄된 형상의 테두리 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 영역(SIR)은, 제2 전극층(2400) 중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절연 영역(SIR)은, 제2 전극층(2400) 및 전기변색매체(23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절연 영역(SIR)은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 영역 및 제2 전극층(24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2 절연 영역(SIR)은 전해질층(2320)의 일부 영역,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 영역 및 제2 전극층(24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제2 절연 영역(SIR)은 이온저장층(2310)의 일부 영역, 전해질층(2320)의 일부 영역, 전기변색층(2330)의 일부 영역 및 제2 전극층(24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closed-shaped edge lin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removed. Alternatively,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partial regions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re removed. 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includes a partial reg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lyte layer 2320 ,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I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egion is removed.
4. 전기변색모듈의 전기접속부4. Electrical connection part of electrochromic module
4.1 전기변색모듈의 전기접속부4.1 Electrical connection of electrochromic module
도 3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상술한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도, 보호층(2500) 및/또는 보호 필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도 보호층(2500) 및/또는 보호 필름(2600)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도 보호층(2500) 및/또는 보호 필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A protective layer 2500 and/or 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ion part.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or the protective film 260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protection is also provid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layer 2500 and/or a protective film 2600 may be formed.
다만,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에 보호층(2500)이 형성되는 경우를 들어, 구체적인 구조와 전기적 연결 구조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보호층(2500)"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However, hereinafter, a specific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aking the case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becaus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almost the same, and thus overlap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도 31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2000) 상에 보호층(2500)이 형성되면, 제2 절연 영역(SIR)에도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000) 상에 보호층(2500)이 형성되면,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에도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when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also be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When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also be formed o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도 32는 제2 절연 영역(SIR)에 형성된 보호층(2500)을 설명하기 위해, 제2 절연 영역(SIR) 및 제2 절연 영역(SIR)의 주변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3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nd peripheral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o explain the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제2 절연 영역(SIR)에 의해 전기변색소자(2000)는 적어도 제1 두께를 가지는 위치에서의 제1 상면(FUS, First Upper Surface) 및 제2 두께를 가지는 위치에서의 제2 상면(SUS, Second Upper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두께는,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 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두께의 합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두께는, 기판(2100) 및 제1 전극층(2200)의 두께의 합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제2 두께는, 기판(2100) 및 제1 전극층(2200)의 두께의 합 보다 크나,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 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두께의 합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에 비해 클 수 있다.Due to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has at least a first upper surface (FUS) at a posi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upper surface (SUS) at a posi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econd Upper Surface). The first thickness may correspond to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substrate 21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second thickness may correspond to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lternatively, the second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substrate 21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but the substrate 2100,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less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thickness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제1 상면(FUS) 및 제2 상면(SUS)는 연결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면은 제1 상면(FUS)과 제2 상면(SUS)의 두께조정구간일 수 있다. The first upper surface FUS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surface. The connection surface may be a thickness adjustment section between the first upper surface FUS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면 및 제2 절연 영역(SIR)에는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면(FUS), 제2 상면(SUS) 및 연결면에는 보호층(2500)이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A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upper surface FUS,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and the connection surface.
보호층(25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상면(FUS)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와 제2 상면(SUS)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제1 상면(FUS)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와 연결면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제2 상면(SUS)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와 연결면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assivation layer 2500 on the first upper surface FUS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assivation layer 2500 on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first upper surface FUS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connection surfac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connection surface.
다만, 보호층(2500)은 교차지점(CSP)에서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상면(FUS)과 상기 연결면의 교차지점(CSP)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는 상기 제1 상면(FUS)에 형성되는 보호층(25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SUS)과 상기 연결면의 교차지점(CSP)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는 상기 제2 상면(SUS)에 형성되는 보호층(250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However, the protective layer 250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at the intersection point CSP.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t the intersection point CSP of the first upper surface FUS and the connection surface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first upper surface FUS. have.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t the intersection CSP of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and the connection surface may be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form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상기 제2 상면(SUS)과 상기 연결면의 교차지점(CSP)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보호층(2500)을 형성하여, 두께조정구간의 양 단부에서의 변색 이온의 유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t the intersection point CSP of the second upper surface SUS and the connection surface has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at both ends of the thickness adjustment section.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outflow of discoloration ions.
도 33은 전기변색소자(2000)의 두께가 다른 위치에서의 제1 상면, 제2 상면및 연결면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2000) 및 보호층(250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3000)의 FIB(Focused Ion Beam) 이미지이다.33 is an electrochromic element 2000 and a protective layer ( 2500) is a FIB (Focused Ion Beam) image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ing.
기판(2100) 상에,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층(2330), 전해질층(2320), 이온저장층(2310) 및 제2 전극층(2400)을 형성하고, 제2 전극층(24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제2 절연 영역(SIR)을 형성하였다.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was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
제2 절연 영역(SIR)의 형성 이후, 보호층(2500)을 형성하고, 해당 전기변색모듈(3000)에 대한 FIB 이미지를 촬영하여 교차지점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와 제2 상면에서의 보호층(2500)의 두께가 상이함을 확인하였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region (SIR), the protective layer 2500 is formed, and an FIB image of the corresponding electrochromic module 3000 is taken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t the intersection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f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리 기판(2100) 상에 ITO층(2200), WOx층(2330), TaOy층(2320), IrTaOz층(2310) 및 Al층(2400)을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하였다. 이후, Al층(2400)의 일부 영역을 레이저 식각하여, 전기변색소자(20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위치에서의 제1 상면 및 상대적으로 더 얇은 위치에서의 제2 상면을 형성하였다. 이후, 전기변색소자(2000) 상에 보호층(2500)을 ALD 공정을 통해 멀티 레이어로 형성하였다. 이후, 제작된 전기변색모듈(3000)에 대한 FIB 이미지를 촬영하였다.Specifically, an ITO layer 2200, a WO x layer 2330, a TaO y layer 2320, an IrTaO z layer 2310, and an Al layer 2400 are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 2100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did Thereafter, a portion of the Al layer 2400 was laser etched to form a first top surface at a position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had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and a second top surface at a posit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was relatively thin. Thereafter, a protective layer 2500 was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 a multi-layered manner through an ALD process. Thereafter, an FIB image of the manufactured electrochromic module 3000 was taken.
FIB 이미지 상의 타겟 영역(TR)에서, Al층이 형성되지 않은 IrTaOz층의 상면(즉, 제2 상면) 상에 형성된 보호층의 두께는, IrTaOz층과 Al층이 만나는 교차지점(즉, 제1 상면과 연결면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보호층에 두께에 비해 얇은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target region TR on the FIB imag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top surface (ie, the second top surface) of the IrTaO z layer on which the Al layer is not formed is at the intersection point (ie, the IrTaO z layer and the Al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ctive layer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ng surface) was thinner than the thickness.
이에, 본 명세서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제2 상면 상의 보호층(2500)의 두께보다 제2 상면과 연결면의 교차 지점의 보호층(2500)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절연 영역(SIR)으로 형성된 교차 지점에서의 변색 이온의 유출이 감소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s demonstrated herei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2500 on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rough this, the second insulation The effect of reducing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at the intersection formed by the region SIR may be derived.
도 34는 전도체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구성 물질에 대응되는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 31의 전도체 상부 영역(CUR, Conductor Upper Region)을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34 is an upper region (CUR, Conductor This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Region.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를 먼저 형성하고, 전기변색매체(2300)를 형성하는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000)의 경우,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 상에는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구성 물질에 대응되는 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nclu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forming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first, and forming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on the second conductor 2820 ,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상술한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구성 물질에 대응되는 레이어는, 제1 도전체(2810) 상에도 형성될 수 있고, 제2 도전체(282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2 도전체(2820)의 상면을 확대한 도 34를 통해서, 제2 도전체(2820)의 상면에 형성된 추가 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는, "추가층(5000)"을 설명함에 있어, 제1 도전체(28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형태와 제2 도전체(2820)의 상면에 형성되는 형태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Layers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 2820) may also be formed. However, hereinafter, an additional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4 , which is an enlarged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is is because the shap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hap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are almost the same in describing the “additional layer 5000 ”, so the description is duplicated. is omitted.
도 34를 참조하면, 제2 도전체(2820) 상에는 추가층(5000)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층(5000)은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 상에는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매체(2300) 및 제2 전극층(2400)의 구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층(5000)은 제1 전극층(2200)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전극층(2200)이 ITO층이면, 추가층(5000)은 ITO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가층(5000)은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전기변색매체(2300)가, IrTaOx층(2310), TaOy층(2320) 및 WOz층(2330)을 포함하는 경우, 추가층(5000)은 IrTaOx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추가층(5000)은 제1 전극층(2200)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층, 전기변색매체(2300)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층 및 제2 전극층(2400)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전극층(2200)이 ITO이고, 전기변색매체(2300)가 IrTaOx층, TaOy층 및 WOz층이고, 제2 전극층(2400)이 Al층인 경우, 추가층(5000)은 ITO층, IrTaOx층, TaOy층, WOz층 및 Al층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 an additional layer 500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additional layer 50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by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may include For example,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include one layer made of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For a specific example, i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an ITO layer,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include an ITO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include one layer made of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ncludes an IrTaO x layer 2310 , a TaO y layer 2320 and a WO z layer 2330 ,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include an IrTaO x layer. can As another example, the additional layer 5000 is a layer made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 layer made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 and a layer made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may include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is ITO,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an IrTaO x layer, a TaO y layer, and a WO z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is an Al layer, the additional layer 5000 ) may include an ITO layer, an IrTaO x layer, a TaO y layer, a WO z layer and an Al layer.
추가층(5000)은 제2 도전체(2820)의 상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추가층(5000)은 제2 도전체(2820)의 상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가층(5000)은 제2 도전체(2820)의 상면 및 제2 도전체(282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추가층(5000)은 제2 전극층(2400) 측으로 돌출된 제2 도전체(2820) 중 일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 For example,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be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 As another example,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als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be locat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추가층(5000)이 형성된 전기변색소자(2000)상에도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5000)은 추가층(5000)의 상면, 추가층(5000)의 측면, 제2 전극층(2400) 측으로 돌출된 제2 도전체(2820)의 측면, 제2 전극층(24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may also be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on which the additional layer 5000 is formed. The protective layer 5000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ditional layer 5000 , the side surface of the additional layer 5000 ,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can be formed.
도 35는 도전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추가층(5000)을 설명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2000) 및 추가층(5000)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3000)의 FIB(Focused Ion Beam) 이미지이다.35 is a FIB (Focused Ion Beam) image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and the additional layer 5000 to explain the additional layer 50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or. .
기판(2100) 상에, 도전체를 먼저 형성하고 전기변색매체(2300)를 형성하고, 도전체의 상면에 대한 FIB이미지를 촬영하여, 도전체의 상면에 전기변색매체(2300)의 물질과 대응되는 추가층(5000)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On the substrate 2100, a conductor is first formed, an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formed, and an FIB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or is taken, and the material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is corresp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additional layer 5000 was form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판(2100) 상에 Ag paste를 잉크젯 공법으로 형성하여 도전체를 이루고, 도전체를 포함한 기판(2100) 상에 WOx층(2330), TaOy층(2320), IrTaOz층(2310)을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하였다. 이후, 기판(2000)의 도전체 측에 대한 FIB 이미지를 촬영하였다.Specifically, Ag paste is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by an inkjet method to form a conductor, and the WO x layer 2330, TaO y layer 2320, IrTaO z is formed on the substrate 2100 including the conductor. Layer 2310 was deposit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Thereafter, an FIB image of the conductor side of the substrate 2000 was taken.
FIB 이미지 상의 타겟 영역(TR)에서, Ag paste(즉, 도전체) 상에 EC물질과 대응되는 추가층(5000)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추가층(5000)은 전기변색매체(2300)와 함께 증착된 부분으로, 동일한 물질을 가지는 동일한 레이어들이 포함되어 있다.In the target region TR on the FIB im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ditional layer 5000 corresponding to the EC material was formed on the Ag paste (ie, the conductor). The additional layer 5000 is a portion deposited together with the electrochromic medium 2300, and includes the same layers having the same material.
이에, 본 명세서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도 30에서 설명한 공정에 따라 생성된 전기변색소자(2000)는 도전체 상에 추가층(5000)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demonstrated herei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produced according to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0 , the additional layer 5000 may be formed on the conductor.
4.2 전도성 필름을 이용한 전기적 연결 구조4.2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using conductive film
이미 설명한 바 있듯이,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은 상기 제어모듈(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s already described,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
이 때, 도전체와 상기 제어모듈(1000)사이에는 도전체 자체에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전선을 납땜하는 형태로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도전체와 상기 제어모듈(1000) 사이에는 회로기판(2900)을 두고, 회로기판(2900)을 전도성 매개 물질(예, 전도성 필름)을 통해 도전체와 연결하여, 도전체와 연결된 회로기판(2900)에 상기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전선을 납땜하는 형태로 전기적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control module 1000 in the form of soldering a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to the conductor itself, but the conductor and the control module 1000 A circuit board 2900 is placed between the circuit board 2900 and the circuit board 2900 is connected with a conductor through a conductive medium (eg, a conductive film), and the control module 1000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oldering the connected wires.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면, 도전체에 직접 납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납땜 등에 의해 도전체의 근처 소자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adopt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soldering to the conducto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elements adjacent to the conductor by soldering or the like.
도 36은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2900)이 부착된 전기변색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2900)이 부착된 전기변색소자의 분해도이다.3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chromic module to which a circuit board 2900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37 is an exploded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to which a circuit board 2900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가 형성된 전기변색모듈(3000) 상에는 전도성 필름(2700) 및 회로기판(2900)이 부착될 수 있다. A conductive film 2700 and a circuit board 2900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on which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are formed.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은 상기 제1 도전체(2810)의 일 영역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의 일 영역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은 상기 제1 도전체(2810)의 제2 전극층(2400) 상으로의 돌출부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의 제2 전극층(2400) 상으로의 돌출부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region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one region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conductive film 2700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first conductor 2810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can do.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은 상기 제1 도전체(2810)의 일 영역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의 일 영역에 외력에 의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은 열 또는 압력이 인가되어, 추가층(5000)을 뚫으며 상기 제1 도전체(2810)의 일 영역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의 일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은 열 또는 압력이 인가되어, 추가층(5000)을 뚫으며 상기 제1 도전체(2810)의 제2 전극층(2400) 상으로의 돌출부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의 제2 전극층(2400) 상으로의 돌출부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conductive film 2700 may contact one region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one region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by an external force.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in contact with one region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one region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to penetrate the additional layer 5000 . . Heat or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m 2700 to penetrate the additional layer 5000 , and the protrusion of the first conductor 2810 on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상기 회로기판(2900)은 상기 전도성 필름(270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900)은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2900 may contact the conductive film 2700 . 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through the conductive film 2700 .
도 38은 회로기판(2900)이 부착된 전기변색모듈(3000)에 대하여, 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3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to which the circuit board 2900 is attached.
상기 전도성필름(2700)은 도전성을 가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필름(2700)은 일방향으로는 전도성을 가지되, 일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가지는 전도체일 수 있다. 즉, 전도성필름(2700)은 일종의 이방성전도체(ACF, Anistropic Conducting Film)일 수 있다.The conductive film 2700 may include a region having conductivity.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a conductor having conductivity in one direction, but insulation in another direction other than one direction. That is,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a kind of anisotropic conductor (ACF, Anistropic Conducting Film).
상기 전도성필름(2700)은 베이스(2710) 및 다수의 도전성볼(2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볼(2730)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2710)는 전도성필름(2700)의 외적 형상을 정의하며, 상기 베이스(2710)에는 상기 도전성볼(2730)이 함입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include a base 2710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balls 2730 . The conductive ball 2730 may have conductivity. The base 2710 defines an external shape of the conductive film 2700 , and the conductive ball 2730 may be embedded in the base 2710 .
상기 도전성볼(2730)은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표면(2733)과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내부(2731)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전내부(2731)는 금, 은, 니켈 및 구리 등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절연표면(2733)은 절연성 유기고분자 등의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ball 2730 may have an insulating surface 2733 having insulation and a conductive interior 2731 having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conductive inner 2731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nickel, and copper, and the insulating surface 2733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n insulating organic polymer.
상기 전도성필름(2700)는 일방향으로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성질이 존재하며, 일방향이 아닌 타방향으로는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성질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필름(2700)은 제1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가지고, 제2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2900)과 상기 제1 도전체(28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1 단자(2811)와 상기 제1 도전체(28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2900)과 상기 제2 도전체(28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2 단자(2813)와 상기 제2 도전체(28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도전체(2810) 상에 있는 도전성볼(2730)과 상기 제2 도전체(2820) 상에 있는 도전성볼(2730)을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conductive film 2700 may have a property of being electrically insulated in one direction, and may have a property of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in the other direction other than one direction.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have conductivity in a first direction and insulation in a second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board 2900 and the first conductor 2810 .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811 of the circuit board 2900 and the first conductor 28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oard 290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813 of the circuit board 290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connecting the conductive ball 2730 o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conductive ball 2730 on the second conductor 2820 .
상기 도전성볼(2730)은 상기 베이스(2710)에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전성볼(2730)은 상기 베이스(2710)에 균질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conductive balls 2730 may be randomly disposed on the base 2710 . Alternatively, the conductive ball 2730 may be uniformly positioned on the base 2710 .
상기 회로기판(2900)은 적어도 제1 단자(2911) 및 제2 단자(2913)를 포함하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2911) 및 상기 제2 단자(2913)는, 상기 제어모듈(1000)과 전기변색소자(20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자(2911)는, 상기 제어모듈(1000)과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1 전극층(2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2913)는, 상기 제어모듈(1000)과 전기변색소자(2000)의 제2 전극층(2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a board including at least a first terminal 2911 and a second terminal 2913 . The first terminal 2911 and the second terminal 2913 may perform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2911 may perform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second terminal 2913 may perform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odule 10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상기 회로기판(2900)은 유연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FPCB)일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회로기판(2900)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단자(2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2911)가 이미 제1 도전체(2810)와 연결되어 있어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도선을 납땜하기에 용이하지 않은바,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제1 단자(2911)를 대신하여 납땜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900)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2 단자(2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2913)가 이미 제2 도전체(2920)와 연결되어 있어 제어모듈(1000)과 연결된 도선을 납땜하기에 용이하지 않은바, 상기 제4 단자는 상기 제2 단자(2913)를 대신하여 납땜에 이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thir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911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circuit board 2900 . Since the first terminal 2911 is alread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or 2810 , it is not easy to solder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 and the third terminal connects the first terminal 2911 to the first terminal 2911 . Instead, it can be used for soldering. A fourth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913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circuit board 2900 . Since the first terminal 2913 is alread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or 2920 , it is not easy to solder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0 , and the fourth terminal connects the second terminal 2913 to the second terminal 2913 . Instead, it can be used for soldering.
상기 제1 도전체(2810)는 상기 전도성필름(2700)의 일 영역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1 단자(2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2810)는 상기 전도성필름(2700)의 도전성볼(2730)이 서로간 전기적 통로를 형성한 일 영역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1 단자(2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911 of the circuit board 2900 through one region of the conductive film 2700 . The first conductor 2810 i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911 of the circuit board 2900 through a region in which the conductive balls 2730 of the conductive film 2700 form an electrical path between each other. can
상기 제2 도전체(2820)는 상기 전도성필름(2700)의 일 영역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2 단자(2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체(2820)는 상기 전도성필름(2700)의 도전성볼(2730)이 서로간 전기적 통로를 형성한 일 영역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2 단자(2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913 of the circuit board 2900 through one region of the conductive film 2700 .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913 of the circuit board 2900 through a region in which the conductive balls 2730 of the conductive film 2700 form an electrical path between each other. can
상기 제2 도전체(28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볼(2730)과 상기 제1 도전체(28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볼(2730)은 서로 상이한 군일 수 있다.The conductive ball 2730 to which the second conductor 2820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conductive ball 2730 to which the first conductor 2810 is electrically connected may be in different groups.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제1 단자(2911)와 상기 제2 단자(2913)을 통해 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제1 단자(2911)와 상기 제2 단자(2913)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00)은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3 단자 및 제4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제1 단자(2911)와 상기 제2 단자(2913)을 통해, 전기변색소자(2000)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0 may apply driving power through the first terminal 2911 and the second terminal 2913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a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911 and the second terminal 2913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third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29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2911 and the second terminal 2913 .
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상기 제2 도전체(2820) 상에 보호층(2500) 및 추가층(500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성필름(2700)이 부착되는 당시에 가해지는 압력(및/또는 열)로 인해 1)상기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와 2)상기 전도성필름(2700)사이의 전기적 통로는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Even when the protective layer 2500 and the additional layer 5000 are formed on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conductive film 2700 is attached Due to (and/or heat), an electrical path between 1)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and 2)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sufficiently formed.
도 39 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한 순서도이다.39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기변색소자의 제작(S1000) 후, 전기변색소자에 보호층이 형성(S2000)되고 나면,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S3000)할 수 있다.After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anufactured ( S1000 ) and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 S2000 ),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may be formed ( S3000 ).
전기변색모듈(3000)에 전도성 필름(2700)을 배치(3100)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도성필름(2700)을 제1 도전체(2810) 및 제2 도전체(2820)의 상부에 열압착하는 형태로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을 전기변색모듈(3000)에 부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도성필름(2700)을 제1 도전체(2810)의 상부에 열압착하고, 제2 전도성필름(2700)을 제2 도전체(2820)의 상부에 열압착하는 형태로, 상기 전도성 필름(2700)을 전기변색모듈(3000)에 부착할 수 있다.A conductive film 2700 may be disposed 3100 on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For example,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in a form of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conductive film 2700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 have. As another example, in the form of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first conductive film 2700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ductor 2810 and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second conductive film 2700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the The conductive film 2700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
상기 전도성필름(2700)에 가해지는 압력(및/또는 열)로 인해, 도전성볼(2730)의 도전내부(2731)간의 접촉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필름(2700)에 가해지는 압력(및/또는 열)로 인해, 도전성볼(2730)을 통한 방향성이 있는 전기적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Due to the pressure (and/or heat)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m 2700 , a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interior parts 2731 of the conductive balls 2730 may be induced. Due to the pressure (and/or heat)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m 2700 , a directional electrical path through the conductive ball 2730 may be formed.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에 전도성필름(2700)을 위치시키고 후처리를 통해, 전도성 필름(2700)과 제1 도전체(28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필름(2700)에 가해지는 압력(및/또는 열)로 인해, 제1 도전체(2810)의 상면에 위치한 물질(즉, 추가층(5000) 및 보호층(2500)을 관통하여, 전도성 필름(2700)과 제1 도전체(28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스바의 상면에 전도성필름(2700)을 위치시키고 후처리를 통해, 전도성 필름(2700)과 제2 도전체(28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필름(2700)에 가해지는 압력(및/또는 열)로 인해, 제2 도전체(2820)의 상면에 위치한 물질(즉, 추가층(5000) 및 보호층(2500)을 관통하여, 전도성 필름(2700)과 제2 도전체(28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ive film 2700 and the first conductor 2810 may be formed by placing the conductive film 27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and post-processing. Due to the pressure (and/or heat)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m 2700 , it penetrates through the material (ie, the additional layer 50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2810 , An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lm 2700 and the first conductor 2810. The conductive film 27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and the conductive film 2700 and the second conductive film 2700 are post-processed. It is possible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ductors 2820. Due to the pressure (and/or heat)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m 2700, a material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or 2820)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ive film 2700 and the second conductor 2820 may be formed through the additional layer 5000 and the protective layer 2500 .
상기 전도성필름(2700)의 부착 후, 회로기판(2900)이 배치(S3300) 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기판(2900)을 전도성필름(2700) 상에 열압착하여, 전도성필름(2700)을 통해 전기변색모듈(3000)에 부착할 수 있다.After the conductive film 2700 is attached, 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disposed ( S3300 ).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thermocompressed onto the conductive film 2700 and attach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3000 through the conductive film 2700 .
상기 회로기판(2900)은 상기 전도성필름(2700)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1 단자(2911)은 상기 전도성필름(2700)을 통해 상기 제1 도전체(281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900)의 제2 단자(2913)은 상기 전도성필름(2700)을 통해 상기 제2 도전체(282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900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ilm 2700 . The first terminal 2911 of the circuit board 2900 may electrically contact the first conductor 2810 through the conductive film 2700 . The second terminal 2913 of the circuit board 2900 may electrically contact the second conductor 2820 through the conductive film 2700 .
상기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출원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관련된 사항을 기술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related matters have been described.

Claims (23)

  1. 전기변색소자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에 있어서,An electrochromic module compris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protective layer, the electrochromic module comprising:
    상기 전기변색소자는,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매체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기 기판의 하면,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이 바운더리 영역(boundary region)을 가지고,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medium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positioned on the electrochromic media;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e a boundary region,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판,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에 비해 수분 투과율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The protective layer has a property of having a low moisture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기판은 투명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확인되고,The substrate is transparent, and whe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change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confirmed,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와 외부 환경의 물질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바운더리 영역 중 상기 기판의 하면을 제외한,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배치되고,The protective layer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exclu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the boundary region to prevent material movement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매체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The substrate has the thickest thickness among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2.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기변색매체는,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The electrochromic medium includes an ion storage layer, an electrolyte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3. 제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기변색매체는,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상기 제1 전극층의 상에 위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전극층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a first region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region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4. 제3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보호층이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위치된 보호층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제2 영역을 가리는,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protective layer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covers the second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5. 제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전기변색매체는,The electrochromic medium is
    상기 이온 저장층 상에 상기 전해질층이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층 상에 상기 전기변색층이 위치하고,The electrolyte layer is positioned on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is positioned on the electrolyte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6. 제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이온 저장층은 상기 제1 전극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온 저장층은 기판과 접촉면을 가지고,The ion storag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ion storage laye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bstrate,
    상기 전해질층이 상기 이온 저장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해질층은 기판과 접촉면을 가지고,The electrolyte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lyte layer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bstrate,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전해질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기판과의 접촉면을 가지는,The electrochromic layer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lyt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hav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bstrate,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7. 제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위치된 제1 보호층과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위치된 제2 보호층은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The first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상기 제1 영역의 제1 지점과 상기 제2 영역의 제2 지점은 다른 두께를 가지는,The first point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point of the second area have different thicknesses,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8. 제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이고,The first point is a point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greatest,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이고,The second point is a point wher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is the smallest,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는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상기 전기변색매체의 두께에 비해 큰,a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at the first point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medium at the second point;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9. 제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2 영역 중 두께가 가장 두꺼운 제3 지점은,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2 전극층에 가장 가까운 지점이고,A third point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among the second regions is a point closest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among the second regions,
    상기 제3 지점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두께에 비해 작고,The thickness at the third poin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at the first point,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Tapered shape)을 가지는,The second region has a tapered shape that decreases in thickness from the third point to the second point,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0. 제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큰,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in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1.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되,A protective film positioned on the protective layer; further comprising,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위치되는 제1 보호층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보호층에는 고정되지 않아,The protective film is fixed to the first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is not fixed to the second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을 통한 상기 물질의 이동은 상기 보호층을 통해 저지되고,movement of the material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inhibi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 비해 면적이 넓은 상기 제2 전극층의 상면을 통한 상기 물질의 이동은 상기 보호층 및 상기 보호필름을 통해 저지되고,Movement of the material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ich has a larger area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preven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상기 물질의 이동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이온이 화합물의 형태로 유출되는 것을 포함하는,The movement of the material includes the outflow of color-changing ion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 the form of a compound,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2.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호층은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틈(gap)은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층 사이의 틈에 비해 작은,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through the ALD process, the gap (gap)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otective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3.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호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상기 제1 층은 TiO2를 포함하고,The first layer comprises TiO2,
    상기 제2 층은 Al2O3를 포함하는,wherein the second layer comprises Al2O3;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4. 제13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보호층은,The protective layer is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이 반복 적층되는,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repeatedly laminated,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5.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호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고,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상기 제1 층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The first layer is 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상기 제2 층은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The second layer is formed through an ALD process,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6. 제16 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1 층은 SiN층, Al층 및 SiN층을 포함하고,The first layer comprises a SiN layer, an Al layer and a SiN layer,
    상기 제2 층은 TiO2층, Al2O3층, TiO2층, Al2O3층, TiO2층 및 Al2O3층을 포함하는,wherein the second layer comprises a TiO 2 layer, an Al 2 O 3 layer, a TiO 2 layer, an Al 2 O 3 layer, a TiO 2 layer and an Al 2 O 3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7.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이고,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곡면 영역 상에는 상기 보호층이 위치되는,wherein the substrate is a glass substrate and has at least one curved area, on which the protective layer is located;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18.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기판은 제1 곡면 및 제2 곡면을 포함하고,The substrate includes a first curved surface and a second curved surface,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제2 곡면에 비해 상기 제1 전극층에 가까우며,The first curved surface is closer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than the second curved surface,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에는 보호층이 위치되는,A protective layer is positioned o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전기변색모듈. electrochromic module.
  19. 제18 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곡면에 상기 전기변색매체가 위치되고,The electrochromic medium is positioned on the first curved surface,
    상기 제2 곡면에 상기 전기변색매체가 위치하지 않는,The electrochromic medium is not located on the second curved surface,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20.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적어도 상기 제2 전극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절연라인을 포함하고,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n insulating line formed to pass through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layer,
    상기 절연라인에 대응되는 공간에는 상기 보호층이 형성되는,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sulating line,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21. 제20 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절연라인은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전기변색매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를 관통하고,the insulating line passes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medium;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두께를 가지는 위치에서의 제1 상면 및 제2 두께를 가지는 위치에서의 제2 상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2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at a posi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 second upper surface at a posi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에 비해 큰,the first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ickness;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22. 제21 항에 있어서,22.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1 상면, 상기 제2 상면 및 상기 연결면에는 보호층이 형성되고,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upper surface,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연결면의 교차지점에서의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상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의 두께보다 큰,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23.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전극층은 반사층인,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a reflective layer,
    전기변색모듈.electrochromic module.
PCT/KR2021/018308 2020-12-11 2021-12-0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2124719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920 2020-12-11
KR1020200172947A KR102461483B1 (en) 2020-12-11 2020-12-11 Electrochromic elements and electrochromic devices comprising the same
KR10-2020-0172947 2020-12-11
KR1020200172920A KR102574991B1 (en) 2020-12-11 2020-12-11 Electrochromic elements and electrochromic device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719A1 true WO2022124719A1 (en) 2022-06-16

Family

ID=8197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308 WO2022124719A1 (en) 2020-12-11 2021-12-0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124719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28A (en)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Controlling apparatus for Electrochromic device, Electrochromic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device
JP2017111207A (en)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リコー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09797A (en) * 2016-03-22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An Electrochromic Devic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ance of the same
KR20190023064A (en) * 2019-02-27 2019-03-07 립하이 주식회사 Electrochromic device
KR20200102385A (en) * 2019-02-21 2020-08-31 립하이 주식회사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28A (en) *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Controlling apparatus for Electrochromic device, Electrochromic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device
JP2017111207A (en)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リコー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09797A (en) * 2016-03-22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An Electrochromic Devic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ance of the same
KR20200102385A (en) * 2019-02-21 2020-08-31 립하이 주식회사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the same
KR20190023064A (en) * 2019-02-27 2019-03-07 립하이 주식회사 Electrochrom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71656A1 (en)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same
WO2019117656A1 (en)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7188798A1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WO2019135606A1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9112304A1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0082800A2 (en) Portable display device
WO2020145650A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comprising same
WO2018160049A2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WO2018128489A1 (en) Dual lens drive devic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O2016018016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background
WO2019240538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WO2020145637A1 (en) Image capturing lens
WO2017122918A1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WO2021221358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7069528A1 (en) Window substrate with integrated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918230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WO2022124719A1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0197348A1 (en) 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WO2018004138A1 (en) Fingerprint sensor cover, fingerprint sensing device, and touch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226011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WO2022139556A1 (en) Sensor driving device
WO2017078257A1 (en) Fingerprint sensor cover
WO2022025560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WO2021225295A1 (en)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24034957A1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window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37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37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