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569A1 -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569A1
WO2022114569A1 PCT/KR2021/015752 KR2021015752W WO2022114569A1 WO 2022114569 A1 WO2022114569 A1 WO 2022114569A1 KR 2021015752 W KR2021015752 W KR 2021015752W WO 2022114569 A1 WO2022114569 A1 WO 20221145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upport
area
generating
distribution
separa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7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혜인
신화선
전성환
박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8/038,84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415422A1/en
Publication of WO20221145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5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40Structures for supporting 3D objects during manufacture and intended to be sacrificed after comple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3D printing-related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for 3D printing output stability in a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n auxiliary support during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liquid material to equalize the separation force of the stacked surface to increase output stability. To provide a creation method.
  • a method for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includes: slicing a 3D model into a plurality of 2D layers;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area of the sliced 2D layers; and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 the output area of the sliced 2D layers is divided, the area for each area is calculated, the distribution of the area for each area is calculated, and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distribution.
  • a distribution may be calculated by replacing pixels with points.
  • the distribution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area density (area density) of the outline.
  •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calculated area distribution for each area is uniform.
  • the separation force (F) for each region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 the calculation step calculates the separation force for each region, compares the separation force calculation result (Fs) of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and the separation force calculation result (Fw) of the region with the lowest distribu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Fw and Fs is critical You can calculate a position that will have a size less than or equal to a value.
  • auxiliary support may be an auxiliary support used to balance the separation force when the separation force between the cured region and the liquid material is not uniform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cured 2D layer during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system slices a 3D model into a plurality of 2D layers,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area of the sliced 2D layers,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a processor for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2D layers and auxiliary support constituting the 3D model to the screen.
  • a method for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includes: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area of the sliced 2D layers; and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calculating a position of an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widths of sliced 2D layers; and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a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method including;
  • 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force is tilted to one side because the output shape is not uniform during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conventional liquid material;
  • FIG. 3 is a flowchart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force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ed using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ed in the region with the lowest distribution and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uild plate is formed differently;
  • FIG. 7 is a diagram exemplifying a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force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utputs.
  • FIG. 8 is a diagram provided for explanation of an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provided for the description of a method for generating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5 are through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ed using the method for generating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ed in the region with the lowest distribution and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uild plate is formed differently
  • FIG. 7 is a diagram exemplifying a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force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utputs.
  • 3D printing output of the conventional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output stability when the separation force is biased to one side because the output shape is not uniform as illustrated in FIGS. 1 to 2 .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uring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liquid material, is between the cured region and the liquid material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cured 2D layer during bottom-up additive manufacturing. If the separation force of the layered surface is not uniform, an auxiliary support capable of making the separation force of the laminated surface uniform can be created.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method slices the 3D model into a plurality of 2D layers,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area of the sliced 2D layers, an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generated. have.
  • the input 3D model is uniformly sliced along the Z-axis by a set layer thickness h.
  • the area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output area.
  • a method of dividing the output area is determined by a user (or a process expert).
  • the distribution of area by area is calculated.
  • the outline The distribu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area density (area density) of .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method may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the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whether the calculated area distribution for each area is uniform, and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to be generated when the auxiliary support is generated.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method when the area distribution for each area is low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the area distribution for each area is not uniform, it is decided to create an auxiliary support, and if it is decided to create an auxiliary support, hardening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2D layer, the separation force between the hardened area and the liquid material can be calculated for each area.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method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distribution is uniform, and when the calculated distribution is not uniform,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step is carried out.
  • the separation force of a region with a high distribution is calculated, and the separation force of a region with a low distribution is calculated to generate auxiliary support in an area with a low distribution.
  • the separation force F for each region may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 is the viscosity
  • r is the diameter of the region
  • v is the build plate speed
  • h is the 2D layer thickness
  • the separation force for each region is calculated, and the separation force calculation result (Fs) of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is compared with the separation force calculation result (Fw) of the region with the lowest distribution, and Fw and Fs a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position such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a magnitude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step when the position calcul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is completed, a 3D auxiliary support model generated by reflecting material properties (viscosity) and equipment properties (build plate speed) can be generated at the calculated location.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uxiliary support is set, the positio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separation force is calculated for each area, and the separation force calculation result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 Fs) and the separation force calculation result (Fw) of the region with the lowest degree of distribution are compared to calculate a position at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Fw and Fs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 the s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auxiliary support may be reset.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t auxiliary support In the case of reset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t auxiliary suppor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set as large as the unit area, and the separation force is calculated for each area. (Fw) is compared to calculate a position at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Fw and Fs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If it is determin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uxiliary support may be set to be larger by the unit area again, and reset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set larger.
  • each auxiliary support can be generated, so that ev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utputs, as illustrated in FIG. 7 , the separation force can be evenly distributed.
  • the generated auxiliary support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from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uild plate and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ed in the region having the lowest distribution.
  • each auxiliary support generate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rt and the first part extending from the build plate, and is generated at a determined position (the region with the lowest distribution),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Fw and Fs is
  • the second par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ze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part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in order to reduce material consump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 FIG. 8 is a diagram provided for explanation of an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processor 130 , an output unit 140 , and a storage unit 150 .
  •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including a 3D printer and connecting to a server, a cloud, etc. through a network, and may transmit/receive/upload/download data required for 3D printing.
  • the input unit 120 is a means for receiving a setting/command related to 3D printing and auxiliary support generation.
  • the processor 130 may perform the auxiliary support generat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
  • the processor 130 slices the 3D model into a plurality of 2D layers,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area of the sliced 2D layers, and generates the auxiliary suppor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
  • the output unit 140 is a display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2D layers and auxiliary support constituting the 3D model to the screen, and the storage unit 150 provides a storage spac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130 to operate normally. is the medium
  •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technical idea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code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ny data storage device readable by the computer and capable of storing data.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hard disk drive, or the like.
  • the computer-readable code or program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computers.

Abstract

상향식 적층 제조 방식의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는 단계;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적층 면의 분리력이 균등하도록 보조 서포트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출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본 발명은 3D 프린팅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식 적층 제조 방식의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나 DLP(Digital Light Processing)와 같이 액상 재료를 경화시키며 빌드 플레이트를 끌어올려 적층하는 출력 방식은, 경화된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이 발생하고, 이 분리력이 끌어올리는 힘보다 크면 출력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액상 재료의 점성에 따라 빌드 플레이트 올리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너무 넓은 영역이 생기지 않도록 모델을 회전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형상에 따라 도 1 내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층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출력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재료를 이용한 상향식 적층 제조 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함으로써 적층 면의 분리력을 균등하게 만들어 출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는 단계;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계산 단계는,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출력 영역을 나누어, 각 영역별 넓이를 계산하고, 각 영역별 넓이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계산된 분포도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 단계는, 이미지로 출력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인 경우, 픽셀을 포인트로 치환하여 분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 단계는,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인 경우, 외곽선의 넓이밀도(면밀도)를 통해 분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 단계는, 계산된 각 영역별 넓이 분포도의 균일 여부에 따라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 단계는, 각 영역별 넓이 분포도가 임계치 이하로 낮아 각 영역별 넓이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기로 결정하고,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기로 결정하면, 경화된 2D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을 각 영역별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 단계는, η가 점성이고, r이 영역의 직경이고, v가, 빌드 플레이트 속도이며, h가 2D 레이어 두께인 경우, 하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영역별 분리력(F)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CTKR2021015752-appb-img-000001
그리고 계산 단계는, 각 영역별 분리력을 계산하여, 분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s)와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w)를 비교하여,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서포트는, 상향식 적층 제조 시, 경화된 2D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이 균등하지 않은 경우, 분리력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해 이용되는 보조 서포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시스템은,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3D 모델을 이루는 2D 레이어들 및 보조 서포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층 면의 분리력이 균등하도록 보조 서포트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출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액상 재료를 이용한 상향식 적층제조 시 출력 형상이 균등하지 않아 분리력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가 예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흐름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를 통해, 분리력을 균등하게 분포시킨 경우가 예시된 도면,
도 6은, Build Plate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부분과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에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된 도면,
도 7은, 출력물이 복수인 경우, 분리력을 균등하게 분포시킨 경우가 예시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를 통해, 분리력을 균등하게 분포시킨 경우가 예시된 도면이며, 도 6은, Build Plate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부분과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에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된 도면이고, 도 7은, 출력물이 복수인 경우, 분리력을 균등하게 분포시킨 경우가 예시된 도면이다.
종래의 상향식 적층 제조 방식의 3D 프린팅 출력은, 도 1 내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력 형상이 균등하지 않아 분리력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 출력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액상 재료를 이용한 상향식 적층 제조 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향식 적층 제조 시, 경화된 2D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이 균등하지 않은 경우, 적층 면의 분리력을 균등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보조 서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며,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싱 단계에서는, 입력된 3D 모델을 설정된 레이어 두께 h만큼 Z축으로 일정하게 슬라이싱 하게 된다.
단면 넓이의 계산 단계에서는, 출력 영역을 나눠 각 구역별 넓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영역을 나누는 방식은 사용자(또는 공정 전문가)에 의해 결정된다.
단면 넓이의 분포도 계산 단계에서는 구역별 넓이의 분포도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단면 넓이의 분포도 계산 단계에서는 이미지로 출력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인 경우, 픽셀을 포인트로 치환하여 분포도를 계산하고,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인 경우, 외곽선의 넓이밀도(면밀도)를 통해 분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계산된 각 영역별 넓이 분포도의 균일 여부에 따라 보조 서포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보조 서포트 생성 시,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각 영역별 넓이 분포도가 임계치 이하로 낮아 각 영역별 넓이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기로 결정하고,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기로 결정하면, 경화된 2D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을 각 영역별로 계산할 수 있다.
즉,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은, 단면 넓이의 분포도 계산이 완료되면, 계산된 분포도가 균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계산된 분포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보조 서포트 생성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보조 서포트 생성 단계에서는, 분포도가 높은 영역의 분리력을 계산하고, 분포도가 낮은 영역의 분리력을 계산하여, 분포도가 낮은 영역에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영역별 분리력(F)은, 하기 수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CTKR2021015752-appb-img-000002
여기서, η는 점성이고, r은 영역의 직경이고, v는 빌드 플레이트 속도이며, h는 2D 레이어 두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조 서포트 생성 단계에서는, 각 영역별 분리력을 계산하여, 분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s)와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w)를 비교하여,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보조 서포트 생성 단계에서는, 보조 서포트의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재료 특성(점성)과 장비 특성(빌드 플레이트 속도)을 반영하여 생성된 3D 보조 서포트 모델을 계산된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보조 서포트 생성 단계에서는, 보조 서포트의 단면적을 설정하고, 설정된 보조 서포트의 단면적에 따라 위치를 계산하여, 생성하되, 각 영역별 분리력을 계산하여, 분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s)와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w)를 비교하여,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위치를 계산하는 것이다.
다만, 계산된 위치에 따라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보조 서포트의 단면적을 재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보조 서포트의 단면적을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단면적을 단위 면적만큼 크게 재설정하고, 각 영역별 분리력을 계산하여, 분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s)와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w)를 비교하여,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위치를 계산하고, 이 때도, 계산된 위치에 따라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재차 보조 서포트의 단면적을 단위 면적만큼 크게 설정하여,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크게 설정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층 면의 분리력이 균등하도록 보조 서포트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출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보조 서포트 생성 단계에서는, 레이어별로 보조 서포트의 생성 여부와 생성 여부에 따른 위치가 결정되면, 각각의 보조 서포트가 생성될 수 있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력물이 복수인 경우에도, 분리력을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Build Plate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부분과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에 생성되는 보조 서포트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되는 각각의 보조 서포트는, Build Plate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하단에 연결되어, 결정된 위치(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에 생성되어,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제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부분의 직경은, 보조 서포트의 재료 소모량을 절감시키기 위해, 제2 부분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포트 생성 시스템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프로세서(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3D 프린터를 포함한 외부 기기들과 통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클라우드 등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3D 프린팅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수신/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3D 프린팅 및 보조 서포트 생성과 관련한 설정/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30)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3D 모델을 이루는 2D 레이어들 및 보조 서포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이며, 저장부(150)는 프로세서(1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있어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매체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는 단계;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출력 영역을 나누어, 각 영역별 넓이를 계산하고,
    각 영역별 넓이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계산된 분포도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이미지로 출력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인 경우, 픽셀을 포인트로 치환하여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인 경우, 외곽선의 넓이밀도(면밀도)를 통해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계산된 각 영역별 넓이 분포도의 균일 여부에 따라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각 영역별 넓이 분포도가 임계치 이하로 낮아 각 영역별 넓이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기로 결정하고,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기로 결정하면, 경화된 2D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을 각 영역별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η가 점성이고, r이 영역의 직경이고, v가, 빌드 플레이트 속도이며, h가 2D 레이어 두께인 경우, 하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영역별 분리력(F)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수식 1)
    Figure PCTKR2021015752-appb-img-000003
  8. 청구항 6에 있어서,
    계산 단계는,
    각 영역별 분리력을 계산하여, 분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s)와 분포도가 가장 낮은 영역의 분리력 계산 결과(Fw)를 비교하여, Fw와 Fs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 서포트는,
    상향식 적층 제조 시, 경화된 2D 레이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경화된 영역과 액상 재료 사이의 분리력이 균등하지 않은 경우, 분리력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해 이용되는 보조 서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10. 3D 모델을 복수의 2D 레이어들로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3D 모델을 이루는 2D 레이어들 및 보조 서포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시스템.
  11.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12. 슬라이싱된 2D 레이어들의 넓이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 결과를 기초로, 보조 서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21/015752 2020-11-25 2021-11-03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WO20221145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8,846 US20230415422A1 (en) 2020-11-25 2021-11-03 Method for generating auxiliary support for 3d printing output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39 2020-11-25
KR1020200159839A KR102338498B1 (ko) 2020-11-25 2020-11-25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569A1 true WO2022114569A1 (ko) 2022-06-02

Family

ID=7883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752 WO2022114569A1 (ko) 2020-11-25 2021-11-03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15422A1 (ko)
KR (1) KR102338498B1 (ko)
WO (1) WO20221145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939A (ja) * 1993-10-06 1995-04-18 C Met Kk 補助サポートが取外し易い光硬化造形法
KR100257135B1 (ko) * 1988-04-18 2000-06-01 윌리엄 헐 찰스 서포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스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물체 형성방법 및 장치
JP2009190291A (ja) * 2008-02-15 2009-08-27 Roland Dg Corp サポートの形成方法、および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
US20160368223A1 (en) * 2015-06-17 2016-12-22 Roland Dg Corporation Support arrangement determining apparatus, three-dimensional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support arrangement
KR20200025407A (ko) * 2018-08-30 2020-03-10 전자부품연구원 3d 프린팅을 위한 2d 슬라이싱 폴리라인 기반 서포트 구조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135B1 (ko) * 1988-04-18 2000-06-01 윌리엄 헐 찰스 서포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스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물체 형성방법 및 장치
JPH07100939A (ja) * 1993-10-06 1995-04-18 C Met Kk 補助サポートが取外し易い光硬化造形法
JP2009190291A (ja) * 2008-02-15 2009-08-27 Roland Dg Corp サポートの形成方法、および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
US20160368223A1 (en) * 2015-06-17 2016-12-22 Roland Dg Corporation Support arrangement determining apparatus, three-dimensional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support arrangement
KR20200025407A (ko) * 2018-08-30 2020-03-10 전자부품연구원 3d 프린팅을 위한 2d 슬라이싱 폴리라인 기반 서포트 구조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5422A1 (en) 2023-12-28
KR102338498B1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945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justing deployment location of virtual machine
WO2020046003A1 (ko) 3d 프린팅을 위한 2d 슬라이싱 폴리라인 기반 서포트 구조 생성 방법
WO2020218723A1 (ko) 양자화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3d 프린팅 슬라이싱 방법
WO2020204353A1 (ko) 적층 제조를 위한 3d 메시 표면 특성 기반의 서포트 생성 방법
US8274533B2 (en) Resizing a digital document image via background content removal
CN108537776A (zh) 一种图像风格迁移模型生成方法及移动终端
EP3690801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device
CN110853068B (zh) 图片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583034B1 (ko) 분산 서버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bim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2114569A1 (ko) 3d 프린팅 출력 안정성을 위한 보조 서포트 생성 방법
CN113211795B (zh) 三维物体打印方法、打印装置及存储介质
CN111897627B (zh) 一种云计算资源配额管理方法和系统
WO2022114568A1 (ko) 3d 프린팅을 위한 적층 단면 외곽선 기반 설계 변형 방법
CN112785650B (zh) 一种相机参数标定方法及装置
EP3476081A1 (e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authority
CN107729554A (zh) 一种电子证照模板的设计方法
CN110532232A (zh) 一种对上传图片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CN109559319A (zh) 一种法线贴图的处理方法及终端
WO2022114566A1 (ko) 공차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3d 프린팅 슬라이싱 방법
US10810348B1 (en) Constructing colorable wiring layouts with wide wires and sandwich rules
CN106487893A (zh) 一种虚拟现实数据协同处理方法、系统和电子设备
WO2021066454A1 (ko) 가발 제작용 두상 몰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0468460C (zh) 绘图方法及其装置
CN114245034B (zh) 拼接显示器驱动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5008739B (zh) 一种三维物体连续打印方法及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8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0388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8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