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60179A1 -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60179A1
WO2022060179A1 PCT/KR2021/012846 KR2021012846W WO2022060179A1 WO 2022060179 A1 WO2022060179 A1 WO 2022060179A1 KR 2021012846 W KR2021012846 W KR 2021012846W WO 2022060179 A1 WO2022060179 A1 WO 20220601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personal health
data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8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민현
최은경
김하연
김지예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9185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39555A/ko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8/026,33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60808A1/en
Publication of WO20220601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601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Definitions

  • An embodiment may provide a server and method for easily storing and managing an existing test record or prescription as a personal health record,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 Another embodiment may provide a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drug compliance improvement program or side effect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 One embodiment provides a server that integrally manages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Server and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provide automatic alarms by detecting problematic behavior/medication statu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ig. 3B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of Fig. 2A.
  • FIG.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er 200 for integratedly managing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 the server 200 that manages personal health records in an integrated manner will mainly describe that data storage and integration technology, data exchange and sharing technology, an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y are applied to build a personal health record platform. not limited
  • the server 200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servers o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130, a storage unit 220 that stores data, and data It includes an input unit 230 for inputting an image, an output unit 250 for outputting data to display or display an image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them.
  • the control unit 240 may integrate and recognize the examinations between hospitals written in different units and expression methods even though the examination is the same.
  • the control unit 240 can recognize the center test results compatible and integrated even when the same test is performed not only in hospitals but also in several developmental cente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Unstructured data are items that are difficult to define due to their irregular shape, and generally include text and images. In the medical field, since most text data can be analyzed in a semi-structured form, only image or image data can be considered as unstructured.
  • the atypical data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moving image data such as CAG (Coronary Angiography) and various ultrasound images, and image data such as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lectrocardiogram (ECG), etc. do.
  • CT Computed Tomography
  •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ECG Electrocardiogram
  • Such unstructured data may also be learned as keywords, tags, or metadata, classified and patterned, and then, when new unstructured data classification is requested, the data may be processed into a record format and provided together with related data.
  • the output unit 250 outputs the examination record so that the follow-up investig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 individual year-by-year examination record can be observed. Additionally,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follow-up observation result of a change for each index for each subtest and a change for each developmental period for one test, and output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ly.
  • FIG. 2D sequentially shows screens on which the output unit 250 outputs changes for each intelligence test index and AI-based customized information for one test.
  • the controller 240 is configured to perform a profile analysis of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file analysis of intelligence test development information and/or profile analysis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information, profile analysis of emotional state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output unit 250 provides user-customized information can be printed out.
  • the server 200 may provide user-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profile analysis of each examination.
  • the controller 240 includes an image recognition unit 241 for recognizing image information from one of image data, prescription image data, and a medical report of test data, and image data of test data, prescription image data, and medical care. It may include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unit 242 for recognizing text information from one of the reports.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the image data is, for example, image data captured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camera, and the test resul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example, language comprehension, perceptual reasoning, working memory, processing speed, etc. are evaluated. These may be existing inspection data that have been qualitatively classified (level).
  • the input image data (FIG. 5(a)) is vertically aligned with language comprehension, perceptual reasoning,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speed, and index score, percentile, 95% confidence interval, and qualitative classification for each item.
  • Level consists of a specific data format arranged horizontally.
  • control unit 240 recognizes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241 and the OCR unit 242 among the data format items of the personal health reco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
  • a screen (for example, an item to add an opinion) on which an item 318 that has not been entered can be input through another server or terminal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or the output unit 250 .
  • 6B and 6C show processes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imag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241 and the OCR unit 242 into templates and storing them in the storage unit 220 for each field.
  • the output unit 250 outputs the automatic template classification result.
  • the server 200 may convert data input to various institutions or hospitals using different data input methods into data of a unified template by compatibility.
  • this automatic alarm message can simultaneously provide URL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performed by the aforementione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unit 243 or information that can connect or link with other medical staff. there is.
  • the behavior modification unit 246 may provide social skills improvement and behavior modification/reinforcement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fun animation format.
  • the data conversion unit 243b may integrate and recognize the examination results between hospitals in different units and expression methods, even though the examination is the same.
  • the data conversion unit 243b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recognize the test results compatible and integrated even when the same test is performed not only in hospitals but also in multiple development centers.
  • the image data may be one of image data of examination data prepared in a specific data format, prescription image data, and a medical report.
  • text information 310 is recognized from the input image data (a) using a gener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ique or a deep learning technique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text information 310 and classify the personal health record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data format 314 .
  • 6B and 6C show processes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image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241 and the OCR unit 242 in a template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text information for each field.
  • the method 400 for globally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s described above is to globaliz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various languages written in hospitals or development centers in various countries into global big data, so whe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mount of learning data is increased This can improv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Another embodiment provid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scribed above.
  • another embodiment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scribed abo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본 발명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은 건강 관리 기술로 생체신호 모니터링 기술, 재택건강관리/홈케어 서비스 기술, 모바일/유 헬스케어 서비스 기술, 환자관리 모니터링 기술이 있으며, 개인 건강기록 플랫폼 기술은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기술, 데이터 저장 및 통합 기술, 데이터 교환 및 공유기술 개인건강 정보보호 기술로 구분된다.
종래 개인건강기록은 기존 검사기록이나 처방전등을 촬영하여 용이하게 디지털 데이터화할 수 없어 관리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 개인건강기록은 개인건강기록와 연계하여 채팅을 수행하거나, 약물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활용도가 낮았다.
또한, 종래 개인건강기록은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알리지 못하였고, 발달 장애 아동에 대한 약물 순응도 개선 프로그램이나 부작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했다.
일 실시예는 기존 검사기록이나 처방전등을 용이하게 개인건강기록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저장 및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와 연계하여 채팅을 수행하거나, 약물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 알람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발달 장애 아동에 대한 약물 순응도 개선 프로그램이나 부작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하고, 다른 서버 또는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부, 환자정보와,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는 기존 검사기록이나 처방전등을 용이하게 개인건강기록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는 저장 및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와 연계하여 채팅을 수행하거나, 약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는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 기록매체는 발달 장애 아동에 대한 약물 순응도 개선 프로그램이나 부작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B 내지 도 2E는, 출력부가 각각의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 및 검사에 대한 궁금한 사항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도 2A의 서버의 제어부의 일예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도 2A의 서버의 제어부의 다른 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영상 데이터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3A의 영상 인식부와 OCR부에 의해 도 4의 영상 데이터에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분리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새롭게 저장된 검사결과의 예들이다.
도 7은 자동 알람 메시지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환자측 단말(110),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 의료진측 단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13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측 단말(110)은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환자측 단말(110), 의료진측 단말(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측 단말(120)은,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환자측 단말(110)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치료를 요청하는 발달장애 아동 또는 환자 또는 그 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환자측 단말(110)은, 환자의 의료기록을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여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환자측 단말(110)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로부터 진단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환자측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 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진단 요청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환자측 단말(11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측 단말(120)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진단자 또는 의사, 놀이치료사 등 의료진측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의료진측 단말(120)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로부터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진료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기록 데이터에 대한 소견 등을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의료진측 단말(120)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에서 빅데이터가 인공지능으로 학습될 때까지 질의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고, 오류를 다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로 피드백해주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측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의료진측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의료진측 단말(12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환자측 단말(110) 및 의료진측 단말(120)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환자측 단말(110) 및 의료진측 단말(120)은,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환자측 단말(110) 및 의료진측 단말(12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술, 데이터 저장 및 통합 기술, 데이터 교환 및 공유 기술, 개인 건강 정보보호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술은 전자의무기록으로서 모든 의료기록을 전자문서로 기록 보존하는 기술이고, 데이터 저장 및 통합 기술은 개인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합하는 기술이고, 데이터 교환 및 공유 기술은 개인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이고, 개인 건강 정보보호기술은 개인 건강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술이다.
이하에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 및 통합 기술 및 데이터 교환 및 공유 기술, 개인 건강 정보보호기술이 적용된 것을 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다른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21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230), 영상을 표시하거나 표시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250),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른 서버 또는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서버(미도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환자측 단말(110) 및/또는 의료진측 단말(120), 이들과 별개의 제3의 단말(미도시)일 수 있다.
저장부(220)는 일반적인 저장장치일 수 있다. 특히, 저장부(220)는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은 전자 건강 기록(HER; Electronic Health Record), 스마트 헬스데이터(Smart Health Data) 등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어떤 데이터나 정보를 의미한다.
개인건강기록은 환자정보, 일일관리 정보(예, 투약관리 정보, 부작용 관리 정보, 치료 일지 정보), 표 1의 검사보고서, 표 2의 설문지 및 심리척도, FAQ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건강기록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어부(24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보고서
A 대상 아동의 뇌자기공명영상
B 혈액 및 소변검사 결과
C 영유아 임상검사 결과
C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K-WIPPISI : Korean Wechsler Preschool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K-WISC :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K-WAIS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 한국 카우프만 아동지능검사 (K-ABC :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 한국판 라이터 비언어성 지능검사 (K-Leiter-R, Korean-Leiter-Revised)
- 한국판 Beery 시각-운동 통합검사 6판 (Breery VMI-6, The Beery-Buktenic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II (DDST-2,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II)
-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K-Bayley-III, Korean-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I)
- 교육진단 검사 (PEP, Psycho Educational Profile)
- 사회성숙도 검사 (SMS, Social Maturity Scale)
- 바인랜드 적응행동 척도 2판 (K-Vineland-II, Korean-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Second Edition)
-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쥴 (ADOS,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 자폐증 진단 면담지-개정판 (ADI-R, Autism Diagnostic Interview - Revised)
-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CAR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 한국판 아동기 자폐 평정척도 2 (K-CARS2, Korean-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2)
- 한국판 아동 색 선로 검사 (CCT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STROOP color and word test children's version)
-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WC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 정밀 주의집중력 검사 (ATA, Advances Test of Attention)
- 종합 주의력 검사 (CAT,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 종합 학습능력 검사 (CLT, Comprehensive Learning Test)
- 다면적 인성검사 (MMPI-I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II)
- 다면적 인성검사 (MMPI-A,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 기질 및 성격 검사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3-6 유아용 / JTCI 7-11 아동용 / JTCI 12-18 청소년용)
- 아동 행동 평가 척도(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PRES,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 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 (REV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 아동용 발음 (APAC, 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 우리말 조음-음운평가 2 (UTAP,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 피바디 운동발달 단계척도 (PDMS-2,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 알베르타 아동운동 평가척도 (Alberta Infant Motor Scales)
- Early Coping Inventory
- 대동작 기능평가 (GMFM,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 (DTVP-2,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II)
- 비운동 시지각 능력 검사 (MVPT-2,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 에르하트 발달조작 검사 (EDPA,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
-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
검사보고서는 발달장애 보호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환 및 상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설문지 및 심리척도
양육자 관련 부모 스트레스 척도 (PSI, Parenting Stress Index-SF)
양육자 관련 벡 우울 척도 (K-BDI,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dex)
대상자의 문제행동 관련 한국아동발달검사 (K-CDI, Korean version of The Child Development Inventory)
대상자의 문제행동 관련 소아 우울 척도 (CDI, Kovacs' depression scale)
대상자의 문제행동 관련 소아 불안 척도 (RMCAS,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대상자의 문제행동 관련 벡 불안 척도 (K-BAI,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대상자의 문제행동 관련 ADHD Rating Scale (K-ADHD-RS)
대상자의 문제행동 관련
개인건강기록은 환자용 개인건강기록과 의료진용 개인건강기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자용 개인건강기록은 보호자용 맞춤정보 및 맞춤 치료 프로그램 추천 정보 등일 수 있다. 의료진용 개인건강기록은 의료진 참여를 통한 진료정보와 환자의 라이프 로그(life log)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 등일 수 있다.입력부(23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녹음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종 센서 등 오디오나 영상,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입력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230)는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아동의 개인건강기록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유사한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용자의 카테고리와 해당 해석정보(psychological assessment information database)를 매칭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정보를 탐사한 후 보호자용 맞춤정보인 프로파일별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이를 통해, 보호자가 저장한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한 후 해당 아동의 발달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유용한 발달 촉진적 자극이 무엇인지 추천해 줄 수 있는 서비스 또는 맞춤 치료 프로그램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발달평가상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기능저하가 관찰될 경우, 근거 기반의 치료모듈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발달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근거 기반의 치료모듈을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추천할 수 있다. 근거 기반의 치료모듈은 잘 설계된 연구들로부터 효과가 밝혀진 치료법들을 의미하며 보다 정확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저장부(220)의 데이터 베이스와 날리지 베이스(Knowledge Base, 임상가의 해석) 간의 매칭을 통해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특정 알고리즘을 형성 및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같은 검사임에도 서로 다른 단위 및 표현방식으로 작성되어 있는 병원 간의 검사를 통합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특히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병원뿐 아니라 여러 발달 센터에서도 동일한 검사를 시행 하는 경우에도 센터 검사 결과를 호환 및 통합 인식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정보를 요청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정형화 정도에 따라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반정형(semi-structured) 데이터, 비정형 (unstructured)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비정형 데이터는 형태가 불규칙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항목들로서, 일반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등이 해당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대부분의 텍스트 데이터는 반정형으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영상이나 이미지 데이터만 비정형으로 고려할 수 있다. 비정형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CAG(Coronary Angiography), 각종 초음파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동영상 데이터와 CT(Comput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EKG(Electrocardiogram; ECG) 등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키워드, 태그 또는 메타 데이터로 학습되어 분류 및 패턴화되고, 이후 새로운 비정형 데이터의 분류가 요구되었을 때, 데이터를 레코드 형식으로 가공하고 연관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검사임에도 검사 기관 별로 다르게 검사 결과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검사 결과는 표준점수(예. IQ, t-score, z-score), %ile(percentile), 상중하, 우수/저조와 같은 방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이에 대응하여, 출력부(250)는 검사 결과에 대한 OCR 인식하고 디지털화하고, 여러 병원 및 검사 기관의 검사 결과를 데이터 호환하여 통일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검사 용어등이 난해하여 보호자가 결과지 만으로는 검사 내용을 적절히 판단하고 활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출력부(250)는 발달장애 보호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환 및 상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검사보고서를 출력한다.
도 2B 및 도 2C는, 출력부(250)가 각각의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 및 검사에 대한 궁금한 사항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출력부(250)는 각각의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을 표시할 때, 난해한 용어들이나 검사에 대해 궁금해 할 수 있는 사항들에 태그들을 붙여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검사결과를 흐리게 처리하고 선택한 태그가 붙어있는 난해한 용어 또는 검사에 대해 궁금해 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인터넷 검색 정보 또는 의학 용어 사전에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사결과에서 뇌실에 붙은 태그를 클릭하면 출력부(250)는 뇌실에 대해 의학 용어 사전에 연동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사결과에서 검사명들 중 하나인 ESR을 클릭하면, 출력부(250)는 ESR에 대해 의학 용어 사전에 연동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개인의 연도별 검사 기록에 대한 추적 조사 및 변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검사 기록을 출력한다. 추가로, 출력부(250)는 하나의 검사에 대한 소검사별 지표별 변화, 발달 시기별 변화의 추적 관찰 결과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맞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D는 출력부(250)가 하나의 검사에 대해 지능검사 지표별 변화와 인공지능 기반 맞춤 정보를 출력한 화면들의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지능검사 발달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 및/또는 기질 및 성격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 정서 상태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 등 다양한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출력부(250)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200)는 각 검사의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비교가능 한 상위 항목들을 통일된 단위값(백분위 %)으로 변환한 후 "종합발달보고서" 형태로 통합하여 방사형 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나 의료진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상태를 한눈에 평가할 수 있다. 도 2E는 출력부가 출력한 종합 발달 보고서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200)는 종합발달보고서 출력에 따른 예상 진단 및 장애에 따른 맞춤 복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정부 및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로부터 장애인복지법과 같은 법률정보와 국가지원/지자체 지원 또는 민간단체 지원 등의 지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200)에 접근하여 전술한 법률정보나 지원정보와 같은 맞춤 복지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3A은 도 2A의 서버의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241)와,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는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41)는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영상 정보를 인식하고,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41)는 일반적인 영상 인식 기술이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영상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여 인식된 영상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316)에 맞추어 구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OCR부(242)는 예를 들어 글자 인식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 이미지에 대하여 이진화(binarization), 단어 단위의 분리(word segmentation), 글자 단위의 분리(character segmentation)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개별 글자(character recognition)를 인식하는 파이프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OCR부(242)도 일반적인 글자 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그 텍스트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여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개인건강기록을 각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영상 데이터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3A의 영상 인식부와 OCR부에 의해 도 4의 영상 데이터에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분리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은 새롭게 저장된 검사결과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 발달장애 아동의 검사결과, 예를 들어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등을 평가하고 이들을 질적분류(수준)한 기존 검사자료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OCR부(242)도 일반적인 글자 인식 기술이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a)로부터 텍스트 정보(310)를 인식하고, 그 텍스트 정보(310)의 의미를 파악하여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314)에 맞추어 개인건강기록을 각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도 5의 (a))는 언어이해와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 속도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각 항목에 대한 지표점수, 백분위, 95% 신뢰구간, 질적분류(수준)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특정 데이터 포맷을 구성되어 있다.
OCR부(24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도 5의 (a))로부터 텍스트 정보(310)를 인식하고, 그 텍스트 정보(310)의 의미를 파악하고, 언어이해와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 속도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고 각 항목에 대한 지표점수, 백분위, 95% 신뢰구간, 질적분류(수준)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이미 정해진 데이터 포맷(314)로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41)는 일반적인 영상 인식 기술이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도 5의 (a))로부터 영상 정보(312)를 인식하고, 인식된 영상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여 인식된 영상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316)에 맞추어 구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의 데이터 포맷의 항목들 중 영상 인식부(241)와 OCR부(242)에 의해서 인식되는 않은 항목(318)을 다른 서버나 단말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화면(예를 들어 의견추가 항목)을 통신부(210) 또는 출력부(25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영상 인식부(241)와 OCR부(242)에 의해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서버나 단말에게 통신부(210) 또는 출력부(25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는 영상 인식부(241)와 OCR부(242)에 의해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템플릿에 자동 분류해서 필드별로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과정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6B와 도 6C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여러 기관들 또는 병원들에게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작성되거나 입력된 후 영상 인식부(241)와 OCR부(242)에 의해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판독영역을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250)는 템플릿 자동 분류 결과를 출력한다. 데이터 결과적으로 서버(200)는 여러 기관들 또는 병원들에게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데이터들을 호환하여 통일된 템플릿의 데이터로 데이터화할 수 있다.
다시 도 3A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할 수 있는 챗봇 기능을 인공지능 챗봇부(24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챗봇부(243)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할 수 있다.
인공지능 챗봇부(243)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현재 개발되거나 장래에 개발될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챗봇부(243)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질문에 답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는 이상 감지부(24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감지부(244)가 정상범위를 넘는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한 경우, 통신부(210)는 다른 서버 또는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전술한 환자측 단말(110)이거나 의료진측 단말(120)일 수 있다. 다른 서버는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는 서버(200)와 연동된 서버이거나 의료 기관, 공공기관 등 응급 의료 시스템과 연동된 서버일 수도 있다.
이상 감지부(244)는 자동 알람을 전송한 경우 문제 행동/투약 상태 및 그 이상 증상 발생 날짜와 시간, 누적된 이상 발생 횟수, 다른 정보와 연관성이 발견된 경우 그 연관성 등을 저장부(220)에 개인건강기록으로 저장한다.
도 7은 자동 알람 메시지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동 알람 메시지는 전술한 인공지능 챗봇부(243)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챗봇과 연결할 수 있는 URL 정보나 기타 의료진 등과 연결하거나 연동할 수 있는 정보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치료 관리시 제공한 약물에 대한 약물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약물 관리부(24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약물 관리부(245)가 설명한 약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약물 관리부(245)는 약의 일반적인 정보, 복약지도, 추천건강식품, 복약지도, 영양소 결핍 정보 등 약물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약물 관리부(245)는 일반적인 약물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개인건강기록과 관련하여 약물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이상 감지부(244)에 의해 특정 약물에 대한 이상 투약 상태에 대한 자동 알람을 제공한 경우, 저장부(220)에 저장된 이상 투약 상태에 대한 개인건강기록과 관련하여 약물 정보를 제공한다. 즉, 약물 관리부(245)는 이상 투약 상태를 유발한 특정 약물과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특정 발달장애 아동의 상태를 반영한 대체 약물이라는 정보가 포함된 약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약물 관리부(245)는 복약순응도, 문제 행동의 % 변화를 반영, 일일과제 이행 정도의 % 반영, 다른 날짜에 시행한 같은 검사 결과의 지능지수 수치 변화를 반영하여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발달 장애 정도 및 아동 정서상태, 부모스트레스 중 하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출력부(250)를 통해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의료진이 입력한 진단 또는 보호자가 입력한 문제 행동, 보호자가 입력한 기질에 자동으로 매칭되어 필요한 과제를 출력부(250)를 통해 제시하는 행동 수정부(24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행동 수정부(246)는 발달 장애 아동의 사회기술 향상, 행동 수정/강화 프로그램을 재미있는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 챗봇부(2430)는 이상 감지부(244)나 약물 관리부(245), 행동 수정부(246) 중 적어도 하나와 협력하고 이들에 의해 추가된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질문에 답변할 수 있다.
전술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물리치료/감각통합/인지치료/언어치료 등 발달장애 아동에게 꼭 필요한 치료기록을 통합하여 개인이 관리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병원 의료진에게 정확한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서버(200)는 개인 건강 정보보호기술을 적용하여 환자의 데이터를 암호화된 자료로 보관함으로써, 해당 환자에 의해서만 검사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서버(200)는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포함한 전문데이터를 태깅함으로써, 진단 데이터, 약물 순응도, 앱 사용 정보의 각각의 개별 정보, 상관관계, 경향성을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다각도로 판단하므로 ■ 진단의 민감도/특이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서버(20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의사의 전문의견이 포함된 의료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의료 인공지능 영역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있다.
도 3B는 도 2A의 서버의 제어부의 다른 예의 구성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 인식부(241)와,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데이터 변환부(243b)와 자동번역부(244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43b)는, 같은 검사임에도 서로 다른 단위 및 표현방식으로 되어 있는 병원 간의 검사결과를 통합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43b)는, 특히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병원뿐 아니라 여러 발달 센터에서도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도 검사 결과를 호환 및 통합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검사임에도 검사 기관 별로 다르게 검사 결과를 기술하는데, 데이터 변환부(243b)는, 예를 들어 검사 결과를 표준점수(예. IQ, t-score, z-score), %ile(percentile), 상중하, 우수/저조와 같은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변환부(243b)는, 각 검사 결과를 인식하고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OCR부(24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도 5의 (a))로부터 텍스트 정보(310)를 인식하고, 그 텍스트 정보(310)의 의미를 파악한다. 한편, 입력부(230)는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가 포함된 개인건강기록을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할 수도 있다.
데이터 변환부(243b)는, OCR부(242)에 의해 인식하거나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개인건강정보, 예를 들어 각 검사 결과를 특정 표현방식, 예를 들어 표준점수(예. IQ, t-score, z-score), %ile(percentile), 상중하, 우수/저조와 같은 방식로 변환할 수 있다.
개인건강정보가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자동번역부(244b)는 다양한 언어의 개인건강정보를 특정 언어로 자동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번역부(244b)는 OCR부(242)에 의해 인식하거나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개인건강정보에 다른 언어들로 각각 작성된 내용이 있다면 특정 언어, 예를 들어 한국어로 자동번역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자동번역된 내용을 특정 언어, 예를 들어 한국어만으로 표시하거나, 한국어와 원어를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번역부(244b)는 OCR부(242)에 의해 인식하거나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개인건강정보 전체가 한국어 이외에 다른 언어로 구성된 경우, 개인건강정보 전체를 한국어로 자동번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250)는 자동번역된 개인건강정보 전체를 한국어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특정 단어나 특정 문구에 대해서는 한국어와 원어를 병기할 수도 있다.
자동번역부(244b)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특정 번역 알고리즘, 예를 들어 마르코프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문장이나 문단, 단어를 자동번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영상 인식부(241)와 OCR부(242)에 의해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판독영역을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할 때, 자동번역부(244b)의 자동번역된 내용을 참조하여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변환부(243b)가 개인건강정보의 특정 단위나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할 때 자동번역부(244b)의 자동번역된 내용을 참조하여 개인건강정보의 특정 단위나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개인건강기록을 글로벌 빅데이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데이터 변환부(243b)에 의해 개인건강정보의 특정 단위나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하거나 자동번역부(244b)에 의해 개인건강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양한 언어로 자동번역하여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하므로, 다양한 국가의 병원이나 발달 센터에서 작성된 다양한 언어의 개인건강정보를 글로벌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200)가 다양한 국가의 병원이나 발달 센터에서 작성된 다양한 언어의 개인건강정보를 글로벌 빅데이터화화므로, 영상 입력부(241)나 OCR부(242)가 인공지능을 이용할 경우 학습 데이터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인공지능의 학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지만, 다른 서버나 다른 단말 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400)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410),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20) 및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는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i)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영상 정보를 인식하고, ii)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iii)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일반적인 글자 인식 기술이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a)로부터 텍스트 정보(310)를 인식하고, 그 텍스트 정보(310)의 의미를 파악하여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314)에 맞추어 개인건강기록을 각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a)는 언어이해와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 속도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각 항목에 대한 지표점수, 백분위, 95% 신뢰구간, 질적분류(수준)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특정 데이터 포맷을 구성되어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a)로부터 텍스트 정보(310)를 인식하고, 그 텍스트 정보(310)의 의미를 파악하고, 언어이해와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 속도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고 각 항목에 대한 지표점수, 백분위, 95% 신뢰구간, 질적분류(수준)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이미 정해진 데이터 포맷(314)로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일반적인 영상 인식 기술이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a)로부터 영상 정보(312)를 인식하고, 인식된 영상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여 인식된 영상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316)에 맞추어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의 데이터 포맷의 항목들 중 인식되는 않은 항목(318)을 다른 서버나 단말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다른 서버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할 수 있는 챗봇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챗봇 기능은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질문과 답변의 형식으로 채팅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고,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한 경우, 네트워크(130)를 통해 자동 알람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알람 메시지는 인공지능 챗봇과 연결할 수 있는 URL 정보나 기타 의료진 등과 연결하거나 연동할 수 있는 정보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치료 관리시 제공한 약물에 대한 약물 정보를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약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약물에 대한 이상 투약 상태에 대한 자동 알람을 제공한 경우, 이상 투약 상태를 유발한 특정 약물과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특정 발달장애 아동의 상태를 반영한 대체 약물이라는 정보가 포함된 약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복약순응도, 문제 행동의 % 변화를 반영, 일일과제 이행 정도의 % 반영, 다른 날짜에 시행한 같은 검사 결과의 지능지수 수치 변화를 반영하여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발달 장애 정도 및 아동 정서상태, 부모스트레스 중 하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의료진이 입력한 진단 또는 보호자가 입력한 문제 행동, 보호자가 입력한 기질에 자동으로 매칭되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달 장애 아동의 사회기술 향상, 행동 수정/강화 프로그램을 재미있는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아동의 개인건강기록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유사한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용자의 카테고리와 해당 해석정보(psychological assessment information database)를 매칭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정보를 탐사한 후 보호자용 맞춤정보인 프로파일별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이를 통해, 보호자가 저장한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한 후 해당 아동의 발달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유용한 발달 촉진적 자극이 무엇인지 추천해 줄 수 있는 서비스 또는 맞춤 치료 프로그램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발달평가상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기능저하가 관찰될 경우, 근거 기반의 치료모듈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하는 단계(S420)는 발달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근거 기반의 치료모듈을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추천할 수 있다. 근거 기반의 치료모듈은 잘 설계된 연구들로부터 효과가 밝혀진 치료법들을 의미하며 보다 정확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데이터 베이스와 날리지 베이스(Knowledge Base, 임상가의 해석) 간의 매칭을 통해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특정 알고리즘을 형성 및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같은 검사임에도 서로 다른 단위 및 표현방식으로 작성 BCL, r Scalesventory ; children'로 되어 있는 병원 간의 검사를 통합 인식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는 특히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병원뿐 아니라 여러 발달 센터에서도 동일한 검사를 시행 하는 경우에도 센터 검사 결과를 호환 및 통합 인식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각각의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을 표시할 때, 난해한 용어들이나 검사에 대해 궁금해 할 수 있는 사항들에 태그들을 붙여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검사결과를 흐리게 처리하고 선택한 태그가 붙어있는 난해한 용어 또는 검사에 대해 궁금해 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인터넷 검색 정보 또는 의학 용어 사전에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개인의 연도별 검사 기록에 대한 추적 조사 및 변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검사 기록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로,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하나의 검사에 대한 소검사별 지표별 변화, 발달 시기별 변화의 추적 관찰 결과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맞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하나의 검사에 대해 지능검사 지표별 변화와 인공지능 기반 맞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지능검사 발달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 및/또는 기질 및 성격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 정서 상태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 등 다양한 정보의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400)은 각 검사의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E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비교가능 한 상위 항목들을 통일된 단위값(백분위 %ile)으로 변환한 후 "종합발달보고서" 형태로 통합하여 방사형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나 의료진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상태를 한눈에 평가할 수 있다.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종합발달보고서 출력에 따른 예상 진단 및 장애에 따른 맞춤 복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하는 단계(S430)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로부터 장애인복지법과 같은 법률정보와 국가지원/지자체 지원 또는 민간단체 지원 등의 지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한 법률정보나 지원정보와 같은 맞춤 복지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는 영상 인식부(241)와 OCR부(242)에 의해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템플릿에 자동 분류해서 필드별로 저장하는 과정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6B와 도 6C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여러 기관들 또는 병원들에게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작성되거나 입력된 후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판독영역을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하는 단계(S430)에서, 템플릿 자동 분류 결과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400)은 여러 기관들 또는 병원들에게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데이터드를 호환하여 통일된 템플릿의 데이터로 데이터화할 수 있다.
전술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400)는 물리치료/감각통합/인지치료/언어치료 등 발달장애 아동에게 꼭 필요한 치료기록을 통합하여 개인이 관리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병원 의료진에게 정확한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방법(400)는 개인 건강 정보보호기술을 적용하여 환자의 데이터를 암호화된 자료로 보관함으로써, 해당 환자에 의해서만 검사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방법(400)는 소아의 개인건강기록을 포함한 전문데이터를 태깅함으로써, 진단 데이터, 약물 순응도, 앱 사용 정보의 각각의 개별 정보, 상관관계, 경향성을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다각도로 판단하므로 ■ 진단의 민감도/특이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서버(20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의사의 전문의견이 포함된 의료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의료 인공지능 영역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같은 검사임에도 서로 다른 단위 및 표현방식으로 되어 있는 병원 간의 검사결과를 통합 인식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특히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병원뿐 아니라 여러 발달 센터에서도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도 검사 결과를 호환 및 통합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검사임에도 검사 기관 별로 다르게 검사 결과를 기술하는데,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예를 들어 검사 결과를 표준점수(예. IQ, t-score, z-score), %ile(percentile), 상중하, 우수/저조와 같은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각 검사 결과를 인식하고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인식되거나 입력된 개인건강정보, 예를 들어 각 검사 결과를 특정 표현방식, 예를 들어 표준점수(예. IQ, t-score, z-score), %ile(percentile), 상중하, 우수/저조와 같은 방식로 변환할 수 있다.
개인건강정보가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다양한 언어의 개인건강정보를 특정 언어로 자동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인식되거나 입력된 개인건강정보에 다른 언어들로 각각 작성된 내용이 있다면 특정 언어, 예를 들어 한국어로 자동번역할 수 있다. 출력하는 단계(S430)에서, 자동번역된 내용을 특정 언어, 예를 들어 한국어만으로 표시하거나, 한국어와 원어를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인식되거나 입력된 개인건강정보 전체가 한국어 이외에 다른 언어로 구성된 경우, 개인건강정보 전체를 한국어로 자동번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하는 단계(S430)에서, 자동번역된 개인건강정보 전체를 한국어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특정 단어나 특정 문구에 대해서는 한국어와 원어를 병기할 수도 있다.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특정 번역 알고리즘, 예를 들어 마르코프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문장이나 문단, 단어를 자동번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판독영역을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할 때, 자동번역된 내용을 참조하여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하는 단계(S420)에서, 개인건강정보의 특정 단위나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할 때 자동번역된 내용을 참조하여 개인건강정보의 특정 단위나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개인건강기록을 글로벌 빅데이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200)는 개인건강정보의 특정 단위나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하거나 개인건강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양한 언어로 자동번역하여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하므로, 다양한 국가의 병원이나 발달 센터에서 작성된 다양한 언어의 개인건강정보를 글로벌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개인건강기록을 글로벌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400)은 다양한 국가의 병원이나 발달 센터에서 작성된 다양한 언어의 개인건강정보를 글로벌 빅데이터화화므로, 인공지능을 이용할 경우 학습 데이터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인공지능의 학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단계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다른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부;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상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상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와, 상기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상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상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는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인식한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작성되거나 입력된 후 상기 영상 인식부와 상기 OCR부에 의해서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판독영역을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하는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할 수 있는 챗봇 기능을 AI 챗봇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챗봇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와 상기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상기 발달장애 아동과 상기 놀이치료사, 상기 의료진, 상기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하는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상기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는 이상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상 감지부가 상기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 알람을 전송하는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치료 관리시 제공한 약물에 대한 약물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약물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약물 관리부가 설명한 약물 정보를 표시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관리부는 복약순응도, 문제 행동의 % 변화를 반영, 일일과제 이행 정도의 % 반영, 다른 날짜에 시행한 같은 검사 결과의 지능지수 수치 변화를 반영하여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발달 장애 정도 및 아동 정서상태, 부모스트레스 중 하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그래프로 표시하는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료진이 입력한 진단 또는 보호자가 입력한 문제 행동, 보호자가 입력한 기질에 자동으로 매칭되어 필요한 과제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제시하는 행동 수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같은 검사임에도 서로 다른 단위 및 표현방식으로 되어 있는 병원 간의 검사결과를 특정 단위 또는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버.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OCR부에 의해 인식하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건강정보 전부 또는 일부에 다른 언어들로 각각 작성된 내용을 특정 언어로 자동번역하는 자동번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버.
  11.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와 상기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이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i)상기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상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상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인식하고, ii)상기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상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상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iii)상기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작성된 검사 자료의 영상 데이터, 처방전 영상 데이터, 의료 보고서 중 하나로부터 인식한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에 맞추어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작성되거나 입력된 후 인식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판독영역을 템플릿의 필드별로 자동 분류하여 데이터화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발달장애 아동과 놀이치료사, 의료진,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할 수 있는 챗봇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챗봇 기능은 저장된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와 상기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상기 발달장애 아동과 상기 놀이치료사, 상기 의료진, 상기 아동 보호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채팅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저장된 상기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와 상기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여 상기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투약 상태를 감지한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 알람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치료 관리시 제공한 약물에 대한 약물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정보와 상기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상기 약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복약순응도, 문제 행동의 % 변화를 반영, 일일과제 이행 정도의 % 반영, 다른 날짜에 시행한 같은 검사 결과의 지능지수 수치 변화를 반영하여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발달 장애 정도 및 아동 정서상태, 부모스트레스 중 하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진이 입력한 진단 또는 보호자가 입력한 문제 행동, 보호자가 입력한 기질에 자동으로 매칭되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는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같은 검사임에도 서로 다른 단위 및 표현방식으로 되어 있는 병원 간의 검사결과를 특정 단위 또는 특정 표현방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거나 개인건강정보 전부 또는 일부에 다른 언어들로 각각 작성된 내용을 특정 언어로 자동번역하는 방법.
  21.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한의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21/012846 2020-09-21 2021-09-17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WO20220601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6,333 US20230360808A1 (en) 2020-09-21 2021-09-17 Server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 for child having developmental disord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516 2020-09-21
KR20200121516 2020-09-21
KR1020210091858A KR20220039555A (ko) 2020-09-21 2021-07-13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KR10-2021-0091858 2021-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0179A1 true WO2022060179A1 (ko) 2022-03-24

Family

ID=8077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846 WO2022060179A1 (ko) 2020-09-21 2021-09-17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60808A1 (ko)
WO (1) WO202206017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3416A (ja) * 2003-01-06 2004-07-29 Com & Com:Kk 医薬品使用状況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KR101133822B1 (ko) * 2010-11-09 2012-04-06 김병일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발달성 장애치료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KR20130113288A (ko) *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유코리아 휴대용 개인건강 기록 저장 장치
KR20150087447A (ko) * 2014-01-20 2015-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지능형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5455B1 (ko) * 2015-12-31 2018-01-05 (주)블루와이즈 개인 건강정보 기반의 건강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3416A (ja) * 2003-01-06 2004-07-29 Com & Com:Kk 医薬品使用状況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KR101133822B1 (ko) * 2010-11-09 2012-04-06 김병일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발달성 장애치료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KR20130113288A (ko) *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유코리아 휴대용 개인건강 기록 저장 장치
KR20150087447A (ko) * 2014-01-20 2015-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지능형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5455B1 (ko) * 2015-12-31 2018-01-05 (주)블루와이즈 개인 건강정보 기반의 건강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0808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tanen et al. The adoption of care robots in home care—A survey on the attitudes of Finnish home care personnel
Liaw et al. A review of educational strategies to improve nurses' roles in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deteriorating patients
WO2022145782A2 (ko)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Christoforou et al. An overview of assistive robotics and technologies for elderly care
TWI521467B (zh) Nursing decision support system
Holter Critical theory: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theories
Pedrozo Campos Antunes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of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Quimby Ethnography's role in assisting mental health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Wohl et al. Detection of undiagnosed HIV among state prison entrants
Williams Diagnostic criteria for atopic dermatitis: where do we go from here?
Gala et al. Performance in trauma resuscitation at an urban tertiary level I pediatric trauma center
WO2013009024A2 (ko) 건강 분류 정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ang et al. Associ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e and the retention of elderly caregiver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empowerment theory
WO2022059864A1 (ko)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WO2022060179A1 (ko)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Elfert et al. DiDiER-digitized services in dietary counselling for people with increased health risks related to malnutrition and food allergies
Gao et al. Word structure tunes electrophysiological and hemodynamic responses in the frontal cortex
Lichtenstein et al. Nonverbal cognitive assessment of children in Tanzania with and without HIV
WO2023058990A1 (ko) 개인건강기록을 글로벌 빅데이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Mansouri et al. Mobile health applications in the COVID-19 pandemic: A scoping review of the reviews
WO2020138924A2 (ko)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WO2019212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care advice
Tan et al. Screening nonimmigrant visitors to the United States for tuberculosis: report of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KR102450646B1 (ko)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응급실 환자 진단 시스템 및 방법
Brown et al. The Sensory Processing Measure–Second Edition: A Critical Review and Apprais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98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98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