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2990A1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2990A1
WO2022102990A1 PCT/KR2021/014112 KR2021014112W WO2022102990A1 WO 2022102990 A1 WO2022102990 A1 WO 2022102990A1 KR 2021014112 W KR2021014112 W KR 2021014112W WO 2022102990 A1 WO2022102990 A1 WO 20221029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file
source code
applic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1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석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029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29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2Code refac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6Adapting program code to run in a different environment; 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고,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플랫폼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장치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일괄적으로 배포하기 위한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기존에 전자기기의 펌웨어에 포함되어 제공되었던 네이티브 앱(native app)을 다른 전자기기에서 사용하거나 업데이트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
다만, 네이티브 앱을 다운로드 방식으로 다양한 전자기기에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기기가 사용하는 플랫폼 또는 칩셋에 따라 서로 다른 툴체인을 사용하여 컴파일한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생성하여, 각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별적으로 제출하여야 하였으므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에서 통합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다양한 플랫폼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장치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일괄적으로 배포하기 위한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고,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배포 서버는 상기 통합 파일에 기초하여 생성한 앱 패키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며, 상기 복수의 툴체인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칩셋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배포 서버 각각에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툴체인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칩셋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배포 서버 각각에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고,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포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사용자 단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앱 패키지를 생성하고, 상기 앱 패키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하나의 배포 서버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배포 서버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0), 소스 코드에 복수의 툴체인을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100),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20)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0)로부터 소스 코드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소스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한 통합 파일을 배포 서버(20)에 배포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전자 시스템(10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0)가 제공한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한 통합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배포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배포 서버(20)는 통합 파일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30)에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생성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0)로부터 제공 받은 소스 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30)와 같은 타겟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파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타겟 시스템에 맞는 툴체인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툴체인이란 타겟 시스템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컴파일 환경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컴파일러가 실행되는 플랫폼이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크로스 컴파일 환경일 수 있다. 툴체인은 각종 소스들을 컴파일하고 빌드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타겟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유틸리티 및 라이브러리의 모음으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어셈블러(assembler), 링커(linker), 컴파일러(compiler) 및 타겟 시스템에 구현된 운영 체제의 라이브러리(libra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는 각각 서로 다른 운영 체제를 가지는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의 플랫폼에서 실행 가능한 서로 다른 파일을 제공하여야 하며, 각각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 플랫폼마다 서로 다른 파일을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TV와 같은 전자기기에서 모델이 달라지며 내장된 칩셋이 변경되는 경우, 서로 다른 칩셋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는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각각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소스 코드에 대하여 서로 다른 타겟 시스템, 예컨대 서로 다른 플랫폼 또는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복수의 타겟 시스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여 타겟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로 생성한 통합 파일을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합 파일이란, 복수의 타겟 시스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며, 타겟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액세스 및 참조되는 라이브러리, 리소스 파일, html 파일 등 타겟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패키지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타겟 시스템에 제공하고자 하는 개발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동일한 소스 코드에 대해 복수의 타겟 시스템에 제공되는 각각의 파일을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배포 서버(20)는 타겟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플랫폼 또는 칩셋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타겟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배포 서버(20)는 통합 파일을 이용하여 각각의 타겟 시스템에 제공하고자 하는 앱 패키지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플랫폼 또는 칩셋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에 각각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복수의 타겟 시스템이 서로 다른 칩셋을 포함하지만 동일한 운영체제를 가지는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배포 서버(20)에 통합 파일을 제공하고, 배포 서버(20)는 각각의 타겟 시스템에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배포 서버(20)는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도 4), 복수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도 5).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받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TV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0)로부터 소스 코드를 수신할 수 있고, 소스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한 통합 파일을 배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Wireless Fidelity Direct), Zigbee, NF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무선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고,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20)로 통합 파일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인터페이스(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2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30), 프로세서(12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는 디스플레이(15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메모리(13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터치 패널), 키(키보드) 또는 버튼(물리 버튼 또는 마우스 등) 입력, 사용자 음성(마이크)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예: 유무선 키보드, 유무선 마우스, 펜, 원격 제어 장치, 스마트폰 등)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타겟 시스템에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인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타겟 시스템에 대응되는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플랫폼을 선택하여, 선택한 플랫폼에 제공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일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서로 다른 칩셋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각각에 제공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특정 칩셋 종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선택하여, 선택한 전자기기에 제공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일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예: LED(light emitting diode) 등)에서 방출되는 빛을 액정(Liquid Crystal)을 통해 조절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예: 크기가 100-200um인 mini LED, 크기가 100um이하인 micro LED, OLED(Organic LED), QLED(Quantum dot LED) 등)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하나의 배포 서버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소스 코드에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A, B, C,...)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하나의 배포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배포 서버(20)는 통합 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앱 패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앱 패키지를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포 서버(20)는 특정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는 각각 서로 다른 칩셋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소스 코드에 각각 적용하는 복수의 툴체인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 각각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생성한 통합 파일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에서 각각 실행 가능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포 서버(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합 파일을 전송 받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앱 패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앱 패키지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배포 서버(20)는 통합 파일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 각각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앱 패키지(A, B, C)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앱 패키지(A, B, C)를 각각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30-1, 30-2, 30-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배포 서버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앱 패키지를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소스 코드에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A, B, C,...)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복수의 배포 서버(20-1, 20-2, 20-3,...)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배포 서버(20-1, 20-2, 20-3,...)는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동작하며, 각각의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0-1)는 제1 플랫폼으로 동작하며 제1 배포 서버(20-1)는 제1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2)는 제2 플랫폼으로 동작하며 제2 배포 서버(20-2)는 제2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서버이고,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0-3)는 제3 플랫폼으로 동작하며 제3 배포 서버(20-3)는 제3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소스 코드에 각각 적용하는 복수의 툴체인은 복수의 배포 서버(20-1, 20-2, 20-3) 각각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복수의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생성한 통합 파일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 가능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포 서버(20)는 각각 통합 파일을 전송 받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앱 패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앱 패키지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배포 서버(20-1)는 통합 파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0-1)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앱 패키지(A)를 생성하고, 생성한 앱 패키지(A)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30-1)에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배포 서버(20-2)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2)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한 앱 패키지(B)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2)에 제공할 수 있고, 제3 배포 서버(20-3)는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0-3)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한 앱 패키지(C)를 제3 사용자 단말 장치(30-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S610).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S620)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툴체인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칩셋 종류에 각각 대응되는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생성한 통합 파일은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같은 복수의 타겟 시스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며, 타겟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액세스 및 참조되는 라이브러리, 리소스 파일, html 파일 등 타겟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패키지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통합 파일을 전송(S530)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배포 서버 각각에 통합 파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배포 서버는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툴체인은 복수의 배포 서버 각각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복수의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복수의 툴체인을 소스 코드에 각각 적용하여 각 플랫폼에 제공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툴체인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칩셋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툴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칩셋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툴체인을 소스 코드에 각각 적용하여 서로 다른 칩셋을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에 통합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동작하거나 서로 다른 칩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일괄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일한 소스 코드에 대해 복수의 타겟 시스템에 제공되는 각각의 파일을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고,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 서버는 상기 통합 파일에 기초하여 생성한 앱 패키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며,
    상기 복수의 툴체인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칩셋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툴체인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배포 서버 각각에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툴체인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칩셋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툴체인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에 대응되는 툴체인을 상기 소스 코드에 적용하여 생성한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배포 서버 각각에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제어 방법.
  11. 전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고,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포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사용자 단말 장치의 플랫폼 또는 칩셋 종류에 대응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기초하여 앱 패키지를 생성하고, 상기 앱 패키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
  12.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스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소스 코드에 서로 다른 복수의 툴체인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로 상기 통합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PCT/KR2021/014112 2020-11-12 2021-10-1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029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66 2020-11-12
KR1020200151266A KR20220064780A (ko) 2020-11-12 2020-11-1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990A1 true WO2022102990A1 (ko) 2022-05-19

Family

ID=8160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112 WO2022102990A1 (ko) 2020-11-12 2021-10-1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4780A (ko)
WO (1) WO202210299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211A (ko) * 2005-09-27 2007-03-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각각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실행하기 위한 가상 머신 및 이를 이용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JP2008516323A (ja) * 2004-10-12 2008-05-15 ピクセル(リサーチ)リミテッド プラットホーム独立の動的リンキング
US20110161912A1 (en) * 2009-12-30 2011-06-30 Qualzoom, Inc. System for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software applications usable on multiple mobile device platforms
KR20130086138A (ko) * 2010-04-15 2013-07-31 아이티알 그룹, 아이엔씨. 크로스―플랫폼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KR20180027023A (ko) * 2016-09-05 2018-03-14 바이플러그 주식회사 앱 개발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앱 저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323A (ja) * 2004-10-12 2008-05-15 ピクセル(リサーチ)リミテッド プラットホーム独立の動的リンキング
KR20070035211A (ko) * 2005-09-27 2007-03-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각각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실행하기 위한 가상 머신 및 이를 이용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US20110161912A1 (en) * 2009-12-30 2011-06-30 Qualzoom, Inc. System for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software applications usable on multiple mobile device platforms
KR20130086138A (ko) * 2010-04-15 2013-07-31 아이티알 그룹, 아이엔씨. 크로스―플랫폼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KR20180027023A (ko) * 2016-09-05 2018-03-14 바이플러그 주식회사 앱 개발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앱 저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780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6739A1 (ko) 어플리케이션의 코드 난독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3149460A1 (zh) 一种Android手持设备连续增量的空中升级方法
WO2011068372A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15852A1 (en) Task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CN101907983A (zh) 麦克风静音控制方法以及计算机
EP2815312A1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ppl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201403378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5174609A1 (ko)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방법, 이를 위한 단말 및 시스템
WO2013191458A1 (en) License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WO2019164205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026738A1 (ko) 어플리케이션의 코드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1052984A2 (en)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8233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업데이트 제어 방법
EP2850519A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102990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030903A1 (ko)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018719A1 (ko) 보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WO2015108282A1 (ko) 전자 장치의 광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149771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관리 방법
WO2019160323A1 (ko)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4092292A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이동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WO2023080380A1 (ko) 상태 기계에 의하여 작업의 진행 상황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WO2012015083A1 (ko) Rtos 기반의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WO2015016634A1 (ko) 조도센서를 활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66809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2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2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